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2044A -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2044A
KR20010112044A KR1020000086777A KR20000086777A KR20010112044A KR 20010112044 A KR20010112044 A KR 20010112044A KR 1020000086777 A KR1020000086777 A KR 1020000086777A KR 20000086777 A KR20000086777 A KR 20000086777A KR 20010112044 A KR20010112044 A KR 20010112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outdoor fan
compressor
mod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6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3023B1 (ko
Inventor
김종엽
문제명
조일용
김영만
문중기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EP01900793A priority Critical patent/EP1287297A4/en
Priority to AU25566/01A priority patent/AU2556601A/en
Priority to US10/019,532 priority patent/US6711909B2/en
Priority to JP2002502364A priority patent/JP3688268B2/ja
Priority to CNB018012671A priority patent/CN1148544C/zh
Priority to PCT/KR2001/000022 priority patent/WO2001094858A1/en
Publication of KR20010112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0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absorption or discharge of heat in outdoor units
    • F24F11/871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absorption or discharge of heat in outdoor units by controlling outdo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실외기(8)와 실내기(9)를 포함한다. 실외기(8)는 펄스폭변조방식으로 제어되는 압축기(2)와 실외열교환기(3)를 포함하고, 또한 실외열교환기(3) 부근에 설치된 제1실외팬(30)과 제2실외팬(31)을 포함한다. 제1실외팬(30)과 제2실외팬(31)은 좌우로 나란히 설치되어 외부공기가 실외열교환기(3)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실외열교환기(3)에서 열교환이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제1실외팬(30)과 제2실외팬(31)은 압축기(2)에서의 냉매 토출량 및 외부조건에 따라 운전모드가 결정된다. 실외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실외온도센서(33)가 실외제어부(27)의 입력포트에 연결되고, 제1실외팬(30)과 제2실외팬(31)을 각각 구동하는 제1실외팬구동부(34)와 제2실외팬구동부(35)가 실외제어부(27)의 출력포트에 연결된다. 실외제어부(27)는 실외온도센서(33)로부터 입력된 실외온도 데이터와 압축기(2)의 로딩 타임을 확인하여 제1실외팬구동부(34)와 제2실외팬구동부(35)를 제어함으로써 제1실외팬(30)과 제2실외팬(31)을 소정의 운전모드로 운전시킨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Outdoor fan control system of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펄스 폭 변조 방식의 압축기를 채용한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에서 응축기 즉 실외측 열교환기는 실외기에 설치되어 주위에 열을 방출시킴으로써 냉매를 응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실외측 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량은 송풍팬의 회전속도와 실외온도에 따라 변하는데, 이러한 열교환량의 변화는 실내기의 냉방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실외온도가 낮은 경우 냉매와 실외공기와의 온도차가 크기 때문에 실외측 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량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증발기 즉 실내측 열교환기에서의 냉매의 증발온도가 낮아져 실내측 열교환기 표면이 동결될 우려가 있고 그럴 경우 실내기의 냉방능력이 저하된다.
한편, 실외온도가 높으면 냉매와 실외공기와의 온도차가 작기 때문에 실외측 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량은 감소한다. 따라서 실내측 열교환기에서 증발온도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실내측 열교환기에서의 냉매의 열교환량이 감소하여 실내기의 냉방능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실외온도의 고저에 관계없이 실내기의 냉방능력을 항상 최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실외온도의 변화에 따라 실외측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는 실외온도의 고저에 따라 실외팬의 회전속도를 고속과 저속의 2단으로 조절하였다. 이는 통상 실외팬이 하나인 경우뿐만 아니라 복수개인 경우에도 동일하였다. 즉, 실외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실외측 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복수개의 실외팬을 동시에 저속으로 운전하였으며, 실외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실외측 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실외팬을 동시에 고속으로 운전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방법에 의하면, 실외온도만을 고려하여 실외팬을 제어하기 때문에 인버터 압축기나 피더블유엠(PWM) 압축기와 같이 시간에 따라 냉매 압축 및 토출량이 가변하는 경우에는 실외측 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량을 항상 일정하게 조절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PWM 압축기의 경우는 압축기의 운전 중에도 냉매의 토출이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압축기의 운전 중에 냉매의 토출이 있는 로딩(loading)과 냉매의 토출이 없는 언로딩(unloading)이 교대로 일어나기 때문에 시간에 따라 냉매의 압축량과 토출량은 변하고 따라서 실외측 열교환기를 통하여 흐르는 냉매의 양이 변한다. 즉, 로딩 타임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에는 실외측 열교환기로 흐르는 냉매의 양도 상대적으로 적게 되는데, 이때 실외팬의 회전속도가 일정하다면 실외측 열교환기를 흐르는 냉매의 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과도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냉매의 과냉으로 인하여 실내기의 냉방능력이 저하된다. 한편, 로딩 타임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에는 실외측 열교환기로 흐르는 냉매의 양도 상대적으로많게 되는데, 이 때에도 실외팬의 회전속도가 일정하다면 실외측 열교환기를 흐르는 냉매의 양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미흡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냉매의 응축압력의 상승으로 인하여 실내기의 냉방능력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배경 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펄스 폭 변조 방식으로 제어되는 압축기를 채용한 공기조화기에서 실외측 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량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실내기의 냉방능력을 적절하게 발휘할 수 있게 하는 실외팬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 시스템의 사이클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채용된 피더블유엠(PWM) 압축기의 로딩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언로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압축기의 운전 중에 로딩 및 언로딩과 냉매 토출량과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 압축기 5: 실내열교환기
8: 실외기 9: 실내기
26: PWM밸브 27: 실외제어부
28: 실외통신회로부 29: 실내제어부
30: 제1실외팬 31: 제2실외팬
33: 실외온도센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실외팬 제어 시스템은,운전 중에 냉매의 토출량이 가변될 수 있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와 연결된 실외열교환기,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부근에 설치된 실외팬, 실외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실외온도센서, 상기 실외온도센서에서 센싱한 실외온도와 상기 압축기의 냉매 토출량에 따라 미리 정해진 운전모드로 상기 실외팬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실외팬 제어 방법은, 펄스폭변조방식으로 제어되는 압축기를 갖는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방법으로, 실외온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압축기의 로딩 타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검출된 상기 실외온도와 상기 압축기의 로딩 타임에 기초해서 미리 정해진 운전모드로 상기 실외팬을 운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이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는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냉매관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결된 압축기(2), 실외열교환기(3), 전동팽창밸브(4), 그리고 실내열교환기(5)를 포함한다. 냉매관 중에서 압축기(2)의 토출측과 전동팽창밸브(4)의 유입측을 연결하는 냉매관은 압축기(2)에서 토출된 고압 냉매의 흐름을 안내하는 고압관(6)이고, 전동팽창밸브(4)의 유출측과 압축기(2)의 흡입측을 연결하는 냉매관은 전동팽창밸브(4)에서 팽창된 저압 냉매의 흐름을 안내하는 저압관(7)이다. 실외열교환기(3)는 고압관(6)의 중도에 설치되고, 실내열교환기(5)는 저압관(7)의 중도에 설치된다. 압축기(2)가 운전하면 냉매는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흐른다.
한편,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는 실외기(8)와 실내기(9)를 포함한다. 실외기(8)는 전술한 압축기(2)와 실외열교환기(3)를 포함하며, 압축기(2) 상류의 저압관(7)에 설치된 어큐뮬레이터(10)와 실외열교환기(3)의 하류의 고압관(6)에 설치된 리시버(11)를 포함한다. 어큐뮬레이터(10)는 실내열교환기(5)에서 미처 증발하지 못한 액냉매를 모아 기화시켜 압축기(2)로 유입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실내열교환기(5)에서 완전한 증발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어큐뮬레이터(10)로 들어오는 냉매는 액체와 기체 상태의 혼합인데, 어큐뮬레이터(10)는 액상의 냉매를 기화시켜 기체 상태의 냉매(가스 냉매)만이 압축기로 흡입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어큐뮬레이터(10) 내부의 냉매관 입구단과 냉매관 출구단은 어큐뮬레이터(10) 내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사하게 실외열교환기(3)에서 완전한 응축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리시버(11)로 들어오는 냉매는 액상과 기상의 혼합이다. 리시버(11)는 액상의 냉매과 기상의 냉매를 분리하여 액상의 냉매만을 유출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리시버(11)의 내부의 냉매관 입구단과 출구단은 리시버(11) 내부의 하측까지 연장된다.
리시버(11) 내부의 기체 상태의 냉매를 바이패싱하기 위해 리시버(11)와 어큐뮬레이터(10) 상류의 저압관(7)을 연결시키는 벤트바이패스관(12)이 마련된다. 벤트바이패스관(12)의 입구단은 리시버(11)의 상측에 마련되어 기상의 냉매만이 유입되게 하며 중도에는 벤트밸브(13)가 마련되어 리시버(11) 내부의 기체 상태 냉매의 바이패싱을 조절한다. 따라서 리시버(11) 내부의 가스 냉매는 벤트밸브(13)의 작동에 의해 이점쇄선 화살표 방향으로 흐른다.
리시버(11)에서 나오는 고압관은 어큐뮬레이터(10)를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이 고압관을 통과하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냉매를 이용하여 어큐뮬레이터(10) 내의 저온의 액상 냉매를 기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어큐뮬레이터(10)에서의 기화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어큐뮬레이터(10) 내부의 저압 냉매관은 U 형상으로 형성되고, 어큐뮬레이터(10)를 통과하는 고압 냉매관은 U 형 저압 냉매관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실외기(8)는 압축기(2)에서 실외열교환기(3)에 이르는 고압관(6)과 어큐뮬레이터(10)를 연결하는 핫가스바이패스관(14)과 리시버(11)의 하류와 어큘뮬레이터(10)의 상류를 연결하는 리퀴드바이패스관(15)을 포함한다.핫가스바이패스관(14)의 중도에는 핫가스밸브(16)가 설치되어 바이패스되는 핫가스의 유량을 조절하고 리퀴드바이패스관(15)의 중도에는 리퀴드밸브(17)가 설치되어 바이패스되는 액냉매의 유량을 조절한다. 따라서 핫가스밸브(16)가 개방되면 압축기(2)에서 나온 핫가스의 일부는 핫가스바이패스관(14)을 따라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흐르고, 리퀴드밸브(17)가 개방되면 리시버(11)에서 나온 액냉매의 일부는 리퀴드바이패스관(15)을 따라 일점쇄선 화살표 방향으로 흐른다.
한편, 실외기(8)는 실외열교환기(3) 부근에 설치된 제1실외팬(30)과 제2실외팬(31)을 포함한다. 제1실외팬(30)과 제2실외팬(31)은 좌우로 나란히 설치되어 외부공기가 실외열교환기(3)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실외열교환기(3)에서 열교환이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제1실외팬(30)과 제2실외팬(31)은 압축기(2)에서의 냉매 토출량 및 외부조건에 따라 운전모드가 결정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실외기(8)는 실외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실외온도센서(33)를 포함한다.
실내기(9)는 여러 개가 병렬로 배치되며, 각 실내기(9)는 전동팽창밸브(4)와 실내열교환기(5)를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의 실외기(8)에 여러 개의 실내기(9)가 연결된 형태를 취한다. 그리고 각 실내기(9)의 용량과 형태는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도 2a와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로는 펄스폭 변조방식으로 제어되는 능력가변형 압축기(2)가 사용된다. 압축기(2)는 흡입구(18)와 토출구(19)가 마련된 케이싱(20)과, 이 케이싱(20) 내부에 설치된 모터(21)와, 이 모터(21)의 회전력를 받아 회전하는 선회스크롤(22)과, 선회스크롤(22)과의 사이에 압축실(23)을 형성하는 고정스크롤(24)을 포함한다. 케이싱(20)에는 고정스크롤(24)의 상측과 흡입구(18)를 연결하는 바이패스관(25)이 설치되고, 이 바이패스관(25)에는 솔레노이드 밸브 형태의 PWM밸브(Pulse Width Modulated Valve; 26))가 설치된다. 도 2a는 PWM밸브(26)가 오프되어 바이패스관(25)을 막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 상태에서는 압축기(2)는 압축된 냉매를 토출한다. 이러한 상태를 로딩(loading)이라 하고 이때 압축기(2)는 100%의 용량으로 운전한다. 도 2b는 PWM밸브(26)가 온되어 바이패스관(25)을 열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때 냉매는 압축기(2)에서 토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를 언로딩(unloading)이라 하고 압축기(2)는 0%의 용량으로 운전하게 된다. 로딩 상태이든 언로딩 상태이든 압축기(2)에는 전원이 공급되고 모터(21)는 일정한 속도로 회전한다. 압축기(2)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면 모터(21)는 회전하지 않고 압축기(2)의 운전은 정지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2)는 운전하는 동안에 일정한 주기로 로딩과 언로딩을 반복한다. 그리고 각 주기에서 로딩 타임과 언로딩 타임은 냉방요구능력에 따라 변하며, 로딩 타임에서 압축기(2)는 냉매를 토출하므로 실내열교환기(5)의 온도는 하강하고, 언로딩 타임에서 압축기(2)는 냉매를 토출하지 않으므로 실내열교환기(5)의 온도는 상승한다. 도 3에서 빗금친 부분의 면적은 냉매 토출량을 나타낸다. 로딩 타임과 언로딩 타임을 제어하는 신호를 듀티 제어 신호라 한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서 주기는 일정하게 예를 들어 20초로 정해 놓고 실내기(9)의 총 냉방요구능력에 따라 로딩 타임과 언로딩 타임을 변화시켜 압축기(2)의 능력을 가변시키는 방식을 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8)는 압축기(2) 및 PWM밸브(26)와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된 실외제어부(27)를 포함한다. 실외제어부(27)는 실외 통신회로부(28)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실외온도센서(33)가 실외제어부(27)의 입력포트에 연결되고, 제1실외팬(30)과 제2실외팬(31)을 각각 구동하는 제1실외팬구동부(34)와 제2실외팬구동부(35)가 실외제어부(27)의 출력포트에 연결된다. 실외제어부(27)는 실외온도센서(33)로부터 입력된 실외온도 데이터와 압축기(2)의 로딩 타임을 확인하여 제1실외팬구동부(34)와 제2실외팬구동부(35)를 제어함으로써 제1실외팬(30)과 제2실외팬(31)을 소정의 운전모드로 운전시킨다.
각 실내기(9)는 실내제어부(29)와 실외기(8)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연결된 실내 통신회로부(32)를 포함한다. 실외 통신회로부(28)와 실내 통신회로부는(32)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실내제어부(29)의 입력포트에는 온도검지부(30)와 온도설정부(31)가 연결되고, 출력포트에는 전동팽창밸브(4)가 연결된다. 온도검지부(30)는 조화공간인 실내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이다. 실내제어부(29)는 온도검지부(30) 및 온도설정부(31)로부터 신호를 받아 실내온도와 설정온도의 차에 기초하여 실내기(9)의 냉방요구능력을 산출한다. 이렇게 산출된 냉방요구능력에 따라 압축기(2)의 로딩 타임이 결정된다.
제1실외팬(30)과 제2실외팬(31)은 각각 정지모드, 저속모드, 고속모드의 3가지 운전모드를 갖는다. 그리고 2개의 팬의 조합에 의한 운전모드는 다음과 같다.
[표 1]
모드 제1실외팬 제2실외팬
5 고속 고속
4 저속 고속
3 저속 저속
2 정지 고속
1 정지 저속
0 정지 정지
즉, 2개의 팬의 조합에 의한 운전모드는 6가지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2개의 팬을 사용하였지만 1개의 팬만으로도 운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운전모드는 정지, 저속, 고속의 3가지이다.
위의 운전모드는 실외온도와 압축기(2)의 로딩 타임에 따라 미리 정해진다. 표 2는 7. 5마력 압축기(2)의 듀티 사이클 제어주기가 20초일 경우 실외온도와 로딩 타임에 따른 운전모드를 보여준다.
[표 2]
실외온도
로딩타임 7℃ 이하 8∼12℃ 13∼17℃ 18∼22℃ 23∼27℃ 28℃ 이상
10초 이상 0 2 3 4 5 5
5초∼9초 0 1 2 3 4 5
4초 이하 0 0 1 2 3 5
위의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운전모드는 실외온도가 높을수록 압축기(2)의 로딩 타임이 길어질수록(압축기 로딩 타임이 길어질수록 압축기의 냉매 토출량이 많아진다) 제1실외팬(30)과 제2실외팬(31)의 회전속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설정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실외팬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압축기(2)의 운전이 시작되면 실외제어부(27)는 실외온도 및 압축기의 로딩 타임을 수신한다(S101). 실외온도는 실외온도센서(33)에 의해 검출되고, 압축기(2)가 운전되는 경우에는 실외제어부(27)는 압축기(2)의 로딩 타임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다. 다음에 실외온도와 압축기의 로딩 타임에 따라 운전모드를 선택한다(S102). 운전모드의 선택은 표 2에서와 같이 미리 정해진 대로 6가지 모드 중에서 하나로 선택된다.
다음에 선택된 운전모드을 수행하기 전에 제1실외팬(30)이나 제2실외팬(31)이 정지상태에 있었는가를 판단하여(S103), 제1실외팬(30)이나 제2실외팬(31)이 정지상태에 있었던 경우에는 그 실외팬을 선택된 운전모드에 관계없이 고속으로 운전한다(S104). 즉, 제1실외팬(30)과 제2실외팬(31)이 모두 정지 상태에 있었으면 모드 5로 운전한다. 이는 실외팬 구동 모터의 기동시의 파워 보강을 위함이며 이러한 운전은 2∼5초(바람직하기로는 3초)간 계속된다.
단계 103에서 실외팬이 정지 상태에 있지 않았다고 판단되거나 단계 104에서 3초가 경과하면 단계102에서 선택된 운전모드로 실외팬을 운전한다(S105). 예를 들어 실외온도가 7℃이하인 경우 압축기(2)의 로딩 타임에 상관없이 0 모드로 선택되고, 0 모드에서는 제1실외팬(30)과 제2실외팬(31)을 모두 정지된다. 이 상태에서 실외온도가 15℃이고 압축기의 로딩 타임이 12초이면 표 2에 따라 운전모드는 3모드로 선택된다. 그러나 곧바로 선택된 3 운전모드로 실외팬을 운전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5모드로 제1실외팬(30)과 제2실외팬(31)을 고속으로 3초간 운전한 후, 선택된 3모드로 운전한다. 따라 제1실외팬(30)과 제2실외팬(31)은 모두 고속모드에서 저속모드로 전환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펄스폭변조 방식으로 제어되는 압축기의 로딩 타임과 실외온도를 고려하여 실외팬을 제어함으로써 실외 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량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실내기의 냉방능력을 적절하게 발휘할 수 있다.

Claims (11)

  1. 운전 중에 냉매의 토출량이 가변될 수 있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와 연결된 실외열교환기,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부근에 설치된 실외팬,
    실외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실외온도센서,
    상기 실외온도센서에서 센싱한 실외온도와 상기 압축기의 냉매 토출량에 따라 미리 정해진 운전모드로 상기 실외팬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실외팬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운전모드는 상기 실외온도가 높을수록 상기 압축기의 냉매 토출량이 많을수록 상기 실외팬의 회전속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외팬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실외팬은 1개이고, 운전모드는 정지모드, 저속모드, 고속모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실외팬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실외팬은 운전모드가 각각 정지모드, 저속모드, 고속모드인 2개의 팬을 포함하며, 상기 2개 팬의 운전모드의 조합은 정지-정지, 정지-저속, 정지-고속, 저속-저속, 저속-고속, 고속-고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외팬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서,
    상기 압축기는 듀티제어신호에 따라 펄스폭변조 방식으로 제어되는 압축기이고, 상기 압축기의 냉매 토출량은 로딩 타임에 의해 추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외팬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서,
    상기 압축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는 실외기를 구성하고, 상기 팽창밸브와 상기 실내열교환기는 실내기를 구성하되, 상기 실내기는 다수개가 병렬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외팬 제어 시스템.
  7. 펄스폭변조방식으로 제어되는 압축기를 갖는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방법으로,
    실외온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압축기의 로딩 타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검출된 상기 실외온도와 상기 압축기의 로딩 타임에 기초해서미리 정해진 운전모드로 상기 실외팬을 운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실외팬 제어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운전모드는 상기 실외온도가 높을수록 상기 로딩 타임이 많을수록 상기 실외팬의 회전속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외팬 제어 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실외팬의 운전모드는 정지모드, 저속모드, 고속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팬의 운전모드를 정지모드에서 다른 모드로 전환할 경우에는 먼저 소정 시간 동안 고속모드로 운전시킨 후 해당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외팬 제어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소정 시간은 2 ∼ 5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외팬 제어 방법.
  11. 제7항에서,
    상기 실외팬은 운전모드가 각각 정지모드, 저속모드, 고속모드인 2개의 팬을포함하며, 상기 2개 팬의 운전모드는 상기 2개의 팬의 정지-정지, 정지-저속, 정지-고속, 저속-저속, 저속-고속, 고속-고속으로 6단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외팬 제어 시스템.
KR10-2000-0086777A 2000-06-09 2000-12-30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403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1900793A EP1287297A4 (en) 2000-06-09 2001-01-05 CONTROL SYSTEM OF THE EXTERNAL AIR INTAKE AND RELATED METHOD
AU25566/01A AU2556601A (en) 2000-06-09 2001-01-05 Outdoor fan control system of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019,532 US6711909B2 (en) 2000-06-09 2001-01-05 Outdoor fan control system of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2502364A JP3688268B2 (ja) 2000-06-09 2001-01-05 空気調和機の室外ファン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CNB018012671A CN1148544C (zh) 2000-06-09 2001-01-05 空调器的室外风扇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PCT/KR2001/000022 WO2001094858A1 (en) 2000-06-09 2001-01-05 Outdoor fan control system of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1533 2000-06-09
KR20000031533 2000-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044A true KR20010112044A (ko) 2001-12-20
KR100403023B1 KR100403023B1 (ko) 2003-10-23

Family

ID=4593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6777A KR100403023B1 (ko) 2000-06-09 2000-12-30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30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1409A (zh) * 2017-10-19 2018-01-2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4055A (en) * 1987-09-25 1989-03-29 Matsushita Refrigeration Multiple chamber type air conditioner
JP2869904B2 (ja) * 1991-09-25 1999-03-10 株式会社ゼクセル 冷凍サイクル制御装置
JPH06221649A (ja) * 1993-01-28 1994-08-12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US5741120A (en) * 1995-06-07 1998-04-21 Copeland Corporation Capacity modulated scroll machine
KR20000055119A (ko) * 1999-02-03 2000-09-05 구자홍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3023B1 (ko) 200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98374B2 (ja) 空気調和機の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EP0725255B1 (en) Heat pump air conditioner for use in cold districts
JP3574447B2 (ja) 空気調和機の起動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3688268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ファン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9464836B2 (en) Air conditioner and starting control method thereof
JP3625816B2 (ja) 空気調和機の起動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CN106958958B (zh) 空气调节装置
US6826924B2 (en) Heat pump apparatus
US20040237578A1 (en) Regrigeration equipment
WO2009023756A2 (en) Vapor compression system and frost control
JP2004020064A (ja) 多室形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3843331B2 (ja) 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及び室外機
KR100403023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팬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1202884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039591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395920B1 (ko) 공기조화기의 기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7047416B2 (ja) 空気調和機
KR100373075B1 (ko) 공기조화기의 기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3042585A (ja) 空気調和機
KR20020071223A (ko) 공기조화기의 과열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9115385A (ja) 冷凍装置
KR100364535B1 (ko) 냉난방 겸용 멀티형 공기조화기
KR100316042B1 (ko) 창문형에어컨의습압축제거방법
JP2022070158A (ja) 空気調和装置
JPH02149790A (ja) ロータリ圧縮機の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