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1916A - 픽쳐 영역 변환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픽쳐 영역 변환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1916A
KR20010101916A KR1020017009697A KR20017009697A KR20010101916A KR 20010101916 A KR20010101916 A KR 20010101916A KR 1020017009697 A KR1020017009697 A KR 1020017009697A KR 20017009697 A KR20017009697 A KR 20017009697A KR 20010101916 A KR20010101916 A KR 20010101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transformation
conversion
vertica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9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 카우프
Original Assignee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칼 하인쯔 호르닝어
Publication of KR20010101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91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Selec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nsforms or standards, e.g. selection between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and sub-band transform or selection between H.263 and H.264
    • H04N19/122Selection of transform size, e.g. 8x8 or 2x4x8 DCT; Selection of sub-band transforms of varying structure or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4Coding unit complexity, e.g. amount of activity or edge presence esti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픽쳐 영역 변환 방법이 제공되고, 결정 유닛에 의해 우선 픽쳐 영역의 수직 변환이 이루어지고 그리고 나서 픽쳐 영역의 수평 변환이 이루어지거나, 이와는 반대로 우선 픽쳐 영역의 수평 영역의 변환이 이루어지고 그리고 나서 픽쳐 영역의 수직 변환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픽쳐 영역 변환을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RRANGEMENT FOR TRANSFORMING AN IMAGE AREA}
상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내용은 [1]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 공지된 방법은 MPEG 표준에서 코딩 방법으로 사용되고 움직임 보상을 가지고 있는 복합 DCT(이산 코싸인 변환)에 기반하고 있다. 유사한 방법이 n×64 kbit/s 에서의 화상전화(CCITT 권고 H.261), 34 또는 45 Mbit/s에서의 TV 기여(CCR 권고 723) 및 1.2 Mbit/s에서의 멀티미디어 응용에 사용된다. 복합 DCT는 연속적인 픽쳐 사이의 관계를 사용하는 시간 처리 단계 및 픽쳐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는 공간 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공간 처리(인프라 프레임 코딩)는 전형적인 DCT 코딩에 상응한다. 픽쳐은 8×8 화소 블록들로 분할되고, 각 블록들은 DCT에 의해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다. 변환된 픽쳐 블록에서 2차원 공간 주파수를 반영하는 8×8 계수들 행렬이 발생된다. 제로 주파수(DC 성분)를 가진 계수는 픽쳐 블록의 그레이(gray)-스케일 값을 표현 및 평균한다.
상기 변환은 데이타 확장이 뒤따른다. 그러나, 자연 픽쳐의 경우 DC성분(DC 값) 주위에 에너지가 집중되고, 고주파수 계수는 일반적으로 제로이다.
다음 단계에서, 상기 계수들의 스펙트럼 가중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고주파수 계수들의 진폭 정확성은 감소된다. 인간 시각의 특성, 즉 높은 공간 주파수들이 낮은 공간 주파수들에 비해 덜 정확하게 분해된다는 특성이 여기서 이용된다.
데이타 감축의 제2 단계는 적응성 양자화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적응성 양자화를 통해 상기 계수들의 진폭 정확성은 추가로 감소되거나 또는 작은 진폭들은 제로로 설정된다. 이 경우에, 상기 양자화 조치는 출력 버퍼의 수용능력에 의존한다: 버퍼가 비어 있으면, 정교한 양자화가 달성되고 그에 따라 더 많은 데이타가 발생되지만, 버퍼가 채워져 있으면, 조잡한 양자화가 달성되고 그에 따라 데이타의 부피는 감소된다.
상기 양자화 후에, 상기 블록들은 대각선으로 스캔되고("지그재그" 스캐닝), 뒤이어 실질적인 데이타 감소를 야기시키는 엔트로피 코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2개의 효과들이 이용된다:
1) 진폭 값들의 통계, 즉 높은 진폭 값들은 낮은 진폭 값들에 비해 드물게 발생하므로 드물게 발생하는 것들은 긴 코드 워드들로 지정되고, 빈번히 발생하는 것들은 짧은 코드 워드들로 지정된다(가변 길이 코딩, VLC). 이에 따라 평균적으로 고정 워드 길이를 가진 코딩의 경우에 비해 낮은 데이타율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VLC의 가변 속도는 뒤이어 버퍼 메모리에서 평탄화된다.
2)특정한 값으로부터 시작해서, 대부분의 경우에 단지 제로들만이 뒤따른다는 사실이 이용된다. 이러한 모든 제로들 대신 단지 EOB(End Of Block)가 전송되고, 이는 픽쳐 데이타의 압축률에서 상당한 코딩 이득을 제공한다. 최초 512 비트 율 대신에 구현된 예시에서 단지 46 비트들만이 이러한 블록에 대해 전송되는 것이 요구되고, 이는 11배 이상의 압축률을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적인 압축 이득은 시간 처리(인터 프레임 코딩)를 통해 달성된다. 진폭 값이 훨신 낮기 때문에 원래의 픽쳐을 코딩하는 것보다 차분 픽쳐들을 코딩하는 것이 더 낮은 데이타율을 달성하게 한다.
그러나, 픽쳐에서의 움직임이 작다면, 시간적 차이도 작지만, 대조적으로 픽쳐에서의 움직이면 크면 큰 차이가 발생되고, 이는 코딩하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과정에 앞서 그림 대 그림 움직임이 측정되고(움직임 추정) 보상된다(움직임 보상). 이 경우에, 상기 움직임 정보는 상기 픽쳐 정보와 함께 전송되고, 일반적으로 하나의 움직임 벡터가 매크로블록(예를 들어 4개의 8×8 픽쳐 블록)마다 사용된다.
기존의 예측 대신에 움직임 보상된 양 방향성 예측이 사용되면 더 작은 차분 픽쳐의 진폭 값이 획득된다.
움직임 보상된 복합 코더에서, 픽쳐 신호 그 자체는 전송되지 않고, 시간 차분 신호들이 전송된다. 이러한 이유로, 코더에 시간 반복 루프가 제공되고, 이는 예측기가 이미 전송된(코딩된) 픽쳐들의 값들로부터 예측된 값을 계산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코더 및 디코더가 완전한 동기를 이루기 위해 동일한 시간 반복 루프가 디코더에 위치한다.
MPEG-2 코딩 방법에서, 픽쳐들을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3개의 상이한방법들이 제공된다:
I 픽쳐:
I 픽쳐의 경우 시간 예측은 사용되지 않는다. 즉 도1에 제시되듯이 픽쳐 값들은 직접 변환 및 코딩된다. I 픽쳐는 과거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디코딩 연산을 시작하거나, 전송 에러가 발생한 경우 재동기화를 위해 사용된다.
P 픽쳐:
P 픽쳐는 시간 예측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DCT는 시간 예측 에러에 적용된다.
B 픽쳐:
B 픽쳐의 경우 양방향성 시간 예측 에러가 계산된 후에 변환된다. 원칙적으로, 양방향성 예측은 적응성 있게 작동되고, 즉 순방향 예측, 역방향 예측 또는 내삽이 허용된다.
MPEG-2 코딩에서, 픽쳐 시퀀스는 소위 GOPs(Group Of Pictures)로 분할된다. 두개의 I 픽쳐들 사이의 n개의 픽쳐들이 GOP를 형성한다. P 픽쳐들 사이의 거리는 m으로 지정되고, 각각의 경우에 m-1 개의 B 픽쳐들이 P 픽쳐들 사이에 위치한다. 그러나 MPEG 체계는 m 및 n의 선택을 사용자에게 일임한다. m=1은 B 픽쳐들이 사용되지 않음을 의미하고 n=1은 I 픽쳐만이 코딩됨을 의미한다. 행간 또는 열간 변환은 인코더 부분에서 DCT 변환을 통해 바람직하게 달성된다. 이 경우 특정 픽쳐 데이타에는 부적합한 변환 타입이 모든 픽쳐 데이타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은 픽쳐 영역 변환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픽쳐 영역의 변환 단계를 보여주는 도이다.
도2는 결정 유닛 및 결정 유닛으로부터 발생된 신호/값들을 예시하는 도이다.
도3은 픽쳐 압축을 위한 전송기 및 수신기를 보여주는 도이다.
도4는 픽쳐 코더 및 픽쳐 디코더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이다.
도5는 프로세서 유닛 형태의 결정 유닛의 가능한 예를 보여주는 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픽쳐 영역을 변환하는 것으로서, 수직 및 수평 변환 순서는 목표된 방식에서 고려된 소정의 조건에 따른다.
이 경우, 픽쳐 품질에 있어서 상당한 개선을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의 독립항에 의해 달성되고, 추가적인 개선들은 본 발명의 종속항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픽쳐 영역을 변환하는 방법이 구현되고, 여기서 먼저 픽쳐 영역의 수직 변환 후에 픽쳐 영역의 수평 변환 또는 이와는 반대로 먼저 픽쳐 영역의 수평 변환 후에 픽쳐 영역의 수직 변환이 결정 유닛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픽쳐 영역이 불규칙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 변환의 순서가 결정 유닛에서 또는 결정 유닛에 의해서 규정되거나 또는 결정된 값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변환되는 픽쳐 영역 및 상기 픽쳐 영역의 특별한 특징들에 따라 픽쳐 영역의 압축에 대해 최상의 결과가 획득되도록 수평 및 수직 변환의 순서가 결정 유닛에 의해 결정된다.
각각의 수직 또는 수평 변환 후에, 불규칙적인 픽쳐 영역의 화소들이 재분류되고, 그에 따라 공간 영역에서 화소들의 상관관계가 상실될 수 있기 때문에 불규칙적인 픽쳐 영역 구조의 경우 변환 순서는 특히 중요하다. 상기 재분류는 특히 수직 또는 수평축을 따라 이루어진다.
상기 결정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픽쳐 영역의 특징, 전송 형태 또는 전송 형태의 특징을 사용하여 변환 순서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수평 라인 또는 수직 라인을 따라 이루어지는 픽쳐 영역의 배열(orientation)에 있다. 이 경우, 픽쳐 영역의 라인 화소들은 수직 라인에서 배열되거나, 또는 픽쳐 영역의 열(column) 화소들은 수평 라인에서 배열된다. 특히, 각 변환(수직 또는 수평)은 상응하는 배열이 뒤따른다. 상기 배열의 결과, 즉 픽쳐 영역의 라인들 및/또는 열들의 변위의 결과, 상기 배열후에 원래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던 화소들은 더이상 반드시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어떤 환경하에서(픽쳐 영역의 불규칙한 구조의 경우에) 공간 영역에서의 상관관계는 상실된다. 이러한 정보는 특히 공간 또는 시간 영역에서 서로 이웃하여 위치하는 화소들의 상관관계가 최적으로 이용되도록 결정 유닛 내에서 변환 순서를 결정하는 사용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다음 매커니즘 중 적어도 하나가 수직 및 수평 변환의 순서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결정 유닛에 의해 고려된다는 것이다:
a) 라인 격행 방식에서 전송하는 경우에, 픽쳐의 매 두번째 라인이 표현 및 전송된다. 각각 다른 두번째 라인들의 교번은 시간에 대해 스태져(stagger)된 방식으로 동화상들을 표현하는 픽쳐들을 발생시키고, 각각의 경우에 2개의 시간적으로 연속적인 픽쳐들의 라인들은 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를 보상한다. 결정 유닛에서, 예를 들면 픽쳐 헤더는 라인 격행 방법에서 그러한 전송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라인 격행 방식이 존재하면, 수평 변환이 우선 수행되고, 그리고 나서 수직 변환이 수행된다. 이것은 라인 격행 방식에서, 매 두번째 라인만이 전송되고, 따라서 화소들의 상관관계는 세로축 보다는 라인내에서 더 높다는 사실을 이용한다.
b)또 다른 매커니즘은 위에서 기술된대로 전송되는 픽쳐 영역 화소들의 상관관계가 더 큰 방향을 따라서 먼저 변환이 수행된다는 것이다.
또 다른 특징은 변환에서 추가적인 차원이 고려된다는 것이고, 추가적인 차원에서 화소들의 상관관계에 대해 이러한 추가적인 차원이 검사된다. 하나의 예는 추가적인 차원이 시간축인 경우이다(3차원 변환).
추가적인 특징들은 부가 정보 아이템이 결정 유닛에 의해 발생된 변환의 순서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부가 정보 아이템은 바람직하게는 수신기(디코더)에 전송되는 신호에 상응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기는 상기 변환의 순서에 대한 정보를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순서는 역 디코딩 연산동안 고려된다.
또 다른 개선에서, 변환전에 45°축 상에서 미러링(mirroring)이 수행되므로 수평 변환으로부터 수직 변환이 뒤따른다. 수평 변환은 상기 수직 변환으로부터 상응하는 방식으로 뒤따른다. 상기 미러링(실질적으로)은 상기 변환 순서를 번갈아 일어나게 한다.
상기 방법은 픽쳐 데이타의 압축을 위한 코더, 예를 들면 MPEG 코더에의 사용에 적합하다. 상응하는 디코더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픽쳐 영역의 디코딩 기간동안 수직 및 수평 변환(또는 각각 그 역 연산)의 정확한 순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부가 정보를 평가함으로써 강화된다.
코더 및 디코더는 바람직하게는 MPEG 표준 또는 H.26x 표준에 따라 동작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변환이 DCT 변환 또는 그 역변환인 IDCT 변환이라는 것이다.
게다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픽쳐 영역을 변환하는 장치가 구현되고, 상기 장치는 결정 유닛을 가지고 있고, 이를 이용하여 픽쳐 영역의 수직 변환 및 뒤이은 픽쳐 영역의 수평 변환 또는 그 반대로 픽쳐 영역의 수평 변환 및 뒤이은 수직 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또는 상기 특징들 중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은 하기에 기술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1은 변환, 특히 픽쳐 영역이 불규칙적인 구조를 갖는 소정의 픽쳐 영역들에 대한 DCT 변환의 단계를 보여주는 도이다. 단계(101)는 매 두번째 점유 라인에의해 지시되는 라인 격행 방식에서 픽쳐 영역의 불규칙적 구조를 보여준다. 이 경우, 픽쳐 영역은 라인들(105,106,107,108)로 구성된다. 단계(102)에서, 라인 격행 방식에서 실제로 표현된 픽쳐가 제시되고, 이는 또다시 라인들(105-108)을 갖는다. 불규칙적 구조를 갖는 이러한 픽쳐의 상관관계는 특히 상기 라인들을 따라서 높다.
따라서, 라인 격행 방식에서, 우선 수직 라인(109)를 따라 이전에 배열된 후에 상기 라인들이 변환된다. 상기 배열은 열(column)-연관된 인접 화소의 변위를 야기시킨다. 수직 변환은 단계(103)에서 이루어진다. 수평 라인(110)을 따른 수평 편향은 미리 수행된다.
시간 축을 따라 변환을 고려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따라서, 단계(101)는 각각의 경우에 상이한 순간에서 시간 축(111)을 따라 주사되는 복수의 라인들(105-108) 또는 복수의 픽쳐 영역들(105-108)의 표현으로 해석될 수 있다. 시간 차원의 방향에서 시간 축(111)을 따른 주사의 결과로서 개별적인 라인들(105-108) 또는 픽쳐 영역들(105-108) 사이의 상관관계는 낮게 주어짐에 반해 각 라인들(105-108) 또는 각 픽쳐 영역들(105-108)에서의 공간 정보는 높다.
도2는 결정 유닛 및 결정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신호/값을 예시하는 도이다. 공간 또는 시간 영역에서의 상관 관계를 이용하고, 가능하다면 높은 상관 관계를 고려하여 관련 변환이 우선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서 각각의 경우에 복수의 변환들(수평,수직,시간)이 어떤 순서로 수행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입력 신호 또는 복수의 입력 신호들(200)이 결정 유닛(201)에 의해 사용된다. 도1에서 논의된 라인 격행 방식이 예로서 제시되고, 상기 방법은 수직 변환에 앞서 수평 변환을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결정 유닛(201)에 의해 사용된다. 실질적인 변환들은 유닛(202)에서 수행되고, 여기서 픽쳐 영역들은 동일하게 배열된다. 출력 계수들(203)은 변환 유닛(202)의 결과이다. 게다가, 결정 유닛(201)은 수행되는 변환 순서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 아이템(203)을 발생시킨다.
도2에 제시된 장치는 도3에 제시된 전송기(코더)(301)의 부분이다. 픽쳐 영역(303)은 바람직하게는 압축된 형태로 전송기(301)에서 수신기(디코더)(302)로 전송된다. 도2에 제시된 부가 정보 아이템(203)도 동일하게 전송기(301)에서 수신기(302)로 전송되고(여기서 접속(304)에 의해 확인됨), 여기서 상기 부가 정보 아이템(304)은 변환 순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디코딩된다.
게다가, 원칙적으로 변환들을 수행하는 2가지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이 지적된다: 2가지 모두의 변환(수평 및 수직)이 실제로 교번될 수 있고, 이는 프로그래밍 관점에서 적지않은 복잡도를 야기시킨다. 이의 대안으로서, 결정 유닛(201)을 사용하여 변환의 순서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수평 변환으로부터 뒤이어지는 수직 변환이 이루어지고, 픽쳐 영역은 45°축(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에서 미러링된다. 상기 미러링은 실질적으로 전송 순서를 교번시킨다. 수신기(302) 부분에서 상기 미러링 연산은 상응하는 방식으로 고려된다.
도4는 관련된 픽쳐 디코더를 갖는 픽쳐 코더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이다(H.263 표준에 따른 블록-기반 픽쳐 코딩 방법).
시간적으로 연속적인 디지탈화된 픽쳐들을 갖는 코딩될 비디오 데이타 스트림이 픽쳐 코딩 유닛(201)으로 제공된다. 디지탈화된 픽쳐들은 매크로블록들(202)로 분할되고, 각 매크로 블록은 16×16 화소들을 갖는다. 매크로 블록(202)은 4개의 픽쳐 블록들(203,204,205,206)을 포함하고, 각 픽쳐 블록은 휘도값(밝기 값)으로 지정된 8×8 화소들을 포함한다. 게다가, 각 매크로 블록(202)은 상기 화소들에 지정된 색차 값(색 정보, 색의 채도)을 갖는 색차 블록들(207,208)을 포함한다.
상기 픽쳐 블록들은 휘도 값(밝기), 제1 색차 값(색조) 및 제2 색차 값(색 채도)을 포함한다. 이 경우 휘도 값, 제1 색차 값 및 제2 색차 값은 색채 값으로 지정된다.
픽쳐 블록들은 전송 코딩 유닛(209)으로 제공된다. 차분 픽쳐 코딩의 경우, 이전 픽쳐들의 픽쳐 블록들에 대해 코딩된 값들이 현재 코딩된 픽쳐 블록들로부터 빼진다; 단지 차분 정보만이 변환 코딩 유닛(DCT)(209)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현재의 매크로 블록(202)은 접속(234)를 경유하여 움직임 추정 유닛(229)과 연결된다. 변환 코딩 유닛(209)에서, 스펙트럼 계수(211)가 픽쳐 블록들 또는 코딩된 차분 픽쳐 블록들에 대해 형성되고, 스펙트럼 계수(211)는 양자화 유닛(212)으로 제공된다. 양자화 유닛(212)은 본 발명에 따른 양자화 장치에 해당한다.
양자화된 스펙트럼 계수들(213)은 스캔 유닛(214) 및 역 경로의 역 양자화 유닛(215)으로 제공된다. 스캔 후에, 예를 들어 "지그재그" 스캔 후에, 엔트로피 코딩 유닛(216)에서 스캔된 스펙트럼 계수들(232)에 대해 엔트로피 코딩이 수행된다. 엔트로피 코딩된 스펙트럼 계수들은 채널, 바람직하게는 유선 또는 무선 링크를 통해 코딩된 픽쳐 데이타(217)로서 디코더로 전송된다.
재건된 픽쳐 블록(222)의 색차 값(224)은 픽쳐 메모리(223)으로부터 움직임 보상 유닛(225)으로 제공된다. 휘도 값(226)에 대해서는 내삽 유닛(227)에서 내삽이 달성된다. 상기 내삽을 이용하여, 각 픽쳐 블록에 포함된 밝기 값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두배가 된다. 모든 밝기 값(228)은 움직임 보상 유닛(225) 및 움직임 추정 유닛(229)으로 제공된다. 움직임 추정 유닛(229)은 부가적으로 접속(234)를 통해 각 경우에 코딩된 매크로 블록(16×16 화소들)의 픽쳐 블록을 수신한다. 움직임 추정 유닛(229)에서, 움직임 추정은 내삽된 밝기 값을 고려하여 달성된다(반-화소 기반에 따른 움직임 추정). 바람직하게는, 상기 움직임 추정은 현재 코딩된 매크로 블록(222) 및 선행하는 픽쳐의 재건된 매크로 블록에서의 개별적인 밝기 값의 절대 차이의 결정을 포함한다.
움직임 추정의 결과는 움직임 벡터(230)를 제공하고, 움직임 벡터(230)는 코딩된 매크로 블록(202)에 대한 선행하는 픽쳐로부터 선택된 매크로 블록의 공간적 변위를 표현한다.
움직임 추정 유닛(229)에 의해 결정된 매크로 블록에 대한 밝기 정보 및 색차 정보는 움직임 벡터(230)로 치환되고, 매크로 블록(202)의 코딩 값들로부터 빼진다(데이타 경로 231을 보라).
도5는 변환 및/또는 압축/복원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프로세서 유닛(PRZE)을 보여주는 도이다. 상기 프로세서 유닛(PRZE)은 프로세서(CPU), 메모리(MEM) 및 인터페이스(IFC)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IOS)를 포함한다: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이 모니터(MON) 상에 나타나거나 프린터(PRT)에서 출력된다. 입력은 마우스(MAS) 또는 키보드(TAST)를 통해 이루어진다. 프로세서 유닛(PREZ)은 또한 메모리(MEM), 프로세서(CPU)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IOS)의 접속을 보장하는 데이타 버스(BUS)를 가지고 있다. 게다가, 추가적인 요소들, 예를 들면 추가 메모리, 데이타 저장 장치(하드 디스크) 또는 스케너가 데이타 버스(BUS)에 접속될 수 있다.
참고 목록:

Claims (14)

  1. 픽쳐 영역 변환 방법으로서,
    결정 유닛에 따라, 우선 픽쳐 영역의 수직 변환이 이루어지고 그리고 나서 픽쳐 영역의 수평 변환이 이루어지거나, 이와는 반대로 수평 변환이 이루어지고 그리고 나서 수직 변환이 수행되는 픽쳐 영역 변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쳐 영역은 불규칙적 구조를 갖는 픽쳐 영역 변환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a) 상기 수직 변환 전 또는 후에, 상기 픽쳐 영역이 수평 라인을 따라 편향되고,
    b) 상기 수평 변환 전 또는 후에, 상기 픽쳐 영역이 수직 라인을 따라 편향되는 픽쳐 영역 변환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음 매커니즘, 즉
    a) 상기 픽쳐 영역이 라인 격행 방법에서 존재하면, 우선 수평 변환 후 수직 변환의 수행
    b) 상기 픽쳐 영역 화소들의 상관관계가 더 큰 변환(수평 또는 수직)의 우선 수행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결정 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픽쳐 영역 변환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차원이 상기 변환에서 고려되는 픽쳐 영역 변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인 차원은 시간 차원을 따라서 수행되는 픽쳐 영역 변환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환 순서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 아이템이 상기 결정 유닛에 의해 발생되는 픽쳐 영역 변환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 변환으로부터 수평 변환이 뒤따르고 상기 변환 전에 45°축 상에서 미러링이 수행되는 픽쳐 영역 변환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평 변환으로부터 수직 변환이 뒤따르고 상기 변환 전에 45°축 상에서 미러링이 수행되는 픽쳐 영역 변환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픽쳐 데이타 압축을 위한 코더에서 사용되는 픽쳐 영역 변환 방법.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 아이템이 상기 픽쳐 영역 압축을 위한 디코더에서 사용되는 픽쳐 영역 변환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더 및/또는 상기 디코더의 동작 모드들은 MPEG 표준 또는 H.26x 표준에 따라 결정되는 픽쳐 영역 변환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은 DCT 변화 또는 그 역변환인 IDCT 변환인 픽쳐 영역 변환 방법.
  14. 픽쳐 영역 변환을 위한 장치로서,
    결정 유닛에 의해 결정된 값에 따라 우선 픽쳐 영역의 수직 변환 후에 픽쳐 영역의 수평 변환이 수행되거나 또는 이와는 반대로 우선 픽쳐 영역의 수평 변환후에 픽쳐 영역의 수직 변환이 수행되는 방식으로 설정되는 결정 유닛을 가지는 픽쳐 영역 변환 장치.
KR1020017009697A 1999-02-01 2000-02-01 픽쳐 영역 변환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101019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03859A DE19903859A1 (de) 1999-02-01 1999-02-01 Verfahren und Anordnung zur Transformation eines Bildbereichs
DE19903859.7 1999-02-01
PCT/DE2000/000278 WO2000046998A1 (de) 1999-02-01 2000-02-01 Verfahren und anordnung zur transformation eines bildbereich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916A true KR20010101916A (ko) 2001-11-15

Family

ID=7895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9697A KR20010101916A (ko) 1999-02-01 2000-02-01 픽쳐 영역 변환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157557A1 (ko)
JP (1) JP2002536926A (ko)
KR (1) KR20010101916A (ko)
CN (1) CN1339225A (ko)
DE (1) DE19903859A1 (ko)
WO (1) WO20000469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7719B4 (de) 2013-07-19 2015-08-13 Deutsche Telekom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lockbasierten Dekorrelation von Bildsignalen
US10904563B2 (en) * 2019-01-02 2021-01-26 Tencent America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zero out transfor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6962A (en) * 1990-07-11 1992-06-3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Discrete cosine transform processing system
DE4437827A1 (de) * 1994-10-14 1996-04-18 Hertz Inst Heinrich Schaltungsanordnung für ein Fernsehsystem, das transformationskodierte digitale Bilddaten verwend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57557A1 (de) 2001-11-28
JP2002536926A (ja) 2002-10-29
DE19903859A1 (de) 2000-09-21
WO2000046998A1 (de) 2000-08-10
CN1339225A (zh) 200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5620B1 (ko) 적응 dct/dpcm부호기에 의한 영상신호부호화방법 및 복호화방법
EP0644697B1 (en) Method for half-pixel motion compensation in image decoding
US7609763B2 (en) Advanced bi-directional predictive coding of video frames
US7215707B2 (en) Optimal scanning method for transform coefficients in coding/decoding of image and video
US5886743A (en) Object-by information co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MPEG-4 picture instrument
EP0618731B1 (en) High efficiency encoding of picture signals
US7499495B2 (en) Extended range motion vectors
KR970005831B1 (ko) 적응적 프레임/필드 변환 부호화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기
KR100446083B1 (ko) 움직임 추정 및 모드 결정 장치 및 방법
EP0585051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H0870460A (ja) 動き大小に適応する動き補償符号化方法及びその装置
EP1359770B1 (en) Signaling for fading compensation in video encoding
US5848195A (en) Selection of huffman tables for signal encoding
JPH1093966A (ja) 画像符号化装置
US4488175A (en) DPCM Video signal processing technique with spatial subsampling
JPH09512395A (ja) 変換符号化器
JP2007143176A (ja) 動きベクトルの圧縮方法
JPH0775111A (ja) デジタル信号符号化装置
KR100568649B1 (ko) 동화상복호화장치및동화상복호화방법
US5790207A (en) Motion compensation method for use in an image encoding system
US6480544B1 (en) Encoding apparatus and encoding method
KR20010101916A (ko) 픽쳐 영역 변환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H05103313A (ja) 画像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KR0134505B1 (ko) 적응적 움직임 검출기능을 가진 영상 부호화기
KR0134496B1 (ko) 적응적 주사방식을 이용한 동영상 부호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