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623Y1 - 2륜 운반차 - Google Patents

2륜 운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623Y1
KR200142623Y1 KR2019960041651U KR19960041651U KR200142623Y1 KR 200142623 Y1 KR200142623 Y1 KR 200142623Y1 KR 2019960041651 U KR2019960041651 U KR 2019960041651U KR 19960041651 U KR19960041651 U KR 19960041651U KR 200142623 Y1 KR200142623 Y1 KR 2001426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gear portion
axle
holde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16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8627U (ko
Inventor
김성규
Original Assignee
김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규 filed Critical 김성규
Priority to KR2019960041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623Y1/ko
Publication of KR199800286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6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6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6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0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convertible from a one-axled vehicle to a two-axled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교적 작은 짐을 인력으로 운반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2륜 운반차(cart)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메인 프레임이 회전되어 핸들의 높이가 조정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해주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메인 프레임이 회전되어 핸들의 높이가 조종된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없게 해주며, 또한 보조지지륜 조립체르르 제공함으로써 화물의 하중을 분산지지하여 화물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2륜 운반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두개의 바퀴(1), 상기한 두개의 바퀴(1) 사이에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차축(2), 상기 차축(2)상에 하단부가 고정되어 수직으로 설치된 한편 그 상측에는 핸들(31)이 형성된 메인 프레임(3), 상기 메인프레임(3)에 수평으로 설치된 하부짐받이(4)로 이루어진 2륜 운반차에 있어서, 상기 차축(2)에는 스플라인 기어부(21)를 형성하고, 상기 차축(2)의 스프라인 기어부(21)의 좌우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홀더(22)를 고정하고, 상기한 홀더(22)중 일측 홀더(22)와 상기한 스프라인 기어부(21)의 단부 사이에는 보조지지륜 조립체(23)의 허브(231)를 삽입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단부허브(231)에는, 내측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된 한편 상하면에 고정기어부(2311)가 형성된 오목홈(2312)을 형성하고, 상기 단부허브(231)에는 중공아암(232)의 단부를 고정하고, 상기 중공아암(232)의 중공(2321)에는, 단부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보조 바퀴(2331)가 장착된 조정아암(233)의 일부를 삽입한 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고, 상기 차축(2)의 우측 홀더(22)와 단부허브(231)사이에는 연결기어(24)를 좌우이동가능하게 삽입하여 상기 우측 홀더(22)의 내면과 맞닿은 스프링(25)으로 탄성지지해주되, 상기 연결기어(24)에는 중앙에 구멍(241)을 천공하여 그 상하면에 상기 스프라인 기어부(21)와 맞물리는 스프라인 기어부(242)를 형성하는 한편 그 외주내측에는 상기 고정기어부(2311)와 맞물리는 외측기어부(243)를 형성하며, 또한 상기 연결기어(24)에는 일단부를 고정하여 하나 이상의 코드를 연결하는 한편 상기 코드의 타단부에는 각각 상기 코드의 당김과 풀림을 실현하는 조작기구를 연결하느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륜 운반차를 제공해준다.

Description

2륜 운반차
본 고안은 비교적 작은 짐을 인력으로 운반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2륜 운반차(cart)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교적 작은 짐을 인력에 의해 운반하기 위해서 2륜 운반차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에 사용되어 온 2륜 운반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2륜 운반차의 구성을 보면, 두개의 바퀴(1), 상기한 두개의 바퀴(1) 사이에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차축(2), 상기 차축(2)상에 하단부가 고정되어 수직으로 설치된 한편 그 상측에는 핸들(31)이 형성된 메인 프레임(3), 및 상기 메인 프레임(3)의 하부에 내측단부가 고정되어 수평으로 설치된 하부짐받이(4)로 구성된다.
상기 2륜 운반차에 따르면, 상기 메인 프레임(3)이 회전되어 핸들(31)의 높이가 조정된 상태를 게속 유지하도록 해주는 수단이 제공되지 못하여 사용자는 항상 상기 메인 프레임(3)이 회전되어 핸들(31)의 높이가 조정된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계속해서 노력을 기울여야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한 두개의 바퀴(1)에 의해서만 하부에서 상기 화물을 지지하게 되어 화물의 하중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메인 프레임이 회전되어 핸들의 높이가 조정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해주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항상 상기 메인 프레임이 회전되어 핸들의 높이가 조정된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없게 해주며, 또한 무게 중심의 이동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게 할수 있는 보조지지륜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화물의 하중을 분산지지하여 화물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2륜 운반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에 사용되어 온 2륜 운반차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2륜 운반차의 일실시예에 대한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2륜 운반차의 일실시예에 대한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제4도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동작상태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차축 21 : 스프라인 기어부
22 : 홀더 23 : 보조지지륜 조립체
231 : 단부허브 2311 : 고정기어부
2312 : 오목홈 232 : 중공아암
2321 : 중공 233 : 조정아암
2331 : 보조바퀴 234 : 조임나사
24 : 연결기어 241 : 구멍
242 : 스프라인 기어부 243 : 외측기어부
25 : 스프링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두개의 바퀴, 상기한 두개의 바퀴 사이에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차축, 상기 차축상에 하단부가 고정되어 수직으로 설치된 한편 그 상측에는 핸들이 형성된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수평으로 설치된 하부짐받이로 이루어진 2륜 운반차에 있어서, 상기 차축에는 스프라인 기어부를 형성하고, 상기 차축의 스플라인 기어부의 좌우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홀더를 고정하고, 상기한 홀더중 일측 홀더와 상기한 스프라인 기어부의 단부 사이에는 보조지지륜 조립체의 단부허브를 삽입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단부허브에는, 내측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된 한편 상하면에 고정기어부가 형성된 오목홈을 형성하고, 상기 단부허브에는 중공아암의 단부를 고정하고, 상기 중공아암의 중공에는, 단부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보조바퀴가 장착된 조정아암의 일부를 삽입한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고, 상기 차축의 우측 홀더와 단부허브사이에는 연결기어를 좌우이동가능하게 삽입하여 상기 우측 홀더의 내면과 맞닿은 스프링으로 탄성지지해주되, 상기 연결기어에는 중앙에 구멍을 천공하여 그 상하면에 상기 스프라인 기어부와 맞물리는 스프라인 기어부를 형성하는 한편 그 외주내측에는 상기 고정기어부와 맞물리는 외측기어부를 형성하며, 또한 상기 연결기어에는 일단부를 고정하여 하나 이상의 코드를 연결하는 한편 상기 코드의 타단부에는 각각 상기 코드의 당김과 풀림을 실현하는 조작기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륜 운반차를 제공해준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2륜 운반차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2륜 운반차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전술한 종래기술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참조번호 1은 바퀴를 지시한다. 상기한 두개의 바퀴(1) 사이에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차축(2)을 설치한다, 상기 차축(2)상에는 상측에 핸들(31)이 형성된 메인 프레임(3)을 수직으로 설치하되 그 하단부를 고정하여 설치한다.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3)의 하부에는 하부짐받이(4)를 수평으로 설치하되 그 내측단부를 고정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차축(2)의 중간부에는 스플라인 기어부(21)를 형성한다. 상기 차축(2)의 스플라인 기어부(21)의 좌우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홀더(22)를 고정한다. 상기한 홀더(22)중 우측 홀더(22)와 상기한 스프라인 기어부(21)의 우측부 사이에는 보조지지륜 조립체(23)의 단부허브(231)를 삽입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단부허브(231)에는, 내측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된 한편 상하면에 고정기어부(2311)가 형성된 오목홈(231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단부허브(231)에는 중공아암(232)의 단부를 고정해준다. 또한, 상기 중공아암(232)의 중공(2321)에는, 단부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보조바퀴(2331)가 장착된 조정아암(233)의 일부를 삽입한 후 조임나사(234)를 사용하여 착탈가능하게 고정한다. 한편, 상기 차축(2)의 우측 홀더(22)와 단부허브(231) 사이에는 연결기어(24)를 좌우이동가능하게 삽입하여 상기 우측홀더(22)의 내면과 맞닿은 스프링(25)으로 탄성지지해주되, 상기 연결기어(24)에는 중앙에 구멍(241)을 천공하여 그 상하면에 상기 스프라인 기어부(21)와 맞물리는 스프라인 기어부(242)를 형성한다. 상기연결기어(24)에는 일단부를 고정하여 하나 이상의 코드연결하며 또한 상기 코드의 타단부에는 각각 상기 코드의 당김과 풀림을 실현하는 조작기구를 연결한다. 상기 코드로서는 금속와이어(26)등이 채용될 수 있는 한편 조작기구로서는 페달(27)이나 핸드레버(28)가 채용될 수 있다.
한편, 언덕 등에서 사용할때와 같이 높은 핸들높이유지력과 분산지지력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프라인 기어부(21), 보조지지륜 조립체(23), 연결기어(24) 및 스프링(25)을 복수개 채용할 수 있는 한편 상기 홀더(22), 코드 및 조작장치 등도 복수 쌍 채용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2륜 운반차의 작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조작기구를 작동시키지 않는 경우, 상기 연결기어(24)는 상기 스프링(25)의 힘에 의해 우측으로 가압되며 이에 따라 상기 차축(2)의 스프라인 기어부(21)와 상기 연결기어(24)의 스프라인 기어부(242)가 맞물리는 한편 상기 보조지지륜 조립체(23)의 고정기어부(2311)와 상기 연결기어924)의 외측기어부(243)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사이 보조지지륜 조립체(23)에 의해 화물의 하중이 분산지지될 뿐만아니라 상기 메인 프레임(3)의 회전된 상태가 고정된 채 유지되게 된다.
상기 조작기구를 작동시키는 경우, 상기 연결기어(24)는 단부가 연결된 상기코드가 우측으로 당겨짐에 의해 상기 스프링(25)의 힘을 이기고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차축(2)의 스프라인 기어부(21)와 상기 연결기어(24)의 스프라인 기어부(242)가 맞물리지 않게 되는 한편 상기 보조지지륜 조립체(23)의 고정기어부(2311)와 상기 연결기어(24)의 외측기어부(243)가 맞물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지지륜조립체(23)가 상기 차축(2) 및 상기 메인 프레임(3)과 연결되지 않게 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3)의 회전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상기 보조지지륜 조립체(23)가 회전자유롭게 되어 무게중심이 전방이나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보조지지륜 조립체(23)를 전방이나 후방중 어느 한 방향에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지지륜 조립체(23)의 위치방향을 조절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임나사(234)를 푼 상태에서 상기 중공아암(232)의 중공(2321)으로부터 상기 조정아암(233)을 빼어서 시계방향으로 180°회전시켜 준다음 다시 중공아암(232)의 중공(2321)으로 상기 조정아암(233)의 단부를 삽입하여 상기 조임나사(234)를 조여서 고정해준다.
한편, 상기 조임나사(234)를 푼상태에서 상기 중공아암(232)의 중공(2321)에 조정아암(233)을 더 많이 삽입하거나 빼어 준 후 상기 조임나사(234)를 조여줌으로 해서 상기 보조지지륜 조립체(2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라인 기어부(21), 보조지지륜 조립체(23), 연결기어(24) 및 스프링(25)이 복수개 채용됨과 아울러 상기 홀더(22), 코드 및 조작장치 등도 복수 쌍 채용하는 경우에는 높은 핸들높이유지력과 분산지지력이 발휘된다.
전술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2륜 운반차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이 회전되어 핸들의 높이가 조정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해주는 수단이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메인 프레임이 회전되어 핸들의 높이가 조정된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노력을 계속해서 기울일 필요가 없게 되며, 또한 보조지지륜 조립체가 제공됨으로써 화물의 하중을 전방이나 후방에서 분산지지하여 화물의 하중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한편, 상기 스프라인 기어부(21), 보조지지륜 조립체923), 연결기어(24) 및 스프링(25)이 복수개 채용되는 한편 상기 홀더(22), 코드 및 조작장치 등도 복수쌍 채용되는 경우에는 언덕 등에서 사용할때와 같이 높은 핸들높이 유지력과 분산지지력이 요구되는 경우에 이를 충족시켜 준다.

Claims (5)

  1. 두개의 바퀴(1), 상기한 두개의 바퀴(1) 사이에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차축(2), 상기 차추(2)상에 하단부가 고정되어 수직으로 설치된 한편 그 상측에는 핸들(31)이 형성된 메인 프레임(3), 및 상기 메인 프레임(3)에 수평으로 설치된 하부짐받이(4)로 이루어진 2륜 운반차에 있어서,
    상기 차축(2)에는 스플라인 기어부(21)를 형성하고, 상기 차축(2)의 스플라인 기어부(21)의 좌우측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홀더(22)를 고정하고, 상기한 홀더(22중 일측 홀더(22)와 상기한 스프라인 기어부(21)의 단부 사이에는 보조지지륜 조립체(23)의 단부허브(231)를 삽입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단부허브(231)에는, 내측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된 한편 상하면에 고정기어부(2311)가 형성된 오목홈(2312)을 형성하고, 상기 단부허브(231)에는 중공아암(232)의 단부를 고정하고, 상기 중공아암(232)의 중공(2321)에는, 단부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보조 바퀴(2331)가 장착된 조정아암(233)의 일부를 삽입한 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고, 상기 차축(2)의 우측 홀더(22)와 단부허브(231) 사이에는 연결기어(24)를 좌우이동 가능하게 삽입하여 상기 우측 홀더(22)의 내면과 맞닿은 스프링(25)으로 탄성지지해주되, 상기 연결기어(24)에는 중아에 구멍(241)을 천공하여 그 상하면에 상기 스프라인 기어부(21)와 맞물리는 스프라인 기어부(242)를 형성하는 한편 그 외주내측에는 상기 고정기어부(2311)와 맞물리는 외측기어부(243)를 형성하며, 또한 상기 연결기어(24)에는 일단부를 고정하여 하나 이상의 코드를 연결하는 한편 상기 코드의 타단부에는 각각 상기 코드의 당김과 풀림을 실현하는 조작기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륜 운반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가 금속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륜 운반차.
  3.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구중 적어도 하나가 페달(2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륜 운반차.
  4.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구중 적어도 하나가 핸드 헤버(28)인 것을 특징으오하는 2륜 운반차.
  5.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라인 기어부(21), 보조지지류 조립체(23), 연결기어(24) 및 스프링(25)이 복수개 채용되는 한편 상기 홀더(22), 코드 및 조작장치 등도 복수 쌍 채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륜 운반차.
KR2019960041651U 1996-11-23 1996-11-23 2륜 운반차 KR2001426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651U KR200142623Y1 (ko) 1996-11-23 1996-11-23 2륜 운반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651U KR200142623Y1 (ko) 1996-11-23 1996-11-23 2륜 운반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627U KR19980028627U (ko) 1998-08-05
KR200142623Y1 true KR200142623Y1 (ko) 1999-06-01

Family

ID=19474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1651U KR200142623Y1 (ko) 1996-11-23 1996-11-23 2륜 운반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62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627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7744A (en) Stroller wheel assembly for bicycle trailer
US6360836B1 (en) Add-on drive assembly for baby strollers and carriages
US9321472B2 (en) Cart for use with pedal-cycle or other tilt-cornering vehicle
US4819767A (en) Hand brake apparatus for hand trucks
US6164666A (en) Adaptable cycle
US20070261905A1 (en) Electrically operated three-wheeled pushcart
US7021408B2 (en) Carriage
NZ250072A (en) Dual wheel castor assembly; friction clutch provides controlled rotational coupling between wheels
KR200142623Y1 (ko) 2륜 운반차
EP0764109A1 (en) A collapsible scooter
EP0876929A1 (fr) DIspositif de liaison intégrale, en deux points, d'une remorque avec un véhicule, muni de reglages
US3650342A (en) Convertible snow track-wheeled scooter type vehicle
US546198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a two-wheeled vehicle to travel along a railroad track
EP1183175B1 (en) Hand-propelled truck
US20040000770A1 (en) One-sides sprung arm of a bicycle front wheel
GB2353014A (en) Electrically-powered cart
JPH10291478A (ja) 中心軸駆動台車
JP4628259B2 (ja) 自転車用補助車装置
CN216546502U (zh) 一种交通设备
CN217374783U (zh) 一种踏板车
CN217783565U (zh) 一种带转向机构的矿用防爆空压机
CN210344740U (zh) 一种发电机通用行走装置
CN217170725U (zh) 手推车
CN216546498U (zh) 操作装置以及个人交通设备
CN217753973U (zh) 一种个人交通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