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1601A - 실내 제습 시스템과 실내 가습 시스템을 갖는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실내 제습 시스템과 실내 가습 시스템을 갖는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1601A
KR20010111601A KR1020000032211A KR20000032211A KR20010111601A KR 20010111601 A KR20010111601 A KR 20010111601A KR 1020000032211 A KR1020000032211 A KR 1020000032211A KR 20000032211 A KR20000032211 A KR 20000032211A KR 20010111601 A KR20010111601 A KR 20010111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conditioning system
adsorption means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2430B1 (ko
Inventor
박영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32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2430B1/ko
Publication of KR20010111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4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8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heated wet elements
    • F24F6/1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heated wet elements heated elec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2Dehumidifying or humidifying belt type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습기로의 역할과, 가습기로의 역할 및 공기 정화기로의 환기 역할 등을 단일 기기로써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흡입구와 실내 및 실외로의 공기 토출이 이루어지는 토출구가 각각 형성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의 내에 장착되어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수행하는 송풍수단(20); 상기 각 토출구의 근접부 및 송풍수단의 공기 토출측 사이에 위치되고, 흡입된 공기 내의 수분을 흡착하는 수분 흡착수단(30); 상기 수분 흡착수단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열을 가하여 상기 수분 흡착수단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키는 수분 증발수단(40); 상기 수분 흡착수단을 통과한 공기가 실내 혹은 실외와 연통된 토출구를 향해 선택적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유로 안내부(50);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기 조화시스템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해 공기 조화시스템의 운전이 가습 운전인지 제습 운전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공기 조화시스템의 운전이 제습 운전일 경우 제1송풍팬을 구동시켜 실내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단계와; 상기 흡입된 공기가 수분 흡착수단을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고, 이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실내로 배출하는 단계와; 수분 증발수단을 동작시켜 수분 흡착수단에 흡착된 수분을 증발시키는 단계와; 제2송풍팬을 구동시켜 실외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단계와; 상기 흡입된 공기가 수분 증발수단을 통과하도록 하여 증발된 수분을 상기 흡입된 공기에 포함되도록 함과 함께 이 수분이 함유된 공기는 실외로 배출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하고, 상기 공기 조화시스템의 운전이 가습 운전일 경우 제1송풍팬을 구동시켜 실내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단계와; 상기 흡입된 공기가 수분 흡착수단을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고, 이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실외로 배출하는 단계와; 수분 증발수단을 동작시켜 수분 흡착수단에 흡착된 수분을 증발시키는 단계와; 제2송풍팬을 구동시켜 실외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단계와; 상기 흡입된 공기가 수분 증발수단을 통과하도록 하여 증발된 수분을 상기 흡입된 공기에 포함되도록 함과 함께 이 수분이 함유된 공기는 실내로 배출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시스템의 운전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실내 제습 시스템과 실내 가습 시스템을 갖는 공기 조화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방법{air-wnditional system and air-wnditional control methode having both indoors dehumidificalion system and indoors humidificatian system}
본 발명은 공기조화 기기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습, 가습, 환기 등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공기 조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냉방을 수행하는 냉방기능과, 실내의 난방을 수행하는 난방기능을 가진 냉,난방 기기이다.
즉, 더운 여름철에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이를 열교환시켜 온도를 낮춘 후 다시 실내로 배출함으로써 실내의 냉방을 수행하게 되고, 추운 겨울철에는 실내의 찬 공기를 흡입하여 이를 열교환시켜 온도를 높인 후 다시 실내로 배출함으로써 실내의 난방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는 온도가 낮고 습도는 높은 장마철의 경우 습도만을 낮추고자하는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즉,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는 그 특성상 온도가 낮을수록 습도가 낮아지게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습도를 낮추기 위해 공기조화기를 동작시킬 경우 실내의 온도는 더욱 저하됨으로써 실내에 있는 사용자는 한기를 느끼게 된 문제가 있다.
이에 종래에는 별도의 제습기를 구비하여야만 하였다.
또한, 겨울철에는 실내가 건조하지만 난방시의 운전이 냉방시의 운전과 반대의 작용으로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가습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별도의 가습기를 구비하여야만 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가습기 역시 그 동작시 수시도 물을 급수해 주어야만 함으로써 사용자의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공기조화기의 주 목적이 실내의 공기를 계속적으로 정화하는데 있으나, 현재 공기조화기는 주로 냉방기능, 난방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로만 주로 사용될 뿐 실내 공기의 정화를 위한 별도의 동작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다.
즉, 봄, 가을철에는 공기조화기의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뿐 아니라 그 사용도중 청소 혹은 흡연 등의 연유로 실내의 공기가 탁해졌을 경우 이를 환기시키기 위해 외기와 실내공기가 계속적으로 순환하는 과정이 제대로 이행되지 못한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수시로 환기를 시켜 주어야만 하는등의 많은 불편함을 유발하게 된다.
결국, 전술한 각종 문제점은 기존의 공기조화기가 그 원초적인 기능을 제대로 이행하기 못하였기 때문에 유발된 것으로써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제습기, 가습기 및 공기 정화기 등 많은 추가 기기를 필요로 하게 되었음에 따라 막대한 비용의 소모로 인한 사용자의 많은 불만을 유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습기로의 역할과, 가습기로의 역할 및 공기 정화기로의 환기 역할 등을 단일 기기로써 이룰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전술한 기기의 역할 중 하나인 가습기로의 역할 수행시 별도로 물을 공급하지 않더라도 그 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대한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시스템을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Ⅰ-Ⅰ선을 단면하여 나타낸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 공기 조화시스템에 의한 제습운전시의 상태를 평면에서 본 개략적인 구성도
도 4 는 도 3의 Ⅱ-Ⅱ선을 단면하여 나타낸 상태도
도 5 는 도 3의 Ⅲ-Ⅲ선을 단면하여 나타낸 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 공기 조화시스템에 의한 가습 운전시의 상태를 평면에서 본 개략적인 구성도
도 7 은 도 6의 Ⅳ-Ⅳ선을 단면하여 나타낸 상태도
도 8 은 도 6의 Ⅴ-Ⅴ선을 단면하여 나타낸 상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시스템의 운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11. 실내 흡입구
12. 실외 흡입구 13a. 제습공기 토출구
13b. 건조공기 토출구 14. 실외 토출구
21. 제1송풍팬 22. 제2송풍팬
30. 수분 흡착수단 40. 수분 증발수단
50. 공기 토출유로 61. 제1개폐판
62. 제2개폐판 81. 제1유로안내부
82. 제2유로안내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흡입구와 실내 및 실외로의 공기 토출이 이루어지는 토출구가 각각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에 장착되어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수행하는 송풍수단; 상기 각 토출구의 근접부 및 송풍수단의 공기 토출측 사이에 위치되고, 흡입된 공기 내의 수분을 흡착하는 수분 흡착수단; 상기 수분 흡착수단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열을 가하여 상기 수분 흡착수단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키는 수분 증발수단; 상기 수분 흡착수단을 통과한 공기가 실내 혹은 실외와 연통된 토출구를 향해 선택적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유로 안내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시스템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운전제어방법에 따르면 공기 조화시스템의 운전이 가습 운전인지 제습 운전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공기 조화시스템의 운전이 제습 운전일 경우 제1송풍팬을 구동시켜 실내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단계와; 상기 흡입된 공기가 수분 흡착수단을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고, 이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실내로 배출하는 단계와; 수분 증발수단을 동작시켜 수분 흡착수단에 흡착된 수분을 증발시키는 단계와; 제2송풍팬을 구동시켜 실외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단계와; 상기 흡입된 공기가 수분 증발수단을 통과하도록 하여 증발된 수분을 상기 흡입된 공기에 포함되도록 함과 함께 이 수분이 함유된 공기는 실외로 배출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하고, 상기 공기 조화시스템의 운전이 가습 운전일 경우 제1송풍팬을 구동시켜 실내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단계와; 상기 흡입된 공기가 수분 흡착수단을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고, 이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실외로 배출하는 단계와; 수분 증발수단을 동작시켜 수분 흡착수단에 흡착된 수분을 증발시키는 단계와; 제2송풍팬을 구동시켜 실외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단계와; 상기 흡입된 공기가 수분 증발수단을 통과하도록 하여 증발된 수분을 상기 흡입된 공기에 포함되도록 함과 함께 이 수분이 함유된 공기는 실내로 배출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시스템의 운전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시한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시스템을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의 Ⅰ-Ⅰ선을 단면하여 나타낸 상태도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시스템은 송풍수단(20), 수분 흡착수단(30), 수분 증발수단(40), 공기 토출유로(50), 유로 개폐수단, 상기 각 수단을 감싸면서 본체의 역할을 수행하는 하우징(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제시한다.
이 때, 상기 하우징(10)에는 공기 유입이 이루어지는 흡입구 및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토출구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는 실내로의 공기 유입이 이루어지는 실내 흡입구(11)와 실외로의 공기 유입이 이루어지는 실외 흡입구(12)로 각각 구분되고, 상기 토출구는 실내로의 공기 토출이 이루어지는 실내 토출구와 실외로의 공기 토출이 이루어지는 실외 토출구(14)로 각각 구분된다.
이 때, 상기 실내 토출구는 제습된 공기가 토출되는 건조 공기 토출구(13a)와, 가습된 공기가 토출되는 가습 공기 토출구(13b)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토출구(13a)(13b)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구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송풍수단(20)은 실내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이 흡입된 공기는 수분 흡착수단(30)의 대략 중앙부분을 통과하여 실내 혹은 실외로 토출되도록 공기의 토출측을 가지는 제1송풍팬(21)과, 실외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이 흡입된 공기는 수분 증발수단을 통과하여 실내 혹은 실외로 토출되도록 공기의 토출측을 가지는 제2송풍팬(22)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송풍수단은 굳이 두 개의 송풍팬으로 구성하지 않고 하나의 송풍팬으로만 구성하여도 상관은 없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송풍팬으로 구성함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시스템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분 흡착수단(30)은 각 토출구(13a)(13b) 및 상기 각 송풍팬(21)(22)의 공기 토출측 사이에 위치되고, 이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 원판형 휠로 형성되며, 별도의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수분 흡착수단(30)을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70)은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하는 구동모터(71)와, 상기 구동모터(71)의 구동력을 수분 흡착수단(30)으로 전달하도록 연결된 벨트(7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수분 흡착수단(30)은 수분의 흡착력이 우수한 재질인 다공성 제올라이트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나, 굳이 이 재질로만 한정되지는 않으며, 수분의 흡착을 수행하는 특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어느 것이든 상관은 없다.
한편, 상기 수분 증발수단(40)은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는 히터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수분 증발수단(40)은 제2송풍팬(22)과 수분 흡착수단(30)의 사이에 위치시키며, 특히 상기 수분 흡착수단(30)의 상측 둘레부위에 근접하도록 설치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 토출유로(50)는 상기 각 송풍팬(21)(22)에 의해 수분 흡착수단(30)의 각 부위를 통과하여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 유동을 안내하도록 구성한다.
이 때, 상기 수분 흡착수단(30)의 중앙부 및 상기 수분 흡착수단(30)의 상단 둘레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은 각 유로안내부에 의해 각각 구획된 상태로 안내되도록 구성한다.
즉, 수분 흡착수단의 중앙부를 통과하여 유동하는 공기는 제1유로안내부(81)의 안내를 받아 건조 공기 토출구(13a)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거나 혹은 공기 토출유로(50) 내로 유입되어 실외로 토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수분 흡착수단(30)의 상단 둘레부를 통과하여 유동하는 공기는 제2유로안내부(82)의 안내를 받아 가습 공기 토출구(13b)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거나 혹은 공기 토출유로(50) 내로 유입되어 실외로 토출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각 공기 토출구(13a)(13b)는 유로개폐수단인 각각의 개폐판(61)(62)에 의해 선택적인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 공기 토출구(13a)(13b)가 개방될 경우 각 개폐판(61)(62)은 각 유로안내부(81)(82)와 공기 토출유로(50)와의 연통된 부위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각 개폐판(61)(62)이 스테핑 모터(63)(63)와 같은 자동적인 제어가 가능한 수단에 의해 각각 그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공기 토출유로(50)와 각 유로안내부(81)(82)의 연통된 부위는 각 공기 토출구(13a)(13b)의 근접된 위치(도면상 각 공기 토출구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능하다.
즉, 제1개폐판(61)이 건조 공기 토출구(13a)를 폐쇄하고 있을 때는 제1유로안내부(81)와 공기 토출유로(50)와의 연통된 부위는 개방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상기 제1개폐판(61)이 회동하여 건조 공기 토출구(13b)가 개방될 때에는 제1유로안내부(81)와 공기 토출유로(50)와의 연통된 부위는 상기 제1개폐판(61)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제2개폐판(62)이 가습 공기 토출구(13b)를 폐쇄하고 있을 때는 제2유로안내부(82)와 공기 토출유로(50)와의 연통된 부위는 개방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상기 제2개폐판(62)이 회동하여 가습 공기 토출구(13b)가 개방될 때에는 제2유로안내부(82)와 공기 토출유로(50)와의 연통된 부위는 상기 제2개폐판(62)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각 운전 조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시스템의 동작이 시작되면 그 운전이 가습 운전인지, 제습 운전인지 혹은, 공기 정화운전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판단은 별도의 센서 등을 이용하여 실내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결정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나 사용자가 직접 운전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판단에 의해 운전이 결정되면, 이에 따라 각각의 운전 제어가 이루어진다.
즉, 공기 조화시스템의 운전이 제습운전일 경우에는 도시한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제1송풍팬(21) 및 제2송풍팬(22)을 구동시키고, 수분 증발수단(40)을 발열시키며, 제1스테핑모터(63) 및 제2스테핑모터(64)를 제어하여 건조 공기토출구(13a)를 개방시킴과 함께 가습 공기 토출구(13b)를 폐쇄시킨다.
이는, 건조 공기 토출구(13a)를 폐쇄하고 있던 제1개폐판(61)이 제1스테핑모터(63)의 구동에 의해 회동함으로써 상기 토출구(13a)가 개방되고, 이와 함께 제1유로안내부(81)와 공기 토출유로(50)와의 연통 부위가 폐쇄됨이 가능하다.
이와 동시에 제2유로안내부(82)와 공기 토출유로(50)와의 연통 부위를 폐쇄하고 있던 제2개폐판(62)이 제2스테핑모터(64)의 구동에 의해 회동함으로써 상기 연통 부위가 개방되고, 이와 함께 가습 공기 토출구(13b)가 폐쇄됨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송풍팬(21)의 흡입력에 의해 실내로부터 흡입된 습한 공기는 수분 흡착수단(3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그 내부에 함유되어 있던 수분이 제거되고, 이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계속해서 제1유로안내부(81) 및 건조 공기 토출구(13a)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의 습도를 낮추게 된다.
또한, 상기한 과정이 이루어지는 도중에는 수분 흡착수단(30)의 상측 둘레부위에 설치된 수분 증발수단(40)이 발열하면서 상기 수분 흡착수단(30)이 흡착한 수분을 증발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증발된 수분은 제2송풍팬(22)에 의해 실외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유동에 포함되어 제2유로안내부(82) 및 공기 토출유로(5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실외로 재 배출된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는 구동모터(71)가 구동하면서 수분 흡착수단(30)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수분 흡착수단(30)의 둘레부위는 수분 증발수단(40)에 의해 가열되는 부위를 연속적으로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둘레부위에 함유된 수분의 증발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분 흡착수단(30)은 항상 건조된 상태로써 계속적인 수분의 흡착이 가능하다.
한편, 공기 조화시스템의 동작 시작시 판단된 운전이 가습운전일 경우에는 도시한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제1송풍팬(21) 및 제2송풍팬(22)을 구동시키고, 수분 증발수단(40)을 발열시키며, 제1스테핑모터(63) 및 제2스테핑모터(64)를 제어하여 건조 공기 토출구(13a)를 폐쇄시킴과 함께 가습 공기 토출구(13b)를 개방시킨다.
이 때, 제1유로안내부(81)와 공기 토출유로(50)와의 연통 부위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2유로안내부(82)와 공기 토출유로(50)와의 연통 부위는 제2스테핑모터(64)의 구동에 따라 회동하는 제2개폐판(62)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1송풍팬(21)의 흡입력에 의해 실내로부터 흡입된 건조 공기는 수분 흡착수단(30), 제1유로안내부(81) 및 공기 토출유로(5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실외로 배출되고, 제2송풍팬(22)의 흡입력에 의해 실외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수분 흡착수단(30)의 둘레면에서 증발된 수분을 함유한 상태로써 가습 공기 토출구(13b)를 통해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높이게 된다.
그리고, 이 때에는 구동모터(71)가 구동하면서 수분 흡착수단(30)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수분 흡착수단(30)의 둘레부위는 수분 증발수단(40)에 의해 가열되는 부위를 연속적으로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둘레부위에 함유된 수분의 증발을 이룰 수 있음으로써 계속적인 실내의 가습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결국, 전술한 과정에 의해 실내의 건조한 공기는 실외로 배출되고,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시스템의 동작에 따른 가습 공기는 실내로 배출되어 실내의 습도를 적절히 맞추게 된다.
한편, 전술한 과정에 따라 발생되는 가습 공기는 굳이 실내 혹은 실외의 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이용하여 발생시킬 수 있는 것으로만 한정 되지는 않는다.
즉,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습한 공기의 형성량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단지 수분 흡착수단의 저부에 별도의 물 저장 용기 등을 구비하여 상기 수분 흡착수단이 항상 소정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가능하지만, 굳이 상기 구성을 이루지 않더라도 충분한 가습 작용이 가능하다.
한편, 공기 조화시스템의 동작 시작시 판단된 운전이 공기 정화운전일 경우 제1송풍팬(21) 및 제2송풍팬(22)을 구동시키고, 제1스테핑모터(63) 및 제2스테핑모터(64)를 제어하여 건조 공기 토출구(13a)를 폐쇄시킴과 함께 가습 공기 토출구(13b)를 개방시킨다.
이에 따라 제1유로안내부(81)와 공기 토출유로(50)와의 연통 부위는 제1개폐판(61)의 회동에 의해 개방되고, 제2유로안내부(82)와 공기 토출유로(50)와의 연통 부위는 제2개폐판(62)의 회동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제1송풍팬(21)의 흡입력에 의해 실내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수분 흡착수단(30), 제1유로안내부(81), 공기 토출유로(5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실외로 배출되고, 제2송풍팬(22)의 흡입력에 의해 실외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수분 흡착수단(30), 제2유로안내부(82), 가습 공기 토출구(13b)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실내로 배출된다.
이로 인해, 탁한 실내 공기와 깨끗한 실외 공기와의 교체가 이루어지면서 실내를 쾌적한 분위기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수분 증발수단(40)의 동작은 수행치 않음으로써 습한 공기의 실내 토출이 이루어지지 않고, 단순히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교체로 인한 실내 공기의 정화만이 수행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공기 조화시스템은 실내가 건조할 경우, 실내의 습도가 높을 경우, 실내의 공기가 탁할 경우 등 각각의 경우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택적인 운전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시스템은 전술한 각종 경우에의 운전이 동시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제습 작용 만을 수행하는 실내 제습 시스템으로만 구성할 수 있으며, 가습 작용 만을 수행하는 실내 가습 시스템으로만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어느 하나의 작용만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경우에는 기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시스템의 각 구성중 유로 개폐수단을 생략함으로써 가능하다.
즉, 실내 제습 시스템으로만 구성할 경우에는 수분 흡착수단(30)을 통과하는 공기중 수분이 제거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건조 공기 토출유로를 형성하고, 수분 흡착수단(30)을 통과하는 공기중 수분 증발수단(40)에 의해 증발된 수분을 함유하는 공기가 실외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다습 공기 토출유로를 형성한다.
이는, 기 전술한 실시예의 공기 조화시스템 중 건조 공기 토출구(13a)를 항상 개방시키고, 제1유로안내부(81)와 공기 토출유로(50)와의 연통 부위는 항상 폐쇄하며, 가습 공기 토출구(13b)는 항상 폐쇄하고, 제2유로안내부(82)와 공기 토출유로(50)와의 연통 부위는 항상 개방시킴으로써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실내 제습 시스템의 운전 과정은 기 전술한 본 발명의 공기 조화시스템의 운전 과정 중 제습 운전시의 운전 과정과 동일하며, 단지 상기 실내 제습 시스템에서는 공기 조화시스템에서와 같은 유로 개폐수단의 구성 및 동작이 생략된다.
이에 따라 실내 제습 시스템의 운전 과정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내 가습 시스템으로만 구성할 경우에는 수분 흡착수단(30)을 통과하는 공기중 수분이 제거된 공기가 실외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건조 공기 토출유로를 형성하고, 수분 흡착수단(30)을 통과하는 공기중 수분 증발수단(40)에 의해 증발된 수분을 함유하는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가습 공기 토출유로를 형성한다.
이는, 기 전술한 공기 조화시스템의 건조 공기 토출구(13a)를 항상 폐쇄하고, 제1유로안내부(81)와 공기 토출유로(50)와의 연통 부위는 항상 개방시키며, 가습 공기 토출구(13b)를 항상 개방하고, 제2유로안내부(82)와 공기 토출유로(50)와의 연통 부위는 항상 폐쇄시킴으로써 가능하다.
이 역시 기 전술한 본 발명의 공기 조화시스템의 운전 과정 중 가습 운전시의 운전 과정과 동일하며, 단지 상기 실내 제습 시스템에서는 공기 조화시스템에서와 같은 유로 개폐수단의 구성 및 동작이 생략된다.
이에 따라 실내 가습 시스템의 운전 과정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시스템은 그 자체로의 구성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냉,난방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공기 조화기(air-conditioner) 등에 적용하여 사용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시스템을 공기 조화기에 적용시킴으로써 상기 공기 조화기가 단순히 여름 혹은 겨울에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항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시스템의 구성으로 인해 생긴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도가 낮고 습도는 높은 장마철의 경우 습도만을 낮추고자하는 동작의 수행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시스템의 운전을 제습 운전으로 수행함으로써 단순히 실내의 습도만을 저하시킬 수 있게 된다.
둘째, 겨울철 실내의 가습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이 가능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시스템의 운전을 가습 운전으로 수행함으로써 단순히 실내의 습도만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셋째, 실내 공기의 정화를 수행하기 위한 동작이 가능하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시스템은 전술한 각 기능을 단일 기기로써 수행할 수 있음에 따라 각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의 별도 구비에 따른 공간적 손실 및 추가 비용에 따른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흡입구와 실내 및 실외로의 공기 토출이 이루어지는 토출구가 각각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에 장착되어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수행하는 송풍수단;
    상기 각 토출구의 근접부 및 송풍수단의 공기 토출측 사이에 위치되고, 흡입된 공기 내의 수분을 흡착하는 수분 흡착수단;
    상기 수분 흡착수단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열을 가하여 상기 수분 흡착수단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키는 수분 증발수단;
    상기 수분 흡착수단을 통과한 공기가 실내 혹은 실외와 연통된 토출구를 향해 선택적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유로 안내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의 유동 경로상에 선택적인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정하는 유로 개폐수단을 더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유로 개폐수단은 사용 목적에 따라 각 유로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판상의 개폐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개폐판은 스테핑 모터와 같은 자동적인 제어가 가능한 수단에 의해 그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송풍수단은
    실내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이 흡입된 공기는 수분 흡착수단의 중앙부분을 통과하여 실내 혹은 실외로 토출되도록 공기의 토출측을 가지는 제1송풍팬과;
    실외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이 흡입된 공기는 수분 증발수단을 통과하여 실내 혹은 실외로 토출되도록 공기의 토출측을 가지는 제2송풍팬;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수분 흡착수단은 이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 원판형 휠로 형성하고, 별도의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구동 수단은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수분 흡착수단으로 전달하도록 연결된 벨트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수분 흡착수단은 다공성 제올라이트 재질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수분 증발수단은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는 히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시스템.
  10. 공기 조화시스템의 운전이 가습 운전인지 제습 운전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공기 조화시스템의 운전이 제습 운전일 경우
    제1송풍팬을 구동시켜 실내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단계와; 상기 흡입된 공기가 수분 흡착수단을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고, 이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실내로 배출하는 단계와; 수분 증발수단을 동작시켜 수분 흡착수단에 흡착된 수분을 증발시키는 단계와; 제2송풍팬을 구동시켜 실외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단계와; 상기 흡입된 공기가 수분 증발수단을 통과하도록 하여 증발된 수분을 상기 흡입된 공기에 포함되도록 함과 함께 이 수분이 함유된 공기는 실외로 배출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하고,
    상기 공기 조화시스템의 운전이 가습 운전일 경우
    제1송풍팬을 구동시켜 실내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단계와; 상기 흡입된 공기가 수분 흡착수단을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고, 이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실외로 배출하는 단계와; 수분 증발수단을 동작시켜 수분 흡착수단에 흡착된 수분을 증발시키는 단계와; 제2송풍팬을 구동시켜 실외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단계와; 상기 흡입된 공기가 수분 증발수단을 통과하도록 하여 증발된 수분을 상기 흡입된 공기에 포함되도록 함과 함께 이 수분이 함유된 공기는 실내로 배출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시스템의 운전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수분 흡착수단에 흡착된 수분을 증발시키는 단계 중 상기 수분 흡착수단을 회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시스템의 운전 제어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공기 조화시스템의 운전이 가습 운전인지 제습 운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공기 정화 운전인지를 더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운전이 공기 정화 운전일 경우 제1송풍팬을 구동시켜 실내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단계와;
    상기 흡입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단계와;
    제2송풍팬을 구동시켜 실외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단계와;
    상기 흡입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시스템의 운전 제어방법.
KR1020000032211A 2000-06-12 2000-06-12 실내 제습 시스템과 실내 가습 시스템을 갖는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방법 KR100352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211A KR100352430B1 (ko) 2000-06-12 2000-06-12 실내 제습 시스템과 실내 가습 시스템을 갖는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211A KR100352430B1 (ko) 2000-06-12 2000-06-12 실내 제습 시스템과 실내 가습 시스템을 갖는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601A true KR20010111601A (ko) 2001-12-19
KR100352430B1 KR100352430B1 (ko) 2002-09-16

Family

ID=45931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211A KR100352430B1 (ko) 2000-06-12 2000-06-12 실내 제습 시스템과 실내 가습 시스템을 갖는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24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927B1 (ko) * 1999-07-27 2003-07-28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 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2014B1 (ja) 2005-05-24 2006-11-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CN102221259B (zh) * 2010-04-14 2013-08-14 泰怡凯电器(苏州)有限公司 移动式空气处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927B1 (ko) * 1999-07-27 2003-07-28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 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2430B1 (ko) 200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838B1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101749194B1 (ko) 난방과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100610671B1 (ko) 제가습장치 및 환기시스템
KR101664791B1 (ko) 환기와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JPH05346253A (ja) 湿度調節型換気装置
KR102538252B1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102180663B1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JP2004225945A (ja)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KR100657808B1 (ko) 환기장치
JP3608548B2 (ja) 換気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JP2003139350A (ja) 除湿空調装置
JPH08178350A (ja) 調湿装置および調湿機能付空気調和機
JP6970930B1 (ja) 空気調和機
KR20080092201A (ko) 환기장치 및 이를 갖춘 공기조화기
KR100352430B1 (ko) 실내 제습 시스템과 실내 가습 시스템을 갖는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방법
KR100600773B1 (ko) 공기조화기
JP2008116060A (ja) 吸着体、調湿装置及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20001137A (ko) 환기 및 자동습도조절 장치
CN115698600A (zh) 空调机
JPH08210664A (ja) 乾式除加湿装置
JPH04283332A (ja) 乾式除加湿装置
JP2835695B2 (ja) 全熱交換換気装置
JP2002147803A (ja) 調湿換気装置
KR200207468Y1 (ko) 환기 및 자동습도조절 장치
KR100688209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