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9528A - 합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를 연속적으로환류시키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합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를 연속적으로환류시키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9528A
KR20010109528A KR1020017013582A KR20017013582A KR20010109528A KR 20010109528 A KR20010109528 A KR 20010109528A KR 1020017013582 A KR1020017013582 A KR 1020017013582A KR 20017013582 A KR20017013582 A KR 20017013582A KR 20010109528 A KR20010109528 A KR 20010109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screw
conduit
housing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3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5045B1 (ko
Inventor
바케르 헬무트
슐쯔 헬무쓰
게오르크벤델린
Original Assignee
바케르 헬무트
슐쯔 헬무쓰
게오르크벤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케르 헬무트, 슐쯔 헬무쓰, 게오르크벤델린 filed Critical 바케르 헬무트
Publication of KR20010109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0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17/0412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to large particles, e.g. beads, granules, flakes, s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8Cutter-compactors, e.g. of the EREMA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합성 수지 재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를 연속하여 환류시키는 장치가 재료용 제 1 저장소를 포함하고, 거기에 그 동작으로 재료를 분쇄 및/또는 혼합하는 기구가 배치된다. 전처리된 재료가 제 1 저장소(2)로부터 진공 밀봉된 도관(18)을 통해 내부가 진공으로 될 수 있는 제 2 저장소(19)로 운반된다. 또한, 이러한 제 2 저장소(19) 내부에, 재료를 가공하기 위한 이동가능한 기구(22)가 제공된다. 재료가 스크류(30)에 의해 제 2 저장소 외부로 운반된다. 또 다른 스크류(15)가 도관(18)내에 베어링으로 지지되고, 이 스크류의 스크류 회전부가 재료를 제 1 저장소(2)로부터 제 2 저장소(19)로 운반한다. 이러한 추가의 스크류(15)의 스크류 회전부와 제 2 저장소(19) 사이에, 통로(18)내에서 운반된 재료의 유동 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차폐 부재(39)가 제공된다. 그리하여, 제 2 저장소(19)의 완전 진공 밀봉 및 장치의 연속 동작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합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를 연속적으로 환류시키기 위한 장치{DEVICE FOR CONTINUOUSLY RECYCLING SYNTHETIC MATERIAL, PREFERABLY POLYESTER}
초기 형태의 장치는 공지(AT 396, 900 B)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 재료는 제 1 저장소내에서 분쇄되고 혼합되며, 순환 기구에 의해 도관내로 압축되어 제 2 저장소에 도달된다. 제 2 저장소는 건조 시간을 단축하고 가열 중에 공기 접촉에 민감한 재료를 보호하기 위하여 진공으로 된다. 통로내에서 제 2 저장소로 유동하는 전처리된 합성 플라스틱 재료는 거의 밀봉되지만, 제 1 저장소로부터 제 2 저장소로의 공기 흐름을 완전히 방지할 수 없다. 사실, 제 2 저장소의 완전 밀봉은 통로내에 배치된 밀봉 수단에 의해 가능해지지만, 그러면 장치의 연속 동작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 형태의 장치를 개선함으로써 연속 동작이 가능하게 하고, 제 2 저장소의 충분한 진공 밀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가공된 재료가 부드럽게 처리되어, 특히 분자 사슬의 분해가 가능한 한 방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였는 데, 스크류는 도관내에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고, 이 스크류의 회전이 재료를 제 1 저장소로부터 제 2 저장소로 운반하며, 거기에서 이 스크류의 회전부와 제 2 저장소 사이에 하나 이상의 차폐 수단이 도관내에 제공되고 운반 재료의 유동 내에 배치된다. 차폐 수단은 장치의 연속 동작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충분한 진공 밀봉을 제공할 수 있는 플라스틱 재료의 집중적인 압축 영역을 형성한다.
스크류를 가공된 재료의 유동 방향으로 보는 경우 전/후에 배치된 2개 챔버를 연결하는 통로내에 배치하는 것이 공지(AT E 128,898 T)되어 있다. 그러나, 이 장치내에서, 제 2 챔버는 진공으로 되지 않고, 제 1 챔버내에서 재료가 선정된 상태에 도달되는 경우에만 스크류가 회전하기 때문에 장치가 연속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러한 장치내에서는 공기에 민감한 재료, 특히 폴리에스테르가 성공적으로 처리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재료의 제 1 저장소를 포함하여 합성 플라스틱 재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를 연속적으로 환류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저장소에는 재료를 분쇄하고 및/또는 혼합하는 저장소내 운동가능한 기구가 배치되고, 그렇게 가공된 재료가 제 1 저장소로부터 진공 밀폐된 도관을 통하여 제 2 저장소로 이동되고, 상기 저장소에도 재료를 가공하기 위한 운동가능한 기구가 제공되고, 거기에서 재료가 스크류에 의해 제 2 저장소 외부로 운반된다.
도 1은 도 2의 Ⅰ-Ⅰ의 선을 따른 장치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의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수평 단면내에서 확대된 크기로 역방향 스크류의 형태로 차폐 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유사한 방식으로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내에서, 스크류가 밀집화 스크류인 경우에 중요한 이점을 얻을 수 있는 데, 왜냐하면 그러한 방식으로 매우 민감한 밀집화된 합성 플라스틱 재료, 특히 폴리에스테르가 양질로 수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재료를 가소화시키는 장치와 비교하면, 밀집화 장치로는 미리 분쇄된 형태로 밀집화 스크류의 하우징의 유출 개구로 대부분 도입되는 가공된 합성 플라스틱 재료로 많은 전력이 도입됨으로써, 합성 플라스틱 재료의 입자가 단지 약간만 덩어리로 될 뿐, 가소화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말하자면 합성 플라스틱 재료의 여러 입자가 서로 점착하거나, 합성 수지 재료가 소결되고, 그리하여 가능한 한 산개된 재료가 제 2 저장소로 공급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밀집화 스크류에서 스크류 길이 대 스크류의 명목상 직경의 유효 비는 16 미만이다.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내에서, 이러한 비의 바람직한 값은 4.5 내지 12이다. 밀집화 스크류의 "유효 길이"란 스크류의 하향류측 단부와 이 단부에 인접하여 스크류 하우징내로 재료가 공급되는 유출 개구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이다. 게다가, 밀집화 스크류내에서는, 송출 영역(재료의 유출 개구에 인접한 영역)내에서의 스크류의 회전부가 가소화 스크류에서 보다 깊게 절단된다. 후자내에서, 스크류 회전부의 깊이 및 스크류 외부 직경의 비가 약 0.05 내지 0.08이고, 반면에 밀집화 스크류내에서, 이러한 비는 일반적으로 약 0.1 내지 0.12이다.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내에서, 차폐 수단은 상이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차폐 수단이 스크류 회전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그것의 나사산의 방향이 스크류의 회전 방향에 상반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역방향 회전은 스크류의 회전에 상반되게 작용하는 운반 효과를 갖지만, 그러나 후자에 의해 극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공된 재료는 이러한 역행 스크류의영역내에서 차폐된다. 상기 효과는 도관의 축방향에서 측정되는 경우에 스크류가 반대로 향하는 회전부보다 길고, 및/또는 스크류의 회전이 반대로 향하는 회전부보다 깊게 절단되는 단순한 방식에 의해 보장될 수 있다.
차폐 부재의 또 다른 특히 바람직한 구성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데, 차폐 부재가 재료의 유동 방향에 횡단면으로, 특히 수직으로 배치된 리브를 갖는 부재로 구성된다. 그러한 부재는 특히 2개 이상의 리브가 제공되면 스크류에 의해 운반되는 재료를 차폐하는 유사한 방식으로 작용한다. 바람직한 유동 조건을 얻기 위하여, 유동 방향으로 보는 경우 전후로 배치되고 둥근 단면을 갖는 2개 이상의 리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방향 스크류가 분리된 구동 수단으로 회전됨으로써 원하는 운반 방향(스크류의 그것에 반대)이 얻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내이면, 상반되게 작용하는 역방향 스크류가 일치되게 향하는 경우, 차폐 수단이 스크류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연결되고, 그러한 분리된 구동 수단이 절감될 수 있다. 리브를 구비한 차폐 부재는 도관내에 정지되어 배치되지만, 그러한 차폐 부재도, 특히 공통 회전을 위하여 스크류와 그것을 연결함으로써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왜냐하면 이러한 방식으로는 차폐 부재를 도관 벽에 대하여 인접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차폐 부재는 그 주변 및 회전을 따라 유동하는 미량의 재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하향류측 단부에서 테이퍼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관이 방심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접선방향으로 제 2 저장소의 벽에 연결된다면,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내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서,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데, 차폐 부재의 테이퍼의 외형이 도관의 연결 영역내의 제 2 저장소의 벽의 외형을 실질적으로 따른다. 이것은 순환 기구에 의해 재료가 순환되는 제 2 저장소의 내벽에 부드러운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그렇게 생성된 혼합 영역은 이러한 구성으로 손상되지 않는다.
조립 및 유용성 때문에, 차폐 부재는 통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부재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우징 부재는 탈착가능하게, 그러나 견고하게 스크류의 하우징에 연결된다. 도관 영역내의 300 bar 이상에 이르는 압력을 견디기 위하여 견고한 연결이 필요하다. 차폐 부재가 리브를 구비한 부재로 구성된다면,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내에서 방사방향으로 측정되는 경우 차폐 부재의 리브의 주위와 도관의 내벽 사이의 간극보다 깊게 밀집화 스크류의 회전부를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 부재는 도관 축에 대하여 방사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서는 않되며, 반대로 대부분의 재료가 차폐 부재를 통과하게 되는 치형 바퀴의 형태를 가질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환류되는 몇몇 재료, 특히 폴리에스테르는 가열되는 경우 습기에 매우 민감하다. 그러한 재료가 제 1 저장소내에서의 가공에 의해 부정적 영향을 받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내에서 제 1 저장소가 진공 밀봉되고, 진공 장치에 연결된다. 상기 저장소의 충전 개구의 밀봉 연결이 저장소의 연속 충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동작하는 수문, 예를 들어 세포형 바퀴 수문 등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 2 저장소 외부로 재료를 운반하는 스크류의 하우징의 유입 개구는 이러한 저장소내에서 순환하는 기구와 실질적으로 동일 이상의 높이에 배치되어, 이러한 기구에 의해 재료에 가해진 원심 작용뿐만 아니라 기구에 의해 재료에 가해진 주걱형 압입을 최적으로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내에서 도관의 입구를 하나 이상의 수직 축 주위로 제 2 저장소의 바닥 영역내에서 순환하는 기구의 궤도보다 높게 제 2 저장소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제 1 저장소내에서 완전히 전처리되지 않은 재료 입자가 순환 기구에 의해 출구 스크류의 하우징내로 즉시 도입되는 것을 회피하고, 그러한 입자가 제 2 저장소로 도입된 경우에 그러한 입자가 제 2 저장소내에 충분히 오래 체류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수분을 함유한 습한 입자의 충분한 건조를 위하여 재료 입자가 제 2 저장소내에서 선정된 시간동안 체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저장소내에서의 유입 개구의 상기 높은 위치는 제 2 저장소로 도입되는 재료 입자가 상기 저장소내에서 순환 기구에 의해 형성된 재료 흐름에 의해 그에 따르게 되도록 한다. 이러한 재료 흐름은 재료가 저장소 벽을 따라 상승하여 저장소로 들어오는 입자가 먼저 그를 따르게 되어 상승하고, 특정 체류 시간 후에만 송출 스크류의 유입 개구의 영역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상승된 온도 및 진공하에서 제 2 저장소내에서 입자를 가능한 한 산개된 채로 가능한 한 길게 유지해야 하는 요구를 만족시킨다. 제 2 저장소로 도입되는 부분 소결된 입자에 작용하는 분쇄 작용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내에서 제 2 저장소의 바닥 영역에서 순환하는 기구에 더하여 바람직하게는 동축으로 배치된 추가의 기구, 특히 타출성형 기구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기구의 궤적은 저장소의 바닥 영역에 배치된 기구의 궤적보다 높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추가의 기구의 궤적은 제 2 저장소내 통로의 입구 높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 및 이점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제의 구체예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다.
도 1, 2 및 3에 따른 구체예에서, 가공될 재료,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경우에 따라서는 폴리아미드 및 기타 흡습성으로 민감한 플라스틱 재료 또는 산소에 민감한 재료가 충전 호퍼(1)를 통해 수직 축에 회전적으로 대칭이고 수평 바닥(3) 및 수직 벽(4)을 가진 제 1 저장소(2)로 도입된다. 진공하의 저장소(2)에서 재료를 가공할 수 있도록, 유입 개구(5)가 밀봉 관문(55)으로 진공 밀봉될 수 있다. 저장소(2)를 진공하기 위하여, 선(7)을 통해 저장소(2)에 연결된 진공 펌프를 구비한 진공 장치가 제공된다. 디스크(8)상에 장착된 기구(9)는 저장소의 수직 축 주위로 저장소의 바닥 영역에서 순환하고, 회전 운동을 위하여 샤프트(10)를 통해 모터(11)에 의해 구동된다. 샤프트(10)는 저장소(2)의 바닥(3)을 횡단하고, 밀봉재(12)로 진공 밀봉된다. 저장소(2)의 측벽에 개구(13)가 제공되고, 그것을 통해 저장소(2)내에서 가공된 재료가 스크류(15)의 하우징에 도달한다. 이를 위해, 저장소(2)내에서 순환 기구(9)에 의해 재료에 가해지는 원심 작용이 이용되고, 기구는 재료를 개구(13)내로 주걱형 방식으로 압축할 것이다. 스크류(15)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밀집화 스크류일 수 있고, 그것은 송출 영역내, 그리하여 하우징(14)의 입구 영역내의 스크류 회전의 깊이가 통상의 가소화 스크류의 깊이보다 크고, 밀집화 스크류의 유효 깊이와 그 수직 반경 사이의 비가 16 미만,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12라는 것을 의미한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이 비는 약 66이다. 도 2가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류(15)는 축 길이의 단면에 대하여 운반 방향으로 연속하여 증가하는 중심 직경을 가짐으로써, 스크류 회전부(52)의 깊이가 그 방향으로 감소하여 운반 방향으로 스크류에 의해 운반되는 재료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한다. 스크류는 그 축 주위로의 회전을 위하여 모터(17)에 의하여 기어 수단(17)을 통해 구동된다. 스크류의 하우징(14)은 도관을 형성하고, 그것을 통하여 재료가 스크류(15)에 의해 제 1 저장소(2)로부터 제 2 저장소(19)로 운반된다. 저장소(19)의 수직 측벽(21)내에 위치한 도관(18)의 입구(20)는 전처리된 재료를 위한 유입 개구를 구성하고, 제 2 저장소(19)내에서 그 수직 축을 중심으로 순환하는 기구(22)의 궤도보다 높게 위치한다. 이러한 기구는 제 1 저장소(2)내에서와 유사하게 디스크(23)상에 장착되어 회전 운동을 위해 모터(26)에 의해 샤프트(25)를 통해 구동되고 저장소(19)의 바닥을 횡단하도록 장착된다. 밀봉재(27)는바닥(24)에 대해 샤프트(25)를 진공 밀봉한다. 또한, 진공하에서 저장소(19)내에서 재료를 가공하기 위하여, 저장소(19)는 진공으로 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진공 장치(28)를 제공하며, 그것의 진공 펌프는 선(29)을 통해 저장소(19)에 연결된다.
막 가공된 재료를 제 2 저장소(19)로부터 방출하기 위하여, 스크류(30)가 이 저장소에 접선방향으로 연결되고, 재료가 기구(22)에 의해 재료에 가해지는 회전 작용에 의해 저장소(19)로부터 개구(32)를 통해 스크류의 하우징(31)내로 압축된다. 저장소(2)에서와 같이, 압입 작용은 기구(22)의 주걱형 작용으로 보조되고, 이를 위해 기구(9, 22) 각각에는 회전 방향(화살표 34)에 대해 상반된 방사 방향에 대하여 각도상 구부러진 작업단(33)이 제공된다. 스크류(30)는 기어 수단(35)을 통하여 모터(36)로 구동된다. 그 하우징(31)의 외부로는 저항 가열 수단(37)이 제공됨으로써 스크류(30)에 의해 운반된 재료가 원하는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스크류(30)의 운반 방향은 화살표(38)로 나타내었다.
입구(20)에 인접한 스크류(15)의 단부에는, 차폐 수단(39)이 도관(18)내에 배치되어, 스크류(15)에 의해 운반된 재료를 가로막음으로써 재료에 가해지는 압력이 차폐 수단(39)의 축 길이 방향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 축 길이는 스크류(15)의 축 길이와 비교하는 경우 짧은 데, 도시된 예에서 그것은 후자의 약 1/8이다. 재료에 가해진 이 증가된 압력은 도관(18)이 신뢰할 수 있게 진공 밀봉이 되게 하고, 그리하여 무슨 이유에서든 제 1 저장소(2)내에서의 진공이 취소되는 경우에 제 2 저장소(19)내의 진공이 변함 없이 유지되게 된다. 이것은 합성 수지 재료의 입자,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가 예를 들어 가열 동안 수분 및 산소에민감한 덩어리의 생산을 위해 가공되는 경우에, 저장소(19)내의 최적 동작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중요하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차폐 수단(39)이 스크류(15)를 형성하는 부재의 유출 단부에 배치된 스크류 회전부(40)로 형성되고, 그러므로 상기 회전부는 스크류(15)와 일체를 이루지만, 나사산 피치의 방향이 스크류(15)의 방향에 반대된다. 그러므로, 스크류(15)가 회전하는 경우, 이러한 스크류 나사산(40)은 재료를 하우징(14)의 개구(13)로, 그리하여 스크류(15)의 운반 방향에 상반되는 방향으로 운반하려 한다. 그러나, 스크류(15)의 보다 큰 축 길이는 차폐 수단(39)의 축 길이와 비교하는 경우, 스크류 회전부(40)의 운반 작용이 스크류(15)의 운반 작용에 의해 극복되지만, 전술한 운반 작용은 차폐 부재(39)의 영역내의 재료에 가해지는 압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추가로 압축된 재료는 스크류 나사산(40)을 따라 도관(18)의 입구(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축되거나, 또는 재료가 스크류 나사산(40)을 지나 압축되며, 이것은 스크류 나사산(40)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15)의 스크류 나사산(52)보다 외부 직경이 작다면 소위 나사산(40)이 "과동작(overrun)"이 된다. 대안적으로, 2종류 모두의 스크류 나사산이 동일한 외부 직경을 갖는다면, 하우징(14)의 내부 직경은 차폐 부재(39)의 영역에서 대응하여 증가되지만, 전술한 변형은 구성상 이유로 바람직하다.
차폐 부재(39)를 형성하는 부재를 스크류와 분리된 부재로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차폐 부재를 고유의 구동 수단, 예를 들어 스크류(15)의 중심을 횡단하는 축 로드(rod)에 의해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중심은 중공 샤프트로서형성된다. 그러나, 차폐 부재(39)가 공통 회전을 위하여, 스크류(15)와 분리되는 것 보다는 스크류(15)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구성상의 노력이 적게 든다. 후자의 변형은 극히 높은 스트레스를 받는 부재를 구성하는 차폐 부재(39)가 특히 수리 또는 교체 목적을 위하여 분리되어 교환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차폐 부재(39)를 둘러 싼 하우징의 일부가 독립 부재(41)(도 3)로 구성되고, 상기 부재는 하우징(41)의 잔여 부분에 탈착가능하지만 견고하게 연결된다. 견고한 연결은 원하는 기밀 밀봉을 위하여 필요하고, 통로(18)내에서 발생한 고압(300bar 이하 및 그 이상)이 연결 위치에서의 누설없이 흡수되어야 하는 이유로 필요하다.
도 3은 도관(18)의 입구에 인접한 차폐 부재(39)의 전단부가 테이퍼 가공된 것을 나타낸다. 이 테이퍼(51)는 일면으로는 차폐 부재(39)의 주변 영역에서 그것을 지나 유동하는 재료의 미량을 수집하고, 타면으로는 외형이 저장소(19)의 측벽(21)의 외형에 순응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것은 소결된 입자가 작은 크기로 유지될 수 있게 하고, 저장소 축을 중심으로 기구에 의해 구동된 플라스틱 매스의 순환 운동이 입구(20) 영역내에서 가능한 한 적게 방해되도록 한다.
도 4에는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차폐 부재(39)는 스크류(15)의 전방 측에 연결된 부재(42)로 형성되고, 상기 부재는 운반된 재료의 유동 방향에 횡단하여 배치되고 둥근 외형을 가진 2개의 리브(43)를 갖고, 상기 리브의 최대 직경은 하우징(14) 또는 그것에 연결된 독립 부재(41)의 내부 직경보다 다소 작다. 또한, 이러한 차폐 부재(39)는 그 외부 주위를 지나 유동하는 합성 플라스틱 재료를 막고 그리하여 재료를 응축함으로써 진공 밀봉이 획득된다. 차폐 부재(39)의 테이퍼(51)는 도 3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스크류(15)의 축 방향을 횡단하여 배치된 하나 이상의 차폐 디스크가 차폐 부재(39)로서 사용되는 추가의 변형예가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의 입구(20)는 저장소(19)내에서 기구(22)의 궤도 위에 공간상 이격하여 배치된다. 그리하여, 도관(18)의 입구를 떠나는 재료 입자가 순환 기구(22)에 의해 방출 스크류(30)의 하우징(31)의 흡입 개구(32)로 즉시 운반됨으로써 입자는 충분히 건조되도록 저장소(19)내에서 충분히 장시간 체류하지 않는다. 반대로, 입구(20)로부터 방출된 입자는 저장소(19)의 측벽(21)을 따라 발생한 재료 유동을 따르고, 저장소의 내부 영역을 향해 운반된다(도 1의 화살표 44). 그러므로, 저장소(19)내에서 입자의 원하는 난류가 발생한다. 또한, 이것은 추가의 순환 기구, 바람직하게는 스트라이킹 부재가 기구 위에 이격하여 배치된다면 증가될 수 있고, 추가의 기구는 수직으로 연장된 샤프트(25)의 신장부에 의해 캐리어 스타(46)를 통해 구동된다.
스크류(15)의 하우징(14) 및/또는 차폐 부재(39)를 수용한 하우징 부재(41)에는 바람직하게는 저항 가열기의 형태의 가열 장치(48)가 제공된다. 그러나, 스크류(15) 및 그 전단에 배치되고 차폐 부재(39)로서 형성된 부재를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들 부재가 높은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스크류의 중심 및 원한다면 부재(42)가 중심 내강(49)(도 3)을 갖고, 그 내부로 냉각선(47)이 연장한다. 냉각은 열전달 코일, 냉각수 및 공기로 수행될 수 있다. 이 냉각 및/또는 가열 장치(48, 37)의 자동 온도 조절 제어기에 의해, 차폐 부재(39)의 스크류(15, 30) 및 이 부재에 의해 운반된 재료의 원하는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 2 저장소(19)의 유출 부분에서의 스크류(30)는 배출 스크류일 수 있고, 그러나 원한다면 재료를 추가 가공 위치 또는 재료가 이용될 위치로 공급하는 단순한 운반 스크류일 수 있다. 적당하게는, 탈기 장치(미도시)가 이 스크류(30)의 하우징(31)내에 제공된다.
스크류(30)의 하우징을 제 2 저장소(19)에 접선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러한 방식에서, 모터(36) 및 재료용 유출 개구를 가진 부재(50)(도 2)가 하우징(31)의 반대 전단부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하우징(31)에 측면으로 배치된 방출 개구가 재료를 일탈로 인해 전력 손실을 초래하는 것을 회피하게 한다. 그러나 물론, 하우징(31)은 원한다면,저장소(19)에 방사상으로 또는 이심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스크류(15)의 하우징(14)을 제 1 저장소(2)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선방향이 아니라 방사상으로 또는 이심적으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20)

  1. 재료용 제 1 저장소를 포함하고, 저장소내에 재료를 분쇄 및/또는 혼합하는 운동가능한 기구가 제공되고, 저장소로부터 가공된 재료가 진공 밀봉 가능한 도관을 통하여 제 2 저장소로 수송되고, 저장소 내부로 진공 장치가 연결되고, 그 내부에 운동가능한 기구가 재료를 가공하기 위해 제공되고, 거기에서 재료가 스크류에 의해 제 2 저장소 외부로 운반되는, 합성 수지 재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를 연속하여 환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스크류(15)가 도관내에 베어링으로 지지되고, 이 스크류의 회전부(52)가 재료를 제 1 저장소(2)로부터 제 2 저장소(19)로 운반하며, 스크류 회전부(52)와 제 2 저장소 사이에 하나 이상의 차폐 부재(39)가 도관(18)내에 제공되어 운반된 재료의 유동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스크류(15)가 밀집화 스크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차페 부재(39)가 스크류 회전부(40)로 구성되고, 그 나사산의 방향이 스크류(15)의 회전부(52)의 방향에 반대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도관(18)의 축방향으로 측정되는 경우, 스크류(15)가 반대로 향하는 회전부(40)보다 길고, 및/또는 스크류(15)의 회전부(52)가 반대로 향하는 회전부보다 깊게 절단되고, 및/또는 차폐 수단(39)의 스크류 회전부(40)가 스크류(15)의 스크류 회전부(52)보다 작은 외부 직경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차폐 부재(39)가 재료의 유동에 대해 횡단면으로, 특히 수직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리브(4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리브(43)가 둥근 외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폐 부재(39)가 공통 회전을 위하여 스크류에 연결된 독립 부재(42)상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폐 부재(39)가 제 2 저장소(19)에 인접한 전단부에 테이퍼(51)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관(18)이 제 2 저장소(19)의 측벽(21)에 이심적으로, 원하는 경우 접선방향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차폐 부재(39)의 테이퍼(51)의 외형이 통로(18)가 연결되는 영역내에서 제 2 저장소(19)의 측벽(21)의 외형을 실질적으로 따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폐 부재(39)가 도관(18)의 자체를 형성하는 하우징 부재(41)내에 배치되고, 하우징 부재가 탈착가능하게, 그러나 견고하게 스크류(15)의 하우징(14)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크류(15)의 회전부(52)의 깊이가 방사방향으로 측정되는 경우, 차폐 부재(39)의 리브(43)의 주변과 도관(18)의 내벽 사이의 간극의 최소 치수보다 큼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저장소(2)가 단단히 밀봉될 수 있고, 진공 장치(6)에 연결될 수 있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저장소 외부로 재료를 운반하는 스크류(30)의 하우징의 흡입 개구(32)가 실질적으로 저장소(19) 내에서 순환하는 기구(22)의 높이 이상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저장소(19)내의도관(18)의 입구(20)가 저장소(19)의 바닥 영역내에서 하나 이상의 수직 축을 중심으로 순환하는 기구(22)의 궤도보다 높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제 2 저장소(19)의 바닥 영역내에서 순환하는 기구(22)에 더하여, 추가의 기구, 바람직하게는 동축으로 배치된, 특히 타출성형 부재가 제공되고, 그 궤도가 저장소(19)의 바닥 영역내에 배치된 기구(22)의 궤도보다 높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추가의 기구(45)의 궤도가 제 2 저장소(19)내의 통로(18)의 입구(20)의 높이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냉각선(47)이 스크류(15) 내부 및/또는 차폐 부재(39) 내부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가열 장치(37, 48), 특히 저항 가열기가 스크류(15) 및/또는 차폐 부재(39)의 하우징 내부 및/또는 하우징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료를 제 2 저장소(19) 외부로 운반하는 스크류(15)의 하우징(31)이 저장소(19)에 접선방향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1-7013582A 1999-04-23 2000-04-06 합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를 연속적으로 재순환시키기 위한 장치 KR100455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724/99 1999-04-23
AT0072499A AT407235B (de) 1999-04-23 1999-04-23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recyclen von kunststoffmaterial, vorzugsweise polyester
PCT/AT2000/000083 WO2000064654A1 (de) 1999-04-23 2000-04-06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recyclen von kunststoffmaterial, vorzugsweise polyes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528A true KR20010109528A (ko) 2001-12-10
KR100455045B1 KR100455045B1 (ko) 2004-11-06

Family

ID=349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3582A KR100455045B1 (ko) 1999-04-23 2000-04-06 합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를 연속적으로 재순환시키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619575B1 (ko)
EP (1) EP1173315B1 (ko)
JP (1) JP3574621B2 (ko)
KR (1) KR100455045B1 (ko)
CN (1) CN1234516C (ko)
AT (2) AT407235B (ko)
AU (1) AU750085B2 (ko)
BR (1) BR0009987B1 (ko)
CA (1) CA2370949C (ko)
DE (1) DE50001495D1 (ko)
WO (1) WO2000064654A1 (ko)
ZA (1) ZA2001105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07972B (de) * 1999-12-02 2001-07-25 Bacher Helmut Vorrichtung zum vorbehandeln und anschliessenden plastifizieren oder agglomerieren von kunststoffen
AT410298B (de) * 2001-06-11 2003-03-25 Bacher Helmut Vorrichtung zur befüllung einer in einem gehäuse gelagerten schnecke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vorrichtung
EP1273412A1 (en) * 2001-07-02 2003-01-08 Magma Trade di Mauro Magni & C.snc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filled thermoplastic polymers
AT411235B (de) 2002-06-05 2003-11-25 Bacher Helmut Vorrichtung zur aufbereitung von thermoplastischem kunststoffmaterial
AT411038B (de) * 2002-06-10 2003-09-25 Bacher Helmut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kunststoffgut
AT413512B (de) * 2003-06-05 2006-03-15 Helmut Bacher Vorrichtung zur aufbereitung von kunststoffmaterial zu recyclingzwecken
AT413511B (de) * 2003-06-05 2006-03-15 Bacher Helmut Vorrichtung zur aufbereitung von kunststoffmaterial zu recyclingzwecken
AT413673B (de) * 2004-07-16 2006-04-15 Erema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fbereitung von thermoplastischem, zu recycelndem kunststoffmaterial
AT505462B1 (de) 2006-11-13 2010-10-15 Erema Verfahren zur vorbehandlung, aufarbeitung bzw. recyclierung von thermoplastischem kunststoffmaterial
AT504709B1 (de) * 2006-11-23 2008-09-15 Erem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inbringung von zusatzstoffen
AT506658B1 (de) * 2008-03-31 2015-02-15 Erema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füllten polymermaterials
AT508100A2 (de) 2009-03-30 2010-10-15 Erema Neutralisierung durch füllstoff
AT508951B1 (de) 2009-04-17 2012-03-15 Erema Verfahren und anordnung zur recyclierung von kunststoff
AT508925B1 (de) * 2010-01-14 2011-05-15 Erema Läuferscheibe
AT511362B1 (de) 2010-04-14 2014-01-15 Erema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on kunststoffmaterial
AT512148B1 (de) 2011-10-14 2015-02-15 Erema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on kunststoffmaterial
AT512212B1 (de) * 2011-10-14 2015-02-15 Erema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on kunststoffmaterial
AT512222B1 (de) 2011-10-14 2015-02-15 Erema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on kunststoffmaterial
AT512208B1 (de) * 2011-10-14 2015-02-15 Erema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on kunststoffmaterial
AT512149B1 (de) * 2011-10-14 2015-02-15 Erema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on kunststoffmaterial
AT512223B1 (de) * 2011-10-14 2015-02-15 Erema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on kunststoffmaterial
AT512145B1 (de) * 2011-10-14 2015-02-15 Erema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on kunststoffmaterial
AT512205B1 (de) * 2011-10-14 2015-02-15 Erema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on kunststoffmaterial
AT512146B1 (de) * 2011-10-14 2015-02-15 Erema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on kunststoffmaterial
AT512209B1 (de) * 2011-10-14 2015-02-15 Erema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on kunststoffmaterial
AT512207B1 (de) * 2011-10-14 2015-02-15 Erema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on kunststoffmaterial
CN107812566B (zh) * 2017-10-17 2019-04-09 浙江光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饱和聚酯树脂的片料破碎机
EP4070928A1 (en) * 2021-04-06 2022-10-12 I.C.M.A. San Giorgio Industria Costruzioni Macchine E Affini S.p.A. Apparatus for loading fragments of thermoplastic film in an extruder, particularly for recycling thermoplastic materi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9882A (en) * 1962-07-18 1966-03-15 Sterling Extruder Corp Dispersion head for extruder
JPS5330673A (en) * 1976-09-03 1978-03-23 Meiki Seisakusho Kk Process for regenerating scraps of thermosetting resin
DE7723387U1 (de) * 1977-07-27 1977-11-03 Engelbrecht & Lemmerbrock, 4520 Melle Schlagmuehle
GB2256830A (en) * 1991-01-23 1992-12-23 Phillip Arthur Hadley "recycling of scrap material"
AT396900B (de) * 1992-03-19 1993-12-27 Erema Vorrichtung zum vorbehandeln von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AT398772B (de) * 1992-04-30 1995-01-25 Erem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cycling von begastem kunststoff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542081A (ja) 2002-12-10
EP1173315A1 (de) 2002-01-23
CA2370949A1 (en) 2000-11-02
AT407235B (de) 2001-01-25
CN1349450A (zh) 2002-05-15
DE50001495D1 (de) 2003-04-24
JP3574621B2 (ja) 2004-10-06
BR0009987A (pt) 2002-01-22
EP1173315B1 (de) 2003-03-19
ZA200110561B (en) 2002-10-30
ATE234712T1 (de) 2003-04-15
AU3944800A (en) 2000-11-10
AU750085B2 (en) 2002-07-11
KR100455045B1 (ko) 2004-11-06
ATA72499A (de) 2000-06-15
CA2370949C (en) 2004-08-17
WO2000064654A1 (de) 2000-11-02
BR0009987B1 (pt) 2010-04-06
US6619575B1 (en) 2003-09-16
CN1234516C (zh) 2006-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5045B1 (ko) 합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를 연속적으로 재순환시키기 위한 장치
KR0134507B1 (ko) 열가소성 합성 플라스틱 재료의 가소화 장치
KR100657078B1 (ko) 열가소성 물질의 처리 장치
US7275703B2 (en) Method for processing synthetic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recycling
US4460277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synthetic thermoplastic material
CA2449253C (en) Device for charging a screw lodged in a housing and method for operating a device of this type
CA2524331C (en) Device for preparation of plastic materials for recycling purposes
US20030147764A1 (en) Screw vacuum pump with a coolant circuit
US5102326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synthetic plastics material
CA2744983C (en) Apparatus for granulating hot cut
JP2750954B2 (ja) 熱可塑性合成プラスチック材料処理装置
KR19980703772A (ko) 열가소성 재료 제조 장치
US6196711B1 (en) Machine for continuous processing of flowable materials
JP7355917B2 (ja) 溶融性ポリマーの増粘調製用押出機
US6551090B2 (en) Apparatus for the agglomeration of feed material with thermoplastic properties
KR0133196B1 (ko) 합성 플라스틱 재료의 과립화 장치
KR19990008275A (ko) 원추형 리본피더가 있는 디스크 정제기
TW483814B (en) An apparatus for continuously recycling of synthetic plastics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