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1934A -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심혈관 사건의 예방 및 감소 방법 - Google Patents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심혈관 사건의 예방 및 감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1934A
KR20010101934A KR1020017009744A KR20017009744A KR20010101934A KR 20010101934 A KR20010101934 A KR 20010101934A KR 1020017009744 A KR1020017009744 A KR 1020017009744A KR 20017009744 A KR20017009744 A KR 20017009744A KR 20010101934 A KR20010101934 A KR 20010101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onary
days
composition
treatment perio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9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프리 알. 그라네트
네일 에이치. 슈스터맨
데이비드 씨. 우프리챠드
Original Assignee
스튜어트 알. 수터, 스티븐 베네티아너, 피터 존 기딩스
스미스클라인 비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튜어트 알. 수터, 스티븐 베네티아너, 피터 존 기딩스, 스미스클라인 비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스튜어트 알. 수터, 스티븐 베네티아너, 피터 존 기딩스
Publication of KR20010101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93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6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group being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anthranilic acid, mefenamic acid, diclofenac, chlorambuc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체에게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하여 89 일 이하의 처치 기간 동안 N-(3',4'-디메톡시신나모일)안트라닐산 (N-5')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일일 투여량이 약 300 mg 초과 내지 약 1,200 mg이 되도록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서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심혈관 사건의 예방 또는 감소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심혈관 사건의 예방 및 감소 방법 {Method for the Prevention or Reduction of Cardiovascular Events Associated with Coronary Intervention}
기술분야
본 발명은 관상혈관 시술 (coronary intervention)과 관련된 심혈관 사건 (cardiovascular event)의 예방 또는 감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 방법은 포유동물, 특히 인간 환자에게 관상혈관 시술을 한 후, 활성 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I으로 나타낸 N-(3',4'-디메톡시신나모일)안트라닐산 (N-5') (트라닐라스트 (Tranilast))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의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배경기술
1. 본 발명의 기술분야
관상혈관 시술은 협심증 및 심근경색 등의 허혈성(虛血性) 심장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경피 수술법이다. 관상혈관 시술은 기술적으로 풍선 카테터,기계적스텐트 설치 (stent placement), 종절제술(腫切除術) 카테터 등을 사용하여 관상 동맥 협착 병변을 기계적으로 혈관 재생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관상혈관 시술은 그 결과로서 종종 최내측 및 내측 세포의 손상에 기인한 재발협착증을 초래한다. 재발협착증 환자들에게는 이러한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혈관 재생 과정이 필요하다.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기타의 심혈관 사건에는 심근경색 및 사망 등이 있다.
지금까지,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심혈관 사건의 예방 또는 감소에 효과적인 약물은 전혀 없었다.
2. 관련기술 설명
트라닐라스트는 이 약물이 보이는 화학적 매개인자 방출 억제 활성에 기초하여 알레르기성 기관지염, 알레르기성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알레르기성 질병 치료를 위한 약물로 시판되고 있다 (The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Vol.57, No.5, pp.396-407, (1976)).
더욱 최근에는, 트라닐라스트가 섬유아세포의 증식 및 콜라겐 축적을 억제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Biochemical Pharmacology, Vol.36, No.4, pp.469-474 (1987)).
미국 특허 제5,385,935호 ('935)는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재발협착증을 억제하는 트라닐라스트의 용도를 청구하며, 효험을 얻기 위해서는 연속 3 개월 이상의 처치 기간이 필요함을 밝히고 있다. 상기 '935 특허에 인용된 문헌 (Japanese College of Cardiology (1988))의 간행물에서는 연속 3 개월 이상의 처치 기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어느 정도 전제로 하고 있다. 상기 간행물은 PTCA 수술을 받은 환자에게 PTCA 수술 후 연속 30 일 동안 트라닐라스트를 일일 경구 투여량 300 mg으로 사용하는 치료법을 개시한다. 이 연구로부터 얻은 임상 데이타에는, 시험된 투여량 및 기간에서 PTCA 수술과 관련된 재발협착증 효과 억제에 관한 현저한 효험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935 특허는 이러한 30 일간의 프로토콜 후 트라닐라스트에 의한 재발협착증 효과 억제의 효험이 없음은 처치 기간이 너무 짧았기 때문임을 밝히고 있다.
반대로, '935 특허는 트라닐라스트 처치 기간을 연장하는 것이 수술 후에 PTCA와 관련된 재발협착증의 발병률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트라닐라스트를 약 3 개월 이상의 기간 (즉, 약 연속 90 일 이상의 처치 기간) 동안 투여한 환자에서는 PTCA 수술과 관련된 재발협착증의 발병률이 감소하였다. 한 임상 연구에서는, PTCA 수술 후 연속 3 개월 동안 환자들에게 트라닐라스트를 일일 경구 투여량 600 mg으로 투여하는 경우, 재발협착증의 발병률은 약 20 % 미만이었다. '935 특허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PTCA 수술과 관련된 재발협착증의 발병률은 보통 약 40 %이다.
또한, 성공적인 관상혈관 성형술 후의 재발협착증은 대부분의 경우, 수술후 6 개월 이내, 특히 관상혈관 성형술 후 1 개월과 3 개월 사이에 발생함이 관찰되었다 (Nobuyoshi M. et al., J Am Coll. Cardiol. 1988; 12: 616-623).
그러므로, 재발협착증은 관상혈관 성형술 후 회복 기간 중에 주로 발생하며, 치료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3 개월 이상의 트라닐라스트 처치가 필요하다.
3 개월 미만의 처치 기간 동안 트라닐라스트를 투여하여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심혈관 사건의 예방 또는 감소에 효험이 있을 수 있는 경우, 이의 수많은 장점이 실현될 것이다. 투여 프로토콜의 기간 단축의 장점에는 환자 순응도 증가, 환자에게 투여되는 전체 의약의 감소, 부작용 프로필의 감소 및 같은 비용으로 더욱 효과적인 치료 제공 등이 있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이르러 3 개월 미만의 처치 기간 동안 트라닐라스트가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심혈관 사건의 예방 또는 감소에 적합하게 투여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하여 대상체에게 N-(3',4'-디메톡시신나모일)안트라닐산 (N-5')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하여 89 일 이하의 처치 기간 동안 일일 투여량 약 300 mg 초과 내지 약 1,200 mg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서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심혈관 사건의 예방 또는 감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하기의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 출원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음)은 본원에서 언급됨으로써 그 전체가 기술되어 있는 것처럼 도입된다.
본원에서 사용하기 위한 허용가능한 염의 예로는 나트륨염 또는 칼슘염 등의 무기 염, 또는 모르폴린, 피페리딘, 아르기닌 등의 아민과 함께 형성되는 유기 염이 있다.
본 발명의 관상혈관 시술의 예로는 경피경관 관상혈관 성형술 (PTCA), 방향성 관상동맥 종절제술 및 스텐트 설치 등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심혈관 사건"이란, 바람직하게는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심근경색 및 사망을 의미하며,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혈관 재생 과정이 필요함도 포함된다. 또한, "심혈관 사건"의 정의에는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재발협착증 효과가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심혈관 사건의 "예방 또는 감소"란 트라닐라스트로 처치한 환자의 경우가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혈관 재생 과정에 대한 필요성, 및(또는) 심근경색의 발병 및(또는) 사망이 비처치 환자에 비해 예방되고 감소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재발협착증 효과의 발생도 트라닐라스트로 처치한 환자의 경우가 비처치 환자에 비해 예방되고 감소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하여"란 트라닐라스트 처치를 관상혈관 시술 후 즉시 (예를 들면, 관상혈관 시술 후 4 내지 8 시간 이내), 관상혈관 시술 후 며칠 (예를 들면, 2 일) 이내에, 또는 관상혈관 시술 전 수 일 (예를 들면, 약 7 일)간의 기간 동안 시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용어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하여"란 예를 들어 관상혈관 시술 당일날 아침 또는 그 당일날 동안의 한 번 또는 몇 번의 투여는 무시되는 투여 프로토콜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관찰 기간에 걸쳐 수집한"이란 12 개월 이하의 기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하여 대상체에게 N-(3',4'-디메톡시신나모일)안트라닐산 (N-5') (트라닐라스트)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하여 89 일 이하의 처치 기간 동안 일일 투여량 약 300 mg 초과 내지 약 1,200 mg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서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심혈관 사건의 예방 또는 감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트라닐라스트의 바람직한 일일 투여량은 약 400 mg 내지 약 1,200 mg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트라닐라스트의 더욱 바람직한 일일 투여량은 약 500 mg 내지 약 1,000 mg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트라닐라스트의 가장 바람직한 일일 투여량은 약 600 mg 내지 약 900 mg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트라닐라스트의 특히 바람직한 일일 투여량은 약 600 mg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트라닐라스트의 특히 바람직한 일일 투여량은 약 900 mg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예상 처치 기간은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하여 약 60 일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추가의 예상 처치 기간은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하여 약 45 일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처치 기간은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하여 약 30 일이다.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처치 기간은 14 일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사용 방법은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심근경색의 예방 또는 감소 방법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사용 방법은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사망의 예방 또는 감소 방법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사용 방법은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혈관 재생 과정 필요성의 예방 또는 감소 방법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사용 방법은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재발협착증의 예방 또는 감소 방법이다.
본 발명의 방법의 효험은 하기 실시예에서 입증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하여 대상체에게 N-(3',4'-디메톡시신나모일)안트라닐산 (N-5') (트라닐라스트)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하여 89 일 이하의 처치 기간 동안 일일 투여량 약 300 mg 초과 내지 약 1,200 mg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서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심혈관 사건의 예방 또는 감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게서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심혈관 사건의 예방 또는 감소에 있어서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하여 89 일 이하의 처치 기간 동안 일일 투여량이 약 300 mg 초과 내지 약 1,200 mg인 트라닐라스트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하여 89 일 이하의 처치 기간 동안 일일 투여량 약 300 mg 초과 내지 약 1,200 mg으로 트라닐라스트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서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심혈관 사건의 예방 또는 감소에 사용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트라닐라스트는 미국 특허 제3,940,422호에 일반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트라닐라스트 및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및 이들의 조성물은 미국 특허 제3,940,422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공지된 방법으로 쉽게 제조될 수 있다.
트라닐라스트 및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이 치료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이는 예를 들어, 산제, 과립, 정제, 캡슐제, 주사가능한 용액제 등과 같은 적합한 투여 형태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트라닐라스트 제약 조성물은 부형제, 붕해제, 결합제, 표백제 등과 같은 적합한 담체와 부가혼합하고, 통상적인 성형 방법 및 투여 형태에 따라 제조함으로써 제제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제 투여 형태는 트라닐라스트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적합한 부형제, 결합제, 표백제 등과 부가혼합함으로써 제제화될 수 있다.
정제는 트라닐라스트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적합한 부형제, 붕해제, 결합제, 표백제 등과 부가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통상적인 성형 장치로 압축함으로써 제제화될 수 있다. 또한, 정제를 코팅하여 필름 코팅된 정제, 당 코팅된 정제, 장용성 코팅된 정제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캡슐제는 트라닐라스트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적합한 부형제,표백제 등과 부가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캡슐안에 채우거나, 또는 통상적인 성형 장치를 사용하여 트라닐라스트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과립을 형성시키고 이렇게 형성된 과립을 캡슐안에 채움으로써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상 조성물이 치료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활성 성분으로서의 트라닐라스트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의,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하여 89 일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60 일,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0 일간의 처치 기간 동안의 일일 투여량은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로 성인 환자 1 인 당 활성 화합물 약 300 mg 초과 내지 약 1,200 mg, 바람직하게는 활성 화합물 약 500 mg 내지 약 1.000 mg의 범위 중에서 선택된 효험있고, 무독성인 양일 것이며, 특히 바람직한 투여량은 약 600 mg, 특히 바람직한 투여량은 약 900 mg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연속 3 개월 이상의 처치 기간이 고려된다. 투여량 및 투여 기간은 환자의 체중, 연령 및 성별, 치료될 상태의 심각성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심혈관 사건을 치료할 필요가 있는 인간 환자에게 처치하는 경우, 상기 지시된 투여량을 하루에 1-6 번, 바람직하게는 하루에 약 2 번에 나눠서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다. 바람직한 비경구 투여 형태로는 국소적으로, 직장으로, 경피로, 주사 및 연속 주입에 의한 투여 등이 있다. 경구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되는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고, 이는 제제의 농도, 투여 방식, 및 질병 상태의 진전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치료중인 특정환자에 따른 추가의 요소들 (예를 들면, 환자의 연령, 체중, 식사, 및 투여 시간)에 따라 투여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본 발명에 따라 투여되는 경우, 예측되는 허용불가능한 독성 효과는 전혀 없다.
당업자라면 추가의 노력 없이도 상기 설명에 따라 본 발명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다고 믿어진다. 그러므로,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만 주어진 것이며,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PTCA 수술과 관련된 재발협착증의 치료 방법의 효험이 하기한 바에 의해 입증되었다.
성공적인 PTCA 수술로 완만하게 확장된, 부분 폐색(閉塞)이 있는 149 개의 병변을 선택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병변을 2 개의 군으로 나누었는데, 2 개 군 모두에서 성별, 관상 동맥의 분포, 또는 PTCA 후에 재발협착된 병변의 비율이 그다지 다르지 않았다: 한 군 (약 49 개의 병변)에는 트라닐라스트를 투여 (일일 투여량 600 mg, 바람직하게는 12 시간씩의 간격을 두고 300 mg의 정제 2 개 투여)하였고 (후에, 제I군으로 함), 다른 한 군 (약 100 개의 병변)에는 트라닐라스트를 투여하지 않았다 (후에, 제II군으로 함). 또한, 환자들에게 칼슘 길항체, 질산염 및(또는) 항혈소판제를 투여할 수 있었다. 상기 약물들을 PTCA 이후 연속 30 일 동안 투여하였고, 상기 PTCA 이후 1 년 이내에 관상혈관 시술의 경과를 추적 조사했다.
측정은 2 회의 투사에서 수행되었고, 모든 측정 (PTCA 이전 및 PTCA 직후, 및 최종 추적 조사시)은 보다 정확한 비교를 위해서 동일한 투사에서 이루어졌다.
측정 수단으로 직경 협착을 계산하였고, 이를 혈관 확장 이후 측정한 혈관 직경의 초기 측정치의 50 % 이상 감소 또는 확장된 혈관의 50 % 협착으로 정의하였다.
관찰 기간에 걸쳐 수집한 비교 임상 데이타는 3 개월 간의 트라닐라스트 처치가 PTCA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심근경색 발병의 예방 또는 감소에 효험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PTCA 수술과 관련된 심근경색의 발병의 예방 및 감소 방법의 효험이 하기한 바에 의해 입증되었다.
성공적인 PTCA 수술로 완만하게 확장된, 부분 폐색(閉塞)이 있는 149 개의 병변을 선택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병변을 2 개의 군으로 나누었는데, 2 개 군 모두에서 성별, 관상 동맥의 분포, 또는 PTCA 후에 재발협착된 병변의 비율이 그다지 다르지 않았다: 한 군 (약 49 개의 병변)에는 트라닐라스트를 투여 (일일 투여량 900 mg, 바람직하게는 12 시간씩의 간격을 두고 450 mg의 정제 2 개 투여)하였고 (후에, 제III군으로 함), 다른 한 군 (약 100 개의 병변)에는 트라닐라스트를 투여하지 않았다 (후에, 제IV군으로 함). 또한, 환자들에게 칼슘 길항체, 질산염 및(또는) 항혈소판제를 투여할 수 있었다. 상기 약물들을 PTCA 이후 연속 30 일 동안 투여하였다.
관찰 기간에 걸쳐 수집한 비교 임상 데이타는 30 일간의 트라닐라스트 처치가 PTCA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심근경색 발병의 예방 또는 감소에 효험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PTCA 수술과 관련된 사망 발생의 예방 및 감소 방법의 효험이 하기한 바에 의해 입증되었다.
성공적인 PTCA 수술로 완만하게 확장된, 부분 폐색(閉塞)이 있는 149 개의 병변을 선택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병변을 2 개의 군으로 나누었는데, 2 개 군 모두에서 성별, 관상 동맥의 분포, 또는 PTCA 후에 재발협착된 병변의 비율이 그다지 다르지 않았다: 한 군 (약 49 개의 병변)에는 트라닐라스트를 투여 (일일 투여량 600 mg, 바람직하게는 12 시간씩의 간격을 두고 300 mg의 정제 2 개 투여)하였고 (후에, 제V으로 함), 다른 한 군 (약 100 개의 병변)에는 트라닐라스트를 투여하지 않았다 (후에, 제VI군으로 함). 또한, 환자들에게 칼슘 길항체, 질산염 및(또는) 항혈소판제를 투여할 수 있었다. 상기 약물들을 PTCA 이후 연속 30 일 동안 투여하였다.
관찰 기간에 걸쳐 수집한 비교 임상 데이타는 30 일간의 트라닐라스트 처치가 PTCA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사망 발생의 예방 또는 감소에 효험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PTCA 수술과 관련된 혈관 재생 필요성의 예방 및 감소 방법의 효험이 하기한 바에 의해 입증되었다.
성공적인 PTCA 수술로 완만하게 확장된, 부분 폐색(閉塞)이 있는 149 개의 병변을 선택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병변을 2 개의 군으로 나누었는데, 2 개 군 모두에서 성별, 관상 동맥의 분포, 또는 PTCA 후에 재발협착된 병변의 비율이 그다지 다르지 않았다: 한 군 (약 49 개의 병변)에는 트라닐라스트를 투여 (일일 투여량 900 mg, 바람직하게는 12 시간씩의 간격을 두고 450 mg의 정제 2 개 투여)하였고 (후에, 제VII군으로 함), 다른 한 군 (약 100 개의 병변)에는 트라닐라스트를 투여하지 않았다 (후에, 제VIII군으로 함). 또한, 환자들에게 칼슘 길항체, 질산염 및(또는) 항혈소판제를 투여할 수 있었다. 상기 약물들을 PTCA 이후 연속 30 일 동안 투여하였다.
관찰 기간에 걸쳐 수집한 비교 임상 데이타는 30 일간의 트라닐라스트 처치가 PTCA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혈관 재생 필요성의 예방 및 감소에 효험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가 상기에 의해 예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본원에 기재된 지시사항에 엄밀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하기의 청구항의 범위에 있는 모든 변형에 관한 권리가 유지되는 것임이 인정되어야 한다.

Claims (57)

  1. 대상체에게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하여 89 일 이하의 처치 기간 동안 N-(3',4'-디메톡시신나모일)안트라닐산 (N-5')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일일 투여량이 300 mg 초과 내지 약 1,200 mg이 되도록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심혈관 사건의 예방 또는 감소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이 인간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일 투여량이 N-(3',4'-디메톡시신나모일)안트라닐산 (N-5')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약 500 내지 1,000 mg인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일 투여량이 N-(3',4'-디메톡시신나모일)안트라닐산 (N-5')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약 600 내지 900 mg인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일 투여량이 N-(3',4'-디메톡시신나모일)안트라닐산 (N-5')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약 600 mg인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일 투여량이 N-(3',4'-디메톡시신나모일)안트라닐산 (N-5')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약 900 mg인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처치 기간이 약 60 일인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처치 기간이 약 45 일인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처치 기간이 약 30 일이며 관상혈관 시술 직후 시작되는 것인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처치 기간이 약 30 일이며 관상혈관 시술 약 7 일 전에 시작되는 것인 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처치 기간이 약 14 일인 방법.
  12. 제2항에 있어서, 심혈관 사건이 재발협착증인 방법.
  13. 제2항에 있어서, 심혈관 사건이 심근경색인 방법.
  14. 제2항에 있어서, 심혈관 사건이 사망인 방법.
  15. 제2항에 있어서, 심혈관 사건이 혈관재생 과정을 필요로 하는 것인 방법.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량을 경구 투여하는 방법.
  17. 제2항에 있어서, 관상혈관 시술이 경피경관 관상혈관 성형술인 방법.
  18. 제2항에 있어서, 관상혈관 시술이 방향성 관상동맥 종절제술인 방법.
  19. 제2항에 있어서, 관상혈관 시술이 스텐트 설치 (Stent placement)인 방법.
  20.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서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심혈관 사건의 예방 또는 감소에 사용하기 위한 의약 제조에 있어서,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하여 89 일 이하의 처치 기간 동안 일일 투여량이 약 300 mg 내지 약 1,200 mg이 되도록 투여되는 N-(3',4'-디메톡시신나모일)안트라닐산 (N-5')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
  21. 제20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이 인간인 용도.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일일 투여량이 N-(3',4'-디메톡시신나모일)안트라닐산 (N-5')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약 500 내지 1,000 mg인 용도.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일일 투여량이 N-(3',4'-디메톡시신나모일)안트라닐산 (N-5')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약 600 내지 900 mg인 용도.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일일 투여량이 N-(3',4'-디메톡시신나모일)안트라닐산 (N-5')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약 600 mg인 용도.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일일 투여량이 N-(3',4'-디메톡시신나모일)안트라닐산 (N-5')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약 900 mg인 용도.
  26. 제21항에 있어서, 처치 기간이 약 60 일인 용도.
  27. 제21항에 있어서, 처치 기간이 약 45 일인 용도.
  28. 제21항에 있어서, 처치 기간이 약 30 일이며 관상혈관 시술 직후 시작되는 것인 용도.
  29. 제21항에 있어서, 처치 기간이 약 30 일이며 관상혈관 시술 약 7 일 전에 시작되는 것인 용도.
  30. 제21항에 있어서, 처치 기간이 약 14 일인 용도.
  31. 제21항에 있어서, 심혈관 사건이 재발협착증인 용도.
  32. 제21항에 있어서, 심혈관 사건이 심근경색인 용도.
  33. 제21항에 있어서, 심혈관 사건이 사망인 용도.
  34. 제21항에 있어서, 심혈관 사건이 혈관재생 과정을 필요로 하는 것인 용도.
  3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량이 경구 투여되는 것인 용도.
  36. 제21항에 있어서, 관상혈관 시술이 경피경관 관상혈관 성형술인 용도.
  37. 제21항에 있어서, 관상혈관 시술이 방향성 관상동맥 종절제술인 용도.
  38. 제21항에 있어서, 관상혈관 시술이 스텐트 설치인 용도.
  39. N-(3',4'-디메톡시신나모일)안트라닐산 (N-5')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며,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하여 89 일 이하의 처치 기간 동안 일일 투여량 약 300 mg 내지 약 1,200 mg이 되도록 투여되는, 포유동물, 특히 인간에서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심혈관 사건의 예방 또는 감소에 사용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40. 제39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이 인간인 조성물.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일일 투여량이 N-(3',4'-디메톡시신나모일)안트라닐산 (N-5')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약 500 내지 1,000 mg인 조성물.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일일 투여량이 N-(3',4'-디메톡시신나모일)안트라닐산 (N-5')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약 600 내지 900 mg인 조성물.
  43.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일일 투여량이 N-(3',4'-디메톡시신나모일)안트라닐산 (N-5')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약 600 mg인 조성물.
  44.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일일 투여량이 N-(3',4'-디메톡시신나모일)안트라닐산 (N-5')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약 900 mg인 조성물.
  45. 제40항에 있어서, 처치 기간이 약 60 일인 조성물.
  46. 제40항에 있어서, 처치 기간이 약 45 일인 조성물.
  47. 제40항에 있어서, 처치 기간이 약 30 일이며 관상혈관 시술 직후 시작되는 것인 조성물.
  48. 제40항에 있어서, 처치 기간이 약 30 일이며 관상혈관 시술 약 7 일 전에 시작되는 것인 조성물.
  49. 제40항에 있어서, 처치 기간이 약 14 일인 조성물.
  50. 제40항에 있어서, 심혈관 사건이 재발협착증인 조성물.
  51. 제40항에 있어서, 심혈관 사건이 심근경색인 조성물.
  52. 제40항에 있어서, 심혈관 사건이 사망인 조성물.
  53. 제40항에 있어서, 심혈관 사건이 혈관재생 과정을 필요로 하는 것인 조성물.
  54.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량이 경구 투여되는 것인 조성물.
  55. 제40항에 있어서, 관상혈관 시술이 경피경관 관상혈관 성형술인 조성물.
  56. 제40항에 있어서, 관상혈관 시술이 방향성 관상동맥 종절제술인 조성물.
  57. 제40항에 있어서, 관상혈관 시술이 스텐트 설치인 조성물.
KR1020017009744A 1999-02-03 2000-02-02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심혈관 사건의 예방 및 감소 방법 KR200101019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846299P 1999-02-03 1999-02-03
US60/118,462 1999-02-03
PCT/US2000/002622 WO2000045811A1 (en) 1999-02-03 2000-02-02 Method for the prevention or reduction of cariovascular events associated with coronary interven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934A true KR20010101934A (ko) 2001-11-15

Family

ID=22378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9744A KR20010101934A (ko) 1999-02-03 2000-02-02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심혈관 사건의 예방 및 감소 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EP (1) EP1171116A4 (ko)
JP (1) JP2002536327A (ko)
KR (1) KR20010101934A (ko)
CN (1) CN1345237A (ko)
AU (1) AU2636600A (ko)
BR (1) BR0007921A (ko)
CA (1) CA2361581A1 (ko)
CO (1) CO5150206A1 (ko)
HK (1) HK1045104A1 (ko)
HU (1) HUP0200129A3 (ko)
IL (1) IL144721A0 (ko)
MX (1) MXPA01007835A (ko)
NO (1) NO20013788L (ko)
PL (1) PL351397A1 (ko)
TR (1) TR200102245T2 (ko)
WO (1) WO2000045811A1 (ko)
ZA (1) ZA200106353B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7407B2 (ja) * 1992-09-14 1997-06-04 キッセイ薬品工業株式会社 血管内膜細胞過剰増殖疾患の予防および治療剤
CA2153553A1 (en) * 1994-07-13 1996-01-14 Hidekazu Suzuki Stable lipid emulsion
EP0855387A4 (en) * 1995-09-07 1999-09-15 Kissei Pharmaceutical 2-ACYLAMINOBENZAMIDE DERIVATIVES, PREVENTIVE AND REMEDY AGAINST DISEASES CAUSED BY OVERMULTIPLICATION OF INTIMA VASCULAR CELLS
US6019104A (en) * 1996-12-30 2000-02-01 Kissei Pharmaceutical Co., Ltd. Method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restenosis associated with coronary interven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44721A0 (en) 2002-06-30
HUP0200129A3 (en) 2003-06-30
EP1171116A4 (en) 2004-11-17
HK1045104A1 (zh) 2002-11-15
CN1345237A (zh) 2002-04-17
PL351397A1 (en) 2003-04-07
JP2002536327A (ja) 2002-10-29
NO20013788L (no) 2001-09-28
NO20013788D0 (no) 2001-08-02
CA2361581A1 (en) 2000-08-10
MXPA01007835A (es) 2002-04-24
AU2636600A (en) 2000-08-25
HUP0200129A2 (hu) 2002-05-29
WO2000045811A1 (en) 2000-08-10
EP1171116A1 (en) 2002-01-16
TR200102245T2 (tr) 2002-05-21
CO5150206A1 (es) 2002-04-29
BR0007921A (pt) 2002-09-10
ZA200106353B (en) 200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06172C (en) Use of 2-(3,4-dimethoxycinnamoyl)aminobenzoic acid for the treatment of restenosis associated with coronary intervention
TW389696B (en) Accelerated release composition containing bromocriptine
Wang et al. Effects of minocycline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mild hypothermia in embolic stroke
US11723874B2 (en) Delayed release deferiprone table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AU2007234917B2 (en) Renin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
KR20010101934A (ko)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심혈관 사건의 예방 및 감소 방법
KR20010101933A (ko) 관상혈관 시술과 관련된 심혈관 사건의 예방 및 감소 방법
WO2001062241A1 (en) Method for the prevention or reduction of vascular access dysfunction
WO2001097798A1 (en) Method for the prevention or reduction of cardiovascular events associated with coronary intervention
AU627277B2 (en) A method of treatment or prevention of post-ptca restenosis by post-ptca restenosis inhibitor
EA042135B1 (ru) Таблетка деферипрона с отсроченным высвобождением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NZ787785A (en) Delayed release deferiprone table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WO2002056941A2 (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peripheral vascular dis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