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4288Y1 - 지지선반을 갖는 암거 - Google Patents

지지선반을 갖는 암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4288Y1
KR200144288Y1 KR2019960028170U KR19960028170U KR200144288Y1 KR 200144288 Y1 KR200144288 Y1 KR 200144288Y1 KR 2019960028170 U KR2019960028170 U KR 2019960028170U KR 19960028170 U KR19960028170 U KR 19960028170U KR 200144288 Y1 KR200144288 Y1 KR 2001442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culvert
plate portion
side wal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8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4974U (ko
Inventor
박병무
Original Assignee
박병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무 filed Critical 박병무
Priority to KR2019960028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4288Y1/ko
Publication of KR199800149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9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42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4288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ewag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의 양측에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된 측벽부와, 상기 측변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판부를 갖는 암거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이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측벽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부재와; 상기 선반부재의 타단을 착탈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선반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통신선로 등을 암거내에 용이하고 공간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탈이 용이한 지지선반을 갖는 암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지지선반을 갖는 암거
본 고안은 암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선, 전화선등과 같은 지중선로의 지지를 위한 지지선반을 갖는 암거에 관한 것이다.
배수로나 보행로 혹은 지하공동구로서 이용되고 있는 지중매설식 혹은 지상노출식 암거는, 미리 만들어진 개별 유니트들을 현장에서 연결하여 설치하므로, 그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며, 대량생산이 가능하므로 품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근래 널리 보급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암거에 있어서는, 상수도나 도시가스배관 등을 위한 지하공동구로서 암거를 사용할 경우, 비교적 부피가 적은 통신선로나 전기선, 보일러배관 등을 여유공간내에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부피가 큰 배관들 사이에 이들 통신선로 등을 안전하게 그리고 공간효율적으로 배치하기는 용이하지 아니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암거내에 통신선로 등을 용이하고 안전하면서 공간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지지선반을 갖는 암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암거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암거의 요부확대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암거의 요부확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암거유니트 2 : 연결홈
3 : 연결볼트 4 : 체결너트
5,6 : 측벽부 7 : 저부판
8 : 상판부 30 : 지지선반
31,46 : 심음너트 32,48 : 확장부
33,34 : 너트 35 : 체결볼트부
36 : 수나사부 41 : 선반지지부재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의 양측에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된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판부를 갖는 암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측벽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부재와; 상기 선반부재의 타단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선반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측벽부에는 체결볼트를 위한 심음너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선반에는 상기 심음너트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선반지지부재는 상기 상판부에 현수지지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암거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암거의 부분확대 사시도이며, 제3도는 제1도의 암거의 요부확대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거는, 저판부(7)와, 양 측벽부(5,6) 및 상판부(8)가 상호 일체로 형성된 박스형상을 가지고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내부에 공동구를 형성하는 다수의 암거유니트(1)을 가진다.
각 암거유니트(1)의 일측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물림턱(9)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응한 타측 단부에는 물림턱을 수용할 수 있도록 물림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각 암거유니트(1)의 일 측벽부(5)내에는 측벽부(5)의 내면으로부터 거의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선반부재(30)가 설치되어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선반부재영역의 부분확대사시도이고, 제3도는 제1도의 선반부재영역의 확대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5)의 벽내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심음너트(31)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 심음너트(31)의 단부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심음너트(31)의 이탈을 방지하는 확장부(32)가 형성되어 있다. 각 심음너트(31)에는 선반부재(30)의 일단에 형성된 체결볼트부(35)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선반부재(30)의 타단에는 소정 길이구간에 걸쳐 수나사부(3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판부(8)에는 측벽부(5)로부터 소정 이격되어 선반부재(30)를 지지하도록 선반지지부재(41)가 현수지지되어 있다. 상판부(8)에는 선반지지부재(41)의 고정을 위한 심음너트(46)이 매입되어 있으며, 이 심음너트(46)의 단부영역에도 이탈방지를 위한 확장부(48)가 형성되어 있다.
선반지지부재(41)에는 선반부재(30)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의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에는 상판부(8)에 접촉결합될 수 있도록 절곡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42)에는 판면을 관통하여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공에는 선반지지부재(41)를 상판부(8)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볼트(45)가 통과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각 선반부재(30)를 측벽부(5)에 매입된 심음너트(31)에 나사결합하고, 각 선반부재(30)의 자유단 영역에 형성된 수나사부(36)에 조절너트(33)을 각각 결합한다. 다음, 선반지지부재(41)의 각 자유단에 선반지지부재(41)를 결합하고 선반지지부재(41)의 절곡부(42)가 상판부(8)에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볼트(45)를 상판부(8)에 매입된 심음너트(46)에 체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각 선반부재(30)의 수나사부(36)에 고정너트(34)를 체결하여 선반지지부재(41)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위치조절너트(33)과 고정너트(34)를 풀어서 선반부재(30)의 말단영역으로 위치시키고, 선반지지부재(41)를 고정볼트(45)의 축선을 축으로 180도 회전시키면, 선반지지부재(41)가 측벽부(5)로부터 이격되어 보다 넓은 지지공간이 확보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저판부, 측벽부 및 상판부가 일체로 형성된 암거에 지지선반을 설치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저판부, 측벽부 및 상판부가 2 내지 4로 각각 구성된 소위 조립식 암거에도 지지선반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선반부재를 지지하도록 선반지지부재를 상판부에 현수지지되도록 구성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선반지지부재를 저판부에 기립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암거내에 통신선로 등을 용이하고 안전하면서 공간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탈이 용이한 지지선반을 갖는 암거가 제공된다.

Claims (3)

  1.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의 양측에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된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상판부를 갖는 암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측벽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부재와; 상기 선반부재의 타단을 착탈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선반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에는 체결볼트를 위한 심음너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선반부재에는 상기 심음너트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지지부재는 상기 상판부에 현수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거.
KR2019960028170U 1996-09-04 1996-09-04 지지선반을 갖는 암거 KR2001442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170U KR200144288Y1 (ko) 1996-09-04 1996-09-04 지지선반을 갖는 암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170U KR200144288Y1 (ko) 1996-09-04 1996-09-04 지지선반을 갖는 암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974U KR19980014974U (ko) 1998-06-25
KR200144288Y1 true KR200144288Y1 (ko) 1999-06-15

Family

ID=53975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8170U KR200144288Y1 (ko) 1996-09-04 1996-09-04 지지선반을 갖는 암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428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974U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5868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스페이서
US6508441B1 (en) Sway brace
KR200144288Y1 (ko) 지지선반을 갖는 암거
US5147979A (en) Threadless floor electric wire junction box with water-proof protection
KR200209862Y1 (ko) 건축용 배관파이프의 지지장치
KR100733390B1 (ko) 지중 매설용 전주 지지대
KR200156707Y1 (ko) 배관용 파이프의 고정구
KR200389270Y1 (ko) 가스관용 방범장치
KR890006318Y1 (ko) 해저 케이블 보호관
KR20140000686U (ko) 핸드레일 조명기구용 결합장치
JP2021071159A (ja) 配線・配管用フロアバンド
JP2021071163A (ja) 配線・配管用フロアバンド
KR0116542Y1 (ko) 등기구 걸이용 박스
KR200253754Y1 (ko) 앵커볼트 덮개
KR100919283B1 (ko) 맨홀 체결장치
JP2024082733A (ja) フロアバンド
JP2600849Y2 (ja) 管路口防水装置の取付構造
KR101857722B1 (ko) 암거 보강장치
JP2021071160A (ja) 配線・配管用フロアバンド
KR200247425Y1 (ko) 교량용 비계 고정장치
KR870002356Y1 (ko) 온수 보일러
KR200361378Y1 (ko) 스프링클러 신축배관의 고정장치
JPH01138924A (ja) ケーブルダクト
KR200175541Y1 (ko) 가스관 덮개 설치 구조
KR200300961Y1 (ko) 케이블 트레이의 렁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3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