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8610B1 - 맥반석 황토 벽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맥반석 황토 벽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8610B1
KR100328610B1 KR1019990026738A KR19990026738A KR100328610B1 KR 100328610 B1 KR100328610 B1 KR 100328610B1 KR 1019990026738 A KR1019990026738 A KR 1019990026738A KR 19990026738 A KR19990026738 A KR 19990026738A KR 100328610 B1 KR100328610 B1 KR 100328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van
mortar
ocher
cement
br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6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3339A (ko
Inventor
박영호
Original Assignee
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호 filed Critical 박영호
Priority to KR1019990026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8610B1/ko
Publication of KR19990073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6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41Aluminium silicates other than 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071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making use of a rise in press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loor Finish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맥반석 황토벽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국내는 물론 이미 일본에서도 호평을 받고있는 청양 삼성광산에서 생산한 청양 맥반석, 황토 및 백시멘트를 3 : 6 : 1 로 혼합하한 몰탈을 스팀으로 1 ~ 2시간 가열하여 벽돌등이 제조되며 인공화학성분을 전혀 첨가하지 않은 청양 맥반석과 황토흙, 백시멘트를 사용한 것으로서, 원적외선 방사율이 강하여, 기가 옥보다 세며, 탈취, 향균성이 우수하고, 벌레의 서식이 없으며, 열전도, 내구성이 강하고, 습도 및 온도조절기능이 월등한 효과가 있는 맥반석 황토벽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맥반석 황토 벽돌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t for block}
본 발명은 맥반석 황토벽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국내는 물론 이미 일본에서도 호평을 받고있는 청양 삼성광산에서 생산한 흑, 백운모를 황토와 적절하게 혼합하여 만든 맥반석 황토벽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사회활동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숙면을 취하지 못하고 불면과, 불편, 긴장의 연속인 상태로 생활하여 건강을 서서히 해치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사용해오던 생활방식에서 탈피하고자 시멘트바닥의 단점과 불편을 제거하고 전통 한국식 온돌의 효과를 갖도록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국내특허공보 공고번호 제97-1067호에 도자기 등의 세라믹 재의 표면을 처리해 주기 위한 세라믹 용기 처리용 유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국내특허공보 공고번호 제97-10301호에 맥반석을 주원료로 하는 원적외선 발생방사 특성이 강한 원적외선 발생방사 세라믹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국내특허공보 공개번호 제95-23626호는 맥반석과 시멘트를 3.2 : 1로 포함하는 몰탈 조성물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92-655호 및 97-5872호에 맥반석과 운모 및 자력을 주재료로 한 온돌 자장조성물 및 건축자재의 제조방법이 공개되어 있고,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93-19580호에 게르마늄광물이 함유된 천연의 무기질 광물 견운모 광석 및 맥반석 광물에 시멘트를 배합 정제가공 조립식 보온온돌 패널이 기재되어 있는바,
상기 종래의 기술들은 미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하며, 황토향기가 없거나 매우 적어 신진대사의 촉진 및 찜질의 효과가 적은 문제점이 있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맥반석을 사용한 몰탈을 이용하여 기존 황토벽돌이나, 시멘트벽돌보다 내구성이 강하며, 일체의 화학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며, 원적외선의 방사 량이 높고, 탈취, 대장균등 각종 균으로부터 항균성이 뛰어나고, 종래의 황토 벽돌이나 일반 시멘트보다 2-4배 이상의 열전도효과를 가지며, 맥반석의 특성상 습, 온도의 조절작용이 원활하여 쾌적한 실내 분위기를 항시 유지시켜주며, 일반 주거용 은 물론 노약자의 건강유지에 큰 효과가 있고, 냄새의 탈취나 온, 습도조절, 열전도의 향상으로 건강증진에 효과적이고, 사우나, 찜질방 등에 이용하면 기존의 효과보다 편하고 쉽게 발안작용을 하여 일본의 유수 온천장에 이미 채택이 된 소재로서 청양 전래의 청정성을 그대로 맛볼 수 있는(황토냄새가 오래 유지된다.) 맥반석 황토벽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출원번호 제99-17688호 발명의 명칭 운모석 황토 몰탈과 그를 이용한 벽돌 및 바닥재를 개량한 것으로서 청양에서 생산되는 맥반석과 황토 및 백시멘트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맥반석 황토벽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맥반석은 고래로부터 잘 알려져 있는 광석으로 우리 나라의 포항 일대에서 많이 산출되며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등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있으며, 생물체에 필요한 각종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는 천연의 광물로서 식물의 발육을 촉진시켜 줌은 물론이고, 인체에도 대단히 이로운 광물로서 알려져 있고, 또한 수중에서 이온교환작용, 흡착작용을 함으로써 수질을 정화하여 줄뿐만 아니라, 함유하고 있는 미네랄이 물에 용해하여 풍부한 미네랄을 함유하는 물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수 처리용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황토는 하나의 물질이지만 그것이 미치는 영향의 범위는 매우 광범위하다. 질병치료에도 그 탁월한 약성을 보여주기도 했다.
예로부터 가옥, 토기 등을 만드는 곳에 우리 선조 들이 사용했는데 황토는 밤의 찬 기운에 훈기를 주며, 낮의 더운 기운에 시원함을 준다. 이것을 토의 기운이라 한다.
근래에 들어 이러한 황토는 그 효능이 과학적으로 분석, 입증되고 건강한 삶을 추구하는 인간심리와 결합하여 점차 간편한 일상제품으로 변해서 사람들에게 다가가고 있다.
즉, 황토는 모든 생명에게 가장 이로운 생육 광선을 발산하고 있다. 백운모는 특수 조제하여 택견병법으로 몸을 가볍게 하는 선약으로 사용했고, 흑운모는 왕궁의 여러 주요 방의 바닥재로 사용되었다.
맥반석 또한 방의 바닥재로 사용될 때 원적외선 방출, 미네랄 용출, 해독작용, 군살빼기(비만개선), 각종 신경통, 관절염의 통증을 없애주는 데 적격이어서 옛 왕실의 건강을 지켜주었다.
맥반석 방바닥을 마련하고 (온수보일러 틈새) 그 위에 황토운모 몰탈을 바른 후 종이 장판에 들기름을 먹일 때 비로소 세계 최고의 공해오염 해독성 황토방이 된다.
백시멘트는 보통 시멘트의 3%정도 철분을 함유하기 때문에 흰색으로 보여 철분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 사용하는 시멘트이다.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율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중량비율이므로 구체적으로 기재하지 않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
청양 맥반석, 황토 및 백시멘트를 3 : 6 : 1 로 혼합한 후에, 스팀으로 1 ~ 2시간 가열하여 맥반석 황토 벽돌을 제조하였다.
표 1 황토, 운모방, 몰탈의 시방 비교 분석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벽돌은 사우나, 벽채와 방의 바닥재 등에 시공하여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 맥반석 황토 몰탈의 탈취 성질을 이용하여 냉장고 및 담배파이프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인공화학성분을 전혀 첨가하지 않은 청양 맥반석과 황토흙, 백시멘트를 사용한 것으로서, 원적외선에 의한 복사난방효과가 우수하고, 균일한 난방 및 축열효과로 인한 난방비 절감이 가능하며, 아울러 원적외선에 의한 신진대사 촉진, 찜질 효과 등으로 인해 성인병 예방에 도움을 주며, 탈취, 향균성이 우수하고, 벌레의 서식이 없으며, 열전도, 내구성이 강하고, 습도 및 온도조절 기능이 월등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황토벽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맥반석, 황토 및 백시멘트를 3 : 6 : 1 로 혼합하청양 맥반석, 황토 및 백시멘트를 3 : 6 : 1 로 혼합한 후에, 스팀으로 1 ~ 2시간 가열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맥반석 황토 벽돌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19990026738A 1999-07-03 1999-07-03 맥반석 황토 벽돌의 제조방법 KR100328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738A KR100328610B1 (ko) 1999-07-03 1999-07-03 맥반석 황토 벽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738A KR100328610B1 (ko) 1999-07-03 1999-07-03 맥반석 황토 벽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339A KR19990073339A (ko) 1999-10-05
KR100328610B1 true KR100328610B1 (ko) 2002-03-14

Family

ID=37479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6738A KR100328610B1 (ko) 1999-07-03 1999-07-03 맥반석 황토 벽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861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419A (ko) * 2000-05-29 2001-12-07 신현택 견운모 또는 황토를 사용한 악취 공해 고속 탈취제의 제조방법
KR100406318B1 (ko) * 2000-10-17 2003-11-19 김진만 고강도 황토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04806A (ko) * 2002-07-05 2004-01-16 김혜숙 개량 흙벽돌의 제조방법
KR100703054B1 (ko) * 2005-06-03 2007-04-06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황토 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42230B1 (ko) * 2005-11-18 2007-07-24 최병환 참숯가루와 점토분말을 이용한 점토벽돌의 제조방법
KR100782559B1 (ko) * 2006-11-10 2007-12-06 김우용 텐션 부재를 포함하는 과일 봉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542A (ko) * 2001-01-22 2002-07-26 김철중 내장용 맥반황토세라믹벽돌의 제조방법
KR101685191B1 (ko) * 2015-12-04 2016-12-12 광일산업 주식회사 황토가 함유된 기와 및 그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4128A (ko) * 1995-03-17 1996-10-22 김영수 원적외선 방사벽재 및 원적외선 방사실
KR19990000098A (ko) * 1997-06-02 1999-01-15 김영근 원적외선방사 온돌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4128A (ko) * 1995-03-17 1996-10-22 김영수 원적외선 방사벽재 및 원적외선 방사실
KR19990000098A (ko) * 1997-06-02 1999-01-15 김영근 원적외선방사 온돌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419A (ko) * 2000-05-29 2001-12-07 신현택 견운모 또는 황토를 사용한 악취 공해 고속 탈취제의 제조방법
KR100406318B1 (ko) * 2000-10-17 2003-11-19 김진만 고강도 황토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04806A (ko) * 2002-07-05 2004-01-16 김혜숙 개량 흙벽돌의 제조방법
KR100703054B1 (ko) * 2005-06-03 2007-04-06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황토 블록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42230B1 (ko) * 2005-11-18 2007-07-24 최병환 참숯가루와 점토분말을 이용한 점토벽돌의 제조방법
KR100782559B1 (ko) * 2006-11-10 2007-12-06 김우용 텐션 부재를 포함하는 과일 봉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339A (ko)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8610B1 (ko) 맥반석 황토 벽돌의 제조방법
KR100635374B1 (ko) 축열셀이 형성된 엠보판 및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바닥난방 구조의 시공 방법
KR19980087612A (ko) 탱자수액을 이용한 건축용 황토 조성물
KR100310975B1 (ko)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KR20040004806A (ko) 개량 흙벽돌의 제조방법
KR100694806B1 (ko) 활성탄을 이용한 일라이트 흙벽돌의 제조방법
KR20000003905A (ko) 기능성 흙벽돌
KR100602522B1 (ko) 원적외선 황토 도자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00302B1 (ko) 황토 모르타르를 이용한 직타식 방통 모르타르의 시공방법
KR100807968B1 (ko) 시멘트몰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00701B1 (ko) 소금을 주원료로 하는 혼합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친환경 온돌용 바닥재 및 소금방
KR100560861B1 (ko) 감람석(올리빈)을 이용한 건조 시멘트 모르타르 및 그제조방법
KR100822637B1 (ko) 시멘트몰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375778B1 (ko) 황토 건강바닥 시공 방법 및 바닥재
KR200394331Y1 (ko) 옥석부산물을 이용한 건축용 타일
KR100489427B1 (ko)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이루어진 기능성 주택
KR20020018921A (ko)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물질을 함유하는 황토흙의 제조방법및 그 황토흙으로 시공하는 방법.
KR20110047646A (ko) 코튼스프레이 컬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재
KR100519443B1 (ko) 난방구조를 갖는 방바닥에 시공되는 시멘트 몰탈 및 그제조방법
KR200273505Y1 (ko) 원적외선 방사물질로 이루어진 기능성 주택
KR20030074523A (ko) 건축 마감용 황토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방통 모르타르시공방법
KR20010025367A (ko) 건강주택 시공방법 및 건축자재
KR100356325B1 (ko) 숯을 이용한 온돌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 패널
KR20180092370A (ko)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혼합한 후 분리하는 방법을 통하여 상온 또는 섭씨 37도 이상에서 원적외선 방사 액상물질의 제조방법
KR101938858B1 (ko) 편백볼이 함유된 난방바닥재용 황토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