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1952A - 디스플레이 신호내에서 향상되는 비디오 윈도우의 위치 식별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신호내에서 향상되는 비디오 윈도우의 위치 식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1952A
KR20010101952A KR1020017009773A KR20017009773A KR20010101952A KR 20010101952 A KR20010101952 A KR 20010101952A KR 1020017009773 A KR1020017009773 A KR 1020017009773A KR 20017009773 A KR20017009773 A KR 20017009773A KR 20010101952 A KR20010101952 A KR 20010101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ata
pixel
window
line
event occur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9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3582B1 (ko
Inventor
로노스지오반니
리지안드레아
라몰포알베르토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10101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5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8Arrangements within a display terminal for setting, manually or automatically, display parameters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09G2340/125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wherein one of the images is motion vide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컴퓨터는 모니터상에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윈도우를 결정하는 좌표를 발생한다. 이러한 좌표중 하나는 윈도우가 시작되는 라인내의 시작 화소 수를 표시할 수 있다. 컴퓨터는 또한 제 1 미리 결정된 화소의 사건 발생 시간 및 대응하는 실행 수와,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의 사건 발생 시간 및 대응하는 실행 수를 표시하는 기준 정보를 발생한다. 기준 정보로 부터, 윈도우의 이러한 화소의 모든 실행 수에 대한 시작 화소의 사건 발생 순간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기준 정보가 한번만 사용가능하게 될 필요가 있으며, 한편 여러 윈도우의 사건 발생 순간이 윈도우의 좌표 및 이러한 신호 기준 정보로 부터 결정되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신호내에서 향상되는 비디오 윈도우의 위치 식별{Identification of the position of a video window to be enhanced within a display signal}
WO-A-99/2135호는 윈도우에서의 비디오 정보가 포토그래픽 또는 움직이는 비디오일 때 선택된 비디오 윈도우들의 영상 질을 개선하기 위한 컴퓨터 및 모니터 시스템에 관해서 개시한다. 이 문서는 이러한 종류의 비디오 정보에 대한 가능성있는 영상 질의 개선책에 대해서 기술하는데, 즉, 샤프니스(sharpness) 또는 콘트라스트(contrast)의 증가, 감마 또는 컬러 보정과 같은 개선책이다. 그러나, 이러한 영상 질의 개선이 문자들 또는 숫자들에대해 실행된다면, 판독성이 감소될 것이다. 그러므로, 컴퓨터에서 모니터에 윈도우의 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발생하고, 그 안에서만 영상 질의 개선이 실행될 필요가 있다.
실시예에서, 위치 정보는 윈도우의 수평 방향 폭에 대응하는 제 1 펄스 신호, 및 윈도우의 수직 방향 폭에 대응하는 제 2 펄스 신호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컴퓨터 및 모니터 사이에 별도의 와이어 접속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공개된 다른 실시예에서는, 컴퓨터로부터 모니터로 전달되는 비디오 정보에 마커 신호(marker signals)들이 발생되어, 윈도우의 시작 및 끝 위치를 표시 한다. 이러한 마커 신호들이 모든 윈도우에 대해서 영구적으로 가시화된다는 것이 단점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생 방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a 내지 2d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신호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윈도우의 위치를 표시하면서도 덜 가시적인, 정보를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모습은 청구범위 제 1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모습은 청구범위 제 14항에 청구된 바와같은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발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모습은 청구범위 제 15항에 청구된 바와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모습은 청구범위 제 24항에 청구된 바와같은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종속 청구항들에서 한정된다.
본 발명의 제 1 모습에 따른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컴퓨터)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컴퓨터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 될 디스플레이 데이터(또한, 비디오 정보라고도 한다)를 발생한다. 또한 이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윈도우를 결정하는 좌표들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좌표중 하나는, 예를 들면, 윈도우가 시작되는 라인에서 시작 화소 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제 1 미리 결정된 화소(first predetermined pixel) 사건 발생 시간 및 대응하는 실행 수와,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의 사건 발생 시간 및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대응하는 실행 수를 표시하는 기준 정보(reference information)를 더 발생한다. 이 기준 정보로 부터, 이러한 화소의 모든 주어진 실행 수(예를 들면, 윈도우의 시작 화소)에 대한 화소의 사건 발생 순간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기준 정보가 한번만 사용가능하게 될 필요가 있는데, 각각의 윈도우들의 사건 발생 순간들이 윈도우들의 좌표 및 이러한 단일 기준 정보로 부터 결정되는 장점이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제 3 모습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설명후에 더 명백해 진다. 이 디스플레이 데이터, 좌표, 및 기준 정보는, 예를 들면, 표준 VGA 접속기가 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 모습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어 회로에 의해서 발생된 제어 신호의 제어하에 윈도우내에 디스플레이된 비디오 정보의 화상 질을 향상시키는 화상 향상 회로를 포함한다. 이 제어 회로는 기준 정보 및 윈도우를 결정하는 좌표를 수신한다. 화소의 실행 수와 그 사건 발생 순간 사이의 관계는 이 기준 정보로 부터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개의 연속되는 화소들사이의 시간 거리는 제 1 미리 결정된 화소의 사건 발생 시간 및 대응하는 실행 수와,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의 사건 발생 시간 및 대응하는 실행 수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그 결과, 미리 결정된 화소들중 하나와, 두개의 연속된 화소들 사이의 시간 거리를 갖는 윈도우 시작 화소 사이의 실행 수들의 차를 곱함으로서, 이 윈도우의 시작을 표시하는 실행 화소 번호로부터 임의의 윈도우의 시작이 사건이 발생하는 순간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필드 라인에서 화소들의 수평 위치 또는, 필드내의 라인의 수직 위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위치가 바꿔진 스캐닝(transposed scanning)이 적용되어, 수직 방향으로 쓰여진 라인들이 수평 방향으로 서로 연속하면, 이 전의 문장에서 수직 및 수평의 워드들은 교환되어야 한다.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에 의해 공급된 디비오 데이터 화소들의 타이밍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의 이러한 화소들의 사건 발생 순간(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의 위치를 결정한다) 사이의 1 대 1 링크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화소들의 실행 수들을 사건 발생 순간들로 변환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면, 라인 방향에서, 활성 라인 기간(active line period)은 라인의 제 1 화소로 부터 라인의 마지막 화소까지 시간 기간으로 정의된다. 전체 라인 기간은 비디오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이러한 활성 라인 기간과 비디오 정보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블랭킹 기간(blanking period)의 합이다. 또한 전체 라인 기간은 그 역수, 즉 라인 주파수로서 지칭된다. 음극선 관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블랭킹 기간의 대부분은 활성 비디오 기간의 끝(보통은 영상관 스크린의 우측 에지 근방에 있는, 가시 비디오의 끝 위치)으로부터 다음 라인의 활성 비디오 기간의 시작(보통은 영상관 스크린의 좌측 에지 근방에 있는, 가시 비디오의 시작 위치)까지 수평 편향(horizontal deflection)의 플라이백(flyback)동안 사용된다. 현재의 컴퓨터 모니터에서, 여러 다양한 라인 주파수들을 상승시키는 여러 그래픽 해상도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최소의 플라이백 시간이 제한되므로, 활성 라인 기간과 블랭킹 기간 사이의 비는 여러 라인 주파수들 마다 다르다. 그러므로, 컴퓨터에 의해서 공급되며 모니터에서 사용이 가능한 수평 위치 정보뿐인 수평 동기화 펄스에 대해서 제 1 활성 비디오 샘플이 정확히 발생되는 때가 알려지지 않는다. 그 결과, 윈도우 좌표들로부터 윈도우의 사건 발생 순간을 결정하는데 여분의 기준 정보가 요구된다.
윈도우 좌표들은 윈도우의 수평 시작 위치를 표시하는 제 1 실행 수, 윈도우의 수직 시작 위치를 표시하는 제 2 실행 수, 윈도우의 수평 끝 위치를 표시하는 제 3 실행 수, 및 윈도우의 수직 끝 위치를 표시하는 제 4 실행 수를 포함한다. 또한 수평 및 수직 시작 위치들을 표시하는 실행 수들 및 각각의 시작 및 끝 위치 사이의 시간 기간을 표시하는 또 다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제 2항에 한정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 1 미리 결정된 화소가 활성 라인 기간의 시작 화소이며,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가 활성 라인 기간의 마지막 화소인 양호한 해결책에 대해서 기술한다. 여기서, 기준 정보는 단지 이러한 처음 및 마지막 화소들의 사건 발생 시간 및 라인 기간내의 화소들의 총 수를 포함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청구항 제 4항에 한정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의 사건 발생 시간을 표시하는, 기준 타이밍 정보가 디스플레이 데이터에서 인코딩된다. 이것은 이러한 정보가 여분의 와이어가 필요없이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컴퓨터와 모니터 사이에서 운반되는 잇점을 갖는다.
청구항 제 5항에서 한정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준 타이밍 정보는 제1 및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 모두의 사건 발생 순간들에서 레벨 변화를 갖는 아날로그 신호이다. 예를들어, 제 1 펄스는 제 1 미리 결정된 화소의 사건 발생 순간들에 상승 에지로 발생되며, 제 2 펄스는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의 사건 발생 순간들에서 상승 에지로 발생된다. 또는, 선택적으로, 라인의 모든 화소들은 하이 레벨을 갖는다. 기준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적, 녹 및 청 데이터 신호에 인코딩될 수 있다.
청구항 제 6항에 한정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준 타이밍 정보는 하나의 필드 라인에 인코딩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기준 타이밍 정보의 가시성은 최소화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라인은 필드의 마지막 라인이다.
청구항 제 7항에 한정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그래픽 어뎁터의 소프트웨어 드라이버는, 운영 시스템(예를 들면, 윈도우 98)에게 그래픽 어뎁터에 의해서 공급된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해상도 포맷이 실제로 이용되는 것 보다 더 작은 미리 결정된 라인 수를 갖는다는 것을 알린다. 유보된 라인들은 기준 정보 또는 기준 타이밍 정보를 운반하는데 이용된다. 미리 결정된 수는 정보를 운반하는데 얼마나 많은 라인들이 요구되는지에 달려있다. 이 방법에서, 운반된 정보는 운영 시스템 또는 운영 시스템하에서 실행되는 응용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방해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유보된 라인들이 운영 시스템 및 응용 소프트웨어 모두에 대해서 사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청구항 제 8항에 한정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윈도우 좌표들은 디지털 버스를 통해서 컴퓨터로 부터 모니터로 운반된다.
청구항 제 9항에 한정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를 표시하는 실행 수(들) 또는 라인 기간에서 화소들의 총 수가 디지털 버스를 통해서 전달된다.
청구항 제 10항에 한정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윈도우의 좌표들은 제 1 및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를 표시하는 실행 수들 또는 라인 기간내에서 화소들의 총 수가 데이터 신호들중 적어도 하나에 인코딩된다.
청구항 제 11항에 한정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준 타이밍 신호의 가시성은 사용할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서 모니터에 의해서 요구되는 매우 짧은 시간 동안에만 기준 타이밍 신호를 디스플레이함으로서 더욱 최소화된다. 기준 타이밍 신호는 단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작 동안에 또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에 의해서 공급된 비디오 데이터의 그래픽 해상도의 변화 후에 요구된다.
청구항 제 12항에 한정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검출기는 윈도우내에서 비디오 컨텐츠의 성질이 비디오 향상이 그 실행을 개선하는 그러한 종류인지를 판단한다.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가 개선이 가능한 비디오 컨텐츠의 성질을 가지고 존재하면, 윈도우들 좌표 정보들이 모니터에 전달 될 뿐이다. 이 방식으로, 윈도우(들) 좌표 정보들은 요구될 때 모니터로 전달 될 뿐이면, 이러한 정보의 가시성은 더 최소화된다.
청구항 제 13항에 한정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윈도우에서 비디오 컨텐츠의 성질 표시는, 모니터가 성질에 최적으로 적합한 영상 향상 처리(picture enhancement processing)를 수행하도록 모니터에 전달된다.
청구항 제 18항에 한정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매우 단순한 관계(verysimple relation)가 윈도우의 시작 순간의 사건 발생 순간emf과 활성 라인 기간에서의 처음 및 마지막 화소의 사건 발생 순간들과 활성 라인 기간내의 화소들의 총 수 사이의 관계를 결정한다.
청구항 제 19항에 한정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향상된 디스플레이 신호들이 기준 정보 또는 기준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는 비디오 라인들 동안에 블랭킹(blanking)된다.
청구항 제 20항에 한정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윈도우에서의 데이터상에 수행되는 피킹(peaking)의 피킹 특성들(peaking properties)은 최적의 성능 개선을 얻기 위해 라인 주파수에 의존한다.
청구항 제 21항에 한정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윈도우에서 데이터의 백색 온도(white color temperature)는, 비디오 특성들로 부터 결정되고, 컴퓨터에 의해서 제공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요구 및 입력되는 요구된 백색(desired white color)에 따라 적응된다.
청구항 제 22항에 한정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윈도우에서의 데이터의 콘트라스트(contrast) 및/또는 휘도(brightness)는 비디오 특성들로 부터 결정되고 컴퓨터에 의해서 제공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요구 및 입력되는 요구된 설정(a desires setting)에 따라 적응된다.
청구항 제 23항에 한정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윈도우에서의 데이터의 감마(gamma)는 비디오 특성들로 부터 결정되고 컴퓨터에 의해서 제공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요구 및 입력되는 요구된 감마(a desired gamma)에 따라서 적응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모습은 이하 기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고 명확해 진다.
도 1은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1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을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10)는 컴퓨터가 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컴퓨터 모니터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10)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생기(106), 마이크로프로세서(105) 및 선택적인 디지털 버스 드라이버(107)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05)는 비디오 신호(101), 비디오 신호(102), 비디오 신호(103), 및 수평 및 수직 동기화 펄스(104)를 디스플레이 장치(20)로 전달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생기(106)(예를 들면, 컴퓨터 그래픽 어뎁터)를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신호(101, 102, 103)는 삼원색, 적, 녹, 청을 각각 표시한다. 두개의 동기화 신호들(104)은 분리하여 송신하거나 또는 하나의 와이어를 통해서 결합된다.
전술된 바와같이, 기준 정보는 제 1 및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의 실행 수 및사건 발생 순간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준 정보 및 윈도우 좌표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5)에 의해서 발생된다. 기준 정보 및 윈도우 좌표를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10)로 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로 전달하는 가능한 방법이 많이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의 사건 발생 순간은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101, 102, 103)중 적어도 하나의 레벨 추이로서 인코딩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05)는 제 1 및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의 실행 수 및 윈도우 좌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어 데이터 DB를 전달하기 위해서 선택적인 디지털 버스 드라이버(107)를 더 제어할 수도 있다.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101,102,103)내의 윈도우 좌표 및 완전한 기준 정보를 인코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화상 향상 회로(201), 세개의 섹션들(R,G,B)로 분할된 비디오 증폭기(20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4), 윈도우 관리 회로(WMC로도 불리운다)(203), 및 마이크로프로세서(205)를 포함한다. 도 1이 비디오 증폭기(202)에 의해서 구동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4)로서 음극선관을 도시하지만, 본 발명은 다른 방법에 의해 구동되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면, LCD 또는 플라즈마 패널들)과 결합되어 유용하게 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컴퓨터(10) 및 음극선관 모니터(20)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종래의 모니터에 있어서, 세개의 비디오 신호(101,102 및 103)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4)를 구동하는데 요구되는 레벨까지 적당한 증폭을 위해 비디오 증폭기(202)에 직접 전달된다.
본 발명에서, 세개의 비디오 신호(101,102 및 103)는 WMC(203) 및 마이크로프로세서(205)에 의해서 제어되는 화상 향상 회로(201)에 의해 처리된다. 비디오 증폭기(202)는 처리된 비디오 신호들을 증폭한다.
화상 향상 회로(201)는 사용자에게 더 큰 기쁨 또는 인상적인 선택된 윈도우(들)에 영상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여러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향상의 약간의 예들이 이하에 설명된다.
제 1 예는 샤프니스 부스팅 기능(SBF로도 불린다)이다. SBF는 화상 향상 회로(201)가 그와같이 하도록 WMC(203)으로 부터 명령을 수신할 때 세개의 비디오 신호(101,102 및 103)에 피킹(peaking)을 가산한다. 다시 말하면, 세개의 비디오 신호들은 더 높은 고조파에서만 과 증폭(over-amplification)을 수신한다. 이 처리의 결과는 스크린상에서 훨씬 파손되기 쉬운 영상이 된다. 이 피킹의 시정수는, 입력 동기화 신호들(104)을 통해 모니터의 라인 주파수를 알므로서, 이러한 비디오 정보에 대해서 최적의 피킹이 무엇인지를 결정하며, 그에 따라 화상 향상 회로(201)에 명령을 제공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05)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영상 향상을 위해 선택된 윈도우즈에서 비디오 처리의 다른 예에 있어서는, 백색 온도가 적응될 수 있다.
"백색 온도"로 백색을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으로, 실제의 온도에서 흑체는 그 특정 색을 생성해야 한다. 예를들어, "컴퓨터 영상들"의 백색(텍스트 또는 그래픽과 같이)은 일반적으로 약 9300°K이며, 한편 텔레비젼 장치에서의 백색은 약 6500°K로 설정된다.
일단 모니터가 미리 결정된 백색 예를들어 9300°K을 표시하도록 조절되면, 스크린상의 모든 화상들은, 이러한 백색이 동시에 스크린상에 존재하는 모든 영상에 대해서 적합하지 않다 할지라도, 그 백색으로 표시된다. 예를들어, 다중 윈도우 즈 화상이 9300°K의 백색을 표시하도록 조절된 모니터상에 표시될 때, 여기서 하나의 윈도우가 사진을 나타내며, 다른 윈도우가 스프레드쉬트를 나타내고, 사진 윈도우는, 영상의 색이 훨씬 "콜드하며(colder)" 실생활 만큼 생생하지 않으므로, 불리하게 된다. 대조적으로, 모니터가 6500°K에서 설정될 때 성긴 핑크 배경이 스프레드쉬트 영상을 망치게 된다.
공지된 바와같이, 모든 영상의 색은 삼원색, 적, 녹, 청색으로 부터 도출된다. 이론적으로, 백색은 삼원색의각 혼색(각각 33%)으로 부터 얻어진다. 실제로는, 백색 혼색은 응용에 따라서, 빛을 "웜(warm)"(또는 "콜드")으로 하기 위해서 삼원색의 다양한 이용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또한 화상 향상 회로(201)는 윈도우의 비디오 컨텐츠의 성질을 최적으로 맞추기 위해서 선택된 윈도우에서 색을 적응하는 색 온도 변화 기능(CTC라고도 한다)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비디오 클립이 어떤 윈도우내에서 실행되면, CTC는 자동으로 백색을 6500°K로 조절한다. 사진이 표시되고 있으면, CTC는 5000°K로 전환되는 식이다. 여러 색 온도는 OSD(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메뉴) 또는 또 다른 UI(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사용자에 의해서 완전히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CTC는 비디오 증폭기(202)에 전달된 세개의 비디오 신호 R,G,B의 레벨을 변화시키거나 또는 세개의 증폭기 R,G,B의 이득비를 변화시킴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선택적인 영상 향상 기능이 윈도우의 데이터 내용에 의존하므로, 처리를 어디에 적용하는지 어디에 적용하지 않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비디오 내용의 식별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더 높은 휘도(콘트라스트) 및/또는 샤프니스를 갖는 사진 및 필름이 인간의 눈에 더 즐거움을 준다. 한편, 텍스트 또는 그래픽과 같은 다른 종류의 영상에 인가된 동일 처리는 전문 모니터 사용자에게 허용되지 않는 아티팩트를 보여준다. 이러한 식별은 사용자가 윈도우를 선택하거나 또는 활성화되는 향상 기능을 선택함므로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10)가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메뉴에 대해서 마이크로프로세서(205)에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들어, 컴퓨터(10)내의 마이크로프로세서(105)는 어떤 응용이 윈도우내에서 실행되는지, 그리고 이러한 응용이 영상 뷰어일 때, 모니터에게 영상이 표시됨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를 도시한다. 도 2a는 수평 동기화 펄스 Hs를 도시한다. 도 2b는 제 1 및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 Nr1, Nr2의 사건 발생 시간 tr1,tr2를 나타내는 기준 타이밍 정보를 도시한다. 도 2c는 화상 향상 회로(201)에 향상 기능이 활성이여야 할 때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도시한다. 도 2d는 완전한 백색 라인이 표시될 때 비디오 신호(101,102,103)중 하나를 도시한다.
화상 향상 회로(201)는 향상되어야 하는 윈도우와 완전하게 동위상인 전기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어야 한다. 적절한 메뉴가 없으면, 사용자는 이 영역을 수동으로 페이즈하여 선택된 윈도우로 처리되게 한다. 더욱이, 사용자가 다중 동기 모니터로 작업할 때, 사용자는 스크린의 해상도를 변화시키고 싶을 때 마다 페이징동작을 수행해야 한다. 이것은 매우 귀챦은 일이다. 그러므로, 처리되어야 하는 영역과 선택된 영역 사이에서 올바른 위상을 자동으로 유지하는 회로가 제공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한가지 특징은 자동으로 정확한 위상을 허용하는 기준 정보가 가능한 적게 보여지는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스크린상의 윈도우의 공간 위치는 동기화 신호(104)에 대해서 시간상으로 모니터에서 결정된다. 간략하게 하기 위해서, 원리는 모니터(20)의 수평 편향에 대해서만 설명된다. 수직 편향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준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 2a는 순간 t0로 부터 순간 tf로 계속되는 수평 동기화 신호(104)의 활성부로, 모니터(20)로 제공된 수평 동기화 신호(104)를 표시한다. 모니터(20)의 수평 주파수 fh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h = 1/(th-t0)
활성 비디오 기간 Ta는 화소 번호 1을 갖는 라인내의 제 1 화소의 순간 t1에서 시작되며, 화소 번호 N(예를 들면, 1024)를 갖는 라인내의 마지막 화소의 순간 t4에서 끝난다. 도 2d는 라인내의 모든 화소가 동일 미리 결정된 값을 갖을 때 비디오 신호(101,102,103)중 하나의 활성 비디오 신호를 표시한다. 모두 세개의 비디오 신호(101,102.103)의 제 1 화소는 동일 순간 t1에서 시작하며 모두 세게의 신호(101,102,103)의 마지막 화소는 동일 순간 t4에서 끝난다. tf 및 t1 사이의 시간 기간은 "백 포치"라고 하며, t4 및 th 사이의 시간 간격은 "프론트 포치"라고 한다. 도 2c는 윈도우내의 정확한 비디오 데이터상에서 향상 기능을 수행하도록 화상 향상 회로(201)을 제어하기 위해서 스크린상에서 선택된 윈도우와 완전하게 동위상이어야 하는 제어 신호 C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예를들어, 1024 x 768의 비디오 포맷이 있으며, 처리되는 윈도우가 화소 수 300에서 시작하며 화소 수 700에서 끝난다고 가정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t1(활성 비디오 신호의 시작)은 화소 수 1에 대응하며,
-tw1(윈도우의 시작)은 화소 수 300에 대응하며,
-tw2(윈도우의 끝)은 화소 수 700에 대응하며,
-t4(활성 비디오 신호의 끝)은 화소 수 1024에 대응한다.
화소 수 300에서 시작하며 화소수 700에서 끝나는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10)는 동기화 펄스 Hs에 대해서 윈도우의 일시적인 위치의 정보를 제공해야 하거나 또는 번호 1을 갖는 제 1 화소가 수평 동기화 펄스 Hs에 대해서 적어도 시간 배치되는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유감스럽게도, 모든 타이밍 정보가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10)의 그래픽 어뎁터에서 발생된다 할지라도, 이러한 정보가 쉽게 억세스가 되지 않으며 비디오 카드에 의존되는 레지스터에 저장되므로 특별한 준비가 있어야 한다. 더욱이, 이러한 정보는 비디오 신호(101,102,103)가 비디오 내용에 의존하므로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10)에 의해서 제공되는 신호(101,102,103),104)로 부터 도출될 수 없다. 이러한 예측불가능한 비디오 신호(101,102,103)의 내용으로 인해서, 동기화 펄스(104)의 사건 발생 순간 t0 에 대해서 라인내의 제 1 화소의 사건발생 순간을 신뢰성있게 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수평 주파수가 동일한 포맷에 대해서 동일하게 될 수 있을 때에도, 백 포치 및 프론트 포치가 매우 자주 상이한 값을 갖는 다중 동기 모니터에서 문제는 훨씬 더 심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디오 신호(101,102,103)가 미리 결정된 라인 동안에, 어뎁터(106)가 모든 시간 관계에 대해서 기준으로 사용되는 타이밍 신호를 발생하도록함으로서 필요한 기준 타이밍 정보를 발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에 기초해 있다.
타이밍 정보는 제 1 미리 결정된 순간(tr1)에서 발생되는 실행 수(Nr1)을갖는 제 1 미리 결정된 화소에서 제 1 레벨 전이를 갖으며, 제 2 미리 결정된 순간 (tr2)에서 발생되는 실행 수(Nr2)를 갖는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에서 제 2 레벨 전이를 갖는 타이밍 신호로 이루어진다. 그러한 타이밍 신호의 예가 도 2b에 도시된다. 실선은 단일 펄스를 도시하며, 파선은 두개의 펄스를 도시한다. 두개의 화소 사이의 시간 기간은 이러한 두개의 순간(tr1, tr2)과 실행 수(Nr1, Nr2)사이의 시간 기간로 부터 계산될 수 있다. 윈도우의 시작 순간(tw1)은 윈도우(Nw1) 및 제 1 미리 결정된 화소(Nr1) 사이의 시간차를 이용할 때 윈도우의 시작 화소의 실행 수(Nw1)와 다음과 같이 미리 결정된 화소의 실행 수들(Nr1, Nr2)중 하나 사이에서 발생되는 화소의 번호를 승산하므로서 결정된다.
tw1 = tr1 + (Nw1-Nr1)*(tr2-tr1)/(Nr2-Nr1+1)
유사한 식이 윈도우 Nw1의 시작 화소와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 Nr2 사이의 시간차가 사용될 때 나타난다. 두 경우의 식은 다음과 같이 다시 쓸수 있다.
tw1 = ((Nr2-Nr1)*tr1 + (Nw1-Nr1)*tr2)(tr2-tr1)/(Nr2-Nr1+1)
이 식이 수학적으로 동일하므로, 물론 어떤 식이 윈도우의 시작 순간을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지가 관계없다. 항 (Nr2-Nr1+1)은 제 1 화소가 실행 수 1을 갖으므로 1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는 윈도우의 수평 시작(및/또는) 위치의 결정을 허용하기 위해서 비디오 정보의 하나 또는 동일 라인에서 발생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는 윈도우의 수직 시작(및/또는) 위치의 결정을 허용하기 위해서 비디오 정보의 상이한 라인내에서 발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미리 결정된 화소 Nr1은 실행 수 1을 갖으며 관련 순간 제로에서 발생되는 라인의 시작 화소이며,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 Nr2는 실행 수 N을 갖으며 관련 순간 Ta에서 발생되는 라인의 마지막 화소이다. 이제, 실행 화소 수(Nw1)를 갖는 화소의 사건 발생 순간(tw1)은 다음에 의해서 정의된다.
tw1 = Nw1*Ta/N
예를 들어서 그리고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명은 세개의 부분, 즉, 컴퓨터(10)내에 상주하는 소프트웨어 모듈, 모니터(20)내에 상주하는 소프트웨어의 단편, 및 모니터(20)내에 배치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PC내에 배치되는 소프트웨어는 사용되는 해상도 포맷에 대한 정보 및 윈도우의 좌표를 운영 시스템으로 부터 추출한다.
윈도우의 좌표는 비디오의 내용의 종류(예를 들면, 텍스트 또는 사진)를 인식함으로서 자동으로 또는 요구된 윈도우상에서 마우스를 클릭함으로서 수동으로 추출될 수 있다.
PC내에 배치된 소프트웨어는 어떤 명령이 활성화될 때 그래픽 어뎁터(106)가 완전한 백색(또는 적, 녹, 또는 청 또는 그 조합) 라인 영상("버스트-라인")을 발생하도록 한다. 이러한 라인이 존재하는 시간은 후술되드시, 윈도우 펄스 또는 제어 펄스 C를 발생하기 위해서 정보를 얻기 위한 모니터(20)내에 배치된 WMC(203)에 의해서 요구된 시간으로 제한된다.
PC에서, 모든 정보는 인코딩되어 비디오 신호들(101,102,103) 중 적어도 하나에 내장되거나 또는 (USB, DDC 또는 그와같은 것을 이용하여) 전송을 위한 버스 드라이버(107)에 전달된다.
내장 선택이 내려지면, 모든 정보는 세개의 비디오 채널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하나의 단일 라인["데이타-라인(data-line)"] 동안에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녹색 채널은 버스트 라인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적색/청색 채널은 윈도우 좌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야기될 수 있는 문제는 PC내에서 실행되는 응용과 관련된 가능성있는 (그러나 가능성이 별로 없는) 차단이 있다. 사실상, PC내에서 실행되는 응용은 버스트 라인이 발생되는 바로 그 시간에 일부 정보를 기록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모니터로 전달된 정보는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다음의 두가지 방법으로 해결된다.
제 1 (및 가장 간단한) 방법은 모니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서 표시되기 전에 인코딩된 정보를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블랭킹하는 것이다. 물론, 블랭킹이 수행되기 전에, (인코딩된) 기준 타이밍 정보는 먼저 검색되었다. 이러한 해결방법의 단점은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정보 라인을 잃는다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라인은 영상의 바닥에 배치되며, 이러한 손실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기준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는 라인(라인들)은 WMC(203)에서 검출되며, 화상 향상 회로(201)에서 블랭킹된다.
제 2 방법에서, 보통은 윈도우와 같은 운영 시스템의 시작에서, 운영 시스템는 호출을 그래픽 어뎁터 드라이버에 전송하며, 스크린상의 영상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일부 정보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정보의 일부는 포맷 해상도(예를 들면, 1024 x 786)이다. 이러한 제 2 방법에 따라서 소프트웨어는 다음 단계를 실행한다.
-드라이버로 가는 호출 및 정보요청을 인터셉팅하며,
-드라이버에 의해서 전달되는 정보를 인터셉팅하며,
-인코딩된 정보를 전달하는 라인의 수에 따라서, 라인의 수를 하나 이상으로 감소시킴으로서 포맷 해상도에 대한 정보를 보정하며,
-운영 시스템으로 보정된 정보를 전달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하나(또는 그 이상)의 라인(가장 편리하기로는 마지막 라인)은 운영 시스템에 억세스되지 않으며 따라서 정보를 전송하는데 완전하게 사용된다. 예를들어, 원래의 포맷이 1024 x 767이면, 영상은 정보의 손실없이, 1024 x 767의 포맷으로 스크린상에 실제로 이끌린다.
모니터내에 상주하는 소프트웨어(펌웨어)의 일부에 대한 기본 목적은 컴퓨터에 의해서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윈도우(들)의 일시적인 위치를 유도하기 위한 모든 계산을 실행하는 것이다.
WMC 203은 다음 동작을 수행한다.
-비디오 신호(101,102,103)내에 내장되거나 또는 디지털 버스 드라이버(107)에 의해서 구동되는 통신 버스상에서 이동하는 컴퓨터(10)에 의해서 전달되는 신호를 디코딩하며,
-도 2에 도시된 것으로서 그 지속시간 및 위상이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윈도우(들)의 지속 시간 및 위상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
전술된 실시예는 발명의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예시를 위한 것이며, 당업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 부터 벗어나지 않는한 여러 가지 실시예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예를들어, 윈도우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즈에 공지된 바와같은 사각형 윈도우에 제한되지 않는다. 윈도우는 임의의 영역 또는 지역, 예를 들면, 타원 또는 다각형을 망라할 수 있다. 더우기, 윈도우는 다른 것,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윈도우에 의해서 망라되는 이러한 윈도우의 영역을 제외하고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윈도우의 영역을 망라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향상은 MPEG 아티팩트 감소를 포함할 수 있다.
청구범위에서, 괄호내의 배치된 참조기호는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동사 "포함한다" 및 그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청구범위에 열거된 것 이외의 소자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여러 고유 소자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에 의해서, 그리고 적당히 프로그래밍된 컴퓨터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여러 수단을 열거하는 장치 청구항에서, 이러한 여러 수단은 하나의 동일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시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컴퓨터는 모니터상에서 표시되어야 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윈도우를 결정하는 좌표를 발생한다. 이러한 좌표중 하나는 윈도우가 시작하는 라인내의 시작 화소 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제 1 미리 결정된 화소의 사건 발생 시간 및 대응하는 실행 수와,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의 사건 발생 시간 및 대응하는 실행 수를 표시하는 기준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참조 정보로 부터, 이러한 윈도우의 화소의 모든 실행 수에 대한 시작 회소의 사건 발생 순간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기준 정보가 한번만 사용될 필요가 있는 한편, 여러 윈도우의 사건 발생 순간이 윈도우의 좌표 및 신호 기준 정보로 부터 결정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25)

  1.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10)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20)에서의 인터페이스에서 사용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데이터(DD),
    디스플레이 데이터(DD)의 제 1 미리 결정된 화소의 사건 발생 시간(tr1) 및 대응하는 실행 수(Nr1)와,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의 사건 발생 시간(tr2) 및 대응하는 실행 수(Nr2)를 표시하는 기준 정보, 및
    디스플레이 데이터(DD)의 윈도우를 결정하는 좌표들(Nw1,Nw2)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105, 106, 107)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리 결정된 화소는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DD)의 라인에서의 제 1 화소(0)이며, 상기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는 상기 라인에서의 마지막 화소(N)이며, 상기 기준 정보는 상기 라인에서 사건 발생 하는 제 1 화소의 사건 발생 시간(tr1), 마지막 화소의 사건 발생 시간(tr2) 및 화소들의 총 수(N)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10).
  3. 제 1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105, 106, 107)은 마이크로프로세서(105) 및 그래픽 어뎁터(106)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5)는,
    디스플레이 데이터(DD)를 제공하도록 그래픽 어뎁터(106)를 제어하고,
    기준 정보(tr1, Nr1, tr2,Nr2) 및 좌표들(Nw1,Nw2)을 발생시키기 위해 프로그래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1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5)는 디스플레이 데이터(DD)에 기준 타이밍 정보를 인코딩하도록 더 프로그래밍되며, 상기 기준 타이밍 정보는 제 1 미리 결정된 화소(Nr1)의 사건 발생 시간(tr1) 및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Nr2)의 사건 발생 시간(tr2)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1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DD)는 적색(101), 녹색(102), 청색(103)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그래픽 어뎁터(106)는, 데이터 신호들(101,102,103)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제 1 미리 결정된 화소(Nr1)의 사건 발생 순간에서 제 1 신호 전이로서, 및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Nr2)의 사건 발생 순간(tr2)에서 제 2 신호 전이로서 기준 타이밍 정보를 제공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10).
  6. 제 4 또는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타이밍 정보는 디스플레이 데이터(DD)의 필드의 하나의 비디오 라인에 인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10).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5)는 소프트웨어 그래픽 어뎁터 드라이버의 제어하에서 그래픽 어뎁터(106)를 제어하도록 더 프로그래밍되며,
    상기 드라이버는,
    디스플레이 데이터(DD)의 해상도 포맷을 요청하는, 운영 시스템으로 부터 그래픽 어뎁터(106)에의 호출을 인터셉팅(intercepting)하는 단계로서, 상기 해상도 포맷은 디스플레이 데이터(DD)의 필드에서 다수의 라인들의 표시를 포함하는, 상기 언터셉팅 단계,
    상기 운영 시스템으로부터의 호출에 응답하여 그래픽 어뎁터(106)에 의해서 제공되는 해상도 포맷을 인터셉팅하는 단계
    기준 타이밍 정보를 포함하도록 인코딩된 다수의 비디오 라인들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수 만큼 상기 수를 감소시킴으로서 그래픽 어뎁터(106)에 의해서 제공된 해상도 포맷을 보정하는 단계,
    운영 시스템에 상기 보정된 해상도 포맷을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10).
  8. 제 1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105, 106, 107)은 좌표들(Nr1, Nw2)를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 버스 드라이버(10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10).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105, 106, 107)은 좌표들(Nw1,Nw2)을 제공하고, 제 1 미리 결정된 화소가 라인에서 제 1 화소(0)이고,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가 라인에서 마지막 화소(N)일 때, 라인에서의 실행 수들(Nr1, Nr2) 또는 화소들의 총수(N)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버스 드라이버(10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10).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5)는, 데이터 신호들(101, 102, 103)중 하나에 좌표들(Nw1, Nw2) 및 상기 제 1 미리 결정된 화소가 라인에서의 제 1 화소(0)이며, 상기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가 라인에서 마지막 화소(N)일 때, 실행 수들(Nr1, Nr2) 또는 라인에서의 화소들의 총 수(N)를 인코딩하도록 더 프로그래밍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10).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10)는,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해상도 포맷이 변화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105)를 더 포함하여, 해상도 포맷의 변화가 검출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10)가 전력 다운(power down)으로부터 활성화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데이터(DD)에 타이밍 기준 정보를 인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10).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10)는 좌표들(Nw1, Nw2)이 제공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윈도우에서 비디오 컨텐츠의 성질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10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10).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10)는, 윈도우에서의 비디오 컨텐츠의 성질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105)를 더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해 상기 성질의 표시를 또한 제공하는 디바이스인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10).
  14. 디스플레이 데이터(DD) 발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디스플레이 데이터(DD)를 발생시키는(105) 단계,
    디스플레이 데이터(DD)의 제 1 미리 결정된 화소의 사건 발생 시간(tr1) 및 대응하는 실행 수(Nr1)와,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의 사건 발생 시간(tr2) 및 대응하는 실행 수(Nr2)를 표시하는 기준 정보를 발생(105)시키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DD)의 윈도우를 결정하는 좌표들(Nw1, Nw2)을 발생(105)시키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DD), 기준 정보, 및 좌표들(Nw1, Nw2)을 디스플레이 장치(20)에서 사용하기 위해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106, 10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생 방법.
  15. 디스플레이 장치(20)에 있어서,
    제어 신호에 의해 표시된 시간 기간 동안 향상된 디스플레이 신호들(206, 207,208)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4)에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데이터(DD)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화상 향상 회로(201), 및
    제어 회로(203, 205)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회로는,
    디스플레이 데이터(DD)의 제 1 미리 결정된 화소의 사건 발생 시간(tr1) 및 대응하는 실행 수(Nr1)와,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의 사건 발생 시간(Tr2) 및 대응하는 실행 수(Nr2), 및
    디스플레이 데이터(DD)의 윈도우를 결정하는 좌표들(Nw1, Nw2)을 수신하여,
    상기 좌표들(Nw1,Nw2) 및 기준 정보로 부터 계산되는 윈도우의 시작 순간(tc1)을 표시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205)는 시작 순간(tc1)을,
    tc1 = ((Nm2-Nc1)*tm1 + (Nc1-Nm1)*tm2)/(Nm2-Nm1)로서
    결정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
  17. 제 15 항에 있어서,
    제 1 미리 결정된 화소는 라인에서 제 1 화소(0)이며,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는 상기 라인에서 마지막 화소(N)이며, 상기 기준 정보는 제 1 화소의 사건 발생 시간(tr1), 마지막 화소의 사건 발생 시간(tr2) 및 상기 라인에서 사건 발생되는 화소들의 총 수(N)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제어 회로(205)는 시작 순간(tc1)을
    tc1 = Nc1*T/N
    로서 결정하도록 적응되며,
    여기에서, 라인 기간 T는 처음의 비디오 화소로부터 마지막 비디오 화소까지의 비디오 라인의 지속 시간이며, N은 라인 기간 T 동안에 사건 발생되는 비디오 화소들의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
  19. 제 15 항에 있어서,
    제 1 화소의 사건 발생 시간(tr1) 및 제 2 화소의 사건 발생 시간(tr2)를 나타내는 기준 타이밍 정보는 디스플레이 데이터(DD)의 하나 또는 여러 라인들에서 인코딩되며, 상기 제어 회로(203, 205)는 디스플레이 데이터(DD)로 부터 기준 타이밍 정보를 검색하고, 화상 향상 회로(201)를 제어하여, 상기 라인들 또는 상기 여러 라인 동안에 상기 향상된 디스플레이 신호들(206, 207, 208)을 블랭킹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향상 회로(201)는 수신된 디스플레이 데이터(DD)상에 피킹을 수행하기 위한 피킹 회로(pecking circuit)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회로(203, 205)는 디스플레이 장치(20)의 라인 주파수에 의존하여 피킹의 특성을 제어하기 위한 계산 유닛(2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향상 회로(201)는 수신된 디스플레이 데이터(DD)의 백색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가능한 증폭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회로(203,205)는 윈도우내에서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요구된 백색을 표시하는 정보를 더 수신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향상 회로(201)는 수신된 디스플레이 데이터(DD)의 콘트라스트 및/또는 휘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가능한 증폭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회로(203, 205)는 윈도우내에서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콘트라스트 및 휘도의 요구된레벨을 표시하는 정보를 더 수신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향상 회로(201)는 조절가능한 감마를 갖는 증폭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회로(203, 205)는 윈도우에서의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적용되는 감마의 요구된 레벨을 표시하는 정보를 더 수신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4. 디스플레이 데이터-발생 디바이스(1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생 디바이스(1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에 디스플레이 데이터(DD)를 제공하기 위한수단(105),
    디스플레이 데이터(DD)의 제 1 미리 결정된 화소의 사건 발생 시간(tm1) 및 대응하는 실행 수(Nm1)와,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의 사건 발생 시간(tm2) 대응하는 실행 수(Nm2)를 표시하는 기준 정보, 및
    디스플레이 데이터(DD)의 윈도우를 결정하는 좌표들(Nw1, Nw2)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디스플레이 데이터(DD)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 신호로 표시되는 시간 기간 동안 향상된 디스플레이 신호들(206, 207, 208)을 디스플레이 디비아스(204)에 제공하는 화상 향상 회로(201), 및
    기준 정보 및 좌표들(Nw1, Nw2)을 수신하여, 좌표들(Nw1,Nw2)로부터 계산되는 윈도우의 시작 순간(tc1)을 표시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제어 회로(203, 2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리 결정된 화소는 라인에서의 처음의 화소(0)이며, 상기 제 2 미리 결정된 화소는 상기 라인에서 마지막 화소(N)이며, 상기 기준 정보는 처음의 화소의 사건 발생 시간(tr1), 마지막 화소의 사건 발생 시간(tr2), 및 상기 라인내에서 사건 발생하는 화소들의 총 수(N)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017009773A 1999-12-02 2000-11-15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생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신호내에서 비디오 윈도우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8735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204078.2 1999-12-02
EP99204078 1999-1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952A true KR20010101952A (ko) 2001-11-15
KR100873582B1 KR100873582B1 (ko) 2008-12-11

Family

ID=8240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9773A KR100873582B1 (ko) 1999-12-02 2000-11-15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생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신호내에서 비디오 윈도우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606100B1 (ko)
EP (1) EP1173841A1 (ko)
JP (1) JP2003515774A (ko)
KR (1) KR100873582B1 (ko)
CN (1) CN1190959C (ko)
TW (1) TW525143B (ko)
WO (1) WO20010411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2265A (ja) * 2000-05-02 2001-11-09 Sony Corp 画像表示装置
US20020130880A1 (en) * 2001-03-16 2002-09-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ocally enhancing display information
KR100449719B1 (ko) * 2002-03-23 2004-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하이라이팅 영역을 하이라이팅시킬 수있는 방법 및 장치
FR2838275B1 (fr) * 2002-04-08 2004-10-22 St Microelectronics Sa Procede et dispositif de codage/decodage d'informations pour la definition d'une fenetre dans une image video
US7106342B2 (en) 2002-09-27 2006-09-12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trolling brightness of user-selected area for image display device
US6950097B1 (en) 2002-12-02 2005-09-27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Video display interface controller for host video display unit
EP1443757A1 (en) * 2003-01-31 2004-08-04 Lg Electronics Inc. Display system for adjusting video parameters for user-selected area
US6975310B1 (en) 2003-07-07 2005-12-13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Fade controller for providing programmable fade rates for on-screen display (OSD) window
KR100595442B1 (ko) * 2003-07-31 2006-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DE102006006801A1 (de) 2006-02-14 2007-08-23 Fujitsu Siemens Computers Gmbh Flüssigkristallbildschirm und Verfahren zur Anzeige eines Bildsignals
TW200820767A (en) 2006-06-26 2008-05-01 Genesis Microchip Inc Universal, highly configurable video and graphic measurement device
US7826680B2 (en) 2006-06-26 2010-11-02 Genesis Microchip Inc. Integrated histogram auto adaptive contrast control (ACC)
US7920755B2 (en) 2006-06-26 2011-04-05 Genesis Microchip Inc. Video content detector
US7881547B2 (en) 2006-07-28 2011-02-01 Genesis Microchip Inc. Video window detector
JP5135990B2 (ja) * 2006-11-27 2013-02-0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WO2009125342A1 (en) * 2008-04-07 2009-10-15 Nxp B.V.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enhancing the picture quality of composite video data having at least one window
CN104463806B (zh) * 2014-12-19 2017-12-29 南京理工大学 基于数据驱动技术的高度自适应图像对比度增强方法
CN106504724B (zh) * 2016-11-08 2020-09-22 Tcl新技术(惠州)有限公司 一种可视化的色温调试方法及系统、显示器及交互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12016B1 (en) * 1985-08-12 1990-10-31 Data General Corporation A system of graphical manipulation in a potentially windowed data display
US5387945A (en) * 1988-07-13 1995-02-07 Seiko Epson Corporation Video multiplexing system for superimposition of scalable video streams upon a background video data stream
US5276437A (en) * 1992-04-22 1994-01-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media window manager
US5500654A (en) * 1993-12-27 1996-03-19 Kabushiki Kaisha Toshiba VGA hardware window control system
US5978041A (en) 1994-10-24 1999-11-02 Hitachi, Ltd. Image display system
US6369855B1 (en) * 1996-11-01 2002-04-0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udio and video decoder circuit and system
DE69842020D1 (de) 1997-01-31 2011-01-05 Hitachi Ltd Bildanzeigesystem mit der Veranlagung zur Modifikation von Anzeigeeigenschaften in einem bestimmten Anzeigebereich
US6239773B1 (en) * 1997-10-13 2001-05-29 U.S. Philips Corporation Image display device
JPH11190987A (ja) 1997-10-20 1999-07-13 Sony Corp 表示装置、マーカー信号構成方法、マーカー信号検出回路、及び制御信号発生回路
US6313822B1 (en) * 1998-03-27 2001-11-06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screen resolution based on available memory
JPH11298795A (ja) * 1998-04-14 1999-10-29 Sony Corp 制御信号発生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41117A1 (en) 2001-06-07
TW525143B (en) 2003-03-21
CN1345433A (zh) 2002-04-17
KR100873582B1 (ko) 2008-12-11
EP1173841A1 (en) 2002-01-23
US20030214514A1 (en) 2003-11-20
JP2003515774A (ja) 2003-05-07
CN1190959C (zh) 2005-02-23
US6606100B1 (en) 2003-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3582B1 (ko) 디스플레이 데이터 발생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신호내에서 비디오 윈도우의 식별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1763255B1 (en) 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0201808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contrast and sharpness for regions in a display device
EP1555814A2 (en) Reducing burn-in associated with mismatched video image/display aspect ratios
JP2002341843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100504487B1 (ko)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 선택영역 휘도 제어방법
JP3334535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7345690B2 (en) Display system for adjusting video parameters for user-selected area
US9418631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0449719B1 (ko)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하이라이팅 영역을 하이라이팅시킬 수있는 방법 및 장치
JP3872295B2 (ja) データ表示方法、記録媒体、及びプロセッサ・ベース・システム
EP1263219A2 (en) Generation of Text on a Display Screen
US200400010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ference video signal
JPH08320679A (ja) 表示装置
KR20190017290A (ko)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휘도 제어방법
KR100798593B1 (ko) 후면 투사 방식 모니터의 영상표시 처리장치
KR10063273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2041010A (ja) 表示制御方法、表示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情報処理装置
AU2003200313B2 (en) Display system for adjusting video parameters for user-selected area
KR20050036601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4240373A (ja) ユーザ選択領域のビデオパラメータを調整する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801

Effective date: 2008091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