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338B1 - 황토를 주재로 한 도장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도장재 - Google Patents

황토를 주재로 한 도장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도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338B1
KR101402338B1 KR1020120086346A KR20120086346A KR101402338B1 KR 101402338 B1 KR101402338 B1 KR 101402338B1 KR 1020120086346 A KR1020120086346 A KR 1020120086346A KR 20120086346 A KR20120086346 A KR 20120086346A KR 101402338 B1 KR101402338 B1 KR 101402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ating material
loes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9694A (ko
Inventor
박인혜
박가원
Original Assignee
박가원
박인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가원, 박인혜 filed Critical 박가원
Priority to KR1020120086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338B1/ko
Publication of KR20140019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08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26Cellulose ethers
    • C09D101/28Alkyl ethers
    • C09D101/284Alkyl ethers with hydroxylated hydrocarbon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9Particle size larger than 1000 n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00메쉬 이상으로 부유 선별된 황토를 주 재료로 하되, 상기 황토에 셀룰로오스의 에테르 유도체와 찹쌀풀을 첨가하여 황토 입자간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하고, 한지의 섬유질을 통해 황토 입자간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경량제의 첨가를 통해 도장재의 표면평활도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며, 수산화나트륨의 첨가를 통해 도장재의 분사를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탈취제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주재로 한 도장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장재는, 수중에서 300메쉬 이상으로 부유선별된 후 건조된 황토 100 중량부에, 셀룰로오스가 에테르화 반응을 통해 유도된 수용성 고분자 0.3 ~ 6 중량부, 한지 3 ~ 8 중량부, 경량제 1 ~ 40 중량부, 찹쌀풀 20 ~ 30 중량부, 수산화나트륨 0.1 ~ 2 중량부 및 물 150 ~ 300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황토를 주재로 한 도장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도장재 {Manufacturing mehtod of coating material using loess and the Coating material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황토를 주재로 한 도장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도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300메쉬 이상으로 부유 선별된 황토를 주 재료로 하되, 상기 황토에 셀룰로오스의 에테르 유도체와 찹쌀풀을 첨가하여 황토 입자간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하고, 한지의 섬유질을 통해 황토 입자간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경량제의 첨가를 통해 도장재의 표면평활도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며, 수산화나트륨의 첨가를 통해 도장재의 분사를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탈취제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주재로 한 도장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도장재에 관한 것이다.
살아있는 생명체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건강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황토는 표면이 넓은 벌집 구조로 수많은 공간이 복층 구조를 이루고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황토는 크기가 고르며 직경 0.005 ~ 0.1 mm의 가는 모래 또는 실토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서, 석영, 방해석, 장석 등의 가벼운 광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운모, 감섬석, 회석, 녹렴석 등의 무거운 광물도 함유되어 있다. 미량 점토광물로는 일라이트도 함유되어 있으며 칼슘과 마그네슘의 탄산염도 많이 함유되어 있다. 황토의 화학적 조성을 보면, 이산화규소 50 ~ 60%, 알루미나 8 ~ 12%, 산화철 4 ~ 10%, 산화마그네슘 2 ~ 6%, 칼륨, 나트륨, 셀렌, 게르마늄 등의 다양한 약성 원소들로 이루어져 있어, 황토는 동식물의 해독능력을 높여주고 항균작용도 하며 지혈응고제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게 된다. 황토 속에 존재하는 효소인 카탈라아제는 과산화지질을 중화 내지 흡수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인체 내에서 발생되는 고산화 지질을 중화 내지 희석시켜 준다. 또한 황토는 생육광선인 원적외선을 다량 방출하게 되는데, 흡수광인 상기 원적외선은 불포화 지방산, 과산화 지방산, 과산화 지질, 오염된 물 등의 중합된 결합 고리에 화학적, 물리적으로 작용하여 이중 또는 삼중결합 등을 분리시켜 인체의 생리활성을 증대시키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게 된다.
황토는 이외에 습도조절, 단열보온, 항균방충, 탈취 및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특성상 건축재료로도 쓰이는 등 최근 다방면에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황토는 물에 혼합된 상태에서 수분이 이탈하게 되면 수축되어 갈라지게 되고, 이로 인해 다른 물질과 결합된 황토가 쉽게 떨어져 나가는 등 균열과 점착력 약화로 인해 단독으로는 사용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종래에는 합성수지와 같은 석유화학적 결합제를 이용하여 황토의 단점을 완화시키고자 하였으나, 합성수지를 결합제로 사용하게 되면, 황토의 고유기능이 상실되는 문제가 있다. 즉, 황토에 다수 존재하는 공극이 합성수지 결합제에 의해 막히게 되어 통수성, 통풍성, 유해가스 제거 및 공기정화 등의 고유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인체에 해로운 유기화학물질이 상기 합성수지 결합제를 통해 배출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618075호 (등록일자: 2006.08.23.) 는 황토를 이용한 기능성 원적외선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나, 황토혼합물을 수성 아크릴 에멀젼, 우레탄 또는 에폭시 수지에 첨가함으로써 황토 고유의 특성을 저감 내지 상실시키는 한계가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1-0107419호 (공개일자: 2001.12.07.) 는 견운모 또는 황토를 사용한 악취 공해 고속 탈취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정의 실내, 하수구, 축사 내의 암모니아 등의 악취를 제거하고자 하는 것이나, 상기 기술 또한 견운모 또는 황토에 포틀랜드 시멘트와 금속 발포제를 사용함으로써 황토 고유의 특성이 저감 내지 상실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상기 포틀랜드 시멘트 및 금속 발포제로 인해 인체와 환경에 유해한 유기물질이 방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KR 10-0618075 B1 2006.08.23. KR 10-2001-0107419 A 2001.12.07.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황토 고유의 공기정화 및 유해가스 제거 특성을 이용하되 순수 황토가 갖는 성형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셀룰로오스의 에테르 유도체와 찹쌀풀을 이용하여 황토의 점착력 및 결합력을 향상시키며, 한지의 섬유질을 통해 황토 입자간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경량제의 첨가를 통해 도장재의 표면평활도가 안정되게 유지되고 또한 황토 고유의 무게를 저감시켜 도장재 제품을 경량화하며, 수산화나트륨의 첨가를 통해 도장재의 분사가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도장재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황토를 주재로 한 도장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도장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장재 제조방법은, 수중에서 300메쉬 이상으로 부유선별된 후 건조된 황토 100 중량부에, 셀룰로오스가 에테르화 반응을 통해 유도된 수용성 고분자 0.3 ~ 6 중량부, 한지 3 ~ 8 중량부, 경량제 1 ~ 40 중량부, 찹쌀풀 20 ~ 30 중량부, 수산화나트륨 0.1 ~ 2 중량부 및 물 150 ~ 300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셀룰로오스가 에테르화 반응을 통해 유도된 수용성 고분자는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에틸셀룰루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점착력 및 결합력 향상을 위한 결합제로 천연재질의 셀룰로오스의 에테르 유도체 및 찹쌀풀을 이용하기 때문에, 황토의 공극이 원래대로 유지되어 황토 고유의 공기정화 및 유해가스 제거 특성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황토를 미립자화하여 황토 입자 사이의 공극이 다량으로 형성되어 황토 고유의 공기정화 및 유해가스 제거 특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경량제의 사용을 통해 도장시 도장재의 표면평활도가 안정되게 유지되고, 도장재 제품의 운반 또는 유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산화나트륨의 사용을 통해 황토에 첨가되는 섬유질의 부패가 방지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장재 제조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먼저 황토를 300메쉬 이상으로 부유선별하되, 고르고 미세한 입자 확보를 위해 2 ~ 5회에 걸쳐 메쉬의 크기를 달리하며 부유선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300메쉬의 입자를 얻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첫번째 또는 두번째 부유선별시에는 100메쉬 또는 200메쉬 등의 채를 이용하여 황토를 선별하되, 두번째 또는 세번째 이상에서 부유선별시 300메쉬의 채를 이용하여 황토를 선별하도록 함으로써 미세한 크기의 황토입자를 안정적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한다. 미세입자의 황토획득과 도장재 제조시간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기는 300메쉬 이상의 부유선별과정은 3회를 실시하도록 하며, 본 발명에서와 같이 황토가 300메쉬 이상으로 고르고 미세한 입자로 선별되는 경우, 황토 입자간 공극이 많아져 황토의 공기정화 및 유해물질제거 특성이 향상되게 된다. 황토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황토 고유 유해가스 제거 및 공기정화 특성이 향상되기는 하나, 본 발명에서는 입자크기의 선별을 위한 작업시간 및 도장재의 고유 특성유지 및 향상을 감안하여 본 황토입자의 크기를 500 메쉬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수중에서 부유선별된 황토는 2 ~ 5일 동안 상온(15 ~ 25℃)에서 자연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일단 건조된 황토는 덩어리로 존재하게 되는 특성상 다른 혼합물과의 교반을 위해 망치 등을 이용하여 작은 크기로 분쇄될 수 있도록 한다.
황토가 준비되게 되면, 셀룰로오스가 에테르화 반응을 통해 유도된 수용성 고분자, 한지, 경량제, 찹쌀풀, 및 수산화나트륨을 상기 황토와 함께 물에 넣어 혼합하여 도장재를 제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셀룰로오스는 고등식물의 세포벽을 구성하고 자연계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탄수화물로서, 수소결합과 소수성 상호작용으로 안정된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냉수, 열수, 약알칼리, 약산같은 대부분의 용액에서는 용해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그러나, 불용성인 상기 셀룰로오스를 셀룰로오스 에테르 등으로 유도체화 하는 경우 수소결합이 파괴되어 수용성으로 변환하게 되는데, 수용성 셀룰로오스 고분자는 점착력이 있어 천연접착제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테르화 반응을 통한 수용성 셀룰로오스 고분자로는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으며, 셀룰로오스의 에테르 유도체라 하더라도 에틸셀룰로오스는 물에 녹지 않는 특성상 본 발명에서 상기 에틸셀룰로오스는 제외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용성 셀룰로오스 고분자는 황토가 건조되더라도 황토 입자사이의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 합성수지에 의한 결합재에 의해 황토 입자의 공극이 막혀 황토 고유의 특성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고분자는 건조되는 경우에도 황토와 결합되어 3차원 망상구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황토가 쉽게 이탈되거나 황토가루가 공기 중에 분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지는 질긴 섬유소를 다량 함유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경우 건조시 나타나는 황토의 분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지의 섬유소와 엉겨붙은 황토가 건조시에도 한지에 의해 결합이 유지됨으로써 황토의 통풍, 통습, 탈취, 공기정화 및 유해가스 제거 등의 고유특성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경량제는 도장재의 비중을 줄이고 경량화하며, 도장재의 도막이 도장대상 벽면(예를 들면, 건축물 또는 농축산물의 저장고의 벽면) 으로부터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표면평활도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경량제는 고운 가루 형태의 화산폭발로 생성된 화성암을 발포시킨 것으로서 (주)서경CMT의 제품명 마이크로셀(Microcell)과 같은 시판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찹쌀풀은 황토 입자간 점착력을 증가시키고 황토입자와 도장대상 벽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황토가 건조될 때 나타나는 크랙현상을 방지하게 되며, 도장재가 스프레이건 등 분사압력수단에 의해 도장대상 벽면에 분사 도포되거나, 도장기구를 이용하여 도장대상 벽면에 도포된 후 상기 도장재가 도장대상 벽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수산화나트륨은 도장재를 스프레이건 등 압력분사수단으로 분사하여 도포하는 경우, 도장재가 상기 압력분사수단의 분사통로에 엉겨붙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한지, 찹쌀풀과 같은 섬유소를 함유한 천연성분의 부패를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도장재는 상기 황토, 수용성 셀룰로오스 고분자, 한지, 경량제, 찹쌀풀, 수산화나트륨을 상온(15 ~ 25℃)의 물에 혼합하여 고루 교반하여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300메쉬 이상으로 수중에서 부유선별된 고운 입자 형태의 황토를 2 ~ 5일, 바람직하게는 3일 동안 자연건조시킨 후, 상기 황토 100 중량부에 대해 수용성 셀룰로오스 고분자를 0.3 ~ 6 중량부로 첨가하도록 한다. 수용성 셀룰로오스 고분자가 0.3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건조시 황토입자간 및 황토입자와 도장대상 벽면과의 결합이 약해져 크랙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6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황토입자간 결합력이 지나치게 크게 되어 황토 입자간 공극이 좁아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적절한 결합력 유지와 황토의 유해가스 제거 및 공기정화 능력 유지를 위해 상기 수용성 셀룰로오스 고분자는 0.7 ~ 4 중량부로 첨가됨이 바람직하다.
한지는 황토 100 중량부에 대해 3 ~ 8 중량부를 첨가하도록 한다. 한지가 3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황토 입자를 지지하는 힘이 약해져 바람직하지 못하며, 8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경제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경량제는 황토 100 중량부에 대해 1 ~ 40 중량부를 첨가하도록 한다. 경량제가 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도장재의 경량화가 미미하며 또한 도장대상 벽면에 도포된 도장재의 도막이 처져 표면평활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4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경제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경량화와 표면평활도 및 경제성을 감안하여 상기 경량제는 10 ~ 30 중량부로 첨가됨이 바람직하다.
찹쌀풀은 황토 100 중량부에 대해 20 ~ 30 중량부를 첨가하도록 한다. 찹쌀풀이 20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황토입자의 결합력이 감소되기 때문에 건조 후 도장재가 도장대상 벽면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황토의 유해가스 제거 및 공기정화 능력이 저감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수산화나트륨은 황토 100 중량부에 대해 0.1 ~ 2 중량부를 첨가하도록 한다. 수산화나트륨이 0.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도장재가 분사될 때 스프레이건 등 압력분사수단의 도장재 이동통로가 막혀 바람직하지 못하며, 2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황토의 유해가스 제거 및 공기정화 능력이 저감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황토 100 중량부, 수용성 셀룰로오스 고분자 0.3 ~ 6 중량부, 한지 3 ~ 8 중량부, 경량제 1 ~ 40 중량부, 찹쌀풀 20 ~ 30 중량부 및 수산화나트륨 0.1 ~ 2 중량부를 물 150 ~ 300 중량부에 혼합하여 도장재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도장재에 혼합되는 물이 150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도장재의 점성이 커져 스프레이건 등 압력분사수단을 통해 분사되지 못하거나, 도장기구를 이용하여 도장대상 벽멱에 도장하는 경우에도 성형성이 감소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30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점성이 약해 황토입자간 및 황토입자와 도장대상 벽면과의 결합력이 약해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도장재는 고른 혼합을 위해 일정시간 교반되어야 하며, 교반시간이 특별히 정해질 필요는 없으나 30분 ~ 2시간정도 균일하게 혼합하도록 한다. 또한 물은 15 ~ 25℃의 상온수를 이용하여 혼합할 수 있도록 한다.
균일하게 혼합된 상기 도장재는 스프레이건 등 압력분사수단 이용시 2 ~ 6 kgf/cm2의 압력으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분사된 도장재가 도장대상 벽면에 부착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황토를 주재로 한 도장재
500메쉬로 부유선별된 후 건조되어 파쇄된 황토 100kg에 대해,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4kg, 한지 5kg, 경량제인 (주)서경CMT의 마이크로셀 20kg, 찹쌀풀 25kg 및 수산화나트륨 1kg을 물 200L에 첨가한 후 1시간동안 교반하여 도장재를 제조하였다.
실험 1: 포름알데히드 제거율 실험
상기 실시 예에서 제조한 황토를 주재로 한 도장재 20g을 시료로 채취하였다. 채취된 상기 시료를 시험가스인 포름알데히드(HCHO) 100ppm과 함께 시험챔버 5L에 넣은 후 대조군과 비교해 보았다. 대조군은 동일한 시험조건에서 단지 본 발명의 도장재가 포함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였다.
1. 시험방법: KCL-FIR-1085:2011
2. 시험가스명: 포름알데히드(HCHO)
3. FT-IR의 회사명 및 모델명 : MIDAC 11801
4. FT-IR 가스셀의 온도, 압력 및 경로길이 : 130℃, 14.57 psi, 20m
5. 시험챔버의 크기 : 5L
6. 제거율의 계산 : [(시간대별 blank 농도 - 시간대별 sample 농도)/시간대별 blank 농도] × 100

시험항목
시험결과 시험
방법
Blank 농도
μmol/mol(ppm)
Sample 농도
μmol/mol(ppm)
제거율(%)

제거시험
(HCHO)

0분 100 100 -

KCL-FIR-1085: 2011
30분 99 1 99.0
60분 99 0 100.0
90분 98 0 100.0
120분 97 0 100.0
상기 표1의 결과를 보면 신규건축물에서 배출되는 새집증후군의 원인 오염물질의 하나인 포름알데히드의 제거율이 1시간경과 후에 100%로 형성되는데 비해 본 발명의 도장재가 시험챔버에 포함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 포름알데히드의 제거율이 미미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 2 : 암모니아 제거율 실험
상기 실시 예에서 제조한 황토를 주재로 한 도장재 20g을 시료로 하여 시험가스인 암모니아(NH3) 200ppm과 함께 시험챔버 5L에 넣은 후 대조군과 비교해 보았다. 대조군은 동일한 시험조건에서 단지 본 발명의 도장재가 포함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였다.
1. 시험방법: KCL-FIR-1085:2011
2. 시험가스명: 암모니아(NH3)
3. FT-IR의 회사명 및 모델명 : MIDAC 12004
4. FT-IR 가스셀의 온도, 압력 및 경로길이 : 60℃, 14.57 psi, 10m
5. 시험챔버의 크기 : 5L
6. 제거율의 계산 : [(시간대별 blank 농도 - 시간대별 sample 농도)/시간대별 blank 농도] × 100

시험항목
시험결과 시험
방법
Blank 농도
μmol/mol(ppm)
Sample 농도
μmol/mol(ppm)
제거율(%)

제거시험
(NH3)

0분 200 200 -

KCL-FIR-1085: 2011
30분 196 3 98.5
60분 194 2 99.0
90분 193 1 99.5
120분 192 1 99.5
상기 표2의 결과를 보면 본 발명의 도장재의 경우 신규건축물에서 배출되는 새집증후군의 원인 오염물질의 하나인 암모니아 가스의 제거율이 2시간경과 후에 99.5%로 형성되는데 비해 본 발명의 도장재가 시험챔버에 포함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 암모니아의 제거율이 미미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Claims (3)

  1. 수중에서 500메쉬 이상으로 2 ~ 5회에 걸쳐 메쉬의 크기를 달리하며 부유선별된 후 2 ~ 5일 동안 15 ~ 25 ℃에서 자연건조된 황토 100 중량부에, 셀룰로오스가 에테르화 반응을 통해 유도된 수용성 셀룰로오스 고분자 0.7 ~ 4 중량부, 한지 3 ~ 8 중량부, 경량제 10 ~ 30 중량부, 찹쌀풀 20 ~ 30 중량부, 수산화나트륨 0.1 ~ 2 중량부 및 물 150 ~ 300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셀룰로오스가 에테르화 반응을 통해 유도된 수용성 셀룰로오스 고분자는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에틸셀룰루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주재로 한 도장재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황토를 주재로 한 도장재.
KR1020120086346A 2012-08-07 2012-08-07 황토를 주재로 한 도장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도장재 KR101402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346A KR101402338B1 (ko) 2012-08-07 2012-08-07 황토를 주재로 한 도장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도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346A KR101402338B1 (ko) 2012-08-07 2012-08-07 황토를 주재로 한 도장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도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694A KR20140019694A (ko) 2014-02-17
KR101402338B1 true KR101402338B1 (ko) 2014-06-02

Family

ID=50267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346A KR101402338B1 (ko) 2012-08-07 2012-08-07 황토를 주재로 한 도장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도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3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542A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에코아트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695B1 (ko) * 2004-04-07 2006-04-10 윤재화 건축 자재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의 도포방법
KR100959512B1 (ko) * 2008-05-09 2010-05-27 박찬돈 가수소성 황토액과 이를 이용한 천연 황토 코팅액 및모르타르용 천연 황토 혼합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695B1 (ko) * 2004-04-07 2006-04-10 윤재화 건축 자재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의 도포방법
KR100959512B1 (ko) * 2008-05-09 2010-05-27 박찬돈 가수소성 황토액과 이를 이용한 천연 황토 코팅액 및모르타르용 천연 황토 혼합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542A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에코아트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
KR102604421B1 (ko) 2020-11-25 2023-11-22 주식회사 에코아트 건축물 내벽용 접착도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694A (ko) 2014-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2338B1 (ko) 황토를 주재로 한 도장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도장재
KR101339497B1 (ko) 황토를 주재로 한 농축산물 신선도 유지용 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73505B1 (ko) 황토를 주재로 한 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CN106431463A (zh) 圆柱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凹凸棒轻质通孔陶粒
CN106431263A (zh) 圆球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硅藻土轻质通孔陶粒
CN106431339A (zh) 圆柱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活性炭轻质通孔陶粒
CN112723816A (zh) 除甲醛植物蛋白胶材料及屋顶施工方法
KR20180090945A (ko) 규조토를 이용한 볼타입 탈취 및 방향제
CN115353358B (zh) 净化空气防结露抑菌的负氧离子健康泥及其制备方法
CN106431215A (zh) 圆柱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膨润土轻质通孔陶粒
CN106431281A (zh) 圆球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高岭土轻质通孔陶粒
CN106431211A (zh) 圆球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绿泥石轻质通孔陶粒
CN106431291A (zh) 圆柱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高岭土轻质通孔陶粒
CN106431288A (zh) 碎石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黄土轻质陶粒
CN106431284A (zh) 圆球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沸石轻质通孔陶粒
KR20160066376A (ko) 황토를 이용한 공기정화용 에어필터
CN106431460A (zh) 圆柱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桉树皮轻质通孔陶粒
CN106431272A (zh) 圆球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膨润土轻质通孔陶粒
CN106431282A (zh) 圆柱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活性炭残渣轻质通孔陶粒
CN106431228A (zh) 圆球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桉树皮轻质通孔陶粒
CN106431273A (zh) 梅花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硼泥轻质通孔陶粒
CN106431218A (zh) 圆柱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醋渣轻质通孔陶粒
CN106431271A (zh) 圆球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黄土轻质通孔陶粒
CN106431262A (zh) 圆球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料姜石轻质通孔陶粒
CN106431207A (zh) 圆球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菱镁矿轻质通孔陶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