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9855A - 여행경로 제공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여행경로 제공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9855A
KR20010109855A KR1020000030533A KR20000030533A KR20010109855A KR 20010109855 A KR20010109855 A KR 20010109855A KR 1020000030533 A KR1020000030533 A KR 1020000030533A KR 20000030533 A KR20000030533 A KR 20000030533A KR 20010109855 A KR20010109855 A KR 20010109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oute
user
search
travel ro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8827B1 (ko
Inventor
김진범
강성택
이재철
김영식
Original Assignee
김진범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범,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김진범
Priority to KR10-2000-0030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8827B1/ko
Publication of KR20010109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대중교통수단이 연계된 여행계획 수립이 가능하도록 하고, 여행경로상의 주요 관심 시설물을 연계하여 그 주요 관심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 여행경로 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내버스, 지하철, 고속버스, 철도, 시외버스, 선박, 항공기 등의 다양한 대중교통수단이 상호 연계되어 있으므로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여행경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여행경로상의 주요 관심 시설물들에 대해서도 사용자가 요구하게 되면 그에 대한 정보를 즉각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대한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여행경로 제공장치 및 방법{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travel guide using a public transportations}
본 발명은 여행경로 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출발지와 목적지간에 존재하는 여행경로 정보 및 그에 따른 다양한 교통수단 정보를 제공해 주도록 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행을 가고자 하는 자는 자신의 차량 또는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여 희망하는 목적지로 간다.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할 경우 시내버스, 지하철, 고속버스 등에 한정되어 있고, 이러한 대중교통수단들은 서로 연계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대부분의 여행자는 그동안 자신이 알고 있던 여행경로 지식에 따라 희망하는 목적지까지 간다. 더 빠르고 안전한 여행경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전에 알고 있던대로만 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다양한 대중교통수단이 연계된 여행계획 수립이 가능하도록 한 여행경로 제공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행경로상의 주요 관심 시설물을 연계하여 그 주요 관심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 여행경로 제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양한 대중교통수단이 연계된 여행계획 수립이 가능하도록 한 여행경로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여행경로상의 주요 관심 시설물을 연계하여 그 주요 관심 시설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 여행경로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행경로 제공장치는, 여행경로 탐색을 위해 사용자가 입력시킨 다양한 여행경로 요구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여행경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다양한 여행경로 요구정보중에서 지점설정 요구정보에 따라 지도와 지점설정 정보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지점설정 정보를 이용하고 내장된 다양한 종류의 대중교통 정보를 근거로 상기 여행 경로를 탐색하여 그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며,
상기 탐색된 여행 경로상의 주요 관심 시설에 대해 사용자의 요구가 있을 경우에 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행경로 제공장치는, 여행경로 탐색을 위해 사용자가 입력시킨 다양한 여행경로 요구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여행경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행경로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각종 사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내의 정보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요구한 관심 시설정보를 검색하는 관심시설 검색수단;
상기 저장수단내의 정보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요구한 지점설정 요구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지도와 지점설정 정보를 검색하는 지점 검색수단;
상기 지점 검색수단으로부터의 지점설정 정보를 근거로 여행경로를 탐색하는 탐색수단; 및
상기 수단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여행경로를 제공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경로 제공방법은, 여행경로 탐색을 위해 사용자가 입력시킨 다양한 여행경로 요구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여행경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목적지를 설정하고 나서 해당 목적지까지의 이용수단 및 탐색인자를 선택적으로 입력함에 따라 다수의 탐색모드중에서 최적의 탐색모드를 택하여 경로탐색을 행하는 과정;
상기 경로탐색된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는 과정; 및
상기 경로탐색된 결과에서 주요 관심 시설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있을 경우에 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과정을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경로 제공장치의 블럭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저장수단의 논리적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경로 제공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여행경로 제공방법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세부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저장수단 12 : 관심 시설 데이터베이스
14 : 대중교통노선 데이터베이스 16 : 지도 데이터베이스
18 : 지점설정 데이터베이스 20 : 관심시설 검색기
30 : 노선탐색 처리기 40 : 지점 검색기
50 : 사용자별 등록정보 데이터베이스 60, 70 : 개인용 컴퓨터(PC)
80 : 휴대형 이동 단말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경로 제공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참조부호 10은 여행자가 여행경로를 수립하기 위해 개인용 컴퓨터(60 또는 70) 또는 휴대형 이동 단말기(80)를 통해 각종 요구사항을 입력함에 따라 그에 대한 정보(예컨대, 관심시설 정보, 대중교통노선 정보, 지도 정보, 지점설정 정보 등)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을 나타낸다.
상기 저장수단(10)은 여행경로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주요 관심 시설물(POI; Point-Of-Interest)들에 대한 정보를 내장하고 있는 관심 시설 데이터베이스(12),사용자가 이용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대중교통 노선들(예컨대, 시내버스 노선, 지하철 노선, 고속버스 노선, 시외버스 노선, 철도 노선, 선박 노선, 항공 노선)에 대한 정보를 내장하고 있는 대중교통 노선 데이터베이스(14), 전국의 지도 정보를 내장하고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검색요구한 지점에 대한 지도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지도 데이터베이스(16) 및, 목적지와 같은 지점(예컨대, 00주유소, 전화번호, 집주소, 00극장 등)을 설정할 수 있는 정보들을 내장하고 있는 지점설정 데이터베이스(18)를 구비한다.
참조부호 20은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가 전달한 탐색된 노선정보상의 관심시설 정보를 상기 관심시설 데이터베이스(10)내에서 검색하여 그 결과를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로 전달하는 관심시설 검색기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30은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가 전달한 지점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중교통노선 데이터베이스(14)내에서 여행노선을 탐색하고 그 탐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로 전달하는 노선탐색 처리기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40은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가 전달하는 사용자 지점설정 요구정보에 따라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16)내에서 지도와 상기 지점설정 데이터베이스(18)내에서 지점설정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로 전달하는 지점 검색기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50은 여행경로를 제공받기 위해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에 접속한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등록정보 및 탐색 결과 등을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별 등록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다.
상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60, 70)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와 연결된다. 상기 개인용 컴퓨터(60)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를 탑재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에 따라, 여행자는 개인적으로 자신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직접 여행경로를 확인해 볼 수 있다.
상기 개인용 컴퓨터(70)는 유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에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개인용 컴퓨터(70)와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는 웹(WEB) 방식에 의해 상호 통신한다.
상기 휴대형 이동 단말기(80)는 PCS폰 또는 셀룰러폰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가능한 소형 단말기를 나타낸다. 상기 휴대형 이동 단말기(80)는 상기 웹(WEB) 방식과 왑(WAP) 방식에 의해 무선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와 통신한다.
참조부호 90은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를 통해 여행계획을 수립하고자 접속한 사용자(여행자)의 입력 요구정보에 상응하는 여행경로를 정보를 신속/정확하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를 나타낸다.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는 사용자가 목적지와 같은 지점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지점 검색기(40)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전달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목적지/경유지/출발지 정보를 상기 노선탐색 처리기(30)에 전달하며, 상기 노선탐색 처리기(30)에서 탐색된 경로상의 관심시설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그 관심시설 정보를 상기 관심시설 검색기(20)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등록할정보와 탐색 결과 등을 상기 사용자별 등록정보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시킴과 더불어 그 사용자별 등록정보 데이터베이스(50)내의 정보를 관리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수단(10)과 관심시설 검색기(20), 노선탐색 처리기(30), 지점 검색기(40) 사용자별 등록정보 데이터베이스(50) 및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가능하다. 이 경우 그 하나의 시스템은 특정 사이트(예컨대,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에 해당하는 여행경로를 제공해 주는 사이트)를 운영하는 운영자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저장수단의 논리적 구조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저장수단(10)의 논리적 모델을 표현하기 위해 객체관계모델을 이용하였다.
각 객체는 사각형으로 표현되고, 객체와 객체간의 관계는 선으로 표현하며, 객체안에는 각 객체의 이름과 가져야할 속성을 표시한다. 관계는 관계의 이름과 간계를 맺는 객체간의 수를 표현하는 심볼을 선 끝에 표기한다.
상기 저장수단(10)의 논리적 모델을 살펴보면, 대중교통수단이 시내버스 노선, 지하철 노선, 고속버스 노선, 시외버스 노선, 고속버스 노선, 철도 노선, 선박 노선, 항공 노선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대중교통노선과 관계된 관심 시설(POI)은 다수이고, 하나의 관심 시설은 여러 대중교통노선에 인접되어 있다.
하나의 대중교통노선은 한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고, 한 운영자는 여러 노선을 운영할 수 있다.
시내버스 노선은 여러 시내버스 구간으로 구성되고, 한 시내버스 구간은 여러 시내버스 노선에 속해 있으며, 한 시내버스 구간은 기점과 종점의 역할을 담당하는 정류장으로 구성된다.
각 정류장, 역, 공항, 터미널 등은 스탑 포인트(stop point)라는 객체로 일반화된다. 상기 스탑 포인트는 관심 시설 정보와 인접관계를 갖는다. 상기 스탑 포인트는 다른 대중교통수단과의 연계를 표현하기 위해 연계정보를 갖는다.
상기 스탑 포인트는 다른 교통수단과의 연계를 위해서 하차해야 할 스탑 포인트 1과 다른 교통수단에 승차하기 위한 스탑 포인트 2 및 상기 스탑 포인트 1에서 스탑 포인트 2로 가기 위한 접근방법(예컨대, 도보 등) 및 소요시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임의의 여행자가 자신의 집에서 김포 공항까지 지하철을 이용하여 간다고 설정한 경우 상기 스탑 포인트 1은 지하철 노선상의 김포공항 역이 되고, 상기 스탑 포인트 2는 김포공항이 되며, 상기 접근방법은 도보가 되며 상기 소요시간은 10분이 된다.
한편, 도 2에서 시내버스 노선은 여러개의 시내버스 구간으로 이루어지고, 지하철 노선은 여러개의 지하철 구간으로 이루어지며, 시외버스 노선은 여러개의 시외버스 구간으로 이루어지며, 철도 노선은 여러개의 철도 구간으로 이루어진다.
이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행경로 제공방법에 대해 도 3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예컨대, 개인용 컴퓨터(60 또는 70), 휴대형 이동 단말기(80))를 조작하여 희망하는 목적지와 경유지 및 출발지를 설정한다(단계 100, 110, 120). 상기 설정된 목적지와 경유지 및 출발지 정보는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로 입력되고,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는 그 목적지와 경유지 및 출발지 정보를 지점 검색기(40)로 전달한다. 그에 따라, 상기 지점 검색기(40)는 사용자의 지점설정 요구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지역의 지도와 지점설정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출발지까지 가기 위한 대중교통수단을 선택적으로 입력한다(단계 13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대중교통수단을 선택하기 위해 다수의 선택모드(예컨대, 지하철 이용 탐색모드, 고속/시외버스 이용 탐색모드, 철도 이용 탐색모드, 항공기 이용 탐색모드, 선박 이용 탐색모드, 알아서 탐색모드)를 갖춘다. 사용자가 어느 한 선택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그 선택된 정보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를 통해 노선탐색 처리기(30)로 입력된다.
사용자가 상기의 다수의 선택모드에서 어느 한 선택모드를 선택한 후에는 탐색인자를 선택하게 된다(단계 140). 여기서, 탐색인자로는 시간우선 탐색인자, 요금우선 탐색인자, 알아서 탐색인자 등이 있다. 상기 시간우선 탐색인자는 목적지까지의 소요시간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탐색인자이고, 상기 요금우선 탐색인자는 목적지까지의 요금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탐색인자이며, 상기 알아서 탐색인자는 상기 시간 및 요금을 적절히 고려한 탐색인자이다.
사용자가 어느 한 탐색인자를 선택하게 되면 그 선택된 탐색인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를 통해 상기 노선탐색 처리기(30)로 입력된다.
이와 같이 하여 탐색방법이 결정되면(단계 150), 상기 노선탐색 처리기(30)는 입력된 정보를 근거로 하여 여행노선을 탐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결정된 탐색노선이 시내버스 노선인 경우에는 상기 노선탐색 처리기(30)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를 통해 입력되는 지점정보를 근거로 하여 대중교통노선 데이터베이스(14)내에서 해당하는 시내버스 노선을 탐색하게 된다(단계 160).
상기 탐색된 시내버스 노선 정보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단계 170). 이때,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60 또는 70)를 이용하여 여행경로를 요구한 경우에는 해당 개인용 컴퓨터의 모니터에 그 탐색 결과(즉, 여행경로)를 표시해 주고, 상기 사용자가 휴대형 이동 단말기(80)를 이용하여 여행경로를 요구한 경우에는 해당 휴대형 이동 단말기(80)의 디스플레이어에 그 탐색 결과(즉, 여행경로)를 표시해 준다. 여기서, 상기 탐색 결과(즉, 여행경로)는 여러 가지의 노선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이용하고 있는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탐색결과중에서 어느 한 단어(예컨대, 돈암동)를 클릭하게 되면 해당 단어(즉, 돈암동) 주변의 관심시설 정보(POI)를 얻게 된다(단계 180).
한편, 상기 결정된 탐색노선이 지하철 노선인 경우에는 상기 노선탐색 처리기(30)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를 통해 입력되는 지점정보를 근거로 하여 대중교통노선 데이터베이스(14)내에서 해당하는 지하철 노선을 탐색하게 된다(단계 190).
그리고, 상기 노선탐색 처리기(30)는 출발지로부터 탐색된 지하철 노선의 기점까지의 버스 노선을 탐색하고(단계 200), 탐색된 지하철 노선의 종점부터 경유지/목적지까지의 버스 노선을 탐색(단계 210)한다.
상기 탐색된 지하철 노선 정보는 상기 단계 170에서와 같이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이때,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60 또는 70)를 이용하여 여행경로를 요구한 경우에는 해당 개인용 컴퓨터의 모니터에 그 탐색 결과(즉, 여행경로)를 표시해 주고, 상기 사용자가 휴대형 이동 단말기(80)를 이용하여 여행경로를 요구한 경우에는 해당 휴대형 이동 단말기(80)의 디스플레이어에 그 탐색 결과(즉, 여행경로)를 표시해 준다. 여기서, 상기 탐색 결과(즉, 여행경로)는 여러 가지의 노선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이용하고 있는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탐색결과중에서 어느 한 단어(예컨대, 돈암동)를 클릭하게 되면 해당 단어(즉, 돈암동) 주변의 관심시설 정보(POI)를 얻게 된다(단계 180).
한편, 상기 결정된 탐색노선이 시외/고속버스 노선인 경우에는 상기 노선탐색 처리기(30)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를 통해 입력되는 지점정보를 근거로 하여 대중교통노선 데이터베이스(14)내에서 해당하는 시외/고속버스 노선을 탐색하게 된다(단계 220).
그리고, 상기 노선탐색 처리기(30)는 출발지로부터 탐색된 시외/고속버스 노선의 기점까지의 버스/지하철 노선을 탐색하고(단계 230), 탐색된 시외/고속버스 노선의 종점부터 경유지/목적지까지의 버스/지하철 노선을 탐색(단계 240)한다.
상기 탐색된 시외/고속버스 노선 정보는 상기 단계 170에서와 같이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이때,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60 또는 70)를 이용하여 여행경로를 요구한 경우에는 해당 개인용 컴퓨터의 모니터에 그 탐색 결과(즉, 여행경로)를 표시해 주고, 상기 사용자가 휴대형 이동 단말기(80)를 이용하여 여행경로를 요구한 경우에는 해당 휴대형 이동 단말기(80)의 디스플레이어에 그 탐색 결과(즉, 여행경로)를 표시해 준다. 여기서, 상기 탐색 결과(즉, 여행경로)는 여러 가지의 노선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이용하고 있는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탐색결과중에서 어느 한 단어(예컨대, 돈암동)를 클릭하게 되면 해당 단어(즉, 돈암동) 주변의 관심시설 정보(POI)를 얻게 된다(단계 180).
한편, 상기 결정된 탐색노선이 철도 노선인 경우에는 상기 노선탐색 처리기(30)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를 통해 입력되는 지점정보를 근거로 하여 대중교통노선 데이터베이스(14)내에서 해당하는 철도 노선을 탐색하게 된다(단계 250).
그리고, 상기 노선탐색 처리기(30)는 출발지로부터 탐색된 철도 노선의 기점까지의 버스/지하철 노선을 탐색하고(단계 260), 탐색된 철도 노선의 종점부터 경유지/목적지까지의 버스/지하철 노선을 탐색(단계 270)한다.
상기 탐색된 철도 노선 정보는 상기 단계 170에서와 같이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이때,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60 또는 70)를 이용하여 여행경로를 요구한 경우에는 해당 개인용 컴퓨터의 모니터에 그 탐색 결과(즉, 여행경로)를 표시해 주고, 상기 사용자가 휴대형 이동단말기(80)를 이용하여 여행경로를 요구한 경우에는 해당 휴대형 이동 단말기(80)의 디스플레이어에 그 탐색 결과(즉, 여행경로)를 표시해 준다. 여기서, 상기 탐색 결과(즉, 여행경로)는 여러 가지의 노선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이용하고 있는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탐색결과중에서 어느 한 단어(예컨대, 돈암동)를 클릭하게 되면 해당 단어(즉, 돈암동) 주변의 관심시설 정보(POI)를 얻게 된다(단계 180).
한편, 상기 결정된 탐색노선이 선박 노선인 경우에는 상기 노선탐색 처리기(30)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를 통해 입력되는 지점정보를 근거로 하여 대중교통노선 데이터베이스(14)내에서 해당하는 선박 노선을 탐색하게 된다(단계 280).
그리고, 상기 노선탐색 처리기(30)는 출발지로부터 탐색된 선박 노선의 기점까지의 버스/지하철 노선을 탐색하고(단계 290), 탐색된 선박 노선의 종점부터 경유지/목적지까지의 버스/지하철 노선을 탐색(단계 300)한다.
상기 탐색된 선박 노선 정보는 상기 단계 170에서와 같이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이때,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60 또는 70)를 이용하여 여행경로를 요구한 경우에는 해당 개인용 컴퓨터의 모니터에 그 탐색 결과(즉, 여행경로)를 표시해 주고, 상기 사용자가 휴대형 이동 단말기(80)를 이용하여 여행경로를 요구한 경우에는 해당 휴대형 이동 단말기(80)의 디스플레이어에 그 탐색 결과(즉, 여행경로)를 표시해 준다. 여기서, 상기 탐색 결과(즉, 여행경로)는 여러 가지의 노선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이용하고 있는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탐색결과중에서 어느 한 단어(예컨대, 돈암동)를 클릭하게 되면 해당 단어(즉, 돈암동) 주변의 관심시설 정보(POI)를 얻게 된다(단계 180).
마지막으로, 상기 결정된 탐색노선이 항공 노선인 경우에는 상기 노선탐색 처리기(30)는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를 통해 입력되는 지점정보를 근거로 하여 대중교통노선 데이터베이스(14)내에서 해당하는 항공 노선을 탐색하게 된다(단계 310).
그리고, 상기 노선탐색 처리기(30)는 출발지로부터 탐색된 항공 노선의 기점까지의 버스/지하철 노선을 탐색하고(단계 320), 탐색된 항공 노선의 종점부터 경유지/목적지까지의 버스/지하철 노선을 탐색(단계 330)한다.
상기 탐색된 항공 노선 정보는 상기 단계 170에서와 같이 상기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이때,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60 또는 70)를 이용하여 여행경로를 요구한 경우에는 해당 개인용 컴퓨터의 모니터에 그 탐색 결과(즉, 여행경로)를 표시해 주고, 상기 사용자가 휴대형 이동 단말기(80)를 이용하여 여행경로를 요구한 경우에는 해당 휴대형 이동 단말기(80)의 디스플레이어에 그 탐색 결과(즉, 여행경로)를 표시해 준다. 여기서, 상기 탐색 결과(즉, 여행경로)는 여러 가지의 노선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이용하고 있는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탐색결과중에서 어느 한 단어(예컨대, 돈암동)를 클릭하게 되면 해당 단어(즉, 돈암동) 주변의 관심시설 정보(POI)를 얻게 된다(단계 180).
도 4는 본 발명의 여행경로 제공방법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세부흐름도이다.
도 4의 세부흐름도를 설명함에 앞서서, 도 1의 상기 저장수단(10)과 관심시설 검색기(20), 노선탐색 처리기(30), 지점 검색기(40) 사용자별 등록정보 데이터베이스(50) 및 사용자 인터렉션 처리기(90)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시킨 것으로 설정한다.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시스템에 접속하게 되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는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400)이 디스플레이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화면(400)상에서 예를 들어 명칭검색을 클릭하게 되면 시스템은 그에 따른 하위메뉴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보낸다.
그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는 검색하고자 하는 지명 또는 시설명을 입력하라는 메시지와 함께 입력창을 갖춘 화면(410)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사용자가 그 입력창에 특허청이라는 단어를 입력하고 나서 확인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상기 시스템에서는 특허청이라는 값을 갖는 지명 또는 시설명을 검색한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검색결과에 따른 화면(420)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보낸다.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된 조회정보선택화면(420)에서 사용자가 예컨대 특허청 서울사무소를 클릭하게 되면 상기 시스템은 그 선택된 시설(특허청 서울사무소)의 위치 화면(430)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상에 일정시간동안 표시해준다.
그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은 상기 위치 화면(430)에서 경로설정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440)으로 바뀌게 된다. 사용자가 자신이 희망하는 목적지와 경유지 및 출발지를 설정한 후 확인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상기 시스템에서는 교통수단조건을 선택하라는 화면(450)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보낸다.
상기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된 화면(450)에서 예를 들어 지하철 이용과 선박 이용을 선택한 후 확인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상기 시스템은 탐색을 위한 조건을 선택하라는 화면(460)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보낸다.
그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상에 디스플레이된 화면(460)에서 예를 들어 시간우선을 선택한 후 탐색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상기 시스템은 현재까지 입력된 모든 조건에 따라 여행경로를 탐색한 후 그 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보낸다.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상에는 여러 가지의 탐색코스를 갖춘 화면(470)이 디스플레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어느 한 단어(예컨대, 돈암동)를 클릭하게 되면 상기 시스템은 해당 단어(즉, 돈암동) 주변의 관심시설 정보(POI)(예컨대, 숙박시설, 음식점, 주유소, 관광지 등)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보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시내버스, 지하철, 고속버스, 철도, 시외버스, 선박, 항공기 등의 다양한 대중교통수단이 상호 연계되어 있으므로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여행경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행경로상의 주요 관심 시설물들에 대해서도 사용자가 요구하게 되면 그에 대한 정보를 즉각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대한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러한 수정 및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여행경로 탐색을 위해 사용자가 입력시킨 다양한 여행경로 요구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여행경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다양한 여행경로 요구정보중에서 지점설정 요구정보에 따라 지도와 지점설정 정보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지점설정 정보를 이용하고 내장된 다양한 종류의 대중교통 정보를 근거로 상기 여행 경로를 탐색하여 그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하며,
    상기 탐색된 여행 경로상의 주요 관심 시설에 대해 사용자의 요구가 있을 경우에 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경로 제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유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여행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경로 제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여행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경로 제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에 내장된 다양한 종류의 대중교통 정보는 시내버스 노선, 지하철 노선, 고속버스 노선, 시외버스 노선, 철도 노선, 선박 노선 및, 항공 노선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경로 제공장치.
  5. 여행경로 탐색을 위해 사용자가 입력시킨 다양한 여행경로 요구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여행경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행경로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각종 사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내의 정보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요구한 관심 시설정보를 검색하는 관심시설 검색수단;
    상기 저장수단내의 정보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요구한 지점설정 요구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지도와 지점설정 정보를 검색하는 지점 검색수단;
    상기 지점 검색수단으로부터의 지점설정 정보를 근거로 여행경로를 탐색하는 탐색수단; 및
    상기 수단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여행경로를 제공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경로 제공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유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여행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경로 제공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여행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경로 제공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상기 여행경로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주요 관심 시설물들에 대한 정보를 내장하고 있는 관심 시설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가 이용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대중교통 노선들에 대한 정보를 내장하고 있는 대중교통 노선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가 검색요구한 지점에 대한 지도 정보를 내장하고 있는 지도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지점을 설정할 수 있는 정보들을 내장하고 있는 지점설정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경로 제공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양한 종류의 대중교통 노선들에 대한 정보는 시내버스 노선, 지하철 노선, 고속버스 노선, 시외버스 노선, 철도 노선, 선박 노선, 항공 노선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경로 제공장치.
  10. 여행경로 탐색을 위해 사용자가 입력시킨 다양한 여행경로 요구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여행경로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목적지를 설정하고 나서 해당 목적지까지의 이용수단 및 탐색인자를 선택적으로 입력함에 따라 다수의 탐색모드중에서 최적의 탐색모드를 택하여 경로탐색을 행하는 과정;
    상기 경로탐색된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는 과정; 및
    상기 경로탐색된 결과에서 주요 관심 시설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있을 경우에 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경로 제공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유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여행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경로 제공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여행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경로 제공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탐색모드는 시내버스 노선 탐색모드, 지하철 노선 탐색모드, 고속버스 노선 탐색모드, 시외버스 노선 탐색모드, 철도 노선 탐색모드, 선박 노선 탐색모드, 항공 노선 탐색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경로 제공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인자는 목적지까지의 소요시간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탐색인자, 상기 목적지까지의 요금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탐색인자 및, 상기 목적지까지의 소요시간 및 요금을 적절히 고려한 탐색인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경로 제공방법.
KR10-2000-0030533A 2000-06-02 2000-06-02 여행경로 제공장치 및 방법 KR100418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533A KR100418827B1 (ko) 2000-06-02 2000-06-02 여행경로 제공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533A KR100418827B1 (ko) 2000-06-02 2000-06-02 여행경로 제공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855A true KR20010109855A (ko) 2001-12-12
KR100418827B1 KR100418827B1 (ko) 2004-02-14

Family

ID=42174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533A KR100418827B1 (ko) 2000-06-02 2000-06-02 여행경로 제공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882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790A (ko) * 2000-07-19 2002-01-29 전상렬 인터넷을 통한 최적화된 여행 계획 작성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20023556A (ko) * 2000-09-22 2002-03-29 전성민, 김성원 통신망을 이용하여 경유지에서의 항공편에 대한 정보의확인이 가능한 항공권 판매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77142A (ko) * 2004-12-30 200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중교통수단의 요금 안내방법
WO2007120397A1 (en) * 2006-03-27 2007-10-25 Microsoft Corporation Transit-coordinated local search
KR100826906B1 (ko) * 2005-08-24 2008-05-08 박창수 인터넷을 이용한 여행지도 시스템
KR102051826B1 (ko) * 2018-06-15 2019-12-04 유티정보 주식회사 철도 이용객 중심의 여행 경로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200030783A (ko) 2018-09-13 2020-03-23 주식회사 큐브픽스 방문지 최적화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8040A (en) * 1994-06-24 1999-09-07 Delorme Publishing Co. Travel reservation information and planning system
CN1137455C (zh) * 1995-08-09 2004-02-04 丰田自动车株式会社 旅行计划制定设备
JP3578255B2 (ja) * 1997-11-28 2004-10-20 富士通株式会社 地図情報案内方法及び地図情報案内装置
KR19990078636A (ko) * 1999-07-16 1999-11-05 김유삼 인터넷을통한여행팩키지자동구성시스템
KR20000050182A (ko) * 2000-05-23 2000-08-05 김옥준 인터넷 기반을 이용한 여행 안내 시스템
KR20010107177A (ko) * 2000-05-25 2001-12-07 김종혁 무인관광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790A (ko) * 2000-07-19 2002-01-29 전상렬 인터넷을 통한 최적화된 여행 계획 작성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20023556A (ko) * 2000-09-22 2002-03-29 전성민, 김성원 통신망을 이용하여 경유지에서의 항공편에 대한 정보의확인이 가능한 항공권 판매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77142A (ko) * 2004-12-30 200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중교통수단의 요금 안내방법
KR100826906B1 (ko) * 2005-08-24 2008-05-08 박창수 인터넷을 이용한 여행지도 시스템
WO2007120397A1 (en) * 2006-03-27 2007-10-25 Microsoft Corporation Transit-coordinated local search
US7571050B2 (en) 2006-03-27 2009-08-04 Microsoft Corporation Transit-coordinated local search
KR102051826B1 (ko) * 2018-06-15 2019-12-04 유티정보 주식회사 철도 이용객 중심의 여행 경로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200030783A (ko) 2018-09-13 2020-03-23 주식회사 큐브픽스 방문지 최적화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8827B1 (ko) 200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0227B2 (en) Navigation system with downloadable map data
US8335648B2 (en) Route searching system, route searching server and route searching method
JP4437168B1 (ja)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経路探索仲介サーバ及び経路案内方法
KR101047734B1 (ko) 경로 탐색 시스템, 경로 탐색 서버, 단말 장치 및 경로 탐색 방법
WO2005038400A1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047920B2 (ja) 経路情報配信システム、経路情報案内サーバおよび端末装置ならびに経路情報配信方法
JP4131745B1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探索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
JP5007152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探索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
KR100418827B1 (ko) 여행경로 제공장치 및 방법
JP4550697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4851402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サーバ、携帯端末装置、及び情報配信方法
JP4163741B1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携帯端末装置ならびに経路探索方法
JP4604055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探索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
JP2010204115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EP2400266A1 (en) Route guidance system, route search server, and route guidance method
JP3933029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1112387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端末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ならびに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614364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経路探索方法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端末装置
JP739310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168437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端末装置
JP5351997B2 (ja) 経路情報配信システム、経路情報案内サーバおよび端末装置ならびに経路情報配信方法
JP4142090B1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探索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
JP2021113791A (ja) 案内システム
JP2021103103A (ja) 情報提供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20112482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