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5800A -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전자상거래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전자상거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5800A
KR20010105800A KR1020000026740A KR20000026740A KR20010105800A KR 20010105800 A KR20010105800 A KR 20010105800A KR 1020000026740 A KR1020000026740 A KR 1020000026740A KR 20000026740 A KR20000026740 A KR 20000026740A KR 20010105800 A KR20010105800 A KR 20010105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goods
ordered
orderer
shopping 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6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화
Original Assignee
박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화 filed Critical 박태화
Priority to KR1020000026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5800A/ko
Publication of KR20010105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80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품의 주문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한 주문이 가능하게 함은 물론, 주문 상품의 배송은 주문 상품 수령지의 최근거리에 있는 가맹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단시간의 빠른 배송이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가맹점을 모집하는 단계, 모집된 가맹점을 데이터 베이스화 하는 단계, 간행물을 공공장소에 배포하는 단계,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회원을 모집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하는 단계, 상품의 주문을 받는 단계, 주문 상품과 주문자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주문 상품과 주문자에 대한 정보를 가맹점에 오프라인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및 가맹점에서 상품 주문자에게 상품을 배송한 후 상품 대금을 결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방법{Electronic commerce business method}
본 발명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한 쇼핑몰을 통해 주문 상품을 현지 가맹점을 통해 배송과 함께 대금결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배송 후 후결재 방식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Internet)의 사전적 의미는 원래, 세계 각지의 대학이나 기업 연구소의 LAN을 상호 접속하는 네트워크를 뜻하였으나, 최근에는 연구자끼리 커뮤니케이션이나 논의를 하기 위한 고유 명사로서 사용된다. 즉, 인터넷이란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써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Network)상의 사용자들에게 도달할 수 있도록 TCP/IP에 의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네트워크의 거대한 집합이다.
전술한 인터넷은 미국 국방성의 군사연구에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ARPANET에서 시작되었으며, 현재 NSFNET, NYSERNET 그리고 수천개의 다른 네트워크들을 포함하고 있다. 인터넷은 전자메일, 뉴스그룹, 파일전송, 정보전달 및 검색 등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지금에 이르러서는 전세계를 연결하는 정보축적매체 및 정보제공매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인터넷에 연계된 네트워크의 수와 인터넷 이용자의 수가 급증하면서인터넷의 상업적 이용 즉,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가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우리의 실생활에 있어서도 전자상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이 날로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전자상거래란 재화나 서비스의 거래에 있어서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전자문서 교환등 전자적 방식에 의해 처리되는 거래를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전자상거래는 현실세계에서 이루어지는 상거래와 유사하게 상거래 주체들이 모두 참여하고 있다. 즉,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쇼핑몰, 쇼핑몰에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고객 그리고 이들의 금전적인 관계에 관여하는 은행 및 카드회사 등이 전자상거래에서 거래의 주체로서 참여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을 통한 종래의 전자상거래 모델로는 기업과 소비자간의 쇼핑몰 형태, 경매 또는 역경매 형태, 공동구매 또는 이벤트 형태 및 기업과 기업 또는 정부와 기업간 거래의 형태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접속수단이 없는 상태에서는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상품을 구매하려는 고객의 요구와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의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에서는 쇼핑몰을 운영하기 위해 별도의 물류창고 및 배송수단을 필요로 하고, 그리고 지역적인 거리문제가 있기 때문에 주문 상품의 주문시부터 도착시까지 상당한 기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판매활동을 할 수 없는 소규모의 점포들은 그 생존권에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에 있어 경기 활성화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상품의 주문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한 주문이 가능하게 함은 물론, 주문 상품의 배송은 주문 상품 수령지의 최근거리에 있는 가맹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단시간의 빠른 배송이 가능하도록 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류 및 주문 상품의 배송은 주문 상품 수령지의 최근거리에 있는 가맹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물류창고 및 배송수단을 확보함으로써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시켜 상품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연결함으로써 기존의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쇼핑몰 및 기존에 형성된 소규모 점포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 이외에 주문 상품 수령지의 최근거리에 있는 가맹점에서 주문 상품을 방문 판매한 후 대금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주문 상품의 확인이 용이하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방법은 쇼핑몰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가맹점을 모집하는 단계; 모집된 가맹점을 세분화하여 지역별로 데이터 베이스화 하는 단계; 쇼핑몰에서 구매 가능한 상품목록을 포함하는 간행물을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들이 볼 수 있도록 공공장소에 배포하는단계; 쇼핑몰을 이용하여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회원을 모집하여 회원 고유의 ID와 비밀번호를 제공한 후 회원의 개인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 하는 단계; 쇼핑몰 이용자가 쇼핑몰에 접속하는 경우 온라인 접속자에게는 구매 가능한 상품의 목록을 포함하는 웹페이지를 전송하고, 오프라인 접속자에게는 상품의 코드를 질의하여 상품을 주문 받는 단계; 쇼핑몰 이용자의 상품 주문에 의해 주문 상품이 현재 거래 가능한지 아닌지를 확인하여 주문 상품이 거래 불능일 경우에는 이를 주문자에게 통보하고, 주문 상품이 거래 가능한 경우 온라인 접속자에게는 주문한 상품의 내역을 전송하여 주문 내역을 확인하고, 오프라인 접속자에게는 선택한 상품의 상품 코드를 확인하여 주문 상품과 주문자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주문 상품과 주문자에 대한 정보를 주문 상품 수령지의 지역에 위치하는 가맹점에 오프라인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및 주문 상품과 주문자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품 수령지의 지역에 위치하는 가맹점에서 상품 주문자에게 상품을 배송한 후 상품 대금을 결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구매 가능한 상품목록을 포함하는 간행물은 상품의 고유 코드와 상품의 단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쇼핑몰 이용자의 상품 주문시 회원인 경우는 그대로 진행하고, 회원이 아닌 경우에는 개인정보에 대한 별도의 확인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주문 상품의 정보는 주문한 상품명, 주문 상품의 수량 및 주문 상품의 단가를 포함하며, 주문자 정보는 상품 주문자의 주소, 연락처 및 주문 상품의수령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방법을 보인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방법을 보인 전체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방법을 보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쇼핑몰 20. 고객(구매자)
30. 가맹점
본 발명의 설명하기에 앞서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될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 인터넷(온라인) 접속자, 오프라인 접속자,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 및 상품의 주문자는 본 발명을 설명할 때 상황에 따라 상품 구매 고객의 표현을 달리한 것일 뿐 쇼핑몰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려는 고객이라는 점에서는 동일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될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 인터넷 접속자, 오프라인 접속자,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 및 상품의 주문자의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표기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방법을 보인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방법을 보인 전체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구매하려는 고객(20), 고객(20)과 상품을 판매하려는 가맹점(30)을 연결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쇼핑몰(10) 및 주문 상품을 배송하고 판매하는 가맹점(30)이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과 전화기나팩스를 기반으로 하는 오프라인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즉, 고객(20)과 쇼핑몰(10) 간에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과 전화를 기반으로 하는 오프라인이 연결되고, 쇼핑몰(10)과 가맹점(30) 간에는 팩스를 기반으로 하는 오프라인이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과 전화기나 팩스를 기반으로 하는 오프라인을 통해 고객(20), 쇼핑몰(10) 및 가맹점(3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접속자(20)에게 제공하기 위한 상품 정보 제공 서버의 구축과 오프라인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려는 고객(20)에게 삼품의 목록을 제공하기 위한 간행물이 배포되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구성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한 상품의 주문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과 전화기나 팩스를 기반으로 하는 오프라인 접속자(20)에게 구매 가능한 상품의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터넷(온라인)을 통해 접속한 고객(20)에게는 구매 가능한 상품목록을 포함하는 웹페이지를 전송하여 상품의 정보를 제공하고, 오프라인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려는 고객(20)에게는 구매 가능한 상품목록을 포함하는 간행물을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20)들이 볼 수 있도록 공공장소에 배포하여 상품의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방법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가맹점(30)을 모집하는단계(S100), 모집된 가맹점(30)을 데이터 베이스화 하는 단계(S110), 간행물을 공공장소에 배포하는 단계(S120),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회원을 모집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하는 단계(S130), 상품의 주문을 받는 단계(S140), 주문 상품과 주문자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150), 주문 상품과 주문자에 대한 정보를 가맹점에 오프라인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S160) 및 가맹점(30)에서 상품 주문자(20)에게 상품을 배송한 후 상품 대금을 결재하는 단계(S170)로 요약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방법은 먼저, 쇼핑몰(10)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가맹점(30)을 모집하게 된다.(S100) 이때, 가맹점(30)의 모집은 문구류를 판매하는 소규모 문구 점포의 연합체인 사단법인 전국 문구인 연합회와 같은 전국적인 연합체를 통해서 모집할 수도 있다.
가맹점(30)을 모집한 후에는 전국 지역별 읍, 동 단위까지 세분화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한다.(S110) 이때, 가맹점(30)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에는 각 가맹점의 주소, 상호, 대표자 성명, 전화번호 및 팩스번호 등이 포함된다.
가맹점(30)을 모집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한 후에는 쇼핑몰(10)에서 구매 가능한 상품목록을 포함하는 간행물을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들이 볼 수 있도록 공공장소에 배포하게 된다.(S120)
상품목록이 수록된 간행물을 배포하는 것은 인터넷 환경이 구축되지 않은 고객(20)이 오프라인(전화)을 통해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간행물에는 상품의 상품명을 포함한 상품의 특징, 가격 및 상품 고유의 코드가 기록된다. 따라서, 오프라인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고객은 공공장소 등에 비치된 상품목록 간행물에 기록된 상품코드를 보고 구매를 하게 된다.
상품목록 간행물은 모집된 가맹점(30)이 상품 판매활동 주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쇼핑몰(10)에 가입된 가맹점(30) 지역의 공공장소 모두에 배포되어야 하며, 이러한 상품목록 간행물의 제작과 배포는 상품 판매의 중계 역할을 하는 쇼핑몰(10)에서 담당하게 된다.
상품목록 간행물을 각각의 지역에 배포한 후에는 쇼핑몰(10)을 이용하여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회원을 모집하여 회원 고유의 ID와 비밀번호를 제공한 후 회원의 개인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 하게 된다.(S130) 이는 상품의 정확하고 신속한 배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회원이 아닌 경우 상품의 구매시마다 개인정보를 확인하여야 하는 절차를 생략함으로써 상품의 구매 고객(20)과 쇼핑몰(10)간의 번거로움을 방지하는 하나의 방편이 될 수도 있다.
회원의 개인정보에는 회원의 성명, 주소, 나이, 성별, 직업, 기혼여부 및 취미 등의 개인의 신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품 정보 제공 서버, 온라인 및 오프라인 시스템의 구성과 상품목록 간행물을 배포한 상태에서 상품을 판매할 가맹점(30)과 상품을 구매할 회원을 모집하여 데이터 베이스화함으로써 상품의 상거래 준비단계는 완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품의 상거래 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쇼핑몰 이용자(20)가 쇼핑몰(10)에 접속하는 경우 온라인을 이용한 접속자(20)에게는 구매 가능한 상품의 목록을 포함하는 웹페이지를 전송하고, 오프라인 접속자(20)에게는 상품의코드를 질의하여 상품을 주문 받게 된다.(S140)
즉, 쇼핑몰(10)의 회원이 쇼핑몰(10)의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상품 정보 제공 서버를 통해서 온라인 접속자(20)의 모니터 상에 웹페이지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하고, 전화기를 통한 오프라인 접속자(20)에게는 주문할 상품의 코드를 질의 하게 된다.
전술한 웹페이지는 상품의 상품명, 상품의 사진, 상품의 제원, 제조사, 가격 및 상품의 코드 등 상품의 상세 정보를 포함한 것으로, 아이콘화된 상품의 사진을 클릭함으로써 클릭한 상품의 상세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한 형태의 웹페이지이다.
한편, 오프라인을 이용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상품 구매자(20)는 통상의 오프라인인 전화기를 이용하여 쇼핑몰(10)의 교환요원이나 자동응답시스템을 통해 상품을 주문하게 된다.
쇼핑몰 이용자(20)의 상품 주문에 의해 주문 상품이 현재 거래 가능한지 아닌지를 확인하여 주문 상품이 거래 불능일 경우에는 이를 주문자(20)에게 통보하여 재주문 신청을 요구하고, 주문 상품이 거래 가능한 경우 온라인 접속자(20)에게는 주문한 상품의 내역을 전송하여 주문 내역을 확인하고, 오프라인 접속자(20)에게는 선택한 상품의 상품 코드를 확인하여 주문 상품과 주문자의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S150)
전술한 온라인 상으로 전송되는 주문 내역에는 주문 상품의 품명, 수량, 가격, 주문 상품의 수령 주소 및 주문 상품의 수령인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주문 내역은 주문한 사실 관계를 다시한번 확인하는 절차라 할 수 있다.
한편, 오프라인 접속자(20)의 상품 주문에 대한 확인 절차는 쇼핑몰의 교환요원이나 자동응답시스템을 통해 질의하여 주문한 상품과 주문자의 정보를 확인하는 절차를 밟게 된다.
주문 상품과 주문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후 쇼핑몰(10)은 가맹점의 데이터 조회를 통해 상품 주문자(20)의 주소지(상품 수령지) 최근거리에 위치하는 가맹점(30)을 선정하여 주문 상품과 주문자(20)에 대한 정보가 기재된 문서를 팩스를 통해 선정한 가맹점(30)에 발송하게 된다.(S160)
전술한 문서의 주문 상품 정보는 주문한 상품명, 주문 상품의 수량 및 주문 상품의 단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주문자 정보는 상품 주문자의 주소, 연락처 및 주문 상품의 수령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쇼핑몰(10)로부터 주문 상품과 주문자에 대한 정보를 받은 현지의 가맹점(30)은 주문 상품과 주문자(20)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품 주문자(20)에게 상품을 배송하고, 상품 대금의 결재를 하게 된다.(S170) 즉, 상품의 주문자(20)는 주문한 상품을 상품의 판매자인 가맹점(30)으로부터 인수 받을 때, 상품의 대금 결재가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문 상품의 배송이 완료되고, 상품의 대금결재가 이루어지면 쇼핑몰(30)은 정보 제공의 대가로 가맹점(30)으로부터 정보 제공에 대한 수수료를 받게 된다.
즉, 쇼핑몰(10)은 불특정 다수의 고객(20)에게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대가로써 판매한 가맹점으로부터 일정 수수료를 받게 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1, 도 2 및 도 4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한 시스템이 구축된 상태에서 구매 고객(20)이 쇼핑몰(10)에 접속하게 되면(S200), 온라인 접속자에게는 상품 정보 제공 서버를 통해 상품목록을 포함하는 웹페이지를 접속자(20)에게 전송하고, 오프라인 접속자(20)에게는 구매할 상품 코드를 질의하게 된다.(S210) 이때, 전송된 웹페이지는 접속자(20)의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 되어 상품의 목록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접속자(20)로부터 상품의 주문이 있게 되면(S220), 쇼핑몰(10)은 주문 상품의 현재 거래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거래 불능일 때는 이를 상품 주문자(20)에게 통보하고, 재주문할 것을 요구하게 된다.(S230)
한편, 주문 상품의 현재 거래 가능한 품목일 경우에는 쇼핑몰(10)은 주문된 상품에 대한 품명, 수량, 가격, 주문 상품의 수령 주소 및 주문 상품의 수령인이 맞는지를 확인하는 절차를 밟게 된다.(S240)
주문된 상품에 대한 품명, 수량, 가격, 주문 상품의 수령 주소 및 주문 상품의 수령인이 틀리면 단계(S240)으로 되돌아가서 확인절차를 다시 밟고, 맞으면 수령인이 맞으면 다음 단계로 진행하게 된다.(S250)
주문한 상품이 맞는 경우 오프라인을 통해 주문 상품 및 주문자 정보를 포함한 문서를 상품 주문자(20)의 최근거리에 위치하는 가맹점(30)으로 전송한 후 수신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S260, S270)
주문 상품 및 주문자 정보를 포함한 문서를 쇼핑몰(10)로부터 수신한 가맹점(30)은 해당 주문 상품을 배송한 후 대금결제를 하게 되면 상품의 거래가 이루어진다.(S280)
전술한 바와 같이 주문 상품을 주문자의 최근거리에 위치하는 가맹점에서 배송한 후 대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최단시간에 상품을 인도할 수 있음은 물론, 상품을 판매하는 가맹점에서 배송을 하여 주문자에게 방문을 하기 때문에 주문 상품의 확인이 용이하다.
또한, 물류창고나 배송수단을 확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가격을 저렴하게 판매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 이외에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함으로써 인터넷 환경으로부터 소외된 오프라인 사용자들의 구매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판매활동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생존의 위협을 받고 있는 소규모 점포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의 주문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한 주문이 가능하게 함은 물론, 주문 상품의 배송은 주문 상품 수령지의 최근거리에 있는 가맹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단시간의 빠른 배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물류 및 주문 상품의 배송은 주문 상품 수령지의 최근거리에 있는 가맹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물류창고 및 배송수단을 확보함으로써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시켜 상품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기존의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연결함으로써 기존의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쇼핑몰 및 기존에 형성된 소규모 점포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 이외에 주문 상품 수령지의 최근거리에 있는 가맹점에서 주문 상품을 방문 판매한 후 대금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문 상품의 확인이 용이하다.

Claims (5)

  1. 쇼핑몰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가맹점을 모집하는 단계;
    상기 모집된 가맹점을 세분화하여 지역별로 데이터 베이스화 하는 단계;
    상기 쇼핑몰에서 구매 가능한 상품목록을 포함하는 간행물을 불특정 다수의 이용자들이 볼 수 있도록 공공장소에 배포하는 단계;
    상기 쇼핑몰을 이용하여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회원을 모집하여 회원 고유의 ID와 비밀번호를 제공한 후 회원의 개인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 하는 단계;
    상기 쇼핑몰 이용자가 쇼핑몰에 접속하는 경우 온라인 접속자에게는 구매 가능한 상품의 목록을 포함하는 웹페이지를 전송하고, 오프라인 접속자에게는 상품의 코드를 질의하여 상품을 주문 받는 단계;
    상기 쇼핑몰 이용자의 상품 주문에 의해 주문 상품이 현재 거래 가능한지 아닌지를 확인하여 주문 상품이 거래 불능일 경우에는 이를 주문자에게 통보하고, 상기 주문 상품이 거래 가능한 경우 온라인 접속자에게는 주문한 상품의 내역을 전송하여 주문 내역을 확인하고, 상기 오프라인 접속자에게는 선택한 상품의 상품 코드를 확인하여 주문 상품과 주문자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주문 상품과 주문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주문 상품 수령지의 지역에 위치하는 가맹점에 오프라인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주문 상품과 주문자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품 수령지의 지역에 위치하는 가맹점에서 상기 상품 주문자에게 상품을 배송한 후 상품 대금을 결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 가능한 상품목록을 포함하는 간행물은 상품의 고유 코드와 상품의 단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 이용자의 상품 주문시 회원인 경우는 그대로 진행하고, 회원이 아닌 경우에는 개인정보에 대한 별도의 확인절차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상품의 정보는 주문한 상품명, 주문 상품의 수량 및 주문 상품의 단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자 정보는 상품 주문자의 주소, 연락처 및 주문 상품의 수령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방법.
KR1020000026740A 2000-05-18 2000-05-18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전자상거래 방법 KR200101058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740A KR20010105800A (ko) 2000-05-18 2000-05-18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전자상거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740A KR20010105800A (ko) 2000-05-18 2000-05-18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전자상거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800A true KR20010105800A (ko) 2001-11-29

Family

ID=19669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740A KR20010105800A (ko) 2000-05-18 2000-05-18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전자상거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5800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714A (ko) * 2000-06-22 2000-10-05 임철희 전국적인 프랜차이즈 형태를 취한 전자상거래의 네트워크
KR20000058939A (ko) * 2000-07-06 2000-10-05 이재학 광역유통망을 이용한 소비자와 소비자간의 전자상거래시스템
KR20010067806A (ko) * 2001-03-29 2001-07-13 정상원 가맹업소에 비치된 카탈로그와 온라인을 통한상품판매시스템의 운영방법
KR20010074593A (ko) * 2001-05-09 2001-08-04 임세원 택시를 활용한 가전제품 판매방법
KR20010079085A (ko) * 2001-06-12 2001-08-22 이승희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마트의 운영
KR20030004739A (ko) * 2001-07-06 2003-01-15 엘지칼텍스정유(주)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지역 커뮤니티 지점을 이용한온라인 물품 판매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법 및 그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KR20050045114A (ko) * 2003-11-10 2005-05-17 주식회사 세이퍼컴퓨터 오프라인 대리점을 연계한 온라인 쇼핑 운영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714A (ko) * 2000-06-22 2000-10-05 임철희 전국적인 프랜차이즈 형태를 취한 전자상거래의 네트워크
KR20000058939A (ko) * 2000-07-06 2000-10-05 이재학 광역유통망을 이용한 소비자와 소비자간의 전자상거래시스템
KR20010067806A (ko) * 2001-03-29 2001-07-13 정상원 가맹업소에 비치된 카탈로그와 온라인을 통한상품판매시스템의 운영방법
KR20010074593A (ko) * 2001-05-09 2001-08-04 임세원 택시를 활용한 가전제품 판매방법
KR20010079085A (ko) * 2001-06-12 2001-08-22 이승희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마트의 운영
KR20030004739A (ko) * 2001-07-06 2003-01-15 엘지칼텍스정유(주)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지역 커뮤니티 지점을 이용한온라인 물품 판매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법 및 그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KR20050045114A (ko) * 2003-11-10 2005-05-17 주식회사 세이퍼컴퓨터 오프라인 대리점을 연계한 온라인 쇼핑 운영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70868B2 (ja) 複数のユーザーを有するネットワーク上で金の支払いを処理する方法
US7376572B2 (en) Return centers with rules-based dispositioning of merchandise
US8447658B2 (en) Electronic bearer bond online transaction system
US8224707B1 (en) Social network for shopping
US200302044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anonymous transactions
EP2179388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business suited for conventional retailing
US20030130959A1 (en) Closed loop electronic factoring
EP1313047A1 (en) Commodity selling or buying method using network
KR100354237B1 (ko) 전자 상거래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105800A (ko)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상품을 판매하는전자상거래 방법
KR20020005840A (ko) 인터넷을 통한 입찰을 이용한 공동구매 방법
KR20050055458A (ko)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쇼핑몰과 배송시스템
JP2001350955A (ja) 取引仲介システム及び取引仲介方法
KR20010097213A (ko) 네트워크를 통한 공동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58841A (ko) 인터넷을 이용한 화장품 쇼핑몰 운영 방법
KR20010073774A (ko) 중개주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24387A (ko) 아이템거래중개방법 및 아이템거래중개시스템
KR20010069525A (ko) 메신저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매매보호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과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010076644A (ko) 전자우편주소를 이용한 상품권 판매방법
KR100431931B1 (ko) 네트워크를 통한 영업인간의 조건부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032689A (ja) 通信回線による売買方法
JP2002049858A (ja) ホームページを利用した決済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2007767A (ja) 商品販売支援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商品販売支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3242392A (ja) 種々の取引関係を有する複数の異なる商品供給者に対して通信網を通して商品を発注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ソフトウェア製品
KR20010086634A (ko) 신속하면서도 저가의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전자상거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