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0494A -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 Google Patents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0494A
KR20010110494A KR1020000030768A KR20000030768A KR20010110494A KR 20010110494 A KR20010110494 A KR 20010110494A KR 1020000030768 A KR1020000030768 A KR 1020000030768A KR 20000030768 A KR20000030768 A KR 20000030768A KR 20010110494 A KR20010110494 A KR 20010110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microwave oven
air
side wall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길섭
김대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30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0494A/ko
Priority to US09/736,128 priority patent/US6344637B2/en
Priority to CNB008173621A priority patent/CN1295943C/zh
Priority to EP00983568A priority patent/EP1238573B1/en
Priority to DE60039067T priority patent/DE60039067D1/de
Priority to AU20306/01A priority patent/AU2030601A/en
Priority to PCT/KR2000/001481 priority patent/WO2001045466A1/en
Priority to JP2001546216A priority patent/JP3750059B2/ja
Publication of KR20010110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49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 H05B6/6429Aspects relating to mounting assemblies of wall-mounted microwave ov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용 가구에 빌트인되어 사용되는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전면 상하부에는 흡입그릴(10) 및 배기그릴(2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흡입그릴(10)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의 일부는 배기모터(22)에 의하여 측벽외부통로(22a)를 통하여 하부로 안내되고, 다른 일부의 공기는 상부히터(32a)를 냉각시킨 후 측벽내부통로(32b)를 통하여 하부로 안내된다. 또 다른 일부의 공기는 하부히터(32b)를 냉각시킨 후 하부히터 냉각통로(28a)를 따라 안내된다. 이렇게 안내되는 공기는, 하부덕트판(50)의 상하부를 통하여 배기그릴(20)로 배기되는데, 하부덕트판(50)에는 중앙가이드(52)가 설치되어 있다. 중앙가이드(52)에 의하여 배기그릴(20)로 배기되는 공기를 좌우측으로 적절하게 배분하게 된다.

Description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Built-in type microwave oven}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에서 가구의 수납공간 내에서 빌트인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빌트인타입의 전자레인지에서 내부의 구성소자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빌트인타입의 전자레인지의 내부구조 및 그 에어플로에 관한 것이다.
전자레인지는 전류의 공급에 의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마이크로웨이브를 가열대상물에 조사하는 것에 의하여 가열대상물을 가열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전자레인지는, 통상 테이블 상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와 가스오븐레인지의 상부벽면에 설치되어 배기 기능을 구비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등으로 대별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가스오븐레인지 또는 김치전용냉장고 등과 같은 많은 주방용 제품이 빌트인 타입으로 설계되고 있는 경향이다. 이와 같이 빌트인 타입으로 설계되는 것에 의하여, 주방용 가전 제품과 주방용 가구가 조화를 이루게 됨은 물론, 그들의 일체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캐비티 내부로 공급하여 가열대상물에 조사하는 것에 의한 가열방식이 가장 기본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가열방식은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단일가열특성 밖에 가질 수 없기 때문에, 최근의 전자레인지에는 내부에 또 하나의 가열원으로 히터를 내장시키고 있다. 즉, 최근의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가열방식에 대하여, 보다 다양한 가열방식 및 가열조건을 부여하기 위하여, 히터의 열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히터에 대한 대표적인 것으로 석영관히터를 들 수 있으며, 석영관히터에서의 열을 캐비티 내부로 대류시키는 것에 의하여 컨벡션 가열을 수행하게 되어, 더욱 고온상태로 음식물을 가열하게 되는 등의 특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보다 고온의 열을 제공할 수 있고, 음식물 표면의 브라우닝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할로겐램프 등을 내장시키기도 한다. 할로겐램프는, 통상 음식물이 위치하는 캐비티 내부의 상면 및 하면에 설치되어, 그것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 및 빛에너지를 캐비티 내부로 입사시키는 것에 의하여, 음식물을 보다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할로겐램프를 내장시킬 경우에는 할로겐램프에서 고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할로겐램프 및 그 주변을 충분히 냉각시킬 수 있는 방열장치를 추가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이 최근의 주방용 가구의 빌트인화 경향에 따라, 전자레인지에서도 빌트인타입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이와 같이 빌트인타입의 전자레인지에 있어서도, 보다 다양한 가열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할로겐램프 등과 같은 별도의 히터를 내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자레인지를 빌트인 타입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실제로 전자레인지의 전면만이 주방용 가구에서 전방으로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될 것이다. 따라서 고온의 히터를 내장시킬 경우에는, 전자레인지의 전면을 통하여 출입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할 수 밖에 없다.
전자레인지가 구동되는 동안에는 전자레인지의 전장실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론 및 고압트랜스 등과 같은 부품도 발열하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전자레인지의 구동시에는, 전장실에 설치되는 발열부품은 물론이고, 상술한 바와 같이 히터를 같이 냉각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히터 및 발열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전자레인지의 내부 및 외부를 출입하는 냉각용 에어플로는, 빌트인타입의 전자레인지에 있어서는 그 전면을 이용할 수 밖에 없다. 실제로 이렇게 전자레인지의 전면 만을 출입하는 전자레인지의 에어플로는, 종래의 에어플로와는 전혀 상이한 것이어서 종래의 에어플로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을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방용 가구에 빌트인 상태로 설치될 수 있는 빌트인타입의 전자레인지와, 그것에 적용되어 내부의 발열부품을 충분히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방용 가구에 빌트인 상태로 설치될 수 있는 빌트인 타입의 전자레인지에서, 배기되는 공기가 균일하게 배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자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상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하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상면 구성을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캐비티 3 ..... 제어판넬
6 ..... 캐비티유입부 10 ...... 흡입그릴
12 ..... 지지상면 12a ..... 지지측벽
14 ..... 캐비티상면 18a ..... 상부히터 냉각통로
18b ..... 측벽내부통로 20 ..... 배기그릴
22 ..... 배기모터 22a ..... 측벽외부통로
24 ..... 상부히터 냉각팬 26 ..... 전장실 냉각팬
28 ..... 하부히터 냉각팬 32a ..... 상부히터
32b ..... 하부히터 40 ..... 전장실
44 ..... 마그네트론 46 ...... 고압트랜스
48 ..... 에어덕트 50 ..... 하부덕트판
52 ..... 중앙가이드 54 ..... 보조가이드
60 ..... 분리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는, 전자레인지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는 흡입그릴; 전자레인지의 전면하부에 설치되는 배기그릴; 전자레인지의 측벽에서, 캐비티측벽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지지측벽에 의하여 형성되어, 상기 흡입그릴을 통하여 흡입되어 전자레인지의 제1내부경로를 따라 순환한 공기가 하강하는 측벽내부통로; 상기 측벽내부통로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그릴을 통하여 흡입되어 전자레인지의 제2내부경로를 따라 순환한 공기가 하강하는 측벽외부통로; 상기 지지측벽에서 캐비티 저면으로 일정 거리 연장되는 하부덕트판에 의하여 성형되어, 측벽내부통로와 연통하는 하부통로; 그리고 상기 하부덕트판의 중간 상하부분에서 상기 배기그릴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중앙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측벽외부통로와 하부통로를 나와서 배기그릴로 배기되는 공기를, 상기 중앙가이드에 의하여 배기그릴의 좌우측으로 분리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중앙가이드에 의하여 배기그릴을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가 적절하게 분배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율적인 에어플로를 형성하여 충분한 냉각을 달성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빌트인타입의 전자레인지(이하에서는 단순히 전자레인지라고도 칭함)의 전면에는, 흡입그릴(10)과 배기그릴(20)이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입그릴(10)은 전면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자레인지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열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를 흡입하는 부분이고, 배기그릴(20)은 전면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자레인지의 내부를 경유하면서 발열부품을 냉각시킨 후의 공기를 배기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흡입그릴(10)과 배기그릴(20)는 전자레인지의 도어(30)의 상하부에 성형되어 있어서, 상기 흡입그릴(10)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실질적으로 캐비티의 상부를 통하여 유입되고, 배기그릴(20)을 통하여 배기되는 공기는 캐비티의 하부를 통하여 배기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같이 참조하면서, 전체적인 구성 및 공기의 흐름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그릴(10)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의 일부는, 지지상면(1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배기모터(22)에 의하여 제공된다.
상기 배기모터(22)는 지지상면(12)의 상부에서 도면상에서 우측, 즉 전장실(40)의 반대측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구동에 의하여 상기 흡입그릴(10)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모터(2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그릴(10)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패널(4)과의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있고, 더욱이 전자레인지 외부케이싱의 후벽(1b)과도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흡입그릴(10)을 따라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배기모터(22)의 양측면(전자레인지의 전후면)을 따라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모터(22)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외부케이스의 측벽(1c)의 내측에 성형되어 있는 측벽외부통로(22a)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하방으로 이동한 에어플로는, 캐비티(2)의 저면(2a)과 외부케이스의 저면(1d) 사이의 통로를 경유하여 도 1에 도시한 배기그릴(20)을 통하여 전자레인지의 전면으로 배기된다.
다음에는 도 3 및 도 4에 기초하면서, 전장실의 구조 및 전장실 내부에서 형성되는 에어플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4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캐비티의 상면(2b)에는 상부히터(32a)가 설치되어 있고, 캐비티(2)의 하면(2a)에는 하부히터(32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히터(32a,32b)는 캐비티(2)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가열원으로써의 기능을 가진다.
상기 상부히터(32a)를 냉각시키기 위한 상부히터 냉각팬(24)이 전장실(40)의 상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히터 냉각팬(24)에서 발생하는 에어플로는, 전장실(40)의 내부에서 흡입되어, 캐비티상면(2b)과 지지상면(12)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히터 냉각통로(18a)를 통하여 흐르게 된다. 상기 상부히터 냉각통로(18a)에 설치되어 있는 상부히터(32a)는, 이러한 에어플로에 노출되어 있어서 발생하는 열이 냉각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히터 냉각통로(18a)는, 실질적으로 캐비티상면(2b)과 지지상면(12) 사이에 설치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부히터 냉각통로(18a)는, 캐비티(2)의 측면(도면상에서는 좌측면)까지 연장 성형되어, 측벽내부통로(18b)와 연통하게 되어 있다. 즉, 상기 지지상면(12)의 좌측단부에는, 캐비티(2)의좌측면(2c)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그것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 성형된 지지측벽(12a)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측벽(12a)과 캐비티측면(2c) 사이에서, 측벽내부통로 (18b)가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히터 냉각팬(24)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플로는, 상부히터 냉각통로(18a)를 통하여 공급되어 상부히터(32a)를 냉각시킨 다음에, 상기 측벽내부통로(18b)를 통하여 하방으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벽내부통로(18b)의 하단부에는 하부덕트판(5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측벽내부통로(18b)의 하단부가 캐비티저면(2a)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연장 성형된 하부덕트판(50)으로 형성되어, 캐비티(2)의 하측 일부에 하부통로(18c)를 성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히터(32a)를 냉각시킨 에어플로는, 결국 하부덕트판(50)에 의하여 형성되는 하부통로(18c)를 통하여 캐비티(2)의 하부로 배출되고, 이렇게 배출되는 공기는 하부그릴(20)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40)의 하측에는 하부히터(32b)를 냉각시키기 위한 하부히터 냉각팬(28)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하부히터 냉각팬(28)은, 상부의 전장실(40)에서 에어플로를 흡입하여, 캐비티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하부히터(32b)를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부히터 냉각팬(28)에서 발생하는 에어플로는, 캐비티저면(2a)의 하측에 마련되어 있는 하부히터 냉각통로(28a)를 통하여 흐르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히터(32b)는, 상기 하부히터 냉각통로(28a)의 내부에 해당하는 위치의 캐비티저면(2a)에 성형되어 있어서, 상기 하부히터 냉각팬(28)에서 발생하는 에어플로에 의하여, 냉각될 것이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히터 냉각통로(28a)는 캐비티(2) 저면의 좌측에서 상기 하부통로(18c)와 연통하게 된다. 상기 하부통로(18c)와 연결되어 있는 하부히터 냉각통로(28a)를 흐르는 공기는, 결국 상기 하부통로(18c)를 나와서 배기그릴(20)을 통하여 전면으로 배기될 것이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캐비티저면(2a)의 하부에는 중앙가이드(5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앙가이드(52)의 전방측에는 보조가이드(5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앙가이드(52)는, 측벽외부통로(22a)를 통하여 나오는 공기를 배기그릴(20)의 좌우측으로 분리하여 배기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즉 가장 외측에 마련되어 있는 측벽외부통로(22a)를 통하여 하방으로 흐르는 공기는 상기 하부덕트판(50)의 하부에서, 상기 중앙가이드(52)에 의하여 그 흐름이 양측으로 분리된다. 상기 중앙가이드(52)의 좌측으로 흐르는 공기는 배기그릴(20)의 좌측부분을 통하여 배기되고, 중앙가이드(52)의 우측을 따라 흐르는 공기는 배기그릴(20)의 우측부분을 통하여 배기될 것이다.
또한 상기 중앙가이드(52)는 상기 하우덕트판(50)의 하측 뿐만 아니라, 상측에도 설치된다. 상기 중앙가이드(52)에 의하여 하부통로(18c)를 따라 흐르는 공기도 안내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하부통로(18c)를 따라 흐르는 공기는 배기그릴(20)의 좌측부분에서 주로 배기될 것이다. 상기 중앙가이드(52)의 후단부(52a)를, 전자레인지의 전면측으로 이동시키면, 하부통로(18c)를 따라 배기되는 공기도, 중앙가이드(52)에 의하여 분리되어, 배기그릴(20)의 좌우측을 통하여 균일하게 배기될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중앙가이드(52)의 전방에 해당하는 하부덕트판(50)의 하면에는 보조가이드(5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조가이드(54)는, 측벽외부통로(22a)를 통하여 내려오는 공기를 다시 보조적으로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중앙가이드(50)에 의하여 배기그릴(20)이 양측으로 이분된다고 볼 수 있고, 상기 보조가이드(54)에 의하여, 배기그릴(20)의 좌측내부에서도 다시 배기되는 공기가 분리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측벽외부통로(22a)를 통하여 하강하는 공기중에서, 전자레인지의 전면에 해당하는 부분의 공기는, 상기 보조가이드(54)에 의하여 분리되면서 배기그릴(20)을 통하여 전면으로 배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다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레인지의 저면에서, 전장실의 하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분리벽(6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리벽(60)은 하부히터 냉각팬(28)에 인접한 전장실(4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리벽(60)은, 캐비티(2)의 하부로 안내된 공기가 다시 전장실(40)로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측벽외부통로(22a) 및 측벽내부통로(18b)를 통하여 캐비티의 하부로 안내된 공기는 실질적으로 내부의 발열부품과 열교환을 수행한 후의 것으로, 고온상태이다. 따라서 이러한 공기가 전장실(40)로 유입되는 것은, 전장실 내부의 발열부품(마그네트론 및 고압트랜스 등)을 냉각시키는데 아주 불리하다. 따라서 전장실(40)의 하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분리벽(60)을 설치함으로써 배기그릴(20)로 배기되기 직전의 고온의 공기가 다시 전장실(4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다른 하나의 에어플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장실(40)의 내부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트론(44)과, 상기 마그네트론(44)에 고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압트랜스(46)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레인지의 구동시 상기 마그네트론(44)과 고압트랜스(46)는 발열하게 되는데, 이러한 발열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전장실 냉각팬(26)이 전장실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전장실 냉각팬(26)은, 전장실(40) 내부에서 전방을 향하는 에어플로를 발생시켜서 마그네트론(44) 등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전장실의 내부프레임(42)에 수직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는 상기 내부프레임(42)에서, 상기 마그네트론(44) 및 고압트랜스(46)를 냉각시키는 에어플로를 발생할 수 있도록, 일정한 경사를 가지고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전장실 냉각팬(26)이 내부프레임(42)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고 있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장실 냉각팬(26)는, 전장실(40) 내부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론(44) 및 고압트랜스(46) 등과 같은 발열부품을 냉각시키는 에어플로를 발생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 냉각팬(26)에서 발생하는 에어플로는, 마그네트론(44)을 경유하면서 냉각시킨 다음, 에어덕트(48)를 통하여 캐비티(2)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덕트(48)의 내부에는, 이렇게 캐비티(2)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기 위한 배플을 구비하는 댐퍼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댐퍼장치를설치하는 것은, 캐비티 내부가 고온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에 외기의 유입에 의한온도저하를 방지하여, 음식물을 충분한 고온상태로 가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댐퍼장치는, 실제로 전자레인지에서는 공지된 구성이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전장실 냉각팬(26)에서 발생하는 에어플로는 캐비티(2) 내부로 유입된 다음, 캐비티의 외측으로 배기되어, 전자레인지의 외부로 완전히 배기될 것이다. 이렇게 캐비티(2) 내부에서 전자레인지의 외부로 배기되는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상면(12)의 상부에는 연결통로(12d)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 연결통로(12d)는, 실질적으로 캐비티(2)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그것을 통하여 캐비티(2) 내부의 공기가 상술한 측벽외부통로(22a)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기될 것이다. 또는 상기 캐비티(2)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서, 캐비티(2)의 상면(2b)에 기존의 전자레인지와 같이 다수개의 통기공으로 구성되는 배기부를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캐비티상면(2b)에 다수개의 통기공으로 구성되는 배기부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캐비티상면(2b)을 통하여 배기되어, 측벽내부통로(18b)를 따라 흐르면서, 배기그릴(20)을 통하여 전자레인지의 외부로 배기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장실 측에는 3개의 팬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부히터를 냉각시시키 위한 상부히터 냉각팬(24)과, 마그네트론(44) 및 고압트랜스(46) 등을 냉각시키기 위한 전장실 냉각팬(26), 그리고 하부히터를 냉각시키기 위한 하부히터 냉각팬(2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냉각팬들은, 실질적으로 상기흡입그릴(10)을 통하여, 외부에서 전장실(40) 내부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켜, 각각 캐비티 내부, 상부히터 냉각통로(18a) 그리고 하부히터 냉각통로(28a)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그릴(10)을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일부는 배기모터(22)에 의하여 측면에 형성된 측벽외부통로(22a)를 통하여 흐르고, 다른 일부의 공기는 전장실유입통로(6)를 통하여 전장실(40)로 공급된다. 이렇게 상기 전장실(40)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히터 냉각팬(24), 전장실 냉각팬(26), 그리고 하부히터 냉각팬(28)에 의한 것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에서 히터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동작과정 및 에어플로의 흐름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가 동작하게 되면, 마그네트론(44)에 고압이 인가되면서 마이크로웨이브가 캐비티(2)의 내부로 공급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부히터(32a) 및 하부히터(32b)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발열하게 되고, 이렇게 만들어지는 열은, 상기 캐비티(2)의 내부로 공급될 것이다.
그리고 전자레인지의 구동에 따라, 상기 상하부히터(32a,32b)와 마그네트론(42)은 발열이 시작되고, 이들을 냉각시키기 위한 에어플로가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배기모터(22) 및 상하부 냉각팬(24,28) 및 전장실 냉각팬(26)이 동작하게 된다. 상기 4개의 팬들이 동작하게 되면, 흡입그릴(10)에서는 전자레인지의 내측을 향하는 에어플로가 형성될 것이다.
이렇게 하여 흡입그릴(10)을 통하여 내측으로 흡입되는 에어플로의 일부는 연결통로(6)을 통하여 전장실(40)의 내부로, 그리고 다른 일부의 에어플로는 상기 배기모터(22)에 의하여 측벽외부통로(22a)로 흐르게 된다.
먼저, 전장실(40)로 공급되는 에어플로를살펴보면, 상부히터 냉각팬(24)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플로는 전장실(40)에서 상부히터 냉각통로(18a)를 따라 흐르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흐르면서, 캐비티상면(2b)에 설치된 상부히터(32a)를 거치면서 그것을 냉각시키게 된다. 상부히터(32a)를 냉각시킨 에어플로는, 캐비티측면(2c)의 외측에 성형되어 있는 측벽내부통로(18b)를 통하여 하방으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벽내부통로(18b)의 하단부는, 캐비티저면(2a)를 따라 수평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덕트판(50)에 의한 하부통로(18c)와 연결된다. 상기 캐비티저면(2a)의 좌측 일부분에만 성형되는 하부통로(18a)에서 나온 공기는 배기그릴(20)을 통하여 전방으로 배기된다. 이 때, 본 발명에 의한 중앙가이드(50)에 의하여 상기 하부통로(18a)를 나오는 공기는, 배기그릴(20)의 좌측부분을 통하여 배기되거나, 좌우측으로 적절하게 분배되어 배기될 것이다.
그리고 전장실 냉각팬(26)에 의하여 발생하는 에어플로는, 전장실 내부를 흐르면서 마그네트론(44) 및 고압트랜스(46)를 냉각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에어플로는 에어덕트(48)(도 3 참조)를 통하여 캐비티(2)의 내부로 공급된다. 캐비티(2) 내부로 공급된 에어플로는, 가열되는 음식물에 의하여 발생하는 수증기 등과 같이 캐비티(2)에서 배기된다.
즉, 예를 들면, 상기 캐비티(2)의 내부에서 지지상면(12)의 상부로 연결되는연결통로(12d)를 통하여 지지상면(12)의 상부로 배기되고, 지지상면(12)의 상부에서는 배기모터(22)의 측면으로 흡입된 다음, 측벽외부통로(22a)를 따라 하방으로 흐르게 된다.
이렇게 상기 측벽외부통로(22a)를 따라 하방으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은, 캐비티저면(2a)으로 도달한 다음, 하부덕트판(50)의 하부를 통하여 흐르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중앙가이드(52)에 의하여 이분된다. 즉, 하부덕트판(50)에서 전자레인지의 전면에 가까운 부분의 에어플로는 배기그릴(20)의 좌측부분을 통하여, 그리고 전자레인지의 후면에 가까운 부분의 에어플로는 배기그릴(20)의 우측부분을 통하여 배기될 것이다. 또한 상기 배기그릴(20)의 좌측부분을 흐르는 공기는, 보조가이드(54)에 의하여 다시 이분되어, 배기그릴(20)을 통하여 배기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40)의 하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하부히터 냉각팬(28)도, 상부의 전장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하부히터 냉각통로(28a)의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히터 냉각통로(28a)에 의하여 그 내부를 흐르는 공기는, 하부히터(32b)를 경유하면서, 그것을 냉각시키게 된다.
상기 하부히터 냉각통로(28a)는 실질적으로 하부히터(32b)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성형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하부히터 냉각통로(28a)는, 하부덕트판(50)이 설치된 위치에서 상부히터(32a)를 냉각시킨 공기가 흐르는 측벽내부통로(18b)와 합쳐지도록 성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하부히터(32b)를 냉각시킨 공기는, 상부히터(32a)를 냉각시킨 다음 측벽내부통로(18b)를 통하여 배기되는 공기와 상기 하부덕트(18c)에서 합쳐져서,배기그릴(20)을 통하여 전방으로 배기된다. 이 때, 본 발명에 의한 중앙가이드(50)에 의하여 상기 하부통로(18a)를 나오는 공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기그릴(20)의 좌측부분을 통하여 배기되거나, 좌우측으로 적절하게 분배되어 배기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앙가이드(50)의 우측을 흐르는 공기, 즉 측벽외부통로(22a)를 통하여 흐르는 공기는 테이블모터(8)를 경유하면서 그것을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하부히터(32a,32b)를 냉각시킨 공기와, 전장실(40)의 발열부품을 냉각시킨 공기는 배기그릴(20)을 통하여 배기된다. 그리고 이 때, 상기 배기그릴(20) 이면에서 전장실(4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분리벽(60)에 의하여, 이렇게 배기되는 공기가 다시 전장실(40)의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히터(32a)를 냉각시킨 다음 측벽내부통로(18b)를 통하여 흐르는 공기와, 하부히터(32b)를 냉각시킨 다음 상기 측벽내부통로(18b)와 하부통로(18c)에서 합쳐져서 배기되는 공기를 중앙가이드(52)를 통하여 적절하게 좌우로 분리한다. 또한 측벽외부통로(22a)를 통하여 하방으로 내려오는 공기도, 상기 중앙가이드(52)를 통하여 좌우로 적절하게 분리하는 것을 제1주제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보조가이드(54)를 설치하여 측벽외부통로(22a)를 통하여 하강하는 에어프로를 다시 분리하여 배기그릴(20)을 통하여 적적하게 배기시키는 것을 제2주제로 한다. 그리고 분리벽(60)을 설치하여 배기그릴(20)을 통하여 배기되는 공기가 다시 전장실로 흡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제3주제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다음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는, 실질적으로 그 전면을 통하여 냉각용 공기를 출입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빌트인 타입의 전자레인지 및 이러한 전자레인지의 내부 발열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최적의 에어플로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레인지의 내부를 흐르면서 히터 및 발열부품을 냉각시킨 공기가 배기그릴을 통하여 배기될 때, 중앙가이드(52) 및 보조가이드(54)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배기그릴(20)의 일부에 집중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고르게 배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분리벽(60)에 의하여, 배기그릴(20)을 통하여 배기되는 고온의 공기가 다시 전장실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장실 내부 부품의 방열을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하게 될 것이다.

Claims (1)

  1. 전자레인지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는 흡입그릴;
    전자레인지의 전면하부에 설치되는 배기그릴;
    전자레인지의 측벽에서, 캐비티측벽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지지측벽에 의하여 형성되어, 상기 흡입그릴을 통하여 흡입되어 전자레인지의 제1내부경로를 따라 순환한 공기가 하강하는 측벽내부통로;
    상기 측벽내부통로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그릴을 통하여 흡입되어 전자레인지의 제2내부경로를 따라 순환한 공기가 하강하는 측벽외부통로;
    상기 지지측벽에서 캐비티 저면으로 일정 거리 연장되는 하부덕트판에 의하여 성형되어, 측벽내부통로와 연통하는 하부통로; 그리고
    상기 하부덕트판의 중간 상하부분에서 상기 배기그릴의 중간부분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중앙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측벽외부통로와 하부통로를 나와서 배기그릴로 배기되는 공기를, 상기 중앙가이드에 의하여 배기그릴의 좌우측으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
KR1020000030768A 1999-12-18 2000-06-05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20010110494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768A KR20010110494A (ko) 2000-06-05 2000-06-05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US09/736,128 US6344637B2 (en) 1999-12-18 2000-12-15 Cooling system for built-in microwave oven
CNB008173621A CN1295943C (zh) 1999-12-18 2000-12-18 内装式微波炉
EP00983568A EP1238573B1 (en) 1999-12-18 2000-12-18 Built-in microwave oven
DE60039067T DE60039067D1 (de) 1999-12-18 2000-12-18 Einbau-mikrowellenofen
AU20306/01A AU2030601A (en) 1999-12-18 2000-12-18 Built-in microwave oven
PCT/KR2000/001481 WO2001045466A1 (en) 1999-12-18 2000-12-18 Built-in microwave oven
JP2001546216A JP3750059B2 (ja) 1999-12-18 2000-12-18 ビルトイン電子レン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768A KR20010110494A (ko) 2000-06-05 2000-06-05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494A true KR20010110494A (ko) 2001-12-13

Family

ID=45929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768A KR20010110494A (ko) 1999-12-18 2000-06-05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04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9441B1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JP3750059B2 (ja) ビルトイン電子レンジ
KR100402587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100402578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20010064859A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200189009Y1 (ko) 전자레인지의 고내공기 배기장치
KR20010057092A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20010110494A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100377740B1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100420336B1 (ko) 빌트인 전자레인지
KR20010109947A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100377739B1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20010057090A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200189008Y1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100487348B1 (ko) 전기 오븐 레인지
KR100432753B1 (ko) 빌트인 전자레인지
KR20020037236A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100789831B1 (ko) 전기 오븐
KR20010060670A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20010109946A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100437396B1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공기유동장치
KR20010057193A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20010057191A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20010060673A (ko) 전자레인지의 흡입구조
KR100402608B1 (ko) 토스터부를 구비한 전자레인지의 방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