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350Y1 -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_ - Google Patents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_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350Y1
KR200142350Y1 KR2019960013113U KR19960013113U KR200142350Y1 KR 200142350 Y1 KR200142350 Y1 KR 200142350Y1 KR 2019960013113 U KR2019960013113 U KR 2019960013113U KR 19960013113 U KR19960013113 U KR 19960013113U KR 200142350 Y1 KR200142350 Y1 KR 200142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ase
display device
project display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31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3616U (ko
Inventor
정성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600131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350Y1/ko
Publication of KR9700636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36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3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6Cooling; Preventing overhea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케이스 내외부로 송풍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가 삽입된 상태에서만 시스템이 동작가능하도록 하는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외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수단, 송풍수단의 전 또는 후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시스템으로의 전력공급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게 접속되며, 필터가 케이스내의 설정된 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만, 필터에 간섭되어 시스템으로의 전력공급을 가능하게 스위치 온 되도록 설치된 안전스위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장치의 분해조립시에 발생할 수 있는 필터누락을 방지하여 투사렌즈와 같이 이물질에 의해 화질의 선명도를 급격히 저하시키는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송풍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서 A-A'절단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발췌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원(램프) 2 : 액정패널
3 : 투사렌즈 4 : 스크린
6 : 팬 7 : 팬케이스
8 : 필터 9 : 필터지지대
10 : 케이스 12 : 보울트
13 : 안전 스위치
본 고안은 케이스 내외부로 송풍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가 삽입된 상태에서만 시스템이 동작가능 하도록 하는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 일반적인 액정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액정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을 보면, 광원(1)에서 발생된 광빔이 액정패널(2)에 의해 선택적으로 투과되면서 영상이 얻어지고, 이 영상이 투사렌즈(3)를 통해 확대되어 대형스크린(4)에 투사된다. 이와 같이 광원(1)과 투사렌즈(3)를 이용하는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는, 궁극적으로 선명하고 얼룩이 없는 화상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우선적으로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영상기기에 사용되는 광원(1)용 램프에 요구되는 몇가지 조건중에서, 우선적으로 높은 광도를 내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높은 광도를 갖는 램프(1)를 채용할 경우, 램프(1)에서 발생되는 열과, 이 램프에서 방사된 광의 광로상에 배치된 구성부재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팬과 같은 송풍수단을 설치하여 케이스 내외부로 공기를 송풍시킨다.
제2도에는 케이스 후면에 배치된 팬과 같은 송풍수단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하였고, 제3도에는 제2도의 A-A'절단 단면도가 도시되었다.
제2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수단은 공기를 송풍시키는 팬(6)과, 팬케이스(7) 사이에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8) 및 필터지지대(9)로 되어있다.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8)가 삽입되지 않고 생산라인에서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조립되거나, 또는수리 중에 필터(8)를 누락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중 송풍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투사렌즈, 반사경 등에 점착되어 화질의 선명도를 심각하게 저해시킨다. 이와 같이 필터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스템이 동작되어 이물질이 투사렌즈에 다량 점착될 경우에는, 화상이 스크린상에 제대로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이물질 제거작업을 해야 한다. 먼지와 같은 이물질 제거작업시, 렌즈의 광축이 조금이라도 틀어지면 화상을 재현하는데 심각한 지장을 초래하게 되고, 까다로운 렌즈배치에 대한 재조정 작업을 해야만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가 삽입된 상태에서만 시스템이 동작가능하도록 하는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외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수단 및 상기 송풍수단의 전 또는 후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갖는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시스템으로의 전력공급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게 접속되며, 상기 필터가 상기 케이스내의 설정된 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만, 상기 필터에 간섭되어 시스템으로의 전력공급을 가능하게 스위치 온 되도록 설치된 안전스위치; 를 더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발췌 단면도이다. 참고적으로 동일기능을 하는 요소에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스(10)상에 공기의 송풍을 안내하는 홈을 따라 케이스(10) 외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팬커버(7), 필터(8), 필터지지대(9), 팬(6)이 설치되어 있다. 안전스위치(13)는 필터지지대(9)에 간섭되도록 케이스(10)의 일측에 설치도어 있다.
상기 안전스위치(13)는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전력공급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예컨대,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시스템전원(미도시)으로부터 시스템내부의 장치로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선 또는 외부전원과 시스템전원과의 전력공급을 중계하는 전력공급선을 온/오프 스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안전스위치(13)가 결선되면 된다.
안내홈은 각 구성부재가 지지되도록 계단층을 이루고 있다. 케이스(10) 외측에서부터 첫 번째 턱(10S1)을 갖는 부위에는 팬커버(7)가 설치되고, 이 팬커버(7)는 보출트(12)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케이스(10)에 체결된다. 두 번째 턱(10S2)을 갖는 부위에는 팬커버(7)와 밀착된 상태로 필터(8)와 필터지지대(9)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장착된다. 공기의 흡입과정중에서 필터(8)가 공기의 흡입방향으로 쏠리게 되면, 안내홈상에 틈이 발생될 수 있어, 필터링 효과가 저해될 수 있으나, 상기 필터지지대(9)가이러한 필터(8)의 쏠림을 방지한다.
필터(8)와 밀착된 필터지지대(9)가 두 번째 턱부위에 안착 지지되면, 두 번째 턱(10S2)을 갖는 부위에 설치된 안전스위치(13)가 압박에 의해 스위치 온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압박 및 압박해제에 의해 스위치 온/오프 되는 안전스위치는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스위치의 일종으로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는 두 개의 단자가 일정간극을 유지하고, 외력이 작용할 때 어느 하나의 단자가 타 단자와 접속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세 구조는 생략한다.
안전스위치(13)가 온상태로 전환되면, 시스템전원(미도시)으로부터 각 장치로의 전력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필터(8)는 필터(8)가 설치되는 첫 번째 턱(10S1)과 두 번째 턱(10 S2)과의 사이공간보다 그 두께가 약간 크게한다. 그러면, 필터지지대(9), 필터(8)가 삽입된 상태에서 케이스(10)에 팬커버(7)를 체결하게 되면, 턱들(10S1)(10S2) 사이의 공간내에 필터(8)가 압박상태로 눌리면서 필터(8)의 탄성에 의해 필터지지대(9)가 안전스위치(13)를 계속 스위치 온 상태로 압박한다.
따라서, 필터(8)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필터지지대(9)가 장착되고, 팬커버(7)가 체결될 경우, 필터 지지대(9)와 팬커버(7)의 내측과의 사이에 공간이 생겨 안전스위치(13)를 압박할 수 없게 된다. 결국, 안전스위치(13)가 오프상태로 됨에 따라 시스템 즉,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력공급차단에 의해 동작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안전스위치(13)가 온 상태일 때는 사용자가 시스템을 동작시킬 수 있고, 안전스위치(13)가 오프 상태일 때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에 관계없이 시스템이 동작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된 방법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필터(8)의 탄성력이 약해질 수 있고, 이 탄성력이 필터지지대(9) 전체에 분산되기 때문에 스위치(13)와의 접촉부위에는 그만큼 탄성력이 분할된다. 따라서 필터지지대(9)상의 안전스위치(13)와 대응되어 접촉되는 부위에 돌기(9A)를 형성시켜, 필터(8)의 탄성에 의한 압박력을 안전스위치(13)와 접촉하는 돌기(9A)면에 집중시키는게 더욱 바람직하다.
또 다르게, 필터지지대(9)를 적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필터(8)가 직접 안전스위치(13)를 스위치 온시키는데 충분히 압박할 수 있는 두께를 갖도록 하면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내부의 발열원을 냉각시키도록 설치된 송풍수단에 반드시 필터(8)가 삽입된 상태에서만 시스템이 동작가능하도록 하는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됨으로써, 투사렌즈와 같이 이물질에 의해 화질의 선명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구성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Claims (3)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외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수단 및 상기 송풍수단의 전 또는 후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갖는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으로의 전력공급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게 접속되며, 상기 필터가 상기 케이스내의 설정된 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만, 상기 필터에 간섭되어 시스템으로의 전력공급을 가능하게 스위치 온 되도록 설치된 안전스위치;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팬; 소정의 체결수단에의해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팬의 전면에 위치하는 팬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안전스위치와 대향되는 일측에 돌기가 형성된 필터지지대; 가 더 구비되며, 상기 필터가 상기 필터지지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팬커버를 상기 케이스에 체결할 때, 상기 팬커버가 상기 필터 및 상기 필터지지대를 차례로 압박하면서 상기 돌기가 상기 안전스위치를 온상태로 작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960013113U 1996-05-23 1996-05-23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_ KR2001423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3113U KR200142350Y1 (ko) 1996-05-23 1996-05-23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_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3113U KR200142350Y1 (ko) 1996-05-23 1996-05-23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_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616U KR970063616U (ko) 1997-12-11
KR200142350Y1 true KR200142350Y1 (ko) 1999-06-01

Family

ID=19456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3113U KR200142350Y1 (ko) 1996-05-23 1996-05-23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_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3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616U (ko) 199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3568B1 (ko) 디스플레이 광학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45038B1 (ko) 광원장치 및 프로젝터
KR100530649B1 (ko) 프로젝터
EP0192023A2 (en) Liquid crystal projector
US7325931B2 (en) Projection type video display
JP3596504B2 (ja) 光変調装置の冷却構造、およびプロジェクタ
KR100643977B1 (ko) 광학 장치 및 이 광학 장치를 구비한 프로젝터
US7407293B2 (en)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unit
US6488380B1 (en) Projector having a light shielding member
JP4622826B2 (ja) 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3988499B2 (ja) 照明光学装置、プロジェクタおよび光源装置
US8205993B2 (en) Projection-type image displaying apparatus
US8132923B2 (en) Cooling device and image projec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4245986A (ja) プロジェクタ
KR200142350Y1 (ko) 프로젝트 디스플레이 장치_
JP2010020052A (ja) 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04170512A (ja) 光学装置、光学ユニット、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04240024A (ja) 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KR100480085B1 (ko) Lcd프로젝터
JP2008089689A (ja) プロジェクタ
JP2005115220A (ja) プロジェクタ
KR100195133B1 (ko) 화상투사장치
KR0133674Y1 (ko)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사렌즈 광학계
KR200209095Y1 (ko) 투사형 액정디스플레이장치에서 냉각액을 이용한 램프 냉각장치
KR100561384B1 (ko)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장치 및 장착된 에어 필터 교환시기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