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757Y1 - Rear post structure of a truck - Google Patents

Rear post structure of a tru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757Y1
KR200142757Y1 KR2019940011006U KR19940011006U KR200142757Y1 KR 200142757 Y1 KR200142757 Y1 KR 200142757Y1 KR 2019940011006 U KR2019940011006 U KR 2019940011006U KR 19940011006 U KR19940011006 U KR 19940011006U KR 200142757 Y1 KR200142757 Y1 KR 2001427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post
groove
truck
bracket
lock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100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50032817U (en
Inventor
김기창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400110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757Y1/en
Publication of KR9500328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281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7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757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37Latch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트럭의 리어 포스트 구조로서, 트럭 테일 게이트의 양측 하단부에 그 하단부가 힌지결합되고 몸체 상측부에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는 리어 포스트와; 이 리어 포스트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고 그 끝단부에 상기 관통홈과 다른 관통홈이 같은 선상에 마련되는 결합부 및 이 결합부의 양 측단에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사이드 게이트의 끝단부에 부착마련되는 부착부로 이루어지는 브라켓과; 이 브라켓과 상기 리어 포스트가 결합시, 상기 관통홈의 상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리어 포스트를 상기 브라켓에 걸 수 있는 록킹수단과; 이 록킹수단의 하단으로 배치됨은 물론, 상기 관통홈의 하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수단의 해제 및 잠금을 시켜주는 록킹 해제/잠금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트럭의 리어 포스트 구조를 제공하여, 원 터치 한동작을 간편하게 사용하여 편리성을 추구할 수 있는 트럭의 리어 포스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A rear post structure of a truck, comprising: a rear post having a lower end hinged to both lower ends of a truck tail gate and a through groov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It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inside of the rear post,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through groove and the other through groove is formed on the same line at the end and integrally formed at both side ends of the coupling portion to be attached to the end of the side gate A bracket consisting of an attachment portion; Locking mean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hrough groove when the bracket and the rear post are coupled to hang the rear post to the bracket; It is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locking means, as well as providing a rear post structure of the truck comprising a locking release / locking means which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groove to release and lock the locking means, A rear post structure of a truck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and pursues convenience.

Description

트럭의 리어 포스트 구조Rear post structure of truck

본 고안은 트럭의 리어 포스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럭의 리어 포스트의 잠금 및 해제를 원 터치의 한 작동으로 이루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post structure of a tru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by locking and unlocking the rear post of the truck in one operation.

(종래의 기술)(Conventional technology)

일반적으로 트럭에 사용되는 리어 포스트는 트럭의 사이드 게이트의 리어부위와 테일 게이트가 서로 접촉하는 부위에 마련되어 상기 양 게이트의 개폐시, 그 접촉 부위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주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In general, a rear post used in a truck is provided at a site where a rear portion of a side gate of a truck and a tail gate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play a role of improving bearing capacity of the contact portion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gates.

이러한 리어 포스트의 종래 구조는 제3,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사이드게이트(100)의 후방 끝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볼트 결합되어 있는 록크 핸들(200)과 테일 게이트(300)의 양측 하단면에 힌지 핀(400)으로 힌지 고정되어 있는 리어 포스트(500)가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The conventional structure of such a rear post is shown in FIGS. 3 and 4, the lower handles of the lock handle 200 and the tail gates 300 which are rotatably bolted to the rear ends of both side gates 100. The rear post 500, which is fixed to the hinge pin 400 by hinges, has a structure in which they are coupled to each other.

이와같이 마련되는 상기 리어 포스트(500)의 사용은, 사용자가 상기 사이드 게이트(100) 및 테일 게이트(300)를 닫기 위하여 이 양 게이트(100,300)를 회전하여 상방으로 들어 올려서 도면에서와 같이 서로 만나게 되면, 우선 상기 리어 포스트(500)를 위로 들어 올리게 된다.The use of the rear post 500 provided in this way, when the user rotates both the gates (100,300) to close the side gate 100 and the tail gate 300 to lift upwards to meet each other as shown in the figure First, the rear post 500 is lifted up.

이에 상기 리어 포스트(500)가 상기 사이드 게이트(100)의 끝단부위에 맞닿게 되면, 상기 록크 핸들(200)을 회전시켜 이를 상기 리어 포스트(500)의 상단부위에 걸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rear post 500 contacts the end portion of the side gate 100, the lock post 200 is rotated so that the rear post 500 is hooked to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rear post 500.

이에 따라, 상기 리어 포스트(500)는 상기 록크 핸들(200)에 의해 잠기게 됨으로써 수직상태로 상기 사이드 게이트(100)의 리어 부위를 지지하게 된다.Accordingly, the rear post 500 is locked by the lock handle 200 to support the rear portion of the side gate 100 in a vertical state.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Problems that the design tries to solve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리어 포스트 구조는, 사이드 게이트 및 테일 게이트를 닫거나 열때에 매번 상기 리어 포스트를 들어 올려서 여기에 상기 록크 핸들을 회전시켜서 잠궈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하는데 있어서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rear post structure is cumbersome in use because the user has to lift and lock the rear post and rotate the lock handle thereto every time the side gate and tail gate are closed or opened. It is becoming.

또한, 상기 록크 핸들이 그 고정부위에서 이탈되어 없어진 경우, 대개 운전자는 상기 리어 포스트를 하방으로 처지게 한채로 그냥 매달고 다니기 때문에 상기 리어 포스트의 제구실을 살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when the lock handle is removed from the fixed portion and disappears, the driver usually hangs with the rear posts drooping downwards, so the situation of the rear post may not be saved.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리어 포스트의 잠금 및 해제를 원터치 한 동작으로 이룰 수 있도록 그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과 그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트럭의 리어 포스트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providing a structure to achieve a one-touch operation of the lock and release of the rear post by the rear post of the truck that can achieve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us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tructure.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트럭의 리어 포스트 구조에 있어서, 트럭 테일 게이트의 양측 하단부에 그 하단부가 힌지결합되고 몸체 상측부에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는 리어 포스트와; 이 리어 포스트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고 그 끝단부에 상기 관통홈과 다른 관통홈이 같은 선상에 마련되는 결합부 및 이 결합부의 양측단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사이드 게이트의 끝단부에 부착마련되는 부착부로 이루어지는 브라켓과; 이 브라켓과 상기 리어 포스트가 결합시, 상기 관통홈의 상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리어 포스트를 상기 브라켓에 걸 수 있는 록킹수단과; 이 록킹수단의 하단으로 배치됨은 물론, 상기 관통홈의 하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수단의 해제 및 잠금을 시켜주는 록킹 해제/잠금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리어 포스트 구조를 제공한다.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ar post structure of a truck, comprising: a rear post having a lower end hinged to both side lower ends of a truck tail gate and a through groov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 coupling portion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inner side of the rear post, and has a through portion and another through groove formed on the same line at the end thereof, and is integrally form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coupling portion to be attached to the end portion of the side gate. A bracket consisting of an attachment portion; Locking mean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hrough groove when the bracket and the rear post are coupled to hang the rear post to the bracket; It is arranged to the bottom of the locking means, as well a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groove provides a rear post structure of the truck comprising a locking release / lock means for releasing and locking the locking means. .

이때, 상기한 록킹 수단은 고정핀이 상측부에 삽입고정되고 그 하단부 일측에 고정홈이 마련되는 제1수직부와; 이 제1수직부의 상단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고정핀의 양측단으로 고정되는 토션 스프링이 그 하단으로 걸리게 되는 제1수평부와; 이 제1수평부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결합부에 걸려 고정되는 제2수직부와 더불어; 상기 제1수직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제1수평부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수평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첵커로 마련되어 상기 고정핀이 상기 관통홈의 양측단면 상측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힌지고정됨으로써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locking means includes a first vertical portion that is fixed to the fixing pin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and the fixing groov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end; A first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and having a torsion spring fixed to both ends of the fixing pin to its lower end; A second vertic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fixed to the engaging portion of the bracket; The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is provided with a checker is formed including a second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is provided that the fixing pin is hinged and fixed to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upper side of both side cross-section of the through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또한, 상기한 록킹 해제/잠금 수단은, 상기 록킹수단의 하단으로 배치되고 그 상단에 상기 고정홈과 결합될 수 있는 걸림턱이 마련되는 푸시부재와; 이 푸시부재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제1돌기부 및 이 제1돌기부의 끝단에서 절곡된 제2돌기부로 마련되어 상기 푸시부재의 일축면 양방에 고정되는 각각의 구동핀과; 이 구동핀 양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푸시부재에 탄성력을 부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푸시부재의 일측면과 안쪽면에 고정되는 탄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2돌기부가 상기 관통홈의 하측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힌지고정됨으로써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king releasing / locking means may include: a push member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locking means and having a locking jaw at the upper end thereof to be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A driving pin fixed to one side of the push member and a second protrusion bent at an end of the first protrusion, each driving pin being fixed to both one axial surfaces of the push member; Insertion is formed between the driving pins and includes a tableting member fixed to one sid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ush member so as to add elastic force to the push member, the second projection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groov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installed by being hinged to the hole.

아울러, 상기 리어 포스트의 하단부에 형성된 구멍부에는 힌지핀이 삽입장착되고 이 힌지핀의 양단과 더불어 상기 리어 포스트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의 상면으로는 토션 스프링이 탄지되어 상기 리어 포스트가 탄성적으로 회전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hinge pin is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post, and a torsion spring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post together with both ends of the hinge pin so that the rear post is elastic.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rotated to.

(실시예)(Example)

이하,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한 도면과 더불어 본 고안에 의한 트럭 리어 포스트 구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ruck rear pos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help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첨부된 도면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트럭 리어 포스트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도시된 바 같이 본 고안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트럭의 테일 게이트(1)와 사이드 게이트(2)가 서로 접촉하는 부위에 마련되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uck rear pos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re the tail gate 1 and the side gate 2 of the truck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will be made of a structure that is provided.

이를 위해 본 고안에는 우선, 상기 테일 게이트(1)의 양단 하측부에 고정 부착된 리어 포스트 장착 브라켓(3)에 그 하단부가 삽입되어 힌지 고정되는 리어 포스트(4)가 구비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ear post 4 having a lower end inserted into a rear post mounting bracket 3 fixedly attached to both lower ends of the tail gate 1 and fixed to a hinge.

이러한 상기 리어 포스트(4)는 그 상측부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상기 상측부 일면에는 관통홈(41)이 마련되어 있다.The rear post 4 forms an inner space at an upper side thereof, and a through hole 41 is provided at one surface of the upper side thereof.

또한, 상기 리어 포스트(4)의 하단부위에는 힌지핀(5)이 삽입장착될 수 있는 구멍부(42)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단 끝단부에는 돌출부(43)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lower portion of the rear post 4 is formed with a hole 42 into which the hinge pin 5 can be inserted, and a lower portion of the rear post 4 is formed with a protrusion 43.

이와 함께 상기 사이드 게이트(2)의 측단부에는 상기 리어 포스트(4)와 결합되는 브라켓(6)이 설치되어 있는 바, 이 브라켓(6)은 상기 리어 포스트(4)의 상측 내부 공간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그 일측면에 상기 관통홈(41)과 동일 선상으로 다른 관통홈(61)을 마련하고 있는 결합부(62)와, 이 결합부(62)에서 연장되다가 양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사이드 게이트(2)에 스폿 용접등으로 부착되는 부착부(63)로 이루어지고 있다.In addition, a bracket 6 coupled to the rear post 4 is installed at the side end of the side gate 2, and the bracket 6 is inserted into the upper inner space of the rear post 4. And a coupling portion 62 having another through groove 61 in the same line as the through groove 41 on one side thereof, and extending from the coupling portion 62 and being bent in both directions to form the side gate ( It consists of the attachment part 63 attached to 2) by spot welding.

이와 같은 상기 리어 포스트(4)와 상기 브라켓(6)은 상호 결합시, 상기 관통홈(41)에 설치되는 록킹수단 및 록킹 잠금/해제 수단에 의해서 결합 또는 분해되는 바, 이 록킹 수단과 록킹 잠금/해제수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the rear post 4 and the bracket 6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rear post 4 and the bracket 6 are coupled or disassembled by the locking means and the locking locking / release means installed in the through groove 41. Explaining the release means is as follows.

본 실시예에서 상기한 록킹수단은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고정핀(71)이 그 상단부에 삽입 고정되고 그 하단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홈(72)이 형성되어 있는 제1수직부(73)와, 이 제1수직부(73)의 상단면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고정핀(71)의 양측부에 고정된 토션 스프링(74)이 그 하면으로 걸리게 되는 제1수평부(75)와, 이 제1수평부(75)에서 다시 수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브라켓(6)의 관통홈(61)을 지나 결합부(62)에 걸리게 되는 제2수직부(76)와 아울러, 상기 제1수직부(72)의 하단부에서 상기 제1수평부(75)와 동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2수평부(77)를 포함하여 마련되는 첵커(7)로 마련하고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locking means in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vertical portion in which a fixing pin 71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an upper end thereof, and a fixing groove 72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thereof. 73 and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75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73 and fixed to both sides of the fixing pin 71 to be caught by the lower surface thereof. In addition,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75) extends vertically again and passes through the through groove 61 of the bracket (6) and the second vertical portion (76) which is caught on the coupling portion 62, the firs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72 is provided with a checker (7) including a second horizontal portion 77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75).

이러한 상기 첵커는 상기 고정핀(71)의 양단이 상기 관통홈(41)의 내측 양단면에 형성된 상측 삽입홀(44)에 각기 힌지고정됨으로써 설치되게 된다.The checker is installed by being hinged to each of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in 71 is formed in the upper insertion hole 44 formed on both inner end surfaces of the through groove 41.

한편, 상기 록킹 해제/잠금수단은 역시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장착시 상기 첵커(7)의 하단을 배치되고 그 상단에 상기 고정홈(72)에 끼움결함될 수 있는 걸림턱(81a)이 마련되어 상기 관통홈(41)에 삽입되는 푸시부재(81)와, 이 푸시부재(81)의 일면에 고정되는 제1돌기부(82a)와 이 제1돌기부(82a)의 끝단에서 절곡형성된 제2돌기부(82b)로 마련되어 상기 푸시부재(81)의 일면에 각기 고정되는 구동핀(82)으로 구비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release / locking means, as can be seen through the drawings, when mounting the lower end of the checker (7) is disposed on the locking jaw 81a that can be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72) Is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groove 41, the first protrusion 82a fixed to one surface of the push member 81 and the first bent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82a) It is provided as a driving pin 82 provided as two projections (82b), respectively fixed to one surface of the push member (81).

이때, 상기 각각의 구동핀(82) 사이에는 상기 푸시부재(81)에게 탄성력을 부가시킬 수 있는 탄정부재(83)가 연결되어 있다.At this time, between each of the driving pins 82 is connected to the push member 83 that can add an elastic force to the push member (81).

이러한 상기 록킹 해제/잠금수단은 상기 양 제2돌기부(82b)가 상기 관통홈(41)의 내측 양단면에 형성된 하측 삽입홀(45)에 각기 힌지고정됨으로써 설치되게 된다.The locking releasing / locking means is installed by both the second protrusions 82b being hinged and fixed to the lower insertion holes 45 formed on both inner end surfaces of the through groove 41, respectively.

추가적으로 상기 리어 포스트(4)는 작동시, 그 회전을 탄성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상기 구멍부(42)에 상기 힌지핀(5)을 삽입한 상태에서 토션 스프링(10)을 양 측단에 고정하고 이를 다시 상기 돌출부(43)의 상면으로 탄지하고 있다.In addition, when the rear post 4 is operated, the torsion spring 10 is fixed to both sides in a state in which the hinge pin 5 is inserted into the hole 42 so that the rotation can be made elastically. Agai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43 is held.

이에,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트럭 리어 포스트 구조의 잠금 및 해제과정을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Thus, the process of locking and releasing the truck rear pos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제2도의 (a)는 상기 리어 포스트(4)가 상기 브라켓(6)으로부터 이탈되어 해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2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ar post 4 is separated from the bracket 6 and released.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리어 포스트(4)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리어 포스트(4)를 회전시켜 위로 들어 올려서 상기 사이드 게이트(2)까지 밀어 부치게 된다.In order to fix the rear post 4 in a state as shown in the drawing, first, the rear post 4 is rotated to be lifted up and pushed to the side gate 2.

여기서 이때, 사용자는 밖으로 튕겨져 있는 첵커(7)를 밀어 붙이면 상기 푸시부재(81)의 상단부에 접촉하면서, 토션 스프링(82)의 회전으로 푸시부재(81)가 약간 밑으로 밀리고 상기 첵커(7)가 안쪽으로 삽입되면서 탄성부재(83)의 복원력에 의해 푸시부재(81)가 첵커(7)를 체결하면서 잠기는 구조이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pushes the checker 7 which is bounced out, the user contacts the upper end of the push member 81, the push member 81 is slightly pushed down by the rotation of the torsion spring 82, and the checker 7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push member 81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83 is fastened while locking the checker (7).

다시 말해서, 상기 리어 포스트(4)가 상기 사이드 게이트(2)에 안착되면서 상기 첵커(7)의 제2수직부(76)가 상기 관통부(61)을 통과해서 상기 결합부(62)의 상측단부에 걸리게 되고, 수직상태의 푸시부재(81)를 첵커(7)가 상기 걸림턱(81a)과 접촉시 토션 스프링(82)의 회전과 동시에 하방으로 밀리고, 첵커(7)가 삽입된 후 상기 토션스프링(82)과 탄성부재(83)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오면서 첵커(7)와 물리고 체결되게 된다. (제2도 (b) 참조)In other words, while the rear post 4 rests on the side gate 2, the second vertical portion 76 of the checker 7 passes through the through portion 61 and is above the coupling portion 62. The pusher 81 in the vertical state is pushed downwards at the same time as the torsion spring 82 is rotated when the checker 7 is in contact with the catching jaw 81a, and the checker 7 is inserted thereafter. The torsion spring 82 and the elastic member 83 come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by being snapped with the checker 7. (See Figure 2 (b))

따라서, 상기 리어 포스트(4)는 상기와 같은 첵커(7) 및 푸시부재(81)등의 작용으로 인해 상기 브라켓(6)에 결탁되어 잠금상태를 이루게 된다.Therefore, the rear post 4 is bound to the bracket 6 due to the action of the checker 7 and the push member 81 as described above to achieve a locked state.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리어 포스트(4)의 해제는 상기 푸시부재(81)를 한번 누르는 동작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바, 이는 제2도(b)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푸시부재(81)을 안쪽으로 누르게 되면, 이 푸시부재(81)가 상기 탄정부재(83)의 탄성력으로 인해 후방으로 그 상단부가 회전되면서 상기 걸럼턱(81a)이 상기 고정홈(72)으로부터 이탈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is state, the release of the rear post 4 is made by pressing the push member 81 once, which is inside the push member 81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When pressed in, the push member 81 is rotated at its upper end rearward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bullet fixing member 83 so that the latching jaw 81a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72.

그러면 상기 첵커(7)은 그 지지력이 상실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토션 스프링(74)의 탄성력으로 인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The shank 7 then loses its support force and at the same time rotates counterclockwise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74.

이에 따라 상기 제2수직부(76)가 상기 결합부(62)으로부터 이탈되게 됨으로써 상기 리어 포스트(4)은 상기 브라켓(4)로부터 분리되어 해제상태를 이루게 된다.Accordingly, the second vertical portion 76 is separated from the coupling portion 62, so that the rear post 4 is separated from the bracket 4 to form a released state.

이때, 여기서 상기 리어 포스트(4)는 상기 토션 스프링(10)의 탄성력으로 인해 그 힌지점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rear post 4 is able to rotat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elastically around the hinge point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10.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트럭 리어 포스트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uck rear pos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 (a) (b)는 본 고안에 의한 트럭 리어 포스트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2 (a) and 2 (b)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truck rear po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종래의 트럭 리어 포스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ruck rear post structure,

제4도는 종래에 리어 포스트가 트럭에 장착되는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where a rear post is conventionally mounted on a truck.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테일 게이트 2 : 사이드 게이트1: tail gate 2: side gate

3 : 리어포스트 장착브라켓 4 : 리어 포스트3: rear post mounting bracket 4: rear post

5 : 힌지핀 6 : 브라켓5: hinge pin 6: bracket

7 : 첵커 10,74 : 토션 스프링7: checker 10,74: torsion spring

41,61 : 관통홈 42 : 구멍부41,61: through groove 42: hole

43 : 돌출부 44,45 : 삽입홀43: projection 44,45: insertion hole

62 : 결합부 63 : 부착부62: coupling portion 63: attachment portion

71 : 고정핀 72 : 고정홈71: fixing pin 72: fixing groove

73 : 제1수직부 75 : 제1수평부73: first vertical portion 75: first horizontal portion

76 : 제2수직부 77 : 제2수평부76: second vertical portion 77: second horizontal portion

81 : 푸시부재 81a : 걸림턱81: push member 81a: locking jaw

82 : 구동핀 82a : 제1돌기부82: driving pin 82a: first projection

82b : 제2돌기부 83 : 탄성부재82b: second projection 83: elastic member

이상에서 알아본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트럭 리어 포스트는 구조는 상기 록킹 잠금/해제 수단의 원터치 동작 하나로 용이하게 리어 포스트를 해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잠금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그 사용이 편리하다는 이점을 지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truck rear po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release the rear post easily by one-touch operation of the locking lock / unlock means, but also the lock can be achieved. It has the advantage of convenience.

또한, 본 고안의 리어 포스트 구조는 상기와 같은 편리성으로 인해 제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바, 그 효율성이 높은 장점을 지니게 된다.In addition, the rear pos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ully exhibited due to the convenience as described above, it has the advantage of high efficiency.

Claims (4)

트럭 테일 게이트(1)의 양측 하단부에 그 하단부가 힌지결합되고 몸체 상측부에 관통홈(41)이 형성되어 있는 리어 포스트(4)와; 이 리어 포스트(4)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고 그 끝단부에 상기 관통홈(41)과 다른 관통홈(61)이 같은 선상에 마련되는 결합부(62) 및 이 결합부(62)의 양측단에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사이드 게이트(2)의 끝단부에 부착마련되는 부착부(63)로 이루어지는 브라켓(6)과; 이 브라켓(6)과 상기 리어 포스트(4)가 결합시, 상기 관통홈(41)의 상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리어 포스트(4)를 상기 브라켓(6)에 걸 수 있는 록킹수단과; 이 록킹수단의 하단으로 배치됨은 물론, 상기 관통홈(41)의 하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록킹수단의 해제 및 잠금을 시켜주는 록킹 해제/잠금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리어 포스트 구조.A rear post 4 having a lower end hinged to both lower end portions of the truck tail gate 1 and a through groove 41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The coupling portion 62 and the coupling portion 62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inner side of the rear post 4 and have the through groove 41 and the other through groove 61 on the same line at the end thereof. A bracket 6 extending integrally at both ends and comprising an attachment portion 63 attached to an end portion of the side gate 2; Locking mean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hrough groove 41 when the bracket 6 and the rear post 4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lock the rear post 4 to the bracket 6; The rear post structure of the truck, which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locking means, and includes a locking release / lock means installed at a lower side of the through hole 41 to release and lock the locking means. . 제1항에 있어서, 록킹수단은 고정핀(71)이 상측부에 삽입고정되고 그 하단부 일측에 고정홈(72)이 마련되는 제1수직부(73)와; 이 제1수직부(73)의 상단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고정핀(71)의 양측단으로 고정되는 토션 스프링(74)이 그 하단으로 걸리게 되는 제1수평부(75)와; 이 제1수평부(75)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브라켓(6)의 결합부(62)에 걸려 고정되는 제2수직부(76)와 더불어; 상기 제1수직부(73)의 하단부에서 상기 제1수평부(75)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수평부(77)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첵커(7)로 마련되어 상기 고정핀(71)이 상기 관통홈(41)의 양측단면 상측부에 형성된 삽입홀(44)에 힌지고정됨으로써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리어 포스트 구조.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means comprises: a first vertical portion (73) having a fixing pin (71) inserted into and fixed to an upper side and a fixing groove (72)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ower end thereof; A first horizontal portion 75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73 so that the torsion spring 74 fixed to both ends of the fixing pin 71 is caught to the lower end thereof; A second vertical portion (76) extending from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75) and fixed to the engaging portion (62) of the bracket (6); The fixing pin 71 is provided as a checker 7 formed to include a second horizontal portion 77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75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73. The rear post structure of the truc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by being hinged to the insertion hole (44) formed on the upper side of both side end surfaces of the through groove (41). 제1항에 있어서, 록킹 해제/잠금 수단은 상기 록킹수단의 하단으로 배치되고 그 상단에 상기 고정홈(72)에 결합될 수 있는 걸림턱(81a)이 마련되는 푸시부재(81)와; 이 푸시부재(81)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제1돌기부(82a) 및 이 제1돌기부(82a)의 끝단에서 절곡된 제2돌기부(82b)로 마련되어 상기 푸시부재(81)의 일측면 양방에 고정되는 각각의 구동핀(82)과; 이 구동핀(82) 양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푸시부재(81)에 탄성력을 부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푸시부재(81)의 일측면과 안쪽면에 고정되는 탄성부재(8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양 제2돌기부(82b)가 상기 관통홈(41)의 하측부에 형성된 삽입홀(45)에 힌지고정됨으로써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리어 포스트 구조.The locking member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ush member (81)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locking means and provided with a locking jaw (81a) at the upper end thereof to be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72); The first protrusion 82a fixed to one side of the push member 81 and the second protrusion 82b bent at the end of the first protrusion 82a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one side of the push member 81. Respective driving pins 82 fixed thereto; It is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pins 82, the elastic member 83 is fixed to one side and the inner side of the push member 81 so as to add an elastic force to the push member 81 The rear post structure of the truck,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projection (82b) is installed by hinged to the insertion hole 45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groove (41). 제1항에 있어서, 리어 포스트(4)의 하단부에 형성된 구멍부(42)에는 힌지핀(5)이 삽입장착되고 이 힌지핀(5)의 양단과 더불어 상기 리어 포스트(4)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43)의 상면으로는 토션 스프링(10)이 탄지되어 상기 리어 포스트(4)가 탄성적으로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의 리어 포스트 구조.2. The hinge portion (5) is inserted into the hole (42) formed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rear post (4), and is integrated with the lower end of the rear post (4) together with both ends of the hinge pin (5). The rear post structure of the truck, characterized in that the torsion spring (10) is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formed by the 43 is elastically rotated.
KR2019940011006U 1994-05-17 1994-05-17 Rear post structure of a truck KR20014275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1006U KR200142757Y1 (en) 1994-05-17 1994-05-17 Rear post structure of a tru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1006U KR200142757Y1 (en) 1994-05-17 1994-05-17 Rear post structure of a tru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817U KR950032817U (en) 1995-12-16
KR200142757Y1 true KR200142757Y1 (en) 1999-06-01

Family

ID=19383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1006U KR200142757Y1 (en) 1994-05-17 1994-05-17 Rear post structure of a tru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757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026A (en) * 2016-11-23 2018-05-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ar post for truc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026A (en) * 2016-11-23 2018-05-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ar post for truck
KR102395277B1 (en) 2016-11-23 2022-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Rear post for tru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817U (en) 199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40318B2 (en) Side lock device
KR200205397Y1 (en) Door hinge for refrigerator
KR100249364B1 (en) Hinge for refrigerator door
US6199548B1 (en) Structure of an oven
US6471263B1 (en) Glass release button assembly of automotive tailgate
KR200142757Y1 (en) Rear post structure of a truck
KR100357796B1 (en) Glove box lock means of vehicle
JP5408786B2 (en) Door lock device
JP3993913B2 (en) Push-pull tablet
JP2002180491A (en) Lid for underground structure
KR100414361B1 (en) Door Lock System
KR100737237B1 (en) Door outside handle for automobile
KR200148201Y1 (en) Lock apparatus for open prevention of gate
JP3980369B2 (en) Latch device for door in cabinet with flap door
KR100330673B1 (en) Rear gate locking device
KR200206164Y1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operating panel of facsimile
JPH11100056A (en) Stopper member of storing case
JP3040966B2 (en) Latch lock
JPH0712179Y2 (en) Automotive console box
KR20030029387A (en) Locking Apparatus of Truck Rear Gate
KR200211923Y1 (en) Knob of Cabinet
KR20030069610A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of a window
KR200377856Y1 (en) Latch device with striking prevention function
KR200153744Y1 (en) A locking device of front door.
JPH09273345A (en) Door lock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