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1643A - 압축기 사판의 최대경사각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압축기 사판의 최대경사각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1643A
KR20010111643A KR1020000032186A KR20000032186A KR20010111643A KR 20010111643 A KR20010111643 A KR 20010111643A KR 1020000032186 A KR1020000032186 A KR 1020000032186A KR 20000032186 A KR20000032186 A KR 20000032186A KR 20010111643 A KR20010111643 A KR 20010111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ash plate
center
compressor
inclination angle
maxim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2877B1 (ko
Inventor
안휴남
Original Assignee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주,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영주
Priority to KR1020000032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2877B1/ko
Priority to EP01114161A priority patent/EP1164288B1/en
Priority to DE60119623T priority patent/DE60119623T2/de
Priority to PT01114161T priority patent/PT1164288E/pt
Priority to US09/879,278 priority patent/US6553890B2/en
Priority to JP2001177628A priority patent/JP3680097B2/ja
Publication of KR20010111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8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5/00Multi-stag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54Actuating elements
    • F04B27/1072Pivot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 사판의 최대경사각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사판에 편하중이 작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판(7) 변형 등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 사판(7)의 최대경사각 지지구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사판의 최대경사각 지지구조에 따르면, 각 실린더 보어(11)의 중심을 지나는 동심원의 반경을 R, 그리고 최대압축행정 상태에 놓인 피스톤(2)이 삽입된 실린더 보어(11)의 중심과 대응하는 사판(7)의 위치와 구동축(6)의 중심을 지나는 연결선을 LC라 할 때, 상기 지지돌기(71)는 상기 사판(7)의 회전방향쪽의 냉매 배출측 영역에 상기 연결선(LC)으로부터 0.35R∼0.43R 범위로 상기 연결선(LC)과 떨어진 작용선(LP)상에 위치하여 사판(7)의 최대경사각을 규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판(7)에 가해지는 최대압축반력의 작용점(P4)과 지지돌기(71)가 연결선(LC)과 소정의 수평거리(LF)만큼 떨어져 나란하게 배치된 작용선(LP)상에 놓이기 때문에 냉매의 최대압축반력과 지지돌기(71)의 지지반력이 서로 대응하여 일치하므로 사판(7)에 편하중이 가해지지 않아 사판(7)에 굴곡, 변형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축기 사판의 최대경사각 지지구조{STRUCTURE FOR SUPPORTING SWASH PLATE TO MAXIMUM SLANT DEGREE IN COMPRESSOR}
본 발명은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에 설치되는 사판의 최대경사각을 지지하기 위한 압축기 사판의 최대경사각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 피스톤의 전후진 행정이 서로 다름으로 인하여 사판에 편하중이 작용함으로써 변형과 같은 사판의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압축기 사판의 최대경사각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 자동자동잦 자자다다??라라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압축기는 동력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전자클러치의 단속작용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전달받아 증발기로부터 냉매가스를 내부에 흡입하여 피스톤의 직선왕복운동에 의하여 압축하여 응축기쪽으로 토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압축기는 압축방식 및 구조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고, 이들 압축기들 중에는 압축용적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변용량형 압축기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다음에 종래 일반적인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는, 동심원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실린더 보어(11)가 형성된 실린더 블록(1)과; 상기 실린더 블록(1)의 전방에 설치되어 내부에 크랭크실(31)을 형성하는 전방하우징(3)과; 상기 실린더 블록(1)의 후측에 설치되어 내부에 냉매흡입실(41) 및 냉매토출실(42)을 형성하는 후방하우징(4)과; 상기 실린더 블록(1)의 각 실린더 보어(11)에 전후진가능하게 삽입되고 후단부에 브릿지(21)가 형성된 다수의 피스톤(2)과; 상기 전방하우징(3)을 회전가능하게 관통하여 후단부가 실린더 블록(1)의 중앙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6)과; 상기 크랭크실(31)의 내부에서 상기 구동축(6)에 축착되어 구동축(6)과 함께 회전하는 로터(61)와; 상기 구동축(6) 둘레에 베어링 또는 허브 핀 등의 지지수단(63)을 개재하여 유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장자리가 각 피스톤(2) 브릿지(21)의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앞면 상단부 중앙이 로터(61)에 힌지결합되어 로터(61)와 함께 회전하면서 구동축(6)에 대하여 경사조절가능하도록 크랭크실(31)에 설치되는 사판(7)과; 상기 실린더 블록(1)과 후방하우징(4) 사이에 협지되어 냉매흡입실(41)로부터 실린더 보어(11)로 냉매를 흡입하고 실린더 보어(11)로부터 냉매토출실(42)로 압축냉매를 배출하기 위한 밸브 유니트(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로터(61)의 배면에 접촉함으로써 사판(7)의 최대경사각을 규정하는 지지돌기(71)가 사판(7)의 배면 일측에 형성되며, 구동축(6)에 대한 사판(7)의 경사각은 후방하우징(4)에 설치되는 컨트롤 밸브(8)에 의한 크랭크실(31) 내의 유체 압력변동에 따라 조절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작용을 살펴보면, 사판(7)의 회전에 의하여 실린더 블록(1)의 동심원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피스톤(2)들이 순차적으로 전후진하게 된다. 실린더 보어(11)로부터의 피스톤(2)의 후진시(즉, 흡입행정시)에는 피스톤(2)의 후진에 따른 실린더 보어(11) 내부의 압력강하에 의하여 밸브 유니트(5)의 흡입 리드 밸브가 개방되어 실린더 보어(11)와 흡입실이 연통되므로 흡입실로부터 실린더 보어(11)로 냉매가 유입된다. 그리고 실린더 보어(11)로부터의 피스톤(2)의 전진시(즉, 압축행정시)에는 피스톤(2)의 전진에 따른 실린더 보어(11) 내부의 압력증가에 의하여 냉매가 압축되면서 밸브 유니트(5)의 토출 리드 밸브가 개방되어 실린더 보어(11)와 냉매토출실(42)이 연통되므로 실린더 보어(11)로부터 냉매토출실(42)로 압축냉매가 배출된다.
이러한 냉매의 흡입 및 압축과정에서 사판(7)이 회전할 뿐만 아니라 각 피스톤(2)의 행정거리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피스톤(2)들에 의하여 회전중인 사판(7)이받는 힘은 각 피스톤(2)과 대응하는 부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그리고, 종래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에 있어서는 사판(7)의 최대경사각을 규정하는 지지돌기(71)가 일반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압축행정 상태에 놓인 피스톤(2)의 중심(즉, 상부 중앙의 피스톤(2))의 중심(P1); 당해 피스톤(2)이 삽입된 실린더 보어(11)의 중심)과 대응하는 부분과 구동축(6)의 중심(P2)을 지나는 연결선(LC)상중 사판(7)의 하단부 중앙부근에 형성(즉, 구동축(6)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피스톤(2)들에 의하여 사판(7)이 받는 최대압축반력의 작용점(P4)은 사판(7)중 최대압축행정 상태에 놓인 피스톤(2)의 중심(P1)과 대응하는 위치에 놓이는 것이 아니라 상기 최대압축행정 상태에 놓인 피스톤(2)으로부터 사판(7)의 회전방향쪽으로 일정 거리(L)(도 8 참조) 벗어난 위치에 놓인다. 이와 같이 사판(7)의 최대경사면을 지지하는 지지돌기(71)의 중심과 구동축(6)의 중심(P2) 및 최대압축반력의 작용점(P4)의 3점이 잇는 선이 직선을 이루지 않고 소정의 각도를 가지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판(7)에 편하중이 작용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사판(7)의 굴곡이나 변형 등의 사판(7) 손상이 발생한다. 또한 사판(7)이 변형된 상태에서 계속 회전하게 되면 사판(7)의 편마모 현상이 발생하여 심한 소음이 유발된다. 더욱이 로터(61)와 사판(7)의 힌지결합부(64)에 집중응력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판에 편하중이 작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판(7) 변형 등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 사판(7)의 최대경사각 지지구조의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사판의 최대경사각 지지구조가 적용된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사판의 최대경사각 지지구조에 의하여 사판이 받는 힘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압축기의 구동축, 로터 및 사판을 위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사판의 최대경사각 지지구조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피스톤의 행정상태와, 사판에 설치되는 지지돌기와의 관계 및 최대압축반력의 작용점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종래 압축기 사판의 최대경사각 지지구조가 적용된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 압축기 사판의 최대경사각 지지구조에 의하여 사판이 받는 힘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압축기의 구동축, 로터 및 사판을 위에서 본 모식도이다.
도 9는 종래 압축기 사판의 최대경사각 지지구조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피스톤의 행정상태와, 사판에 설치되는 지지돌기와의 관계 및 최대압축반력의 작용점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린더 블록, 2 : 피스톤,
6 : 구동축, 7 : 사판,
11 : 실린더 보어, 21 : 브릿지,
31 : 크랭크실, 61 : 로터,
64 : 힌지결합부, 71 : 지지돌기,
R : 실린더 보어의 중심을 지나는 동심원의 반경,
LC : 연결선, LF : 수평거리,
LP : 작용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압축기 구동축 둘레로 지지수단에 의하여 사판이 경사유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사판의 가장자리는 실린더 블록의 동심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된 각 실린더 보어에 전후진가능하게 삽입된 각 피스톤의 브릿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되며, 크랭크실의 압력변동에 따라 구동축에 대하여 사판의 경사가 임의로 조절되도록 상기 사판의 앞면중 상단부 중앙은 구동축 둘레로 일체로 설치된 로터와 힌지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힌지결합부의 중심은 최대압축행정 상태에 놓인 피스톤이 삽입된 실린더 보어의 중심과 일치하며, 상기 사판의 앞면중 소정의 위치에는 로터에 접촉함으로써 사판의 최대경사각을 규정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압축기 사판의 최대경사각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각 실린더 보어의 중심을 지나는 동심원의 반경을 R, 그리고 최대압축행정 상태에 놓인 피스톤이 삽입된 실린더 보어의 중심과 대응하는 사판의 위치와 구동축의 중심을 지나는 연결선을 LC라 할 때,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사판의 회전방향쪽의 냉매 배출측 영역에 상기 연결선(LC)으로부터 0.35R∼0.43R 범위로 상기 연결선(LC)과 떨어진 작용선(LP)상에 위치하여 사판의 최대경사각을 규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사판의 최대경사각 지지구조에 따르면, 연결선(LC)과 소정의 수평거리(LF)만큼 떨어져 배치된 작용선(LP)상에, 사판에 가해지는 최대반력의 작용점과 지지돌기가 놓이면, 사판에 가해지는 압력분포가 상기 지지돌기에 의하여 균일하게 분포되므로 사판에 편하중이 가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 1은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실린더 블록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실린더 블록(1)의 소정의 동심원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실린더 보어(11)가 등간격으로 전후로 관통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보어(11)에는 앞쪽에 브릿지(21)가 형성된 피스톤(2)이 차례로 왕복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 블록(1)의 전방에는 전방하우징(3)이 결합되고 실린더 블록(1)의 후방에는 후방하우징(4)이 결합된다. 상기 전방하우징(3), 실린더 블록(1) 및 후방하우징(4)은 볼트(13)들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전방하우징(3)은 앞쪽은 막히고 뒤쪽은 개방됨으로써 실린더 블록(1)과 전방하우징(3)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은 크랭크실(31)로 기능하며, 후방하우징(4)은 앞쪽은 개방되고 뒤쪽은 막힘으로써 실린더 블록(1)과 후방하우징(4)에 의하여 후방하우징(4)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이 후방하우징(4)의 내부공간은 다시 증발기측과 연결되는 냉매흡입실(41) 및 응축기측과 연결되는 냉매토출실(42)로 구획되고, 후방하우징(4)과 실린더 블록(1)과의 사이에는 밸브 유니트(5)가 개재되어 피스톤(2)의 흡입행정시에는 냉매흡입실(41)과 실린더 보어(11)가 연통되어 냉매흡입실(41)로부터 냉매가 흡입되고 피스톤(2)의 압축행정시에는 실린더 보어(11)와 냉매토출실(42)이 연통되어 압축냉매가 냉매토출실(42)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참조부호 6은 상기 전방하우징(3)의 앞쪽 벽면 중앙을 회동가능하게 관통하여 전방하우징(3)의 내부에 형성되는 크랭크실(31)을 거쳐 실린더 블록(1)의 중앙에 후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6)을 나타내며, 크랭크실(31) 내부중 앞쪽에는 로터(61)가 구동축(6) 둘레로 축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구동축(6)의 회동에 따라 로터(61)가 함께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실(31) 내부의 구동축(6) 둘레로 사판(7)이 경사유동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사판(7)은 구동축(6) 둘레에 개재되는 베어링 또는 지지핀과 같은 지지수단((63)에 의하여 경사유동(즉, 스윙)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판(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지지수단(63)을 통하여 구동축(6) 둘레로 경사유동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허브 플레이트(7a)와 상기 허브 플레이트(7a)의 둘레에 일체로 결합되는 구동 디스크(7b)를 가진다. 사판(7)의 가장자리, 즉 구동 디스크(7b)의 가장자리는 각 피스톤(2)의 브릿지(2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사판(7)의 앞면중 상단부 중앙은 로터(61)에 힌지결합되고 이 힌지결합부(64)를 중심으로 사판(7)이 전후선회됨으로써 구동축(6)에 대하여 사판(7)의 경사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터(61)와 사판(7)의 힌지결합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사판(7)의 앞면중 상단부 중앙(즉, 허브 플레이트(7a)의 상단부 중앙)에는 요크(73)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하여 로터(61)의 배면중 상단부 중앙에는 상기 요크(73)에 삽입되는 결합돌기(611)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611) 및 요크(73)가 힌지핀(65)에 의하여 힌지결합됨으로써 힌지결합부(64)를 이루고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64)(즉, 힌지핀)을 중심으로 사판(7)이 전후선회됨으로써 구동축(6)에 대한 사판(7)의 경사가 조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축(6)과 함께 회전하는 로터(61)의 회전력이 힌지결합부(64)를 통하여 사판(7)에 전달됨으로써 사판(7)도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사판(7)의 전후선회에 의한 경사조절은 크랭크실(31) 내부의 압력변동에 따라 수행되며, 크랭크실(31)의 압력변동은 후방하우징(4)에 설치되는 컨트롤 밸브(8)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컨트롤 밸브(8)는 압축기로 복귀하는 냉매의 흡입압력에 따라 크랭크실(31) 내의 압력을 조정하여 사판(7)의 각도를 변화시켜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량을 조절하고, 압축기의 흡입압력이 일정하게 되도록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압력변동에 따라 사판(7)은 경사각이 조절되면서 회전함에 따라 그 위상이 각 피스톤(2)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이에 따라 각 피스톤(2)이 실린더 보어(11)들 내에서 순차적으로 전후진함으로써 냉매의 흡입 및 압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사판(7)의 앞면(구체적으로는 허브 플레이트(7a)의 앞면)중 소정의 위치에는 로터(61)에 접촉함으로써 사판(7)의 최대경사각을 규정하는 지지돌기(71)가 로터(61)쪽으로 돌출형성되며, 사판(7)이 최대경사각을 유지할 때 지지돌기(71)가 로터(61)에 면접촉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61)에 접촉하는 지지돌기(71)의 선단면은 로터(61)의 면과 대응하여 사판(7)의 앞면에 대하여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압축기에 있어서, 사판(7)은 구동축(6)에 대하여 힌지결합부(64)의 힌지핀(65)을 중심으로 스윙운동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와 대응하는 실린더 블록(1) 부분에 사판(7)이 최대경사각을 유지할 때 최대압축행정 상태에 놓이는 피스톤(2)이 삽입되는 실린더 보어(11)가 배치되어야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들에 의하여 사판(7)에 가해지는 최대반력은 사판(7)중 최대압축행정 상태에 놓이는 피스톤(2)이 삽입되는 실린더 보어(11)의 중심과 대응하는 부분(P1)(제1점)에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는 한편, 이에 따라 사판(7)의 최대경사각을 유지하는 지지돌기(71)가 사판(7)중 상기 제1점(P1)과 구동축(6)의 중심(P2)(제2점)을 지나는 연결선(LC)(즉, 직선)상의 임의의 위치(P3)(제3점)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실제로는 사판(7)이 회전할 뿐만 아니라 사판(7)과의 결합위치에 따라 각 피스톤(2)의 행정거리가 서로 다름에 따라 피스톤(2)들에 의하여 회전중인 사판(7)이 받는 힘은 사판(7)의 각 피스톤(2)과 대응하는 부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상기 피스톤(2)들에 의하여 사판(7)이 받는 최대반력의 작용점은 상기 제1점(P1)에 놓이는 것이 아니라 상기 피스톤(2)으로부터 사판(7)의 회전방향쪽(화살표로 나타낸 쪽)으로 일정 거리 벗어난 위치(P4)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3점(P2,P3,P4)를 이으면 직선을 이루지 못하고 소정의 각도를 가진 선을 이루므로 사판(7)에 편하중이 작용하고, 이에 따라 굴곡이나 변형과 같은 사판(7) 손상이 유발되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연결선(LC)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놓이는 최대반력의 작용점(P4)을 지나는 작용선(LP)상에 지지돌기(71)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최대반력에 의하여 사판(7)에 편하중이 걸리는 것을 해소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7개의 실린더 보어(11)를 가진 압축기가 예시되어 있고, 이 중 냉매압축행정 상태의 피스톤(2)들을 Pd, 냉매흡입행정 상태의 피스톤(2)들을 Ps, 그리고 Pd와 Ps의 중간 압력 상태의 피스톤(2)을 Pi로 나타내고 있으며, 이 때 사판(7)에 가해지는 압력분포는 압축행정 상태의 피스톤(Pd)들과 대응하는 부분에 가장 크게 나타나고, Pd와 Ps의 중간 압력 상태의 피스톤(Pi)들과 대응하는 부분에 그 다음 크기로 나타나며, 흡입행정 상태의 피스톤(Ps)들과 대응하는 부분에는 가장 작게 나타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각 실린더 보어(11)의 중심을 지나는 동심원의 반경을 R이라 할 때, 사판(7)에 가해지는 최대압축반력의 작용점(P4)은 상부 중앙의 실린더 보어(11)와 대응하는 사판(7)의 위치로부터 사판(7)의 회전방향쪽으로 상기 연결선(LC)으로부터의 수평거리(LF)가 0.35R∼0.43R의 범위에 연결선(LC)과 나란하게 놓이는 작용선(LP)상에 위치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지지돌기(71)가 상기 사판(7)의 회전방향쪽의 냉매 배출측 영역중 상기 연결선(LC)으로부터 0.35R∼0.43R 떨어진 작용선(LP)상에 놓이도록 하여, 사판(7)의 최대경사각을 규정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돌기(71)는 구동축(6)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유리하기 때문에 상기 사판(7)의 회전방향쪽의 냉매 배출측 영역중 연결선(LC)으로부터의 수평거리(LF)가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임의의 위치에 설정되어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판(7)중 3점(P1,P2,P3)을 잇는 연결선(LC)상에 지지돌기(71)가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사판(7)의 상단 중앙의 회전방향쪽으로 상기 연결선(LC)과 소정의 수평거리(LF)만큼 떨어져 나란하게 배치된 작용선(LP)상에 사판(7)에 가해지는 최대압축반력의 작용점(P4)과 지지돌기(71)의 지지반력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판(7)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응하여 일치한다. 따라서, 사판(7)에 편하중이 가해지지 않아 사판(7)에 굴곡, 변형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사판(7)의 최대경사각 지지구조에 있어서는, 사판(7)에 가해지는 최대반력의 작용점(P3)과 지지돌기(71)가 연결선(LC)과 소정의 수평거리(LF)만큼 떨어져 나란하게 배치된 작용선(LP)상에 놓이도록 하여 사판(7)에 가해지는 냉매의 최대압축반력에 대한 지지돌기(71)의 지지반력이 서로 대응하여 일치하므로 사판(7)에 편하중이 가해지지 않아 사판(7)에 굴곡, 변형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판(7)의 걸리는 압력분포가 균일하면 사판(7)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로터(61)와 사판(7)과의 힌지결합부(64)에 발생하는 응력집중을 억제할 수 있어 압축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판(7)에 걸치는 압력분포가 균일하면 사판(7)이 정숙하게 회전될 수 있으므로 압축기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압축기 구동축(6) 둘레로 지지수단에 의하여 사판(7)이 경사유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사판의 가장자리는 실린더 블록(1)의 동심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된 각 실린더 보어(11)에 전후진가능하게 삽입된 각 피스톤(2)의 브릿지(2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되며, 크랭크실(31)의 압력변동에 따라 구동축(6)에 대하여 사판의 경사가 임의로 조절되도록 상기 사판의 앞면중 상단부 중앙은 구동축 둘레로 일체로 설치된 로터(61)와 힌지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힌지결합부(64)의 중심은 최대압축행정 상태에 놓인 피스톤이 삽입된 실린더 보어의 중심과 일치하며, 상기 사판의 앞면중 소정의 위치에는 로터에 접촉함으로써 사판의 최대경사각을 규정하는 지지돌기(71)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압축기 사판의 최대경사각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들중 최대압축행정 상태에 놓인 피스톤(2)이 삽입된 실린더 보어(11)의 중심과 대응하는 사판(7)의 위치와 구동축(6)의 중심을 지나는 연결선을 LC라 할 때,
    상기 지지돌기(71)는 상기 사판(7)의 회전방향쪽의 냉매 배출측 영역에 상기 연결선(LC)으로부터 소정의 수평거리(LF)만큼 떨어진 작용선(LP)상에 위치하여 사판의 최대경사각을 규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사판의 최대경사각 지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실린더 보어(11)의 중심을 지나는 동심원의 반경을 R이라 할 때, 상기 수평거리(LF)는 0.35R∼0.43R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사판의 최대경사각 지지구조.
KR1020000032186A 2000-06-12 2000-06-12 압축기 사판의 최대경사각 지지구조 KR100352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186A KR100352877B1 (ko) 2000-06-12 2000-06-12 압축기 사판의 최대경사각 지지구조
EP01114161A EP1164288B1 (en) 2000-06-12 2001-06-11 Hinge for a swash plate of a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DE60119623T DE60119623T2 (de) 2000-06-12 2001-06-11 Verbindungskonstruktion für Taumelscheibe eines variablen Verdrängungskompressors
PT01114161T PT1164288E (pt) 2000-06-12 2001-06-11 Articulacao para uma placa oscilante de um compressor de cilindrada variavel
US09/879,278 US6553890B2 (en) 2000-06-12 2001-06-12 Structure for supporting a swash plate at the maximum tilt angle in a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JP2001177628A JP3680097B2 (ja) 2000-06-12 2001-06-12 圧縮機斜板の最大傾斜角支持構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186A KR100352877B1 (ko) 2000-06-12 2000-06-12 압축기 사판의 최대경사각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643A true KR20010111643A (ko) 2001-12-20
KR100352877B1 KR100352877B1 (ko) 2002-09-16

Family

ID=36571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186A KR100352877B1 (ko) 2000-06-12 2000-06-12 압축기 사판의 최대경사각 지지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53890B2 (ko)
EP (1) EP1164288B1 (ko)
JP (1) JP3680097B2 (ko)
KR (1) KR100352877B1 (ko)
DE (1) DE60119623T2 (ko)
PT (1) PT1164288E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67760B1 (en) * 2000-06-19 2008-10-15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Swash plate type compressor
US7446592B2 (en) * 2005-07-22 2008-11-0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PVT variation detection and compensation circuit
JP4976731B2 (ja) * 2006-04-07 2012-07-18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可変容量圧縮機
JP2008184933A (ja) * 2007-01-29 2008-08-14 Sanden Corp 斜板式圧縮機
KR101740037B1 (ko) 2010-03-10 2017-06-26 학교법인 두원학원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FR2975606B1 (fr) 2011-05-25 2013-05-31 Air Liquide Equipement pour l'injection d'un gaz dans un bassin d'epuration
JP6171875B2 (ja) * 2013-11-13 2017-08-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US9816377B2 (en) * 2014-09-24 2017-11-14 Eaton Corporation Hydraulic axial-piston device with features to enhance efficiency and power density
US11549729B2 (en) * 2018-07-23 2023-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l air supply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9487B2 (ja) 1993-12-06 2002-02-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
JP3404909B2 (ja) 1994-09-12 2003-05-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における斜板傾動案内構造
JPH09112420A (ja) * 1995-10-19 1997-05-0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圧縮機
JPH10246181A (ja) * 1997-02-28 1998-09-1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型圧縮機
JP3826473B2 (ja) * 1997-02-28 2006-09-2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圧縮機
JPH10266952A (ja) 1997-03-25 1998-10-06 Zexel Corp 可変容量型斜板式圧縮機
JPH11201032A (ja) * 1998-01-13 1999-07-2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型圧縮機
US6139283A (en) * 1998-11-10 2000-10-3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Variable capacity swash plate type compressor
JP2000329062A (ja) * 1999-05-19 2000-11-2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可変容量型圧縮機における容量制御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64288A3 (en) 2002-11-20
DE60119623D1 (de) 2006-06-22
JP2002048056A (ja) 2002-02-15
KR100352877B1 (ko) 2002-09-16
EP1164288B1 (en) 2006-05-17
US6553890B2 (en) 2003-04-29
PT1164288E (pt) 2006-09-29
DE60119623T2 (de) 2007-04-26
JP3680097B2 (ja) 2005-08-10
US20010049997A1 (en) 2001-12-13
EP1164288A2 (en) 200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2877B1 (ko) 압축기 사판의 최대경사각 지지구조
KR20020067361A (ko) 사판의 가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판식 가변용량 압축기
US6604447B2 (en) Swash plate-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0382362B1 (ko)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US6212995B1 (en) Variable-displacement inclined plate compressor
KR101181108B1 (ko) 가변 용량형 압축기
KR20090118513A (ko) 사판식 압축기
JP2819917B2 (ja) 往復動型圧縮機
US6912948B2 (en) Swash plate compressor
US20090148312A1 (en) Variable Capacity Swash Plate Type Compressor
US11885319B2 (en) Swash plate-type compressor
KR100614023B1 (ko) 가변 용량 압축기
KR100661361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지지장치
KR20040014118A (ko)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EP1431602A1 (en) Rotary machine
KR100734805B1 (ko)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JP2000161207A (ja) 可変容量斜板型圧縮機
KR102056117B1 (ko) 가변 사판식 압축기 구동부
KR20080021315A (ko) 가변 용량형 압축기
KR101142767B1 (ko) 압축기용 피스톤
KR20030013978A (ko) 사판식 압축기
KR20080009410A (ko) 압축기의 구동축 실링구조
KR20050096238A (ko) 가변용량 사판식 압축기
KR20000061794A (ko) 흡입밸브를 가진 압축기용 피스톤
KR20010057324A (ko) 사판식 압축기의 밸브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