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4323A - 고기능성 흡수 구조물 - Google Patents

고기능성 흡수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4323A
KR20010104323A KR1020017008689A KR20017008689A KR20010104323A KR 20010104323 A KR20010104323 A KR 20010104323A KR 1020017008689 A KR1020017008689 A KR 1020017008689A KR 20017008689 A KR20017008689 A KR 20017008689A KR 20010104323 A KR20010104323 A KR 20010104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ly
fibers
absorbent structur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이세크케이. 더트키에비츠
산제이 와할
리안케이 후드
브라이언이. 보메르
존피. 어스파머
Original Assignee
비케이아이 홀딩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케이아이 홀딩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비케이아이 홀딩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10104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432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impregnant, bonding, or embedding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Sheet including cover or casing
    • Y10T428/239Complete cover or ca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47Including a foamed layer or component
    • Y10T442/652Nonwoven fabric is coated, impregnated, or autogenously bonded
    • Y10T442/653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other than 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9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9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 Y10T442/673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other than fiber

Abstract

본 발명은 습윤강도 4.0kN/gsm 이상, 연성도 8.0/J 이상 및 유연도 70/N 이상이고 실질적으로 다량의 액체를 수용한 후에도 건조한 액체수용면을 제공하는 흡수 구조물을 발표한다. 이 구조물은 상부 액체수용면 및 하부면을 구비하고 i) 결합제와 결합한 약 2 내지 15mm 길이의 합성 매트릭스 섬유를 포함하는 상부층(6); ii) 상부층(6)과 유체소통되고 천연섬유, 초흡수 입자 및 결합제를 포함하는 중간층(8); 및 iii) 중간층(8)과 유체소통되고 천연섬유와 결합제를 포함하는 하부층(10)으로 구성된 상부 플라이(2)를 포함한다. 또한 상부 플라이(2)와 유체소통되고, 표면 및 저면을 구비하며 천연섬유, 초흡수 고분자 입자 및 결합제를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13)을 포함하는 하부 플라이(4)를 포함한다. 상부 플라이(2)의 저면은 하부 플라이(4) 표면적의 80% 이하이다.

Description

고기능성 흡수 구조물 {HIGH-PERFORMANCE ABSORBENT STRUCTURE}
(관련 출원에 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 내에 완전히 삽입된, 1999년 1월 11일 출원된 미합중국 가출원 제 60/116,036호에 대하여 35 U.S.C.§119에 의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흡수 구조물은 아기 기저귀, 성인용 요실금 방지품 및 생리대 같은 광범위한 1회용 흡수제품에 중요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들 및 기타의 흡수제품은 일반적으로 체액을 수용 및 보유할 흡수핵을 구비한다. 흡수핵은 대체로 액체가 핵쪽으로 통과할 수 있게 하는 액체 침투성 상부시트 및 액체를 함유하고 제품 밖으로 흘러 사용자의 의복에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백시트 사이에 샌드위치 삽입되어 있다.
기저귀 및 요실금패드의 흡수핵은 섬유성 뱃(batt) 혹은 섬유제거 처리되고,느슨하며 보풀이 있고, 친수성인 셀룰로오스 섬유재로 된 웨브를 포함한다. 코어는 또한 초흡수성 고분자("SAP") 입자, 입상체, 플레이크 혹은 섬유 (모두 "입자"라고 함)를 포함할 수 있다.
근래 수년간, 더 얇고 더 편안한 흡수제품에 대한 시장수요가 증가해왔다. 이러한 제품은 기저귀 핵 두께를 줄이고, SAP입자의 양을 증가시키며, 핵을 캘린더링 혹은 압축하여 캘리퍼를 줄이고 밀도를 증가시키면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고밀도 핵은 코어 고밀도화에 따라 기공크기가 축소되므로 저밀도 핵처럼 신속히 액체를 흡수할 수 없다. 따라서, 적절한 액체흡수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밀도 흡수핵 보다 큰 기공크기를 갖는 저밀도층을 제공하여 흡수제품에 배출되는 액체의 흡수율을 증가시켜야만 한다. 저밀도층은 흡수층라고 하는 것이 보통이다. 복수층 흡수핵으로 설계하는 일은 더 복잡한 생산공정을 수반한다.
예컨대, 1회용 기저귀의 보유층 부분은 느슨하고 보풀 있는 셀룰로오스로부터 전환과정을 거치면서 적합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셀룰로오스 재료는 섬유간 결합 혹은 장애물의 결핍으로 인하여 흡수패드-제조장치 상에 직접 펼쳐지거나 꽃 장식이 해체되고 이 장치로 취급하기에 불충분한 웨브 강도를 나타내므로 사전 형성된 시트형으로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초슬림형 생리대 같은 흡수제품은 부직재료로 된 로울 제품으로 생산된다. 이러한 사전형성된 흡수핵 재료의 로울 제품을 흡수제품 전환장치에 대한 공급물로써 보풀형 제품 즉 기저귀와 요실금 방지품 등에 필요한 섬유제거단계 없이 직접 펼침처리된다. 부직포 웨브는 전형적으로 전환공정에서 취급되기에 충분한 강도를제공하는 형태로 결합 혹은 통합된다. 이러한 부직포 웨브로 제작된 흡수구조물은 SAP 입자를 함유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물은 다량의 혹은 갑작스런 체액 배출을 흡수 수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충분치 못한 경우가 종종 있다. 이 경우, 1장의 시트형 흡수재료는 흡수핵의 길이 방향으로 분배되지 않기 때문에 흡수핵을 완전히 활용하지 못하며 결국, 이러한 흡수핵 부위는 사용치 못하고 남게 된다.
사전성형 코어의 제작을 위해 로울형 제품에 사용되는 웨브 통합작업 메카니즘에 대한 접근에 따라 웨브에 강도 및 치수안정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메카니즘은 라텍스결합, 열가소성 혹은 2성분계 섬유나 열가소성 분체와의 결합, 물에 의한 엉킴현상(hydroentanglement), 니들펀칭, 보풀형성 등의 현상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작용에 의해 생성된 물질은 상당히 딱딱한 코어를 형성하므로 인체, 특히 착용감이 좋고 다량의 체액을 흡수하는 용도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다.
흡수핵의 유연성과 연성도는 흡수핵이 인체 혹은 흡수제품의 다른 부분(예, 또다른 흡수 플라이 등)의 형태에 맞게 쉽게 적응될 수 있는 정도의 값이어야 한다. 이에 의해 흡수제품과 인체 혹은 제품의 여러 부분들 간에 틈새나 채널을 형성하지 않게 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액이 누출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이 일어날 것이다.
흡수핵의 강도는 제품 사용시 흡수핵이 변형하지 않고 불연속성을 나타내지 않을 정도의 값이어야 한다. 이러한 변형 및 불연속성은 전체 흡수력 및 흡수용량의 감소를 유도하고 원치않는 누출현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종래의 흡수 구조물은 유연성, 강도, 흡수성 및 흡수용량의 프로파일 등에서 하나이상의 결함이 있었다. 예컨대, 통용되는 코어(보풀형 펄프)는 우수한 유연성 및 연성도 때문에 적응성이 양호했으나 집중성이 약해 사용시 쉽게 해체되기도 한다. 또다른 예로써, 0.35g/cc 이상의 치밀화된 셀룰로오스 보풀형 펄프로 제작된 에어레이드 코어는 건조시의 강도가 우수하나 습윤강도 및 적응도가 좋지않다.
본 발명의 흡수재료는 x-방향 보유 프로파일, 적응도 및 강도의 탁월한 복합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복합적 특성은 우수한 액체흡수력 및 함유력을 제공하고 또한 편안한 착용감을 증대하며 누출의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이 흡수재료의 강도개선에 따라 변형의 우려가 적고 액체에 노출된 사용자의 피부를 보호해주는 효과도 더 우수하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약 4.0kN/gsm 이상의 습윤강도, 8.0/J의 연성강도, 70/N 이상의 유연성과 또한 실질적으로 다량을 액체를 수용한 후에도 건조한 상태로 유지되는 액수용면을 제공하는 흡수구조물에 관계한다. 구조물은 상부 액수용면 및 하부표면을 갖추고 또한 결합제과 결합한 합성 매트릭스 섬유를 포함하고 이 매트릭스 섬유가 2 내지 15mm 길이를 갖는 상층; 상층과 유체소통하고 천연섬유, 초흡수 입자 및 결합제를 함유하는 중간층; 및 중간층과 유체소통하고 천연섬유 및 결합제를 함유하는 하층을 포함하는 상부 플라이을 구비한다. 이 구조물은 또한 상부 플라이과 유체소통하고, 상하면을 갖추며, 또한 천연섬유, 초흡수 고분자 입자 및 결합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하부 플라이를 더 포함한다. 상부 플라이의 저면은 이것의 상부 표면적의 80% 이하에 해당하는 표면을 갖는다.
본 발명은 아기 기저귀, 성인용 요실금 방지품, 생리대 등의 흡수제품에 유용한 고용량, 박층형 및 고적응성 흡수 구조물에 관계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매트릭스 섬유, 결합제 및 초흡수성 고분자를 함유하고 X-방향 유체 보유 프로파일을 구비한 흡수 구조물에 관계하는 것이다.
도 1은 상부 및 하부 흡수 플라이를 구비한 본 발명의 흡수 구조물을 도시하고;
도 2는 갈릴레이 시험기에 사용되는 변형 클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3은 연성도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출원의 내용에 관련된 참조문헌을 수록하며, 용어 상의 불일치가 있을 때는 출원서의 설명을 기준한다.
본 발명은 결합형 흡수재료로 된 2개 이상의 플라이를 구비하는 흡수구조물을 포함하며 이 플라이는 서로 유체소통하고 있다. 도 1에서, 구조물은 (a) 3개의 층(6),(8) 및 (10)을 갖춘 짧은 상부 플라이(2); 및 (b) 긴, 하부 흡수 플라이(4)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부 플라이(2)의 하부면의 표면적은 이 플라이의 상부면의 표면적의 80% 이하이다. 이 조립물은 흡수재료의 수용량 및 용도 측면에서 사용자가 흡수제품을 사용함에 있어서 단일-플라이 코어 구조보다 더욱 바람직한 장점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2개 플라이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얻는 장점은 인체에서 배출되는 액이 주로 흡수핵의 앞쪽(16) 및 중간부(18)에 닿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액의 배출이 핵에 손상을 주는 부위에 더 큰 흡수용량을 제공한다. 또한, 상부 플라이(2)의 전체밀도는 하부 플라이(4)의 것 보다 낮다. 밀도차이로 인해 플라이 사이의 모세관 장력구배에 따라 상부 플라이에서 하부 플라이까지 액의 흐름이 연장되기 때문에 액흡수력 및 재습윤력이 향상된다.
상부 및 하부 플라이는 모두 결합제와 SAP 입자를 함유한다. 일반적으로, 상부 플라이는 하부 플라이보다 더 큰 SAP 농도를 가지며 하부 플라이는 이판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30%의 SAP를 함유한다. 고 SAP 입자 농도이면 흡수구조물 내에서의 흡수용량 및 액체 보유력이 높다. 다른 한편으로, 상부 플라이의 SAP 입자 농도가 낮으면 흡수구조물 중 이들 부분의 겔차단력(하부 플라이으로의 유체 흐름 방해를 유도하는)을 피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SAP 입자는 섬유 및 결합제의 매트릭스 내에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또는, SAP 입자가 구조물 내의 간헐적 위치 혹은 영역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SAP 입자는 흡수핵을 따라 좁은 레인(20)내에 위치하기도 한다. SAP 입자 레인은 그 뒤 결합제와 연결된 섬유레인(22)으로 분리된다. SAP 입자들의 불연속 위치 때문에 입자함유력이 더 향상되며, SAP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으므로 Z-방향으로의 액체 유동을 촉진할 수 있고 또한 핵의 길이(X-방향)를 따라 더 용이한 흐름 및 위킹 현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SAP가 거의 혹은 전혀 없는 부위는 또한 통합성을 강화하기 위해 밀집화 하며 더 작은 기공 내에서 더 큰 모세관 장력을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밀집화처리는 흡수구조물 길이 방향으로 실행한다. 이러한 재료의 유연성은 따라서 Y-방향(핵을 횡단하는)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흡수구조물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흡수구조물은 상부(2) 및 하부 플라이(4)을 포함한다. 상부 플라이(2)은 3개의 층(6),(8) 및 (10)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에어레이드(airlaid) 구조로 된다.상층(6)은 50-99 중량%의 습윤성 합성섬유 바람직하게는 75-90%의 합성섬유를 함유하는 저밀도 흡수층이며 나머지는 결합재료로 구성된다. 하부의 층보다 비교적 저밀도, 큰 기공크기 및 저습윤성을 갖기 때문에, 상층(6)은 기본적으로 수성액 위킹 능력을 갖지않는다. 유체는 습윤성이 더 우수하고 기공크기는 작으며 고밀도인 하부층 방향으로 쉽게 위킹된다. 상층(6)은 2-30 데니어, 바람직하게는 6-15 데니어의 두께를 갖는 합성섬유를 포함한다. 합성섬유의 길이는 2 내지 15mm,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2mm 이다. 경우에 따라, 섬유는 권축처리하고 다양한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플라이(2)의 상층(8)은 20 내지 120gsm (그램/미터2),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gsm의 기본중량을 갖는다.
상부 플라이(2)의 중간층(8)은 주로 천연섬유로 구성되며 또한 SAP 입자를 함유한다. SAP 입자 함량은 상부 플라이(2)의 5 내지 60 중량%이다. 중간층의 기본중량은 50 내지 1000gsm(그램/미터2),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300gsm 이다. 중간층은 적절한 결합제를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결합제는 중간층(8)에 기준하여 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2성분계 열가소성 섬유이다.
상부 플라이(2)의 하부층(10)은 결합된 천연섬유를 포함한다. 이 층은 예를 들어 통상 제지 공정에서 이용되는 결합제와 결합한 습식-층적(wet-laid)된 셀룰로오스 조직이다. 필요시, 이 조직은 하나이상의 열활성 결합제, 예컨대 웨브 경화처리시 활성화되고 및 그 후 조직을 그 위의 층과 결합시킬 2성분계 결합제 섬유를함유할 수 있다. 상부 플라이의 하층은 또한 상부 플라이 형성과정에서 예컨대 결합된 에어레이드 층으로써 형성되기도 한다. 적절한 결합제를 사용하여 층(10)을 결합시킨다. 예컨대, 결합제 섬유를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하층(10)에 3-15 중량%, 바람직하게는 5-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다른 결합제로써 습식제지공정에서 통용되는 라텍스계 결합제나 수분산성 결합제도 적합한다. 층(10)은 10 내지 200gsm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90gsm의 기본중량을 갖는다.
하부 흡수 플라이(4)은 천연섬유 및 SAP 입자의 결합구조물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플라이(4)의 SAP양(중량%)은 상부 플라이(2)의 SAP 양보다 크다. 하부 플라이는 30 내지 80중량% 특히 40 내지 60중량%의 SAP 입자를 함유한다.
필요하다면, 하부 플라이(4)은 층(13) 및 그 이하의 층에서 SAP 입자 함유량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해 결합된 천연섬유가 들어있는 상층(12)을 함유할 수 있다. 적절한 결합제는 하부 플라이의 구조를 결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결합섬유를 사용할 경우 하부 플라이에 대해 1 내지 8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중량% 정도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하부 플라이(4)는 상부 플라이(2)의 전체 밀도보다 더 높은 밀도값을 갖는다. 하부 플라이의 밀도는 0.1 내지 0.35 g/cc(1cm 입방체 당 그람수)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0.25g/cc 이다. 0.35g/cc 이상의 밀도는 치밀구조에서발견되는 적응성 감소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하부 플라이의 기본중량은 100 내지 1000gsm,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400gsm 정도이다.
본 발명의 흡수 구조물은 다양한 성형법 및 천연섬유와 합성섬유, 각종 SAP입자, 섬유, 분말 혹은 액체 등을 포함한 다른 종류의 결합제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연섬유의 예를 들면; 면, 연목 및/또는 경목 펄프 등으로 제조한 보풀형 셀룰로오스 섬유, 짚, 키이프 섬유, 화학, 기계적 및/또는 열처리에 의해 변성된 셀룰로오스 섬유, 깃털에서 얻은 섬유, 셀룰로오스, 키틴 및 케라틴 같은 천연고분자로 제조한 인조 스테이플 섬유 등이다. 적절한 합성 매트릭스 섬유의 예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셀룰로오스 아세테리트 및 레이온 섬유를 포함한다. 폴리올레핀 같은 소수성 합성섬유는 계면활성제로 표면처리하여 습윤성을 개선해야 한다.
미국특허 제5,147,343호; 제5,378,528호; 제5,795,439호; 제5,807,916호 및 제5,849,211호 등은 다양한 초흡수 고분자 및 그의 제조방법을 발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SAP 입자 종류는 불규칙 입자, 구형입자, 스테이플 섬유 및 기타 길죽한 입자 등 초흡수성 고분자 입상체를 포함한다. "초흡수 고분자" 혹은 "SAP"는 교차결합된 정상적인 수용성 고분자를 말한다. 하이드로겔-형성 물질, 지금은 보통 초흡수성 물질 혹은 SAP라고 하는 물질을 생성하는 카르복실산 고분자전해질 같은 수용성 고분자를 제조하는 공지방법이 있으며 이러한 물질은 1회용 흡수제품의 흡수력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초흡수성 고분자를 수득하기 위해 카르복실산 고분자전해질을 교차결합시키는 방법도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행에 유리한 SAP 입자는 다수의 생산업체로서, 다우케미칼(미들랜드, 미시간), 스톡하우젠(그린스보로, 노스캐롤라이나) 및 켐달(알링턴 하이츠, 일리노이즈) 등에서 생산 시판하고 있다. 종래의 입상형 초흡수성 고분자 중 하나는 다수의 다관능성 코모노모 교차결합제를 이용한 중합반응 중 교차결합된 폴리(아크릴산)에 기초한 것으로 이미 공지되었다. 다관능성 교차결합제의 예는 미국특허 제2,929,154호; 제3,224,986호; 제3,332,909호; 및 제4,076,673호 등에서 개시하였다. 다른 수용성 고분자전해질로서 교차결합에 의해 초흡수성 물질의 제조에 유리한 것은 카르복실메틸 전분, 카르복시에틸 셀룰로오스, 키토산염, 젤라틴염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통상적으로 저 흡수율 혹은 고비용 때문에 1회용 흡수제품의 흡수력을 개선하기 위해 대량으로 사용하는 물질이 아니다.
본 발명의 흡수 구조물에 유리한 결합제는 고체 혹은 액상형 고분자 결합제를 포함한다. "고분자 결합제"는 플라이의 통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매트릭스 섬유 사이의 섬유간 결합을 생성할 수 있는 화합물이다. 동시에, 결합제는 섬유와 SAP 입자를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자연 혹은 합성 탄성중합체 라텍스 분산물을 결합제로 사용하기도 한다. 적절한 라텍스 결합제의 예는 아크릴레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및 스티렌-부타디엔의 고분자 및 공중합체이다. 공지된 열가소성 섬유 혹은 분말은 또한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섬유나 분말의 융점까지 흡수 구조물의 가열시 결합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흡수 구조물을 안정화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다른 것으로는 셀룰로오스 섬유를 결합시키는데 이용되는 결합제가 있다. 이러한 결합제는 섬유성 웨브에 도포된 후 경화 및 섬유간 혹은 섬유와 SAP 입자 사이에 결합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물에 분산되는 고분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결합제의예는 교차결합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다양한 양이온성 전분 유도체 및 합성 양이온성 고분자로서 폴리아미드-폴리아민 에피클로로히드린 내전제, 양이온 전분, 디알데히드 전분 및 유사물질을 들 수 있다. 상술한 고분자형 결합제의 조합물을 본 발명의 구조 안정화에 사용할 수 있다. 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결합제는 10중량% 이하의 SAP 입자를 함유하는 결합성 섬유이다. 또다른 본 발명의 예에서, 결합제 섬유는 7중량%의 흡수 구조물을 함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강도"는 중량단위를 기준한 섬유성 시트의 인장강도의 측정대상이며 1gsm 중량단위당 1인치 폭의 시트 샘플을 파괴할 때 필요한 x-방향의 힘의 단위(킬로뉴턴, kN)로 표시한다. 흡수성 핵 혹은 통상의 흡수성 제품의 습윤강도(습윤 인장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다음의 절차에 따른다:
1. 1인치 x 4인치 크기 샘플을 준비한다. 정확한 기계방향 및 횡단방향의 샘플의 경우 4-인치크기로 기계방향으로 절단한다.
2. 분리형 플라스틱 백시트, 커버재 혹은 합성 흡수재료를 제거하고 핵만 남긴다.
3. 샘플의 무게를 잰다. 0.9% 염수액을 샘플무게 2배에 해당하는 양으로 샘플 중심에 피펫이나 분무병을 이용하여 가한다. (실시예; 샘플무게 1.00g. 2.00g의 염수를 가하여 총 3.00g으로 만든다).
4. 가압식 클램프를 이용하여 샘플을 인장시험기에 삽입한다. (예를 들어, 트위그-알버트 LT-150 유니버설 재료시험기의 경우 디폴트 소프트웨어 설정을 시험시 이용한다).
5. 시험을 개시한다.
6. 시험이 끝나면 표시된 결과를 기록한다. 이 결과는 정점에서의 강도, 신장률, 최대 신장률, 정점에서의 에너지, 최대에너지 등을 포함한다.
습윤강도는 상기 절차에서 사용하여 측정된 정점에서의 강도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흡수 구조물은 4.0kN/gsm 이상 바람직하게는 6.0kN/gsm 이상이다.
흡수 구조물의 연성도는 구조물의 전체 적합성에 기여하는 중요한 변수이다. 여기서 "연성도"는 시트 압축에 필요한 에너지량의 역수이며 이 경우 시트는 흡수 구조물을 말한다. 시트 압축에 드는 에너지량이 클수록 연성도는 작게된다.
핵의 연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절차(변형 압축시험)에 따른다:
1. 1인치 x 4인치 크기로 절단한 시편 3개(샘플이 기저귀인 경우, 두께가 일정치 않으면 두꺼운 부분에서 절단한다)로 샘플을 준비한다. 정확한 기계방향 및 횡단방향의 샘플인 경우 기계방향으로 8인치 치수가 되게 절단한다.
2. 플라스틱 백시트 및 커버재료를 샘플에 가한다 (보통의 기저귀 샘플에 도포한다). 표준형 핵샘플을 시험하는 경우, 플라스틱 백시트인 엑손 EMB-685 폴리에틸렌 필름을 샘플 바닥면에 가한다 (샘플과 동일한 크기로 만들고 소량의 스프레이형 접착제로 부착한다).
3. 변형 압축시험을 프로그램한다 (예를 들어, 트위그-알버트 LT-150 유니버설 재료시험기의 경우): 후속 비-디폴트 설정을 이용하여 압축시험한다.: 파괴검출법=감소율%/변위, 파괴값=감소율% = 50, 거리 트랩=0.3인치/0.5인치/0.7인치. 단위:거리/변위 = 인치; 힘=그램, 시험속도=1인치/분. 기타 다른 설정값을 디폴트한다.
4. 샘플을 도 3에서 도시한 것 같은 클램프를 이용하여 인장시험기에 삽입한다. 클램프 내에서 양 가장자리가 1인치로써 2인치의 틈새를 형성하도록 y-방향(4-인치방향)으로 압축되는 방식으로 샘플이 삽입된다.
5. 시험을 개시한다.
6. 편차가 0.7인치를 초과하면, 상부 압축클램프를 아래로 눌러 샘플 파괴를 자극하고 시험을 중단한다. (시험결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시험이 끝나면 표시된 결과를 기록한다. 이 결과는 정점에서의 강도, 편차, 최대편차, 정점에서의 에너지, 최대편차일 때의 에너지 및 거리 트랩에서의 힘 등을 포함한다.
연성도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하는 값은 최대편차일 때의 에너지로서 주울(J)로 표시한다. 최대편차일 때의 에너지 Edmax는 다음 식에 따라 계산한다.
여기서, Edmax는 최대편차일 때의 에너지, F는 해당 편차에서의 힘, 또한 dmin 및 dmax 는 시험개시할 때의 편차 및 시험종료시의 편차를 각각 나타낸다.
연성도 S는 다음 식에 따라 결정된다:
S = 1/ (최대 편차일 때의 에너지)
결과적으로 S는 주울당 1 즉 1/J로 표시된다.
대체로, 본 발명의 전체 흡수 구조물의 연성도는 8.0/J 바람직하게는 15/J이상이다.
흡수 구조물의 유연성은 시트의 전체 적합성에 기여하는 또다른 중요한 변수이다. 여기서 "유연성"은 시트 굴곡에 필요한 힘의 역수이며 이 경우 시트는 본 발명의 흡수 구조물을 말한다. 시트 굴곡에 필요한 힘이 클 경우 시트의 유연성은 감소한다.
유연성은 걸리시험기(Gurley tester:모델 4171, 걸리 정밀기기, 트레이, 뉴욕)를 이용하여 다음 절차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1. 가능한 정확하게 1인치 x 3.25인치 크기로 절단하여 샘플을 준비한다. 정확한 기계방향 및 횡단방향으로 된 경우, 각 방향 및 각 시험마다 1개의 샘플을 절단 준비한다.
2.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스텀 클램프를 걸리 시험기에서의 본래의 클램프 위에 고정시킨 후 더 작은 부피가 되도록 타이트하게 조인다. (도 2는 더 큰 기본중량의 로프트 시트를 위한 커스텀 클램프를 도시한다). 커스텀 클램프는 재료를 클램프에 삽입하는 경우 시험재료의 두께가 변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클램프 고정의 결과로 구조물 두께가 변하면 구조물의 성질도 변하며 걸리시험기를 이용하여 수득한 결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도 3의 클램프는 이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3. 섬나사(thumbscrew)를 더 길고 낮게 풀어 커스텀 클램프 조정판을 연다. 샘플이 최초 클램프와 접촉할 때까지 위로 미끄럼 이동시켜 제위치에 고정한다. 2.0인치의 샘플이 커스텀 클램프 안에 들어있어야 한다.
4. 높이조정나사를 최초 클램프 상에서 풀어 커스텀 나사의 높이를 조정한다. 샘플이 커스텀 클램프에서 빠져나오는 위치 및 샘플이 레버아암과 접촉하는 위치 사이에 1.0 인치의 틈새가 존재하도록 높이를 조정한다.
5. 나머지 0.25인치의 샘플이 레버아암의 상단 밑으로 연장하도록 확보한다. 레버아암이 움직이지 않도록 확보한다. 샘플이 레버아암쪽으로 움직이도록 모터 버튼을 누른다. 이 과정에서, 눈금상으로 도달한 최고값을 관축 및 기록한다. 이것을 반대방향에서도 반복한다.
6. 2개 값을 평균화한다. 장치의 전환표에서 1인치(폭) x 1.5인치(길이)의 샘플의 변수는 사용된 추 및 레버아암의 중심으로부터 놓인 추의 거리에 따라 변화된다. 커스텀 클램프를 사용하여 시험한 1.0인치 x 3.25인치 샘플은 커스텀 클램프 없이 시험한 1.0 인치 x 1.5인치 샘플에 상응한다. 커스텀 클램프 없이, 0.25인치의 샘플은 최초 클램프 속에 있고 0.25인치는 레버아암의 상단 아래까지 연장하며, 그 사이에 1인치 틈새가 생긴다. 커스텀 클램프를 사용할 때, 커스텀 클램프의 동일한 0.25인치가 이용되고; 다른 1.75인치는 더 두꺼운 샘플을 제위치에 고정시키는데 이용된다. 0.25인치는 레버아암의 상단 밑까지 연장하며 그 사이에 1인치 틈새가 생긴다.
7. 눈금상의 평균 판독값을 전환표에서의 적절한 전환상수와 곱셈처리한다.
그 결과로 밀리그램(mg)단위의 연성도를 수득하고 유연값(P)을 다음 식에 따라 구한다.
P = 106/9.81 * 연성도
P 는 1/N으로 표시한다. 대체로, 본 발명의 전체 흡수 구조물의 유연값은 60/N 이상, 바람직하게는 80/N 이상이 된다.
본 발명에서, 고 연성도, 유연값 및 습윤강도 등은 흡수 구조물 제조시 다음 특징 중 하나 혹은 이들의 복합특징을 응용하면 달성하게 된다; 연성섬유, 굴곡처리되거나 수축된 섬유를 이용하고, 연성결합제 체계 예컨대, 미립형이나 수축형 결합섬유, 탄성 라텍스 결합제 혹은 수용성 결합제 등을 사용하고, 결합제의 양을 최소화 하고, 경화전 치밀화 과정에서 비교적 저압력을 가하고 또한 경화후 시트의 캘린더링 과정에서 저압력을 응용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흡수 구조물에서 치밀화 및/또는 캘린더링 처리후의 시트 밀도는 0.35g/cc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3g/cc 이하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한가지 구현예에서, 웨브 형성과정에서 캐리어조직 시트는 사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캐리어조직 시트는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중심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많이 사용된다. 웨브 강도를 증대시키지만 이에 따라 조직강도도 함께 증가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구조물의 결합제 섬유의 양은 10중량% 이하이다. 또다른 구현예에서, 결합제 섬유의 양은 7중량% 이하이다. 전형으로서, 결합제 양이 증가하면 비교적 고강도 단 저유연성의 흡수 구조물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구조물의 연성도 및 유연도는 전체 구조물에대한 기계적 처리 혹은 흡수성 플라이 형성후 각 성분의 흡수성 플라이에 대한 기계적 처리에 따라 구조물의 연성도 및 유연도를 달성한다. 이러한 기계적 처리는 웨브의 마이크로크레핑, 홈진 로울 등의 닙(nip)에 웨브를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 절차에서 구조물 내의 일부 결합이 파손되며 결과적으로 구조물의 적응성이 좀더 우수해진다.
본 발명의 흡수 구조물의 강도는 보풀과 SAP 분말로만 구성된 종래의 핵보다 훨씬 크며 핵의 시트를 전환과정에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다. 특히, 웨브 강도는 일반 핵 및 결합제 없이 형성된 에어레이드 핵보다 본 발명의 흡수 구조물이 훨씬 크다. 한 구현예에서, 흡수성 핵은 4.0kN/gsm 이상의 강도를 갖는다. 또다른 구현예에서, 흡수성 물질은 6.0kN/gsm 이상의 습윤강도를 갖는다. 또다른 구현예에서, 흡수성 물질은 8.0kN/gsm 이상의 흡윤강도를 갖는다. 공지의 핵 및 결합제 없이 형성된 에어레이드 핵의 습윤강도는 비교적 낮고 통상 4.0kN/gsm(표 1 참조) 이하이다. 종래의 핵에서(적절히 형성된), 강도는 주로 보풀형 섬유의 물리적 장애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물리적 장애는 섬유 굴곡정도에 일부 기인하며 이러한 굴곡은 재료가 젖으면 어느정도 상실하게 된다. 일반적인 핵의 강도 역시 습윤상태에서 크게 감소한다. 에어레이드 재료의 경우(미국특허 제5,866,242호 혹은 제5,916,670호 참조)결합제 없이 단 밀도가 크게 제조된 재료이며 이러한 밀집된 구조는 주로 수소결합 덕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은 젖게되면 완전히 파괴되어 흡수성 핵이 매우 약해진다.
본 발명의 흡수 구조물의 연성도 및 유연도는 재료가 인체의 외형 혹은 이부분과 접촉하게될 흡수제품의 일부(예, 또다른 흡수층)의 형성에 쉽게 적용될 수 있을 정도로 크다. 한 구현예에서, 흡수 구조물의 연성도는 8.0/J 이상이며 흡수 구조물의 유연도는 60/N 이상이다.
흡수 구조물의 연성도, 유연값 및 습윤강도의 레벨을 증대시키기 위해, 구조물은 다양한 화학제 및/또는 기계적 처리를 실시한다. 어떤 이론에 근거하지 않아도, 해당 조성의 흡수 구조물에서 결합된 구조물 성분의 비결합된 성분에 대한 비율을 적절히 유지함으로써 연성도, 유연도 및 습윤강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섬유간 결합수 혹은 섬유 및 SAP 입자의 결합수가 너무 작으면, 구조물의 습윤강도가 너무 낮아 흡수 구조물의 사용시의 기능을 개선할 수 없다. 사용자가 움직일 때 저강도 구조물은 기계적 응력에 대응하지 못하거나 균열 혹은 끊어짐 같은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고 이로 인하여 체액의 보유력이 저하되어 결과적으로 누출현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다시 말하여, 결합수가 너무 크면 연성도 및 유연도가 너무 낮아 구조물의 안락감이 저하되고, 액체가 자유유동하어 흡수제품 밖으로 누출될 부적절한 채널 혹은 틈새의 형성에 따른 기능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흡수 구조물은 셀룰로오스 조직 혹은 합성 부직포 같은 캐리어와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흡수 구조물은 또한 다른 층 혹은 구조물과 함께 조합되어 흡수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구조물의 상부 플라이는 이 구조물과 별도로 이용되기도 한다. 1개의 플라이 구조가 고습윤강도, 고연성도 및 고유연도를 나타내고, 또한 이러한 역할을 요구하는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응용의 예는 1회용 기저귀, 생리대, 성인용 요실금 방지품이나 트레이닝 팬츠 등의 1회용 흡수제품을 포함한다.
1개의 플라이 흡수 구조물은 2개의 플라이 구조물과 관련된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3개의 성형헤드를 사용하는 에어레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1개의 플라이 구조물을 제조하기도 한다. 이러한 장치를 사용하는 예가 실시예8 내지 11에 나와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에서는 기본 중량(gsm)을 근거로 하며 실제 측정되는 기본중량은 ±10% 의 변화값이다.
실시예 1
흡수 구조물은 아래서 설명되는 상부 플라이(구성요소 A1) 및 하부 플라이(구성요소 B1)를 결합시켜 조립한 것이다. 양 흡수성 구성요소는 M&J 파일럿 장치에서의 건조성형(혹은 에어레잉)으로 제조되었다. 구조물의 기계적 성질 및 흡수성은 표 1,3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다. 구조물은 시판 구조물의 기능에 필적하는 개선된 기능성을 나타내었으며 이것은 흡수성 프로파일 및 적절한 수준의 적용성 및 강도의 복합적 특성 때문이다.
구성요소 A1.2개의 성형헤드는 원료물질과 동일한 조성 및 양으로 공급했다. 이 제품은 40gsm 브랜드 6810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직포(PGI)의 캐리어 위에 깔았다. 이 재료는 상부 플라이의 상층을 구성했다. 중간층과 하부층의 기본중량 및 조성은 사실상 동일하고 이 기본중량은 160gsm이며 조성은 56.3% HPF 보풀(부케예사, 멤피스,TN), 37.5% Z1049 SAP(스톡하우젠, 그린스보로, NC) 및 6.2% T-255 2.8dpf(데니어/섬유) 열가소성 2성분계 결합섬유(Kosa, Salisbury, NC)등으로 되어있다. 시트는 경화처리후 (160℃;1분유지) 최소압력으로 캘린더처리해서 3mm 두께로 만들었다.
구성요소 B1.제1 성형헤드에 폴리 플러프(부케예사) 75gsm 및 T-255 결합섬유(코사, 살리스버리, NC) 3gsm을 공급했다. 형성된 층은 하부 플라이의 중간층이었다. 하부 플라이의 상층은 제2 성형헤드에 의해 형성되며 이 성형헤드에는 폴리 플러프(부케예사) 55gsm 및 T-255 결합섬유(코사, 살리스버리, NC) 12gsm 또한 SXM4750 SAP(스톡하우젠, 그린스보로, NC) 215gsm가 공급되었다. 생성물은 캐리어인 두니 핀너 K1801 셀룰로오스 조직(두니, 키사, 스웨덴)에 깔았다. 캐리어는 하부 플라이의 하층을 구성했으며 이 시트는 경화처리후 2mm 두께가 되도록 캘린더 처리했다.
구성요소들은 10 x 20cm A1 시트재료를 10 x 40cm B1 시트재료 위에 층적하는 방식으로 배치했다. A1 및 B1을 겹친 뒤 마지막에 측정했다.
실시예 2
하기와 같은 구성요소 A2 및 B2를 함께 결합시켜 흡수 구조물을 조립제조했다. 양측 흡수성 구성요소는 M&J 파일럿 장치에서 건조성형하여 제조했다. 결과로 나온 구조물에서 구성요소 A2는 상부 플라이를 구성요소 B2는 하부 플라이를 구성한다. 구조물의 기계적 성질 및 흡수성은 표1,3 및 4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구조물은 흡수성 프로파일 및 적절한 수준의 적응성과 강도 때문에 향상된 기능을 보여준다.
구성요소 A2.상부 플라이의 중간층은 HPF 보풀(부케예사, 멤피스,TN) 40gsm 및 2.8 dpf T-255 결합섬유(Kosa, Salisbury, NC) 2.5gsm을 공급하여 제1 성형헤드를 형성했다. 제2 헤드는 상부 플라이의 상층을 형성하는데 이용했다. 제2 성형헤드는 HPF 보풀(부케예사, 멤피스,TN) 100gsm, Z1049 SAP(스톡하우젠, 살리스버리, NC) 95gsm 및 2.8 dpf T-255 결합섬유(Kosa, Salisbury, NC) 13gsm 으로 되었다. 상기 생성물을 캐리어인 리컨트롤TM381002(폴리프로필렌) 부직포(자콥-홀름 인더스트리즈, 사울츠, 프랑스) 위에 깔았다. 캐리어는 상부 플라이의 상층을 구성했다. 생성물은 경화처리후 최소압력으로 캘린더처리해서 3mm 두께로 만들었다.
구성요소 B2.두개의 성형헤드를 사용하고 동일한 조성 및 양의 원료를 공급했다. 생성물은 캐리어인 두니 핀너 K1801 셀룰로오스 조직(두니, 키사, 스웨덴)에 깔았다. 기본중량이 378gsm인 구성요소 B2 전체의 조성은 34.1% 폴리 플러프(부케예사), 57.1% SXM3950 SAP(스톡하우젠, 그린스보로, NC) 및 4% T-255, 2.8dpf 결합섬유(코사, 살리스버리, NC)이고; 구조물의 나머지는 18gsm 의 캐리어 조직이었다. 시트는 경화후 2mm 두께로 캘린더 처리했다.
실시예 3
하기와 같은 구성요소 A3 및 B3를 함께 결합시켜 흡수 구조물을 조립제조했다. 양측 흡수성 구성요소는 던 웨브(Dan Web) 파일럿 장치에서 건조성형하여 제조했다. 결과로 나온 구조물에서 구성요소 A3는 상부 플라이를 구성요소 B3는 하부 플라이를 구성한다. 구조물의 기계적 성질 및 흡수성은 표1,3 및 4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구조물은 흡수성 프로파일 및 적절한 수준의 적응성과 강도 때문에 향상된 기능을 보여준다.
구성요소 A3.HPF 보풀(부케예사, 멤피스,TN) 60gsm 및 2.8 dpf T-255 결합섬유(Kosa, Salisbury, NC) 10gsm을 공급하여 제1 성형헤드를 형성했으며 이것이 상부 플라이의 하부층을 형성한다. 제2 헤드는 상부 플라이의 중간층을 형성하는데 이용했다. 제2 성형헤드는 HPF 보풀 98gsm, SXM70 SAP(스톡하우젠, 살리스버리, NC) 62.5gsm 및 2.8 dpf T-255 결합섬유(Kosa, Salisbury, NC) 19.5gsm 으로 되었다. 제3 헤드에는 두께 15dpf 및 35gsm 일때의 길이 6mm를 갖는 웰만 376x2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공급했다. 형성된 상부 플라이의 상층에는 5gsm에서 10% 고형물 함량으로 희석된 A-181 라텍스(에어 프로덕츠, 알렌타운, PA)를 분무첨가 하였다. 시트는 경화후 최소압력으로 4.1mm 두께가 되도록 캘린더 처리했다.
구성요소 B3.1개의 성형헤드를 사용하고 여기에 ND416 플러프(웨이어하에우저, 타코마, WA) 128gsm, SXM70 SAP(스톡하우젠, 그린스보로, NC) 225gsm 및 2.8dpf T-255 결합섬유(코사, 살리스버리,NC) 22gsm를 공급했다. 생성물은 셀루티슈 3024 셀룰로오스 조직캐리어에 깔았다. 시트는 경화후 1.9mm 두께로 캘린더 처리했다.
실시예 4
하기와 같은 구성요소 A4 및 B4를 함께 결합시켜 흡수 구조물을 조립제조했다. 양측 흡수성 구성요소는 던 웨브(Dan Web) 파일럿 장치에서 건조성형하여 제조했다. 결과로 나온 구조물에서 구성요소 A4는 상부 플라이를 구성요소 B4는 하부 플라이를 구성한다. 구조물의 기계적 성질 및 흡수성은 표1,3 및 4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구조물은 흡수성 프로파일 및 적절한 수준의 적응성과 강도 때문에 향상된 기능을 보여준다.
구성요소 A4.폴리 보풀(부케예사, 멤피스,TN) 77.6gsm 및 2.8 dpf T-255 결합섬유(Kosa, Salisbury, NC) 12.4gsm을 공급하여 제1 성형헤드를 형성했으며 이것이 상부 플라이의 하부층을 형성한다. 제2 헤드는 상부 플라이의 중간층을 형성하는데 이용했다. 제2 성형헤드는 폴리 보풀 102gsm, SP1186 SAP(스톡하우젠, 살리스버리, NC) 130gsm 및 2.8 dpf T-255 결합섬유(Kosa, Salisbury, NC) 28gsm 으로 되었다. 제3 헤드에는 두께 15dpf 및 42gsm 일때의 길이 6mm를 갖는 웰만 376x2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공급했다. 형성된 상부 플라이의 상층에는 8gsm에서 10% 고형물 함량으로 희석된 A-124 라텍스(에어 프로덕츠, 알렌타운, PA)를 분무첨가 하였다. 시트는 경화후 최소압력으로 5.7mm 두께가 되도록 캘린더 처리했다.
구성요소 B4.제1 및 2 성형헤드에 모든 성분들을 등량으로 공급했으며 그 조성은, ND416 플러프(웨이어하에우저, 타코마, WA) 37gsm, SXM3950 SAP(스톡하우젠, 그린스보로, NC) 92.3gsm 및 2.8dpf T-255 결합섬유(코사, 살리스버리,NC) 5gsm를 공급했다. 생성된 웨브는 하부 플라이의 하부층을 형성했다. 이 층을 셀루티슈 3024 셀룰로오스 조직캐리어에 깔았다. 제3 헤드에는 ND416 플러프 38.5gsm 및 2.8dpf T-255 결합섬유 8.9gsm을 공급하여 하부 플라이의 상층을 형성하고 그결과로 나온 시트는 경화후 1.45mm 두께로 캘린더 처리했다.
실시예 5
실시예 1, 2, 3 및 4의 구조물은 습윤강도, 연성도 및 유연성 등을 분석했다. 수득된 결과는 표1에 요약했다. 표 1에 요약된 분석결과는 수개의 시판 아기기저귀(샘플 A, B 및 C)의 흡수핵 및 플러프와 SAP로 제조되고 및 결합제가 함유되지 않은(샘플 D) 고밀도 에어레이드 재료 샘플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시험 대상인 핵의 기본 구조에 대한 파라미터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정되었다. 표 1의 데이터는 실시예 1, 2, 3 및 4의 흡수 구조물이 다른 시판제품의 핵보다 훨씬 큰 습윤강도 및 샘플 D의 핵보다 탁월히 높은 연성도 및 유연도를 보였다.
흡수구조물 습윤강도, kN/gsm 연성도, l/J 유연성, l/N
실시예 1 5.2 8.9 72.9
실시예 2 7.2 10.2 112.0
실시예 3 8.7 17.8 104.0
실시예 4 7.0 10.6 105.2
실시예 A 0.8 10.1 175.5
실시예 B 2.6 12.9 137.8
실시예 C 1.5 7.4 117.7
실시예 D 1.3 5.6 40.2
실시예 6
실시예 1, 2, 3 및 4에서 설명한 절차에 따라 제조된 구조물을 액체 흡수력에 대해 시험했다. 흡수력을 평가하기 위해, 흡수시간을 측정했다. 흡수시간은 흡수 구조물에 흡수되는 염수액의 부피에 대하여 측정한 값이다 (자유흐름액이 흡수물 표면에서 사라질 때까지)
다음 방법은 흡수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1. 실험실 내부 조건은 시험전 2시간 동안 70℉ 및 50% 상대습도를 유지한다.
2. 표준염수(0.9중량% NaCl/DI H2O)를 제조하고 필요시 염료를 첨가한다.
3. 오염량 및 무게를 측정한다. 중간용량의 시편(대부분의 기저귀 중간 사이즈 (크기#3))는 3 x 75ml 의 오물을 수용하며 0.4psi 하중(무게)를 지탱한다. 실시예1-4에서 설명한 흡수 구조물이 이 범주에 속한다.
4. 시편을 실험실 혹은 파일럿 장치(에어레이드)에서 wph하는 경우 필요한 크기로 절단한다. 실험실용 패드 성형기에서 제작한 시편의 경우 4인치 x 14인치이며 파일럿 장치의 경우 4인치 x 16인치 크기로 제작한다. 시편이 시판 기저귀인 경우 탄성 다리밴드를 잘라내고 기저귀를 편평한 형태로 깐다. 각 시편의 무게/두께를 측정한다.
5. 플라스틱 백시트에 엑손 EMB-685 폴리에틸렌 필름을 올려놓고 커버재로서 15gsm의 스펀결합 폴리프로필렌을 첨가하여 에어레이드 시편을 제조한다.
6. 바닥판에 시편을 놓고, 발포체를 시편 상부에 설치하고, 오염링이 발포부의 공동으로 들어가도록 하고 계속해서 발포체 위에 무게를 잰 상부판을 설치함으로써 흡수장치에 시편을 설치한다.
7. 타이머 시간을 20분으로 설정하고 나란히 시험장치를 설치한다.
8. 한 편에는 스톱워치를 다른 편에는 오염물을 담기 위한 종말실린더를 설치하여 이것을 이용해서 오염물 수용시편을 준비한다. 실린더에서 유체를 가능한 빨리 비워낸다. 유체가 시편에 흡수되면 스톱워치의 작동을 중단한다.
9. 시편이 유체를 흡수하는 동안 걸린 시간을 기록한다. 시편이 유체를 흡수하자마자 20분 타이머를 작동개시한다.
10. 20분 후, 단계 7-9를 반복한다.
11. 또다시 20분 후, 단계7-9를 반복한다. 주의: 흡수시험후 다른 시험을 시행하지 않을 경우 3차 오염물 수용에 따른 20분 간격을 생략할 수 있다. 그러나, 흡수시험(재습윤성 및 보유력 혹은 분포) 뒤에 또다른 시험이 있을 경우 20분 간격이 반드시 필요하며 그 후 다른 시험을 실행할 수 있다.
다음 식은 흡수속도를 계산하기 위해 세운 함수식이다;
흡수속도 (ml/s) = 오염량(ml)/흡수시간 (s)
실시예 1, 2, 3 및 4의 구조물을 시험하여 얻은 결과는 표 3에서와 같다. 표 3에서는 또한 시판 기저귀 제품 A, B 및 C 와 또다른 회사제품 D의 흡수핵을 분석한 결과를 수록했으며 표 2에서와 같은 기본적인 물성을 갖는다. 표 3의 자료는 또한 실시예1, 2, 3 및 4의 구조물을 시험하여 얻은 결과도 함께 수록했다. 이들실시예의 구조물은 도 1과 같이 배열제작되었다. 상부 플라이의 길이는 각각 20cm 이었다. 표 3의 결과는 실시예1, 2, 3 및 4의 흡수구조물이 시편 D 보다 흡수시간을 훨씬 많이 단축한 것을 보여준다. 또한 실시예 3 및 4의 흡수구조물은 시험 대상 전체의 시판 기저귀의 핵 보다 짧은 흡수시간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흡수구조물 1차 흡수속도, ml/s 2차 흡수속도, m/s 3차 흡수속도, m/s
실시예 1 1.16 0.56 0.36
실시예 2 1.35 0.86 0.63
실시예 3 2.85 1.29 0.93
실시예 4 5.56 2.71 1.83
실시예 A 2.01 1.19 0.83
실시예 E 2.25 1.70 1.24
실시예 B 1.90 0.75 0.55
실시예 C 1.32 0.46 0.33
실시예 D 0.91 0.49 0.30
실시예 7
실시예 1, 2, 3 및 4에서 설명한 절차에 따라 제작한 구조물의 재습윤성을 시험했다. 재습윤성 평가를 위해, 주어진 양의 염수가 포화된 후의 흡수구조물의 표면에서 검출할 수 있었던 재수분량을 측정했다.
다음의 방법으로 재수분량을 측정했다:
재수분량 및 보유량 시험은 흡수시험 뒤 즉시 실행한다. 흡수시험 절차은 이 시험 시작 전에 숙지해야 한다. 흡수정보가 필요한 경우, 흡수시간을 기록하고 3개의 오염물 형태를 20분 간격으로 별도 기록한다. 본 시험은 반드시 20분이 지난 뒤 시작된다. 시편/용액 제조물은 흡수시험에도 모두 동일하다 (흡수시험 설명서 참조).
1. 시편은 흡수시험을 모두 거치고 최종의 20분 간격를 대기 중인 것으로 가정한다. 타이머를 5분으로 설정하여 시험장치와 가까운 곳에 배치한다.
2. 동일한 크기로 절단한 시편로서 10 부케예 S-22 블로터 종이스택(stack)의 무게를 측정한다.
3. 시편, 발포체 및 오염링의 무게를 잰다.
4. 종이스택을 시편 위에 놓는다.
5. 발포체 및 추로 교체한다. 5분 타이머를 작동개시한다.
6. 5분 후, 추를 치우고 종이스택의 무게를 잰다.
습윤시 및 건조시의 종이 무게차이를 기록한다. 재수분량을 다음의 식에 따라 계산한다.
재수분량(g) = 습윤한 종이무게(g) - 건조 종이무게(g)
다음의 식으로 3차 오염후의 재수분 보유율을 계산했다.
재수분보유율(%)=[총오염량(ml)-(재수분량(g) x 1ml/g x 100)]/총오염량(ml)
실시예1, 2, 3 및 4의 구조물을 재수분량에 대해 시험했고 그 결과를 표 4에 기록하였다. 표 3의 데이터는 상기 실시예1, 2, 3 및 4의 구조물을 시험하여 얻은 결과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구조물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열제작했다. 상부 플라이의 길이는 각각 20cm 이었다. 표 4에서는 시판 기저귀 제품의 시편 A, B 및 C의 흡수핵을 분석한 결과 및 표 2에서와 같은 또다른 시판핵 D의 분석결과도 함께 수록했다. 표 4의 데이터는 가장 낮은 재수분 보유율을 가진 실시예 E의 시편을 제외하고 모든 시험핵이 적어도 97%의 보유율을 가지는 것을 보여준다.
흡수구조물 재수분 보유율 %
실시예 1 97.0
실시예 2 98.4
실시예 3 99.4
실시예 4 97.2
실시예 A 98.5
실시예 E 92.8
실시예 B 99.8
실시예 C 99.0
실시예 D 97.1
실시예 8
흡수 구조물은 단웹 파일럿 장치에서 무수성형하여 제작했다. 구조물의 기계적 물성 및 흡수성은 표 5와 6에서 보는 바와 같다. 구조물은 적절한 레벨의 연성도, 유연도 및 습윤강도의 조합에 따른 개선된 기능성을 나타냈다. 3개의 성형 헤드를 사용하여 흡수 구조물을 제작하였다. 제품을 18gsm의 기본중량을 갖는 셀루티슈 3024에 깔았다. 사용에 앞서서, 이들 조직 속에 4gsm의 이성분 결합섬유인 2.8데니어/섬유 두께의 T-255(코사 살리스버리, NC)를 함침시켰다. 이 섬유는 단웹 파일럿 장치에서 캐리어에 침적되고 및 경화하여 이성분 결합섬유를 조직에 결합시켰다. 이것의 목적은 여기에서 형성된 제품에 대한 캐리어의 접착력을 더 우수하게 만들기 위한 것이다. 캐리어조직은 흡수 구조물의 하부층을 구성했다. 하부 중간층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장치의 1차 성형헤드에 96gsm 의 ND416 플러프(웨이어하우저, 타코마, WA) 및 115gsm 의 초흡수 고분자 SXM70 (스톡하우젠, 그린스보로, NC)를 공급했다. 처리공정에서, 62gsm 폴리 플러프(부케예 테크놀로지스, 멤피스, TN), 25gsm 초흡수 고분자 SXM70 및 12gsm 이성분 결합섬유 T-255를 2차 성형헤드에 공급하여 상부 중간층을 형성했다. 마지막으로, 상부층은 두께가 15 데니어/섬유이고 길이가 6mm인 42gsm의 웰만 376X2 폴리에스터 섬유를 3차 성형헤드에 공급하여 제조했다. 상부층에 10% 고형함량으로 된 6gsm의 라텍스 A-181(에어프로덕츠, 알린타운, PA)를 분무했다.
실시예 9
흡수 구조물을 단웹 파일럿 장치에서 무수성형하여 제작했다. 구조물의 기계적 물성 및 흡수성은 표 5와 6에서 보는 바와 같다. 구조물은 적절한 레벨의 연성도, 유연도 및 습윤강도의 조합에 따른 개선된 기능성을 나타냈다. 3개의 성형헤드를 이용하여 흡수 구조물을 제작했다. 상기 장치의 1차 성형헤드에 83gsm 의 폴리 플러프 및 두께 2.1데니어/섬유의 7gsm의 이성분 결합섬유를 공급하여 하부층을 형성했다. 중간층은 2차 성형헤드에 110gsm 폴리플러프, 130gsm의 초흡수 고분자 SP 1186(스톡하우젠, 그린스보로, NC) 및 두께 2.1데니어/섬유의 15gsm 이성분 결합섬유 T-255를 공급했다. 상부층은 두께가 15 데니어/섬유이고 길이가 6m인 42gsm의 웰만 376X2 폴리에스터 섬유를 3차 성형헤드에 공급하여 제조했다. 상부층에 10% 고형함량으로 된 8gsm의 라텍스 A-181(에어프로덕츠, 알린타운, PA)를 분무했다. 시트는 치밀화하여 두께 5.2mm가 되게하고 이것을 경화시켰다.
실시예 10
흡수 구조물을 단웹 파일럿 장치에서 무수성형하여 제작했다. 구조물의 기계적 물성 및 흡수성은 표 5와 6에서 보는 바와 같다. 구조물은 적절한 레벨의 연성도, 유연도 및 습윤강도의 조합에 따른 개선된 기능성을 나타냈다. 제품을 18gsm의 기본중량을 갖는 셀루티슈 3024에 깔았다. 사용에 앞서서, 이들 조직 속에 4gsm의 이성분 결합섬유인 2.8데니어/섬유 두께의 T-255(코사 살리스버리, NC)를 함침시켰다. 캐리어 조직은 흡수 구조물의 하부층을 구성했다. 하부 중간층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장치의 1차 성형헤드에 80gsm 의 ND416 플러프(웨이어하우저, 타코마, WA) 및 100gsm 의 초흡수 고분자 SXM70 (스톡하우젠, 그린스보로, NC)를 공급했다. 79gsm 폴리 플러프(부케예 테크놀로지스, 멤피스, TN) 및 38gsm 초흡수 고분자 SXM70을 2차 성형헤드에 공급하여 상부 중간층을 형성했다. 상부층은 두께가 15 데니어/섬유이고 길이가 6mm인 42gsm의 웰만 376X2 폴리에스터 섬유를 3차 성형헤드에 공급하여 제조했다. 이 섬유는 38gsm 으로 공급했다. 제품에 대해 상부에서 10% 고형함량의 카이멘 557H 습윤강도 수지 수용액(헤르큘레스, 윌밍턴, DE)을 분무하였다. 웨브 상에서 카이멘 고형물의 목표 기본중량은 7gsm 이었다. 성형 구조물의 상부층에서의 고압과 성형 와이어 하에서의 저압 간의 차이에 따른 압력구배 때문에, 결합제 용액은 특정량까지 층 아래로 침투할 수 있고, 따라서 카이멘은 상부층과 그 아래의 층들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제품은 캘린더 처리하여 2.6mm 두께를 확보한다.
실시예 11
흡수 구조물을 3개의 성형헤드를 갖춘 M&J 공지 장치에서 제품을 18gsm의 기본중량을 갖는 셀루티슈 3024에 깔았다. 하부층은 상기 장치의 1차 및 2차 성형헤드에 ND416 플러프, 초흡수 고분자 SXM3950(스톡하우젠, 그린스보로, NC) 및 두께 2.8데니어/섬유의 이성분 결합섬유 T-255를 각가 동일한 양으로 공급하여 성형했다. 성형된 하부층의 조성은 이 층 전체 중량에 대해 23.2% ND416, 48.2% SXM3950 및 2.6% T-255 이었다. 중간층은 3차 성형헤드에 38.1gsm의 ND416 및 9gsm의 T-255를 공급하여 형성했다. 수득한 제품은 리컨트롤 381002-48 라고 하는 48gsm 의 합성 부직포(자콥 홀름 인더스트리즈, 사울츠, 프랑스)와 결합시켜 구조물의 상부층을 구성했다. 구조물의 기계적 물성 및 흡수성을 분석했다. 표 5 및 6에 그 결과를 수록했다. 구조물은 적절한 레벨의 연성도, 유연도 및 습윤강도의 조합에 따라 개선된 성능을 나타냈다.
실시예 12
실시예 1-4의 구조물을 습윤강도, 연성도 및 유연성에 대해 분석했다. 수득한 결고를 표 6에 요약했다. 표 6에서 다수의 시판 기저귀의 핵에 대해 실시한 시험의 결과도 함께 기록했다. 표 6의 데이터는 실시예8-11의 흡수구조물이 기타 다른 흡수핵보다 우수한 습윤강도, 연성도 및 우연도를 갖는다는 사실을 가리킨다.
흡수 구조물 습윤강도 kN/gsm 연성도, 1/J 유연도, 1/N
실시예 8 6.5 30.4 272.7
실시예 9 12.3 37.5 235.5
실시예 10 8.1 22.1 259.9
실시예 11 6.5 13.1 199.6
실시예 A 0.8 10.1 175.5
실시예 E 4.2 12.4 196.7
실시예 B 2.6 12.9 137.8
실시예 C 1.5 7.4 47.7
실시예 D 1.3 5.6 40.2
실시예 13
실시예 8-11에서 설명한 절차에 따라 제작한 구조물을 실시예 7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재습윤성에 대해 시험했다. 실시예 8-11의 구조물 및 시판물의 흡수핵(실시예 E)에 대한 재수분 보유율은 표 7에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실시예 8-11의 구조물의 재수분 보유율 값은 시판제품의 구조물(실시예 E)에 대한 값에 필적하거나 우수했다.
흡수 구조물 수분 보유율%
실시예 1 97.3
실시예 2 83.3
실시예 3 98.3
실시예 4 99.1
실시예 E 84.6
시편 전체 표면적(cm2) 전체평균 기본중량(gsm) 전체평균 핵밀도(g/cc) 전체 평균 핵(SAP %)
실시예 D 398 472 0.31 43.0
실시예 C 385 759 0.14 26.7
실시예 B 468 617 0.25 53.5
실시예 E 260 547 0.11 44.9
실시예 A 360 649 0.26 43.4
실시예 8 320 380 0.15 36.8
실시예 9 320 395 0.08 32.9
실시예 10 320 364 0.14 37.9
실시예 11 320 387 0.21 58.1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아기 기저귀, 성인용 요실금 방지품, 생리대 등의 흡수제품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매트릭스 섬유, 결합제 및 초흡수성 고분자를 함유하고 X-방향 유체 보유 프로파일을 구비하는 흡수 구조물을 제공한다.

Claims (79)

  1. 습윤강도 4.0kN/gsm 이상, 연성도 8.0/J 이상 및 유연도 70/N 이상이고 실질적으로 다량의 액체를 수용한 후에도 건조한 액체수용면을 제공하는 흡수 구조물로서,
    a) 상부 액체수용면 및 하부면을 갖고 i) 결합제와 결합한 약 2 내지 15mm 길이의 합성 매트릭스 섬유를 포함하는 상부층; ii) 상부층과 유체소통되고 천연섬유, 초흡수 입자 및 결합제를 포함하는 중간층; 및 iii) 중간층과 유체소통되고 천연섬유와 결합제를 포함하는 하부층으로 구성된 상부 플라이와; 또한
    b) 상부 플라이와 유체소통되고, 표면 및 저면을 구비하며 천연섬유, 초흡수 고분자 입자 및 결합제를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하부 플라이로 구성되고;
    상부 플라이의 저면은 하부 플라이의 표면의 80% 이하의 표면적을 갖고;
    c) 상부 플라이의 상부층의 기본중량이 약 20gsm 내지 120gsm 이고;
    d) 상부 플라이의 상부층에 들어있는 결합제 함량(중량%)이 약 5% 내지 20% 이고;
    e) 상부 플라이의 중간층의 기본중량이 약 50gsm 내지 1000gsm 이고;
    f) 상부 플라이의 중간층에 들어있는 결합제 함량(중량%)이 약 1% 내지 10% 이고;
    g) 상부 플라이의 하부층의 기본중량이 약 10gsm 내지 150gsm 이고;
    h) 상부 플라이의 하부층에 들어있는 결합제 함량(중량%)이 약 5% 내지 15% 이고;
    i) 상부 플라이에 들어있는 초흡수 입자 함량(중량%)이 하부 플라이의 초흡수 입자 함량보다 적고;
    j) 상부 플라이의 겉보기 밀도가 하부 플라이의 겉보기 밀도보다 낮고;
    k) 하부 플라이의 기본 중량이 약 100gsm 내지 1000gsm 이고;
    l) 하부 플라이의 겉보기 밀도가 약 0.15g/cc 내지 0.25g/cc 이고;
    m) 하부 플라이의 결합제 함량(중량%)이 약 1% 내지 약 8% 이고;
    n) 하부 플라이에 이것의 기본중량에 대해 적어도 30%의 초흡수 입자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합성 매트릭스 섬유의 길이가 약 4 내지 12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합성 매트릭스 섬유는 약 2 내지 30 데니어/섬유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합성 매트릭스 섬유는 약 6 내지 15 데니어/섬유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합성 매트릭스 섬유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레이온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결합제는 라텍스 결합제, 열가소성 분말, 열가소성 섬유, 이성분 섬유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결합제는 폴리아미드-폴리아민 에피클로로히드린 내전제, 양이온 전분, 디알데히드 전분, 폴리(비닐 알코올), 키토산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천연섬유는 면, 연목펄프, 경목펄프, 짚, 키에프섬유, 화학적, 기계적 및/또는 열적으로 변셩된 셀룰로오스 섬유, 케라틴 섬유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부 플라이의 상부층의 기본중량은 30gsm 내지 60gs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부 플라이의 상부층에 있는 합성 매트릭스 섬유의 함량은 약 50 내지 99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부 플라이의 상부층에 있는 합성 매트릭스 섬유의 함량은 약 75 내지 9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부 플라이의 중간층의 기본중량은 80gsm 내지 300gs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부 플라이의 중간층에 있는 초흡수 고분자 입자의 함량은 상부 플라이의약 5 내지 6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부 플라이의 중간층에 있는 초흡수 고분자 입자의 함량은 약 20 내지 5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부 플라이의 하부층은 에어레이드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부 플라이의 하부층은 습윤층적형 셀룰로오스 조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17. 제1항에 있어서,
    하부 플라이의 겉보기 밀도가 0.15g/cc 내지 0.25g/cc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18. 제1항에 있어서,
    하부 플라이의 기본중량은 150gsm 내지 400gs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19. 제1항에 있어서,
    하부 플라이의 초흡수 고분자 입자의 함량은 30 내지 8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20. 제19항에 있어서,
    하부 플라이의 초흡수 고분자 입자의 함량은 40 내지 6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21. 제1항에 있어서,
    각 플라이의 모든 층은 성형공정에서 완전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22. 제1항에 있어서,
    각 플라이가 에어레이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23. 제1항에 있어서,
    초흡수 고분자 입자는 핵의 길이방향으로 단속적 레인으로 상부 플라이의 적어도 하나의 층에 위치하고, 상기 레인은 적어도 70 내지 100% 초흡수 고분자 입자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레인은 섬유와 결합제를 포함하는 인접한 레인과 분리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24. 제1항에 있어서,
    초흡수 고분자 입자는 핵의 길이방향으로 단속적 레인으로 하부 플라이에 위치하고, 상기 레인은 적어도 70 내지 100% 초흡수 고분자 입자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레인은 섬유와 결합제를 포함하는 인접한 레인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25. 습윤강도 4.0kN/gsm 이상, 연성도 8.0/J 이상 및 유연도 70/N 이상이고 실질적으로 다량의 액체를 수용한 후에도 건조한 액체수용면을 제공하는 흡수 구조물로서,
    a) 상부 액체수용면 및 하부면을 갖고 i) 결합제와 결합한 약 2 내지 15mm 길이의 합성 매트릭스 섬유를 포함하는 상부층; ii) 상부층과 유체소통되고 천연섬유 및 초흡수 입자를 포함하는 중간층; 및 iii) 중간층과 유체소통되고 천연섬유와 결합제를 포함하는 하부층으로 구성된 상부 플라이와; 또한
    b) 상부 플라이와 유체소통되고, 표면 및 저면을 구비하며 i) 천연섬유와 결합제를 포함하는 상부층 및 ii) 천연섬유, 초흡수 고분자 입자 및 결합제를 함유하는 하부층을 포함하는 하부 플라이로 구성되고; 여기에서,
    a) 상부 플라이의 저면은 하부 플라이의 표면의 80% 이하의 표면적을 갖고;
    b) 상부 플라이의 상부층이 사실상 유체 위킹성(wicking capability)을 나타내지 않고;
    c) 상부 플라이의 상부층의 기본중량이 약 20gsm 내지 120gsm 이고;
    d) 상부 플라이의 상부층에 들어있는 결합제 함량(중량%)이 약 5% 내지 20% 이고;
    e) 상부 플라이의 중간층의 기본중량이 약 50gsm 내지 1000gsm 이고;
    f) 상부 플라이의 중간층에 들어있는 결합제 함량(중량%)이 약 1% 내지 10% 이고;
    g) 상부 플라이의 하부층의 기본중량이 약 10gsm 내지 150gsm 이고;
    h) 상부 플라이의 하부층에 들어있는 결합제 함량(중량%)이 약 5% 내지 15% 이고;
    i) 상부 플라이에 들어있는 초흡수 입자 함량(중량%)이 하부 플라이의 초흡수 입자 함량보다 적고;
    j) 하부 플라이는 이것의 전체 기본중량에 대해 약 30% 의 초흡수 입자를 함유하고;
    k) 하부 플라이의 상부층이 이것의 전체 기본중량에 대해 약 0 내지 20%의 초흡수 입자를 함유하고;
    l) 하부 플라이의 기본 중량이 약 100gsm 내지 1000gsm 이고;
    m) 하부 플라이의 겉보기 밀도가 약 0.15g/cc 내지 0.25g/cc 이고;
    n) 상부 플라이의 겉보기 밀도가 하부 플라이의 겉보기 밀도보다 낮고;
    o) 하부 플라이의 결합제 함량(중량%)이 약 1% 내지 약 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26. 제25항에 있어서,
    합성 매트릭스 섬유의 길이가 약 4 내지 12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27. 제25항에 있어서,
    합성 매트릭스 섬유는 약 2 내지 30 데니어/섬유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28. 제27항에 있어서,
    합성 매트릭스 섬유는 약 6 내지 15 데니어/섬유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29. 제25항에 있어서,
    합성 매트릭스 섬유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레이온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30. 제25항에 있어서,
    결합제는 라텍스 결합제, 열가소성 분말, 열가소성 섬유, 이성분 섬유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31. 제25항에 있어서,
    결합제는 수용성 혹은 수분산성 결합형 고분자 작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32. 제25항에 있어서,
    천연섬유는 면, 연목펄프, 경목펄프, 짚, 키에프섬유, 화학적, 기계적 및/또는 열적으로 변셩된 셀룰로오스 섬유, 케라틴 섬유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33. 제25항에 있어서,
    상부 플라이의 상부층의 기본중량은 30gsm 내지 60gs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34. 제25항에 있어서,
    상부 플라이의 상부층에 있는 합성 매트릭스 섬유의 함량은 약 50 내지 99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35. 제25항에 있어서,
    상부 플라이의 상부층에 있는 합성 매트릭스 섬유의 함량은 약 75 내지 9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36. 제25항에 있어서,
    상부 플라이의 중간층의 기본중량은 80gsm 내지 300gs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37. 제25항에 있어서,
    상부 플라이의 중간층에 있는 초흡수 고분자 입자의 함량은 상부 플라이의 약 5 내지 6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38. 제25항에 있어서,
    상부 플라이의 중간층에 있는 초흡수 고분자 입자의 함량은 상부 플라이의 약 20 내지 5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39. 제25항에 있어서,
    하부 플라이의 기본중량이 약 150gsm 내지 400gs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40. 제25항에 있어서,
    하부 플라이에 있는 초흡수 고분자 입자의 함량은 약 30 내지 8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41. 제25항에 있어서,
    하부 플라이에 있는 초흡수 고분자 입자의 함량은 약 40 내지 6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42. 제25항에 있어서,
    상부 플라이의 하부층은 에어레이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43. 제25항에 있어서,
    상부 플라이의 하부층은 습윤층적형 셀룰로오스 조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44. 제25항에 있어서,
    하부 플라이의 상부층의 기본중량이 약 10gsm 내지 150gs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45. 제25항에 있어서,
    하부 플라이의 상부층의 기본중량이 약 15gsm 내지 90gs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46. 제25항에 있어서,
    각 플라이의 모든 층은 성형공정에서 완전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47. 제25항에 있어서,
    에어레이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48. 제25항에 있어서,
    초흡수 고분자 입자는 핵의 길이방향으로 단속적 레인으로 상부 플라이의 적어도 하나의 층에 위치하고, 상기 레인은 적어도 70 내지 100% 초흡수 고분자 입자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레인은 섬유와 결합제를 포함하는 인접한 레인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49. 제25항에 있어서,
    초흡수 고분자 입자는 핵의 길이방향으로 단속적 레인으로 하부 플라이에 위치하고, 상기 레인은 적어도 70 내지 100% 초흡수 고분자 입자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레인은 섬유와 결합제를 포함하는 인접한 레인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50. a) i) 라텍스와 결합된 폴리에스테르 매트릭스 섬유를 상부층에 대해 15 내지 25중량%의 양으로 함유하고, 이때의 매트릭스 섬유는 4mm 내지 8mm 길이 및 9 내지 15 데니어/섬유의 두께로 되며 상부층 기본중량이 40 내지 60gsm인 것으로 된 상부층;
    ii) 상기 상부층과 유체소통하고, 연목 플러프, 초흡수 고분자 입자 및 결합섬유를 포함하고, 초흡수 고분자 입자의 함량은 중간층 기본중량의 30 내지 40% 및 결합제의 함량은 6 내지 12%이고, 중간층 기본중량이 150 내지 200gsm인 것으로 된 중간층;
    iii) 상기 중간층과 유체소통하고, 연목 플러프와 걸합섬유를 포함하고, 결합섬유의 함량이 하부층 기본중량의 8 내지 16%이고, 하부층 기본중량이 60 내지 120gsm인 것으로 된 하부층을 포함하는 상부 플라이와; 또한
    b) 상기 상부층과 유체소통하고, 이때 i) 연목 플러프와 걸합섬유를 포함하고, 결합섬유의 함량이 상부층 기본중량의 10 내지 25%이고, 상부층 기본중량이 20 내지 60gsm인 것으로 되는 상부층;
    ii) 연목 플러프, 초흡수 고분자 입자 및 결합섬유를 포함하고, 초흡수 고분자 입자의 함량이 하부층 기본중량의 50 내지 80% 이고 결합제의 함량이 하부층 기본중량의 2 내지 5% 인 것으로 된 하부층; 및
    iii) 하부 플라이가 형성되는 셀룰로오스 조직으로 구성되는 하부 플라이를포함하는 흡수 구조물로서, 여기서
    a) 상부 플라이는 하부 플라이에 인접하는 표면적을 갖고 이 표면적은 하부 플라이의 대응 표면적의 40 내지 60%이고;
    b) 상부 플라이의 밀도는 약 0.05 내지 1.0g/cc 이고;
    c) 하부 플라이의 밀도는 약 0.15 내지 0.3g/cc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51. a) i) 라텍스와 결합된 폴리에스테르 매트릭스 섬유를 상부층에 대해 15 내지 25중량%의 양으로 함유하고, 이때의 매트릭스 섬유는 4mm 내지 8mm 길이 및 9 내지 15 데니어/섬유의 두께로 되며 상부층 기본중량이 40 내지 60gsm인 것으로 된 상부층;
    ii) 상기 상부층과 유체소통하고, 연목 플러프, 초흡수 고분자 입자 및 결합섬유를 포함하고, 초흡수 고분자 입자의 함량은 중간층 기본중량의 40 내지 60% 및 결합제의 함량은 6 내지 12%이고, 중간층 기본중량이 200 내지 280gsm인 것으로 된 중간층;
    iii) 상기 중간층과 유체소통하고, 연목 플러프와 걸합섬유를 포함하고, 결합섬유의 함량이 하부층 기본중량의 8 내지 16%이고, 하부층 기본중량이 60 내지 120gsm인 것으로 되는 하부층을 포함하는 상부 플라이와; 또한
    b) 상기 상부층과 유체소통하고, 이때 i) 연목 플러프와 걸합섬유를 포함하고, 결합섬유의 함량이 상부층 기본중량의 10 내지 25%이고, 상부층 기본중량이 20내지 60gsm인 것으로 된 상부층;
    ii) 연목 플러프, 초흡수 고분자 입자 및 결합섬유를 포함하고, 초흡수 고분자 입자의 함량이 하부층 기본중량의 40 내지 60% 및 결합제의 함량이 하부층 기본중량의 2 내지 5% 이고, 하부층 기본중량이 200 내지 350gsm 인 것으로 된 하부층; 및
    iii) 하부 플라이가 형성되는 셀룰로오스 조직으로 구성되는 하부 플라이를 포함하는 흡수 구조물로서, 여기서
    c) 상부 플라이는 하부 플라이에 인접하는 표면적을 갖고 이 표면적은 하부 플라이의 대응 표면적의 40 내지 60%이고;
    d) 상부 플라이의 밀도는 약 0.05 내지 1.0g/cc 이고;
    e) 하부 플라이의 밀도는 약 0.15 내지 0.3g/cc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52.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백시트 사이에 샌드위치 삽입된 제1항의 흡수 구조물을 포함하는 체액 흡수용 흡수제품.
  53.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백시트 사이에 샌드위치 삽입된 제25항의 흡수 구조물을 포함하는 체액 흡수용 흡수제품.
  54.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백시트 사이에 샌드위치 삽입된 제50항의 흡수 구조물을 포함하는 체액 흡수용 흡수제품.
  55.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백시트 사이에 샌드위치 삽입된 제51항의 흡수 구조물을 포함하는 체액 흡수용 흡수제품.
  56. 습윤강도 4.0kN/gsm 이상, 연성도 8.0/J 이상 및 유연도 70/N 이상이고 실질적으로 다량의 액체를 수용한 후에도 건조한 액체수용면을 제공하는 흡수 구조물로서,
    a) 상부 액체수용면 및 하부면을 갖고 i) 결합제와 결합한 약 2 내지 15mm 길이의 합성 매트릭스 섬유를 포함하는 상부층; ii) 상부층과 유체소통되고 천연섬유, 초흡수 입자 및 결합제를 포함하는 중간층; 및 iii) 중간층과 유체소통되고 천연섬유와 결합제를 포함하는 하부층으로 구성된 상부 플라이와; 또한
    b) 상부 플라이와 유체소통되고, 표면 및 저면을 구비하며 천연섬유, 초흡수 고분자 입자 및 결합제를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하부 플라이로 구성되고;
    상부 플라이의 저면은 하부 플라이의 표면의 80% 이하의 표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57. 습윤강도 6.0kN/gsm 이상, 연성도 8.0/J 이상 및 유연도 70/N 이상이고 실질적으로 다량의 액체를 수용한 후에도 건조한 액체수용면을 제공하는 흡수 구조물로서,
    c) 결합제와 결합된 합성 매트릭스 섬유를 포함하고 이 매트릭스 섬유는 2 내지 15mmdml 길이를 갖는 것으로 된 상부층;
    d) 상부층과 유체소통하고, 천연섬유, 초흡수 고분자 입자 및 결합제를 포함하는 중간층; 및
    e) 중간층과 유체소통하고, 천연섬유와 결합제를 포함하는 하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58. 제57항에 있어서,
    합성 매트릭스 섬유는 2 내지 30 데니어/섬유 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59. 제58항에 있어서,
    합성 매트릭스 섬유는 약 6 내지 15 데니어/섬유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60. 제57항에 있어서,
    합성 매트릭스 섬유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레이온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61. 제57항에 있어서,
    결합제는 라텍스 결합제, 열가소성 분말, 열가소성 섬유, 이성분 섬유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62. 제57항에 있어서,
    결합제는 폴리아미드-폴리아민 에피클로로히드린 내전제, 양이온 전분, 디알데히드 전분, 폴리(비닐 알코올), 키토산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63. 제57항에 있어서,
    천연섬유는 면, 연목펄프, 경목펄프, 짚, 키에프섬유, 화학적, 기계적 및/또는 열적으로 변셩된 셀룰로오스 섬유, 케라틴 섬유 및 그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64. 제57항에 있어서,
    상부층의 기본중량은 20gsm 내지 120gs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65. 제64항에 있어서,
    상부층의 기본중량은 30gsm 내지 60gs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66. 제57항에 있어서,
    상부층에 있는 합성 매트릭스 섬유의 함량은 약 50 내지 99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67. 제66항에 있어서,
    상부층에 있는 합성 매트릭스 섬유의 함량은 약 75 내지 9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68. 제57항에 있어서,
    중간층의 기본중량은 50gsm 내지 1000gs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69. 제68항에 있어서,
    중간층의 기본중량은 80gsm 내지 300gs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70. 제57항에 있어서,
    중간층에 있는 초흡수 고분자 입자의 함량은 상부 플라이의 약 5 내지 6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71. 제70항에 있어서,
    중간층에 있는 초흡수 고분자 입자의 함량은 약 20 내지 5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72. 제57항에 있어서,
    하부층은 에어레이드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73. 제57항에 있어서,
    하부층은 습윤층적형 셀룰로오스 조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74.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모든 층은 성형공정에서 완전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75. 제57항에 있어서,
    에어레이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76. 제57항에 있어서,
    초흡수 고분자 입자는 핵의 길이방향으로 단속적 레인으로 적어도 하나의 층에 위치하고, 상기 레인은 적어도 70 내지 100% 초흡수 고분자 입자를 포함하며,또한 상기 레인은 섬유와 결합제를 포함하는 인접한 레인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77. i) 라텍스와 결합된 폴리에스테르 매트릭스 섬유를 상부층에 대해 15 내지 25중량%의 양으로 함유하고, 이때의 매트릭스 섬유는 4mm 내지 8mm 길이 및 9 내지 15 데니어/섬유의 두께로 되며 상부층 기본중량이 40 내지 60gsm인 것으로 된 상부층;
    ii) 상기 상부층과 유체소통하고, 연목 플러프, 초흡수 고분자 입자 및 결합섬유를 포함하고, 초흡수 고분자 입자의 함량은 중간층 기본중량의 30 내지 40% 및 결합제의 함량은 6 내지 12%이고, 중간층 기본중량이 150 내지 200gsm인 것으로 된 중간층;
    iii) 상기 중간층과 유체소통하고, 연목 플러프와 걸합섬유를 포함하고, 결합섬유의 함량이 하부층 기본중량의 8 내지 16%이고, 하부층 기본중량이 60 내지 120gsm 인 것으로 되고, 상기 구조물은 0.05 내지 1.0g/cc의 밀도, 6.0kN/gsm 이상의 습윤강도, 8.0/J 이상의 연성도 및 70/N 이상 유연도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78. i) 라텍스와 결합된 폴리에스테르 매트릭스 섬유를 상부층에 대해 15 내지 25중량%의 양으로 함유하고, 이때의 매트릭스 섬유는 4mm 내지 8mm 길이 및 9 내지 15 데니어/섬유의 두께로 되며 상부층 기본중량이 40 내지 60gsm인 것으로 된 상부층;
    ii) 상기 상부층과 유체소통하고, 연목 플러프, 초흡수 고분자 입자 및 결합섬유를 포함하고, 초흡수 고분자 입자의 함량은 중간층 기본중량의 40 내지 60% 및 결합제의 함량은 6 내지 12%이고, 중간층 기본중량이 200 내지 280gsm인 것으로 된 중간층;
    iii) 상기 중간층과 유체소통하고, 연목 플러프와 걸합섬유를 포함하고, 결합섬유의 함량이 하부층 기본중량의 8 내지 16%이고, 하부층 기본중량이 60 내지 120gsm 인 것으로 되고, 상기 구조물은 0.05 내지 1.0g/cc의 밀도, 6.0kN/gsm 이상의 습윤강도, 8.0/J 이상의 연성도 및 70/N 이상 유연도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구조물.
  79.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백시트 사이에 샌드위치 삽입된 제57항의 흡수 구조물을 포함하는 체액 흡수용 흡수제품.
KR1020017008689A 1999-01-11 2000-01-10 고기능성 흡수 구조물 KR200101043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603699P 1999-01-11 1999-01-11
US60/116,036 1999-01-11
PCT/US2000/000643 WO2000041882A1 (en) 1999-01-11 2000-01-10 High-performance absorbent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323A true KR20010104323A (ko) 2001-11-24

Family

ID=22364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689A KR20010104323A (ko) 1999-01-11 2000-01-10 고기능성 흡수 구조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3) US6562742B2 (ko)
EP (1) EP1156924A4 (ko)
JP (1) JP2002539964A (ko)
KR (1) KR20010104323A (ko)
CN (2) CN100486802C (ko)
AR (1) AR022261A1 (ko)
AU (1) AU756631B2 (ko)
BR (1) BR0008613A (ko)
CA (2) CA2657333C (ko)
CO (1) CO5241275A1 (ko)
ID (1) ID30088A (ko)
MX (1) MXPA01007036A (ko)
TW (1) TW491767B (ko)
WO (1) WO20000418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9865B1 (en) * 1997-09-30 2002-07-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onded fluff structure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US6562742B2 (en) * 1999-01-11 2003-05-13 Bki Holding Corporation High-performance absorbent structure
US6503234B1 (en) 1999-08-16 2003-01-07 Johnson & Johnson Inc. Thin sanitary napkin having a flexibility selected to provide a good comfort potential while reducing bunching
EP1077051B1 (en) * 1999-08-16 2005-10-12 Johnson & Johnson Inc. Thin, flexible sanitary napkin
US6867346B1 (en) * 1999-09-21 2005-03-15 Weyerhaeuser Company Absorbent composite having fibrous bands
CA2391528A1 (en) * 1999-11-19 2001-05-25 Bki Holding Corporation Absorbent cores with y-density gradient
US20020169428A1 (en) * 2001-05-11 2002-11-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multilayer blended core and a method of forming
US20020176964A1 (en) * 2001-05-24 2002-11-28 Koslow Technologies Corp. Rapid absorbent structures
US7238633B1 (en) * 2001-10-01 2007-07-03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Multi density fiber seat back
ES2268109T5 (es) * 2001-11-09 2012-12-05 Buckeye Technologies Inc. Núcleo unitario absorbente de varias capas
US6890622B2 (en) 2001-12-20 2005-05-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osite fluid distribution and fluid retention layer having selective material deposition zones for personal care products
EP1465569A2 (en) * 2002-01-18 2004-10-13 BKI Holding Corporation Fibrous material with high functional particle load
DE10205828A1 (de) * 2002-02-13 2003-08-21 Corovin Gmbh Composite mit absorbierender Lage
US20030187413A1 (en) * 2002-03-26 2003-10-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multilayer blended core and a method of forming
DE60223808T2 (de) * 2002-09-24 2008-10-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incinnati Absorbierender Artikel mit einem aus einer saugfähigen thermoplastischen Zusammensetzung bestehendem Element
EP1402905A1 (en) * 2002-09-24 2004-03-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absorbent thermoplastic composition comprising superabsorbent material particles of substantially anglelacking shape
US7880052B2 (en) 2003-11-21 2011-02-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abial pad
US7662745B2 (en) * 2003-12-18 2010-02-16 Kimberly-Clark Corporation Stretchable absorbent composites having high permeability
WO2005063309A2 (en) * 2003-12-19 2005-07-14 Bki Holding Corporation Fibers of variable wettability and materials containing the fibers
US20050142965A1 (en) * 2003-12-29 2005-06-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urface charge manipulation for improved fluid intake rates of absorbent composites
CN101519810B (zh) * 2004-01-01 2011-04-06 帝斯曼知识产权资产管理有限公司 用于制备高性能聚乙烯多丝纱线的方法
DE102004009556A1 (de) 2004-02-25 2005-09-22 Concer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aserbahn aus Cellulosefasern in einem Trockenlegungsprozess
EP1579831A1 (en) 2004-03-23 2005-09-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edge barriers comprising a liquid absorbent thermoplastic composition
US8324446B2 (en) * 2004-06-30 2012-12-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Unitary absorbent core with binding agents
US7772456B2 (en) 2004-06-30 2010-08-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retchable absorbent composite with low superaborbent shake-out
US7407701B2 (en) * 2004-07-30 2008-08-05 Kx Technologies Llc Lofted composite with enhanced air permeability
US20060029567A1 (en) 2004-08-04 2006-02-09 Bki Holding Corporation Material for odor control
US7465684B2 (en) * 2005-01-06 2008-12-16 Buckeye Technologies Inc. High strength and high elongation wipe
MX2007011999A (es) 2005-04-01 2008-03-14 Buckeye Technologies Inc Material no tejido para aislamiento acustico y proceso de fabricacion.
US20070035058A1 (en) * 2005-07-06 2007-02-15 Ogle Steven E Method for relofting a nonwoven fiber batt
BRPI0706927A2 (pt) * 2006-01-18 2011-04-19 Buckeye Technologies Material pegajoso, processo para a produção de um material pegajoso, processo para imobilizar e conter pestes, elemento de filtro, processo para a filtração de uma corrente fluidizada de materiais e método para conter alérgenos adjacentes a um artigo portanto alérgenos
RU2416386C1 (ru) * 2007-07-06 2011-04-20 Ска Хайджин Продактс Аб Абсорбирующая структура
US9221963B2 (en) * 2008-11-27 2015-12-29 Speciality Fibres And Materials Ltd. Absorbent material
JP5508747B2 (ja) * 2009-03-25 2014-06-04 花王株式会社 吸収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収性物品
US8292863B2 (en) 2009-10-21 2012-10-23 Donoho Christopher D Disposable diaper with pouches
US20110184365A1 (en) * 2010-01-28 2011-07-28 Glatfelter Falkenhagen Gmbh Flexible, highly absorbent material
US8791321B2 (en) * 2010-08-26 2014-07-29 Medline Industries, Inc. Disposable absorbent lift device
US9005738B2 (en) 2010-12-08 2015-04-14 Buckeye Technologies Inc. Dispersible nonwoven wipe material
US9439549B2 (en) * 2010-12-08 2016-09-13 Georgia-Pacific Nonwovens LLC Dispersible nonwoven wipe material
IN2014DN09132A (ko) 2012-04-13 2015-05-22 Libeltex
GB2503924A (en) 2012-07-13 2014-01-15 Glatfelter Switzerland Sarl Super-absorbent sandwich web
EP3381956B1 (en) 2012-11-21 2021-05-05 Basf Se Surface-postcrosslinked water-absorbent polymer particles
US9302248B2 (en) 2013-04-10 2016-04-05 Evonik Corporation Particulate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tability
US9375507B2 (en) 2013-04-10 2016-06-28 Evonik Corporation Particulate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tability
WO2015028158A1 (en) 2013-08-26 2015-03-05 Basf Se Fluid-absorbent article
EP3068618B1 (en) 2013-11-15 2018-04-25 Georgia-Pacific Nonwovens LLC Dispersible nonwoven wipe material
EP2952165B1 (en) * 2014-06-03 2023-11-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element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an integrated acquisition layer
JP2018502648A (ja) * 2015-01-12 2018-02-01 ジョージア−パシフィック・ノンウォベンズ・エルエルシー 高性能不織布構造体
EP3238678B1 (en) * 2016-04-29 2019-02-2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transversal folding lines
EP3238676B1 (en) * 2016-04-29 2019-01-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profiled distribution of absorbent material
EP3251647A1 (en) * 2016-05-31 2017-12-06 Drylock Technologies N.V. Absorbent structure comprising release layer
WO2018132692A1 (en) 2017-01-12 2018-07-19 Georgia-Pacific Nonwovens LLC Nonwoven material for cleaning and sanitizing surfaces
WO2019067487A1 (en) 2017-09-27 2019-04-04 Georgia-Pacific Nonwovens LLC NON-WOVEN AIR FILTRATION MEDIA
EP3688216A1 (en) 2017-09-27 2020-08-05 Georgia-Pacific Nonwovens LLC Nonwoven material with high core bicomponent fibers
WO2019165590A1 (en) * 2018-02-28 2019-09-06 Kimberly-Clark (China) Co., Ltd. Multi-layer absorbent cor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ES2925308T3 (es) 2018-03-12 2022-10-14 Georgia Pacific Mt Holly Llc Material no tejido con fibras bicomponentes de alto núcleo
CN112218665A (zh) * 2018-06-27 2021-01-12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包含纳米多孔超吸收颗粒的吸收制品
GB2588553B (en) 2018-06-27 2022-10-19 Kimberly Clark Co Nanoporous Superabsorbent Particles
WO2020061026A1 (en) * 2018-09-17 2020-03-26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Multi-layered absorbent article
CN109820650A (zh) * 2019-02-13 2019-05-31 深圳市棉芯科技有限公司 一种吸收性卫生用品及其芯体
CN109820651A (zh) * 2019-02-13 2019-05-31 深圳市棉芯科技有限公司 一种吸收性卫生用品及其芯体
MX2022001673A (es) 2019-08-08 2022-07-27 Glatfelter Corp Materiales no tejidos dispersables que incluyen aglutinantes basados en carboximetilcelulosa (cmc).
GB201918310D0 (en) 2019-12-12 2020-01-29 Mas Innovation Private Ltd Absorbent component
CN111489622A (zh) * 2020-04-10 2020-08-04 邵阳学院 一种基于医学护理实验的模型结构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0625A (en) 1984-01-09 1985-09-10 Hughes Aircraft Company Flexible air permeable non-woven fabric filters
US4604313A (en) 1984-04-23 1986-08-05 Kimberly-Clark Corporation Selective layering of superabsorbents in meltblown substrates
JPH0751142B2 (ja) 1985-07-31 1995-06-05 メ−ルンリユ−ケ・ア−ベ− おむつ、衛生ナプキン等の如き使い捨て物品用吸収体
US4699823A (en) 1985-08-21 1987-10-13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layered absorbent insert having Z-directional superabsorbent concentration gradient
US4868032A (en) 1986-08-22 1989-09-1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urable melt-blown particle-loaded sheet material
DE3720031A1 (de) 1987-06-16 1989-01-05 Freudenberg Carl Fa Saugkoerper aus vliesstoff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4950531A (en) 1988-03-18 1990-08-21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hydraulically entangled non-elastic web and method of formation thereof
US5637106A (en) 1988-11-16 1997-06-10 Carol M. Stocking Absorbent product for personal use
CA1316804C (en) 1988-11-22 1993-04-27 Sylvie Boisse Absorbent liner for impermeable clothing
US5262223A (en) 1988-11-25 1993-11-16 Faricerca S.P.A. Absorbent element and an absorbent article including the element
US5143779A (en) 1988-12-23 1992-09-01 Fiberweb North America, Inc. Rebulkable nonwoven fabric
IT1231881B (it) 1989-03-16 1992-01-14 Faricerca Spa Elemento assorbente perfezionato e articolo assorbente comprendente tale elemento
US5432000A (en) 1989-03-20 1995-07-11 Weyerhaeuser Company Binder coated discontinuous fibers with adhered particulate materials
US5230959A (en) 1989-03-20 1993-07-27 Weyerhaeuser Company Coated fiber product with adhered super absorbent particles
US5271987A (en) 1989-04-17 1993-12-21 Weyerhaeuser Company Unitary absorbent structure
US5360420A (en) 1990-01-23 1994-11-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s containing stiffened fibers and superabsorbent material
US5227107A (en) 1990-08-07 1993-07-13 Kimberly-Clark Corporation Process and apparatus for forming nonwovens within a forming chamber
US5135787A (en) 1990-08-14 1992-08-0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ced food shipping container with aqueous liquid absorbing pad
US5246772A (en) 1990-10-12 1993-09-21 James River Corporation Of Virginia Wetlaid biocomponent web reinforcement of airlaid nonwovens
US5328759A (en) 1991-11-01 1994-07-12 Kimberly-Clark Corporation Process for making a hydraulically needled superabsorbent composite material and article thereof
CA2072454C (en) 1991-12-11 2003-04-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igh absorbency composite
US5681300A (en) 1991-12-17 1997-10-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blended absorbent core
US5239959A (en) * 1992-06-22 1993-08-31 Loth John L Isolated combustion and diluted expansion (ICADE) piston engine
US5352480A (en) 1992-08-17 1994-10-04 Weyerhaeuser Company Method for binding particles to fibers using reactivatable binders
US5308896A (en) 1992-08-17 1994-05-03 Weyerhaeuser Company Particle binders for high bulk fibers
US5294483A (en) 1992-11-23 1994-03-15 Eastman Chemical Company Coating paper with copolyester
US5294478A (en) 1992-12-18 1994-03-15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layer absorbent composite
US5466513A (en) 1992-12-18 1995-11-14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layer absorbent composite
CA2114815C (en) 1993-02-24 2005-06-14 Mark Kevin Melius Absorbent composite
US5350370A (en) 1993-04-30 1994-09-27 Kimberly-Clark Corporation High wicking liquid absorbent composite
CA2107169A1 (en) 1993-06-03 1994-12-04 Cherie Hartman Everhart Liquid transport material
US5387208A (en) * 1993-07-26 1995-02-07 The Procter & Gamble Co. Absorbent core having improved dry/wet integrity
ATE192918T1 (de) 1993-07-26 2000-06-15 Procter & Gamble Absorbierender artikel mit verbesserter trocken/nass integritaet
ATE189599T1 (de) * 1993-10-21 2000-02-15 Procter & Gamble Flüssigkeitsabsorbierende monatsbinden
EP0730438B1 (en) * 1993-11-23 2000-06-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structure comprising superabsorbent, staple fiber, and binder fiber
DE9402463U1 (de) 1994-02-15 1994-04-07 Demhartner Gmbh & Co Kg R Saugfähiger Verbundwerkstoff
US5849405A (en) 1994-08-31 1998-1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materials having improved absorbent property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SE508244C2 (sv) * 1994-02-24 1998-09-21 Moelnlycke Ab Absorptionskropp samt anordning för framställning av en sådan absorptionskropp
DE69510707T2 (de) 1994-03-04 1999-11-04 Kimberly Clark Co Vliesstoff mit verbesserten Flüssigkeits-Strömungs-Eigenschaften für absorbierende Artikel der persönlichen Pflege und dergleichen
US5599335A (en) * 1994-03-29 1997-0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members for body fluids having good wet integrity and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of hydrogel-forming absorbent polymer
IN192766B (ko) 1994-04-29 2004-05-15 Clemson Niversit Res Foundatio
US5505719A (en) * 1994-06-30 1996-04-09 Mcneil-Ppc, Inc. Multilayered absorbent structures
AU3827995A (en) * 1994-11-10 1996-06-06 Weyerhaeuser Company Densified cellulose fiber pad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453314A (en) 1994-12-20 1995-09-26 Collier; George W. Single use disposable protective wearing apparel
MY124298A (en) * 1994-12-28 2006-06-30 Kao Corp Absorbent sheet,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absorbent article using the same
US5645542A (en) 1994-12-29 1997-07-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omeric absorbent structure
FI100165B (fi) 1995-03-01 1997-10-15 Bki Holding Corp Menetelmä hygieniatuotteen imukerroksen valmistamiseksi ja menetelmäll ä valmistettu imukerros
US5522810A (en) 1995-06-05 1996-06-04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ressively resistant and resilient fibrous nonwoven web
US6114596A (en) 1995-11-03 2000-09-05 Polybond, Inc. Breathable disposable sanitary product construction and barrier sheet
US5843852A (en) * 1995-12-21 1998-12-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structure for liquid distribution
US5843055A (en) * 1996-07-24 1998-12-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atified, multi-functional fluid absorbent members
CA2273352A1 (en) * 1996-12-06 1998-06-11 Charles E. Miller Unitary stratified composite
US5866242A (en) 1997-01-17 1999-02-02 Rayonier Inc. Soft, strong, absorbent material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US5916670A (en) 1997-01-17 1999-06-29 Rayonier Inc. Absorbent material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US5906602A (en) 1997-03-27 1999-05-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aped absorbent cores comprising multiple pieces of absorbent material and method for making same
CA2324018A1 (en) * 1998-03-19 1999-09-23 Weyerhaeuser Company Fluted composite and related absorbent articles
US6261679B1 (en) * 1998-05-22 2001-07-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ibrous absorbent material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6420626B1 (en) * 1999-06-08 2002-07-16 Buckeye Technologies Inc. Unitary fluid acquisition, storage, and wicking material
US6562742B2 (en) * 1999-01-11 2003-05-13 Bki Holding Corporation High-performance absorbent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56924A1 (en) 2001-11-28
TW491767B (en) 2002-06-21
MXPA01007036A (es) 2002-03-27
CA2657333A1 (en) 2000-07-20
CN1336868A (zh) 2002-02-20
US20030012919A1 (en) 2003-01-16
ID30088A (id) 2001-11-01
EP1156924A4 (en) 2011-05-04
US20030190852A1 (en) 2003-10-09
US6562742B2 (en) 2003-05-13
US20070152365A1 (en) 2007-07-05
WO2000041882A1 (en) 2000-07-20
JP2002539964A (ja) 2002-11-26
BR0008613A (pt) 2001-11-06
AU2501300A (en) 2000-08-01
US7176149B2 (en) 2007-02-13
CN1139482C (zh) 2004-02-25
CN1494883A (zh) 2004-05-12
CA2657333C (en) 2011-03-29
CO5241275A1 (es) 2003-01-31
AR022261A1 (es) 2002-09-04
CA2360410A1 (en) 2000-07-20
AU756631B2 (en) 2003-01-16
CA2360410C (en) 2009-06-09
CN100486802C (zh) 200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04323A (ko) 고기능성 흡수 구조물
KR100264483B1 (ko) 지지체 및 가교결합가능한 하이드로겔 중합체 입자로 형성된 흡수성 복합 구조체
US5728083A (en) Multilayered absorbent structures
EP1191915B1 (en) Unitary fluid acquisition, storage, and wicking material
US20020026166A1 (en) Unitary absorbent layer
EP1295614A1 (en) Absorbent structure and absorbent articles containing the absorbent structure
CZ287990B6 (cs) Absorpční výrobek
EP3253349B1 (en) Absorbent laminate with multiple substrates
MXPA03008941A (es) Toalla sanitaria delgada comoda que tiene aglomeraciones de material reducidas.
US10512567B2 (en) Soft absorbent sandwich web comprising high concentrations of superabsorbent material, cellulosic fibers and surface applied binder
JP4993479B2 (ja) 吸収性物品
KR102584193B1 (ko) 일회용 흡수성 제품의 구성 요소로서 사용되는 다층 부직 구조체
US20040230173A1 (en) Liquid acquisition layer with caliper recovery and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050100368A (ko) 다층 흡수성 용품
KR20010015721A (ko) 구획된 기초 중량 및 불균질 층 영역을 갖는 적층된 흡수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