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3847A - 수면 무호흡증 치료 방법 - Google Patents

수면 무호흡증 치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3847A
KR20010113847A KR1020017011955A KR20017011955A KR20010113847A KR 20010113847 A KR20010113847 A KR 20010113847A KR 1020017011955 A KR1020017011955 A KR 1020017011955A KR 20017011955 A KR20017011955 A KR 20017011955A KR 20010113847 A KR20010113847 A KR 20010113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obutyl
chlorophenyl
formula
compound
methylbut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1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2291B1 (ko
Inventor
치탬샤론크로포드
힐데이비드존
멘델칼엠
시애톤티모티비
웨인스테인스티브피
사퍼안톤
Original Assignee
독터. 호르스트 하스칼, 잉에 린스
크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독터. 호르스트 하스칼, 잉에 린스, 크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독터. 호르스트 하스칼, 잉에 린스
Publication of KR20010113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3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2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16Central respiratory anale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화학식 I의 화합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 또는 이의 에난티오머 또는 라세메이트(예를 들면, 임의로 일수화물 형태의 N,N-디메틸-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 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는 수면 무호흡증 및 코골기를 포함하는 수면 장애를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화학식 I
상기식에서,
R1과 R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메틸이다.

Description

수면 무호흡증 치료 방법{Method of treating sleep apnoea}
본 발명은 수면 장애, 예를 들면 수면 무호흡증 및 코골기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면 무호흡증을 겪고 있는 환자는 수면중에 일시적인 호흡-정지 기간을 경험한다. 이러한 방해된 호흡이 상기도의 폐쇄와 관련이 있는 경우, 이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으로서 공지되어 있다. 호흡 정지 원인이 일부 신경원성 기전에 의한 것일 경우, 이는 중추 수면 무호흡증으로서 공지되어 있다[참조 문헌: Martindale, The Extra Pharmacopoeia, 31stedition, p.1545]. 비록 여러 약물이 이러한 병리상태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나, 부작용이 거의 없는 보다 효과적인 치료제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료학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에난티오머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담체와 함께 수면 장애로 고생하는 사람에게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수면 무호흡증 및 코골기를 포함하는 수면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식에서,
R1과 R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메틸이다.
수면 장애라는 용어에는 수면 무호흡증, 코골기, 사고, 특히 교통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서 인식되는 밤동안의 수면 부족으로 인한 낮시간의 졸음, 및 기타 당업자에게 공지된 수면 장애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양태로서, 본 발명은 수면 무호흡증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사용하여, 종래의 치료제에 비해 보다 높은 효능 및 보다 낮은 부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N,N-디메틸-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아민 또는 이의 염, 예를 들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이다. 이러한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바람직한 형태는 이의 일수화물이다.
우울증 치료에 있어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 예를 들면, N,N-디메틸-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아민 및 이의 염의 제법 및 용도는 영국 특허공보 제2 098 602호에 기재되어 있다. 파킨슨병 치료에 있어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 예를 들면 N,N-디메틸-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아민 및 이의 염의 용도는 PCT 국제 공개공보 제WO 88/06444호에 기재되어 있다. 대뇌기능 장애의 치료에 있어서의 N,N-디메틸-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아민 및 이의 염의 용도는 미국 특허 제4,939,175호에 기재되어 있다. 비만 치료에 있어서의 N,N-디메틸-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용도는 PCT 국제 공개공보 제WO 90/06110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화합물의 특히 바람직한 형태는 유럽 특허 제230 742호에 기재되어 있는 N,N-디메틸-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일수화물(시부트라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이다. 손상된 글루코즈 내성 또는 인슐린 비의존성 진성당뇨병을 지닌 사람의 글루코즈 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N,N-디메틸-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아민 및 이의 염의 용도는 PCT 국제 공개공보 제WO 95/20949호에 기재되어 있다.
당업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키랄 중심을 함유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이 단일 키랄 중심을 함유하는 경우, 이는 2개의 에난티오머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각의 에난티오머 및 에난티오머 혼합물의 용도를 포함한다. 에난티오머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결정화로 분리될 수 있는 부분입체이성체 염 또는 착물의 형성; 예를 들면, 결정화, 기체-액체 또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될 수 있는 부분입체이성체 유도체의 형성; 특정 에난티오머와 에난티오머-특이적 시약과의 선택적 반응(예: 효소 산화 또는 환원) 후의, 개질된 에난티오머와 개질되지 않은 에난티오머의 분리; 또는 키랄 환경에서, 예를 들면, 키랄 지지체(예: 키랄 리간드가 결합된 실리카 또는 키랄 용매의 존재하의 실리카) 상에서 기체-액체 또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해될 수있다. 목적하는 에난티오머가 상기한 분리 공정 중 하나에 의해 또 다른 화학적 실체로 전환되는 경우, 목적하는 에난티오머 형태를 유리시키기 위한 추가 단계가 필요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는, 특정 에난티오머는 광학 활성 시약, 기질, 촉매 또는 용매를 사용하는 비대칭 합성법으로 합성하거나, 특정 에난티오머를 비대칭 변환에 의해 다른 에난티오머로 전환시켜 합성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N,N-디메틸-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아민, N-{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N-메틸아민, 및 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아민, 및 이의 라세미체, 각각의 에난티오머 및 혼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포함한다.
각각의 에난티오머는 광학 활성 전구체로부터 에난티오머 선택적(enantioselective) 합성법으로 제조하거나,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는 라세미체 화합물을 분해시켜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2급 아민의 에난티오머는 상응하는 1급 아민의 라세미체를 제조하고, 이를 각각의 에난티오머로 분해시킨 다음, 영국 특허공보 제2 098 602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으로 광학적으로 순수한 1급 아민 에난티오머를 목적하는 2급 아민으로 전환시켜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N-[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N-메틸아민;
(-)-N-{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N-메틸아민;
(+)-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아민;
(-)-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아민;
(+)-N-{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N,N-디메틸아민;
(-)-N-{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N,N-디메틸아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이 각각의 경우에 바람직하지만, 유리 염기 및 다른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도 또한 적합하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공지된 약제학적 투여형으로 투여될 수 있다. 화합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병리상태의 중증도와 환자의 과거 병력을 포함하는 다수의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언제나 주치의에 재량 범위내에 있지만, 일반적으로 화합물의 투여량 범위는 0.1 내지 50mg/일,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mg/일로서, 1회 이상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경구 투여형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조성물이고, 이들은 이와 같은 투여를 위한 공지된 약제학적 형태, 예를 들면, 정제, 캡슐제, 과립제, 시럽제 및 수성 또는 유성 현탁제이다. 이러한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부형제는 약학 분야에서 공지된 부형제이다. 정제는 활성 화합물과 충전제(예: 인산칼슘), 붕해제(예: 옥수수 전분), 윤활제(예: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결합제(예: 미정질 셀룰로즈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당해 혼합물을 공지된 방법으로 정제화시킬 수 있는 당업계에 공지된 기타 임의 성분과의 혼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정제는, 경우에 따라,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프탈레이트를 사용하는 장용 피복을 포함할 수 있는 부형제와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피복할 수 있다. 정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서방출시키기 위해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식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정제는, 경우에 따라,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를 사용하여 장용 피복물로 제공될 수 있다. 유사하게는, 부형제를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고서 활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캡슐제, 예를 들면, 경질 또는 연질 젤라틴 캡슐제를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하고, 경우에 따라, 공지된 방식으로 장용 피복물로 제공될 수 있다. 캡슐의 내용물은 활성 화합물을 서방출시키기 위해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정제 및 캡슐제는 편리하게는 각각 활성 화합물 1 내지 50mg, 바람직하게는 10mg 내지 15mg을 함유한다.
경구 투여용의 다른 투여형에는, 예를 들면, 무독성 현탁제(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의 존재하의 수성 매질 속에 활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수성 현탁제, 및 적합한 식물성 기름(예: 낙화생유) 속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유성 현탁제가 포함된다. 활성 화합물은 추가의 부형제의 존재 또는 부존재하에서 과립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과립제는 환자가 직접 섭취하거나, 섭취 전에 적합한 액체 담체(예: 물)에 첨가할 수 있다. 과립제는 붕해제, 예를 들면, 액체 매질에서의 분산을 촉진시키기 위해 산과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으로부터 형성된 비등 커플을 함유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치료학적 활성 화합물은 활성 화합물이 구강 점막을 통해 투여되도록 환자가 구강 속에 보유하는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직장 투여에 적합한 투여형은 이러한 투여를 위한 공지된 약제학적 형태, 예를 들면, 코코아 버터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기제를 함유하는 좌제이다.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투여형은 이러한 투여를 위한 공지된 약제 형태, 예를들면, 적합한 용매 속의 멸균 현탁제 또는 멸균 액제이다.
국소 투여를 위한 투여형은, 화합물을 경피적으로 투여하기 위해 당해 화합물이 피부와 접촉되도록 본 발명의 약리학적 활성 화합물이 분산되어 있는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적합한 경피 조성물은 약제학적 활성 화합물을 잠재적 경피 촉진제(예: 디메틸 설폭사이드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와 함께 국소 비히클[예: 광유, 석유 및/또는 왁스(예: 파라핀 왁스 또는 밀랍)]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는, 활성 화합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크림, 겔 또는 연고 기제중에 분산될 수 있다. 국소 제형물 속의 활성 화합물의 함량은 국소 제형물을 피부에 존재시키고자 하는 시간 동안 치료학적 유효량의 화합물이 전달되도록 하는 양이어야 한다.
화학식 I의 치료학적 활성 화합물은 환자의 구강 또는 비강내로 에어로졸로서 분산되는 조성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로졸은 펌프 팩으로부터 또는 휘발성 추진제를 함유하는 가압 팩으로부터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화학식 I의 치료학적 활성 화합물은, 예를 들면, 정맥내 주입으로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또는 체내에 존재하는 화합물의 공급원으로부터 연속 주입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내부 공급원에는, 예를 들면, 삼투현상으로 연속 방출되는 주입 화합물을 함유하는 이식된 저장고, 및 (a) 예를 들면, 도데카노에이트 염 또는 친지성 에스테르 등의 수중 난용성 유도체 형태의 주입 화합물의 유성 현탁액과 같은 액체 또는 (b) 주입 화합물용의 예를 들면, 합성 수지 또는 왁스 재료의 이식 지지체 형태의 고체일 수 있는 이식체가 포함된다. 지지체는 모든 화합물을 함유하는 단일 본체이거나, 전달하고자 하는 화합물의 일부를 각각 함유하는 일련의 수 개의 본체일 수 있다. 내부 공급원에 존재하는 활성 화합물의 양은 장시간에 걸쳐 치료학적 유효량의 화합물을 전달시키는 양이어야 한다.
몇몇 제형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예를 들면, 유체 에너지 연마로 수득한 바와 같은 크기가 매우 작은 입자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활성 화합물은, 경우에 따라, 다른 상용성 약리학적 활성 성분과 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면 무호흡증 및 코골기를 포함하는 수면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약제를 제조하는데 있어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수면 장애는 수면 무호흡증이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담체와 함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면 무호흡증 및 코골기를 포함하는 수면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수면 장애는 수면 무호흡증이다.
수면 무호흡증을 치료하는데 있어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효능은 아래 제시된 데이타 및 관련 집단에서의 임상 시험에서 입증된다.
모노아민 재흡수 억제제는 본 발명에서 기재한 특정 장애를 치료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화합물은 다수의 단점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먼저, 이러한 화합물이 모든 환자에게 효과적인 것은 아니다. 둘째, 화합물이 효과적인 경우에도, 이들은 당해 질병을 완전히 치유하지 못할 수도 있다. 셋째, 이러한 유형 화합물을 사용하는데는 다수의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부작용에는 오심, 성 기능장애, 경두통, 경면, 식은땀, 진전, 구내건조, 무력증, 불면증, 설사, 두통, 구토, 불안, 졸음, 현기증, 발열, 발진 또는 알레르기 반응, 관절통, 근육통, 경련, 경조증 및 조증이 포함된다.
시부타트라민(R1이 CH3이고 R2가 CH3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모노아민 재흡수 억제제 중에서 특유한 약리학적 프로필을 갖는다. 이의 약리학적 활성 대사물[화학식 I에서 R1이 H이고 R2가 CH3인 대사물 (1) 및 화학식 I에서 R1이 H이고 R2가 H인 대사물 (2)]을 통해, 시부트라민은 3개의 모든 모노아민의 재흡수를 억제하며, 이러한 점이 세로토닌(5-HT) 선택적 재흡수 억제제(예: 플루옥세틴), 노르아데날린-선택적 재흡수 억제제(예: 데시프라민), 도파민 선택적 재흡수 억제제(예: 부프로피온) 및 세로토닌-노르아데날린 재흡수 억제제(예: 벤라팍신)와 구별된다(표 1). 이러한 약리 작용의 특유의 조합이 시부트라민 및 화학식 I의 다른 화합물을 수면 무호흡증의 치료에서 유효하게 한다. 하기의 분석은 국제 공개공보 제WO 98/41528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한다.
랫트 뇌 조직에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시험관내 모노아민 재흡수 억제 프로파일과 각종 참조 모노아민 재흡수 억제제의 비교
Ki(nM)
[3H]노르아데날린 [3H]5-HT [3H]도파민
실시예 1 3 18 24
실시예 2 5 26 31
부프로피온 2590 18312 409
데시프라민 2 200 4853
플루옥세틴 320 11 2025
벤라팍신 196 26 2594
이 결과는 3회 이상의 별도의 측정치의 평균이다.
실시예 1(R1이 H이고 R2가 CH3인 화학식 I의 화합물)
실시예 2(R1이 H이고 R2가 H인 화학식 I의 화합물)
임상 시험
연구 계획: 암상적으로 관련있는 비만(BMI >30) 및 수면 무호흡증을 겪고있는 5명의 지원 환자가 참여한 개방 조사 연구를 수행한다. 모든 환자(3f, 2m)를 6 내지 14주의 기간에 걸쳐 매일 시부트라민 10 또는 15mg/kg을 사용하여 치료한다. 다른 대조용 치료는 적용하지 않는다.
방법: 담당 의사로 부터 ReducitiR(Knoll)를 처방받은 체중을 줄이고자 하는 환자에게 이러한 자발적 관찰 연구에 참여할 것을 요청한다. 모든 환자는 치료중 식생활을 변화시키고자 하며, 최소한 적당한 육체적 훈련(1주일에 2회, 30분 이상)을 수행하고자 한다. 환자를 치료 전 및 후에 면담하고, 이들의 파트너에게 코골기 행위에 대해 관찰해 줄 것을 요청한다. 환자들에게 낮시간의 졸음의 극심함을 스스로 평가할 것을 요청하고, 또한 그들의 파트너에게 코골기의 빈도 및 정도 뿐아니라 무호흡의 증상에 대해 관찰해 줄 것을 요청한다.
결과: 평균 BMI는 치료전 34이고, 치료 종료시 29이다. 각 경우에, 치료하에 평균 14kg(=14.6%; -7% 내지 -22%의 범위)의 체중 감소가 일어난다. 모든 환자가 치료 기간전에는 다소 내지 심하게 코를 골았으며(0 내지 3 스케일에서 평균 스코어 2.2), 5명의 환자중 4명은 동료의 수면을 심하게 방해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모든 환자는 이들의 동반 수면자의 보고에 의하면 밤동안의 수면중에 호흡을 정지하였다. 모든 환자는 낮시간에 다소 내지 심하게 조는 것으로 보고되었다(스케일 0 내지 3에서 평균 스코어 2). 치료 후, 동반 수면자에 의한 관찰에 따르면, 코골기는 스케일 평균 1로 감소하였다. 환자는 자신의 졸음 스케일이 2.0에서 0.6으로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개인적으로 모두 나아진 것을 느꼈으며, 5명중 4명은 분명히 낮시간의 졸음이 감소하였다. 각성 지수 AI는 평균 23.5에서 10.0으로 개선되었다. 이는 평균 -57%(-25% 내지 -67% 범위)의 감소이다. 5명의 환자중 3명은 입을 다문 상태에서의 호흡의 편안함이 시부트라민 치료하에서 개선되었으나, 이는 2명의 환자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매일 15mg 및 20mg의 투여시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익한 효과가, 설문을 이용하는 이중맹검의, 무작위추출된, 위약-조절된 임상 시험에서, 또는 치료 기간 전 및 후에 IEC-I형 테잎을 사용하여, 24 내지 36시간 동안 Rozin/GeTeMed 테잎 기록계 장치에 의한 Holter ecg를 기록함으로써 확인되었다. ecg 데이터를 컴퓨터-처리하여, 각성을 연구할 수 있다.
임상적으로 관련있는 비만으로 고생하는 150명의 환자를 관찰한 임상 연구에서, 그들중 심각한 수면 무호흡증 문제가 있는 다수, 36명 환자의 아집단을 컴퓨터에 지지된 각성/무호흡증 인식을 위해 임의로 선발한다. 제1주(예비치료) 및 제12주의 치료시 2일 밤 연속하여 기록하고, 수면 시간당 각성 수를 평가한다. 이 결과로 부터, 시부트라민 20mg/일의 치료 동안 각성 수의 감소에 있어서 임상적으로 유의적인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위약과 비교하여, 이는 5%-수준으로 유의적이다(p=0.0227). 매우 지나치게 낮시간에 졸음이 오던 일부 환자에서, 졸음 증상이 분명히 감소되었다.

Claims (15)

  1. 치료학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에난티오머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담체와 함께 수면 장애로 고생하는 사람에게 투여함을 특징으로 하여, 수면 무호흡증 및 코골기를 포함하는 수면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
    화학식 I
    상기식에서,
    R1과 R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메틸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수면 장애가 수면 무호흡증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N,N-디메틸-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일수화물 형태의 N,N-디메틸-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인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N-[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N-메틸아민;
    (-)-N-{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N-메틸아민;
    (+)-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아민;
    (-)-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아민;
    (+)-N-{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N,N-디메틸아민;
    (-)-N-{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N,N-디메틸아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6. 수면 무호흡증 및 코골기를 포함하는 수면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약제를 제조하는데 있어서의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에난티오머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의 용도.
    화학식 I
    상기식에서,
    R1과 R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메틸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약제가 수면 무호흡증을 치료하기 위한 것인 용도.
  8. 제6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N,N-디메틸-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인 용도.
  9. 제8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N,N-디메틸-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일수화물인 용도.
  10. 제6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N-[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N-메틸아민;
    (-)-N-{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N-메틸아민;
    (+)-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아민;
    (-)-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아민;
    (+)-N-{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N,N-디메틸아민;
    (-)-N-{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N,N-디메틸아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용도.
  11. 치료학적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에난티오머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수면 무호흡증 및 코골기를 포함하는 수면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화학식 I
    상기식에서,
    R1과 R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메틸이다.
  12. 제11항에 있어서, 수면 장애가 수면 무호흡증인 약제학적 조성물.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N,N-디메틸-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인 약제학적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N,N-디메틸-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일수화물인 약제학적 조성물.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N-[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N-메틸아민;
    (-)-N-{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N-메틸아민;
    (+)-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아민;
    (-)-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아민;
    (+)-N-{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N,N-디메틸아민;
    (-)-N-{1-[1-(4-클로로페닐)사이클로부틸]-3-메틸부틸}-N,N-디메틸아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017011955A 1999-03-19 2000-03-17 수면 무호흡증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06822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518599P 1999-03-19 1999-03-19
US60/125,185 1999-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847A true KR20010113847A (ko) 2001-12-28
KR100682291B1 KR100682291B1 (ko) 2007-02-15

Family

ID=22418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1955A KR100682291B1 (ko) 1999-03-19 2000-03-17 수면 무호흡증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1) US6365631B1 (ko)
EP (1) EP1169029B1 (ko)
JP (1) JP2003521469A (ko)
KR (1) KR100682291B1 (ko)
CN (1) CN1161114C (ko)
AT (1) ATE294573T1 (ko)
AU (1) AU773489B2 (ko)
BG (1) BG106001A (ko)
BR (1) BR0009080A (ko)
CA (1) CA2367022A1 (ko)
CZ (1) CZ298293B6 (ko)
DE (1) DE60019914T2 (ko)
DK (1) DK1169029T3 (ko)
ES (1) ES2244420T3 (ko)
HK (1) HK1044462B (ko)
HU (1) HUP0200501A3 (ko)
IL (2) IL145244A (ko)
MX (1) MXPA01009464A (ko)
NO (1) NO20014475L (ko)
NZ (1) NZ514014A (ko)
PL (1) PL359467A1 (ko)
PT (1) PT1169029E (ko)
SI (1) SI1169029T1 (ko)
SK (1) SK285308B6 (ko)
WO (1) WO2000056314A1 (ko)
ZA (1) ZA2001076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6078B2 (en) 1999-08-11 2002-11-05 Sepracor, Inc. Methods of using sibutramine metabolites in combination with a phosphodiesterase inhibitor to treat sexual dysfunction
US6974838B2 (en) 1998-08-24 2005-12-13 Sepracor Inc. Methods of treating or preventing pain using sibutramine metabolites
US6399826B1 (en) 1999-08-11 2002-06-04 Sepracor Inc. Salts of sibutramine metabolites, methods of making sibutramine metabolites and intermediates useful in the same, and methods of treating pain
WO2002083631A1 (en) 2001-04-13 2002-10-24 Sepracor Inc. Methods of preparing didesmethylsibutramine and other sibutramine derivatives
EP1545484A4 (en) * 2002-10-05 2010-01-13 Hanmi Pharm Ind Co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CRYSTALLINE SIBUTRAMINE METHANESULFONATE HEMIHYDRATE
US20050131074A1 (en) * 2003-08-04 2005-06-16 Beckman Kristen M. Methods for treating metabolic syndrome
US20050228052A1 (en) * 2004-01-29 2005-10-13 Barberich Timothy J Methods of treating, preventing and managing a sleep disorder using (S)-didesmethylsibutramine
DK1742624T3 (da) 2004-02-18 2010-03-08 Sepracor Inc Dopamin-agonist-kombinationsterapi med sedativer til forbedring af søvnkvalitet
KR100627687B1 (ko) * 2005-04-20 2006-09-25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시부트라민 유리염기 함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U2007322477A1 (en) * 2006-11-22 2008-05-29 Sk Chemicals Co., Ltd. Inclusion complex of sibutramine and beta-cyclodextri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531071D0 (en) * 1985-12-17 1986-01-29 Boots Co Plc Therapeutic compound
IE61928B1 (en) * 1988-11-29 1994-11-30 Boots Co Plc Treatment of obesity
US5356934A (en) * 1990-03-29 1994-10-18 Eli Lilly And Company Selected serotonin subtype receptor agonist to treat sleep apnea
US5459164A (en) * 1994-02-03 1995-10-17 Boots Pharmaceuticals, Inc. Medical trea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56897A (zh) 2002-07-03
WO2000056314A1 (en) 2000-09-28
NO20014475D0 (no) 2001-09-14
IL145244A0 (en) 2002-06-30
CA2367022A1 (en) 2000-09-28
BR0009080A (pt) 2002-02-13
ES2244420T3 (es) 2005-12-16
US6365631B1 (en) 2002-04-02
KR100682291B1 (ko) 2007-02-15
ATE294573T1 (de) 2005-05-15
NO20014475L (no) 2001-11-14
SK285308B6 (sk) 2006-10-05
HK1044462B (zh) 2006-03-03
HK1044462A1 (en) 2002-10-25
JP2003521469A (ja) 2003-07-15
MXPA01009464A (es) 2004-03-19
BG106001A (en) 2002-06-28
AU3896800A (en) 2000-10-09
DE60019914D1 (de) 2005-06-09
EP1169029A4 (en) 2004-01-21
DK1169029T3 (da) 2005-08-29
NZ514014A (en) 2004-02-27
CN1161114C (zh) 2004-08-11
PL359467A1 (en) 2004-08-23
CZ20013280A3 (cs) 2002-07-17
DE60019914T2 (de) 2006-05-04
EP1169029A1 (en) 2002-01-09
CZ298293B6 (cs) 2007-08-15
HUP0200501A3 (en) 2004-03-29
SI1169029T1 (sl) 2005-12-31
PT1169029E (pt) 2005-08-31
AU773489B2 (en) 2004-05-27
IL177626A0 (en) 2006-12-31
ZA200107678B (en) 2003-06-18
EP1169029B1 (en) 2005-05-04
HUP0200501A2 (en) 2002-08-28
SK13382001A3 (sk) 2002-04-04
IL145244A (en) 2006-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2291B1 (ko) 수면 무호흡증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US6376553B1 (en) Treatment of pain
US6376552B1 (en) Treatment of gallstones
WO2000056318A1 (en) Treatment of neuropathic pain or fibromyalgia
US6372797B1 (en) Treatment of menstrual function
WO2000056310A1 (en) Treatment of chronic fatigue syndrome
US6380260B1 (en) Treatment to lower platelet adhesiveness
US6232347B1 (en) Treatment of osteoarthritis
AU773490B2 (en) Treatment of osteoarthritis
WO2000056311A1 (en) Control of metabolism
WO2000056148A1 (en) Treatment of pharmacology of drug misuse and other addictive disorders
US6433020B1 (en)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CA2366652A1 (en) Treatment of pulmonary hypertension
KR20030006909A (ko) 열공 탈장의 치료
EP1165060A1 (en) Treatment of gallstones
KR20010113848A (ko) 임신 후 체중 감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