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6432A - 주행 중 킥을 안정시키는 스파이크 및 이 스파이크를구비한 운동화 - Google Patents

주행 중 킥을 안정시키는 스파이크 및 이 스파이크를구비한 운동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6432A
KR20010106432A KR1020017001567A KR20017001567A KR20010106432A KR 20010106432 A KR20010106432 A KR 20010106432A KR 1020017001567 A KR1020017001567 A KR 1020017001567A KR 20017001567 A KR20017001567 A KR 20017001567A KR 20010106432 A KR20010106432 A KR 20010106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ke
base
unevenness
hook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1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끼 코야마
Original Assignee
요시끼 코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끼 코야마 filed Critical 요시끼 코야마
Publication of KR20010106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43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43C15/162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43C15/164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 A43C15/165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pointed or conical, e.g. calks, spikes, pi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43C15/161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to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6Running shoes; Track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2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attached to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43C15/162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기저부 (2) 의 선단측에 후크부 (4) 를 형성하고, 상기 후크부 (4) 의 선단을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후크부 (4) 에서 상기 기저부 (2) 까지의 후측부에 오목부 (6) 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 (6) 를 스파이크 (1) 의 길이방향 (7) 에 대하여 만곡하게 한 스파이크. 나아가, 스파이크 (11) 의 기저부 (12) 의 선단측에 후크부 (14) 를 형성하고, 상기 후크부 (14) 의 선단을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후크부 (14) 에서 상기 기저부 (12) 까지의 후측부에 스파이크 (11) 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만곡한 오목부 (16) 를 형성하고, 상기 기저부 (12) 의 상단에 컬러부 (13) 를 형성하고, 상기 컬러부 (13) 의 외주에 요철 (13a) 을 형성하고, 상기 요철 (13a) 이 결합되는 요철 (22b) 이 형성된 내면을 구비한 원통부 (22) 를 가지는 스파이크 장착구 (21) 를 신발 바닥 (41) 에 고정시키고, 상기 결합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오목부 (16) 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는 운동경기용 신발.

Description

주행 중 킥을 안정시키는 스파이크 및 이 스파이크를 구비한 운동화{SPIKE ENSURING STABLE KICK DURING RUNNING AND SPIKE SHOES}
육상경기 등의 주행에 있어서, 발뒤꿈치에 부하가 걸리는 체중부하는 발뒤꿈치부의 후방외측부의 착지에서 시작되고, 닿지 않은 외측변부, 제 5 발가락 (가장 작은 발가락) 의 돌부, 제 1 발가락 (엄지 발가락) 의 돌부의 접지를 거쳐 제 1 발가락부 내지 제 5 발가락부의 접지 및 차기 즉 킥 동작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이동된다. 킥 동작에 있어서, 신발 바닥의 지면에 대한 압착과 지면의 반발력에 의하여 추진력이 발생되고, 이 추진력에 의하여 전진 주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주행시, 킥할 때의 전방으로의 추진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하는 것은, 운동경기용 신발의 경우 선부에 배치된 스파이크의 후방으로의 미끄러짐을 적극적으로 억제함과 동시에, 지면을 찌른 스파이크를 지면에서 빼낼 때의 마찰저항을 최소한으로 하여 부드럽게 빼내는 것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 스파이크의 글립력(gripping force) 을 높임과 지면에서 전방으로의 반발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하게 할 필요가 있다.
도 11 은, 운동경기용 신발 (91) 의 신발 바닥 (92) 의 전방부 (93) 에 고정된 7 개의 핀형상 스파이크 (95) 를 나타낸다. 또한, 94 는 신발 바닥 (92) 의 후방부이다.
그리고, 일본 실용신안공보 소48-30448 호에 의하여, 육상경기용의 핀형상 스파이크의 기저부 변에서 선단에 걸쳐, 그 좌우측면으로 단면이 반원형상인 홈을 핀형상 스파이크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따라서 형성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이 핀형상의 스파이크는, 주행시에 지면을 찌르기 쉽고, 좌우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의하여 지면과의 접촉면적이 확대되고, 좌우의 측면에서의 글립력이 높아진다. 그러나, 킥 동작시에 이 핀형상 스파이크의 후측부에서의 글립력이 불충분하여 킥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없었다.
또한 이러한 타입의 핀형상 스파이크로 킥을 안정적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핀형상 스파이크의 길이를 9 ㎜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교적 긴 스파이크를 사용한 경우, 킥할 때 지면을 찌른 핀형상 스파이크를 빼낼 때, 지면과의 마찰저항이 커지고 지면으로부터의 반발력이 상실되어 전방으로의 추진력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음과 동시에, 지면이 전천후용의 포장 경기장인 경우, 트랙의 포장재를 손상시키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핀형상 스파이크의 결점이 없고, 주행시의 킥을 안정적으로 행하여 추진력을 증강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트랙 포장재의손상이 없는 스파이크 및 이 스파이크를 구비한 운동경기용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운동경기용 신발의 스파이크 (spikes) 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 스파이크의 형상을 개량하여 주행시의 킥 (kick) 을 안정되게 하고, 트랙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주행시의 추진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원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계되는 스파이크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2 는, 도 1 의 Ⅱ-Ⅱ 단면도,
도 3 은, 도 1 의 Ⅲ-Ⅲ 단면도,
도 4 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 는 본원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 은, 상기 제 2 실시예에 사용되는 스파이크 장착구의 반단면도,
도 7 은, 상기 제 2 실시예에 사용되는 부품의 반단면도,
도 8 은, 도 5 의 Ⅷ-Ⅷ 단면도,
도 9 는, 상기 제 2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 은, 상기 제 2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 은, 종래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스파이크의 기저부의 선단측에 후크부를 형성하고, 상기 후크부의 선단을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후크부에서 상기 기저부까지의 후측부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를 스파이크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만곡하게 하였기 때문에, 주행시의 킥을 안정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트랙을 손상시키지 않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스파이크의 기저부의 상단에 컬러부 (collar) 를 형성하고, 이 컬러부의 외주에 요철을 형성한다. 스파이크 장착구는 요철을 포함하는 원통부를 구비하며, 그 요철은 원통부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컬러부의 요철과 결합된다. 스파이크 장착부는 신발 바닥에 고정되고, 상기 요철의 결합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오목부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 신발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킥 동작 방향에 맞추어 상기 오목부의 방향을 변화시켜 주행시의 추진력을 최대한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이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원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파이크를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Ⅱ-Ⅱ 단면도이며, 도 3 은 도 1 의 Ⅲ-Ⅲ 선으로 절단한 부분만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 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있어서, 운동경기용 신발의 신발 바닥에 고정된 스파이크 (1) 에서는, 기저부 (2) 의 상단에 컬러부 (3) 가 일체로 형성되고, 후크부 (4) 가 기저부 (2) 의 선단 (하단) 에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 (6) 가 기저부 (2) 의 후면에 형성되고, 그에 따라 후크부 (4) 가 형성된다.
이렇게, 후크부 (4) 에서 기저부 (2) 에 걸쳐, 스파이크 (1) 의 길이방향의 중심축 (7) 에 대하여 만곡된 오목부 (6) 를 형성하고 있다.
스파이크 (1) 의 재질은, 예를 들어 경질합성수지, 알루미늄 합금, 터프람(tufram ; 탄성 기둥으로 형성되는) 처리된 알루미늄 합금, 스텐레스강, 탄소강, 도성 (陶性) 합금 (cermet), 텅스텐 등의 초합금, 티탄합금, 세라믹 등의 내마모성재로 구성된다. 그 기저부 (2) 는 원통형상, 원추대형상 (컬러부 (3) 측을 기저로 함), 각주형상, 각추대형상 (컬러부 (3) 측을 기저로 함), 기타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후크부 (4) 는 기저부 (2) 보다 가늘고, 기저부 (2) 와 일체 또는 별도체로 기저부 (2) 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후크부 (4) 의 선단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크부 (4) 의 선단면 (5) 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단면 (5) 은 후술하는 힘 (벡터 (γ) 로 표시함) 을 받을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다른 형상도 가질 수 있다.
오목부 (6) 의 단면은, 스푼형상 (도 3 에서 점선으로 나타냄) 또는 평탄 (도 3 에서 실선으로 나타냄) 하다.
또한, 오목부 (6) 의 형상이, 전술한 바와 같이 만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시에 킥할 때 스파이크 (1) 를 지면에서 부드럽게 빼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스파이크 (1) 는 장착구 (후술하는 장착구 (21) 와 동일한 것. 단, 스파이크 (1) 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요철 (22b) 는 없어도 됨) 에 의하여 운동경기용 신발의 전바닥부 (도 11 의 신발 바닥 (92) 의 전방부 (93) 에 상당함) 에 후술하는 도 10 과 동일하게 오목부 (6) 를 후측으로 한 상태에서 고정된다. 이때, 스파이크 (1) 의 기저부 (2) 및 후크부 (4) 가 상기 신발의 전바닥부에 하향하여 돌출된다.
이렇게 하여, 스파이크 (1) 를 장착한 운동경기용 신발을 착용하여 주행하면, 주행과정에서 제 1 발가락부, 제 2 내지 제 5 발가락부가 접지하여, 지면 (81) 을 후방으로 킥할 때, 스파이크 (1) 가 체중압에 의하여 지면 (81) 에서 지중 (82) 으로 파고든다 (도 4 참조).
이때, 스파이크 (1) 의 후방부측에 오목부 (6)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목부 (6) 에서 퍼 올리듯이 지면 (81) 을 글립하므로 글립면적이 확대되고, 글립력이 현저하게 증강된다. 그래서, 스파이크 (1) 의 길이 (길이방향의 중심축 (7) 의 길이) 를 8 ㎜ 이하로 구성해도, 지면 (81) 을 후방으로 킥할 때 스파이크 (1) 가 후방으로 미끄러지지 않는다.
게다가, 킥할 때 지면 (81) 으로부터의 반발력이 스파이크 (1) 의 후측부의 오목부 (6) 의 상방부 (6a) 에 힘의 벡터 (α) 로서, 하방부 (6b) 에 힘의 벡터 (β) 로서, 후크부 (4) 의 선단면 (5) 에 힘의 벡터 (γ) 로서 각각 부가되고, 이들 힘의 벡터의 합 (α+β+γ) 이 스파이크 (1) 에 전방으로 작용하므로, 스파이크 (1) 를 지면 (81) 에서 저항 없이 빼낼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힘의 벡터의 합 (α+β+γ) 에 의하여 전방으로의 추진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스파이크 (1) 의 길이를 8 ㎜ 이하의 짧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스파이크 (1) 를 구비한 운동경기용 신발에 의하여 전천후형의 트랙의 포장재가 손상되지 않는다.
도 5 내지 도 8 은, 본원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 는 본원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또한, 스파이크 (11) 에 대해서는 측면을 나타냄) 이고, 도 6 은 상기 제 2 실시예에 사용하는 스파이크 장착구의 반단면도, 도 7 은 상기 제 2 실시예에 사용하는 덮개부재의 반단면도이고, 도 8 은 도 5 의 Ⅷ-Ⅷ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 에 있어서, 스파이크 (11) 는 기저부 (12), 컬러부 (13) 및 후크부 (14) 로 이루어진다. 스파이크 (11) 의 기저부 (12) 는 예를 들어 원통형상이고, 컬러부 (13) 는 기저부 (12) 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요철 (13a) 이 컬러부 (13) 의 외주에 형성되고, 후크부 (14) 의 선단에 선단면 (15) (상기 선단면 (5) 에 상당함) 이 형성되어 있다. 후크부 (14) 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저부 (12) 의 후면에 오목부 (16) (상기 오목부 (6) 에 상당함)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17 은 스파이크 (11) 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이다.
장착구 (21) 는 경질합성수지, 금속, 또는 세라믹 등으로 형성되고, 그 원통부 (22) 의 바닥판부 (23) 에 구멍 (24) 이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 (22) 의 내면에 암나사 (22a) 및 요철 (22b) 이 형성되고, 원통부 (22) 의 외측에 플렌지부 (25) 가 형성되어 있다. 구명 (25a, 25b) 이 플렌지부 (25) 에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재 (31) 는 거의 원판형상이고, 덮개부재 (31) 의 외주 (32) 에 암나사 (33) 가 형성되고, 일방의 면 (34) 과 타방의 면 (35) 간에 구멍 (36) 이 형성되어 있다. 육각렌치를 구멍 (36) 에 끼워넣고 덮개부재 (31) 를 회전시킬 수 있다.
장착구 (21) 는 신발 바닥 (41) 에 매몰되어 있다. 또한, 중간 깔개 (42) 가 신발 바닥 (41) 내면에 장착되어 있다.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파이크 (11) 의 컬러부 (13) 의 요철 (13a) 은 장착구 (21) 의 원통부 (22) 의 요철 (22b) 에 결합되어 있다. 컬러부 (13) 를 장착구 (21) 의 원통부 (22) 에서 벗겨낸 상태에서 컬러부 (13) 를 화살표 (18) 방향 또는 화살표 (18) 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요철 (13a) 과 요철 (22b) 의 결합상태 (결합위치) 를 변화시킴으로써, 후술하게 되는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구 (21) 에 장착된 스파이크 (11) 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9 는 상기 제 2 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것이다. 도 9 에 있어서, 스파이크 (51) 에서는 기저부 (52) (예를 들어 원주형상) 에 컬러부 (53) 가 일체로 형성되고, 요철 (53a) 이 컬러부 (53) 의 외주에 형성되고, 후크부 (54) 가 기저부 (52) 의 선단에 형성되고, 후크부 (54) 의 선단에 선단면 (55) (상기 선단면 (5) 에 상당함) 이 형성되고, 후크부 (54) 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저부 (52) 의 후면부에 오목부 (56) (상기 오목부 (6) 에 상당함)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57 은 스파이크 (51) 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이다.
장착구 (61) 에서는, 원통부 (62) 의 내면에 암나사 (62a) 및 요철 (62b) 이 형성되고, 원통부 (62) 의 가장자리에 바닥판부 (63) 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 (65) (상기 플랜지부 (25) 에 상당함) 가 원통부 (62) 의 외면에 형성되고, 구멍 (65a, 65b) 이 플렌지부 (65) 에 형성되어 있다. 링형상 부재 (71) 의 외주 (72) 에는, 암나사 (73) 가 형성되고, 링형상 부재 (71) 의 일방의 면 (74) 과 타방의 면 (75) 을 관통하는 구멍 (76)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타방의 면 (75) 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오목부 (또는 구멍, 홈) 에금속봉 등을 끼워 넣고, 상기 금속봉 등에 의하여 링형상 부재 (71) 를 회전시켜 숫나사 (73) 와 암나사 (62a) 를 나선 결합시켜 체결 (또는 느슨하게) 할 수 있다.
스파이크 (11) 의 컬러부 (13) 의 요철 (13a) 과 장착구 (21) 의 원통부 (22) 의 요철 (22b) 의 결합과 동일하게, 상기 스파이크 (51) 의 컬러부 (53) 의 요철 (53a) 이 장착구 (61) 의 요철 (62b) 에 결합되어 있다. 장착구 (65) 는 장착구 (21) 와 마찬가지로 신발 바닥에 매몰되어 있다.
상기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장착구 (21) 의 원통부 (22) 에서 스파이크 (11) 를 삽입하여, 스파이크 (11) 의 기저부 (12) 및 후크부 (14) 를 바닥판부 (23) 의 구멍 (24) 에서 외부로 돌출시키므로, 상기 도 4 와 마찬가지로 주행시에 스파이크 (11) 의 기저부 (12) 및 후크부 (14) 는 지면 (접지면; 81) 을 찌른다.
숫나사 (33) 와 암나사 (22a) 의 나선결합에 의하여 원통부 (22) 및 덮개부재 (31) 에 의하여 스파이크 (11) 를 압압고정함으로써, 외부충격으로 스파이크 (11) 가 느슨해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도 9 에 나타낸 변형예에서도 동일하게 원통부 (62) 및 링형상 부재 (71) 에 의하여 외부충격으로 스파이크 (51) 가 느슨해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신발이 접지되는 지면 (81) 을 후방으로 킥하는 방향, 즉 후방 대면각도 (backward facing angle ; 주행시의 후방과 킥하는 방향과의 각도) 에 있어서 약간의 개인차가 있다.
그러나, 스파이크 (11, 51) 를 신발의 전바닥부에 매설된 장착구 (21, 61) 에 장착할 때, 스파이크 (11, 51) 를 길이방향의 중심축 (17, 57) 을 중심으로 둘레 회전방향 (도 8 에서는 화살표 (18) 방향 또는 화살표 (18) 와 반대방향) 으로 회전시키면서, 오목부 (16, 56) 가 향하는 방향과 신발의 뒤꿈치부 방향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0 은 좌측발용 신발에 장착된 스파이크 (11) 의 각 조절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도 10 에 있어서의 각 도면은 도 3 에 나타낸 것에 상당한다.
신발의 전바닥부의 후크선부 중심점과 뒤꿈치 바닥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신발 바닥의 길이방향의 중심선 XY (X 가 전방이고, Y 가 후방임) 에 대하여, 위치 (11a) 의 스파이크 (1) 에서는, 오목부 (16) 의 방향 (화살표 (11x) 의 방향) 이 내향으로 조절되고, 위치 (11c) 의 스파이크 (11) 에서는 오목부 (16) 의 방향 (화살표 (11z) 의 방향) 이 외향으로 조절되어 있다. 한편 위치 (11b) 의 스파이크 (11) 의 오목부 (16) 의 방향 (화살표 (11y) 의 방향) 은 상기 중심선 (X-Y) 과 평행하게 조절되고 있다.
또한,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파이크 (11, 51) 의 오목부 (16, 56) 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면, 원통부 (22, 62) 를 원통이 아닌 중공 (hollow)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그래서, 신발 착용자의 킥 방향에 맞추어, 스파이크 (11, 51) 의 컬러부 (13, 53) 의 요철 (13a, 53a) 과 원통부 (22, 62) 의 요철 (22b, 62b) 의 결합위치를 조절하여, 오목부 (16, 56) 의 방향과 상기 주행시의 킥 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그래서, 각 신발 착용자의 킥 동작에 맞추어 주행시의 추진력을 최대한으로 발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행 스피드를 올릴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스파이크 및 이 스파이크를 구비한 운동경기용 신발은, 트랙경기 등에 있어서 주행 스피드를 올리는 데 유용하고, 또한, 트랙의 보전에 도움이 된다.

Claims (2)

  1. 기저부 (2) 와, 상기 기저부 (2) 의 선단측에 형성되고 사다리꼴 선단부를 구비한 후크부 (4) 와, 상기 후크부 (4) 에서 상기 기저부 (2) 까지 연장되고 상기 기저부 (2) 의 후측부에 형성되며 스파이크 (1) 의 길이방향 (7) 에 대하여 만곡되는 오목부 (6)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크.
  2. 스파이크 (11) 및 스파이크 장착구 (21) 를 구비한 운동경기용 신발로서, 상기 스파이크 (11) 는 기저부 (12) 와, 상기 기저부 (12) 의 선단측에 형성되고 사다리꼴 선단부를 구비한 후크부 (14) 와, 상기 후크부 (14) 에서 상기 기저부 (12) 까지 연장되고 상기 기저부 (12) 의 후측부에 형성되며 스파이크 (11) 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만곡되는 오목부 (16) 와, 상기 기저부 (12) 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외주면에 요철 (13a) 이 형성된 컬러부 (13) 를 구비하며, 상기 스파이크 장착구 (21) 는 요철 (22b) 을 구비한 원통부 (22) 를 포함하고, 상기 요철 (22b) 은 내면에 형성되어 요철 (13a) 과 결합되며, 상기 스파이크 장착구 (21) 는 신발 바닥 (41) 에 고정되며, 상기 결합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오목부 (16) 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경기용 신발.
KR1020017001567A 1998-08-06 1998-08-06 주행 중 킥을 안정시키는 스파이크 및 이 스파이크를구비한 운동화 KR200101064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8/003522 WO2000007477A1 (fr) 1998-08-06 1998-08-06 Crampon assurant une foulee stable pendant la course et chaussures de cour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432A true KR20010106432A (ko) 2001-11-29

Family

ID=14208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1567A KR20010106432A (ko) 1998-08-06 1998-08-06 주행 중 킥을 안정시키는 스파이크 및 이 스파이크를구비한 운동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67196B1 (ko)
EP (1) EP1101420A4 (ko)
KR (1) KR20010106432A (ko)
WO (1) WO20000074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315277D0 (en) * 2003-07-01 2003-08-06 Hodgson James M Athletics shoe
US7086183B2 (en) * 2004-07-28 2006-08-08 Reebok International Ltd. Cleated article of footwear
US7802379B2 (en) * 2007-03-08 2010-09-2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indented tip cleats
US7827705B2 (en) * 2007-03-08 2010-11-0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multiple cleat sizes
US9332808B2 (en) * 2010-01-12 2016-05-10 Position Tech, Llc Footwear with enhanced cleats
US9149088B2 (en) 2011-09-16 2015-10-06 Nike, Inc. Medial rotational traction element arrangement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8984774B2 (en) 2011-09-16 2015-03-24 Nike, Inc. Cut step traction element arrangement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9173450B2 (en) 2011-09-16 2015-11-03 Nike, Inc. Medial rotational traction element arrangement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9681702B2 (en) 2014-08-22 2017-06-20 Nike, Inc. Footwear with elongated cleat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9980A (en) * 1948-06-23 1950-05-30 Robert M Mccallum Shoe cleat
US3267593A (en) * 1965-09-30 1966-08-23 Henry W Turner Replaceable spike for shoes
CH532376A (fr) * 1970-12-22 1973-01-15 Nouvelle Soc Bruey S A Pointe pour chaussure d'athlétisme
US3731406A (en) * 1972-04-13 1973-05-08 R Young Sport shoe with quickly removable spikes
GB1434282A (en) * 1972-05-24 1976-05-05 Dassler A Gripper elements for sports shoes
DE2904471A1 (de) * 1979-02-07 1980-08-21 Adidas Sportschuhe Laufsohle fuer sportschuhe, insbesondere zur verwendung auf kunstrasen
DE3112389A1 (de) * 1981-03-28 1982-10-07 Werner 8520 Erlangen Frör Einstueckiges greifelement fuer sportschuhe
DE3112390A1 (de) * 1981-03-28 1982-10-07 Werner 8520 Erlangen Frör Renkbefestigung eines greifelementes in der sohle eines sportschuhes
DE3235475A1 (de) * 1982-09-24 1984-03-29 Adidas Sportschuhfabriken Adi Dassler Kg, 8522 Herzogenaurach Sportschuh, insbesondere baseballschuh
US4769931A (en) * 1987-08-06 1988-09-13 Morrow Donald W Cleated sole for footwear
US5377431A (en) * 1993-06-15 1995-01-03 Walker; Andrew S. Directionally yieldable cleat assembly
US5655317A (en) * 1994-01-19 1997-08-12 Grant; David F. Stud and washer system for golf shoe spikes
JP3215877B2 (ja) * 1996-10-23 2001-10-09 モリト株式会社 角度調整スパイ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01420A1 (en) 2001-05-23
EP1101420A4 (en) 2004-10-27
WO2000007477A1 (fr) 2000-02-17
US6467196B1 (en) 2002-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4283A (en) Resilient, all-surface sole
US6289611B1 (en) Golf shoe outsole with bio-mechanically positioned wear bars
US4233759A (en) Outsoles for sports shoes, particularly for use on artificial grass
US6058627A (en) All-terrain footwear with retractable spikes
US5848482A (en) Cleat assembly for shoes
EP1290958B1 (en) Resilient all-surface soles for footwear
US3352034A (en) Athletic shoe cleat
US9009992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 ball contacting member
CN104023578B (zh) 带有鞋前部辅助鞋钉的鞋类物品
US20010011428A1 (en) Golf shoes with aligned traction members
US5058292A (en) Cleat for an athletic shoe
EP2542111B1 (en) Cleat assembly
US20120317840A1 (en) Footwear assemblies with enhanced traction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US4748752A (en) Flexible sole for pivoting athletic shoe
KR20010106432A (ko) 주행 중 킥을 안정시키는 스파이크 및 이 스파이크를구비한 운동화
US6708428B2 (en) Quick-release connector system for footwear with reliable engagement
US6381878B1 (en) Composite cleat for athletic shoe
US4922636A (en) Shoe spike/receptacle assembly
US7073281B2 (en) Spike for golf shoes
EP0247039B1 (en) Athlectic shoe with improved pivot cleating
US7086183B2 (en) Cleated article of footwear
CA1276454C (en) Flexible sole for pivoting athletic shoe
US6360455B1 (en) Pack boot with retractable crampons
US9259057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interlocking cleat member and raised base
US5887496A (en) Wrench for use on golf sho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