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4989Y1 - 가공기의 조작스위치 구조 - Google Patents

가공기의 조작스위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4989Y1
KR200144989Y1 KR2019950021804U KR19950021804U KR200144989Y1 KR 200144989 Y1 KR200144989 Y1 KR 200144989Y1 KR 2019950021804 U KR2019950021804 U KR 2019950021804U KR 19950021804 U KR19950021804 U KR 19950021804U KR 200144989 Y1 KR200144989 Y1 KR 2001449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movable plate
contact
machine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18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1098U (ko
Inventor
엄홍섭
Original Assignee
엄홍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089553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44989(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엄홍섭 filed Critical 엄홍섭
Priority to KR20199500218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4989Y1/ko
Publication of KR9700110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0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49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4989Y1/ko

Links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속반복적인 공작물의 가공작업시 작업자의 피로를 대폭 경감하기 위한 가공기의 조작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작동패널(11)의 상부 양측에 요입공간부(11a)를 형성하고, 요입공간부(11a) 상에 위치되도록 가동판(16)을 탄력적으로 힌지연결하며, 또한 상기의 요입공간부(11a)의 중간하부에 위치하도록 작동패널(11)에 가이드홀(11c)을 형성하면서 그 하부에 접촉 또는 비접촉 스위치(21)를 설치하여 접촉 또는 비접촉 스위치(21)의 가동부(23)가 가이드홀(11c)을 통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가동판(16)을 누른 상태에서 가동부(23)가 작동하여 접촉 또는 비접촉 스위치(21)가 동작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동판(16)의 조작에 의한 접촉 또는 비접촉 스위치(21)의 작동구성을 작동패널(11)의 상부 양측에 동일하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가공기의 조작스위치 구조
제1도는 가공기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조작스위치가 설치된 작동패널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요부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요부분해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요부 측단면도로서,
(a)도는 스위치의 작동전 상태.
(b)도는 스위치의 작동후 상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작동패널 11a : 요입공간부
11b,16a: 힌지보스 11c : 가이드홀
16 : 가동판 17 : 힌지핀
18,19 : 토션 스프링 20 : 지지판
21 : 스위치 23 : 가동부
본 고안은 프레스, 공작기계등과 같은 가공기의 조작그위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동패널의 양측에 손에 의해 작동되는 가동판을 설치하고, 가동판의 승강 및 회동에 따라 동작하도록 접촉 및 비접촉 스위치를 설치하여, 연속반복적인 가공작업시 작업자의 피로를 대폭 경감할 수 있도록 된 가공기의 조작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 공작기계등과 같은 가공기는 제1도 내지 제3도와 같이 작동패널(31)의 전방측에 행정전환 스위치(32)와, 이 행정전환스위치 온시 동작준비 상태임을 표시하는 전원 램프(33)가 설치되어 있고, 그 일측에 키를 꽂아 작동시킬 수 있는 키 스위치(34)가 설치되어 있으며, 가공기의 가동을 비상정지시키는 비상버튼(3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작동패널(31)의 상부 양측에는 푸쉬버튼 스위치(36)(37)가 설치되어 있으며, 푸쉬버튼 스위치(36)(37)는 제3도에서 같이, 기판(38)에 접속된 스위칭회로부(39)와, 스위칭회로부(39)의 접점을 ON/OFF시킨는 로드(40)와, 로드(40)의 상단에 형성된 버튼(41)과, 스위칭회로부(39) 및 버튼(41)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스프링(4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버튼(41)에는 절연캡(43)이 부착되어 작동패널(31)을 관통함과 동시에 버튼(41)이 작동패널(31)의 외부에 스프링(42)에 의해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키 스위치(34)를 ON시킨 상태에서 행정전환 스위치(32)를 ON시키면 전원 램프(33)가 점등되면서 그 가공기의 작동준비가 이루어진다.
이대 작업자가 공작물의 가공작업을 위하여 작동패널(31)의 상부 양측에 위치한 푸쉬버튼 스위치(36)(37)를 동시에 누르면 버튼(41)이 스프링(42)을 압축시키면서 스위칭회로부(39)를 ON시켜 가공장치를 하강(프레스의 경우) 또는 전진시키며, 공작물의 가공완료후 가공장치는 상승 또는 후퇴한다.
여기서 가공기의 공작물 가공시 가공장치는 푸쉬버튼 스위치(36)(37)를 동시에 동작시켜야만 작동되며, 하나의 푸쉬버튼 스위치만을 동작시킬 경우 가공장치는 작동되지 않는다.
이와같은 푸쉬버튼 스위치(36)(37)의 동시작동은 가공기의 가동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공작물의 가공완료후 푸쉬버튼 스위치(36)(37)로부터 손을 떼면 압축되었던 스프링(42)의 탄성에 의해 버튼(41)과 절연캡(43)이 일체로 상승하여 원위치되도록 동작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가공기의 조작스위치는, 손에 접촉되는 푸쉬버튼 스위치의 버튼 면적이 협소하고 또한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야 하므로 장시간 작업시 손이 쉽게 피로해지는 결점이 있으며, 또한 절연캡(43)과 로드(40) 및 스프링(42)의 겹합 특성상 버튼(41)에 작용하는 힘이 균일하지 못하여 버튼의 조작이 안정되지 못한 구조적인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가공기 조작 스위치의 제반적인 구조적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가공기를 이용한 공작물 가공작업시 스위치 조작을 편리하게하여 사용자 손의 피로를 대폭 경감시키고, 스위치의 조작 안정성을 증대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그 기능적 구성을 간소화 시키므로서 제품고장에 다른 부품의 수리 및 교환을 용이하도록 하며, 그에 따른 제품제작의 난해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제품의 생산 및 사용에 따른 제반적인 구조적 결함을 해결함에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작동패널의 상부 양측에 가동판을 각기 힌지연결하면서 토션 스프링을 탄력설치하고, 그 하방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가이드홀을 갖는 받침판을 형성하며, 상기 받침판의 저면부에 지지판에 고정된 스위치를 설치하되, 스위치의 가동부가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도록하여 가동판을 하방으로 누름에 따라 가동판의 저면이 스위치의 가동부를 온동작 되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한 스위치는 특정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여러산업분야에 이용되고 있는 통상의 접촉 또는 비접촉 스위치, 즉 마이크로스위치, 근접스위치, 또는 광결합센서 등의 다수종류의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적용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고, 제5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제6도는 본 고안의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작동패널(11)의 전방 일측에 행정전환 스위치(12)와 전원 램프(13)를 설치하고, 작동패널(11)의 전방 중간측에 작업선택(손,발) 키 스위치(14)를 설치하며, 상기 작동패널(11)의 전방 타측에 가공기의 가동을 비상정지시키는 비상버튼(15)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작동패널(11)의 상부에는 요입공간부(11a)를 형성하고, 용입공간부(11a) 상에 위치되도록 가동판(16)을 구비하여 상기 작동패널(11)의 일단과 가동판(16)의 단부에 각기 힌지보스(11b)(16a)를 형성하며, 상기 힌지보스(11b)(16a)를 통해 힌지핀(17)을 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 힌지핀(17)의 양측에 토션 스프링(18)(19)을 결합하고, 이들 토션 스프링(18)(19)의 양단을 각기 작동패널(11)의 저면과 가동판(16)의 저면에 탄력적으로 밀착시켜 가동판(16)이 비작동상태에서 항상 상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의 요입공간부(11a)의 중간하부에 위치하도록 작동패널(11)에 가이드홀(11c)을 형성하고, 가이드홀(11c)에 근접하도록 작동패널(11)의 저면에 지지판(20)을 직각으로 형성하며 상기 지지판(20)의 일측면에 스위치(21)를 스크류(22)로 고정하되, 스위치(21)의 가동부(23)가 가이드홀(11c)을 통해 그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가동판(16)을 누른 상태에서 가동부(23)가 작동하여 스위치(21)가 동작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동판(16)의 조작에 의한 스위치(21)의 작동구성은 작동패널(11)의 상부 양측에 동일하게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작업선택 키 스위치(14)를 ON시킨 상태에서 기존과 같이 행정전환 스위치(12)를 ON시키면 전원램프(13)가 점등되면서 가공기가 가동되어 그 가공장치의 작동준비가 완료된다.
이때 직업자가 공작물의 가공작업을 위하여, 작동패널(11)의 상부 양측에 위치한 가동판(16)을 양측 손바닥으로 가볍게 누르면, 이때 가동판(16)은 힌지핀(17)을 중심으로 하향회동하고, 가동판(16)의 저면이 가동부(23)를 눌러 스위치(21)를 ON시킨다.
이에 따라 가공장치는 하강(프레스의 경우) 또는 전진하며, 공작물의 가공완료후 가공장치는 상승 또는 후퇴한다.
이때, 가공기의 공작물 가공시 가공장치는 일반적인 통상이 가공기 조작스위치와 동일한 회로적 원리로서 양측 가동판(16)을 동시에 동작시켜야만 작동되는 것으로, 하나의 가동판(16)만을 동작시킬 경우 가공장치는 작동되지 않는다.
이와같은 양측 접촉 또는 비접촉 스위치(21)의 동시조작은 잡업시 부주의로 인하여 한쪽 가동판(16)이 움직이더라도 가공장치가 작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공기의 가동시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공작물의 가공완료후 가동판(16)으로부터 손을 떼면 압축되었던 토션 스프링(18)(19)의 탄성에 의해 가동판(16)이 상승회동하고 가동부(23)가 상승하여 원위치되면서 스위치(21)가 OFF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작동패널에 보다 넓은 판상의 가동판을 토션스프링이 내설된 상태로, 요입공간부에 힌지결합되도록 하여, 힘의 방향에 구애받음없이 가동판을 손쉽게 동작되도록 하며, 사용상의 안정성을 향상되도록 한 것일뿐만 아니라, 지지판에 고정한 상태로서 스위치의 가동부를 가이드홀로 돌출구성하여 가벼운 터치 동작만으로도 가동판과 가동부가 상호 직접적인 접촉관계를 갖도록 하고, 이에 사용자 손의 피로를 경감시킴과 동시에 사용중 스위치의 접촉관계를 식별가능하게 하여 스위치의 작동, 즉 접접 부위의 고장유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사용자에게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작동패널의 양측에 스위치가 각기 설치되고 공작물 가공시 양손으로 스위치를 조작하도록 하여 가공기를 작동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작동패널(11)의 상부 양측에 가이드홀(11c)을 갖는 요입공간부(11a)를 형성시키고, 이 요입공간부(11a)의 상부로 토션스프링(18)(19)이 설치된 탄력적 구조로서 힌지보스(11b)(16a)에 의해 가동판(16)을 힌지결합시키며, 요입공간부(11a)의 저면부로는 지지판(20)에 고정된 구조로 스위치(21)를 장착하여 스위치(21)의 가동부(23)가 가이드홀(11a)로 돌출 형성되도록하여 가동판(16) 누름에 따른 스위치(21)의 온동작으로 가공기를 작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기의 조작스위치 구조.
KR2019950021804U 1995-08-23 1995-08-23 가공기의 조작스위치 구조 KR2001449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1804U KR200144989Y1 (ko) 1995-08-23 1995-08-23 가공기의 조작스위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1804U KR200144989Y1 (ko) 1995-08-23 1995-08-23 가공기의 조작스위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098U KR970011098U (ko) 1997-03-29
KR200144989Y1 true KR200144989Y1 (ko) 1999-06-15

Family

ID=60895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1804U KR200144989Y1 (ko) 1995-08-23 1995-08-23 가공기의 조작스위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49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988Y1 (ko) * 2007-05-30 2009-09-14 엄홍섭 가공기의 작동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988Y1 (ko) * 2007-05-30 2009-09-14 엄홍섭 가공기의 작동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098U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0147A (en) Keyswitch assembly with a key support limiting transverse, longitudinal and rotational movement of the key
JP2590622Y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KR20070033262A (ko) 작동영역이 넓은 절환장치
KR200144989Y1 (ko) 가공기의 조작스위치 구조
JPH02244520A (ja) 押釦スイッチ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US6570113B2 (en) Key switch
KR920006487B1 (ko) 로보트용 교시 조작반
DE59008109D1 (de) Kontaktmembrane für Tastschalter.
US2718953A (en) Safety guard for machines
JPS6472432A (en) Machine operating switch
US4327260A (en) Locking device for two push buttons
TWI725651B (zh) 按鍵
KR200150488Y1 (ko) 세탁기의 조작보턴 구조
KR20050026230A (ko) 탄성리브를 이용한 시소버튼장치
CN212587394U (zh) 一种按键机构及雾化装置
JPH11194886A (ja) 十字型キースイッチ
KR19980054211U (ko) 엘리베이터 스위치
JPH0320985Y2 (ko)
US5124515A (en) Switching mechanism
KR200169525Y1 (ko) 풋스위치
JP2592161Y2 (ja) タクトスイッチ用ノブ
KR820000676B1 (ko) 리미트 스위치
KR0133882Y1 (ko) 스위치 장치
KR200159451Y1 (ko) 모니터의 전원스위치 작동 구조
JPH034138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8101003737;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INVALIDATION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0816

Effective date: 2001092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010000133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920

Effective date: 20031114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2300002129;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1102

Effective date: 200208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1200006155;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920

Effective date: 20031114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920

Effective date: 20031114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2300002129;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920

Effective date: 200311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