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0648A - 정보처리장치, 정보입력장치 및 정보처리본체장치 - Google Patents

정보처리장치, 정보입력장치 및 정보처리본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0648A
KR20010110648A KR1020010030393A KR20010030393A KR20010110648A KR 20010110648 A KR20010110648 A KR 20010110648A KR 1020010030393 A KR1020010030393 A KR 1020010030393A KR 20010030393 A KR20010030393 A KR 20010030393A KR 20010110648 A KR20010110648 A KR 20010110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form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ain bod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0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노츠요시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10110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64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7Pen manipulated men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사용자가 입력조작을 부드럽게 수행할 수 있고 사용하기가 편리한 정보처리장치, 정보입력장치 및 정보처리본체장치가 개시되었다. 이 정보처리장치는 본체장치 및 입력장치를 포함한다. 터치패널은 본체장치의 LCD의 표시화면에 부착된다. 입력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회전휠과 선단부를 포함하고 있다. 회전휠이 회전하면, 회전휠에 가해진 회전조작을 나타내는 정보가 입력장치의 송신기에서 본체장치로 전송된다. 본체장치는 입력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입력장치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혹은 터치패널에 입력장치의 선단부의 접촉시에 정보처리를 수행한다.

Description

정보처리장치, 정보입력장치 및 정보처리본체장치{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inputt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ain unit}
본 발명은 페이저(pager) 혹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라고 하는 사용자가 다루기에 적합한 개인용 정보처리장치 등의 정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페이저 혹은 PDA와 같은 정보처리장치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어 터치패널(터치스크린)이라고 하는 접촉위치검출기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터치패널은 예를 들어 정보처리장치의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표시장치의 표시화면에 부착된다.
터치패널은 사용자의 손가락 끝, 펜 끝이 접촉된 표시화면 상의 좌표위치를 검출하여, 검출된 좌표위치에 따라 입력아이템을 결정한다. 그러한 터치패널에 의해, 사용자는 표시화면에 살짝 접촉함으로써 입력아이템을 결정하고,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문자의 입력과 같은 복잡한 입력조작을 상대적으로 쉽게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터치패널을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그러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표시화면에 표시된 정보를 스크롤하거나계층(hierarchical) 메뉴 상에서 하나의 메뉴에서 다른 메뉴로 이동할 경우에 사용자는 종종 같은 조작을 반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이 복잡해지며, 어느 경우에는 목표대상 정보 또는 메뉴를 표시하는데 있어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도 13에 예로서 나타낸 것처럼, 표시스크린의 전체 표면에 부착된 터치패널을 갖는 LCD(101)를 포함한 페이저나 PDA와 같은 정보처리장치(100)에서는, 사용자는 스크린화상을 스크롤하고자 할 때마다 가압영역(pressed field)에 압력을 가하여 스크롤해야만 한다. 또한, 터치당(per touch) 스크롤양이 일정하기 때문에, 부드러운 조작과 부드러운 스크롤이 어렵게 된다.
즉, 도 13a에서, 하방향 화살표(DW)는 표시된 문자정보 이후에 또 다른 문자정보가 있음을 가리킨다. 이 경우 표시된 문자정보 이후의 문자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하방향 화살표(DW)의 표시위치 또는 그 근처에 대응하는 터치패널(102) 상의 위치(즉, 소정의 가압영역)에 대해서 펜 등을 접촉함으로써, 도 13b에 나타낸 것처럼 화상의 다음 프레임다음 프레임.
이어서, 도 13b에서 표시된 문자정보 이후의 문자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도 13b의 표시화상에 하방향 화살표(DW)의 표시위치에 대응하는 터치패널 상의 위치에 대해서 펜 등을 접촉하는 동작을 반복해야 한다. 터치당 스크롤양이 예를 들어 화상의 하나의 프레임인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복수의 화상프레임 앞에 있는 문자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하방향 화살표(DW)의 표시위치에 대응하는 터치패널(102) 상의 위치에 펜 등으로 접촉하는 동작을 복수번반복해야 한다. 또한, 터치당 스크롤양이 하나의 화상프레임이고, 문자정보가 2개의 화상프레임에 걸쳐 있을 경우, 문자정보를 읽기 위해서 종종 스크린화상이 위아래로 교대로 스크롤된다. 따라서, 그러한 정보를 읽기가 불편해지며, 사용자는 그것을 읽기 위해서 자주 같은 동작을 반복해야 한다.
또한, 하방향 화살표(DW)의 표시위치에 대응하는 터치패널(102) 상의 위치를 펜 등으로 접촉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목표대상정보가 표시된 후에 원래의 화상프레임에 복귀할 경우에는, 이제 사용자는 상방향 화살표(UP)의 표시위치에 대응하는 터치패널(102) 상의 위치를 펜 등으로 접촉하는 동작을 여러 번 반복해야만 한다.
즉, 예를 들면, 표시될 문자정보가 상대적으로 긴 텍스트인 경우에, 목표대상 문자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 같은 동작을 자주 반복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하기가 불편하게 되며, 종종 부드러운 스크롤을 통한 목표대상(이하, "타겟"으로 표시) 정보를 신속하게 표시하기가 어려워진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것처럼, 표시화면의 전체 표면에 부착된 터치패널(102)을 갖는 LCD(101)를 포함하는 페이저 또는 PDA와 같은 정보처리장치(100)의 계층메뉴에서 하나의 메뉴로부터 다른 메뉴로 이동할 경우, 사용자는 귀찮은 동작을 해야 하고 따라서 그러한 경우에 유연한 동작이 어렵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4a에 나타낸 것처럼 메인메뉴의 화상을 표시한 후에 타겟의 하위레벨 서브메뉴로 진행할 경우, 사용자는 타겟 서브메뉴를 나타내는 표시된 메뉴의 표시위치에 대응하는 터치패널(102) 상의 위치에 펜 등으로 접촉함으로써 도 14b에서처럼 하위레벨 서브메뉴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4b의 서브메뉴로부터 메인메뉴(상위레벨 메뉴)로 복귀하고자 할 경우가 종종 있다. 도 14에 나타낸 예에서, 사용자는 도 14b의 표시위치에 대응하는 터치패널(102) 상의 위치에 펜 등으로 접촉함으로써 상위레벨 메뉴, 즉, 도 14a에 나타낸 메인메뉴로 복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표시화면에 부착된 터치패널에 접촉할 필요와, 타겟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표시화면 상의 다른 표시위치들에 대응하는 여러 개의 가압영역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압력을 가할(가압할) 필요가 자주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동작이 복잡해지며 정보처리장치를 사용하기가 불편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관련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입력동작을 유연하게 수행할 수 있고 사용하기가 편리하도록 하는 정보처리장치와, 정보입력장치와, 정보처리본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장치부와,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조작입력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본체장치부에 전송하기 위한 입력장치부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로서,
상기 본체장치부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표시화면에 제공되며, 상기 표시화면에 사용자접촉위치를 검출하는 접촉위치검출부와; 상기 입력장치부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와; 상기 접촉위치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표시화면 상의 접촉위치에 따라, 또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입력장치부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장치부는 상기 표시부 상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상기 표시화면에 접촉되는 선단부와; 회전이 가능한 제 1조작부와; 상기 제 1조작부에 가해진 회전조작을 검출하고 상기 회전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회전검출부와; 상기 회전검출부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본체장치부의 상기 수신부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정보처리장치는 본체장치부와 입력장치부를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가 본체장치부의 표시장치의 표시화면에 제공된 접촉위치검출부에 입력장치부의 선단부를 접촉하면, 표시장치의 표시화면 상의 좌표위치가 검출되고, 검출된 좌표위치에 따라 입력아이템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입력장치부는 회전이 가능한 제 1조작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 1조작부가 회전하면, 제 1조작부에 가해진 회전조작을 나타내는 정보가 입력장치부의 전송부를 통하여 본체장치부에 전송된다. 입력장치부로부터 전송되온 제 1조작부의 회전조작을 나타내는 정보는 제 1조작부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서, 특히 예를 들어 제 1조작부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본체장치부의 정보처리장치는 접촉위치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것으로 표시장치의 표시화면 상의 좌표위치로부터 결정된 입력아이템에 기초하여, 또는 입력장치부로부터 전송되고 본체장치부의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정보에 따라서, 표시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의 처리 예를 들면 스크롤처리를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접촉위치검출부에 입력장치부의 선단부를 접촉하는 것과, 입력장치부의 제 1조작부를 회전하는 2가지 조작 중 어느 것을 이용하여, 본체장치부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즉, 회전조작을 제 1조작부에 적용하여 본체장치부에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정보처리장치는 부드러운 조작이 가능해지고 사용이 좀더 편리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력장치부에 있어서 제 1조작부가 회전뿐만 아니라 가압이 가능하며, 전송부가 제 1조작부에 가해진 가압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는 정보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정보처리장치에 의하면, 사용자는 입력장치부의 선단부를 접촉위치검출부에 접촉하는 것과, 입력장치부의 제 1조작부를 회전시키는 것과, 입력장치부의 제 1조작부를 가압하는 3가지 조작 중 어느 것을 이용하여 본체장치부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제 1조작부의 가압조작을 추가적으로 이용한 결과, 정보처리장치는 더욱 부드러운 조작이 가능해지고, 사용하기가 더욱 편리해진다.
예를 들면, 입력장치부의 제 1조작부의 회전조작은 본체장치부의 표시장치의 표시화면 상에 표시된 옵션아이템을 선택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고, 제 1조작부의 가압조작은 표시화면에 표시된 것으로 제 1조작부의 회전조작에 의해 선택가능한 상태가 된 옵션아이템을 결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장치부의 제 1조작부를 회전 및 가압함으로써, 사용자는 타겟아이템을 선택하고, 타겟아이템을 결정하며, 메뉴아이템과 같은 복수의 옵션아이템을포함하는 화면화상 내의 결정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처리를 시작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정보처리장치는 좀더 부드러운 조작이 가능하게 되고 사용하기가 더욱 편리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력장치부가 제 1조작부 이외의 제 2조작부를 포함하고, 전송부가 제 2조작부에 가해진 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하는 정보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정보처리장치에 의하면, 입력장치부에 제 1조작부에 추가하여 제 2조작부가 제공되고, 입력장치부의 전송부가 제 2조작부의 조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본체장치부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장치부의 제 2조작부를 사용하여 본체장치부에 정보를 추가로 입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정보처리장치는 더욱 부드로운 조작이 가능해지고, 사용하기가 더욱 편리해진다.
예를 들면, 입력장치부의 제 1조작부의 회전조작은 본체장치부의 표시장치의 표시화면에 표시된 옵션아이템, 예를 들면, 계층메뉴를 선택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고, 제 1조작부의 가압조작은 제 1조작부의 회전조작에 의해 선택이 가능한 상태가 된 메뉴 내의 옵션아이템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조작부의 조작은 현재 표시된 화면화상의 취소를 지시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입력장치부의 제 1조작부를 회전 및 가압함으로써, 위와 유사하게 사용자는 타겟아이템을 선택하고, 타겟아이템을 결정하고, 메뉴화상과 같은 복수의 옵션아이템을 포함하는 화면화상에서 결정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처리를 시작시킬수 있다.
또한, 현재 표시된 화면화상은 제 2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원래의 메뉴화상으로 복귀하기 위해 취소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하위레벨에서 다른 높은 레벨로 하나의 메뉴를 복귀할 경우, 다른 레벨들에 있는 메뉴화상 사이를 쉽게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정보처리장치는 본체장치부에서 좀더 부드러운 조작이 가능하고, 사용하기가 좀더 편리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을 통하여 본체장치부와 입력장치부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정보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정보처리장치에 의하면, 본체장치부와 입력장치부가 서로 무선통신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므로, 제 1조작부의 회전조작을 나타내는 정보와, 제 2조작부의 조작을 나타내는 정보가 입력장치부로부터 본체장치부로 무선으로 전송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본체장치부와 입력장치부가 유선으로 상호 접속된 경우에서 자주 경험하는 것처럼 본체장치부와 입력장치부를 접속하는 것으로 인한 귀찮은 점들이 없어지므로, 편리한 정보처리장치가 실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력장치부에 구성된 정보입력장치를 독립된 형태로 제공하고, 본체장치부에 의해 구성된 정보처리본체장치를 독립된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입력장치로부터 신호를 전송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수행되는 스크롤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수행되는 스크롤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6a,b,c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메뉴로부터 옵션아이템 중 하나를 선택 및 결정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메뉴로부터 옵션아이템 중 하나를 선택 및 결정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b,c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메시지정보의 편집처리 중에 표시되는 화면화상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d,e,f는 도 8 이후의 메시지정보의 편집처리에서 표시되는 화면화상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g,h,i는 도 9 이후의 메시지정보의 편집처리에서 표시되는 화면화상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수행되는 메시지정보의 편집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처리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편집처리메뉴표시와 선택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13은 종래 방법으로 터치패널을 이용하여 화면화상을 스크롤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종래 방법으로 터치패널을 이용하여 메뉴로부터 하나의 아이템을 선택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본체장치 11. LCD
111. LCD드라이버 12. 터치패널
121. 좌표검출기 13. 수신기
14. 링어 15. 제어부
16. 송수신안테나 17. 통신처리장치
2. 입력장치 21. 선단부
22. 회전휠 221. 회전검출기
222. 가압검출기 23. 보조버튼스위치
231. 가압검출기 25. 제어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정보처리장치, 정보입력장치 및 정보처리본체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아래에 기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메시지정보(문자정보)를 수신하고, 메시지정보를 생성하여 타겟 목표지점에 전송하는 소위 전자우편 기능을 갖는 페이저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와 관련하여, 정보처리장치, 정보입력장치 및 정보처리본체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그러한 정보처리장치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페이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에서처럼, 본 실시예의 페이저는 본체장치(부)(1)와 입력장치(부)(2)의 2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본체장치(1)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본체장치에 의해 구성되며, 입력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입력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도 1에서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페이저의 본체장치(1)는 상대적으로 큰 표시화면을 갖는 표시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LCD(11)를 포함하고 있다. 터치패널(12)은 LCD(11)의 표시화면의 전표면에 부착되어, 터치펜 등으로 접촉하여 압력이 가해진 표시화면의 위치(즉, 가압영역)의 좌표를 검출하기 위한 좌표위치검출수단으로서 역할을 한다.
본체장치(1)의 LCD(11)는 수신된 전자우편(수신된 메시지정보)과, 본체장치에서 생성되어 전송되는 전자우편(전송메시지정보) 등을 표시한다. 또한, 전송메시지정보는 LCD(11)의 표시화면에 부착된 터치패널(12)과 LCD(11)를 이용하여 생성된다. 이 경우, LCD(11)의 표시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펜 등으로 접촉해야 하는 소정의 가압위치 또는 가압영역을 명확히 인식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LCD(11)의 표시화면 상에 표시된 타겟정보에 대응하는 터치패널(12) 상의 위치에 펜 등을 접속하면, 접촉위치의 좌표가 본체장치(1)에서 검출된다. 검출된 좌표에 따라서, 본체장치(1)는 입력아이템을 특정하여 특정된 입력아이템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뒤에서 설명하겠지만, 알파벳문자, 필요한 기호, 필요한 기능키 등으로 이루어진 소프트웨어키보드가 LCD(11)의 표시화면에 표시된다. 타겟문자 또는 기호의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터치패널(12) 상의 위치에 펜 등을 접촉함으로써, 사용자는 문자 또는 기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자우편으로 전송될 메시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입력장치(2)는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소위 펜 타입의 입력장치이고, 표시화면 상의 좌표를 지정하기 위한 터치패널(12)에 접촉이 되는 선단부(tip portion)(21)와, 도 1의 화살표(a)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할 뿐만 아니라, 도 1의 화살표(b)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입력장치(2)의 내부를 향하여 압력이 가해질 수 있는(가압될 수 있는) 회전휠(제 1조작수단)(22)과, 입력장치(2)의 내부를 향하여 가압될 수 있는 보조버튼스위치(제 2조작수단)를 포함하고 있다.
회전휠(22)이 회전되면, 입력장치(2)는 회전휠(22)을 회전시키기 위해 적용되는 회전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본체장치(1)에 전송한다. 이와 유사하게, 회전휠(22)이 가압되면, 입력장치(2)는 회전휠(22)에 적용되는 가압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본체장치(1)에 전송하고, 보조버튼(22)에 적용된 가압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본체장치(1)로 전송한다.
본체장치(1)는 입력장치(2)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따라 표시된 정보를 스크롤하고, 옵션아이템을 선정하거나 화면 상에 표시된 화상을 취소(cancel)하느 처리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체장치(1)]
입력장치(2)와 본체장치(1)의 구성을 아래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페이저의 입력장치(2)와 본체장치(1)의 예시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의 하부블록은 본체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도2의 상부블록은 입력장치(2)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우선 본체장치(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서처럼, 본체장치(1)는 LCD(11)와, LCD드라이버(111)와, 터치패널(12)과, 좌표검출기(121)와, 수신기(13)와, 링어(ringer)(14)와, 제어부(15)와, 송수신안테나(16)와, 통신처리장치(17)를 포함한다. 제어부(15)는 본체장치(1)의 다른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의 본체장치(1)에서, 도 2에서처럼, 제어부(15)는 CPU버스(155)를 통해 상호접속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51)와, ROM(read only memory)(152)과, RAM(random access memory)(153)과,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154)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ROM(152)은 다양한 처리들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RAM(153)은 예를 들어 다양한 종류의 처리들의 중간단계에서 생성되는 예를 들어 임시저장데이터 등에 의한 처리의 작업영역으로서 주로 이용된다.
EEPROM(154)은 본체장치(1)의 전원이 꺼졌을 때에도 바로 전의 세팅조건(setting condition) 등을 저장하여 두고, 그 후에 전원이 켜졌을 때에 동일한 조건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모드로 이 장치를 사용할 경우에, 이들의 설정파라미터를 기억하거나, 혹은, 그 장치가 수신한 자기 자신에게 온 전자우편(수신메시지정보)이나, 그 장치가 송신하는 전자우편(전송메시지정보) 등을 기억하여 둔다. 이와 같이, EEPROM(154)은 본체장치(1)의 전원이 꺼진 후에도 거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보관유지할 수 있는 비휘발성메모리이다.
[정보수신처리]
본체전원이 켜졌을 때, 본 실시예의 본체장치(1)는 수신될 우편(정보)을 기다리는 모드로 되며, 그 장치 자신에 우편이 도착됨을 검출한다. 즉, 본체장치(1)의 송수신안테나(16)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통신처리장치(17)에 제공된다. 통신처리장치(17)는 송수신안테나(16)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본체장치(1)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그 신호를 복조(demodulation) 및 복호(decoding)하는 처리를 수행하며, 그 후, 그 변환된 신호를 제어부(15)에 제공한다.
통신처리장치(17)로부터의 제공된 신호가 장치 자신으로 어드레스가 지정된 우편의 도착을 나타내고 있으면, 제어부(15)는 링어(14)를 제어하여 링어사운드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그 장치에 우편이 도착되었음을 알린다. 그리고, 사용자가 본체장치(1)에게 제공되어 있는 소정의 버튼스위치를 조작하면, 링어사운드가 정지되며, 우편을 송신한 상대편의 전화번호와 같은 정보가 제어부(15)의 제어하에서 LCD드라이버(11)를 통하여 LCD(11)의 표시화면에 표시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의 본체장치(1)는 진동기도 포함하고 있다. 장치 자신에 우편이 도착되면, 진동기가 진동하여 우편이 도착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대편(목적지: destination)의 페이저에 직접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상대편의 페이저의 사용자가 가입한 전화회사 등에 의해 관리되는 서버에 전송되어 서버에 제공되어 있는 상대편의 타겟메일박스(전자우편 저장영역)에 로딩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전자우편(수신메시지정보)을 수신한 페이저의 사용자는 관련서버에 엑세스하여 그 페이저로 어드레스가 정해진 전자우편을 얻어낼 수 있다. 그리고,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본 실시예의 장치 자신에게 어드레스가 정해진 전자우편(수신된 메시지정보)은 송수신안테나(16)와 통신처리장치(17)를 거처서 제어부(15)에 제공된다. 그 후, 제어부(15)는 EEPROM(154)의 수신된 메시지의 저장영역에 전자우편을 로딩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본체장치(1)에 제공되어 있는 소정의 버튼스위치를 조작하거나, LCD(11)의 표시화면에 부착되어 있는 터치패널(12)을 통하여 지령을 내리면, 제어부(15)는 EEPROM(154)으로부터의 타겟 수신메시지정보를 독출하여, LCD드라이버(111)를 통하여 LCD(11)의 표시화면 상에 그 메시지정보를 표시하도록 한다. 따라서, 제어부(15)의 제어 하에서 LCD드라이버(111)를 통하여 LCD(11)의 표시화면 상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정보표시의 일련의 동작이 수행된다.
본체장치(1)의 LCD(11)는 상대적으로 큰 표시화면을 가질 경우에도, 한번에 수십 라인에 걸쳐서 메시지정보를 표시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장치는, 본체장치(1)의 LCD(11)의 표시화면 상에 표시된 전자우편의 긴 텍스트로 된 메시지정보 등에 대해서, 사용자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입력장치(2)의 회전휠(22)을 회전시켜 스크린화상을 유연하게 스크롤함으로써 메시지정보 전체를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입력장치(2)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본체장치(1)에서의 그러한 후술하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의 본체장치(1)는 근거리통신을 위한 수신기(13)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수신기(13)는 회전휠(22)의 회전 또는 가압(압력이 가해짐)을 나타내는 신호와 보조버튼(23)의 가압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며, 여기에서 이들 신호들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입력장치(2)로부터 본체장치(1)로 전송되는 것이다.
[정보전송처리]
본 실시예의 본체장치(1)에서 목적으로 하는 상대측에 전송할 전자우편(전송메시지정보)을 생성할 경우, 사용자는 LCD(11) 상의 소프트웨어키보드를 표시하기 위한 소정의 조작을 수행하고 나서, 계속해서 터치패널(12) 상의 소정의 위치에 입력장치(2)의 선단부(21)를 접촉함으로써 문자정보를 입력한다.
입력장치(2)의 선단부(21)가 접촉된 터치패널(12) 상의 각 위치의 좌표는 좌표검출기(121)에 의해 검출되며, 이 검출좌표를 가리키는 정보는 제어부(15)에 제공된다. 좌표검출기(121)로부터 제공된 검출좌표를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서, 제어부(15)에 의해 사용자가 지령을 내린 정보가 특정된다.
제어부(15)의 제어 하에서, 특정된 정보는 LCD드라이버(111)를 통하여 LCD(11)의 표시화면의 소정 위치에 표시되며, 동시에 RAM(153)에 임시적으로 저장된다. 그리고 나서, 정보를 입력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사용자가 지령을 내린 정보가 연속적으로 특정되어지며, 특정된 정보의 표시 및 임시저장도 반복수행된다. 결과적으로, 상대편에 전송할 전자우편의 메시지정보가 생성되어 RAM(153)에 저장된다.
또한, 전자우편의 메시지정보를 생성할 경우, 사용자는 입력장치(2)의 회전휠(2)을 회전시키고 화면화상을 유연하게 스크롤함으로써 현재 생성된 메시지정보를 확인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복사, 붙이기, 잘라내기 등의 메시지정보에 대한 편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그렇게 생성되어 RAM(153)에 저장된 전송메시지정보는 정보생성처리가 완료된 후 EEPROM(154)의 전송메시지저장영역에 로딩되고 보관유지되어, 사용자가 로딩된 메시지정보를 편집하거나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메시지정보의 전송을 지시하기 위한 소정의 조작을 수행할 경우, 제어부(15)는 지시된 상대편에게 전화를 걸어서 통신회선에 접속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본체장치(1)의 제어부(15)는 숫자를 다이얼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이어서, 제어부(15)는 EEPROM(154)의 전송메시지저장영역에 로딩된 타겟메시지정보를 읽어내어 그 메시지정보를 접속된 통신회선을 통하여 상대편에게 전송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의 페이저의 본체장치(1)는 페이저 자신에게 어드레스가 지정된 메시지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양방향통신을 실현하기 위해 상대편에게 어드레스가 지정된 메시지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체장치(1)는 입력장치(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근거리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LCD(11)의 표시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를 스크롤하는 처리 등의, 입력장치(2)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입력장치(2)]
입력장치(2)에 대해서 아래에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외관으로 볼 때, 입력장치는 본체장치(1)에 제공되어 있는 터치패널(12)에 접촉되는 선단부(21)를 가지고 있는 펜 형태의 입력장치이다. 즉, 입력장치(2)는 터치패널를 통하여 입력을 하기 위한 소위 터치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의 입력장치(2)는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회전휠(22)과, 회전검출기(221)와, 가압검출기(222)와, 보조버튼(23)과, 가압검출기(231)와, 제어부(25)와, 송신기(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25)는 CPU버스(254)를 통하여 상호접속되어 있는 CPU(251)와, ROM(252)과, RAM(23)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제어부(25)의 ROM(252)은 다양한 종류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RAM(253)은 예를 들어 다양한 종류의 처리의 중간 단계에서 생성되는 데이터 등을 임시로 저장함으로써 처리중에 작업영역으로서 주로 이용된다.
도 1과 관련하여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휠(22)은 회전되거나 가압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회전검출기(221)와 가압검출기(222)는 회전휠(22)에 접속되어 있다.
회전검출기(221)는 회전휠(22)의 회전각의 변화를 검출하여 그 검출된 변화를 제어부(25)에 통지한다. 구체적으로, 회전검출기(221)는 회전휠(22)의 회전휠(22)의 회전방향(회전휠(22)이 회전되는 방향)과, 회전휠(22)의 회전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회전방향과 회전량을 제어부(25)에 통지한다.
회전검출기(221)로부터 회전휠(22)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의 통지를 받으면, 제어부(25)는 수신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 즉, 회전휠(22)에 가해진 회전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여, 그 신호를 송신기(26)를 통하여 본체장치(1)에 전송한다.
또한, 회전휠(22)에 사용자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면, 가압검출기(222)는 가압조작을 검출하여, 회전휠(22)이 가압된 것을 제어부(25)에 통지한다. 가압검출기(222)로부터 회전휠(22)이 가압되었다는 통지를 수신하면, 제어부(25)는 회전휠(22)에 가해진 가압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여, 그 신호를 송신기(26)를 통하여 본체장치(1)에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1과 관련하여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조버튼(23)은 가압될 수 있다. 또한, 가압검출기(231)는 보조버튼(23)에 접속되어 있다. 보조버튼(23)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 가압검출기(231)는 가압조작을 검출하여, 보조버튼(23)이 가압되었음을 제어부(25)에 통지한다.
가압검출기(231)로부터 보조버튼(23)이 가압되었다는 통지를 수신하면, 제어부(25)는 보조버튼(23)에 가해진 가압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여, 그 신호를 송신기(26)를 통하여 본체장치(1)에 전송한다.
송신기(26)는 도 1과 함께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어부(25)에서 생성된 회전휠(22)에 가해진 회전조작을 나타내는 신호와, 회전휠(22)에 가해진 가압조작을 나타내는 신호와, 보조버튼(23)에 가해진 가압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본체장치(1)에 전송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입력장치(2)는 본체장치(1)의 LCD(11)의 표시화면에 부착되어 있는 터치패널(12)을 통하여 본체장치(1)에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입력장치(2)는 회전휠(22)에 가해진 회전조작을 나타내는 신호와, 회전휠(22)에 가해진 가압조작을 나타내는 신호와, 보조버튼(23)에 가해진 가압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본체장치(1)에 전송하기 위한 근거리통신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LCD(11)의 표시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는 입력장치(2)의 회전휠(22)의 회전에 의해 스크롤된다. 또한, 회전휠(22)의 회전 및 가압에 의해 메뉴아이템이 선택되고 결정되며, 보조버튼(23)의 가압에 의해 화면 상의 메뉴화상이 취소된다.
[입력장치(2)로부터의 신호전송처리]
이제, 본 실시예의 입력장치(2)에서 수행되는 신호전송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입력장치(2)에서 수행되는 신호전송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3에 나타낸 처리는 입력장치(2)의 제어부(25)에서 수행된다.
본 실시예의 입력장치(2)의 제어부(25)는 예를 들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회전검출기(221)와, 가압검출기(222)와, 가압검출기(231)의 검출출력을 모니터하여, 사용자가 회전휠(22) 또는 보조버튼(23)을 조작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S101)).
단계(S101)의 결정처리에 의해 회전휠(22) 또는 보조버튼(23)이 모두 조작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단계(S101)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S101)의 결정처리에 의해 회전휠(22) 또는 보조버튼(23)이 조작된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25)는 회전휠(22)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S102)).
단계(S102)의 결정처리에 의해 검출출력이 회전검출기(221)로부터 제공되고, 회전휠(22)이 회전된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25)는 회전검출기(221)로부터의 검출출력에 따라서, 회전휠(22)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을 가리키는 정보를 포함한 신호, 즉 회전휠(22)에 가해진 회전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여, 그 신호를 송신기(26)를 통해 본체장치(1)로 전송한다(단계(S103)). 그 후, 제어부(25)는 단계(S101)에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S102)의 결정처리에 의해 회전휠(22)이 회전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25)는 회전휠(22)이 가압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S104)). 단계(S104)의 결정처리에 의해, 가압검출기(222)로부터 검출출력이 제공되며,회전휠(22)이 가압된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25)는 가압검출기(222)로부터의 검출출력에 따라서 회전휠(22)에 가해진 가압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여, 그 신호를 송신기(26)를 통해 본체장치(1)로 전송한다(단계(S105)). 그 후, 제어부(25)는 단계(S101)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단계(S104)의 결정처리에 의해 회전휠(22)이 가압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25)는 사용자가 보조버튼(23)을 가압하는 조작을 한 것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25)는 가압검출기(231)로부터의 검출출력에 따라서 보조버튼(23)에 가해진 가압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여, 그 신호를 송신기(26)를 통해 본체장치(1)로 전송한다(단계(S106)). 그 후, 제어부(25)는 단계(S101)에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입력장치(2)는 수신된 조작을 나타내는 신호, 즉, 입력조작 구성요소들 중 어떤 것이 조작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항시 회전휠(22) 또는 보조버튼(23)에 가해진 조작을 수신할 수 있고, 그 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본체장치(1)에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체장치(1)에서 수행되는 처리]
이하, 무선통신을 통해 입력장치(2)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본체장치(1)에서 수행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 설명은 (1) 표시된 정보의 스크롤처리와, (2) 계층메뉴로부터 아이템을 선택하고 결정하는 처리와, (3) 전송메시지정보의 편집처리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1) 표시된 정보의 스크롤처리]
우선 표시된 정보의 스크롤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과 함께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예의 페이저에서는, 페이저 자신으로 어드레스가 지정된 전자우편의 수신된 메시지정보를 표시하거나, 상대편에게 전송해야 할 전자우편의 메시지정보를 생성 또는 편집할 경우에, 메시지정보가 한번에 본체장치(1)의 LCD(11)의 표시화면 상에 표시되기에는 너무 길면, 입력장치(2)의 회전휠(22)을 회전시켜서 메시지정보를 스크롤한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상대편에게 전자우편으로서 전송할 전송메시지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a,b는 전송메시지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화면화상 내의 메시지정보를 스크롤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본체장치(1)의 LCD(11)의 표시화면 상에 표시된 메인메뉴로부터 전송메시지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옵션아이템을 선택하면, 본체장치(1)의 제어부(15)는 전송메시지정보를 생성하는 모드가 된다.
전송메시지정보를 생성하는 모드에서는, 제어부(15)는 ROM(102)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읽어내어, 문자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소프트웨어키보드를 포함하고 있는 화면화상(스크린화상)을 생성하는 전송메시지정보를 형성하여,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LCD(11) 상의 화면화상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처럼, 본체장치(1)의 LCD(11) 표시화면의 상측에 정보표시/입력영역(11A)이 제공되며, LCD(11)의 표시화면의 하측에 소프트웨어키보드표시영역(11B)이 제공된다. 전송메시지정보를 생성할 경우, 입력장치(2)의 선단부(21)는 표시영역(11B)에 표시된 소프트웨어키보드에서의 타겟문자의 표시위치에 대응하는 터치패널(12)상의 위치에 접촉된다.
결과적으로, 입력장치(2)의 선단부(21)가 접촉된 LCD(11)에 부착되어 있는 터치패널(12) 상의 위치좌표가 본체장치(1)에 의해 검출되며, 본체장치(1)에 입력되도록 지시된 문자가 검출좌표에 따라 특정되어진다. 그리고, 특정된 문자는 도 4에서처럼 정보표시/입력영역 상에 연속적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긴 텍스트로 된 메시지정보도 소프트웨어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본체장치(1)에 쉽게 생성될 수 있다. 전송메시지정보를 생성하는 처리 중에, 전송메시지정보의 생성을 마친 후에, 사용자페이저는 종종 생성된 메시지정보를 표시하고자 할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전송메시지정보를 생성하는 모드에서 입력장치(2)의 회전휠(22)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회전휠(22)에 가해진 회전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장치(2)로부터 본체장치(1)로 전송된다. 회전휠(22)의 회전을 가리키는 정보를 수신하면, 본체장치(1)의 제어부(15)는 그 회전을 나타내는 신호에 따라 다음 프레임의 화상을 표시한다. 즉, 제어부(15)는 생성된 것으로 하나의 프레임의 화상으로 다음에 표시될 전송메시지정보를 특정하고, 표시된 정보로서 특정된 메시지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4a에서처럼, 하방향 화살표(DW)가 가리키는 것이 정보표시/입력영역(11A)에 표시되는 메시지정보 이후의 정보가 있다는 것일 경우에, 입력장치(2)의 회전휠(22)은 LCD(11)의 표시화면의 위로 메시지정보를 스크롤하도록 회전된다.
입력장치(2)로부터 송신되는 회전휠(22)에 가해진 회전조작을 나타내는 신호에 따라서, 즉, 회전휠(22)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에 의존하여, 본체장치(1)는 소정의 단위로, 예를 들어 라인 또는 페이지 단위로 표시화면의 위로 메시지정보(표시된 정보)를 스크롤하며, 다음에 표시할 화상의 하나의 프레임을 위한 전송메시지정보를 특정함으로써, 도 4b에 나타낸 것처럼 특정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도 4b에서처럼, 상방향 화살표(UP)가 가리키는 것이 정보표시/입력영역(11A)에 표시된 메시지정보 이전에 정보가 있다는 것일 경우, 입력장치(2)의 회전휠(22)은 LCD(11)의 표시화면의 아래로 표시된 정보를 스크롤하도록 회전된다.
입력장치(2)로부터 송신된 신호로서 회전휠(22)에 가해진 회전조작을 나타내는 신호에 따라서, 본체장치(1)는 소정의 단위로, 예를 들면 라인 또는 페이지 단위로, 표시화면의 아래로 표시된 정보를 스크롤하며, 다음에 표시될 화상의 하나의 프레임을 위한 메시지정보를 특정함으로써, 특정된 정보를 도 4a에서처럼 표시한다.
도 5는 전송메시지정보를 생성하는 모드에서 본체장치(1)에서 수행되는 화면화상스크롤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5의 스크롤처리는 전송메시지정보를 생성하는 모드에서 수행되는 메인 루틴에서 소정의 시간간격을 두고 수행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체장치(1)의 제어부(15)는 전송메시지정보를 생성하는 모드에서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도 5의 스크롤처리를 수행한다. 우선, 본체장치(1)의 제어부(15)는 입력장치(2)의 회전휠(22)에 가해진 회전조작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장치(2)로부터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S201)). 단계(S201)의 결정처리에 의해 회전휠(22)에 가해진 회전조작을 나타내는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5)는 도 5의 처리를 종료하고, 전송메시지정보를 생성하는 모드에서 메인 루틴으로 복귀한다.
단계(S201)의 결정처리에 의해 회전휠(22)에 가해진 회전조작을 나타내는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결정되면, 본체장치(1)의 제어부(15)는 회전조작을 나타내는 수신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회전휠(22)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에 따라서, 다음에 표시해야할 메시지정보(표시된 정보)를 결정(특정)한다(단계(S202)).
그리고, 제어부(15)는 LCD드라이버(111)를 통하여 LCD(11)의 표시화면 상에 단계(S202)에서 결정된 메시지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5)는 도 5의 처리를 종료하고, 전송메시지정보를 생성하는 모드의 메인루틴으로 복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페이저의 사용자는 입력장치(2)의 회전휠(22)을 회전함으로써 회전휠(22)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에 따라서 화면화상을 스크롤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화면화상을 스크롤해야 할 때마다 터치패널에 제공되어 있는 스크롤을 위한 가압영역에 사용자가 압력을 가해야만 하는 종래 방법에 비해 사용자가 보다 쉽게 스크롤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회전휠(22)을 계속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스크롤회전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부드러운 스크린 조작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장치(1)의 LCD(11)의 표시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를 연속적인 방식으로 부드럽게 스크롤을 할 수 있다.
또한, 본체장치(1)의 LCD(11)의 표시화면에 부착되어 있는 터치패널 상에 스크롤을 위한 가압영역을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LCD(11)의 표시화면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종래에 스크롤을 위한 가압영역으로 이용된 LCD(11)의 표시화면 상의 소정의 영역에 스크롤과 관련 없는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 정보표시/입력영역(11A)은 한번에 스크롤되어야할 화상의 하나의 프레임으로서 설정되며, 화면화상은 라인 단위로 스크롤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장치(2)의 회전휠(22)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에 따라서 표시된 정보가 부드럽게 스크롤될 수 있다.
회전휠(22)의 회전량에 따라 표시된 정보가 스크롤되는 양은 그 스크롤양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설정될 수 있도록 본체장치(1)에서 선택적으로 설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페이지단위(화상의 하나의 전체 프레임)의 스크롤은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회전조작에 의해 큰 스팬(span)을 거처 화면화상을 스크롤하기에 편리한 반면, 라인 단위의 스크롤은 상대적으로 유연한 감각을 가지고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절반페이지(화상의 1/2 프레임) 단위의 스크롤은 2개의 스크롤모드 사이의 중간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텍스트문장이 인터럽트 없이 표시될 수 있고, 2개의 프레임 화상에 걸쳐서 표시된 정보를 스크롤 할 때에도 표시된 정보를 쉽게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는 예를 들어 전자우편의 전송메시지정보를 생성하는 모드에서 스크롤처리가 수행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하지만, 전자우편의 수신메시지정보를 표시하고 읽어낼 때, 또는 전자우편의 생성된 메시지정보를 편집할 때에, 같은 방식으로 입력장치(2)의 회전휠(22)을 회전시킴으로써 본체장치(1)가 LCD(11) 상에 표시된 정보를 스크롤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2) 계층메뉴로부터 아이템을 선택하고 결정하는 처리]
계층메뉴로부터 아이템을 선택하고 결정하는 처리에 대해서 아래에 설명하겠다. 본 실시예의 페이저는 다양한 종류의 처리 예를 들어 전자우편의 송수신하고, 송신해야할 전자우편으로서의 메시지정보를 생성 및 편집하고, 필요한 상대편 각각에 대한 이름, 전화번호 및 전자우편주소 등의 소위 폰북(phone book)을 등록, 갱신 및 삭제하고, 그 폰북정보를 검색하는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한 다양한 종류의 처리는 본체장치(1)의 LCD(11) 상에 표시된 메뉴로부터 대응하는 아이템을 선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페이저는 수행해야할 많은 처리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타겟처리가 신속하게 선택 및 결정될 수 있도록 메뉴가 계층구조로 제공된다. 전자우편과 직접 관련된 처리를 보면, 예를 들어, 수신된 전자우편(수신메시지정보)을 표시하는 처리와, 전송되는 메시지(전송메시지정보)를 생성하는 처리와, 전송메시지정보를 편집하는 처리와, 전송메시지정보를 송신하는 처리 등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메뉴는 예를 들어 전자우편과 관련된 처리를 나타내는 옵션아이템을 포함하고 있다. 이 옵션아이템을 선택하면, 수신메시지정보를 표시하는 처리, 전송메시지정보를 생성하는 처리, 전송메시지정보를 편집하는 처리 및 전송메시지정보를 송신하는 처리 등의 옵션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하위레벨 서브메뉴가 표시된다.
더 분할 될 수 있는 서브메뉴 내의 옵션아이템들 중 몇몇은 각각 서브메뉴를 갖는 것으로 제공되어, 전체적으로 계층메뉴가 제공되게 된다. 본 실시예의 페이저에서는, 사용자는 입력장치(2)의 회전휠(22)과 보조버튼(23)을 이용하여 계층메뉴로부터 타겟옵션아이템을 쉽고 신속하게 찾고 선택할 수 있다.
도 6a,b,c는 계층메뉴로부터 옵션아이템들 중 하나를 선택 및 결정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페이저에서는, 본체장치(1) 상에 제공되어 있는 메뉴 디스플레이(표시기)를 가압하는 등의 소정의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메인메뉴가 도 6a에서처럼 본체장치(1)의 LCD(11)의 표시화면 상에 표시되게 된다.
입력장치(2)의 회전휠(22)이 회전하면, 회전휠(22)에 가해진 회전조작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장치(2)로부터 본체장치(1)로 전송되며, 이에 따라 메인메뉴에 표시된 옵션아이템이 선택될 수 있게 된다. 도 6a의 예에서, 하나의 옵션아이템으로서 "Sub-Menu 1"의 표시라인이 밝게 표시(highlight)되며(비디오에서는 반대), 이것에 의해 커서가 "Sub-Menu 1"에 위치하고, "Sub-Menu 1"가 현재 선택됨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도 6a에서, LCD(11)의 표시화면의 하부우측코너에 하방향 화살표(DW)가 표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현재 표시된 것 이외의 메뉴아이템이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표시화면의 아래에 있는 메인메뉴에서 커서위치를 이동하기 위해 입력장치(2)의 회전휠(22)을 회전시킴으로써, 커서가 위치하는 라인, 즉 밝은 표시의 라인도 표시화면의 아래로 연속적으로 이동된다. 밝은 표시의 라인이 표시화면의 최하단에 도달하게 되면, 옵션아이템들은 도 6a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Sub-Menu 5" 이후의 다른 아이템들이 표시되도록 도 6b에서처럼 위로 스크롤된다.
사용자는 메인메뉴에서의 타겟아이템 상에 커서를 이동하여 위치시키도록 입력장치(2)의 회전휠(22)을 더 회전시킨다. 도 6b의 예에서, 커서는 "Sub-Menu 6" 상에 위치하며, 이 "Sub-Menu 6"이 선택된다. 또한, 도 6b에서, 상방향 화살표(UP) 및 하방향 화살표(DW)가 LCD(11)의 표시화면의 하부우측코너에 표시되어, 현재 표시된 것 이외의 현재 화면화상 전후의 다른 옵션이 있음을 나타낸다.
도 6b의 상태에서 입력장치(2)의 회전휠(22)을 사용자가 가압하면, 회전휠(22)에 가해진 가압조작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장치(2)로부터 본체장치(1)에 전송된다. 회전휠(22)에 가해진 가압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본체장치(1)는 현재 선택된 옵션아이템이 타겟아이템으로서 결정되었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도 6c에서처럼 메인메뉴에 선택된 "Sub-Menu 6"를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입력장치(2)의 회전휠(22)을 회전시킴으로써 도 6c에 나타낸 'Sub-Menu 6"에서 옵션 아이템들 중 하나를 지금 선택할 수 있다. 표시해야할 선택된 "Sub-Menu 6"가 잘못된 것이며, 타겟옵션아이템이 "Sub-Menu 6"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입력장치(2)의 보조버튼(23)을 가압한다.
그러한 경우, 보조버튼(23)에 가해진 가압조작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장치(2)로부터 본체장치(1)로 전송된다. 보조버튼(23)에 가해진 가압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본체장치(1)는 현재 표시된 메인화상이 취소되도록 지시가 이루어졌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도 6b 또는 도 6a에 나타낸 상위레벨메인메뉴로 메뉴화상을 복귀시킨다.
따라서, 옵션아이템이 잘못 선택된 경우에도, 현재 표시된 화면화상이 바로 전의 화면화상으로 복귀하도록 취소될 수 있다. 도 6의 예에서, 상위레벨 메인메뉴로 복귀할 수 있으며 서브메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장치(2)의 회전휠(22)을 회전시킴으로써 옵션아이템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회전휠(22)을 가압함으로써 옵션아이템의 선택이 결정된다. 또한, 현재 표시된 화면화상은 보조버튼(23)을 가압함으로써 취소될 수 있다.
도 7은 입력장치(2)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본체장치(1)에서 수행되는 계층메뉴로부터 옵션아이템들 중 하나를 선택 및 결정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메뉴의 표시를 지시하기 위한 소정의 조작이 수행되면 도 7에 나타낸 처리가 본체장치(1)의 제어부(15)에서 수행된다.
본체장치(1)의 제어부(15)는 메인메뉴의 표시를 지시하는 소정의 조작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것을 검출하면, 도 7에 나타낸 처리를 수행하고 우선 표시하도록 지시된 메인메뉴를 표시한다(단계(S301)). 그리고, 본체장치(1)의 제어부(15)는 수신기(14)를 통하여 입력장치(2)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S302)의 결정처리에서 입력장치(2)로부터 어떠한 신호도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5)는 단계(S302)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S302)의 결정처리에 의해 입력장치(2)로부터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5)는 수신된 신호가 무슨 조작을 나타내는 것인지, 즉, 수신된 신호가 회전휠(22)의 회전, 회전휠(22)의 가압, 또는 보조버튼(23)의 가압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S303)).
단계(S303)의 결정처리에 의해 입력장치(2)로부터의 신호가 회전휠(22)의 회전을 나타내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5)는 수신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회전휠(22)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에 따라서 커서위치를 변경하여, 옵션아이템을 선택한다(단계(S304)). 그 후, 제어부(15)는 단계(S302)에서부터의 처리를 반복하여 입력장치(2)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한다.
또한, 단계(S303)의 결정처리에 의해 입력장치(2)로부터의 신호가 회전휠(22)의 가압을 나타내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5)는 그 때 커서가 위치하고 있는 메뉴 상의 옵션아이템을 선택된 아이템으로서 결정한다(단계(S305)).
그리고, 제어부(15)는 단계(S305)에서 결정된 아이템이 하위레벨메뉴의 표시에 속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결정된 아이템이 하위레벨메뉴의 표시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5)는 단계(S305)에서 결정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하위레벨메뉴를 표시하고(단계(S307)), 단계(S302)에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S306)의 결정처리에 의해 단계(S305)에서 결정된 아이템이 하위레벨메뉴의 표시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5)는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하는 구체적인 처리, 예를 들어 상술한 예에서 전송메시지정보를 표시하는 처리 및 전송메시지정보를 생성하는 처리 등을 수행한다(단계(S308)).
이어서, 단계(S308)에서 수행되는 처리가 완료되면, 제어부(15)는 아이템이 단계(S305)에서 선택되고 결정된 시점에서 표시된 본 실시예에서 원래의 메뉴화상을 표시하고(S309), 단계(S302)에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S303)의 결정처리에 의해, 입력장치(2)로부터의 신호가 보조버튼(23)의 가압을 나타내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5)는 그 때 표시된 메인화상이 취소되도록 지시되었다는 판단에 근거하여 현재 표시된 메인화상을 취소한다(단계(S310).
그리고, 제어부(15)는 취소된 메인화상보다 상위레벨에 있는 메뉴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S311)). 상위레벨 메뉴화상이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위레벨메뉴화상이 표시된다(단계(S312)). 즉, 제어부(15)는 상위레벨메뉴화상으로 화면화상을 복귀시키고 이어서 단계(S302)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S311)의 결정처리에 의해 취소된 메뉴화상보다 상위레벨에 있는 메뉴화상이 없는 것으로 결정되면, 즉 취소된 메뉴화상이 메인메뉴화상인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5)는 도 7에 나타낸 처리를 완료하고, 예를 들면 입력신호를 기다리고 있는 수신모드로 전환된다.
결과적으로, 메뉴화상에서의 옵션아이템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 선택된 아이템을 결정하는 것, 및 현재의 메인화상을 취소하는 것이 입력장치(2)의 회전휠(22)의 회전, 가압 및 그 보조버튼(23)의 가압에 의해 각각 수행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입력장치(2)를 터치패널 상의 소정의 가압영역에 접촉하는 등, 입력장치(2) 자신을 이동시키는 조작을 할 필요 없이, 단순히 입력장치(2)를 조작함으로써 타겟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타겟옵션아이템의 찾기 및 선택을 쉽고 정확히 할 수 있다.
[(3) 전송메시지정보의 편집처리]
전송을 위해 생성된 전자우편의 메시지정보의 편집처리에 대해서 아래에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페이저의 입력장치(2)는 도 1에서처럼 터치패널(12) 상의 좌표위치를 지시하기 위하여 터치패널(12)에 접촉되는 선단부(21)(터치패널의 처리에 쓰임)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복사, 붙이기 및 잘라내기 등의 편집처리는 터치패널(12)에 입력장치(2)의 선단부(21)를 접촉하는 조작과 회전휠(22)을 회전 또는 가압하는 조작에 의해 쉽게 수행될 수 있다.
도 8a~도 10i는 전송해야할 전자우편의 메시지정보를 편집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편집처리 중에 LCD(11) 상의 표시화상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9d~f는 도 8a~c 이후의 화면화상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고, 도 10g~i는 도 9 이후의 화면화상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본 실시예의 페이저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전송메시지정보의 편집이 메뉴로부터 선택되고, 생성되어서 EEPROM(154)에 저장되고 이제 편집하려고 하는 전송메시지정보의 텍스트가 선택되면, LCD(11)의 표시화면의 상부영역(11a)에 선택된 메시지정보가 표시되며, 도 8a에서처럼 LCD(11)의 표시화면의 하부영역(11b)에 소프트웨어키보드가 표시된다.
여기에서, 도 8a에 나타낸 상부영역(11A)에 표시된 전송메시지정보 내의 2번째 라인에 있는 문장 "you are not"을 3번째 라인의 "tennis" 이후의 위치에 붙여기를 하는 경우, 즉, 2번째 라인의 "you are not"을 복사하고 3번째 라인의 "tennis" 다음의 위치에 붙이기를 하는 경우와 관련하여 전송메시지정보의 편집처리에 대해서 기술한다.
타겟메시지정보가 표시된 후에 도 8a의 포인팅마크(P)에 의해 표시한 것처럼, 사용자는 복사할 문자, 단어 또는 문장의 전단부(head)에 대응하는 터치패널(12) 상의 위치에 입력장치(2)의 선단부(21)를 접촉함으로써 터치패널(12)을 가압한다. 그리고, 도 8b에 포인팅마크(P)로 표시한 것처럼, 사용자는 터치패널(12)을 계속 가압하면서 복사해야할 문자, 단어, 또는 문장의 전단부에서부터 후단부(tail)까지 미끄럼이동을 한다.
입력장치(2)의 미끄럼이동에 의해, 예를 들어 도 8b에 나타낸 것처럼, 지정된 범위가 밝게 표시되어, 사용자가 어느 지점에서 어느 지점까지의 범위가 지정되었는지를 첫눈에 알아볼 수 있게 된다. 지정된 범위가 잘못되지 않았으면, 사용자는 입력장치(2)의 회전휠(22)을 가압한다. 회전휠(22)을 가압하면, 전송메시지정보의 지정된 범위가 어떻게 편집되어야 할지를 사용자가 지시내리도록 촉구하는 편집메뉴(MN)가 도 8c에서처럼 표시된다.
그리고, 도 8c에 나타낸 것처럼 본체장치(1)의 LCD(11) 상에 편집메뉴(MN)가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장치(2)의 회전휠(22)을 회전함으로써, 사용자는 도 9d에 나타낸 것처럼 편집메뉴(MN)에서 잘라내기("Cut"), 복사("Copy") 및 붙이기("Paste") 등의 옵션아이템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도 9d에 나타낸 것처럼 편집메뉴에서 "Copy"의 위치에 커서를 올려놓고, 입력장치(2)의 회전휠(22)을 가압하면, 지정된 범위의 문장이 본체장치(1)의 버퍼메모리, 즉, 본 실시예의 RAM(153)에 임시적으로 저장되며, 도 9e에 나타낸 것처럼 지정된 범위가 밝게 표시된 상태에서 해제되게 된다.
그 후, 도 9f에 포인팅마크(P)로 표시한 것처럼 사용자가 복사된 문장이 붙여질 위치에 입력장치(2)의 선단부(21)를 접촉하면, 커서는 문자가 그 위치에 들어가서 붙여질 수 있도록 접촉위치에 표시된다. 그 상태에서 입력장치(2)의 회전휠(22)을 가압하면, 도 10g에서처럼 편집메뉴(MN)가 다시 표시된다.
그리고, 편집메뉴(MN)가 표시된 상태에서 입력장치의 회전휠(22)을 회전함으로써, 타겟옵션아이템이 선택된다.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 "Paste"는 도 10h에 나타낸 것처럼 지금 선택되어 있다. 도 10h에서처럼 "Paste"가 선택된 후에 회전휠(22)을 사용자가 가압하면, 문장 "you are not"은 도 10i에 나타낸 번째 라인에서 "tennis"의 다음 위치에 붙여진다.
결과적으로, 터치패널(12)에 입력장치(2)의 선단부(21)를 접촉하고, 사용자는 회전휠(22)을 회전 또는 가압하는 것을 조합된 방식으로 수행함으로써 생성된 메시지정보를 쉽고 정확히 편집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메시지정보의 선택된 범위를 복사하고 붙이는 예에 대해서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와 유사하게 생성된 메시지정보에서 어떠한 불필요한 문자, 단어, 문장 등도 잘라내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은 전송메시지정보를 편집하는 모드에서 본체장치(1)에서 수행되는 메시지정보의 편집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전송메시지정보의 편집이 상술한 바와 같이 메뉴로부터 선택되면, 도 11에 나타내는 처리는 본체장치(1)의 제어부(15)에서 수행된다.
전송메시지정보의 편집이 선택되면, 본체장치(1)의 제어부(15)는 전송메시지정보의 편집처리가 종료되도록 지시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S401)). 편집처리의 종료가 지시된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5)는 예를 들어 원래의 메뉴화상으로 복귀하기 위하여 도 11의 처리를 완료하다.
단계(S401)의 결정처리에 의해 편집처리의 종료가 지시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본체장치(1)의 제어부(15)는 터치패널(12)에 입력장치(2)의 선단부에 접촉한 상태로 터치패널(12)이 가압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S402)). 단계(S402)의 결정처리에 의해, 가압된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5)는 터치패널(12) 상의 입력장치(2)의 선단부(21)의 좌표위치(coordinate position)를 검출하여, 표시화면 상에서 지정된 선택범위 및 위치를 특정한다(단계(S403)). 그 후, 제어부(15)는 단계(S401)에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S403)의 처리는 편집해야할 문자, 단어 또는 문장의 범위의 지정을 수신하여 도 8a,8b에 나타낸 것처럼 지정된 범위를 특정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문자, 단어, 문장이 붙여질 위치의 지정을 수신하여,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붙여진 위치를 특정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S402)의 결정처리에 의해 가압이 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본체장치(1)의 제어부(15)는 편집처리메뉴의 표시가 지시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S404)). 본 실시예에서, 입력장치(2)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회전휠(22)의 가압을 나타낼 경우, 단계(S404)의 결정처리에 의해 편집처리메뉴의 표시가 지시된 것으로 결정된다.
단계(S404)의 결정처리에 의해 편집처리메뉴가 지시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5)는 단계(S401)에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S404)의 결정처리에 의해 편집처리메뉴의 표시가 지시된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5)는 편집처리메뉴의 표시와 선택된 처리를 수행한다(단계(S405)).
도 12는 단계(S405)에서 수행되는 편집처리메뉴의 표시와 선택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12에서처럼, 편집처리메뉴의 표시가 지시되면, 제어부(15)는 도 12의 처리를 수행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어부(15)는 우선 본체장치(1)의 LCD(11)의 소정의 표시영역에 편집처리메뉴(11c)를 표시하며(단계(S501)), 그리고 입력장치(2)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S502)).
단계(S502)의 결정처리에 의해 입력장치(2)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5)는 입력장치(2)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기다리는 상태가 된다. 단계(S502)의 결정처리에 의해, 입력장치(2)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5)는 수신된 신호가 무슨 형태의 조작을 나타내는지, 즉, 수신된 신호가 회전휠(22)의 회전, 회전휠(22)의 가압, 또는 보조버튼(23)의 가압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S503)).
단계(S503)의 결정처리에 의해 입력장치(2)로부터의 신호가 회전휠(22)의 회전을 나타내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5)는 수신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회전휠(22)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에 따라 커서위치를 변경하여 옵션아이템을 선택한다(단계(S504)). 그 후, 제어부(15)는 단계(S502)에서부터의 처리를 반복하고, 입력장치(2)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단계(S503)의 결정처리에 의해 입력장치(2)가 회전휠(22)의 가압을 나타내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5)는 그 때 커서가 위치하고 있는 메뉴의 아이템을 선택된 아이템으로서 결정한다(단계(S505)). 그 후, 제어부(15)는 도 11에 나타낸 처리로 복귀하기 위하여 도 12의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503)의 결정처리에 의해, 입력장치(2)로부터의 신호가 보조버튼(23)의 가압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결정되면, 제어부(15)는 그 때 표시된 메뉴화상이 취소되도록 지시된 판단에 기초하여 현재 표시된 메뉴화상의 취소를 결정한다(단계(S506)). 그 후, 제어부(15)는 도 11에 나타낸 처리로 복귀하기 위해 도 12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어서, 도 11에 나타낸 단계(S406)의 결정처리에서, 본체장치(1)의 제어부(15)는 단계(S405)에서 수행된 편집처리메뉴의 표시 및 선택된 처리를 위한 루틴에서 편집처리메뉴의 취소가 결정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S406)).
단계(S406)의 결정처리에 의해 편집처리메뉴의 취소가 결정되었다고 결정되면, 본체장치(1)의 제어부(15)는 편집처리메뉴(MN)를 취소하고, 단계(S401)에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S406)의 결정처리에 의해 편집처리메뉴의 취소가 결정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5)는 단계(S405)의 처리에서 결정된 편집처리가 복사하는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S408)).
또한, 단계(S408)의 결정처리에 의해, 결정된 편집처리가 복사하는 것이라고 결정되면, 제어부(15)는 단계(S403)에서 특정된 범위 내의 문자, 단어, 또는 문장의 데이터를 버퍼메모리에 로딩시키고(단계(S409)), 단계(S405)에서부터의 처리를반복한다.
단계(S408)의 결정처리에 의해 결정된 편집처리가 복사하는 것이 아니라고 결정되면, 제어부(15)는 결정된 편집처리가 붙이기 인 것으로 결정한다(단계(S410)). 단계(S410)의 결정처리에 의해 결정된 편집처리가 붙이기라고 결정되면, 제어부(15)는 버퍼메모리에 로딩되어 있는 문자정보를 단계(S403)에서 특정된 선택된 위치에 붙이기 처리를 수행한다(단계(S411)). 그 후, 제어부(15)는 단계(S405)에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S410)의 결정처리에 의해 결정된 편집처리가 붙이기가 아닌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5)는 결정된 편집처리를 잘라내기로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5)는 단계(S402)에서 결정된 선택된 범위 내의 문자정보를 버퍼메모리에 로딩하며(단계(S412)), 선택된 범위 내에 표시된 문자를 지운다(단계(S413)). 그 후, 제어부(15)는 단계(S405)에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페이저에 의하면, 사용자는 본체장치(1)의 터치패널(12)에 입력장치(2)의 선단부(21)를 접촉함으로써 선택된 범위 및 위치를 쉽고 정확히 입력할 수 있고, 선택된 범위 내의 문자정보를 복사, 붙이기 및 잘라내기를 하기 위해 회전휠(22)을 가압함으로써 편집처리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보조버튼(23)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편집처리를 취소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4가지 입력루트를 통하여, 즉, 회전휠(22)의 회전과, 회전휠(22)의 가압과, 보조버튼(23)의 가압과, 터치패널(12)에 입력장치(2)의 선단부(21)를 접촉하는 것을 통하여, 본체장치(1)에서의 다양한 종류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본체장치(1)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잘못된 처리를 하지 않도록 적절한 고려를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단계(S403)에서 선택된 범위 또는 위치가 특정되지 않으면, 편집처리메뉴가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붙이기 위한 문자정보가 버퍼메모리에 로드되지 않으면, 붙이기가 금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복사란 버퍼메모리 내의 선택된 범위에 문자정보를 로딩하는 처리를 말하며, 선택된 범위 내의 문자정보는 그대로 화면화상에 남아있다. 붙이기란 버퍼메모리에 로딩된 문자정보를 선택된 위치에 표시하는 처리를 말한다.
또한, 잘라내기란 버퍼메모리 내의 선택된 범위 내의 문자정보를 로딩하고, 선택된 범위 내에 표시된 문자정보를 삭제하는 처리를 말한다. 삭제된 문자정보가 버퍼메모리에 로딩되는 이유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수로 필요한 정보를 삭제한 경우에도 그 문자정보를 신속히 복원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지정된 위치에 잘라낸 문자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삭제된 문자의 복원처리도 상술한 실시예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하나의 정보처리장치는 2부분, 즉, 본체장치(1)와 입력장치(2)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방식대로 터치패널(12)을 통하여 본체장치(1)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따라서 입력장치(2)는 필요에 따라 나중에 구입할 수 있다. 즉, 본체장치(1)와 입력장치(2)는 서로 독립적인 장치로서 구성되기 때문에, 본체장치(1)와 입력장치(2)를 독립된 장치들로서 서로 분리하여 판매할 수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본체장치(1) 및 입력장치(2)가 무선통신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통신시스템에 한정되지 않는다. 물론, 본체장치(1) 및 입력장치(2)는 서로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유선통신은 와이어를 이용하여 본체장치(1)로부터 전원이 입력장치(2)에 제공된다는 추가적인 장점이 있다. 본체장치(1) 및 입력장치(2)를 무선 또는 유선통신을 통하여 상호 접속할 경우, 다양한 통신프로토콜 중 적절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무선통신을 통하여 본체장치(1) 및 입력장치(2)를 상호 접속할 경우, 전파뿐만 아니라 적외선과 같은 빛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신호가 본체장치(1)로부터 전송되어 입력장치(2)에 의해 수신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근거리통신을 위한 송신기가 본체장치(1)에 제공되고, 근거리통신을 위한 수신기가 입력장치(2)에 제공된다.
상술한 구조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정보처리장치를 사용하려고 할 때, 본체장치는 있지만, 근처에 있어야 하는 입력장치(2)를 찾을 수 없을 경우에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알람사운드를 생성하라는 지시를 위한 신호가 본체장치(1)로부터 입력장치(2)로 전송되며, 입력장치(2)는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면 알람사운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쉽게 입력장치(2)를 찾을 수 있다. 물론, 알람사운드 등의 음향 출력을 생성하는 이외에 빛을 깜박이거나, 기계적인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주의를 주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을 페이저에 적용할 경우와 관련하여 상술한 실시예를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적용분야는 페이저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PDA 및 전기패드라고 하는 소형 퍼스널 정보처리장치, 포켓컴퓨터 및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소형 정보처리장치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처리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정보처리장치는 항상 양방향 통신기능을 가질 필요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지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며 필요에 따라 수신되고 저장된 정보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하는 정보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는, 상술한 장치와 반대로 전송해야할 정보의 입력을 수신하고 그것을 필요에 따라 상대편에 전송하는 기능만을 갖는 다른 형태의 것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통신기능을 전혀 갖추지 않지만, 단지 정보의 입력을 수신하고,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며, 필요에 따라 그것을 표시하는 정보처리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장치가 회전조작수단(제 1조작수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단순한 조작으로 화면화상을 부드럽게 스크롤할 수 있다.
회전조작수단은 가압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신속하고 정확히 예를 들어 메뉴로부터의 옵션아이템을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다.
입력장치는 제 1조작수단에 추가적으로 다른 조작수단(제 2조작수단)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추가적으로 화면화상의 취소를 쉽게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장치에 접촉하기 위해 입력장치를 움직일 필요 없이, 입력장치를 간단히 조작하여 화면화상을 부드럽게 스크롤하고, 메뉴화상으로부터 옵션아이템을 선택 및 결정하며, 메뉴화상을 취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입력장치의 선단부를 본체장치에 제공되어 있는 접촉위치검출수단에 접촉함으로써 본체장치에 지시를 입력할 수도 있기 때문에, 여러 루트 중 어느 것을 통해서도 본체장치에 사용자의 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정보처리장치를 사용하기가 편리해진다.

Claims (22)

  1. 본체장치부와, 사용자로부터 조작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조작입력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본체장치부에 전송하기 위한 입력장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정보처리장치로서,
    상기 본체장치부는
    표시장치와;
    상기 표시장치의 표시화면 상에 제공되어 상기 표시화면 상의 사용자의 접촉위치를 검출하는 접촉위치검출수단과;
    상기 입력장치부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상기 접촉위치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표시화면 상의 접촉위치에 따라서, 또는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따라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처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장치부는
    상기 표시화면 상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상기 표시화면에 접촉이 되는 선단부(tip portion)와;
    회전될 수 있는 제 1조작수단과;
    상기 제 1조작수단에 가해진 회전조작을 검출하고, 상기 회전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회전검출수단과;
    상기 회전검출수단으로부터 상기 본체장치부의 상기 수신수단으로 상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부에서, 상기 제 1조작수단의 회전조작은 상기 본체장치부의 상기 표시장치 상에 표시된 정보의 스크롤을 지시하는 것이고,
    상기 본체장치부에서, 상기 수신수단이 상기 입력장치부의 상기 제 1조작수단에 가해진 회전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정보처리수단은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장치의 상기 표시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를 스크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부에서, 상기 제 1조작수단은 회전뿐만 아니라 가압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입력장치부는 상기 제 1조작수단에 가해진 가압조작을 검출하고 상기 가압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가압검출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전송수단은 상기 가압검출수단으로부터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부에서, 상기 제 1조작수단의 회전조작은 상기 본체장치부의 상기 표시장치의 상기 표시화면에 표시된 옵션아이템의 선택을 지시하는 것이며;
    상기 옵션아이템을 선택하면, 상기 입력장치부의 상기 제 1조작수단의 가압조작은 상기 선택된 옵션아이템의 결정을 지시하는 것이고;
    상기 본체장치부에서, 상기 수신수단이 상기 입력장치부의 상기 제 1조작수단에 가해진 회전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정보처리수단은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장치의 상기 표시화면에 표시된 옵션아이템을 선택하고;
    상기 수신수단이 상기 입력장치부의 상기 제 1조작수단에 가해진 상기 가압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정보처리수단은 상기 선택된 옵션아이템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옵션아이템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부는
    상기 제 1조작수단 이외의 제 2조작수단과;
    상기 제 2조작수단에 가해지는 조작을 검출하고 상기 가해진 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검출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전송수단은 상기 조작검출수단으로부터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부에서, 상기 제 1조작수단의 상기 회전조작은 복수의 옵션아이템들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본체장치부의 상기 표시장치의 상기 표시화면에 표시되는 화면화상 중에서 하나의 옵션아이템의 선택을 지시하는 것이고;
    상기 입력장치부의 상기 제 1조작수단의 상기 가압조작은 상기 선택된 옵션아이템의 결정을 지시하는 것이며;
    상기 제 2조작수단의 상기 조작은 현재 표시되어 있는 화면화상의 취소를 지시하는 것이고;
    상기 본체장치부에서, 상기 수신수단이 상기 입력장치부의 상기 제 1조작수단에 가해진 상기 회전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정보처리수단은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옵션아이템을 선택하며;
    상기 수신수단이 상기 입력장치부의 상기 제 1조작수단에 가해진 상기 가압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정보처리수단은 상기 선택된 옵션아이템에 의해 지정된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수신수단이 상기 입력장치부의 상기 제 2조작수단의 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정보처리수단은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현재 표시된 화면화상을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장치부의 상기 수신수단과 상기 입력장치부의 상기 전송수단이 무선통신을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장치부는 알람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생성수단과, 상기 신호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알람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 2전송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입력장치부는 상기 제 2전송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알람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2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알람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알람출력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9. 사용자로부터 조작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조작입력을 나타내는 신호를 정보처리본체장치에 제공하는 정보입력장치로서,
    상기 정보처리본체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표시장치의 표시화면에 제공되어 있는 접촉위치검출수단에 접촉되어 상기 표시장치의 상기 표시화면의 위치를 지정하는 선단부와;
    회전이 가능한 제 1조작수단과;
    상기 제 1조작수단에 가해진 회전조작을 검출하여 상기 회전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회전검출수단과;
    상기 회전검출수단으로부터 상기 정보처리본체장치에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전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정보입력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조작수단의 상기 회전조작은 상기 정보처리본체장치의 상기 표시장치의 상기 표시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의 스크롤을 지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조작수단은 회전뿐만 아니라 가압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정보입력장치는 상기 제 1조작수단에 가해진 가압조작을 검출하여 상기 가압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가압검출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전송수단은 상기 가압검출수단으로부터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조작수단의 상기 회전조작은 상기 정보처리본체장치의 상기 표시장치의 상기 표시화면에 표시된 옵션아이템의 선택을 지시하는 것이고;
    상기 옵션아이템을 선택하면, 상기 조작수단의 상기 가압조작이 상기 선택된 조작아이템의 결정을 지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조작수단 이외의 제 2조작수단과;
    상기 제 2조작수단에 가해지는 조작을 검출하고 가해진 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조작검출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전송수단은 상기 조작검출수단으로부터 상기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조작수단의 상기 회전조작은 복수의 옵션아이템들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처리본체장치의 상기 표시장치의 상기 표시화면 상에 표시되는 화면화상 중에서 옵션아이템의 선택을 지시하는 것이며;
    상기 제 1조작수단의 상기 가압조작은 상기 선택된 옵션아이템의 결정을 지시하는 것이고;
    상기 제 2조작수단의 조작은 현재 표시된 화면화상의 취소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수단은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정보처리본체장치에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본체장치로부터 전송된 알람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알람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알람출력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입력장치.
  17.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입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정보입력장치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서 상기 수신된 조작입력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정보처리본체장치로서,
    표시장치와;
    상기 표시장치의 표시화면에 제공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표시화면 상의 사용자접촉위치를 검출하는 접촉위치검출수단과;
    상기 정보입력장치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상기 접촉위치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표시화면 상의 상기 접촉위치에 따라서, 혹은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상기 신호에 따라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처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정보처리본체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수단이 상기 표시장치의 상기 표시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의 스크롤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정보처리수단은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서 상기 표시장치의 상기 표시화면 상에 표시된 정보를 스크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정보처리본체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수단이 상기 표시장치의 상기 표시화면 상에 표시된 옵션아이템의 선택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정보처리수단은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서 상기 표시장치의 상기 표시화면 상에 표시된 옵션아이템을 선택하며;
    상기 수신수단이 상기 선택된 아이템의 결정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정보처리수단은 상기 선택된 옵션아이템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본체장치.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수단이 상기 표시장치의 상기 표시화면 상에 표시된 계층선택 아이템화상 중의 옵션아이템의 선택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정보처리수단은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서 상기 표시장치의 상기 표시화면 상에 표시된 옵션아이템을 선택하며;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것으로 상기 선택된 옵션아이템을 결정하는 신호에 따라서, 상기 수신수단이 상기 정보입력장치의 제 1조작수단에 가해진 가압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정보처리수단이 상기 선택된 옵션아이템에 의해 지정된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수신수단이 상기 정보입력장치의 제 2조작수단의 조작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정보처리수단은 현재 표시된 화면화상을 취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본체장치.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수단은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정보입력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본체장치.
  22. 제 17항에 있어서,
    알람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생성수단과, 상기 신호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알람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본체장치.
KR1020010030393A 2000-06-06 2001-05-31 정보처리장치, 정보입력장치 및 정보처리본체장치 KR200101106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68480 2000-06-06
JP2000168480A JP2001350587A (ja) 2000-06-06 2000-06-06 情報処理装置、情報入力装置および情報処理本体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648A true KR20010110648A (ko) 2001-12-13

Family

ID=18671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0393A KR20010110648A (ko) 2000-06-06 2001-05-31 정보처리장치, 정보입력장치 및 정보처리본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20036623A1 (ko)
JP (1) JP2001350587A (ko)
KR (1) KR20010110648A (ko)
CN (1) CN1328280A (ko)
DE (1) DE10127356A1 (ko)
TW (1) TW5046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9381B2 (en) 2007-01-07 2008-12-23 Apple Inc. List scrolling and document translation, scaling, and rotation on a touch-screen display
US6975304B1 (en) 2001-06-11 2005-12-13 Handspring, Inc. Interface for processing of an alternate symbol in a computer device
US7356361B1 (en) * 2001-06-11 2008-04-08 Palm, Inc. Hand-held device
US6950988B1 (en) * 2001-06-11 2005-09-27 Handspring, Inc. Multi-context iterative directory filter
US7395089B1 (en) 2001-06-11 2008-07-01 Palm, Inc Integrated personal digital assistant device
US20030063067A1 (en) * 2001-10-02 2003-04-03 Ping-Yang Chuang Real-time handwritten communication system
TW584286U (en) * 2001-12-11 2004-04-11 Wen-Shiang Yue Pen type mouse
US7665043B2 (en) * 2001-12-28 2010-02-16 Palm, Inc. Menu navigation and operation feature for a handheld computer
US20050104871A1 (en) * 2003-11-15 2005-05-19 Qing Liu Computer input device
US20060068851A1 (en) * 2004-09-28 2006-03-30 Ashman William C Jr Accessory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4556679B2 (ja) * 2005-01-26 2010-10-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8570278B2 (en) 2006-10-26 2013-10-29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djusting an insertion point marker
WO2009024971A2 (en) * 2007-08-19 2009-02-26 Saar Shai Finger-worn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8259075B2 (en) 2009-01-06 2012-09-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condary key group layout for keyboard
US20100235734A1 (en) 2009-03-16 2010-09-16 Bas Ording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Editing on a Multifunction Device with a Touch Screen Display
US9092130B2 (en) 2011-05-31 2015-07-28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ocument manipulation
US10691230B2 (en) 2012-12-29 2020-06-23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275117B2 (en) 2012-12-29 2019-04-3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EP3039513B1 (en) 2013-09-03 2020-08-19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545657B2 (en) 2013-09-03 2020-01-2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1068128B2 (en) 2013-09-03 2021-07-2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US10503388B2 (en) * 2013-09-03 2019-12-10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EP3584671B1 (en) 2014-06-27 2022-04-27 Apple Inc. Manipulation of calendar application in device with touch screen
WO2016036510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Music user interface
US20160062571A1 (en) 2014-09-02 2016-03-03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WO2016036509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Electronic mail user interface
TW201610758A (zh) 2014-09-02 2016-03-16 蘋果公司 按鈕功能性
US10365807B2 (en) 2015-03-02 2019-07-30 Apple Inc. Control of system zoom magnification using a rotatable input mechanism
US10712824B2 (en) 2018-09-11 2020-07-14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US11435830B2 (en) 2018-09-11 2022-09-06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US11379113B2 (en) 2019-06-01 2022-07-05 Apple Inc. Techniques for selecting text
US20230297229A1 (en) * 2022-03-21 2023-09-21 Shopif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on mobil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127356A1 (de) 2001-12-13
CN1328280A (zh) 2001-12-26
JP2001350587A (ja) 2001-12-21
US20020036623A1 (en) 2002-03-28
TW504634B (en) 2002-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10648A (ko) 정보처리장치, 정보입력장치 및 정보처리본체장치
KR100540517B1 (ko) 이중동작하는통신장치
US967857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urning e-book pages in portable terminal
EP243715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urning e-book pages in portable terminal
US20050071761A1 (en) User interface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584040B2 (en) Mobile terminal
GB2377592A (en) A mobile phone provided with a mouse type input device such that the mobile phone may be used as a mouse for an associated device
JP2003186597A (ja) 携帯端末装置
JP2005122271A (ja) 携帯型電子装置
EP1769322A1 (en) Scroll wheel with character input
JP2001069223A (ja) 通信装置
KR10143449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JP200211181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携帯型通信装置
JP2006155232A (ja) 操作表示装置
JP2004038310A (ja) 携帯情報端末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制御プログラム
JP4610539B2 (ja) 移動体端末装置及び文書編集方法
KR100382204B1 (ko) 듀얼 액정 표시부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크롤장치
JP2004062649A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5033616B2 (ja) 電子機器
KR20050012617A (ko) 키 버튼에 터치센서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키 신호 입력방법
JPH09282318A (ja) 情報処理装置
JPH1185133A (ja) 携帯情報端末
JP4697816B2 (ja) 入力制御装置
JP4027937B2 (ja) 携帯型電子機器
KR20090012577A (ko)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