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3264Y1 - 브이시알의 캡션테이프 유무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브이시알의 캡션테이프 유무 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3264Y1
KR200143264Y1 KR2019960004735U KR19960004735U KR200143264Y1 KR 200143264 Y1 KR200143264 Y1 KR 200143264Y1 KR 2019960004735 U KR2019960004735 U KR 2019960004735U KR 19960004735 U KR19960004735 U KR 19960004735U KR 200143264 Y1 KR200143264 Y1 KR 2001432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tion
unit
output
s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4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5943U (ko
Inventor
원종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60004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264Y1/ko
Publication of KR9700559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59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2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2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0Indicating arrangements; War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2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using processor, e.g. micro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캡션 기능을 갖는 브이시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이러한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서 일반 테이프와 캡션 테이프를 구별하는 기능이 간단히 구비되어져 있지 않아 사용자가 일반 테이프와 캡션 테이프를 이용하는데 따른 이용환경의 제약이 많았던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발생된 재생 비디오 신호의 입력측에 연결되어져서 비디오 신호 중에서 동기 신호를 분리하는 동기분리부(11)와, 이 동기분리부(11)의 출력에서 이어져서 캡션 데이터 포맷에서 클럭런인(CRI) 시간 동안 펄스를 발생시켜 주는 펄스 발생부(12)와, 이 펄스 발생부(12)의 출력에서 이어져서 비디오 입력(VI)과 펄스발생부(12)의 출력을 저역필터부(14) 측으로 연결하여 주는 스위칭부(13)와, 이 스위칭부(13)의 출력에서 이어져서 입력되는 신호를 저역 필터링하는 저역필터부(14)와, 이 저역필터부(14)의 출력에서 이어져서 입력 신호를 구형파로 형성하는 리미터부(15)와, 리미터부(15)에서 제공된 구형파 개수를 카운팅하여 캡션 데이터인가를 체크하는 카운터부(16)와, 이 카운터부(16)의 출력에서 이어져서 캡션유무를 표시하는 캡션 표시부(17)와, 카운터부(16)에서 제공된 논리 입력에 따라 캡션부(21)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21) 등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뤄져 있는 캡션테이프 유무 표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브이시알의 캡션테이프 유무 표시시스템
제1도는 통상의 브이시알 시스템에서 캡션처리부를 발췌한 참고도
제2도는 제1도와 관련된 캡션 데이터 포맷 형태를 나타낸 참고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시스템 회로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 : 동기분리부 12 : 펄스발생부
13 : 스위칭부 14 : 저역필터부
15 : 리미터부 16 : 카운터부
17 : 캡션표시부 21 : 캡션부
22 : 마이크로 컴퓨터
본 고안은 캡션 데이터가 수록된 캡션 테이프를 재생할 때 브이시알 시스템이 캡션 데이프인지를 표시하는 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특히 일반 테이프와 캡션 테이프를 브이시알 시스템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러한 테이프의 이용을 편리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가능에 활용되고 있는 캡션처리 브이시알 시스템은 그 요부 구성을 제1도에 나타내었다.
여기서는 휘도 및 칼라 신호의 비디오 입력(VI) 신호로부더 온 스크린의 자막 신호를 마이크로 컴퓨터(22)의 제어 하에 캡션부(21)에서 합산하여 비디오 출력(V0)으로 제공하는 구성으로 이뤄져 있고, 마이크로 컴퓨터(22)는 캡션부 (21)의 구동을 캡션단자(CP)가 논리 1일 때 캡션부(21)를 구동하는 것이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서 캡션부(21)는 휘도 및 칼라 신호계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버퍼링하는 버퍼부와,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에서 수평 동기 신호 및 수직 동기 신호를 보정하여 출력하는 동기 보정부와, 버퍼부 및 비디오 신호 수평/수직 동기신호의 동기 보정부들의 출력을 필터링하는 저역필더부와, 이 저역필터부의 출력으로부터 발생되는 비디오 신호를 버퍼링하는 비디오 버퍼와, 이 비디오 버퍼부의 출력 신호로부터 캡션 데이터가 실려있는 (21번째)수평 동기신호 구간을 버퍼링하는 라인 선택부와, 이로부터 출력된 신호로부터 선택된 (21번째)수평 동기신호에서 캡션 데이터를 검출하여 디코딩함과 동시에 수직동기 및 수평동기를 분리하는 데이터 슬라이서 및 동기분리부와, 이로부터 발생된 캡션 데이터에 따라 문자제어신호를 출릭하는 문자발생부와, 이 문자 발생부로부터 출력된 문자 제어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문자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모리부와, 이 메모리부로부터 출력되는 문자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되는 문자 크기, 표시위치 등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와, 버퍼부에서 출력되는 비데오 신호와 문자 데이터 신호를 합성하는 신호 합성부와 이 신호 합성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버퍼링하는 합성신호 버퍼부와, 이 합성신호 버퍼부에서 출력되는 온 스크린 표시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칭부와, 이 스위칭부의 출력에서 나오는 비디오 신호를 변조하여 모니터 측에 제공하는 신호 변조부 등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뤄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캡션부(21)에서 휘도 및 칼라신호가 버퍼부와 동기 보정부를 통하여 신호 합성부 측으로 제공되며, 한편으로는 버퍼부와 동기 보정부-저역필터부-비디오 버퍼부-데이터 슬라이서 및 동가분리부의 계통으로 처리되는 것이다.
이때, 라인 선택부는 제 2도와 같이 정현파의 클럭런인(CRI;Clock Run In)신호와 스타트 온(SO)신호와 함께 자막 데이터(CT1,CT2)가 실려 있는 한 필드의 21번째 수평 귀선기간을 선택하게 되고, 선택된 비디오 신호의 21번째 들어 있는 자막 데이터(CT1,CT2)를 검출한 후 이를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여 후단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외부에서 제공된 캡션 비디오 신호를 재생 처리된 비디오 신호와 합성하여 외부의 모니터로 출력하는 헝태만 보일뿐 이러한 캡션 데이터가 수록된 비디오 녹화 테이프인가 또는 일반 테이프인가를 알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져 있기 않아 이러한 시스템의 사용자는 테이프 이용의 불편함을 피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브이시알 시스템에서 비디오 테이프가 일반 데이프인가 또는 캡션 테이프인가를 시스템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에게 테이프에 관한 정보를 보다 다양하며, 적극적으로 알려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가 목적을 구현할 수 있도록 비디오 신호의 입력측에 연결되어 동기를 분리하는 동기분리부와, 이 동기분리부의 출력에서 이어져서 캡션 데이터 포맷에서 클럭런인 시간동안 펄스를 발생시켜 주는 펄스 발생부와, 이 펄스 발생부의 출력에서 이어져서 비디오 입력과 펄스 발생부의 출력을 저역필터 측으로 연결하여 주는 스위칭부와, 이 스위칭부의 출력에서 이어져서 입력되는 신호를 저역 필터링하는 저역필터부와, 이 저역필터부의 출력에서 이어져서 입력 신호를 구형파로 형성하는 리미터부와, 리미터부에서 제공된 구형파 개수를 카운팅하여 캡션 데이터인가를 체크하는 카운터부와, 이 카운터부의 출력에서 이어져서 캡션유무를 표시하는 캡션 표시부와, 카운터부에서 제공된 논리 입력에 따라 캡션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을 포함하는 구성의 캡션테이프 유무 표시시스템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좀 더 상세히 설명하여 봄으로써 본 고안의 보다 구체적인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캡션테이프 유무 표시시스템을 나타내었다.
여기서는 시스템으로부터 발생된 재생 비디오 신호의 입력측에 연결되어져서 비디오 신호 중에서 동기 신호를 분리하는 동기분리부(11)와, 이 동기분리부(11)의 출력을 받아 캡션 데이터 포맷에서 클럭 런 인(CRI) 시간동안 펄스를 발생시켜주는 펄스 발생부(12)와, 이 펄스 발생부(12)의 출력에 의해 비디오 입력(VI)을 저역필터부(14) 측으로 연결하여 주는 스위칭부(13)와, 이 스위칭부(13)를 거친 비디오 신호를 저역 필터링하는 저역필더부(14)와, 이 저역필터부(14)의 출력신호를 구형파로 형성하는 리미터부(15)와, 이 리미터부(15)로부터 제공되는 구형파 개수를 카운팅하여 캡션 데이터인가를 체크하는 카운터부(16)와, 이 카운터부(16)의 출력을 받아 캡션유무를 표시하는 캡션 표시부(17)와, 상기 카운터부(16)로부터 제공되는 논리 입력에 따라 비디오 출력용 캡션부(21)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22)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뤄져 있다.
또, 상기 캡션 표시부(17)는 이것을 통상의 엘이디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한편으로는 부저 등에 의한 경보음 발생의 경보 발생부로 구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제3도와 같이 브이시알 시스템의 재생계로부터 발생되는 비디오 입력(Ⅵ)이 캡션부(21)로 제공되는 한편 동기분리부(11)에서 제 2도와 같은 캡션 데이터 포맷의 신호를 분리하게 되는 것이고, 이것은 펄스 발생부(12)를 통해 클럭런인(CRI) 시간 동안 논리 1의 출력을 스위칭부(13)에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 스위칭부(13)는 상기 비디오 입력(Ⅵ)에 캡션 데이터가 없을 때는 펄스발생부(12)의 출력 논리는 0로 되어 스위칭 오프 상태이고, 캡션 데이터가 있을 때는 그 클럭런인(CRI)신호가 사인파로 검출되어 저역필터부(14)로 제공되는 것이다.
이 저역필터부(14)에서는 사인파 신호 중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 후 리미터부(15)를 통하여 구형파로 만들고, 이렇게 구형파로 만들어진 신호는 카운터(16)로 카운팅 펄스로 제공되어 카운터부(16)에서는 카운팅 동작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카운터부(16)는 펄스 개수가 7개이면 캡션 데이터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마이크로 컴퓨터(22)에 논리 액티브 출력을 제공하게 되면 마이크로 컴퓨터(22)는 캡션부(21)에 논리 1의 액티브 출력을 주어 캡션부(21)의 정상 동작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고, 한편으로는 카운터부(16)의 논리 액티브 출력이 캡션 표시부(17)로 가해져서 지금 테이프는 캡션 테이프임을 사용자에게 알리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비디오 입력(Ⅵ)이 캡션 데이터가 없는 재생 신호일 경우에는 펄스 발생부(12)의 출력 논리가 0로 유지되므로 스위칭부(13)도 오프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스위칭부(13)가 오프 상태이면 카운터부(16)의 출력 논리는 비 액티브 상태를 유지하여 마이크로 컴퓨터(22)의 캡션부(21) 제어 논리도 비 액티브 상태에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캡션 표시부(17)는 카운티부(16)의 출력 논리가 비액티브 상태이므로 캡션 상대(엘이디 점등상태)가 아닌 엘이디 소등 상태로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통상의 브이시알 시스템을 이용한 테이프의 재생 동작시에 일반 테이프와 캡션 테이프를 캡션 표시부 등으로 자동으로 표시하게 됨으로서 이러한 시스템 이용시 테이프 선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그 테이프 선별에 따른 이용의 편리성을 양호히 확보할 수 있는 유익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캡션부와 시스템 제어용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는 브이시알 시스템에 있어시, 시스템으로부터 발생된 재생 비디오 신호의 입력측에 연결되어져서 비디오 신호 중에서 동기 신호를 분리하는 동기분리부(11)와, 이 동기분리부 (11)의 출력을 받아 캡션 데이터 포맷에서 클럭 런 인(CRI) 시간동안 펄스를 발생시켜주는 펄스 발생부(12)와, 이 펄스 발생부(12)의 출력에 의해 비디오 입력(Ⅵ)을 저역필터부(14) 측으로 연결하여 주는 스위칭부(13)와, 이 스위칭부(13)를 거친 비디오 신호를 저역 필터링하는 저역필터부(14)와, 이 저역필터부(14)의 출력신호를 구형파로 형성하는 리미터부(15)와, 이 리미터부(15)로부터 제공되는 구형파 개수를 카운팅하여 캡션 데이터인가를 체크하는 카운터부(16)와, 이 카운터부(16)의 출력을 받아 캡션유무를 표시하는 캡션 표시부(17)와, 상기 카운터부(16)로부터 제공되는 논리 입력에 따라 비디오 출력용 캡션부(21)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시알의 캡션테이프 유무 표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가 캡션 표시부(17)는 캡션 제어 정보에 따라 점등 및 소등되는 엘이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시알의 캡션테이프유무 표시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션 표시부(17)는 비프음을 발생하는 부저에 의한 경보 발생 회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시알의 캡션데이프유무 표시시스템.
KR2019960004735U 1996-03-13 1996-03-13 브이시알의 캡션테이프 유무 표시 시스템 KR2001432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735U KR200143264Y1 (ko) 1996-03-13 1996-03-13 브이시알의 캡션테이프 유무 표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735U KR200143264Y1 (ko) 1996-03-13 1996-03-13 브이시알의 캡션테이프 유무 표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943U KR970055943U (ko) 1997-10-13
KR200143264Y1 true KR200143264Y1 (ko) 1999-06-01

Family

ID=19451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4735U KR200143264Y1 (ko) 1996-03-13 1996-03-13 브이시알의 캡션테이프 유무 표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26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943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50544B1 (en) Digital recording and replay apparatus
KR0139820B1 (ko) 영상자막기의 녹화제어 시스템
KR940002277B1 (ko) 브이씨알의 자막문자 표시장치 및 방법
US5392069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ich can process a plurality of kinds of image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JPH08256291A (ja) 映像重畳装置
KR200143264Y1 (ko) 브이시알의 캡션테이프 유무 표시 시스템
JPH05336502A (ja) 映像付加情報挿入装置
JP2561783B2 (ja) 文字発生回路の誤動作防止回路
KR100284970B1 (ko) 프레임 영상으로 녹화하는 방식이 첨가된 화면분할기
JP2667599B2 (ja) 多画面表示機能付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7264512A (ja) 緊急情報受信装置
JP3236525B2 (ja) ダビング装置
JP4145064B2 (ja) 記録機器
JP3233230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2760546B2 (ja) 画像表示装置
KR970001669B1 (ko) 영상기록재생기의 번역 자막 제거장치
EP1261216B1 (en) Receiver device
KR20000016932A (ko) 스크린상에수퍼임포즈되어디스플레이되는두개이상의이미지를나타내는신호를제공하는장치
KR100202687B1 (ko) 다중화면 분할장치
JPH04373284A (ja) 文字放送デコーダ
KR920008258Y1 (ko) 외부신호 무입력시 카메라신호 자동절환회로
KR19980031539A (ko) 캡션 브이시알의 특수 재생시 캡션 자막 출력 시스템
KR19980031517A (ko) 브이시알 시스템 등의 표시바 이동처리 방법
KR19990001702U (ko) 복사방지기능을 갖는 브이시알 시스템
KR20000033416A (ko) 캡션기능을 갖는 브이시알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