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505B1 - 황토를 주재로 한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황토를 주재로 한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505B1
KR101373505B1 KR1020120085423A KR20120085423A KR101373505B1 KR 101373505 B1 KR101373505 B1 KR 101373505B1 KR 1020120085423 A KR1020120085423 A KR 1020120085423A KR 20120085423 A KR20120085423 A KR 20120085423A KR 101373505 B1 KR101373505 B1 KR 101373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ocher
parts
cellulos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8051A (ko
Inventor
박인혜
박가원
Original Assignee
박가원
박인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가원, 박인혜 filed Critical 박가원
Priority to KR1020120085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505B1/ko
Publication of KR20140018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800메쉬 이상으로 부유 선별된 황토를 주 재료로 하되, 상기 황토에 셀룰로오스의 에테르 유도체와 찹쌀풀을 첨가하여 황토 입자간 결합력이 향상되고 또한 황토가 질석의 표면에 용이하게 점착될 수 있도록 하며, 한지의 섬유질을 통해 황토 입자간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경량제의 첨가를 통해 황토혼합물의 표면평활도가 안정되게 유지되고 또한 황토와 질석으로 형성되는 탈취제의 무게를 경감하며, 수산화나트륨의 첨가를 통해 황토혼합물의 분사를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탈취제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주재로 한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탈취제는, 수중에서 800메쉬 이상으로 부유선별된 후 건조된 황토 100 중량부에, 셀룰로오스가 에테르화 반응을 통해 유도된 수용성 고분자 0.3 ~ 6 중량부, 한지 3 ~ 8 중량부, 경량제 1 ~ 40 중량부, 찹쌀풀 20 ~ 30 중량부, 수산화나트륨 0.1 ~ 2 중량부 및 물 100 ~ 200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황토혼합물과 질석을 중량대비 1:1의 비율로 교반한 후 건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황토를 주재로 한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Deodora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ing loess}
본 발명은 황토를 주재로 한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800메쉬 이상으로 부유 선별된 황토를 주 재료로 하되, 상기 황토에 셀룰로오스의 에테르 유도체와 찹쌀풀을 첨가하여 황토 입자간 결합력이 향상되고 또한 황토가 질석의 표면에 용이하게 점착될 수 있도록 하며, 한지의 섬유질을 통해 황토 입자간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경량제의 첨가를 통해 황토혼합물의 표면평활도가 안정되게 유지되고 또한 황토와 질석으로 형성되는 탈취제의 무게를 경감하며, 수산화나트륨의 첨가를 통해 황토혼합물의 분사를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탈취제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주재로 한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살아있는 생명체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건강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황토는 표면이 넓은 벌집 구조로 수많은 공간이 복층 구조를 이루고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황토는 크기가 고르며 직경 0.005 ~ 0.1 mm의 가는 모래 또는 실토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서, 석영, 방해석, 장석 등의 가벼운 광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운모, 감섬석, 회석, 녹렴석 등의 무거운 광물도 함유되어 있다. 미량 점토광물로는 일라이트도 함유되어 있으며 칼슘과 마그네슘의 탄산염도 많이 함유되어 있다. 황토의 화학적 조성을 보면, 이산화규소 50 ~ 60%, 알루미나 8 ~ 12%, 산화철 4 ~ 10%, 산화마그네슘 2 ~ 6%, 칼륨, 나트륨, 셀렌, 게르마늄 등의 다양한 약성 원소들로 이루어져 있어, 황토는 동식물의 해독능력을 높여주고 항균작용도 하며 지혈응고제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게 된다. 황토 속에 존재하는 효소인 카탈라아제는 과산화지질을 중화 내지 흡수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인체 내에서 발생되는 고산화 지질을 중화 내지 희석시켜 준다. 또한 황토는 생육광선인 원적외선을 다량 방출하게 되는데, 흡수광인 상기 원적외선은 불포화 지방산, 과산화 지방산, 과산화 지질, 오염된 물 등의 중합된 결합 고리에 화학적, 물리적으로 작용하여 이중 또는 삼중결합 등을 분리시켜 인체의 생리활성을 증대시키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게 된다.
황토는 이외에 습도조절, 단열보온, 항균방충, 탈취 및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특성상 건축재료로도 쓰이는 등 최근 다방면에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황토는 물에 혼합된 상태에서 수분이 이탈하게 되면 수축되어 갈라지게 되고, 이로 인해 다른 물질과 결합된 황토가 쉽게 떨어져 나가는 등 균열과 점착력 약화로 인해 단독으로는 사용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종래에는 합성수지와 같은 석유화학적 결합제를 이용하여 황토의 단점을 완화시키고자 하였으나, 합성수지를 결합제로 사용하게 되면, 황토의 고유기능이 상실되는 문제가 있다. 즉, 황토에 다수 존재하는 공극이 합성수지 결합제에 의해 막히게 되어 통수성, 통풍성, 탈취 등의 고유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인체에 해로운 유기화학물질이 상기 합성수지 결합재를 통해 배출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618075호 (등록일자: 2006.08.23.) 는 황토를 이용한 기능성 원적외선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나, 황토혼합물을 수성 아크릴 에멀젼, 우레탄 또는 에폭시 수지에 첨가함으로써 황토 고유의 특성을 저감 내지 상실시키는 한계가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1-0107419호 (공개일자: 2001.12.07.) 는 견운모 또는 황토를 사용한 악취 공해 고속 탈취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정의 실내, 하수구, 축사 내의 암모니아 등의 악취를 제거하고자 하는 것이나, 상기 기술 또한 견운모 또는 황토에 포틀랜드 시멘트와 금속 발포제를 사용함으로써 황토 고유의 특성이 저감 내지 상실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상기 포틀랜드 시멘트 및 금속 발포제로 인해 인체와 환경에 유해한 유기물질이 방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KR 10-0618075 B1 2006.08.23. KR 10-2001-0107419 A 2001.12.07.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황토 고유의 탈취특성을 이용하되 순수 황토가 갖는 성형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셀룰로오스의 에테르 유도체와 찹쌀풀을 이용하여 황토의 점착력 및 결합력을 향상시키며, 한지의 섬유질을 통해 황토 입자간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경량제의 첨가를 통해 황토혼합물의 표면평활도가 안정되게 유지되고 또한 황토 고유의 무게 및 질석의 무게를 저감시켜 탈취제 제품을 경량화하며, 수산화나트륨의 첨가를 통해 황토혼합물의 분사가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탈취제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황토를 주재로 한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탈취제는, 수중에서 800메쉬 이상으로 부유선별된 후 건조된 황토 100 중량부에, 셀룰로오스가 에테르화 반응을 통해 유도된 수용성 고분자 0.3 ~ 6 중량부, 한지 3 ~ 8 중량부, 경량제 1 ~ 40 중량부, 찹쌀풀 20 ~ 30 중량부, 수산화나트륨 0.1 ~ 2 중량부 및 물 100 ~ 200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황토혼합물과 질석을 중량대비 1:0.5 ~ 2의 비율로 교반한 후 건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셀룰로오스가 에테르화 반응을 통해 유도된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에틸셀룰루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탈취제 제조방법은 황토를 수중에서 800메쉬 이상으로 부유선별한 후 자연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황토 100 중량부에, 셀룰로오스가 에테르화 반응을 통해 유도된 수용성 고분자 0.3 ~ 6 중량부, 한지 3 ~ 8 중량부, 경량제 1 ~ 40 중량부, 찹쌀풀 20 ~30 중량부, 수산화나트륨 0.1 ~ 2 중량부 및 물 100 ~ 200 중량부를 혼합하여 황토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황토혼합물과 질석을 중량대비 1:0.5 ~ 2의 비율로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교반단계 후 질석의 표면에 도포된 황토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점착력 및 결합력 향상을 위한 결합제로 천연재질의 셀룰로오스의 에테르 유도체 및 찹쌀풀을 이용하기 때문에, 황토의 공극이 원래대로 유지되어 황토 고유의 탈취 특성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황토를 미립자화하여 황토 입자 사이의 공극이 다량으로 형성되어 황토 고유의 탈취특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경량제의 사용을 통해 황토혼합물의 표면평활도가 안정되게 유지되고, 탈취제품의 운반 또는 유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산화나트륨의 사용을 통해 황토에 첨가되는 섬유질의 부패가 방지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 제조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먼저 황토를 800메쉬 이상으로 부유선별하되, 고르고 미세한 입자 확보를 위해 2 ~ 5회에 걸쳐 메쉬의 크기를 달리하며 부유선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800메쉬의 입자를 얻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첫번째 또는 두번째 부유선별시에는 300메쉬 또는 500메쉬 등의 채를 이용하여 황토를 선별하되, 두번째 또는 세번째 이상에서 부유선별시 800메쉬의 채를 이용하여 황토를 선별하도록 함으로써 미세한 크기의 황토입자를 안정적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한다. 미세입자의 황토획득과 탈취제 제조시간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기는 800메쉬 이상의 부유선별과정은 3회를 실시하도록 하며, 본 발명에서와 같이 황토가 800메쉬 이상으로 고르고 미세한 입자로 선별되는 경우, 황토 입자간 공극이 많아져 황토의 탈취특성이 향상되게 된다.
수중에서 부유선별된 황토는 2 ~ 5일 동안 상온(15 ~ 25℃)에서 자연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일단 건조된 황토는 덩어리로 존재하게 되는 특성상 다른 혼합물과의 교반을 위해 망치 등을 이용하여 작은 크기로 분쇄될 수 있도록 한다.
황토가 준비되게 되면, 셀룰로오스가 에테르화 반응을 통해 유도된 수용성 고분자, 한지, 경량제, 찹쌀풀, 및 수산화나트륨을 상기 황토와 함께 물에 넣어 혼합하여 황토혼합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셀룰로오스는 고등식물의 세포벽을 구성하고 자연계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탄수화물로서, 수소결합과 소수성 상호작용으로 안정된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냉수, 열수, 약알칼리, 약산같은 대부분의 용액에서는 용해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그러나, 불용성인 상기 셀룰로오스를 셀룰로오스 에테르 등으로 유도체화 하는 경우 수소결합이 파괴되어 수용성으로 변환하게 되는데, 수용성 셀룰로오스 고분자는 점착력이 있어 천연접착제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테르화 반응을 통한 수용성 셀룰로오스 고분자로는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으며, 셀룰로오스의 에테르 유도체라 하더라도 에틸셀룰로오스는 물에 녹지 않는 특성상 본 발명에서 상기 에틸셀룰로오스는 제외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용성 셀룰로오스 고분자는 황토가 건조되더라도 황토 입자사이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 합성수지에 의한 결합재에 의해 황토 입자의 공극이 막혀 황토 고유의 특성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고분자는 건조되는 경우에도 황토와 결합되어 3차원 망상구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황토가 쉽게 이탈되거나 황토가루가 공기 중에 분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지는 질긴 섬유소를 다량 함유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경우 건조시 나타나는 황토의 분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지의 섬유소와 엉겨붙은 황토가 건조시에도 한지에 의해 결합이 유지됨으로써 황토의 통풍, 통습 및 탈취 등의 고유특성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경량제는 황토혼합물의 비중을 줄이고 경량화하며, 황토혼합물의 도막이 질석표면으로부터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표면평활도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경량제는 고운 가루 형태의 화산폭발로 생성된 화성암을 발포시킨 것으로서 (주)서경CMT의 제품명 마이크로셀(Microcell)과 같은 시판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찹쌀풀은 황토 입자간 점착력을 증가시키고 황토입자와 질석표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황토가 건조될 때 나타나는 크랙현상을 방지하게 되며, 황토혼합물이 스프레이건 등 분사압력수단에 의해 분사 도포되거나, 황토혼합물에 질석을 침수시켜 도포할 때 황토혼합물이 질석표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수산화나트륨은 황토혼합물을 스프레이건 등 분사압력수단으로 분사하여 도포하는 경우, 황토혼합물이 상기 분사압력수단의 분사통로에 엉겨붙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한지, 찹쌀풀과 같은 섬유소를 함유한 천연성분의 부패를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황토, 수용성 셀룰로오스 고분자, 한지, 경량제, 찹쌀풀, 수산화나트륨을 상온(15 ~ 25℃)의 물에 혼합하여 고루 교반하여 황토혼합물을 만든 후, 상기 황토혼합물을 질석표면에 도포하여 건조함으로써 탈취제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800메쉬 이상으로 수중에서 부유선별된 고운 입자 형태의 황토를 2 ~ 5일, 바람직하게는 3일 동안 자연건조시킨 후, 상기 황토 100 중량부에 대해 수용성 셀룰로오스 고분자를 0.3 ~ 6 중량부로 첨가하도록 한다. 수용성 셀룰로오스 고분자가 0.3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건조시 황토입자간 및 황토입자와 질석표면과의 결합이 약해져 크랙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6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황토입자간 결합력이 지나치게 크게 되어 황토 입자간 공극이 좁아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적절한 결합력 유지와 황토의 탈취특성 유지를 위해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고분자는 0.7 ~ 4 중량부로 첨가됨이 바람직하다.
한지는 황토 100 중량부에 대해 3 ~ 8 중량부를 첨가하도록 한다. 한지가 3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황토 입자를 지지하는 힘이 약해져 바람직하지 못하며, 8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경제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경량제는 황토 100 중량부에 대해 1 ~ 40 중량부를 첨가하도록 한다. 경량제가 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황토혼합물의 경량화가 미미하며 또한 질석표면에 도포된 황토혼합물의 도막이 처져 표면평활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4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경제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경량화와 표면평활도 및 경제성을 감안하여 상기 경량제는 10 ~ 30 중량부로 첨가됨이 바람직하다.
찹쌀풀은 황토 100 중량부에 대해 20 ~ 30 중량부를 첨가하도록 한다. 찹쌀풀이 20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황토입자의 결합력이 감소되기 때문에 건조시 황토혼합물이 질석표면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황토의 탈취특성이 저감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수산화나트륨은 황토 100 중량부에 대해 0.1 ~ 2 중량부를 첨가하도록 한다. 수산화나트륨이 0.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황토혼합물이 분사될 때 스프레이건 등 분사압력수단의 황토혼합물 이동통로가 막혀 바람직하지 못하며, 2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황토의 탈취성능이 저감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황토 100 중량부, 수용성 셀룰로오스 고분자 0.3 ~ 6 중량부, 한지 3 ~ 8 중량부, 경량제 1 ~ 40 중량부, 찹쌀풀 20 ~ 30 중량부 및 수산화나트륨 0.1 ~ 2 중량부를 물 100 ~ 200 중량부에 혼합하여 황토혼합물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황토혼합물에 혼합되는 물이 100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혼합물의 점성이 커져 스프레이건 등 분사압력수단을 통해 분사되지 못하거나, 질석을 황토혼합물에 침수시키는 경우에도 성형성이 감소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20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점성이 약해 황토입자간 및 황토입자와 질석표면과의 결합력이 약해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황토혼합물은 고른 혼합을 위해 일정시간 교반되어야 하며, 교반시간이 특별히 정해질 필요는 없으나 30분 ~ 2시간정도 균일하게 혼합하도록 한다. 또한 물은 15 ~ 25℃의 상온수를 이용하여 혼합할 수 있도록 한다.
균일하게 혼합된 상기 황토혼합물은 질석과 중량대비 1:0.5 ~ 2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황토혼합물에 질석을 침수시켜 교반기로 일정시간 교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스프레이건 등 분사압력수단을 통해 황토혼합물을 일정압력으로 분사하여 질석표면에 달라붙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프레이건 등 분사압력수단의 분사압력은 바람직하기는 2 ~ 6 kgf/cm2 로 함으로써 질석표면에 황토혼합물이 원활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황토혼합물에 질석을 침수시켜 교반하는 경우 질석표면에 황토혼합물이 달라붙도록 하기 위해 일정시간 교반할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1 ~ 3시간 정도 교반할 수 있도록 한다.
질석은 운모와 같은 결정구조를 갖는 단사정계에 속하는 광물로서 양이온 교환능력이 크며 가열하면 팽창한다. 다공질이며 흡수능력이 좋아 본 발명의 황토혼합물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질석은 0.5 ~ 5 mm의 작은 크기로서 원석을 그대로 사용해도 무방하나, 탈취제 제품의 무게를 가볍게 하고 황토혼합물의 흡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가열 후 팽창된 형태를 이용하도록 한다.
상기 질석 황토혼합물 1에 대해 중량대비 0.5 미만으로 혼합되는 경우 황토혼합물의 도포두께가 두꺼워짐에 비해 탈취의 효과는 크게 상승하지 않아 바람직하지 못하며, 2를 초과하여 혼합되는 경우 황토혼합물이 질석에 도포되는 도포두께가 얇게 되어 탈취능력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교반을 통해 황토혼합물이 도포된 질석은 일정 시간 건조하도록 한다. 건조는 자연건조방식으로서 1 ~ 2일 상온(15 ~ 25℃)의 그늘에서 건조시켜 제품으로 포장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황토를 주재로 한 탈취제
800메쉬로 부유선별된 후 건조되어 파쇄된 황토 100kg에 대해,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4kg, 한지 5kg, 경량제인 (주)서경CMT의 마이크로셀 20kg, 찹쌀풀 25kg 및 수산화나트륨 1kg을 물 150L에 첨가하여 1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상기 황토혼합물 50kg을 질석 50kg과 2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하루동안 25℃의 그늘에서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실험 1: 포름알데히드 탈취율 실험
상기 실시 예에서 제조한 황토를 주재로 한 탈취제 20g을 시료로 채취하였다. 채취된 상기 시료를 시험가스인 포름알데히드(HCHO) 100ppm과 함께 시험챔버 5L에 넣은 후 대조군과 비교해 보았다. 대조군은 동일한 시험조건에서 단지 본 발명의 탈취제가 포함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였다.
1. 시험방법: KCL-FIR-1085:2011
2. 시험가스명: 포름알데히드(HCHO)
3. FT-IR의 회사명 및 모델명 : MIDAC 11801
4. FT-IR 가스셀의 온도, 압력 및 경로길이 : 130℃, 14.57 psi, 20m
5. 시험챔버의 크기 : 5L
6. 탈취율의 계산 : [(시간대별 blank 농도 - 시간대별 sample 농도)/시간대별 blank 농도] × 100

시험항목
시험결과 시험
방법
Blank 농도
μmol/mo;(ppm)
Sample 농도
μmol/mo;(ppm)
탈취율(%)

탈취시험
(HCHO)

0분 100 100 -

KCL-FIR-1085: 2011
30분 99 1 99.0
60분 99 0 100.0
90분 98 0 100.0
120분 97 0 100.0
상기 표1의 결과를 보면 신규건축물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인 포름알데히드의 탈취율이 1시간경과 후에 100%로 형성되는데 비해 본 발명의 탈취제가 시험챔버에 포함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 포름알데히드의 탈취율이 미미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 2 : 암모니아 탈취율 실험
상기 실시 예에서 제조한 황토를 주재로 한 탈취제 20g을 시료로 하여 시험가스인 암모니아(NH3) 200ppm과 함께 시험챔버 5L에 넣은 후 대조군과 비교해 보았다. 대조군은 동일한 시험조건에서 단지 본 발명의 탈취제가 포함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였다.
1. 시험방법: KCL-FIR-1085:2011
2. 시험가스명: 암모니아(NH3)
3. FT-IR의 회사명 및 모델명 : MIDAC 12004
4. FT-IR 가스셀의 온도, 압력 및 경로길이 : 60℃, 14.57 psi, 10m
5. 시험챔버의 크기 : 5L
6. 탈취율의 계산 : [(시간대별 blank 농도 - 시간대별 sample 농도)/시간대별 blank 농도] × 100

시험항목
시험결과 시험
방법
Blank 농도
μmol/mo;(ppm)
Sample 농도
μmol/mo;(ppm)
탈취율(%)

탈취시험
(NH3)

0분 200 200 -

KCL-FIR-1085: 2011
30분 196 3 98.5
60분 194 2 99.0
90분 193 1 99.5
120분 192 1 99.5
암모니아는 식물세포 즉 셀룰로오스의 연화작용을 일으키는 가스로서 식물이 재배된 후 시간경과에 따라 식물로부터 발생되어 식물체의 성숙, 노화를 촉진하는 가스로서, 상기 표2의 결과를 보면 본 발명의 탈취제의 경우 암모니아 가스의 탈취율이 2시간경과 후에 99.5%로 형성되는데 비해 본 발명의 탈취제가 시험챔버에 포함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 암모니아의 탈취율이 미미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 3: 에틸렌 탈취율 실험
상기 실시 예에서 제조한 황토를 주재로 한 탈취제 100g을 시료로 하여 시험가스인 에틸렌(C2H4) 1.5ppm과 함께 시험챔버 5L에 넣은 후 대조군과 비교해 보았다. 대조군은 동일한 시험조건에서 단지 본 발명의 탈취제가 포함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였다.
1. 시험방법: KCL-FIR-1085:2011
2. 시험가스명: 에틸렌(C2H4)
3. FT-IR의 회사명 및 모델명 : MIDAC 12004
4. FT-IR 가스셀의 온도, 압력 및 경로길이 : 60℃, 14.57 psi, 10m
5. 시험챔버의 크기 : 5L
6. 탈취율의 계산 : [(시간대별 blank 농도 - 시간대별 sample 농도)/시간대별 blank 농도] × 100
시험항목
시험결과 시험
방법
Blank 농도
μmol/mo;(ppm)
Sample 농도
μmol/mo;(ppm)
탈취율(%)

탈취시험
(NH3)

0분 1.5 1.5 -
KCL-FIR-1085: 2011

30분 1.5 1.5 66.6
60분 1.3 1.3 73
90분 1.2 1.2 75
120분 1.2 1.2 79.3
에틸렌가스는 식물체 내의 에틸렌가스 수용체와 반응체 내에 축적되며 조기 성숙 및 노화를 촉진하는 가스로서, 상기 표3의 결과를 보면 상기 결과를 보면 본 발명의 패치가 포함된 챔버의 경우 에틸렌가스의 탈취율이 2시간경과 후에 79.3%로 형성되는데 비해 본 발명의 탈취제가 시험챔버에 포함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 에틸렌의 탈취율이 미미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Claims (3)

  1. 수중에서 800메쉬 이상으로 부유선별된 후 건조된 황토 100 중량부에, 셀룰로오스가 에테르화 반응을 통해 유도된 수용성 셀룰로오스 고분자 0.3 ~ 6 중량부, 한지 3 ~ 8 중량부, 경량제 1 ~ 40 중량부, 찹쌀풀 20 ~ 30 중량부, 수산화나트륨 0.1 ~ 2 중량부 및 물 100 ~ 200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황토혼합물과 질석을 중량대비 1:0.5 ~ 2의 비율로 교반한 후 건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주재로 한 탈취제.
  2. 제1항에 있어서,
    셀룰로오스가 에테르화 반응을 통해 유도된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고분자는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에틸셀룰루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주재로 한 탈취제.
  3. 황토를 수중에서 800메쉬 이상으로 부유선별한 후 자연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황토 100 중량부에, 셀룰로오스가 에테르화 반응을 통해 유도된 수용성 고분자 0.3 ~ 6 중량부, 한지 3 ~ 8 중량부, 경량제 1 ~ 40 중량부, 찹쌀풀 20 ~30 중량부, 수산화나트륨 0.1 ~ 2 중량부 및 물 100 ~ 200 중량부를 혼합하여 황토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황토혼합물과 질석을 중량대비 1:1의 비율로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교반단계 후 질석의 표면에 도포된 황토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주재로 한 탈취제 제조방법.

KR1020120085423A 2012-08-03 2012-08-03 황토를 주재로 한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373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423A KR101373505B1 (ko) 2012-08-03 2012-08-03 황토를 주재로 한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423A KR101373505B1 (ko) 2012-08-03 2012-08-03 황토를 주재로 한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051A KR20140018051A (ko) 2014-02-12
KR101373505B1 true KR101373505B1 (ko) 2014-03-13

Family

ID=50266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423A KR101373505B1 (ko) 2012-08-03 2012-08-03 황토를 주재로 한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5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273B1 (ko) * 2014-12-02 2016-03-14 (주)레스텍 황토를 이용한 마스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204A (ko) * 1998-12-21 1999-03-25 전영관 식물재배용 인공토양 탈취제 및 조성물
KR20010017476A (ko) * 1999-08-11 2001-03-05 이관모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을 주재로 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KR20010107419A (ko) * 2000-05-29 2001-12-07 신현택 견운모 또는 황토를 사용한 악취 공해 고속 탈취제의 제조방법
KR100879178B1 (ko) 2008-03-31 2009-01-16 김진숙 탈취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204A (ko) * 1998-12-21 1999-03-25 전영관 식물재배용 인공토양 탈취제 및 조성물
KR20010017476A (ko) * 1999-08-11 2001-03-05 이관모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을 주재로 한 탈취제의 제조방법
KR20010107419A (ko) * 2000-05-29 2001-12-07 신현택 견운모 또는 황토를 사용한 악취 공해 고속 탈취제의 제조방법
KR100879178B1 (ko) 2008-03-31 2009-01-16 김진숙 탈취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273B1 (ko) * 2014-12-02 2016-03-14 (주)레스텍 황토를 이용한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051A (ko)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38338A (zh) 一种多功能生态环保建筑装饰材料及其生产方法
WO2016146258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ämmstoffes
CN105778607A (zh) 一种环保内墙腻子及其制备方法
JP2007284294A (ja) ホタテ貝殻粉末を主成分とする漆喰材料、その製造方法、ホタテ貝殻粉末入りタ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84087B1 (ko) 천연토를 이용한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373505B1 (ko) 황토를 주재로 한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339497B1 (ko) 황토를 주재로 한 농축산물 신선도 유지용 패치 및 그 제조방법
CN110510915A (zh) 一种具有隔音保温功能的浆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118202A (zh) 空气净化腻子及其制备和使用方法
KR101402338B1 (ko) 황토를 주재로 한 도장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도장재
CN106431263A (zh) 圆球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硅藻土轻质通孔陶粒
CN105198354A (zh) 具有净化空气功能的彩色蛭石涂料粉
KR100975302B1 (ko) 황토 분말이 포함된 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06431291A (zh) 圆柱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高岭土轻质通孔陶粒
CN106431281A (zh) 圆球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高岭土轻质通孔陶粒
CN106431215A (zh) 圆柱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膨润土轻质通孔陶粒
CN105198361A (zh) 具有净化空气功能的彩色雨花石涂料粉
CN105418025A (zh) 具有净化空气功能的金箔涂料粉
CN105418024A (zh) 具有净化空气功能的彩色硅石涂料粉
CN106431273A (zh) 梅花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硼泥轻质通孔陶粒
CN106431460A (zh) 圆柱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桉树皮轻质通孔陶粒
CN106431269A (zh) 圆柱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菱镁矿轻质通孔陶粒
CN106431228A (zh) 圆球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桉树皮轻质通孔陶粒
CN106431285A (zh) 圆球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硼泥轻质通孔陶粒
CN106431272A (zh) 圆球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膨润土轻质通孔陶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