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8862A - 의료행위의 일률적인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료행위의 일률적인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8862A
KR20010108862A KR1020000029834A KR20000029834A KR20010108862A KR 20010108862 A KR20010108862 A KR 20010108862A KR 1020000029834 A KR1020000029834 A KR 1020000029834A KR 20000029834 A KR20000029834 A KR 20000029834A KR 20010108862 A KR20010108862 A KR 20010108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y
hospital
hospitals
patient
pharmac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9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희
박병기
Original Assignee
김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희 filed Critical 김광희
Priority to KR1020000029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8862A/ko
Publication of KR20010108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886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진료에 대한 일률적인 처리방안으로 진료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진료 처방 조제 수급에 관한 처리 방법이다.
제 1 단계 소비자가 약국을 이용하면 약국의 약사가 약국 내 컴퓨터를 가동한다
제 2 단계 컴퓨터는 병원 즉 환자를 진료하고 있지 않은 병원으로 연결되며 화상으로 병원의 의사는 약국의 환자를 진료한다
제 3 단계 진료를 한 의사는 환자에 증상에 따라 처방하며 이 처방은 환자가 있는 약국으로 컴퓨터를 통하여 내려진다
제 4 단계 내려진 처방을 통하여 약사가 환자에게 약을 조제하여 준다

Description

의료행위의 일률적인 처리 시스템{.}
컴퓨터를 통한 의료행위의 일관성을 부여하며 환자들이 약국 병원 등을 여러 번 움직이지 않고 진료와 약에 대한 수급을 한번으로 마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며 복잡한 여러 단계의 의료 행위를 단순화할 뿐 아니라, 의사의 진료를 약국에서 받고 그 즉시 약국에서 의사의 진료에 대한 처방전을 받아 약사가 약을 제조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병은 일괄된 의료행위에 대한 처리 방안이며 보다 단순하면서 환자, 의사, 약사 제약 회사 등 비용절감 및 유통구조 개선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는 모델이다
종래의 구조는 약을 약국이나 병원에서 아니면 환자가 스스로 약을 선택하고 약사가 조제할 수 있었으나 약물의 오 남용으로 진료와 처방이 분리가 된다. 이에 대해 제시된 방안에서는 환자가 의료행위를 받고 약을 수급하는 데까지 병원에서 1접수 2 진찰 3 원무과 수납 4 원내 처방전 5 약 구입 6 원외처방의사확인 7 약국약제구입 8 주사료 수납 9 병원에서 주사 10 귀가 등의 10 단계를 거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
이에 환자가 여러 번 움직이고, 유사 약제가 많은 한국의 실정에 따라 의사가 처방해준 약제가 약국에 없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여러 약국들이 가지고 있는 제약사들의 제약목록을 데이터 베이스화 시키고, 약국과 병원을 네트워크, 제약사와 약국을 전산화시켜서 약국에 오는 환자나 소비자가 병원에 가지 안더라도 약국에서 진료 할 수 있게 하여 온 국민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제약회사의 약품목록과 약국의 보유약제를 데이터 베이스화하고, 병원에서는 처방에 맞는 약을 구비하고 있는 약국의 약제를 확인할 수 있고, 원하는 약국의 구비약제를 확인할 수 있는, 처방전을 전송할 수 있는, 제약사와 약국-약국과 병원의 상거래 시스템과 약국이 병원을 병원이 약국을 지정할 수 있는, 약국과 병원의 진료-약제비-의료수가를 산출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하며,병원의 의사들끼리 정보를 교환하고,약국의 약사들이 항상 시스템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Networking Service를 이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강화한다. 마지막으로 화상진료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도면 1 은 실선과 점선의 정의를 표기한다.
도면 2 은 병원, 약국, 제약회사, 고객, 그리고 관리시스템의 일반적인 개념도이다.
도면 3 은 도면 2 의 광역 중앙 관리방식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면 4 는 도면 2 의 지역별 중앙 관리방식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면 5 는 의료 행위시 시스템 이용의 처리 순서도이다
도면 6 는 관리 시스템의 처리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위해서 1 단계 약국군을 지정하고 2 단계 병원군을 지정 3 단계 제약회사군을 지정한다
약국군과 병원군은 네트워크와 화상진료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어야 하며 약국과 제약회사도 네트워크가 되어야 한다. 병원 약국 제약사는 각각 허가된 경로가 있어야 되며 대상은 전체 약국과 전체병원 전체 제약사로 한다
약국쪽에서는 개인 병원을 , 병원(종합병원포함 전체병원)에서는 그 지역약국을 대상으로 하며, 필요시에는 경계를 넘을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며 유통개선과 물류비에도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의약분업의 부작용과 서로의 입장에서 나타나는 극도의 대치상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의 의미도 가진다.
#구체적인 설명 1(시나리오 1)-약국으로 갈 경우
환자(A)가 약국을 방문하여 약사(B)에 접수를 하면 B 는 A 에게 맞는 의료분과(예-내과)에 시스템을 통해 접속을 시도한다. 이때 접속은 컴퓨터를 이용하며 엔터를 치면 바로 접속이 되며 환자를 진료하고 있지 않은 병원으로 접속이 된다 병원의 컴퓨터 모니터에 신호가 울리거나 환자대기를 알리는 표시가 나오면 환자가있는 약국과 연결이 된다. 컴퓨터 화상에는 환자의 얼굴과 증세를 묻고 답하는 창 이외에 환자가 있는 약국의 의약품목록이 있게 하여 의사가 처방에 도움을 줄 수 있게 한다 의사(C)는 각 병원에 많이 있지만 시간적,공간적,시스템적으로 접속 가능한 C 가 화상진료를 접수하고 진료를 통해 처방전을 시스템을 통해 약국으로 전송한다. 처방전을 전송 받은 B 는 처방전에 맞는 약을 A 에게 제공하고 진료비와 약제비, 세금 그리고 의료수가, 보험적용 등을 산출한 금액을 시스템에서 제공받아 이를 A 에게 확인하게 한 다. 약국에서는 진료비까지 받고 후에 병원에 진료비를 제공한다 이 또한 컴퓨터에 처방전과 함께 기록이 남는다. A 는 약과 청구서를 확인하고 대금을 치루고 귀가를 한다. A 는 무조건 병원을 가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만약에 처방전에 주사의 필요성을 처방하면 예약된 시간에 A 는 약을 가지고 병원으로 가서 주사료를 납부하고 주사를 맞는다. 필요 시 약국으로 주사제를 주문하여 병원에서 주사를 맞고 입원, 귀가를 결정한다.
#구체적인 설명 2(시나리오 2)병원으로 갈 경우
A 가 병원을 방문하여 C 에게 진료를 받고 원내수납과 원내처방약제를 구입하고, 원외처방 의사 확인 시 C 는 A 가 원하거나 주소지에 가까운 약국으로 처방전을 전송하고 A 는 약국에서 약을 구입하여 귀가한다. 혹은 A 가 처방전을 가지고 직접 약국을 방문하면 B 는 A 가 제시한 처방전과 시스템을 통해 C 의 처방을 확인한 다음 약을 제공한다. 만약에 주사가 필요하면 주사료를 병원에서 바로 납부하고 주사를 맞는다. 또한 원외 약과 주사제가 필요하면 시스템을 통해 약국으로 주문을 하여 C 가 A 에게 바로 제공하여 A 가 병원에서 약국을 가지 않고 병원에서 모든서비스를 받고 입원, 귀가를 결정한다. A 는 병원과 약국을 번갈아 다닐 필요가 없다.
#구체적인 설명 3(시나리오 3)약국과 제약사, 그리고 병원의 관계
약국의 보유약제 목록과 제약사의 약제 목록을 시스템에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약국에서는 각 제약사의 목록을 확인하여 필요 약제를 주문할 수 있다. 병원에서는 접속된 약국과 환자가 원하거나 필요한 약국의 약품 목록을 확인하여 처방을 할 수 있으며 필요한 약제를 가장 가까운, 거래하는 약국에 주문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약국에서 환자에게 받은 진료비를 약제비, 진료비, 세금 그리고 의료수가-의료보험적용 등의 산출 의료비를 시스템이 정리하여 약국과 병원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병원에서도 원외약제 사용시 환자에게 받은 의료비를 위와 같이 산출하여 약국과 병원에서 동시에 확인 할 수 있다. 약국과 병원에 맞게 의료수가의 산출을 정리하여 약국과 병원이 각각 자기의 권리를 청구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병원에서 제공한 처방전과 약국의 처방을 저장하여 병원과 약국의 의료비 분할과 의료수가 산출의 증거와 세금적용의 근거로 삼는다.
마지막으로, 의사의 시스템 진입 경로에는 Networking Service 접속창을 허가하여 각국, 타병원의 의사들과 의료정보를 교환하고 공유할 수 있게 한다.
1. 환자가 진료를 위한 접수에서 귀가까지의 과정이 짧고 간단하며, 약국과 병원사이에서 발생하는 금전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2. 약국과 제약사, 약국과 병원간에 전자상거래 즉, 주문 배달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써 환자를 비롯한 모든 구성원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3. 구축된 의료 시스템 안에서 인터넷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4. 약국은 약제판매권을 확보할 수 있고, 병원은 약국에서 그치는 환자를 병원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지역의 대규모의 병원으로부터 자생력을 확보할 수 있다.
5. 제약사와 병원, 제약사와 약국간의 중간 유통과 불건전한 거래를 막을 수 있다.
6. 의약분업이라는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7. 처방전과 처방내용을 저장하여 세금내역을 산출하고 탈세를 막을 수 있다.

Claims (1)

  1. (고객의 입장)
    1. 고객이 최초 약국 방문 시 진료 가능한 병원을 자동 지정을 받았을 경우
    2. 병원에서 이미 처방을 받은 고객이 임의의 약국을 방문하여 처방 받은 병원을 지정할 경우
    3. 고객이 평소 이용하는 병원을 지정하는 경우
    4. 고객이 병원을 방문하여 처방을 받고 평소에 이용하는 약국을 지정하는 경우
    5. 고객이 병원을 방문하여 처방을 받고 고객이 원하는 위치의 임의의 약국을 지정해주는 경우
    6. 고객이 원하는 약품목록이 있는 약국으로 지정하는 경우
    7. 고객이 약국을 방문하지 않고 병원으로 바로 갔을 경우에 병원에서 가까운 약국으로 처방을 주어 환자 대신 임의의 사람이 약국에 방문하여 약을 받을 경우
    (약국과 제약사의 입장)
    1. 제약사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약품의 주문 배달등과 같은 전자상거래 시스템
    2. 제약사에서 거래약국의 재고를 파악하여 주문의뢰를 할 수 있는 시스템
    3. 병원과의 연계시 의료비 산출 프로그램 (약국의 경우)
    4. 고객이 병원 지정 시 즉시 연결 되지 않을 경우 예약서비스 프로그램 (약국의 경우)
    5. 병원의 처방을 받고 약을 병원으로 배달하는 체계(약국의 경우)
    ( 병원의 입장)
    1. 접속된 고객의 대기를 알려주는 신호체계
    2.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화상 진료 시 모니터 안에 환자가 있는 약국의 약품목록을 나타나게 해주는 방안
    3. 상기 2 안에 있어 처방전을 보관하는 프로그램 후에 확인 을 할 수 있도록
    4. 고객이 직접 방문 했을 시 고객이 원하는 약국에 약품목록을 보여주는 프로그램
    5. 약국에서 원하는, 병원에서 필요한 처방을 약국으로 전송하는 시스템
    6. 병원의 의사들끼리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Networking Service 시스템을 구축한다.
    시스템부분
    1. 위 경우를 구현하는 약국과 병원을 연결시키는 화상진료 시스템
    2. 중앙시스템에서 전체 병원 약국 고객 제약사 등을 경계를 두지 않고 가입된 전체를 일괄적으로 관리 하는 시스템
    (도면 3)
    3. 병원군, 약국군을 지정 하여 약국에서는 지역의 개인 병원을, 종합병원을포함한 전체의 병원은 그 지역 약국을 대상으로 일방향으로 관리 하고 고객 의 요청 시 에는 범위의 경계를 넘을 수 있다
    (도면 4)
    4. 위 청구 범위를 이용하여 제약사에서 제공하는 약품의 데이터 베이스와 약국에서 제공하는 구비 약품목록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병원의 처방에 따라 고객에게 진료에 대한 행위를 일원화 시키는 시스템
    5. 의료비를 진료비,약제비, 세금 그리고, 의료수가 - 의료 보험 적용 산출하여 각 개체간에 분쟁을 해결하고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
KR1020000029834A 2000-05-31 2000-05-31 의료행위의 일률적인 처리 시스템 KR200101088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834A KR20010108862A (ko) 2000-05-31 2000-05-31 의료행위의 일률적인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834A KR20010108862A (ko) 2000-05-31 2000-05-31 의료행위의 일률적인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862A true KR20010108862A (ko) 2001-12-08

Family

ID=45855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834A KR20010108862A (ko) 2000-05-31 2000-05-31 의료행위의 일률적인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88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4220B2 (ja) 競争的処方薬および/または入札サービス提供者の選択方法
US8560338B2 (en) Method for competitive prescription drug and/or bidding service provider selection
US20030074234A1 (en) Customer-centered pharmaceutical product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JP2003530650A (ja) インターネットを基盤とした拡張電子処方システム及びその実行方法
US8781857B2 (en) Method for competitive prescription drug and/or bidding service provider selection
US8447628B2 (en) Method for competitive prescription drug and/or bidding service provider selection
KR102274492B1 (ko) 의약품 영업사원 온라인 매칭시스템
KR100425275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처방전 송달 방법과 시스템
Schafheutle et al. Non‐dispensing of NHS prescriptions in community pharmacies
KR20000049673A (ko) 인터넷 화상 진료를 통한 홈페이지 전자 처방전 발급 방식
JP2001357131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を介して漢方薬の処方を提供する方法
KR20010108862A (ko) 의료행위의 일률적인 처리 시스템
KR100441592B1 (ko) 온라인을 이용한 전자처방 시스템 및 전자처방 방법
KR20010104050A (ko) 인터넷 가상 종합병원 시스템
KR100433720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
EP1528500A1 (en) Electronic prescription system and method
US20060277062A1 (en) Preventive healthcare and prescription medication incentive compliance system and method
JP2023149761A (ja) 処方箋薬剤の服薬管理及び療養管理のビジネスモデル
CA2381727A1 (en) Customer-centered pharmaceutical product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KR20010102594A (ko) 인터넷을 이용한 의료업무 처리방법
WO2023199192A1 (en) Health management platform using blockchain healthcare record empowering connected healthcare ecosystem with tokenization
KR101183984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 진료 및 조제 처방 관리 시스템 및그 방법
KR20120028356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 진료 및 조제 처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Berube Military intervention: new National Defence drug benefit program pays pharmacists for cognitive services
Kerekovic Home but not alone.-Developments in pharmacy health care and consultant pharma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226

Effective date: 20030830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227

Effective date: 2004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