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7419A - 견운모 또는 황토를 사용한 악취 공해 고속 탈취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견운모 또는 황토를 사용한 악취 공해 고속 탈취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7419A
KR20010107419A KR1020000028941A KR20000028941A KR20010107419A KR 20010107419 A KR20010107419 A KR 20010107419A KR 1020000028941 A KR1020000028941 A KR 1020000028941A KR 20000028941 A KR20000028941 A KR 20000028941A KR 20010107419 A KR20010107419 A KR 20010107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ant
loess
odor
ocher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택
하재관
Original Assignee
신현택
박준일
하재관
대한민국(경상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택, 박준일, 하재관, 대한민국(경상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장) filed Critical 신현택
Priority to KR1020000028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7419A/ko
Publication of KR20010107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741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견운모 또는 황토와 포틀랜드 시멘트에 금속 발포제를 첨가해 발포시키고 상압 증기 양생법으로 얻은 경화체를 조분쇄하여 악취 공해 고속 탈취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탈취제는 가정의 실내, 하수구, 축사 내의 암모니아 등의 악취 제거에 효과적이다. 또한 식품 공장 및 공사장 악취 처리장의 악취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견운모 또는 황토를 사용한 악취 공해 고속 탈취제의 제조 방법 {PROCESS OF THE PREPARATION OF HIGH-RATE DEODORANT FOR IMPROVED REMOVAL OF MALODOROUS MATERIALS AND POLLUTANTS CONTAINING SERICITE OR LOESS}
본 발명은 견운모 또는 황토를 사용한 악취 공해 고속 탈취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강한 악취 흡착력을 갖는 견운모 또는 황토에 발포 경화체로 포틀랜드 시멘트, 발포제로 금속 분말을 이용하여 제조한 악취 공해 고속 탈취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과 산업 현장에서의 악취 공해는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악취 물질은 원천적으로 미량이며, 그 중에는 흡착되기 쉬운 것들이 많다. 이러한 악취 물질의 제거법으로는 산화 분해법, 생물학적 분해법, 중화 마스킹법 및 흡착 탈취법 등이 있으며, 흡착 탈취제로는 활성탄, 실리카겔 및 제오라이트 등이 사용되고 있다.
악취는 대기 환경 보존법 내에 대기오염 공정 시험 방법으로서 관보에 나타나 있다.
견운모는 미세한 백운모족의 광물로서 견사 광택이 있고, 일반적으로 칼리와알루미나는 적고 실리카는 약간 많으며,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탈취력이 우수하다.
황토는 그 자체로서 원적외선 복사, 습도 조절 효과, 축열성, 방균·항균 효과 및 탈취력이 우수하다. 그러나, 분말 상태에서는 악취와의 접촉 면적이 좁고, 흡착력이 약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금까지 사용되지 않은 새로운 합성 재료를 이용하여 기존 재료보다 우수한 성능의 악취 공해 탈취제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견운모 또는 황토를 사용하였으며, 악취의 흡착 면적이 극대화 되도록 발포시켜 미세한 다공성의 경량 재료로 이루어진 악취 공해 고속 탈취제를 제조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강한 악취 흡착력을 갖는 견운모 또는 황토에 발포 경화체로 포틀랜드 시멘트, 발포제로 금속 분말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악취 공해를 속성으로 탈취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탈취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견운모 또는 황토에 포틀랜드 시멘트와 금속 발포제를 첨가하여 발포시키고, 상압 양생시킨 경화체를 조분쇄하여서 되는 악취 공해 고속 탈취제를 제조하는 방법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화학 조성을 갖는 탈취성이 뛰어난 견운모 또는 황토 80 내지 90를 먼저 비표면적 2,000 내지 9,000 ㎠/g 의 미세한 분말로 만든다.
표 1. 견운모, 황토 및 포틀랜드 시멘트의 화학 성분표
SiO2 Al2O3 Fe2O3 CaO MgO TiO2 K2O Na2O SO3 1g손실분 불용성물질 기타
견운모 67.41 16.84 1.01 0.97 2.10 0.22 6.60 0.13 4.72
황 토 62.53 19.70 4.38 3.62 2.60 0.42 3.85 2.90
시멘트 22.34 5.25 3.52 63.23 1.37 1.05 2.25 0.52 0.47
미분쇄한 견운모 또는 황토 분말에 발포 경화체로서 포틀랜드 시멘트 10 내지 20와 발포제로서 알루미늄 분말을 전체 무게의 0.1로 첨가하여 30 내지 60분 동안 발포시킨다. 이 방법에 의하면, 분말 상태의 분체보다는 다공성 상태일 때 탈취력이 더욱 우수해지므로 발포제로 발포시켜 최대한 흡착 접촉 면적을 확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발포 단계 후에 상압하에서 90℃에서 6 내지 12시간 동안 수증기로 양생 경화시킨다. 얻어진 경화체를 0.5 내지 10 mm의 크기로 조분쇄하게 되면, 본 발명의 견운모 또는 황토를 원료로 하는 악취 공해 고속 탈취제가 얻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견운모 또는 황토 탈취제는 벌집 모양보다 작은 미세한 다공체로서 다양한 형상의 모세공을 갖는 친수성 흡착제이다. 또한, 비표면적이 매우 크고 악취 흡착 능력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비표면적 2000 ㎠/g인 견운모 미분말 450 g과 포틀랜드 시멘트 50 g을 혼합기에 넣고 60℃의 온수 250 ml과 알루미늄 분말 0.5 g을 가하여 혼합하였다. 이를60℃의 습기함에서 30 분간 발포 응결시킨 뒤, 다시 90℃에서 6시간 동안 상압 양생하여 다공성 경화체를 얻었다. 이를 조분쇄한 후 520 g의 악취 공해 고속 탈취제를 얻었다. 다공성 경화체의 부피 비중은 0.5, 압축 강도는 10 kg/㎠ 이상, 입자 크기는 5 mm 이하이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탈취제를 이용하여 암모니아를 2시간 동안 탈취한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비표면적 9000 ㎠/gr인 견운모 미분말 400 g과 포틀랜드 시멘트 100 g을 혼합기에 넣고 60℃의 온수 250 ml과 알루미늄 분말 0.5 g을 가하여 혼합하였다. 이를 60℃의 습기함에서 30분간 발포 응결한 후, 90℃에서 6시간 동안 상압 양생하여 다공성 경화체를 얻었다. 이를 조분쇄한 후, 520 g의 악취 공해 고속 탈취제를 얻었다. 다공성 경화체의 부피 비중은 0.5, 압축 강도는 30 ㎏/㎠ 이상, 입자 크기는 5 mm 이하이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탈취제를 이용하여 암모니아를 2시간 동안 탈취한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비표면적 2000 ㎠/g의 황토 미분말 450 g과 포틀랜드 시멘트 50 g을 혼합기에 넣고 60℃의 온수 250 ml과 알루미늄 분말 0.5 g을 가하여 혼합하였다. 이를 60℃의 습기함에서 30분간 발포 응결한 후, 90℃에서 6시간 동안 상압 양생하여 다공성 경화체를 얻었다. 이를 조분쇄한 후 520 g의 악취 공해 고속 탈취제를 얻었다. 경화체의 부피 비중은 0.5, 압축 강도는 10 ㎏/㎠ 이상, 입자 크기는 5 mm이었다.
실시예 4
비표면적 9000 ㎠/g의 황토 미분말 400 g과 포틀랜드 시멘트 100 g을 혼합기에 넣고 60℃의 온수 250 ml과 알루미늄 분말 1.0 g을 가하여 혼합하였다. 이를 60 ℃의 습기함에서 1시간 동안 발포 응결후, 90℃에서 12시간 동안 상압 양생하여 다공성 경화체를 얻었다. 이를 조분쇄한 후 520 g의 악취 공해 고속 탈취제를 얻었다. 경화체의 부피 비중은 0.52, 압축 강도는 12 ㎏/㎠ 이상, 입자 크기는 5 mm이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탈취제를 이용하여 암모니아를 2시간 동안 탈취한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견운모 및 황토 탈취제의 암모니아의 탈취율은 2시간 후에 각각 98, 96에 달하며, 시험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고속 탈취제의 품질 분석표
시험항목 경과시간(분) 공시험 농도 (ppm) 시료 농도(ppm) 탈취제()
초기 500 500 -
실시예 1 60 480 40 92
120 450 10 98
실시예 2 60 480 40 92
120 450 20 96
실시예 3 60 480 30 94
120 450 20 96
실시예 4 60 480 40 92
120 450 10 98
상기 표 2로부터 탈취제로서 견운모 또는 황토를 사용한 경우의 실시예 1 내지 4에서 암모니아 탈취 2시간 후에 각가 98%, 96%, 96%, 98에 달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탈취제는 가정의 실내, 하수구, 축사 내의 암모니아 등의 악취 제거에 효과적이다. 또한 식품 공장의 공사장 악취 처리장의 악취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Claims (3)

  1. 비표면적이 2,000 내지 9,000 ㎠/g 인 견운모 또는 황토에, 발포 경화체로서 포틀랜드 시멘트와 금속 발포제로서 알루미늄 분말을 0.1 내지 0.2로 첨가하여 발포 응결시키고, 이어서, 양생시킨 경화체를 0.5 내지 10 mm로 조분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견운모 또는 황토를 사용한 악취 공해 고속 탈취제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단계는 상기 견운모 또는 황토 분말에 60℃의 온수와 알루미늄 분말를 첨가하여 혼합한 뒤, 60℃의 습기함에서 30 내지 60분간 발포 응결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견운모 또는 황토를 사용한 악취 공해 고속 탈취제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 단계는 90℃에서 6시간 동안 상압 양생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견운모 또는 황토를 사용한 악취 공해 고속 탈취제의 제조 방법.
KR1020000028941A 2000-05-29 2000-05-29 견운모 또는 황토를 사용한 악취 공해 고속 탈취제의 제조방법 KR200101074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941A KR20010107419A (ko) 2000-05-29 2000-05-29 견운모 또는 황토를 사용한 악취 공해 고속 탈취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941A KR20010107419A (ko) 2000-05-29 2000-05-29 견운모 또는 황토를 사용한 악취 공해 고속 탈취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419A true KR20010107419A (ko) 2001-12-07

Family

ID=19670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941A KR20010107419A (ko) 2000-05-29 2000-05-29 견운모 또는 황토를 사용한 악취 공해 고속 탈취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74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505B1 (ko) * 2012-08-03 2014-03-13 박가원 황토를 주재로 한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374A (ko) * 1999-10-16 2000-01-15 고연종 황토 함유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75797Y1 (ko) * 1999-10-11 2000-03-15 김완겸 황토를 이용한 탈취제
KR100296975B1 (ko) * 1998-12-21 2001-10-29 전영관 식물재배용 인공토양 탈취제 및 조성물
KR100328610B1 (ko) * 1999-07-03 2002-03-14 박영호 맥반석 황토 벽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6975B1 (ko) * 1998-12-21 2001-10-29 전영관 식물재배용 인공토양 탈취제 및 조성물
KR100328610B1 (ko) * 1999-07-03 2002-03-14 박영호 맥반석 황토 벽돌의 제조방법
KR200175797Y1 (ko) * 1999-10-11 2000-03-15 김완겸 황토를 이용한 탈취제
KR20000000374A (ko) * 1999-10-16 2000-01-15 고연종 황토 함유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505B1 (ko) * 2012-08-03 2014-03-13 박가원 황토를 주재로 한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7233A (en) Deodorizing composition for ash trays
KR20190096466A (ko) 간수를 이용한 비소제거용 무소성 담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462483B1 (ko) 견운모 탈취제의 제조방법
CN104888703A (zh) 一种添加芬多精精油的改性淤泥活性炭吸附剂
KR101754266B1 (ko) 규조토를 이용한 항균성 탈취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
KR101654547B1 (ko) 천연광물을 포함하는 탈취, 제습 및 항균 효과가 있는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0107419A (ko) 견운모 또는 황토를 사용한 악취 공해 고속 탈취제의 제조방법
KR20190138024A (ko)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9910B1 (ko) 폐석탄재를 이용한 복합 탈취제 제조방법
KR20180060069A (ko) 고형 방향제 및 그 제조방법
JP4662613B2 (ja) 多孔質粉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KR100969639B1 (ko) 고온 작동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악취 흡착제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KR100879178B1 (ko) 탈취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33848B1 (ko)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을 주재로 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JP2006272047A (ja) アルデヒドガス吸着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19600B1 (ko) 대기오염물질 처리용 흡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46213A (ko) 바이오세라믹함유 도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50264B1 (ko) 정수 슬러지를 이용한 흡착제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흡착제
JPH0365239A (ja) 脱臭剤
KR101274581B1 (ko) 세리사이트 성분을 함유하는 액상탈취제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액상탈취제
KR19990078625A (ko) 유해가스의흡착분해능력이우수한수지조성물및이를이용한온냉방공조기의송풍휀구조물
KR100727549B1 (ko) 탈취제
KR102216584B1 (ko) 친환경 규조토 트레이 및 그 제조방법
KR101009480B1 (ko) 촉매 탈취제 및 이를 이용한 촉매형 탈취블럭
JP4571883B2 (ja) 含塩有機物を用いた蒸気吸放出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