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5359Y1 - 반구형 베어링 - Google Patents

반구형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359Y1
KR200145359Y1 KR2019960042134U KR19960042134U KR200145359Y1 KR 200145359 Y1 KR200145359 Y1 KR 200145359Y1 KR 2019960042134 U KR2019960042134 U KR 2019960042134U KR 19960042134 U KR19960042134 U KR 19960042134U KR 200145359 Y1 KR200145359 Y1 KR 2001453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isphere
hemispherical
bush
groove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21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9080U (ko
Inventor
김승곤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600421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359Y1/ko
Publication of KR199800290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0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3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3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1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7/1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grooves in the bearing surface to generate hydrodynamic pressure
    • F16C17/105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grooves in the bearing surface to generate hydrodynamic pressure with at least one bearing surface providing angular contact, e.g. conical or spherical bear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 F16C33/1005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with gas, e.g. air, as lubricant
    • F16C33/101Details of the bearing surface, e.g. means to generate pressure such as lobes or wedges
    • F16C33/1015Pressure generating gro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4Special methods of manufacture; Running-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70/00Apparatus relating to physics, e.g. instruments
    • F16C2370/12Hard disk driv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70/00Apparatus relating to physics, e.g. instruments
    • F16C2370/20Optical, e.g. movable lenses or mirrors; Spectacles
    • F16C2370/22Polygon mirr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구형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양측으로 마련된 반구형베어링의 일측에 표식을 형성하여 반구형베어링의 결합시에 목적한 반구부시와 반구가 타측으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반구형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반구형 베어링은, 그 내부에 반구형상으로 함몰된 반구홈(21)이 양측으로 마련된 반구부시(20), 상기 반구홈(21)에 삽입되어 미세한 간극(10)을 가지는 반구(30)가 마련된 반구형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반구부시(20)의 외부면의 일측에는 표식(50)을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반구형 베어링
본 고안은 반구형 베어링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측으로 마련된 반구부시 일측의 외부면에 표식을 형성하여 반구부시의 내부로 삽입하려는 반구가 타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반구형베어링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구형베어링은 비디오 재생기, 컴퓨터의 하드디스크, 레이저 프린터, 레이저 스캐너 등에서 쓰이는 모터의 내부에 마련이 되며 반구의 홈을 가진 반구부시의 내부로 반구를 삽입시켜 회전하면서 그 사이에 공기의 점성펌핑작용으로 인해 부상함으로써 수평축방향과 수직축방향을 함께 지지해주므로 각 방향별로 베어링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부피를 작게 만들 수 있으며 접촉면의 사이에 특별한 윤활제가 필요치않아 전자제품의 내부용모터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도1은 일반적인 레이저 프린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다면경(3)의 측면에는 반도체레이저(1)가 마련되고 반도체레이저(1)에서 주사된 레이저 빔은 다면경(3)을 통해 다면경(3)의 정면에 마련된 감광드럼(5)으로 주사되어 감광드럼(5)을 통한 출력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프린터의 일반적인 작동을 도1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반도체레이저(1)는 기록용광원으로 보통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용한다.
이 반도체레이저(1)에서 주사되는 레이저 빔은 반도체레이저(1)와 다면경(3)의 사이에 마련된 콜린메이트렌즈(2)를 통과하며 집광된후 평행한 레이저빔으로 바뀌고, 이 콜린메이트렌즈(2)를 통과한 레이저빔은 다시 실린더리칼렌즈(2a)를 통과하며 다면경(3)에 직각방향은 집광시키고, 수평방향의 광은 그대로 투과시켜 다면경(3)에 선형의 상을 만들게한다. 상기의 과정에서 나오는 레이저빔은 다면경(3)을 통과하면서 감광드럼(5)의 축방향과 일치하도록 등선속도로 이동시켜준다. 다면경(3)의 정면에는 구면렌즈(4)가 마련되고 이 구면렌즈(4)를 통과한 레이저빔은 다면경(3)에 반사되고 구면렌즈(4)를 통해 나온 레이저빔을 감광드럼(5)상에 초점을 맺혀주는 토릭렌즈(4a)를 통과한다. 토릭렌즈(4a)를 통과한 레이저빔은 감광드럼(5)위의 스타트포지션을 일치시키기위해 사용되는 수평동기미러(4b)와 검지센서(4c)의 사이를 통과하며 이때 수평동기미러(4b)는 스타트포지션을 벗어난 광이 이 미러에 반사되어 검지센서(4c)에 입력되도록한다. 검지센서(4c)와 수평동기미러(4b)를 통과한 레이저빔은 반사미러(4d)를 통해 감광드럼(5)의 위치로 반사되어 이동하게 된다.
도2는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는 프린터에서 다면경(3)을 회전시키는 모터(6)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다면경(3)의 하측으로는 반구부시(7)가 결합되어있으며 반구부시(7)의 안쪽으로는 축의 역할을 하는 반구(8)와 회전축(9)이 결합되고 반구부시(7)의 외측으로는 회전자(6a)가 결합되어있다. 그 외측으로는 다시 고정자(6b)가 마련이 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고정자(6b)의 안쪽의 회전자(6a)와 이에 연결된 반구부시(7)와 다면경(3)이 회전축(9)을 중심으로 최초 반구(8)와 접촉하며 회전을 시작하여 접촉면의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고 반구(8)의 외측에 마련된 그루브(미도시)에 의해 접촉면의 사이에 공기가 유입되어 미세하게 이격되어 회전을 하게된다.
이에 도3을 참조하여 반구부시(7)와 반구(8)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면경(3)의 하측에는 상하측으로 함몰된 반구(8)형상의 반구홈(7a)이 형성된 반구부시(7)가 마련되고, 이 반구홈(7a)의 사이에는 연통홀(7b)이 형성되어 상하측의 반구홈(7a)을 연통시키게된다. 반구홈(7a)의 상하측의 입구와 연통홀(7b)의 상하측으로 형성된 입구 모서리(7c)에는 제작시에 생기는 버어(Burr)를 제거하는 동시에 반구홈(7a)에 결합될 반구(8)와 연통홀(7b)에 결합할 회전축(9)의 삽입이 용이하게 모따기가 되어있다. 반구홈(7a)에는 상하측으로 반구(8)가 결합이 되며, 이 반구(8)는 내부에 회전축(9)이 삽입할수 있는 결합홀(8a)이 형성되어있고, 외부에는 반구부시(7)에 삽입되는 부분과 그 반대되는 모서리(7c)에는 모따기가 되어있다. 그리고 반구(8)와 반구부시(7)는 반구(8)가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을 할때 반구(8)와 반구부시(7)의 사이에는 수 미크론의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반구부시(7)는 회전하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반구형베어링은 반구홈을 가지는 반구와 부시가 수 미크론의 간격을 가지는 정밀한 베어링으로서 반구와 부시를 상대적으로 가공하기 때문에 항상 반구와 반구부시가 하나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반구와는 달리 반구부시에는 반구홈이 양측으로 형성되어있으므로 반구형베어링의 조립제작시에 목적한 반구홈이 아닌 타측의 반구홈에 삽입되어 조립되는 경우가 생긴다. 이 같은 경우에는 반구홈과 반구와의 사이의 간극이 일정치 못하게되며 작용면이 접촉회전을 하게되어 반구홈과 반구의 작용면이 마모되어 결과적으로 모터의 구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양측으로 마련된 반구형베어링의 일측에 표식을 형성하여 반구형베어링의 결합시에 목적한 반구부시와 반구가 타측으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반구형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반구형베어링이 장착된 레이저프린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모터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일반적인 반구베어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반구베어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따른 반구부시의 사시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다면경 20:반구부시
21:반구홈 22:연통홀
30:반구 31:결합홀
40:회전축 50:표식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그 내부에 반구형상으로 함몰된 반구홈이 양측으로 마련된 반구부시, 상기 반구홈에 삽입되어 미세한 간극을 가지는 반구가 마련된 반구형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반구부시의 외부면의 일측에는 표식이 마련되어 상기 반구홈을 구별할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반구형베어링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본 고안의 반구형 베어링의 외부는 일반적인 반구형베어링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동일부호와 동일명칭을 사용하여 도1과 도2를 참조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경(3)의 하측으로는 반구부시(20)가 결합되어있으며 반구부시(20)의 안쪽으로는 축의 역할을 하는 반구(30)와 회전축(40)이 결합되고 반구부시(20)의 외측으로는 회전자(6a)가 결합되어있다. 그 외측으로는 다시 고정자(6b)가 마련이 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고정자(6b)의 안쪽의 회전자(6a)와 이에 연결된 반구부시(20)와 다면경(3)이 회전축(40)을 중심으로 최초 반구(30)와 접촉하며 회전을 시작하여 접촉면의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고 반구(30)의 외측에 마련된 그루브(미도시)에 의해 접촉면의 사이의 공기가 펌핑됨으로써 이로 인해 반구부시(20)와 반구(30)의 사이는 미세하게 이격되게 된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반구형베어링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구부시(20)와 반구(3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면경(3)의 하측에는 상하측으로 함몰된 반구형상의 반구홈(21)이 형성된 반구부시(20)가 마련되고, 이 반구홈(21)의 사이에는 연통홀(22)이 형성되어 상하측의 반구홈(21)을 연통시키게되고, 반구(30)는 내부에 회전축(40)이 삽입할수 있는 결합홀(31)이 형성되어있다. 한편 반구부시(20)의 외측에는 안쪽으로 원주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는 표식(50)이 마련되어 상하측의 반구홈(21)을 구별하게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반구형베어링은 전원이 인가되면 고정자(6b)의 안쪽의 회전자(6a)와 이에 연결된 반구부시(20)와 다면경(3)이 회전축(40)을 중심으로 최초 반구(30)와 접촉하며 회전을 시작하여 접촉면의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고 반구(30)의 외측에 마련된 그루브(미도시)에 의해 접촉면의 사이에 공기의 펌핑력에 의해 미세하게 이격되어 회전을 하게된다.
도5는 본 고안의 반구형베어링의 외측면을 보인 사시도면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측으로 반구홈(21)이 형성된 반구부시(20)가 마련이 된다. 이 반구부시(20)의 외주면 상측에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요소인 표식(50)이 마련된다. 이 표식(50)은 반구부시(20)의 외주면에 원주형으로 홈을 내어 만든것으로서 표식(50)이 마련된측의 반구홈(21)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정하여 여기에 맞게 반구(30)를 가공한후 삽입하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반구형베어링은 반구부시의 일측 외주면에 원주형홈으로 형성된 표식을 마련하여 양측으로 마련된 반구홈의 혼동을 막을 수 있다. 이외에도 표식을 원주형 홈이 아닌 부시번호를 조각하거나 상호명등을 조각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반구형베어링은 양측으로 마련된 반구홈 외부면의 일측에 표식을 마련함으로써 각 반구홈에 맞게 가공된 반구를 삽입하여 조립하게 되는 과정에서 타측으로 잘못 조립되는 일이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반구형베어링의 조립제작시에 목적한 반구홈이 아닌 타측의 반구홈에 삽입되어 조립되어 작용면이 접촉회전을 하여 반구홈과 반구의 작용면이 마모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그 내부에 반구형상으로 함몰된 반구홈이 양측으로 마련된 반구부시, 상기 반구홈에 삽입되어 미세한 간극을 가지는 반구가 마련된 반구형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반구부시(20)의 외부면의 일측에는 표식(50)이 마련되어 상기 반구홈(21)을 구별할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구형베어링.
KR2019960042134U 1996-11-26 1996-11-26 반구형 베어링 KR2001453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134U KR200145359Y1 (ko) 1996-11-26 1996-11-26 반구형 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134U KR200145359Y1 (ko) 1996-11-26 1996-11-26 반구형 베어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080U KR19980029080U (ko) 1998-08-05
KR200145359Y1 true KR200145359Y1 (ko) 1999-06-15

Family

ID=19475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2134U KR200145359Y1 (ko) 1996-11-26 1996-11-26 반구형 베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35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080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5358Y1 (ko) 반구형 베어링
KR100213138B1 (ko) 반구형 베어링
KR200145359Y1 (ko) 반구형 베어링
JPH10174363A (ja) モータ
JP2000155284A (ja) 偏向走査装置
JPH0651224A (ja) 走査光学装置
KR200153705Y1 (ko) 반구형 베어링
KR200162040Y1 (ko) 레이저스캐닝장치의 반구형 베어링구조
KR100218954B1 (ko) 반구형베어링
JP2578765B2 (ja) 動圧型流体軸受式スキヤナ−ユニツト
KR100195445B1 (ko) 반구형베어링
KR19980038313A (ko) 반구형 베어링
KR200153702Y1 (ko) 반구형베어링
KR0122996Y1 (ko) 회전다면경 구동모터
KR19980044038A (ko) 반구형베어링
KR100218953B1 (ko) 레이저 스캐닝장치의 모터
KR100444576B1 (ko) 회전저항 감소구조를 갖는 회전다면경을 구비한 스캐너 모터
KR101039335B1 (ko) 모터
JPH0659208A (ja) 偏向走査装置
JPS6319621Y2 (ko)
JP3571919B2 (ja) ポリゴンミラースキャナ装置
JPS63221315A (ja) ポリゴンスキヤナモ−タ
JPH01307723A (ja) 回転多面鏡の保持構造
JPH06230304A (ja) 偏向走査装置
JPH09182357A (ja) 動圧軸受け構造のモータおよびモータ組込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