KR200145441Y1 - 작업등 조작 자동화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등 조작 자동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441Y1
KR200145441Y1 KR2019940036215U KR19940036215U KR200145441Y1 KR 200145441 Y1 KR200145441 Y1 KR 200145441Y1 KR 2019940036215 U KR2019940036215 U KR 2019940036215U KR 19940036215 U KR19940036215 U KR 19940036215U KR 200145441 Y1 KR200145441 Y1 KR 200145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switch
light
work ligh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6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1673U (ko
Inventor
김병기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40036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441Y1/ko
Publication of KR9600216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16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4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5Adjustabl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operation, e.g. by 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등 조작 자동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스위치(SW1)와 경고등(LP1)으로 구성된 캡 내부회로부(10)와, 작업등 스위치(SW2)와 지시등(LP2) 및 작업등(LP)을 상하, 좌우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모타 스위치(21)로 구성된 스위치 박스(20)와, 작업등(LP)과 리미트 스위치(SW3,SW4)와 모타(M1,M2)로 구성된 작업등 내부회로부(30)으로 구성되어 야간작업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작업등(LP)을 상하, 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하여 정확한 조명과, 작업의 효율을 높이도록 한 작업등 조작 자동화장치인 것이다.

Description

작업등 조작 자동화 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의 회로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캡(CAB)내부회로부 20 : 스위치 박스
21 : 모타 스위치 30 : 작업등 내부회로부
SW1,SW2 : 작업등 스위치 SW3,SW4 : 리미트 스위치
LP : 작업등 LP1 : 경고등
LP2 : 지시등 M1,M2 : 모타
본 고안은 작업등 조작 자동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현장에서의 야간작업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작업 등을 상하,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하여 정확한 조명으로 작업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할수 있도록한 작업등 조작 자동화장치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작업등(LP)이 상하, 좌우 자유롭게 움직일수 없도록 고정형으로 되어있어 야간작업시 작업부위에 정확한 조명을 할수 없어 작업이 필요한 장소에는 작업 등을 이동 및 재설치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써, 캡 내부회로부와, 작업등을 상하, 좌우로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스위치박스와, 작업등으로 구성되어 생산라인에서 야간작업시 작업 등을 스위치 조작에 의해 상하, 좌우로 자유롭게 조절, 움직일 수 있도록하여 정확한 조명과, 작업의 능률 및 효율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한 장소에서 작업을 할시 작업 등의 이동 및 재설치의 불편함을 제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동작원리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위치(SW1)와, 경고등(LP1)으로 구성된 캡 내부회로부(10)와, 작업등 스위치(SW2)와, 상하, 좌우 조절이 가능한 모타 스위치(21)로 구성된 스위치 박스(20)와, 작업등(LP)과, 상기 작업등(LP)의 조절각을 제한하는 리미트 스위치(SW3,SW4)와, 상기 모타 스위치(21)로 구동하는 모타(M1,M2)로 구성된 작업등 내부회로부(3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구성의 동작원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캡(10)내부에 있는 스위치(SW1)을 온(ON) 시키면 경고등(LP1)이 점등되고, 상기 캡(10) 외부의 리어(REAR) 부위에 마운팅(MOUNTING)되어 있는 스위치 박스(20)의 작업등 스위치(SW2)를 온(ON)시키면 지시등(LP2)과 작업등(LP)이 점등되며, 스위치 박스(20)의 모타스위치(21)를 상하로 위치시키면 작업등 내부회로부(30)의 모타(M1)에 의해 작업등(LP)이 상하로 움직이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 작업등 내부회로부(30)에는 접점스위치의 역할을 수행하는 리미트 스위치(SW3,SW4)가 설치되어 상기 모터(M1)가 상하로 이동할 때 작업등(LP)의 최상점과 최하점의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거리의 한계를 갖도록 한 것이다.
예컨데 모터(M1)가 상부로 이동하여 최상점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SW3)에 접지되면 스위치가 작동하여 모터(M1)를 정지시키거나 반대로 모터(M1)가 하부로 이동하여 최하점에 도달하게 되면 최하점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SW4)를 작동시켜 모터(M1)의 작동을 정지시키므로 이동하는 모터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기기를 보호하도록한다.
또한, 스위치 박스(20) 내에 있는 작업등 스위치(LP)를 좌우에 위치시키면 모타(M2)는 좌우로 작업등(LP)를 회전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작업 등을 조명할 수 있으며, 모터(M1,M2)와 작업등(LP)과의 연결은 기어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에서 처럼 야간작업시 작업 등을 고정시켜 설치한 것과는 달리 스위치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자유롭게 상하, 좌우 조절할 수 있도록하여 야간작업시 정확한 조명을 할수 있고 작업 등의 이동이나 재설치의 불편함을 제거한 획기적이고도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스위치(SW1)와 경고등(LP1)으로 구성한 캡 내부회로부(10)과, 상기 캡(10)과 연결된 작업등 스위치(SW2)와 지시등(LP2)과 작업등(LP)을 상하, 좌우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모타 스위치(21)로 구성되어 상기 캡(10) 외부의 리어(REAR) 부분에 마운팅 되어있는 스위치 박스(20)와, 작업등(LP)과 상기 작업등(LP)이 상하,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한계각을 제한하는 리미트 스위치(SW3,SW4)와 상기 작업등(LP)이 움직이도록 구동하는 모타(M1,M2)로 구성된 작업등 내부회로부(30)으로 구성되어 야간작업시 작업등(LP)을 상하 좌우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조절할 수 있어 정확한 조명을 할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등 조작 자동화 장치.
KR2019940036215U 1994-12-27 1994-12-27 작업등 조작 자동화 장치 KR200145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6215U KR200145441Y1 (ko) 1994-12-27 1994-12-27 작업등 조작 자동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6215U KR200145441Y1 (ko) 1994-12-27 1994-12-27 작업등 조작 자동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673U KR960021673U (ko) 1996-07-20
KR200145441Y1 true KR200145441Y1 (ko) 1999-06-15

Family

ID=19403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6215U KR200145441Y1 (ko) 1994-12-27 1994-12-27 작업등 조작 자동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44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673U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2030A (en) Vehicular light bar
US6918688B2 (en) Vehicle headlamp apparatus
US7005973B2 (en) Electrical actuator assembly for hinged vehicle safety devices
US4403829A (en) Angle adjusting arrangement for adjusting an element about two axes
US5719553A (en) Sealed electrical actuator assembly for hinged vehicle safety devices
KR200145441Y1 (ko) 작업등 조작 자동화 장치
KR20030049787A (ko) 자동차용 4등식 헤드램프의 구조
CN1174880C (zh) 用于机动车左右方向的辅助照明装置
CN219995237U (zh) 一种多功能的led警示照明工作灯
RU2189325C2 (ru) Устройство с фотоэлектрическими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ями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световым потоком фары автомобиля
JP2589002Y2 (ja) ランプチェンジャー付き道路灯
KR0124410B1 (ko) 자동차용 헤드 라이트의 광색 변환 장치
KR200182259Y1 (ko) 위치제어 유니트
KR970001125Y1 (ko) 파워윈도우 작동스위치 조명제어장치
JPH0356427Y2 (ko)
KR200149117Y1 (ko) 자동차 헤드 램프 상하향 조절 기구
KR860000575Y1 (ko) 산업용 로보트 아암의 운동범위 설정장치
KR960002285Y1 (ko) 차량의 고속주행 경고장치
KR0135105Y1 (ko) 비닐하우스 개폐기의 리미트 장치
KR0157795B1 (ko) 차량 전조등 조명거리 자동 조정장치
FI90154B (fi) Blinkande varningsljus
KR200154154Y1 (ko) 차량용 룸 램프의 전구 위치 조정장치
KR970004481Y1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각도위치 표시장치
KR19980020588U (ko) 차량의 헤드램프 에이밍 조절장치
KR19990026530U (ko) 차량의 엔진룸 조명램프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