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742Y1 - 자동차용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742Y1
KR200142742Y1 KR2019960042846U KR19960042846U KR200142742Y1 KR 200142742 Y1 KR200142742 Y1 KR 200142742Y1 KR 2019960042846 U KR2019960042846 U KR 2019960042846U KR 19960042846 U KR19960042846 U KR 19960042846U KR 200142742 Y1 KR200142742 Y1 KR 2001427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vehicle
underbody
slot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28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9767U (ko
Inventor
김주용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28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742Y1/ko
Publication of KR199800297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7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7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7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48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ounted directly to the chassis of the tow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4Hook or hook-and-hasp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하단에 장착되는 언더바디(Under body) 후면부 하단에 형성된 슬롯(Slot), 상기 슬롯(Slot)과 대응하는 플랜지(Flange)를 구비하고, 언더바디(Under body)의 하단면에 장착되는 플레이트(Plate)와 하단에 형성된 슬롯(Slot)에 삽입되는 플랜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브래킷(Braket), 상기 브래킷(Braket) 하단에 반원형상의 고리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결착부가 장착되는 후크(Hook)로 이루어져 사고 및 고장등으로 인한 자동차의 견인시, 후크(Hook)와 브래킷(Braket)의 용접 부위에 전달되는 힘을 분산시키고, 수명을 연장시켰으며, 부식 및 충격으로 인한 후크의 이탈시 언더바디(Under body)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견인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언더바디(Under body)와 언더바디(Under body) 후면부 일측에 장착되는 브래킷(Braket) 및 후크로 구성하여 자동차의 견인시 자동차에서 견인장치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견인고리는 자동차의 후면부의 언더바디에 용접부착되어 있는 장치로서, 고장, 충돌 및, 추락사고등 여러 가지 불의의 상황으로 인하여 자동차 자체의 힘으로는 현장에서 움직일 수 없을 때를 대비하여 견인차량이 후크로서 걸어 견인할 수 있게 하는 구호장치의 일종이다.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용 견인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종래에는 자동차의 견인차의 와이어에 매달린 후크가 사고 차량의 견인고리에 잘 끼워지게 하기 위하여 견인고리가 차체외곽으로 돌출되게 언더바디에 용접되어 있었다.
이러한 종래 견인고리는 그 위치가 자체에 돌출상태로 고정되어 있음으로, 미관상 매우 종지 않을 뿐아니라 이 돌출된 부위에 평상시에 다른 사람이나 기물이 걸려 제 3 의 사고를 유발시키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에만 초점을 두고 견인고리를 은폐시키게 장치한다면 견인차가 구난시에 많은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다. 즉, 견인차의 와이어 후크가 은폐된 견인고리에 잘 결합되지 않을 경우는 대형 견인차를 부를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또한, 견인고리가 자동차 언더바디에 직접 장착되어 있어 부식 및 충격으로 인한 견인고리의 이탈시 언더바디에 손상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견인고리를 지지하고 있는 브래킷을 언더 바디에 용접시, 언더바디와 브라킷간의 용접부를 셋팅하는데 언더바디가 차체의 하부에 있음으로 인해서 용접부 구조상 어려움이 따르고, 이로인한 잘못 선정된 용접위치로 인하여 용접부위의 결함이 발생할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용접 위치를 찾는데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언더바디(Under body) 하단 일측에 후크가 장착되는 브래킷(Braket)을 구성하여 언더바디(Under body)의 손상을 방지하고 자동차의 견인을 용이하게 하는 자동차용 견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 하단에 장착되는 언더바디(Under body) 후면부 일측 하단에 형성된 슬롯(slot); 상기 슬롯(slot)과 대응하는 플랜지(Flange)를 구비하고, 언더바디(Under body) 하단면에 장착되는 플레이트(Plate)와 언더바디(Under body) 하단면에 삽입되는 플랜지(Flange)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브래킷(Braket)과; 상기 브래킷(Braket) 하단에 장착되는 후크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용 견인장치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견인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A-A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슬롯(Slot) 2. 브래킷(Bracket)
3. 후크(Hook) 5. 언더바디(Under Body)
21. 플랜지(Flange) 22. 플레이트(Plate)
31. 결착부 32. 고정부
51. 언더바디 하단면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지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견인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A-A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슬롯(Slot)(1), 브래킷(Braket)(2), 후크(3)로 구성되어지는 것으로,
상기 슬롯(Slot)(1)은 브래킷(Braket)(2)의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21)와 결합되어지는 것으로, 자동차(4) 언더바디(Under body)(5) 후부 하단면(51)에 형성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 브래킷(Braket)(2)은 언더바디(Under body) 하단면(51)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언더바디(Under body) 하단면(51)에 형성된 슬롯(Slot)(1)과 결합되는 플랜지(21)가 슬롯(Slot)(1)과 대응되도록 플레이트(Plate)(22) 일측에 형성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 후크(3)는 플레이트(Plate)(22)와 플랜지(Flange)(21)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브래킷(Braket)(2)의 하단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브래킷(Braket)(2) 하단에 장착되는 두개의 결착부(31)와, 상기 결착부(31)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두개의 결착부(31)를 연결시키는 반원형상의 고리부(32)로 형성되어 지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 언더바디(Under body)(5) 후부 일측 하단면(51)에 슬롯(slot)(1)을 형성하고, 상기 슬롯(slot)(1)과 대응되도록 언더바디(Under body) 하단면(51)에 장착되는 브래킷(Braket)(2)에 플랜지(21)를 형성한다.
상기 플랜지(21)가 형성된 브래킷(Braket)(2)의 플레이트(Plate)(22) 하단에 반원 형상의 고리부(32)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고리부(32)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후크 결착부(31)를 고리부(32)가 자동차(4) 후부를 향하도록 장착한다.
상기 후크(3)가 장착된 브래킷(Braket)(2)의 플랜지(21)를 언더바디(Under body)(5) 하단에 형성된 슬롯(Slot)(1)내로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언더바디(Under body) 하단면(51)과 밀착되는 브래킷(Braket)(2)의 플레이트(Plate)(22)를 하단면(51)에 용접하여 장착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용 견인장치는 언더바디(Under body) 하단에 브래킷(Braket)을 장착하고, 상기 브래킷(Braket) 하단에 두개의 결착부를 이용하여 후크를 장착시킴으로서, 사고 및 고장등으로 인한 자동차의 견인시, 후크와 브래킷(Braket)의 용접 부위에 전달되는 힘을 분산시키고, 수명을 연장시켰으며, 부식 및 충격으로 인한 후크의 이탈시 언더바디(Under body)의 손상을 방지하여 자동차 바디를 보호하는 등 복합적인 효과가 기대되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용 견인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하단에 장착되는 언더바디(Under body) 후면부 일측 하단에 형성된 슬롯(Slot)과; 상기 슬롯(Slot)과 대응하는 플랜지(Flange)를 구비하고, 언더바디(Under body)의 하단면에 장착되는 플레이트(Plate)와 플랜지(Flange)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브래킷(Braket)과; 상기 브래킷(Braket) 하단에 반원형상의 고리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결착부가 장착되는 후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견인장치.
KR2019960042846U 1996-11-28 1996-11-28 자동차용 견인장치 KR2001427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846U KR200142742Y1 (ko) 1996-11-28 1996-11-28 자동차용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846U KR200142742Y1 (ko) 1996-11-28 1996-11-28 자동차용 견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767U KR19980029767U (ko) 1998-08-17
KR200142742Y1 true KR200142742Y1 (ko) 1999-06-01

Family

ID=19475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2846U KR200142742Y1 (ko) 1996-11-28 1996-11-28 자동차용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74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767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9621B2 (ja) 重車両用燃料タンク
US6979016B1 (en) Combined front bumper replacement and receiver hitch assembly for a vehicle
CA1172081A (en) Rear view mirror extension device
US4863254A (en) Side view mirror attachment
US5947506A (en) Trailer hitch bumper guard
US3993229A (en) Pivotable bumper for carrying motorcycles
US4921340A (en) Auxiliary mirror assembly for vehicles
KR200142742Y1 (ko) 자동차용 견인장치
KR200142748Y1 (ko) 자동차용 견인장치
KR200142749Y1 (ko) 자동차용 견인장치
US6224119B1 (en) Apparatus for limiting damages during vehicle collision
JPS6219489Y2 (ko)
JPH07237502A (ja) 車両の乗降用ステップ
US3608942A (en) Bumper device
KR0131658Y1 (ko) 자동차의 토잉 훅 보강구조
KR0119414Y1 (ko) 자동차의 견인고리 장착구조
JP3226103B2 (ja) 自動車の牽引フック取付構造
GB2251416A (en) Wheel clamps
KR0132487Y1 (ko) 차량의 비딩식 견인고리 장착구조
KR20080099588A (ko) 자동차용 절첩식 리어 시트 백의 결합 구조
NL8402821A (nl) Aanhanginrichting in het bijzonder voor personenwagens.
KR19980034075U (ko) 자동차의 토잉 훅
KR20010063143A (ko) 탈부착식 타이다운 훅
KR19980011469U (ko) 자동차의 토잉 훅
KR19980040775U (ko) 승용차의 견인용 훅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