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0049A - 비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0049A
KR20010100049A KR1020010039786A KR20010039786A KR20010100049A KR 20010100049 A KR20010100049 A KR 20010100049A KR 1020010039786 A KR1020010039786 A KR 1020010039786A KR 20010039786 A KR20010039786 A KR 20010039786A KR 20010100049 A KR20010100049 A KR 20010100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transparent
soap part
transparent soap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룡
Original Assignee
김명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룡 filed Critical 김명룡
Priority to KR1020010039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0049A/ko
Publication of KR20010100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004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C11D13/16Shaping in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95Solid transparent soaps or deter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6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44Perfumes; Colouring materials; Brightening agents ; Bleaching agents
    • C11D9/442Perfu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식물성 기름에서 정제된 미세하고 투명한 핵으로 형성된 투명비누부와, 상기 투명비누부와 동일한 핵으로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투명비누부 내에 내장되되 보습제, 천연 향료 및 비타민의 첨가제가 고농도로 첨가되어 불투명한 화장비누부와, 상기 투명비누부의 하부에 상기 식물성 기름에서 상기 핵이 분리되고 남은 입자가 큰 유지로 형성된 경화비누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투명 비누부에 의해 세정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부에 형성된 화장비누부에 의해 보습 및 미용 효과를 가지며, 또한, 큰 입자를 가져 습기에 강한 경화비누부에 의해 물에 쉽게 물러지는 것에 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누 및 그 제조방법{A soa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투명한 화장 비누에 보습제, 향료 및 미용물질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불투명하나 세정 및 미용 효과가 우수한 화장 비누가 내장된 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용 비누는 우지 등의 동물성 기름을 이용하여 만들고 있다. 그러나, 소득이 증가됨에 따라 화장용 비누 등의 기능성을 갖는 고가의 비누 사용량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고급 비누는 야자유, 팜유, 코코넛 등의 식물성 기름에 지방산, 글리셀린 및 계면활성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되고 있다.
특히, 투명 비누는 야자유, 팜유, 코코넛 등의 식물성 기름을 정제하여 핵이라 지칭되는 미세하고 투명한 입자를 분리한 후 이 핵 만으로 만든다. 그러므로, 투명 비누는 거품의 입자가 미세하므로 피부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땀구멍과 모공 속의 각종 분비물, 피지(때) 및 화장품 등을 제거할 수 있어 세정력이 우수하다.
상기에서 각종 분비물, 피지(때) 및 화장품이 땀구멍과 모공 속에 잔류하면 피부 표면의 신진 대사를 억제하여 피부가 거칠어질 뿐만 아니라 여드름, 기미 및 주근깨 등이 생기는 등의 피부 트러블(trouble)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매끄럽고 윤기나는 피부를 유지하기 어렵고 피부의 유연성과 탄력이 없어져 피부에 주름이 생기는 등의 노화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투명 비누에 의한 세정시 땀구멍과 모공 속에 각종 분비물, 피지(때) 및 화장품 등이 잔류되지 않도록 하여 피부 트러블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투명 비누는 야자유, 팜유, 코코넛 등의 식물성 기름으로 만들어지므로 물에 잘 분해되어 수질을 오염시키지 않아 환경 친화적이다.
그러나, 투명 비누는 세정력이 우수하나 보습 및 미용 효과가 적다. 이는 야자유, 팜유, 코코넛 등의 식물성 기름의 투명한 입자에 보습제로 사용되는 올리브 등의 각종 오일과 피부 미용 및 긴장 완화에 사용되는 천연 향료 및 비타민 C 및 E 등을 첨가하면 투명도가 저하되거나 불투명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투명비누는 미세한 입자로 만들어지므로 습기에 약하여 물에 쉽게 물러져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보습 및 미용 효과를 향상시킨 비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에 쉽게 물러지는 것에 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비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투명 비누부 내부에 보습 및 미용 효과를 갖는 화장 비누부를 포함하는 비누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에 쉽게 물러지는 것에 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비누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누는 식물성 기름에서 정제된 미세하고 투명한 핵으로 형성된 투명비누부와, 상기 투명비누부와 동일한 핵으로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투명비누부 내에 내장되되 보습제, 천연 향료 및 비타민의 첨가제가 고농도로 첨가되어 불투명한 화장비누부와, 상기 투명비누부의 하부에 상기 식물성 기름에서 상기 핵이 분리되고 남은 입자가 큰 유지로 형성된 경화비누부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경화비누부는 상기 화장비누부에 첨가된 보습제, 천연 향료 및 비타민의 첨가제가 고농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또 다른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누의 제조방법은 비누 형상과 대향된 형상을 갖는 금형에 식물성 기름에서 정제된 미세하고 투명한 핵으로 이루어지며 가열된 투명비누 원액을 5∼30% 채워 젤 상태의 제 1 투명비누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젤 상태의 제 1 투명비누부 상에 상기 투명비누 원액에 보습제, 천연 향료 및 비타민이 고농도로 첨가되고 다양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 화장비누부를 실장하는 단계와, 상기 젤 상태의 제 1 투명비누부 상에 상기 가열된 투명비누 원액을 상기 화장비누부를 덮도록 상기 금형의 80∼95%로 채워 상기 제 1 투명비누부와 경계면이 없이 한 몸체를 이루는 젤 상태의 제 2 투명비누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투명비누부 상에 상기 식물성 기름에서 상기 투명한 핵이 분리되고 남은 유지로 이루어지며 가열된 경화비누 원액을 상기 금형을 채우도록 주입하여 경화비누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에서 경화비누 원액은 상기 화장비누부에 첨가된 보습제, 천연 향료 및 비타민의 첨가제가 고농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을 A-A선으로 자른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비누의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투명비누부 13 : 화장비누부
15 : 제 1 투명비누부 17 : 제 2 투명비누부
19 : 경화비누부 21 : 금형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본 발명에 따른 비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A-A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누는 경화비누부(19) 상에 투명비누부(11)가 형성되며, 이 투명비누부(11)에 화장비누부(13)가 내장된다.
상기에서 투명비누부(11)는 야자유, 팜유, 코코넛 등의 식물성 기름을 정제한 투명한 입자로 이루어진 핵에 지방산, 글리셀린 및 계면활성제 등이 첨가되어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투명비누부(11)는 거품의 입자가 미세하여 피부를 자극하지 않으며, 또한, 땀구멍과 모공 속의 각종 분비물, 피지(때) 및 화장품 등을 제거할수 있어 세정력이 우수하다.
화장비누부(13)는 투명비누부(11)와 동일한 구성에 보습제로 사용되는 올리브 등의 각종 오일과 피부 미용 및 긴장 완화에 사용되는 천연 향료 및 비타민 C 및 E 등이 고농도로 첨가된 것으로 불투명한 것으로 투명비누부(11) 내부에 내장된다. 상기에서 화장비누부(13)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첨가제에 따라 고유한 색을 가질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심미성이 향상된다.
경화비누부(19)는 야자유, 팜유, 코코넛 등의 식물성 기름에서 투명비누부(11) 및 화장비누부(13)를 형성하기 위해 정제하여 핵을 분리한 남은 입자가 큰 유지에 지방산, 글리셀린 및 계면활성제 등이 포함되어 형성된 것으로 투명비누부(11)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에서 경화비누부(19)는 입자가 큰 유지로 만들어지므로 불투명하나 습기에 강하여 물에 쉽게 물러지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 후 보관시 투명비누부(11)의 표면에 잔류하는 물이 하부로, 즉, 경화비누부(19)로 흘러 투명비누부(11)가 쉽게 건조되므로 비누가 쉽게 변형되거나 소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경화비누부(19)는 화장비누부(13)와 같이 보습제로 사용되는 올리브 등의 각종 오일과 피부 미용 및 긴장 완화에 사용되는 천연 향료 및 비타민 C 및 E 등이 첨가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의 비누는 투명비누부(11)가 소모되어 올리브 등의 각종 오일과 천연 향료 및 비타민 C 및 E 등이 고농도로 첨가된 화장비누부(13)가 노출되면, 비누 사용시 화장비누부(13)는 투명비누부(11)와 함께 소모된다. 그러므로, 화장비누부(13)에 고농도로 첨가된 올리브 등의 각종 오일과 천연 향료 및 비타민 C 및 E 등이 비누 거품과 함께 피부에 접촉되므로 보습, 피부 미용 및 긴장 완화에 효과가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비누의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비누 형상과 대향된 형상의 금형(21)에 투명비누 원액을 70∼90℃ 정도의 온도로 가열한 후 5∼30% 정도 채워지도록 주입하여 제 1 투명비누부(15)를 형성한다. 상기에서 투명비누 원액은 야자유, 팜유, 코코넛 등의 식물성 기름을 미세하게 정제한 투명한 입자로 이루어진 핵에 지방산, 글리셀린 및 계면활성제 등이 함유된다.
제 1 투명비누부(15)를 50∼60℃ 정도로 냉각시킨다. 이 때, 제 1 투명비누부(15)는 젤(gel) 상태가 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젤 상태의 제 1 투명비누부(15) 상에 경화비누부(19)를 실장한다. 상기에서 경화비누부(19)는 제 1 투명비누부(15)를 형성하기 위한 투명비누 원액에 보습제로 사용되는 올리브 등의 각종 오일과 피부 미용 및 긴장 완화에 사용되는 천연 향료 및 비타민 C 및 E 등이 고농도로 첨가된 것으로 다양한 형상과 첨가제에 따라 고유한 색을 가질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 1 투명비누부(15) 상에 70∼90℃ 정도의 온도로 가열된 투명비누 원액을 금형(21)의 80∼95% 정도 채워 화장비누부(13)를 완전히 덮도록 주입하여 제 2 투명비누부(17)를 형성한다.
상기에서 제 2 투명비누부(17)가 제 1 투명비누부(15)와 동일한 구성의 투명비누 원액으로 형성되며, 또한, 제 1 투명비누부(15)가 완전히 냉각되지 않은 젤 상태이고 제 2 투명비누부(17)를 형성하기 위한 투명비누 원액의 온도로 높으므로 제 1 투명비누부(15)와 제 2 투명비누부(17)는 한 몸체를 이루어 사이에 경계면이 형성되지 않는다. 한 몸체를 이루는 제 1 투명비누부(15)와 제 2 투명비누부(17)는 투명비누부(11)를 이룬다.
그리고, 제 1 투명비누부(17)를 50∼60℃ 정도로 냉각시킨다. 이 때, 제 1 투명비누부(17)는 젤(gel) 상태가 된다.
도 3d를 참조하면, 제 2 투명비누부(17) 상에 70∼90℃ 정도의 온도로 가열된 경화비누 원액을 금형(21)을 채우도록 주입하여 경화비누부(19)를 형성한다. 상기에서 경화비누 원액은 투명비누부(11) 및 화장비누부(13)를 형성하기 위해 핵을 분리하고 남은 입자가 큰 유지로 구성되는 데, 이에 의해 경화비누부(19)는 불투명하나 습기에 강하여 물에 쉽게 물러지지 않는다.
상기에서 경화비누부(19)는 화장비누부(13)와 같이 보습제로 사용되는 올리브 등의 각종 오일과 피부 미용 및 긴장 완화에 사용되는 천연 향료 및 비타민 C 및 E 등이 첨가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투명비누부(15), 화장비누부(13), 제 2 투명비누부(17) 및 경화비누부(19)를 상온으로 냉각하여 고화시킨 후 금형(21)으로 분리시켜 비누를 완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야자유, 팜유, 코코넛 등의 식물성 기름에서 핵을 분리하고 남은 입자가 큰 유지로 이루어져 습기에 강한 경화비누부 상에 분리된 핵으로 이루어져 세정력이 우수한 투명비누부가 형성되며, 이 투명비누부 내에 핵으로 이루어지며 보습제로 사용되는 올리브 등의 각종 오일과 피부 미용 및 긴장 완화에 사용되는 천연 향료 및 비타민 C 및 E 등이 고농도로 첨가되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첨가제에 따라 고유한 색을 갖는 화장비누부가 내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투명 비누부에 의해 세정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부에 형성된 화장비누부에 의해 보습 및 미용 효과를 가지며, 또한, 큰 입자를 가져 습기에 강한 경화비누부에 의해 물에 쉽게 물러지는 것에 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식물성 기름에서 정제된 미세하고 투명한 핵으로 형성된 투명비누부와,
    상기 투명비누부와 동일한 핵으로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투명비누부 내에 내장되되 보습제, 천연 향료 및 비타민의 첨가제가 고농도로 첨가되어 불투명한 화장비누부와,
    상기 투명비누부의 하부에 상기 식물성 기름에서 상기 핵이 분리되고 남은 입자가 큰 유지로 형성된 경화비누부를 포함하는 비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화비누부는 상기 화장비누부에 첨가된 보습제, 천연 향료 및 비타민의 첨가제가 고농도로 첨가된 비누.
  3. 비누 형상과 대향된 형상을 갖는 금형에 식물성 기름에서 정제된 미세하고 투명한 핵으로 이루어지며 가열된 투명비누 원액을 5∼30% 채워 젤 상태의 제 1 투명비누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젤 상태의 제 1 투명비누부 상에 상기 투명비누 원액에 보습제, 천연 향료 및 비타민이 고농도로 첨가되고 다양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 화장비누부를 실장하는 단계와,
    상기 젤 상태의 제 1 투명비누부 상에 상기 가열된 투명비누 원액을 상기 화장비누부를 덮도록 상기 금형의 80∼95%로 채워 상기 제 1 투명비누부와 경계면이없이 한 몸체를 이루는 젤 상태의 제 2 투명비누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투명비누부 상에 상기 식물성 기름에서 상기 투명한 핵이 분리되고 남은 유지로 이루어지며 가열된 경화비누 원액을 상기 금형을 채우도록 주입하여 경화비누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비누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경화비누 원액은 상기 화장비누부에 첨가된 보습제, 천연 향료 및 비타민의 첨가제가 고농도로 첨가된 비누의 제조방법.
KR1020010039786A 2001-07-04 2001-07-04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200101000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786A KR20010100049A (ko) 2001-07-04 2001-07-04 비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786A KR20010100049A (ko) 2001-07-04 2001-07-04 비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049A true KR20010100049A (ko) 2001-11-14

Family

ID=43929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786A KR20010100049A (ko) 2001-07-04 2001-07-04 비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00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846B1 (ko) * 2009-01-21 2010-07-16 김경원 보석 형상을 가지는 환경친화형 비누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4444U (ko) * 1987-12-14 1989-06-21
KR890008872Y1 (en) * 1987-04-20 1989-12-09 Lee Soon Ok Electric permutation lock with magnetic tape
JPH05320700A (ja) * 1991-12-05 1993-12-03 Unilever Nv 透明−不透明二相石鹸
KR960009784U (ko) * 1994-09-14 1996-04-12 김병태 머리핀
KR20000059168A (ko) * 2000-07-19 2000-10-05 김오재 로고문안 또는 조형물이 삽입된 비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8872Y1 (en) * 1987-04-20 1989-12-09 Lee Soon Ok Electric permutation lock with magnetic tape
JPH0194444U (ko) * 1987-12-14 1989-06-21
JPH05320700A (ja) * 1991-12-05 1993-12-03 Unilever Nv 透明−不透明二相石鹸
KR960009784U (ko) * 1994-09-14 1996-04-12 김병태 머리핀
KR20000059168A (ko) * 2000-07-19 2000-10-05 김오재 로고문안 또는 조형물이 삽입된 비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846B1 (ko) * 2009-01-21 2010-07-16 김경원 보석 형상을 가지는 환경친화형 비누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2338B2 (en) Customized personal cleansing article
JP2007508341A (ja) 脂肪種子生成物を含有するスキンケア及びクレンジング組成物
KR102153750B1 (ko) 그래핀이 포함된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EP2398445B1 (en) Soli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ream of tartar
WO2005053635A1 (en) Massaging toilet bar with disintegrable agglomerates
CN106590994A (zh) 一种祛痘祛黑头收缩毛孔的手工皂
KR101162393B1 (ko) 마사지용 막대비누
KR20010100049A (ko)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0970846B1 (ko) 보석 형상을 가지는 환경친화형 비누제조방법
EP0907706A2 (en) Soap bar composition
KR102227345B1 (ko) 단단함이 향상된 고체샴푸의 제조방법
JP2009275200A (ja) 蜂蜜石鹸の製造方法
JP2004284964A (ja) 固形洗浄剤
JP2002179528A (ja) ピーリング化粧剤およびピーリング石鹸
KR101802143B1 (ko) 클레이 버블 워시 오프 클렌징 팩
EA016833B1 (ru) Новый вид брусков моющего средства
KR100970743B1 (ko) 천연 토코페롤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제조된 천연 토코페롤 비누
KR102512554B1 (ko) 대나무 줄기 가루를 함유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2675B1 (ko) 천연 액체비누의 제조방법
RU2111739C1 (ru) Пенка для умывания
KR100469770B1 (ko) 약산성 인체세정용 비누 제조방법 및 그 제품
JP2004059665A (ja) 石鹸
JP5711934B2 (ja) 枠練り石鹸
KR960007879B1 (ko) 피부 미용비누의 제조방법
KR100488683B1 (ko) 클렌징 스크럽 티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