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3178A - 해수 순환 방파제 - Google Patents

해수 순환 방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3178A
KR20010103178A KR1020000022185A KR20000022185A KR20010103178A KR 20010103178 A KR20010103178 A KR 20010103178A KR 1020000022185 A KR1020000022185 A KR 1020000022185A KR 20000022185 A KR20000022185 A KR 20000022185A KR 20010103178 A KR20010103178 A KR 20010103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water
block
sea
water holes
circumferential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 회 양
Original Assignee
원 회 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 회 양 filed Critical 원 회 양
Priority to KR1020000022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3178A/ko
Priority to KR2020000011878U priority patent/KR200197765Y1/ko
Publication of KR20010103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317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2201/00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r methods of hydraulic engin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B2201/50Devices for sequentially discharging constant liquid quantities, e.g. into different irrigation chan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안가 방파제를 구축함에 있어서 밀물때에는 외해측으로부터 밀려오는 파랑을 소파하여 내해측으로 유입되게하고 썰물때에는 내해측으로 유입된 해수가 외해측으로 유출되도록 해수의 순환이 용이하게 되면서도 내해의 해면이 정온을 유지하도록하므로서 내해측 해수가 부영향화로 오수가 되지 못하도록 한 방파제 구조에 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해수 순환 방파제{A breakwater which makes the possible seawater moves in a cycle}
본 발명은 해안가에서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 위치의 바다에 구축하여 해안가의 부두 등에 정박한 선박이나 각종 부두시설물을 파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축물인 방파제에 대한 발명으로서 이러한 방파제의 제체는 사석제 방파제 또는 사석제 방파제체의 파랑이 밀려오는 외해측 경사면에 테트라포드 등의 소파블럭을 정적, 또는 난적한 혼성 방파제 또는 블럭을 지그재그식으로 어긋지게 조적한 블럭 방파제 또는 케이슨 식 방파제체로 방파제가 구축된다.
일반적으로 방파제는 항만시설의 외각시설로서 항만기능상 필수적인 시설물이지만 지형에 따라서는 외해로부터 오는 파도가 차단되고 조수간만의 차이에 따라는 밀물,썰물과 같은 해수이동의 자연현상등이 방파제의 장애를 받아 방파제가 차단하고 있는 내해측해수가 순환되지 못하고 장기간 항내에 정체되어 있게되어 항만 주변에서 유입되는 오염원과 해수자체의 정체로 인한 해수의 부영양화로 인하여 오수가 되어 항만 또는 해안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는 경우가 발생되게되어 이에대한 대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 은 본 발명상으로 실시되는 해수 순환 방파제의 부분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상으로 실시되는 해수순환 방파제의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방파제 2.해저면 3.사석 4.기초단
5,5a.하단부 6.저면 7,7a.전,후 주벽
8.내부 9,9a,9b,9c,9d,9e,9f,9g.통수공
10,10a.요면 11,11a.철면 12,12a.수직격벽
13.캡콘크리트 14.암키 15.숫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 방파제에 의한 내해측 해수가 정체되지 않고 항상 외해측 해수와 내해측 해수가 자연 상태로 순환이 되도록 하면서도 내해측 해면이 정온을 유지할 수 있는 해수순환방파제를 제공할 수 있도록 안출한 발명으로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방파제(1)가 구축될 해저면(2)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사석(3)으로되는 기초단(4)을 수평으로 형성하여 이 기초단(4) 상면에 전,후 하단부(5)(5a)가 비교적 두텁게 구비되고 저면(6)이 일정한 두께로 밀폐되며 그 전,후 좌,우주벽(7)(7a)이 일정한 높이로 되고 내부(8)가 중공인 기초블럭(B)을 재치하되 이 기초블럭(B) 전,후 주벽에는 동일한 위치와 동일한 직경의 통수공(9)(9a)이 상하로 다수줄천설되게하고 이러한 기초블럭(B)의 전,후,좌,우 주벽(7)(7a) 상단면에 상하가 개통되고 기초블럭(B)에 천설된 통수공(9)(9a) 과 동일한 통수공(9b)(9c)이 전후주벽(7b)(7c)에 천설된 중공블럭(Ba)이 재치되며 이러한 중공블럭(Ba) 상단면에 일정한 높이의 전,후, 좌,우 주벽(7d)(7e)중의 전,후 주벽(7d)(7e)외측면은 다수개의 요면(10)(10a)과 철면(11)(11a)이 원호로 형성되는 상부소파블럭(Bb)이 재치입설되되 이 상부소파블럭(Bb)내면에는 2개의 수직격벽(12)(12a)이 입설되게하고 상부소파블럭(Bb)의 요면(10)(10a)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통수공(9d)(9e)이 천설되며 수직격벽(12)(12a)에도 통수공(9d)(9e)과 어긋지는 위치에 다수개의 통수공(9f)(9g)을 천설하며 이러한 상부소파블럭(Bb)상면에 캡콘크리트(13)를 재치하여 본 발명상으로 실시되는 해수순환방파제가 구성된다.
그리고 각 블럭과 블럭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암키(14)와 숫키(15)를 형성하여 재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상의 해수순환 방파제(1)는 외해로부터 밀려오는 파랑이 1차로 상부소파블럭(Bb)의 요면(10)과 철면(11)에 부딪혀 일부소파되고 파랑의 일부는 통수공(10)을 통과하여 상부소파블럭(Bb)내부로 진입하나 2차,3차로 수직격벽(12)(12a)에 천설된 통수공(9f)(9g)을 차례로 통과하면서 더욱 파력이 약하여지는데 특히 통수공(10)과 통수공(9f)(9g)와의 위치가 틀리므로 이들을 지나면서 확실히 소파되어 상부소파블럭(Bb)의 내해측 통수공(10a)을 통과하여 내해측으로 유입되는 해수는 정온을 유지한 상태로 해수가 유입되어 밀물과 썰물에 의한 해수의 이동순환이 원활하면서도 내해측 해면은 항상 정온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해안가에서 일정거리로 이격한 위치의 바다에 구축하는 방파제를 구축함에 있어서 방파제가 구축될 해저면(2)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사석(3)으로 되는 기초단(4)을 수평으로 형성하여 이 기초단(4) 상면에 전,후 하단부(5)(5a)가 비교적 두텁게 구비되고 저면(6)이 일정한 두께로 밀폐되며 그 전, 후 좌우주벽(7)(7a)이 일정한 높이로 되고 내부(8)가 중공인 기초블럭(B)을 재치하되 이 기초블럭(B)전,후 주벽에는 동일한 위치와 동일한 직경의 통수공(9)(9a)이 상하로 다수줄 천설되게하고이러한 기초블럭(B)의 전,후,좌,우 주벽(7)(7a) 상단면에 상하가 개통되고 기초블럭(B)에 천설된 통수공(9)(9a) 과 동일한 통수공(9b)(9c)이 전후주벽 (7b) (7c)에 천설된 통수공(9)(9a)과 동일한 통수공(9b)(9c)이 전후주벽(7b)(7c)에 천설된 중공블럭(Ba)이 재치되며 이러한 중공블럭(Ba)상단면에 일정한 높이의 전,후 좌,우 주벽(7d)(7e)중의 전,후 주벽(7d)(7e)외측면은 다수개의 요면(10)(10a)과 철면(11)(11a)이 원호로 형성되는 상부소파블럭(Bb)이 재치입설되되 이 상부소파블럭 (Bb)내면에는 2개의 수직격벽(12)(12a)이 입설되게하고 상부소파블럭(Bb)의 요면 (10)(10a)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통수공(9d)(9e)이 천설되며 수직격벽(12)(12a)에도 통수공(9d)(9e)과 어긋지는 위치에 다수개의 통수공 (9f)(9g)을 천설하여서되는 해수순환방파제.
KR1020000022185A 2000-04-26 2000-04-26 해수 순환 방파제 KR2001010317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185A KR20010103178A (ko) 2000-04-26 2000-04-26 해수 순환 방파제
KR2020000011878U KR200197765Y1 (ko) 2000-04-26 2000-04-26 해수 순환 방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185A KR20010103178A (ko) 2000-04-26 2000-04-26 해수 순환 방파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878U Division KR200197765Y1 (ko) 2000-04-26 2000-04-26 해수 순환 방파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178A true KR20010103178A (ko) 2001-11-23

Family

ID=196670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185A KR20010103178A (ko) 2000-04-26 2000-04-26 해수 순환 방파제
KR2020000011878U KR200197765Y1 (ko) 2000-04-26 2000-04-26 해수 순환 방파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878U KR200197765Y1 (ko) 2000-04-26 2000-04-26 해수 순환 방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10317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722B1 (ko) * 2006-02-08 2006-08-28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해수투과를 가능하게 하는 방파제 시공구조
KR100714784B1 (ko) * 2007-02-07 2007-05-04 자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해수교환용 방파제
KR100720320B1 (ko) * 2007-02-23 2007-05-21 주식회사 항도엔지니어링 연약지반용 조립식 방파제
KR100750883B1 (ko) * 2006-09-28 2007-08-22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사빈해안 보전 겸 양빈시설용 투수성 구조체 및 이의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903B1 (ko) * 2002-09-02 2005-10-14 원 회 양 케이슨 방파제의 해수교환 시설
KR100740825B1 (ko) 2006-09-04 2007-07-19 주식회사 혜인이엔씨 인공어초가 구비된 해수교환 방파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722B1 (ko) * 2006-02-08 2006-08-28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해수투과를 가능하게 하는 방파제 시공구조
KR100750883B1 (ko) * 2006-09-28 2007-08-22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사빈해안 보전 겸 양빈시설용 투수성 구조체 및 이의시공방법
KR100714784B1 (ko) * 2007-02-07 2007-05-04 자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해수교환용 방파제
KR100720320B1 (ko) * 2007-02-23 2007-05-21 주식회사 항도엔지니어링 연약지반용 조립식 방파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765Y1 (ko) 200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782640U (zh) 弧形透空防波堤
CN103774611A (zh) 弧形透空防波堤
KR200197765Y1 (ko) 해수 순환 방파제
KR101521163B1 (ko) 부유식 풍력발전기
CN113737714B (zh) 一种生态浮式防波堤的施工方法
US10252781B2 (en) Floating mounting having a depth-variable horizontal cross-section
JPS61294009A (ja) エネルギー消散素子を備えている越流タイプの堤防
CN211849251U (zh) 一种浮箱式防波堤结构
CN114438956B (zh) 一种用于海上平台的漂浮式防浪系统及施工方法
CN216006814U (zh) 一种生态浮式防波堤
CN104912028A (zh) 一种圆形浮式防波堤
KR200201513Y1 (ko) 해수 순환 방파제
KR100368618B1 (ko) 해수교환 방파제
KR100461584B1 (ko) 연약층이 깊은 심도의 부력을 이용한 방파제
CN111395282A (zh) 紧贴港池附建潮汐池进行发电的系统以及发电方法
KR100660012B1 (ko) 해수 순환 및 월파 방지기능을 갖는 직립식 방파 구조물
KR100394342B1 (ko) 부력폰투운을 이용한 해수교환방파제
CN110939100A (zh) 一种防波堤构件及其应用
KR200235677Y1 (ko) 부력폰투운을 이용한 해수교환방파제
RU206923U1 (ru) Волногаситель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модульный
JP2845094B2 (ja) 消波堤用ブロック
KR200219567Y1 (ko) 해수교환 방파제
KR100374176B1 (ko) 해수교환방파제
KR100521899B1 (ko) 조류소통을 위한 해수 교환 방파제
KR100374181B1 (ko) 조류 소통 방파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