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3455Y1 - 고온, 고압용 개량 밸브 - Google Patents

고온, 고압용 개량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3455Y1
KR200143455Y1 KR2019940013882U KR19940013882U KR200143455Y1 KR 200143455 Y1 KR200143455 Y1 KR 200143455Y1 KR 2019940013882 U KR2019940013882 U KR 2019940013882U KR 19940013882 U KR19940013882 U KR 19940013882U KR 200143455 Y1 KR200143455 Y1 KR 2001434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valve
inner edge
present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38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2317U (ko
Inventor
박규열
Original Assignee
박규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규열 filed Critical 박규열
Priority to KR20199400138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455Y1/ko
Publication of KR9600023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3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4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4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5/00Details relating to contact between valve members and seats
    • F16K25/005Particular materials for seats or closur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7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온, 고압의 유체나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밸브는 몸체와 개폐구간에 고무재의 팻킹이 삽설되어 있으므로 고온, 고압의 유체나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데는 사용이 부적합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몸체와 개폐구간에 맞닿는 면을 각각 구면으로 형성하면서 구면에 피막층을 형성하여 고온, 고압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온, 고압용 개량밸브
본 고안은 수송관에서 고온, 고압의 물이나 스팀 및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내로 흐르는 고온, 고압의 유체나 공기의 차단에 효율을 높이고 밸브를 장구히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고자 한 개량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내에서 유체나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로서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a)와 개폐구(2a)간에 고무재의 팻킹(3a)을 끼워서 유체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밸브에 고온의 유체가 흐를시에는 팻킹이 녹아서 밸브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관에는 사용할 수 없었고, 또한 고압의 공기가 흐를시에는 팻킹에서 받는 압력을 견디지 못하기 때문에 10kg/m2이하의 저압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고온, 고압의 유체나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관에서는 유체나 공기의 조절에 효율이 떨어지고 밸브의 손실이 많아 고온, 고압의 유체나 공기의 흐름조절에는 적합하지 못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저온, 저압뿐만 아니라 고온, 고압의 유체나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의 효율을 높이고 밸브를 장구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어 고안한 개량밸브를 제공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임.
제2도는 본 고안의 확대단면도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임.
제4도는 종래 고안의 종단면도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개폐구
3 : 지지축 4 : 결착링
5 : 손잡이 6 : 관
7 : 볼트 8 : 플랜지
9 : 팻킹 10 : 조절영역
11 : 결합부 12 : 축공
12a : 축공
제1도는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개량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개량밸브의 확대단면도인바, 예시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 내지 제2도에 예시된 바를 통해 본 고안은 몸체(1)와, 개폐구(2)와, 지지축(3)으로 구성되어짐을 알 수 있다.
상기 몸체(1)는 반구형의 조절영역(10)을 형성하되, 조절영역(10)의 선측은 외측으로 확개시켜 결합부(11)가 마련되도록 하고, 상기 결합부(11)의 내연에 암나사를 치설하고, 상기 몸체(1)를 상·하로 가로지르는 축공(12)을 천공한다.
상기 조절영역(10)에 축공(12a)을 구비하는 반구형의 개폐구(2)를 끼움시킨 상태에서 몸체(1)와 개폐구(2)에 천공된 각각의 축공(12,12a)를 관통하는 지지축(3)을 축삽한다.
상기와 같이 조절영역(10)에 개폐구(2)를 끼움시킨 상태에서 조절영역(10)의 선측에 형성된 결합부(11)에 수나사를 구비하는 결착링(4)을 나사결합시킨다.
한편, 조절영역(10)의 내연과, 개폐구(2)의 외연과, 결착링(4)의 내연에는 세라믹이나 티타늄 등의 피막층을 형성시킨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몸체(1)와 개폐구에 설치된 지지축(3)의 상단에 손잡이(5)를 결착시키고, 관(6)의 단부에 융착된 플랜지(8)사이에 팻킹(9)을 위치시키고, 상기 팻킹(9)사이에 본 고안인 밸브를 위치하여 플랜지(8)를 볼트(7)로서 서로 연결시켜 사용하게 된다.
본 고안은 지지축(3)에 결합된 손잡이(5)를 회전시킴에 따라 개폐구(2)가 회전하며 개·폐되어 관내로 흐르는 유체나 공기의 흐름이 조절되는바, 결착링(4)의 내연과 조절영역(10)의 내연 및 개폐구(2)의 외연이 반구형으로 형성되었으므로 서로 맞닿는 면적이 많아 별도의 팻킹이 없어도 유체나 공기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결착링(4)의 내연과 조절영역(11)의 내연과 개폐구(2)의 외연 등에 세라믹재나 티타늄등으로 피막층을 형성시키므로서 개폐구(2)의 회전시 마찰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개량밸브는 몸체(1)와 개폐구(2)간에 팻킹이 없으므로 저온, 저압뿐만 아니라 고온·고압의 유체나 공기의 흐름을 손실없이 차단할 수 있고 밸브를 장구히 사용할 수 있는 아주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반구형의 조절영역(10)과, 상기 조절영역(10)의 선측에 형성되어 외측으로 확개되며 그 내연에 암나사가 치설되도록 한 결합부(11)와, 상기 몸체(1)를 상·하로 가로지르는 축공(12)을 구비하는 몸체(1); 축공(12a)을 구비하며 조절영역(10)에 끼움되도록 한 반구형의 개폐구(2); 수나사를 구비하며 조절영역(10)의 선측의 결합부(11)에 나착되는 결착링(4); 상기 몸체(1)와 개폐구(2)에 천공된 각각의 축공(12,12a)을 관통하도록 한 지지축(3)으로 구성하고; 상기 조절영역(10)의 내연과, 개폐구(2)의 외연과, 결착링(4)의 내연에는 티타늄 또는 세라믹의 피막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밸브.
KR2019940013882U 1994-06-13 1994-06-13 고온, 고압용 개량 밸브 KR2001434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882U KR200143455Y1 (ko) 1994-06-13 1994-06-13 고온, 고압용 개량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882U KR200143455Y1 (ko) 1994-06-13 1994-06-13 고온, 고압용 개량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317U KR960002317U (ko) 1996-01-19
KR200143455Y1 true KR200143455Y1 (ko) 1999-06-15

Family

ID=19385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3882U KR200143455Y1 (ko) 1994-06-13 1994-06-13 고온, 고압용 개량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45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6305B2 (ja) * 1998-02-10 2000-12-11 日本鋼管株式会社 高温高圧流体の流量制御弁及びその弁軸の固着防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317U (ko) 199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10446B2 (ja) 蛇口噴出口
US4609177A (en) Valve
DE68905167T3 (de) Molchfähige Flüssigkeitsverteilungsleitung mit molchfähigem 3-Wege-Ventil.
KR830002827B1 (ko) 혼합밸브
CA2449277A1 (en) Valve
KR200143455Y1 (ko) 고온, 고압용 개량 밸브
US5695169A (en) Stop valve with sturdy handle connection
US2836388A (en) Valve
US4431021A (en) Needle valve
KR200482592Y1 (ko) 수도꼭지의 pb 파이프 연결 소켓장치
JPH043164Y2 (ko)
CA1053214A (en) Seal member for faucet valve
US2497354A (en) Valve
US1183544A (en) Three-way stop-valve.
US4901755A (en) Valve housing for cartridge type faucets
US2496176A (en) Valve
RU221202U1 (ru) Пластмассовый шаровой кран
RU183745U1 (ru) Кран
KR900006501Y1 (ko) 방향제어 밸브의 장치
CN212718175U (zh) 一种可供应纯净水和冷热水的水龙头
KR200264357Y1 (ko) 분기관의 개폐구조를 갖는 이음관
KR960004541Y1 (ko) 수도관 동파방지용 밸브의 스푸울 헤드
KR200264361Y1 (ko) 분기관의 개폐구조를 갖는 이음관
RU2648138C1 (ru) Шаровой кран
KR200187889Y1 (ko) 수도꼭지의 회전식 호스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