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1445Y1 - 공기조화기의 기동전류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기동전류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1445Y1
KR200141445Y1 KR2019960058980U KR19960058980U KR200141445Y1 KR 200141445 Y1 KR200141445 Y1 KR 200141445Y1 KR 2019960058980 U KR2019960058980 U KR 2019960058980U KR 19960058980 U KR19960058980 U KR 19960058980U KR 200141445 Y1 KR200141445 Y1 KR 2001414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omputer
air conditioner
current
compressor
outdoo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89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5838U (ko
Inventor
김동식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58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1445Y1/ko
Publication of KR199800458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8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14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14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50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과도 기동 전류를 감소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초기 전류를 최소화 한 이후에 압축기 및 실외팬으로 정상전원이 공급되게 함으로서, 초기 과도 전류에 의한 타기기의 악영향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된 공기조화기의 기동 전류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입력전원(220V)을 소정의 전압으로 평활 및 강하하는 정전압부(2)의 동작전원으로 활성화되어 공기조화기를 총괄 제어하는 마이컴(1)과, 상기 마이컴(1)의 출력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인버터(I1,I2) 및 릴레이(RY1,RY2)를 포함한 구동수단인 압축기(CP) 및 실외팬(FM)을 구비함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부(2)의 전단 입력전원(220V)에 전류를 최소화하는 R-L-C 병렬 공진회로를 구비하되, 이 공진회로에 릴레이(RY3,RY4)를 개재하여 상기 마이컴(1)의 제어신호로 동작되게 구성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기동전류 제어회로
본 고안은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과도 기동 전류를 감소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초기 전류를 최소화 한 이후에 압축기 및 실외팬으로 정상전원이 공급되게 함으로서, 초기 과도 전류에 의한 타기기의 악영향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된 공기조화기의 기동 전류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실외팬, 실내팬, 열교환기, 사방밸브 모세관 등과 같이 냉매 사이클 등을 구성하는 요소와, 이를 구동하고 조정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냉매 사이클에서 냉방운전시의 냉매 흐름을 보면, 압축기에서 나온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는 사방밸브를 거쳐 실외 열교환기로 들어가고 고온의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면서 응축되어 상온 고압의 액체 냉매가 된다.
이때, 응축열은 실외팬이 회전함에 따라 외부공기를 덮이게 되고, 실외 열교환기에서 나온 냉매는 내경이 매우 가는 모세관과 역지밸브를 통과하면서 감압되어 저온 저압의 액체 냉매가 되며 넓어진 실내 열교환기로 들어가 증발하면서 외부로 열을 빼앗게 된다.
그러므로 실내 열교환기는 냉각되고 실내팬이 회전함에 따라 공기의 열교환이 일어나 실내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냉매의 순환동작은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데, 제어수단에는 각 압축기 및 팬모터를 제어하는 구동수단 등과 같은 전자 소자들로 이루어지며, 작동시 상기 구동수단은 순간 기동전류가 흐른다.
즉,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를 총괄제어하는 마이컴(1)과, 상기 마이컴(1)의 출력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인버터(I1,I2) 및 릴레이(RY1,RY2)를 포함한 구동수단인 압축기(CP) 및 실외팬(FM)을 구비함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1)에 입력전원(220V)이 소정의 전압 이하로 평활 및 강하되어 동작전원으로 입력하는 정전압부(2)가 구비되는 한편, 입력전원은(220V) 상기 릴레이(RY1,RY2)의 스위치부(S1,S2)를 통해 각 실외팬(FM) 및 압축기(CP)와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는 초기 전원 인가시 정전압부(2)에 의해 마이컴(1)의 동작전원으로 입력하여 마이컴(1)을 활성화함과 동시에 마이컴(1)의 출력신호에 의해 각 릴레이(RY1,RY2)를 통전시켜 입력전원(220V)이 압축기(CP) 및 실외팬(FM)으로 인가되어 통상의 냉방작용을 실시한다.
그러나, 상기한 입력전원(220V)으로 동작되는 압축기(CP)는 초기 작동시 과도한 전류가 순간적으로 흐르며, 이 과도전류는 결국 타기기인 본체의 실외팬 등에 악영향을 끼치는 관계로 수명단축 등이 유발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원 인가시 초기 전류를 최소화 한 이후로 압축기 및 실외팬으로 정상전원이 공급되게 함으로서, 초기 과도 전류에 의한 타기기의 악영향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된 공기조화기의 기동 전류 제어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회로도,
도 2는 본 고안 기동전류 제어 회로도,
도 3은 도2의 기동전류 제어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도 2의 기동전류 제어 후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마이컴 2 : 정전압부
3 : 본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입력전원을 소정의 전압으로 평활 및 강하하는 정전압부의 동작전원으로 활성화되어 공기조화기를 총괄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출력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인버터 및 릴레이를 포함한 구동수단인 압축기 및 실외팬을 구비함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부의 전단 입력전원에 전류를 최소화하는 R-L-C 병렬 공진회로를 구비하되, 이 공진회로에 릴레이를 개재하여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로 동작되게 구성한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기동전류 제어 회로도, 도 3은 도2의 기동전류 제어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도 2의 기동전류 제어 후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호 1은 입력전원(220V)을 소정의 전압으로 평활 및 강하하는 정전압부(2)의 동작전원으로 활성화되어 공기조화기를 총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서, 냉방운전, 제습운전 등을 총괄 제어하며, 또 본 발명에 따른 기동전류 제어 출력신호를 인가하는 출력단(D)이 추가로 구비된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부호(4)은 상기 마이컴(1)의 출력단(B)에 접속되며, 출력단(B) 제어신호를 반전하는 인버터(I1)와, 이 인버터(I1)의 반전된 신호에 따라 통전되는 릴레이(RY1)로 구성되고, 상기 릴레이(RY1)의 단속에 따라 입력전원(220V)어 압축기(CP)로 인가 또는 차단되는 압축기구동수단이며, (5)은 상기 마이컴(1)의 출력단(C)에 접속되며, 출력단(C) 제어신호를 반전하는 인버터(I2)와, 이 인버터(I2)의 반전된 신호에 따라 통전되는 릴레이(RY2)로 구성되고, 상기 릴레이(RY 2)의 단속에 따라 입력전원(220V)어 실외팬(FM)으로 인가 또는 차단되는 실외팬구동수단이다.
그리고,(6)은 상기 정전압부(2)의 전단 입력전원에 전류를 최소화하는 R-L-C 병렬 공진회로이며, 이 공진회로는 상기 마이컴(1)의 출력단(D)에 접속된 릴레이(RY3,RY4) 통전에 따라 동작되게 구성한 기동전류 최소화수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조화기는 전원 인가시 정전압부(2)에 의해 마이컴(1)의 동작전원으로 입력하여 마이컴(1)을 활성화함과 동시에 마이컴(1)의 출력신호에 의해 각 릴레이(RY1,RY2)를 통전시켜 입력전원(220V)이 압축기(CP) 및 실외팬(FM)으로 인가되어 통상의 냉방작용을 실시한다. 이때, 본 고안 공기조화기 기동전류 감소동작도 병행실시되는 바, 즉 마이컴(1)의 출력신호에 의해 각 릴레이(RY3, RY4)를 통전시켜 도 3에 표현된 바와 같이, 입력전원이 R-L-C 병렬 공진회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 공진상태는 공진조건 WL=1/WC이며, 이에 어드미턴스 1/R(최소) 상태가 되어 공진시 전류 I=YE(최소) 상태가 된다.
따라서, 공진회로로 인해 최소 전류가 공기조화기의 본체(압축기 및 실외팬)에 공급된 상태이므로 순간 과도 기동전류로 인한 악영향을 피할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일정시간 약 100ms으로 정하여 매우 짧은시간동안 이루어지게 한 후, 다시 마이컴(1)의 출력단(D) 제어로 릴레이(RY3,RY4)를 오프 제어함으로서, 도4의 상태 회로로 원상복귀하여 통상의 동작상태로 회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매번 전원인가시마다 발생되던 순간 과전류 현상을 피할수 있어 본체의 수명단축을 해결할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그 구성요지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2)

  1. 입력전원(220V)을 소정의 전압으로 평활 및 강하하는 정전압부(2)의 동작전원으로 활성화되어 공기조화기를 총괄 제어하는 마이컴(1)과, 상기 마이컴(1)의 출력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인버터(I1,I2) 및 릴레이(RY1,RY2)를 포함한 구동수단인 압축기(CP) 및 실외팬(FM)을 구비함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부(2)의 전단 입력전원(220V)에 전류를 최소화하는 R-L-C 병렬 공진회로를 구비하되, 이 공진회로에 릴레이(RY3,RY4)를 개재하여 상기 마이컴(1)의 제어신호로 동작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공기조화기의 기동전류 제어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L-C 병렬 공진회로는 초기 전원 인가후 일정시간 약 100ms동안 동작되게 구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 공기조화기의 기동전류 제어회로.
KR2019960058980U 1996-12-27 1996-12-27 공기조화기의 기동전류 제어회로 KR2001414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980U KR200141445Y1 (ko) 1996-12-27 1996-12-27 공기조화기의 기동전류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980U KR200141445Y1 (ko) 1996-12-27 1996-12-27 공기조화기의 기동전류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838U KR19980045838U (ko) 1998-09-25
KR200141445Y1 true KR200141445Y1 (ko) 1999-05-15

Family

ID=19484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8980U KR200141445Y1 (ko) 1996-12-27 1996-12-27 공기조화기의 기동전류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14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777B1 (ko) * 1999-12-27 2002-10-18 만도공조 주식회사 에어콘의 초기운전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38125B (zh) * 2016-08-25 2019-03-19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的电加热器控制装置及控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777B1 (ko) * 1999-12-27 2002-10-18 만도공조 주식회사 에어콘의 초기운전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838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281125A (ja) 空気調和機
US6059197A (en) Automotive air-conditioner having hot-water heating system
KR200141445Y1 (ko) 공기조화기의 기동전류 제어회로
JPH0828987A (ja) 圧縮機の液冷媒排出装置
JP3343400B2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2000217247A (ja) 電流保護回路
KR100337910B1 (ko)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의 응급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200178391Y1 (ko) 자동차의 에어컨 오동작 경보회로
JPS5822045Y2 (ja) 冷暖房機の運転制御装置
JPH01174842A (ja) 空気調和機のヒータ過熱防止用安全装置
JPH07195935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3463307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H0220475Y2 (ko)
KR19980028861U (ko) 기계식 에어컨디셔너의 압축기 보호회로
KR100427526B1 (ko)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에서의 팬모터의 구동회로
KR100207925B1 (ko) 전기 자동차의 hvac 제어 장치
JPH07266849A (ja) 電気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0111693Y1 (ko) 히터펌프용 에어콘 제상제어회로
JPS5839Y2 (ja) ヒ−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
JPH0537172Y2 (ko)
JP2000289453A (ja) 空調装置
JPH031032A (ja) 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19990054087A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20417A (ko) 차량 공조장치의 콤프레셔 제어장치
KR19980023791A (ko) 공기조화기의 과열방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