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3240Y1 - 적층형 칩 인덕터 - Google Patents

적층형 칩 인덕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3240Y1
KR200143240Y1 KR2019950038861U KR19950038861U KR200143240Y1 KR 200143240 Y1 KR200143240 Y1 KR 200143240Y1 KR 2019950038861 U KR2019950038861 U KR 2019950038861U KR 19950038861 U KR19950038861 U KR 19950038861U KR 200143240 Y1 KR200143240 Y1 KR 2001432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p inductor
coil
dielectric
present
magnetic flu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8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8639U (ko
Inventor
정승교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2019950038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240Y1/ko
Publication of KR9700486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86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2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2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75Magnetic shield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서 발생되는 자계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 적층형 칩 인덕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낮은 유전률을 가진 유전체925)에 도전성이 좋은 내부전극을 코일(24)형상으로 인쇄하여 이를 상하층간 신호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면서 적층한 뒤, 이를 압착 소성하며, 상기 코일(15)의 양단을 외부전극(22), (23)으로 인출하여 일체화시킨 칩 인덕터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25)의 표면을 투자율이 높은 표면자성체(21)로 도포하여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부품외부로 자속선의 누출을 막아주기 때문에 고밀도의 실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부품의 인덕턴스보호 및 높은 Q값을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인덕턴스범위도 높힐 수 있다.

Description

적층형 칩 인덕터
제1도는 종래의 적층형 칩 인덕터로서, (a)는 사시도, (b)는 내부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적층형 칩 인덕터로서, (a)는 사시도, (b)는 내부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칩 인덕터 21 : 표면 자성체
22, 23 : 외부단자 24 : 코일
25 : 유전체
본 고안은 적층형 칩 인덕터(Chip-Induct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표면에 투자율이 높은 자성체를 형성하여 내부에서 발생되는 자계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칩 인덕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00MHz 이상 수GHz대역 까지의 고주파에 사용되는 적층형 칩 인덕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낮은 유전률을 가진 유전체(11a)에 도전성이 좋은 내부전극을 코일(15)형상으로 인쇄하고 이를 상하층간 신호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도록 적층한뒤 소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코일(15)의 양단은 외부전극(12), (13)으로 접속되어 상기 외부전극(12), (13)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코일(15)을 타고 흐르는 전류에 의한 인덕턴스와 Q값에 의해 특정주파수의 선택하는 필터링기능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칩 인덕터(10)에서는 제1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11a) 내부에 적층된 코일(15)로부터 발생되는 자속선(16)이 상기 유전체(11a)를 그대로 통과하기 때문에, 상기 자속선(16)이 주변의 부품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칩 인덕터(10)에는 많은 부품을 실장할 수 없게 되고, 또한 칩 인덕터(10)와 주변회로부품의 거리를 일정 거리 이상으로 유지해 주지 않으면 주변회로부품에 커플링, 삽입손실, 노이즈발생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품실장시 에러가 많이 발생할게 된다. 이러한 에러를 피하기 위해서는 상기 칩 인덕터(10)에 자속의 누출방향을 나타내는 표시부(14)를 형성함으로써 자속방향에 부품을 실장하는 것을 피할 수는 있지만, 이 경우 상기 자속의 누출방향 표시부(14)를 형성하는 공정이 추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적층된 칩 인덕터의 표면에 투자율이 높은 자성체를 도포하여 화학적으로 결합시킴으로서 내부자계가 인턱터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적층형 칩 인덕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칩 인덕터는 낮은 유전률을 가진 유전체에 도전성이 좋은 내부전극을 코일형상으로 인쇄하고 이를 상하층간 신호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적층한 후 압착 소성하며, 상기 코일의 양단을 외부전극과 접속하여 일체화시킨 칩 인덕터에 상기 유전체의 표면에 페라이트코어와 같은 투자율이 높은 표면자성체로 도포하여 상기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이 상기 유전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적층형 칩 인덕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적층형 칩 인덕터로서, (a)는 사시도, (b)는 내부 구성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칩 인덕터(20)는 낮은 유전률을 가진 유전체(25)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도전성이 좋은 내부전극이 인쇄되어 있다. 내부전극은 상하층이 서로 연결되도록 상하의 복수의 층으로 인쇄되어 코일(24)형상을 이룬다. 이후, 상기 유전체(5)를 압착소성하고 코일(24)의 양단을 외부전극(22), (23)을 접속시킴으로써 칩 인덕터(20)를 제조한다. 유전체(25)의 외부표면에는 투자율이 높은 표면자성체(21)로 도포되어 코일(24)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구성의 칩 인덕터에서, 상기 외부전극(22, 23)에 접압이 인가되면, 유전체(25) 내부의 코일(24)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자속(28)이 발생한다. 이 자속(28)은 코일(24)을 중심으로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하는데, 상기 유전체(25)의 외부에 도포된 자성체가 상기 자속(28)을 차단하여 자속(28)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서는, 칩 인덕터(20)의 내부 코일(24)에서 발생되는 자계를 제2도의 (b)와 같이 상기 표면자성체(21)가 차단하기 때문에 자계의 외부로의 누설(자속선:28)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칩 인덕터는 부품외부로 자속선의 누출을 막아주기 때문에 고밀도의 실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부품의 인덕턴스보호 및 높은 Q값을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인덕턴스범위도 높힐 수 있다.
또한, 부품의 자속선의 방향에 대한 표식이 필요없으며, 부품의 장착방향을 임의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의 실장속도를 높일 수 있고, 부품의 취급이 수월해지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그 구성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Claims (1)

  1. 유전체(25)에 도전물질로 이루어진 내부전극을 코일(24)형상으로 인쇄하여 이를 상하층간 신호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면서 적층한 후 압착 소성하며, 상기 코일(15)의 양단을 외부전극(22, 23)으로 인출하여 일체화시킨 칩 인덕터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25)의 표면에 자성체(21)를 도포하여 상기 코일(24)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칩 인덕터.
KR2019950038861U 1995-12-07 1995-12-07 적층형 칩 인덕터 KR2001432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8861U KR200143240Y1 (ko) 1995-12-07 1995-12-07 적층형 칩 인덕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8861U KR200143240Y1 (ko) 1995-12-07 1995-12-07 적층형 칩 인덕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8639U KR970048639U (ko) 1997-07-31
KR200143240Y1 true KR200143240Y1 (ko) 1999-06-01

Family

ID=19432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8861U KR200143240Y1 (ko) 1995-12-07 1995-12-07 적층형 칩 인덕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2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8639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3938B2 (en) Printed circuit board
US6597270B2 (en) Multilayer impedance component
US5034710A (en) LC filter device having magnetic resin encapsulating material
KR20180023506A (ko) 인덕터 어레이 부품 및 그의 실장 기판
US20130154783A1 (en) High-frequency transformer, high-frequency component, an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US20020140539A1 (en) Laminated impedance device
US6504464B2 (en) Choke coil
US6992556B2 (en) Inductor par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6850127B2 (en) Laminated electronic component
US20050174816A1 (en) Circuit using choke coil and choke coil
US3372358A (en) Film transformers
KR20190058926A (ko) 코일 부품
US10716212B2 (en) L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C device
KR200143240Y1 (ko) 적층형 칩 인덕터
KR101310360B1 (ko) 권선형 파워 칩인덕터의 제조방법
KR100279729B1 (ko) 적층형 칩 인덕터
JPH04245410A (ja) 複同調回路用プリントコイル
JP2002270429A (ja) インダクタ部品
JPH11176675A (ja) 小型非接触伝送装置
KR101334653B1 (ko) 복합 자성 코아 및 그 제조방법
KR100317116B1 (ko) 적층형칩인덕터
JPH05304035A (ja) チップ型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6288626B1 (en) Common mode choke including parallel conductors and associated methods
US9859050B2 (en) Method for producing magnetic element with two magnetic cores for increasing coiling space and magnetic element thereof
CN214505184U (zh) 贴片式电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