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5379Y1 -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379Y1
KR200145379Y1 KR2019940034424U KR19940034424U KR200145379Y1 KR 200145379 Y1 KR200145379 Y1 KR 200145379Y1 KR 2019940034424 U KR2019940034424 U KR 2019940034424U KR 19940034424 U KR19940034424 U KR 19940034424U KR 200145379 Y1 KR200145379 Y1 KR 2001453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grill
main body
air
grill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44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3983U (ko
Inventor
이도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400344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379Y1/ko
Publication of KR9600239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39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3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3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5Grilles, registers or guards including an air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공기를 조화시키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본체와,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과, 상기 본체의 전면 상부에 설치된 토출그릴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그릴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 하부에 4개의 연통된 관통부의 하단에 단부가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와; 상기 관통부중 하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부에 대향되도록 상기 흡입그릴의 내측 하부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며, 착탈이 용이하도록 길이 t1으로 돌출되고 단부에 하부방향으로 걸림돌기가 돌출된 하부후크부재와; 상기 관통부중 상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부에 대향되도록 상기 흡입그릴의 내측 상부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며, 착탈이 용이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그릴이 θ의 각도로 개방되도록 상기 하부후크부재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돌출되고 단부에 하부방향으로 걸림돌기가 돌출된 상부후크부재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흡입그릴의 내측에 길이가 상이한 상부 및 하부후크부재가 체결부재에 의해 장착되고, 이 상부 및 하부후크부재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므로써, 흡입그릴을 본체에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어 제작시에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키고 A/S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흡입그릴을 본체로부터 θ의 각도로 용이하게 개방시켜 흡입그릴에 장착된 필터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지지장치
본 고안은 실내공기를 조화시키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흡입그릴을 본체에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시에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키고 A/S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흡입그릴에 장착되는 필터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공기를 조화시키는 공기조화기는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된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대별된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일예로써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며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전면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20)과, 상기 흡입그릴(20)을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를 조화시키도록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40)와, 상기 열교환기(40)로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열교환기(40)에서 조화된 조화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송풍덕트(51)와 팬(52) 그리고 모터(53)로 구성된 송풍기(50)와, 상기 송풍기(50)의 송풍력에 의해 조화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조화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며 상기 본체(10)의 전면 상부에 설치된 토출그릴(30)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흡입그릴(20)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즉, 종래의 흡입그릴(20)은 내측상면에 자석(21)이 고착되며, 대체로 중앙에 연결끈(26)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10)의 내측에는 상기 연결끈(26)의 타단이 결합되는 걸고리(13)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상기 송풍기(50)의 송풍력에 의해서 상기 흡입그릴(20)을 통해 실내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흡입그릴(20)을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는 상기 열교환기(40)를 통과하여서 조화되며, 상기 열교환기(40)를 통과한 조화공기는 상기 토출그릴(30)을 통해 실내로 토출되므로써 실내를 공기조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흡입그릴을 본체에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흡입그릴(20)의 일단을 상기 연결끈(26)으로 접속시킨 후 상기 흡입그릴(20)을 상기 본체(10)의 하부 전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흡입그릴(20)을 한손으로 취부하고 다른 한손으로 상기 연결끈(26)을 잡고 상기 본체(10)의 걸고리(13)에 체결시킨다.
또, 상기 연결끈(26)을 상기 본체(10)의 걸고리(13)에 체결시킨 후 상기 흡입그릴(20)을 상기 본체(10) 방향으로 밀면 상기 흡입그릴(20)의 자석(21)의 자력에 의해 상기 흡입그릴(20)이 상기 본체(10)에 부착되어 상기 흡입그릴(20)의 조립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즉,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지지장치는, 상기 흡입그릴(20)을 상기 본체(10)에 조립할 경우 한손으로는 상기 흡입그릴(20)을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연결끈(26)의 타단을 걸고리(13)에 체결해야 하므로써, 상기 흡입그릴(20)을 조립 및 분해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흡입그릴을 본체에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시에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키고 A/S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흡입그릴에 장착되는 필터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지지장치는,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며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과, 상기 흡입그릴을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를 조화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로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열교환기에서 조화된 조화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송풍력에 의해 조화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조화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며 상기 본체의 전면 상부에 설치된 토출그릴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그릴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 하부에 4개의 연통된 관통부의 하단에 단부가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와; 상기 관통부중 하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부에 대향되도록 상기 흡입그릴의 내측 하부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며, 착탈이 용이하도록 길이 t1으로 돌출되고 단부에 하부방향으로 걸림돌기가 돌출된 하부후크부재와; 상기 관통부중 상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부에 대향되도록 상기 흡입그릴의 내측 상부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며, 착탈이 용이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그릴이 θ의 각도로 개방되도록 상기 하부후크부재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돌출되고 단부에 하부방향으로 걸림돌기가 돌출된 상부후크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지지장치에 의하면, 흡입그릴의 내측에 길이가 상이한 상부 및 하부후크부재가 체결부재에 의해 장착되고, 이 상부 및 하부후크부재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므로써, 흡입그릴을 본체에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어 제작시에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키고 A/S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흡입그릴을 본체로부터 θ의 각도로 용이하게 개방시켜 흡입그릴에 장착된 필터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제1도는 종래예에 적용되는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제2도는 종래예에 적용되는 흡입그릴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흡입그릴을 본체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흡입그릴이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공기조화기의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흡입그릴
3 : 토출그릴 10 : 관통부
11 : 걸림부 22 : 체결부재
23 : 상부후크부재 231 : 걸림돌기
25 : 하부후크부재 251 : 걸림돌기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지지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흡입그릴을 본체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흡입그릴이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공기조화기의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써,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와 송풍기등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있어서, (1)은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도록 육면체로 형성된 본체로써, 이 본체(1)의 전면상부에는 조화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그릴(3)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의 전면 하부에는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2)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또, 상기 본체(1)의 전면 하부에는 상기 흡입그릴(2)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4개의 연통된 관통부(10)가 형성되고, 이 관통부(10)의 하단에는 단부가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1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부호 25는 하부후크부재로써, 상기 관통부(10)중 하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부(10)에 대향되도록 상기 흡입그릴(2)의 내측 하부에 체결부재(22)에 의해 체결되며, 착탈이 용이하도록 길이 t1으로 돌출되고 단부에 하부방향으로 걸림돌기(251)가 돌출되어 있다.
또, 부호 23은 상부후크부재로써, 상기 관통부(10)중 상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부(10)에 대향되도록 상기 흡입그릴(2)의 내측 상부에 체결부재(22)에 의해 체결되며, 착탈이 용이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그릴(2)이 제4도에 도시된 θ의 각도로 개방되도록 상기 하부후크부재(25)의 길이(t1)보다 긴 길이(t2)로 돌출되고 단부에 하부방향으로 걸림돌기(231)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입그릴(2)의 내면 상측에는 상기 흡입그릴(2)이 상기 본체(1)에 밀착될 수 있도록 자석(24)이 구비되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지지장치의 조립과정과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상기 본체(1)의 하면에는 걸림부(11)가 구비되어 관통된 4개의 관통부(10)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그릴(2)의 내면에는 상기 관통부(10)에 대향되도록 2개의 상부후크부재(23)와 2개의 하부후크부재(25)가 체결부재(22)에 의해 체결되므로써, 사용자가 상기 상부 및 하부후크부재(23)(25)를 상기 관통부(10)에 일치시켜 화살표 A 방향으로 밀면 상기 흡입그릴(2)이 용이하게 상기 본체(1)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흡입그릴(2)의 내측 상면에는 자석(24)이 구비되므로써, 상기 자석(24)의 자력에 의해 상기 흡입그릴(2)은 상기 본체(1)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필터 등을 교환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흡입그릴(2)의 상부를 잡아당기면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그릴(2)의 상부가 θ의 각도로 개방되므로써 필터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후크부재(23)의 길이(t2)는, 상기 하부후크부재(25)의 길이(t1)보다 긴 길이로 돌출되므로써, 사용자가 상기 흡입그릴(2)을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그릴(2)의 상부가 θ의 각도로 개방되므로써 필터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그릴(2)을 상기 본체(1)로부터 분해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흡입그릴(2)을 잡고 제4도에 도시한 화살표 B방향으로 들어올려 상기 상부후크부재(23)의 걸림돌기(231) 및 상기 하부후크부재(25)의 걸림돌기(251)가 상기 본체(1)에 형성된 걸림부(11)로부터 일탈되도록 한 후, 제4도에 도시한 화살표 C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흡입그릴(2)이 상기 본체(1)로부터 용이하게 분해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흡입그릴(2)을 상기 본체(1)로부터 분해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흡입그릴(2)을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린 후 잡아당기면 상기 흡입그릴(2)이 상기 본체(1)로부터 용이하게 분해되어 작업의 편리성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지지장치에 의하면, 흡입그릴의 내측에 길이가 상이한 상부 및 하부후크부재가 체결부재에 의해 장착되고, 이 상부 및 하부후크부재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형성되므로써, 흡입그릴을 본체에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어 제작시에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키고 A/S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흡입그릴을 본체로부터 θ의 각도로 용이하게 개방시켜 흡입그릴에 장착된 필터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며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전면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2)과, 상기 흡입그릴(2)을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를 조화시키도록 상기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로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열교환기에서 조화된 조화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송풍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송풍력에 의해 조화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조화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며 상기 본체(1)의 전면 상부에 설치된 토출그릴(3)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그릴(2)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의 전면 하부에 4개의 연통된 관통부(10)의 하단에 단부가 하부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11)와; 상기 관통부(10)중 하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부(10)에 대향되도록 상기 흡입그릴(2)의 내측 하부에 체결부재(22)에 의해 체결되며, 착탈이 용이하도록 길이 t1으로 돌출되고 단부에 하부방향으로 걸림돌기(251)가 돌출된 하부후크부재(25)와; 상기 관통부(10)중 상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부(10)에 대향되도록 상기 흡입그릴(2)의 내측 상부에 체결부재(22)에 의해 체결되며, 착탈이 용이함과 동시에 상기 흡입그릴(2)이 θ의 각도로 개방되도록 상기 하부후크부재(25)의 길이(t1)보다 긴 길이(t2)로 돌출되고 단부에 하부방향으로 걸림돌기(231)가 돌출된 상부후크부재(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지지장치.
KR2019940034424U 1994-12-17 1994-12-17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지지장치 KR2001453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4424U KR200145379Y1 (ko) 1994-12-17 1994-12-17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4424U KR200145379Y1 (ko) 1994-12-17 1994-12-17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983U KR960023983U (ko) 1996-07-22
KR200145379Y1 true KR200145379Y1 (ko) 1999-06-15

Family

ID=19401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4424U KR200145379Y1 (ko) 1994-12-17 1994-12-17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3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983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5379Y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지지장치
JPS6333060Y2 (ko)
JPH0419371Y2 (ko)
JP3202301U (ja) 車両用空気清浄器
JPS6330908Y2 (ko)
KR200312147Y1 (ko) 룸 에어컨의 구조
JPH0120586Y2 (ko)
JPS6219860Y2 (ko)
JPS6246140A (ja) サ−キユレ−タ
CN212250522U (zh) 一种香气风机
JPS63220037A (ja) 一体形空気調和機の風向偏向羽根取付装置
JPS6021733Y2 (ja) 冷蔵庫の機械室構造
JPS5814Y2 (ja) 空気調和機
KR200151084Y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측 열교환기 착탈 구조
JPS6231788Y2 (ko)
JPH08168622A (ja) 空気清浄機
JPS5834334Y2 (ja) 空気調和機
KR100388658B1 (ko) 공기조화기
JPH0413529Y2 (ko)
KR100547681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설치구조
JPS6231789Y2 (ko)
KR100584290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설치구조
KR20030043042A (ko) 공기조화기의 에어필터 고정구조
JPS6234212Y2 (ko)
JPH032505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