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9902A - 비탄성 시트층의 횡방향 신장 및 수축가능한 네킹된적층체의 액체 이송 물질 - Google Patents

비탄성 시트층의 횡방향 신장 및 수축가능한 네킹된적층체의 액체 이송 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9902A
KR20010099902A KR1020017007974A KR20017007974A KR20010099902A KR 20010099902 A KR20010099902 A KR 20010099902A KR 1020017007974 A KR1020017007974 A KR 1020017007974A KR 20017007974 A KR20017007974 A KR 20017007974A KR 20010099902 A KR20010099902 A KR 20010099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
inelastic
size
layer
film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7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5160B1 (ko
Inventor
마이클 토드 모르만
로버트 존 쉬바르츠
하워드 마르틴 웰취
퍼트리셔 후시아오인 황
토마스 해럴드 로슬러
Original Assignee
로날드 디. 맥크레이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9/460,467 external-priority patent/US6472045B1/en
Application filed by 로날드 디. 맥크레이,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로날드 디. 맥크레이
Publication of KR20010099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9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1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being specifically extensible by reason of its structure or arrangement, e.g. by reason of the chemical na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41D31/145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using layer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29C55/0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parallel with the direction of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 B32B2038/0028Stretching, elong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4Punching, slitting or perforating
    • B32B2038/047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10Fibres of continuous length
    • B32B2305/20Fibres of continuous length in the form of a non-woven m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446Wrinkled, creased, crinkled or crep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628Nonplanar uniform thickness material
    • Y10T428/24669Aligned or parallel nonplanari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26Spot bonds connect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7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weight per unit area [e.g., gms/sq cm, lbs/sq f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74Nonwoven fabric with a preformed polymeric film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74Nonwoven fabric with a preformed polymeric film or sheet
    • Y10T442/678Olefin polymer or copolymer sheet or film [e.g., polypropylene, polyethylene, ethylene-butylene copolyme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81Spun-bonded nonwoven fabr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킹된 적층체로부터 형성된 액체 이송 물질 및 이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킹된 적층체는 종방향 및 횡방향 크기를 한정하는 하나 이상의 비탄성 필름에 적층된 하나 이상의 비탄성의 네킹성 물질의 시트층으로부터 형성된다. 적어도 적층체의 필름층은 적층체를 통해 액체가 이송되기는 원하는 부분에서 천공된다. 전체 적층체가 또한 천공될 수 있다. 적층체의 비천공 부분은 필름층의 통기성 및(또는) 액체 장벽 특성의 현저한 감소없이 하나 이상의 크기로 신장 및 수축가능하다. 본 적층체의 신장성 및 수축성은 예를 들면 네킹된 적층체가 횡방향 크기에서 소정의 신장성 및 수축성을 가지도록 하는 필름층의 종방향 크기에서의 줄무늬 주름의 결과이다. 통기성 적층체는 비탄성 필름층을 먼저 부분적으로 연신하고, 비탄성 넥킹성 층을 부착하여 적층체를 형성한 후, 적층체를 연신하여 적층체를 넥킹하고 그의 목적하는 완전히 연신된 형상으로 필름을 연신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탄성 시트층의 횡방향 신장 및 수축가능한 네킹된 적층체의 액체 이송 물질 {Liquid Transfer Material of a Transversely Extensible and Retractable Necked Laminate of Non-Elastic Sheet Layers}
수성 액체에 대해 높은 투과성인 물질은 기저귀, 용변연습용 팬츠, 실금용 의류, 매트리스 패드, 와이퍼, 여성용 위생 용품 (예를 들면, 생리대)과 같은 개인 위생용의 흡수 용품, 및 외과용 드레이프, 상처 드레싱 및 랩 등과 같은 의료용 용도의 다양한 분야에서 상부 라이너, 서지층 및 다른 액체 이송 장치를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적층체는 용품이 비교적 저비용으로 제조되고, 이에 따라 단지 한번또는 적은 사용 후에 폐기될 수 있도록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액체 불침투성인 용품을 제공하면서, 통기성 및 저비용을 희생하지 않으면서 이들 용품의 "천-유사"의 시각 및 질감의 품질을 달성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 및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용품의 단점 중 하나는, 용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적층체가 예를 들면 그 섬유 및 실 구조 때문에 신장 및 수축할 수 있는 자연적인 능력을 갖는 면으로부터 제조된 직물과 같은 탄력성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은 용품을 사용자의 신체에 순응하도록 하여 촉감 및 외관이 더욱 "천-유사"이도록 하는데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공지된 해법은 용품에 탄성체 또는 탄성 물질을 도입하는 것이었다. 불행히도, 이러한 물질의 도입은 일반적으로 더욱 값비싼 물질이기 때문에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충전된 필름을 연신하여 미세포아를 형성함으로써 통기성이 달성된다면, 연신 후의 탄성 물질의 회복은 통기성을 위하여 생성된 미세포아를 일반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막기 때문에 충전된 탄성 필름의 통기성을 유지하는 것과 관련된 문제가 있게 된다.
지금까지, 횡방향 신장성 및 수축성을 갖는 적층체를 제공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일반 양도된 모르만의 미국특허 제5,336,545호에서 설명된 것처럼 탄성 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조된 탄성 시트를 적용하기에 앞서 부직 웹 층이 네킹되었다 (하기에서 설명됨). 부직 웹의 네킹은 횡방향으로의 신장을 허용하였다. 그러나, 적층체는 부직 웹에 부착된 탄성 시트 없이는 신장 후에 유의한 회복 또는 회복력을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은 비탄성의 물질을 사용하여 횡방향 신장성 및 수축성을 달성한 네킹된 적층체로부터 형성된 값싼 액체 이송 물질을 제공함으로써 이들 및 다른 문제점을 회피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네킹된 적층체로부터 형성된 액체 이송 물질 및 그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킹된 적층체는 종방향 및 횡방향 크기를 한정하는 하나 이상의 비탄성 필름에 적층된 하나 이상의 비탄성의 네킹성 물질의 시트층으로부터 형성된다. 적어도 적층체의 필름층은 적층체를 통과하는 액체 이송이 목적하는 부분에 천공된다. 전체 적층체가 또한 천공될 수도 있다. 적층체의 비천공 부분은 필름층의 통기성 및(또는) 액체 장벽 특성의 현저한 감소없이 하나 이상의 크기로 신장 및 수축가능하다. 본 적층체의 신장성 및 수축성은 예를 들면 네킹된 적층체가 횡방향 크기에서 소정의 신장성 및 수축성을 가지도록 하는 필름층의 종방향 크기에서의 줄무늬 주름의 결과이다. 통기성 적층체는 먼저 비탄성의 필름층을 부분적으로 연신하고, 비탄성의 네킹성 층을 부착하여 적층체를 형성한 후, 이어서 적층체를 연신하여 적층체를 네킹함으로써 목적하는 완전히 연신된 형상으로 필름을 연신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일회용 개인 위생 흡수 용품에서 라이너로서 사용하기 위한 천공되고 네킹된 (necking) 적층체로 형성된 액체 이송 물질 및 이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넥킹된 적층체는 하나 이상의 비탄성 필름 층에 적층된 하나 이상의 비탄성 넥킹성 물질의 시트 층으로부터 형성된다. 적층체는 천공되어 있고 한 방향 이상에서 신장성 및 수축성이다. 이러한 적층체의 신장성 및 수축성은 예를 들면 네킹된 적층체가 횡방향 크기에서 소정의 신장성 및 수축성을 가지도록 하는 필름층의 종방향 크기에서의 줄무늬 주름의 결과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액체 이송 물질을 형성하기 위해 횡방향 신장 및 수축가능한 네킹된 적층체를 형성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개략도.
도 2는 종방향 크기의 줄무늬 주름을 나타내는 네킹된 적층체의 평면도.
도 3은 비탄성의 필름층의 연신, 비탄성의 네킹성 물질의 부착 및 적층체의네킹을 나타내는 도 1의 방법의 조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이송 물질을 형성하기 위해 네킹된 적층체를 이용할 수 있는, 이 경우에는 기저귀인 예시적인 개인 위생 흡수 용품의 부분 절단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액체 이송 물질을 이용할 수 있는, 이 경우에는 안면 마스크인 예시적인 의료 용품의 평면도.
도 6은 줄무늬 주름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액체 이송 물질을 형성하기 위해 적층체의 비탄성 필름층 측의 광학 현미경 사진 (고해상도 디지탈 화상)의 평면도.
도 6a는 줄무늬 주름의 변화 및 불규칙성을 나타내는 도 6의 확대된 부분의 광학 현미경 사진의 평면도.
도 7, 8 및 9는 각각 사다리꼴, 플리트, 및 무딘 톱날 모양의 줄무늬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액체 이송 물질에 유용한 적층체의 단면의 광학 현미경 사진.
도 10은 종래 적층체의 광학 현미경 사진의 사시도.
도 11a, b 및 c, 및 12a, b 및 c는 다양한 시료에 대한 부하 대 신장 곡선을 설명하는 그래프.
도 14 및 15는 다양한 시료에 대한 부하 대 신장의 확대된 곡선을 설명하는 그래프.
도 16은 본 발명의 액체 이송 물질에 이용하기 위한 예시적 천공 패턴이 있는 예시적 물품의 평면도.
도 17은 천공이 줄무늬 주름에 불리한 영향을 주지 않는, 본디드 카디드 웹의 층을 포함하는 천공된 액체 이송 물질의 광학 현미경 사진의 사시도.
도 18은 화살표가 물체에 통과하는 액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천공된 액체 이송 물질의 단면도.
본 발명은 천공이 있는 네킹된 적층체로부터 형성된 액체 이송 물질 및 그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킹된 적층체는 종방향 및 횡방향 크기를 한정하는 하나 이상의 비탄성 필름에 적층된 하나 이상의 비탄성의 네킹성 물질의 시트층으로부터 형성되며, 적층체는 비천공 영역에서 필름층의 통기성 및(또는) 액체 장벽 특성의 현저한 감소없이 하나 이상의 크기에서 신장성이고 수축가능하다. 본 적층체의 신장성 및 수축성은 예를 들면 네킹된 적층체가 횡방향 크기에서 소정의 신장성 및 수축성을 가지도록 하는 필름층의 종방향 크기에서의 줄무늬 주름의 결과이다.
"액체 이송 물질"이란 용어는 섬유 부직 웹층 및 천공 필름층과 같은 2개 이상의 층에 제공된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개구 또는 다공성 구조를 가지고, 천공을 통한 물 및 다른 수성 액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물 투과성이다. 부직 웹이 액체 이송 물질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다. (1) 그의 섬유 또는 필라멘트 사이의 공간은 액체의 흐름이 웹을 통과하기에 충분히 크고 액체의 흐름이 빈번히 웹을 통과하도록 해야 한다. 또는, (2) 계면활성제가 필요할 수 있다. 또는, (3) 부직웹이 또한 천공되어 있을 수 있다. 필름이 액체 이송 물질이기 위해선, 액체의 흐름이 필름을 통과하게 하기에 충분히 크고 번번히 일어나도록 천공, 슬릿 또는 다른 개구가 있어야 한다.
네킹된 적층체는 예를 들면 먼저 비탄성의 필름층을 부분적으로 연신하고, 비탄성의 네킹성 층을 필름층에 부착하여 적층체를 형성한 후, 이어서 적층체를 연신하여 목적하는 완전히 연신된 형상으로 적층체를 네킹하고, 필름층의 연신/배향을 완료함으로써 제조된다. 적층체가 "완전히 연신"되었을 때, 그것은 의도된 용도에 대하여 완전히 충분한 특성, 예를 들면 통기성 및 인장 강도를 나타낸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부분적으로 연신된"은 필름 및(또는) 적층체가 완전히 연신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네킹" 또는 "네킹 신장"은 교환적으로 폭 또는 횡방향 크기를 감소시키는 조건하에서 직물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인발 및 신장시킴으로써 적층체가 신장되도록 인발됨을 의미한다. 냉각 온도, 실온 또는 고온에서 조절된 인발이 일어날 수 있으며, 적층체를 파단시키는데 필요한 신장, 대부분의 경우 1.2 내지 1.6배로 인발되는 방향에서 전체 크기의 증가가 제한된다. 이완되었을 때, 적층체는 그 원래의 종방향 크기로 회복되거나 또는 그 원래의 횡방향 크기로 신장되지 않으며, 대신에 기본적으로 그 네킹된 크기를 유지한다. 통상적으로, 네킹 공정은 공급 롤로부터 시트를 풀고 소정의 선형 속도로 구동되는 제동 닙 롤 어셈블리를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제동 닙 롤 보다 더 높은 선형 속도로 작동하는 권취 롤 또는 닙은 직물을 인발하고, 직물을 신장하고 네킹하는데 필요한 장력을 생성한다. 모르만에게 허여되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일반 양도된 미국특허 제4,965,122호는 물질을 네킹한 후 네킹된 물질을 가열하고 이어서 냉각하여 형성될 수 있는 가역적으로 네킹된 미적층 부직 물질을 개시하며, 상기 문헌의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다. 네킹된 물질의 가열은 부분적인 열 고정을 생성하는 중합체의 추가의 결정화를 초래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네킹성 물질 또는 층"은 부직포, 직포 또는 니트 물질과 같이 네킹될 수 있는 임의의 물질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네킹된 물질"은 인발력이 제거되었을 때 물질이 그 원래의 폭으로 되돌려 질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크기 (예를 들면, 길이 방향)에서 연신되어 반대 크기 (예를 들면, 폭)가 감소된 임의의 물질을 의미한다. 네킹된 물질은 비네킹된 물질보다 더 높은 단위 면적당 기초중량을 갖는다. 네킹된 물질이 그 원래의 비네킹된 폭으로 되돌려지는 경우, 비네킹된 물질과 거의 동일한 기초중량을 가져야 한다. 이것이 필름이 박막화되고 기초중량이 감소되는 필름층의 연신/배향과 상이하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적층체"는 하나 이상의 시트층이 필름층이고, 하나 이상의 시트층이 네킹성 물질 층인 둘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진 조합물을 의미한다. 또한, 용어 "종방향" 또는 "LD"는 물질이 생산될 때 이동하는 방향에서의 물질의 길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종방향 크기"는 종방향의 크기이다. 용어 "횡방향" 또는 "TD"는 물질의 폭, 즉 종방향과 일반적으로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사하게 "횡방향 크기"는 횡방향의 크기이다.
도 1을 참고로 하여, 천공되면 본 발명의 액체 이송 물질을 형성하는 횡방향 신장성 및 수축성의 네킹된 적층체 (2)를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 (10)이 설명된다. 모든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또는 균등한 구조 또는 요소를 나타낸다. 비탄성의 필름층 (12)는 제1 공급 롤 (16)으로부터 풀려 가이드 롤러 (26)을 사용하여 연신 수단 (20)으로 공급된다. 연신 수단 (20)에서, 비탄성의 필름층 (12)는 필름층 (12)를 연신하고 박막화하는 연신 롤러 (24)에 의하여 종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연신된다. 이러한 연신으로는 일반적으로 필름층의 네킹이 거의 또는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 롤 사이의 거리가 너무 크면 필름층의 비가역적인 협소함이 일어날 수 있다. 필름층 (12)를 부분적으로 연신한 후 네킹성 물질 (14)에 적층하기에 앞서 필름층 (12)의 장력은 단지 층이 늘어지거나 또는 수축되지 않도록 유지하기에 충분한 정도이다. 달리 말하면, 연신 수단 (20)과 적층 수단 (30) 사이에서 필름층 (12)를 계속 연신할 필요는 없다.
비탄성의 네킹성 물질 (14)는 유사하게 관련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공급 롤 (18)로부터 풀린다. 필름 네킹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분적인 필름 연신이 조절되는 구현예에서, 필름 폭 대 네킹성 물질 폭의 적합성이 촉진될 수 있다. 비탄성의 네킹성 물질 및(또는) 필름층은 미리 만들어져 풀리는 것 이외에 인-라인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 분무기 (34)가 네킹성 물질 (14)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후 적층 수단 (30) (예를 들면, 닙 롤)을 사용하여 필름층 (12)에 적층된다. 적층체는 또한 가열 점 결합, 음파 웰딩, 점 결합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적층체 (2)는 그 후 적층 수단 (30)의 표면 속도 V0이 네킹 수단 (22)의 표면 속도 V1미만인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이루어질 수 있는 네킹수단 (22) (예를 들면, 권취 롤)에 의하여 네킹된다. 본원에서 1×로 적층체가 인발되었다고 하는 것은 표면 속도 V0가 표면 속도 V1과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네킹 연신"은 표면 속도 V1을 표면 속도 V0로 나눈 값이다. 더욱이, 적층 수단 (30)과 네킹 수단 (22) 사이의 거리 x는 적층체의 횡방향 크기가 비네킹된 적층체보다 작도록 적층체의 네킹을 허용하기에 충분해야만 한다. 일반적인 규칙으로서, 거리 x는 적층체 횡방향 크기 (폭)의 두 배 이상이어야 한다. 이러한 네킹은 필름 및(또는) 적층체에 줄무늬 주름을 제공하여 네킹된 적층체 (2)에 횡방향 신장성 및 수축성과, 또한 "천-유사"의 미관 (예를 들면, 네킹된 적층체는 줄무늬 주름 때문에 종래의 적층체에 비해 더욱 부드러우며, 또한 직포 물질처럼 보인다)을 초래한다. 도 3은 적층체의 네킹을 나타내는 조망도인 것을 제외하고는 도 1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적층체 (2)를 이어서 추가로 가공하여, (도 5 및 17에 나타낸) 천공 (62)와 같은 개구를 형성하고(나타내지 않음) 본 발명의 액체 이송 물질을 생성한다. 개구는 개구가 물질을 통해 액체 이송이 용이하게 조장되기에 충분히 크고 밀집되거나 또는 자주 일어나는 한 (나타낸) 천공 (62), (나타내지 않은) 슬릿, 또는 임의의 다른 형태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천공"이란 용어가 상기 유형의 개구를 일반적으로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천공은 구멍 및 슬릿을 포함한 임의의 형상일 수 있고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적층체의 개별 층 또는 전체 적층체는 의도한 용도에 적절한 정도로 액체가 물질을 통과하도록 적층체를 만들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천공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예시적 천공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 방법의 예는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 문헌으로 인용된, 일반 양도된 미국특허 제5,704,101호(메이저스(Majors) 등) 및 미국특허 제5,925,026호(마르테만(Arteman) 등)에서 볼 수 있다.
충전된 필름층의 연신 및 배향이 필름에 미세포아를 형성시키지만, 통상적으로 연신될 때 종방향의 줄무늬 주름은 필름층에 형성되지 않는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대신에 필름층은 물리적으로 박막화되고 다소 협소해질 수 있다. 더욱이, 배향된 충전된 필름층을 TD로 신장하기 위한 시도는 매우 작은 힘이 인가되었을 때 인열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충전된 필름층의 연신 및 배향으로부터 형성된 LD 미세슬릿을 따른 인열에 기인하는 것 같다. 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된 중합체, 충전제의 양 및 완전히 인발된 필름의 양은 스플릿 전에 TD 신장될 수 있는 필름의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 적층체를 네킹함으로써, 비탄성 필름층에 부착된 비탄성의 네킹성 물질이 네킹되고 비탄성의 필름층을 생성하고, 그럼으로써 종방향의 줄무늬 주름을 필름에 형성시켜 필름의 통기성, 장벽 특성 및(또는) 완전성에 불리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필름층을 TD로 신장 및 수축하게 한다. 도 2에서, 줄무늬 주름 (28)은 횡방향 TD에서 네킹된 적층체 (2)의 종방향 LD를 특징적으로 보여준다. 네킹되지 않은 횡방향 크기 (32)는 네킹되지 않았을 경우 가졌을 적층체의 크기이다. 이중 화살표는 TD에서의 적층체의 신장성 및 수축성을 가리킨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줄무늬 주름"은 네킹된 적층체의 비탄성 필름층 (12)에서의 얇고, 좁은 홈, 또는 채널 주름을 의미한다. 도 6을 참고로 할 때, 줄무늬 주름은일반적으로 시료 6 (하기 실시예)의 필름층 12'의 표면에서 (28)로 나타낼 수 있다. 도 6a는 도 6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줄무늬 주름은 가변적이고 불규칙한 패턴을 갖는다. 도 7 내지 9는 네킹성 물질 (14')에 부착된 필름층 (12')에서 가변 줄무늬를 나타내는 구역을 따라 여러 지점에서의 도 6의 적층체 (2)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 7은 일반적으로 사다리꼴 줄무늬 (40)을 나타내고, 도 8은 일반적으로 플리트 (42)를 나타내고, 도 9는 일반적으로 무딘 톱날 모양의 주름 (44)를 나타낸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무딘 톱날 모양"은 문헌 (Webster's Thir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완본, 1986 판권)에 따라 "중세 건물에서 공통적인 톱니모양의 패턴...의 주형"인 무딘 톱날 모양의 주형에서 처럼 사용된다. 줄무늬 주름은 실제적으로 주로 비탄성의 필름층에서 발생하지만 네킹된 물질을 통하여도 볼 수 있으며 전체 적층체에게 더욱 천-유사 외관을 준다. 네킹 후, 네킹성 물질로부터 필름층을 박리하는 경우, 네킹성 물질은 없지만 필름층은 가시적으로 줄무늬 주름을 유지할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은 필름이 줄무늬 주름을 형성할 때 실제 결정화되고(거나) 가소적으로 어느정도 변형되어, 신장되면 적층체를 수축하도록 하는 "기억"이 필름에 형성된다는 것이다.
용어 "비탄성"은 일반적으로 비탄성으로 생각되는 중합체로부터 만들어진 시트층을 의미한다. 달리 말하면, 시트층을 형성하기 위한 이러한 비탄성의 중합체의 사용은 탄성이 아닌 시트층을 생성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탄성"은 편향력의 인가시 약 60% 이상 (즉, 이완된 비편향 길이의 약 160% 이상 신장되고편향된 길이까지) 연신될 수 있는, 즉 신장될 수 있고, 연신의, 신장력의 제거시 그 신장의 55% 이상으로 즉시 회복되는 임의의 물질을 의미한다. "즉시"란 예를 들면 탄성물질이 신장력이 제거되자마자 회복되는 고무 밴드로서의 양상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가설적인 예는 1.60 인치 (4.06 cm)로 신장된 후 제거되면, 즉시, 즉 1 초 미만 내에 1.27 인치 (3.23 cm) 이하의 길이로 회복되는 1.60 인치 (4.06 cm) 이상으로 신장가능한 1인치의 시료의 물질이다. 많은 탄성 물질은 60%를 초과하게, 예를 들면 100% 이상으로 신장될 수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실질적으로 그들의 초기 이완 길이, 예를 들면 연신력의 제거시 그들의 초기 이완 길이의 105% 이내로 회복될 수 있다.
용어 "신장 및 수축성"은 편향력의 인가 및 제거시 비탄성의 시트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체가 어떻게 되는지를 설명하기 위하여 선택된다. 상기 설명한 것처럼 편향력의 인가 및 제거시 탄성물질이 어떻게 되는지를 설명하기 위하여 탄성 물질 분야의 숙련자는 "연신 및 회복" 표현을 통상적으로 사용한다.
시트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물질은 비탄성인 본 발명의 목적상, 편향력의 인가 및 제거시 적층체에 의하여 나타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선택된 용어는 "신장 및 수축가능한"이다. 본 발명의 액체 이송 물질은 500% 초과하게 연신될 수 있는 고탄성 물질의 경우만큼 연신되지 않는다. 사실상, 필름층은 실제 연신되지 않으며, 대신에 편향력이 횡방향으로 인가될 때 줄무늬 주름이 기본적으로 일시적으로 제거된다. 이들 줄무늬 주름이 예를 들면 적층체를 횡방향 크기로 과신장하거나 또는 신장된 적층체를 가열하여 "새로운" 기억을 부여함으로써 영구적으로 제거되지 않는다면, 물질은 실제 그 원래의 크기에 밀접하게 수축될 것이다. 이러한 특성은 지금까지 비탄성의 네킹성 및 필름 물질로만 이루어진 적층체에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중합체"에는 일반적으로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예를 들면, 블록, 그래프트, 랜덤 및 교호 공중합체, 삼원중합체, 등 및 이들의 블렌드 및 변형물이 포함되나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블렌드에는 탄성 중합체의 사용이 중합체를 탄성으로 만들지 않는 양 및 조성으로 사용되는 한 비탄성 중합체와 탄성 중합체의 블렌드도 포함한다. 다르게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 한, 용어 "중합체"는 분자의 모든 가능한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한다. 이러한 형상에는 이소탁틱, 신디오탁틱 및 랜덤 대칭물이 포함되나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비탄성의 필름층 (12)는 주형 또는 블로잉 필름 장비로 제조될 수 있고, 공압출될 수 있고, 소망된다면 엠보싱될 수 있다. 필름층은 임의의 적합한 비탄성의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는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올레핀,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에틸렌 비닐 알콜의 블렌드와 같은 비탄성의 압출가능한 중합체를 포함하나,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 구체적으로, 유용한 폴리올레핀에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이 포함된다. 다른 유용한 중합체에는 폴리프로필렌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선형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공중합체와 같은 엑손 케미칼 페이턴트 인크.에 양도된 세쓰의 미국특허 제4,777,073호에서 설명된 것이 포함된다.
다른 유용한 중합체는 메탈로센 방법에 따라 제조되며 제한된 탄성 특성을갖는 "메탈로센" 중합체와 같은 단일 자리 촉매된 중합체로 언급되는 것이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메탈로센-촉매된 중합체"에는 촉매로서 유기금속계 착물의 유형인 메탈로센 또는 억제 기하 촉매를 사용하여 적어도 에틸렌을 중합함으로써 제조된 중합체 물질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메탈로센은 두 개의 시클로펜타디에닐 (Cp) 리간드 사이의 금속 착물인 페로센이다. 메탈로센 방법의 촉매에는 다른 것들 중에 비스(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티타늄 디클로라이드, 비스(n-부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시클로펜타디에닐)스칸듐 클로라이드, 비스(인데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비스(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티타늄 디클로라이드, 비스(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코발토센, 시클로펜타디에닐티타늄 트리클로라이드, 페로센, 하프노센 디클로라이드, 이소프로필(시클로펜타디에닐-1-플루오레닐)지르코늄 디클로라이드, 몰리브도센 디클로라이드, 니켈로센, 니오보센 디클로라이드, 루테노센, 티타노센 디클로라이드, 지르코노센 클로라이드 히드리드, 지르코노센 디클로라이드가 포함된다. 이러한 화합물의 더욱 철저한 목록은 다우 케미칼 컴파니에게 양도된 로센 등의 미국특허 제5,374,696호에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또한 다우에게 양도된 스티븐 등의 미국특허 제5,064,802호에서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메탈로센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 기재 중합체의 경우 상품명 EXXPOL (등록상표) 및 폴리에틸렌 기재 중합체의 경우 EXACT (등록상표)로 미국 텍사스주 베이타운 소재의 엑손 케미칼 컴파니에서 시판된다. 미국 미시간주 미드랜드 소재의 다우 케미칼 컴파니에서는 상품명 ENGAGE (등록상표)로 상업적으로 중합체를 시판한다. 바람직하게는, 메탈로센 중합체는 에틸렌 및 1-부텐의 공중합체, 에틸렌 및 1-헥센의 공중합체, 에틸렌 및 1-옥텐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유용한 메탈로센 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한 더욱 자세한 설명은 그왈트니 등의 명의로 1996년 12월 27일자로 최초 출원된 일반 양도된 미국특허 출원 제774,852호 및 제854,658호를 참조하길 바라며, 이들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메탈로센-유도 에틸렌 기재 중합체는 0.900 g/cc 이상의 밀도를 갖는다.
비탄성 필름층은 코어 층 또는 "B" 층 및 코어 층의 한측 또는 양측 상의 하나 이상의 외피 층 또는 "A" 층을 포함할 수 있는 다중층의 필름층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외피 층이 존재하는 경우, 외피 층이 동일한 것이 필수요건은 아니다. 예를 들면, A 층 및 A' 층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논의된 임의의 중합체가 다중층 필름의 코어 층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충전제가 임의의 필름층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외피 층은 통상적으로 압출가능한 열가소성 중합체, 및(또는) 비탄성 필름층에 특정 특성을 부여하는 첨가제를 포함한다. 따라서, 외피층은 항균성, 장벽성, 수증기 투과성, 접착성 및(또는) 블록방지 특성과 같은 특성을 제공하는 중합체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중합체는 바람직한 특정 속성을 위하여 선택된다. 단독으로 또는 조합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한 중합체의 예에는 폴리올레핀의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및 블렌드뿐만 아니라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EVA),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EEA), 에틸렌 아크릴산 (EAA),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EMA), 에틸렌 부틸 아크릴레이트 (EBA), 폴리에스테르 (PET), 나일론 (PA), 에틸렌 비닐 알콜 (EVOH), 폴리스티렌 (PS), 폴리우레탄 (PU), 및 무정형 에틸렌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가 주로 반결정성의 고 폴리프로필렌 단량체/저 에틸렌 단량체의 연속상 매트릭스에 분자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다단계 반응기 산물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가 포함된다. 외피층은 탄성체를 포함하여 임의의 반결정성 또는 무정형 중합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외피층은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이지만 또한 나일론과 같은 완전 또는 부분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지 블렌드로서)와 같은 폴리아크릴레이트 등 및 이들의 블렌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비탄성 필름층은 통기성 또는 비통기성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며 넥킹된 물질에 적층되기 전에 또는 적층된 후에 천공될 수 있다. 비탄성 필름층은 미세포아 생성 충전제, 예를 들면 탄산칼슘, 불투명화제, 예를 들면 이산화티타늄, 및 블록방지 첨가제, 예를 들면 규조토와 같은 충전제를 함유할 수 있다.
충전제는 통기성 필름을 생성하는 비탄성 필름층의 배향 동안 미세포아를 전개하기 위하여 도입될 수 있다. 입자 충전된 필름이 형성되면, 연신되거나 분쇄되어 필름층을 통한 통로를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경우 통기성으로 간주하기 위해서는 생성된 적층체가 하기 설명되는 시험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을 때 약 250 g/m2/24 시간 이상의 수증기 투과율 (WVTR)을 가져야 한다. 바람직하게는적층체는 약 1000 g/m2/24 시간 이상의 WVTR을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미세포아 생성 충전제"는 중합체에 첨가되어 압출된 필름에 화학적으로 간섭하거나 또는 불리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필름층 전반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는 입자 및 다른 형태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미세포아 생성 충전제는 미립자 형태이며, 일반적으로 약 0.5 내지 약 8 ㎛의 평균 입도를 갖는 다소 구형을 갖는다. 비탄성의 필름층은 일반적으로 필름층의 총 부피를 기준으로 약 20 부피%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45 부피%의 미세포아 생성 충전제를 함유한다. 필름 형성 방법, 생성된 비탄성 필름층의 통기성, 필름층의 액체 장벽 특성 또는 또 다른 시트층에 대한 결합 능력에 대하여 간섭하지 않는 한 유기 및 무기 미세포아 생성 충전제 모두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고려된다.
미세포아 생성 충전제의 예에는 탄산칼슘 (CaCO3), 다양한 종류의 점토, 실리카 (SiO2), 알루미나, 황산바륨, 탄산나트륨, 활석, 황산마그네슘, 이산화티타늄, 제올라이트, 황산알루미늄, 셀룰로오스형 분말, 규조토, 황산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 카올린, 운모, 탄소,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펄프 분말, 목분, 셀룰로오스 유도체, 중합체 입자, 키틴 및 키틴 유도체가 포함된다. 미세포아 생성 입자는 선택적으로 입자의 자유 유동 (벌크로) 및 중합체 매트릭스로의 분산의 용이성을 촉진할 수 있는 스테아산과 같은 지방산, 또는 베헨산과 같은 전분보다 큰 사슬의 지방산으로 피복될 수 있다. 실리카 함유 충전제는 또한블록방지 특성을 제공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탄성의 네킹성 물질은 공기 투과성이다. 이러한 비탄성의 네킹성 물질에는 부직 웹, 직포 물질 및 니트 물질이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부직포 또는 부직 웹"은 니트 직물에서처럼 식별될 수 있는 방식이 아니게 개별적인 섬유 또는 실 구조가 인터레이드된 웹을 의미한다. 부직포 또는 부직웹은 많은 방법, 예를 들면 본디드 카디드 웹 방법, 멜트블로잉 방법 및 스펀본딩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부직포의 기초중량은 일반적으로 평방 야드 당 물질의 온스 (osy) 또는 평방 미터당 그램 (gsm)으로 표현되며, 유용한 섬유 직경은 일반적으로 ㎛로 표현된다 (주의. osy를 gsm으로 변환하기 위하여는 osy에 33.91을 곱한다). 본 발명의 비탄성의 네킹성 물질은 5 내지 90 gs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 gs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gsm의 기초중량을 갖는다.
비탄성의 네킹성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비탄성 중합체의 섬유 및(또는) 필라멘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요소로부터 형성된다. 이러한 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예를 들면 나일론 6 및 나일론 66이 포함된다. 이들 섬유 또는 필라멘트는 단독으로 또는 그의 둘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된다.
네킹성 물질 (14)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섬유는 천연 및 합성 섬유 뿐만 아니라, 2성분, 다성분 및 형상화된 중합체 섬유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네킹성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의 예에는 예를 들면,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도입되는 브록 등의 미국특허 제4,041,203호에서 교시된 것과 같은 스펀본드/멜트블로운 복합체 및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복합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네킹성 물질은 앤더슨 등의 일반 양도된 미국특허 제4,100,324호에서 설명된 "코폼"같은 복합체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스펀본디드 섬유"는 예를 들어 아펠 등의 미국특허 제4,340,563호, 마쓰키 등의 미국특허 제3,802,817호, 도르쉐너 등의 미국특허 제3,692,618호, 키네이의 미국특허 제3,338,992호 및 제3,341,394호, 하트만의 미국특허 제3,502,763호 및 도보 등의 미국특허 제3,542,615호에서처럼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압출되는 필라멘트의 직경의 방사구에서의 여러개의 일반적으로 미세 환상인 모세관으로부터 필라멘트로 생산하기 위해 적어도 전달 파이프 및 방사판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뱅크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압출기를 통하여 압출한 후 신속히 감소시킴으로써 형성된 작은 직경의 섬유를 의미한다. 스펀본드 섬유는 일반적으로 집속 표면상에 퇴적될 때 비점착성이다. 스펀본드 섬유는 일반적으로 연속상이며, 7 ㎛ 이상, 더욱 빈번하게는 약 10 내지 40 ㎛의 평균 직경 (10 개 이상의 시료)을 갖는다. 그 후, 섬유의 생성된 매트를 결합하여 강한 네킹성 직물을 형성한다. 이러한 결합은 초음파 결합, 화학 결합, 접착제 결합, 열 결합, 바늘 천공, 수얽힘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멜트블로운 섬유"는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여러개의 일반적으로 미세의 환상인 다이 모세관을 통하여 미세섬유 직경이 될 수 있도록 그 직경을 감소시키기 위해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의 필라멘트를 감쇠하는 수렴되는 고속의 일반적으로 고온의 기체 (예를 들면, 공기) 스트림으로 용융된 실 또는 필라멘트로서 압출시켜 형성된 섬유를 의미한다. 그 후, 멜트블로운 섬유는 고속의 기체 스트림에 의하여 운반되어 집속 표면 상에 퇴적되어 불규칙하게 분산된 멜트블로운 섬유의 웹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면 부틴 등의 미국특허 제3,849,241호에서 개시된다. 멜트블로운 섬유는 연속상 또는 불연속상일 수 있는 미세섬유이며, 일반적으로 평균 직경이 20 ㎛ 미만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미세섬유"는 평균 직경이 약 75 ㎛ 미만, 예를 들면 약 0.5 ㎛ 내지 약 50 ㎛, 더욱 특별하게는 약 2 ㎛ 내지 약 40 ㎛의 평균 직경을 갖는 작은 직경의 섬유를 의미한다. 또 다른 빈번하게 사용되는 섬유 직경의 표현은 데니어로, 섬유 9000 m당 그램으로 정의되며, 섬유의 직경 (㎛)의 제곱에 g/cc의 중합체 밀도를 곱하고, 0.00707을 곱하여 계산될 수 있다. 동일한 중합체의 경우, 데니어가 작을수록 섬유가 미세함을 가리키며, 데니어가 클수록 섬유는 두껍거나 무거운 것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15 ㎛로 주어진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직경은 그 값을 제곱하고, 그 결과에 0.89 g/cc를 곱한 후, 0.00707을 곱하여 데니어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15 ㎛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약 1.42 (152× 0.89 × 0.00707 = 1.415)의 데니어를 갖는다. 미국 이외에서, 측정 단위는 더욱 일반적으로 "텍스 (tex)"이며, 이는 섬유 킬로미터 당 그램으로 정의된다. 텍스는 데니어/9로 계산될 수 있다.
"본디드 카디드 웹"의 형성은 예를 들어 일반적인 카딩 장치와 같은 수많은 공지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섬유의 일반적으로 균일한 블렌드를 생성하고 저밀도 벌키 배트 또는 웹을 제조하는 방법들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는 카딩, 피킹(picking) 및 도핑(doffing) 장치 뿐만 아니라, 에어레잉 장치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장치는 섬유를 분리하고 난류 혼합과 함께 기류로 이들을 재분산시키고 수집 표면 상에 퇴적시킨다. 이러한 방법 및 장치의 예는 일반 양도된 미국특허 제4,548,856호(알리 칸(Ali Khan) 등)에서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제조를 위하여 많은 폴리올레핀이 이용가능하며, 예를 들면 섬유 형성 폴리프로필렌에는 엑손 케미칼 컴파니의 ESCORENE PD 3445 폴리프로필렌 및 히몬트 케미컬 컴파니의 PF-304가 포함된다. 다우 케미칼의 ASPUN 6811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2533 LLDPE 및 25355 및 12350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틸렌이 또한 적합한 중합체이다. 상기 폴리에틸렌은 각각 약 26, 40, 25 및 12의 용융 유동 속도를 갖는다. 많은 다른 폴리올레핀도 상업적으로 시판된다.
부직 웹 층은 지정된 결합 면적을 갖는 별개의 결합 패턴을 부여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열 점 결합으로 공지되어 있다. "열 점 결합"은 결합될 섬유의 웹을 가열된 캘린더 또는 패턴화된 롤 및 앤빌 롤 사이에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캘린더 롤은 전체 네킹성 물질이 그 전체의 표면에 걸쳐 결합되지 않도록 패턴화된다. 사실상, 이러한 특징은 본원에서 설명된 네킹성 물질의 네킹에 매우 중요하다. 네킹성 물질 상에 너무 많은 결합 면적이 존재하면, 네킹 전에 파괴될 것이다. 결합 면적이 충분하지 않다면, 네킹성 물질은 떨어지게 될 것이다. 통상적으로, 본 발명에 유용한 결합 면적 백분율은 네킹성 물질 면적의 약 5% 내지 약40%의 범위이다. 캘린더 롤의 많은 패턴이 개발되었다. 당분야의 숙련자에게 이해되는 것처럼, 결합 핀은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늘어지고 마모되기 때문에 결합 면적 백분율은 근사치 또는 범위로 설명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당 분야의 숙련자는 핀이 기본적으로 롤 상의 핀과 동일한 크기 및 표면 관계로 지지체에 결합을 생성하기 때문에 "핀/인치2" 및 "결합/인치2"라는 관계는 어느정도 상호교환적이라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많은 별개의 결합 패턴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록 등의 미국특허 제4,041,203호를 참조할 수 있다. 일례의 패턴은 점을 가지며, 한센 및 페닝의 미국특허 제3,855,046호에서 교시된 것처럼 약 200 결합/인치2를 갖는 한센 페닝스 또는 "H&P" 패턴이다. H&P 패턴은 각 핀이 약 30%의 결합 면적을 갖는 패턴을 생성하는, 예를 들면 0.038 인치 (0.965 mm)의 측면 크기를 가질 수 있는 평방 점 또는 핀 결합 면적을 갖는다. 또 다른 전형적인 점 결합 패턴은 예를 들면 0.037 인치 (0.94 mm)의 측면 크기를 갖는 평방 핀과 약 100 핀/인치2의 핀 밀도를 가질 수 있는 약 15% 내지 18%의 결합 면적을 생성하는 연장된 한센 및 페닝스 또는 "EHP" 결합 패턴이다. 또 다른 전형적인 점 결합 패턴은 "714"로 지정되며, 각 핀이 예를 들어 15% 내지 20%의 결합 면적의 경우 약 0.023 인치의 측면 크기 및 약 270 핀/인치2를 가질 수 있는 평방 핀 결합 면적을 갖는다. 다른 통상적인 패턴에는 8% 내지 14%의 결합 면적 및 52 핀/인치2를 갖는 반복되는 다이아몬드의 "라미쉬" 다이아몬드 패턴, 약 15% 내지 약 23%의 결합 면적의 경우 약 460 핀/인치2의 점 결합을 포함하는 HDD 패턴뿐만 아니라, 그 이름이 제안하는 것처럼 예를 들면 창문 스크린과 같이 15% 내지 20%의 결합 면적 및 302 결합/인치2를 갖는 철망 패턴이 포함된다. 스펀본드 대향 웹의 또 다른 점 패턴은 본원에 그 전체가 참고로 도입되는 일반 양도된 멕코르맥 등의 미국특허 제5,964,742호에서 설명된 "S" 위브 패턴이다.
적층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네킹성 물질에 대한 필름층의 적층은 접착제 결합, 점 결합, 열 점 결합 및 음파 웰딩을 포함하여 당분야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일어날 수 있다. 접착제 결합을 위한 비탄성 및(또는) 탄성 접착제의 사용이 본원에서 고려된다. 하기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되는 것처럼, 탄성 접착제의 사용은 용이한 신장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지지 않았었다. 필름층 및 네킹성 물질이 가열 및(또는) 압력의 사용을 통하여 결합되는 경우, 적층 롤러와 같은 적층 수단 (30) (도 1)이 사용될 수 있다. 적층 롤러는 가열될 수 있으며, 점 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적층 롤러가 가열되는 온도는 필름 및(또는) 네킹성 물질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200 내지 275 ℉ (93 내지 135 ℃)이다.
또한, 단순히 풀리고 부분적으로 신장된 필름에 적층될 수 있는 제2 넥킹성 물질, 또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거나 또는 인-라인 공정에서 직접 형성된 부분적으로 네킹된 적층체의 부착도 본 발명에서 고려된다. 의료용 및 산업용 보호 의류 용도에서 이러한 3층 적층체가 특히 유용하다. 유사하게, 다른 필름층 또는 부분적으로 연신된 필름층이 결합될 수 있다. 도 17에는 이 경우 (하기 실시예 3에서보다 상세히 기술된) 필름층, 스펀본드 층 및 본디드 카디드 웹의 3층 구조물인 예시적 용품이 나타나져 있다. 이 도면은 3층 액체 이송 물질의 광학 현미경 사진의 시사도로서, 천공은 필름층에서 볼 수 있는 줄무늬 주름에 불리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네킹된 적층체 (2)는 기저귀, 용변연습용 팬츠, 실금용 기구, 및 생리대와 같은 여성용 위생 제품과 같은 개인 위생용 흡수 용품 또는 의류를 포함하여 넓은 범위의 용도에서 사용될 수 있다. 기저귀인 예시적인 용품 (80)이 도 4에 나타난다. 도 4를 참고로 할 때, 이러한 대부분의 개인 위생 흡수 용품 (80)은 액체 투과성 상면 시트 또는 라이너 (82), 배면 시트 또는 외부 덮개 (84) 및 라이너 (82)와 배면 시트 (84) 사이에 위치하고 그에 의하여 함유되는 흡수 코어 (86)을 포함한다. 기저귀와 같은 용품 (80)은 또한 착용자에게 그 의류를 유지하기 위한 접착제 체결 테이프 또는 기계적 후크 및 루프 유형의 체결구와 같은 여러 유형의 체결 수단 (88)을 포함할 수 있다.
네킹된 적층체 (2)는 라이너 (82)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닌 용품의 다양한 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라이너 (82)로서 네킹된 적층체를 사용하는 경우, 천공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액체 투과성이도록 만들어 질 것이다. 이러한 천공은 바람직하게는 원뿔형 형상이나, 그를 통과하는 액체 흐름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른 방식으로 형상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예시적 천공 패턴이 있는 기저귀 (80)의 상부도가 나타나져 있다. 천공 (62)가 있는 액체 이송 물질 (이 경우 라이너 (82))은 본원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넥킹된 적층체로부터 제조된다. 적층체의 기질에 의해 신장성 및 수축성의 형태의 기저귀가 가요성이면서 라이너 (82)는 양호한 액체 이송을 나타낸다. 네킹된 적층체가 TD 신장성 및 수축성을 가지므로, 라이너는 기저귀의 다른 부분과 동일한 신장성을 가질 것이란 점에서 라이너 (82)는 또한 신장되고 회복되고 일반적으로 아기에 보다 양호하게 맞을 것이다.
도 18은 흡수 코어 (86)에 부착된 천공된 액체 이송 물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화살표는 물질에 통과하는 액체의 흐름을 나타낸다. 달리 말해, 적층체 (2)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액체 이송 물질은 예를 들어 기저귀 (80)의 라이너 (82)로서 사용되는 액체가 라이너 (82)에서 천공 (62)를 통해 흐르도록 하나, 본질적으로 라이너 (82) 밖으로 역류하여 액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화살표가 나타낸 것과 같이, 액체는 일반적으로 천공 또는 슬릿 (62)을 통해 한 방향으로 움직일 것이며, 반대 방향으로, 즉 천공 (62) 밖으로 역류하여 흐르기 전에 기저 흡수 코어 (86)에 의해 거의 아마도 흡수될 것이다. 액체가 기저 흡수 코어 (86)에 의해 즉시 포획되지 않는 가망없는 경우에는, 액체 이송 물질 밖으로 역류하여 누수되는 유일한 통로는 천공 또는 슬릿 (62)를 다시 찾는 것일 것이다. 보다 가능한 경우는 액체가 라이너 (82)의 비천공 부분에 의해 정지되는 것일 것이다.
본 발명의 액체 이송 물질을 형성하는 넥킹된 적층체는 의료용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에 또한 유용하다. 도 5를 참고로 하여, 네킹된 적층체 (2)는 예시적인 용품, 이 경우에는 안면 마스크 (60)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되었다. 넥킹된 적층체 (2)는 안면 마스크 (60)를 착용자의 머리에 매기 위한 체결 수단 (88')에 의해주름진다. 이 적용에서, 비탄성 필름층은 착용자가 편안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아마도 천공될 것이다. 이러한 천공 (62)는 호흡이 손상되지 않으나, 안면 마스크의 기능(예를 들면, 사용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방해하도록 너무 크거나 또는 다수이지 않는 크기이며 위치할 것이다. 이러한 일 구형예는 안면 마스크의 TD 연부 상에 천공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용품은 실험 외투 또는 작업복과 같은 의류이다. 선행 기술의 비탄성 적층체의 사용과 관련하여 특히 곤란한 면은 상기 설명한 것처럼 "탄력성"이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적층체-클래드 이음매의 굽힘과 관련하여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선행 기술의 적층체가 사용되어 의류를 만드는 경우, 이음매가 굽혀지면 물질은 이음매 주위에서 조밀해져서 물질이 인열되거나 적어도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그러나, 네킹된 적층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액체 이송 물질로 의류가 제조된다면, 그 물질은 이음매가 굽혀질 때, 탄력성을 주고, 그 후에 그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경향이 있다. 본 적층체는 강한 힘으로 회복되지는 않지만 매우 부드러워 안락감이 유지될 수 있다. 천공은 전반적인 통기성을 증가시키나 목적하는 보호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적절한 크기일 것이며 위치할 것이다.
이러한 용도에서 네킹된 적층체 (2)를 사용하는 한가지 이점은 용품이 외관 및 감촉 모두에서 더욱 "천-유사"하다는 것이다. 이외에, 횡방향 신장성 및 수축성은 용품이 착용자의 신체에 더욱 밀접하게 순응하도록 한다.
네킹된 적층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액체 이송 물질은 비천공 영역에서 강도, 히드로헤드(장벽) 및 통기성과 같은 특성을 유지하면서 순응성 및 횡방향 신장성 및 수축성과 같은 "천-유사" 특성에서의 개선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다른 특성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가장 잘 설명된다.
본 발명의 시료는 하기에 설명된 것처럼 제조하였다. 그 후, 시료에 대하여 하기 시험을 수행하였다.
인장 시험: 인장 시험은 ASTM 표준 시험 D 5034-95 뿐만 아니라, 미국 연방 시험 방법 표준 제191A 방법 5102-78에 따라 단일 방향의 응력을 가하였을 때 직물의 강도 및 신장 또는 변형률을 측정하였다. 본 시험은 파운드의 강도와, 파단 전까지 시료를 신장하였을 때의 연신 백분율을 측정하였다. 수치가 클수록 각각 더욱 강하고(거나) 연신성인 직물을 가리킨다. 용어 "피크 부하"는 인장 시험에서 시료가 파괴되거나 파열되도록 신장시키는 데 필요한 파운드로 표현된 최대 부하 또는 힘을 의미한다. 용어 "변형률" 또는 "연신 백분율"은 인장 시험동안 백분율로 표현된 시료의 길이 증가를 의미한다. 피크 부하 및 피크 부하에서의 변형률은 3 × 6인치 (76 × 152 mm), 3 인치 (76 mm)의 클램프 폭, 3 인치 (76 mm)의 게이지 길이 및 12 인치/분 (305 mm/분)의 일정한 신장 속도를 사용하여 얻었으며, 여기서 전체 시료 폭을 클램프로 고정하였다. 예를 들면, 표본을 인스트론 코포레이션에서 시판되는 1130 Instron 또는 미국 19154 펜실바니아주 필라델피아 듀통 로드 10960 소재의 트윙-알버트 인스트루먼트 코포레이션에서 시판되는 트윙-알버트 모델 INTELLECT II에 고정하고, 단위를 표준 절차에 따라 영점 조정하고, 계측하고, 보정하였다.
통기성 시험: 시료의 통기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하기 시험 방법에 따라 시료 물질에 대한 수증기 투과율 (WVTR)을 계산하였다. 시험 절차는 일정한 정적 상태의 조건하에서 고체 및 다공성 필름, 부직 물질, 및 다른 물질을 통한 수증기 투과의 일반화된 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축한다. 평가될 물질로 한 컵의 물 위를 밀봉하고, 온도 조절된 환경하에 두었다. 컵에서의 물 증발은 컵 외부의 환경의 수증기 압력보다 비교적 더 높은 컵 내부의 수증기 압력을 초래한다. 수증기 압력의 이러한 차이는 컵 내부의 수증기가 시험 물질을 통하여 컵 외부로 유동하게 한다. 이러한 유동 속도는 컵의 상부를 밀봉한 시험 물질의 투과성에 의존한다. 초기 및 말기 사이의 컵 중량의 차이를 사용하여 수증기 투과 속도를 계산한다.
특히, 각각의 시험 물질, 및 획스트 셀라네스 코포레이션에서 시판되는 CELGARD (등록상표) 2500 필름의 조각인 대조군으로부터 직경이 3인치로 측정된 환상의 시료를 절단하였다. CELGARD (등록상표) 2500 필름은 미세다공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이다. 시험 접시는 미국 펜실바니아주 필라델피아 소재의 트윙-알버트 인스트루먼트 컴파니에 의하여 판매되는 68-1 수증기 측정계 컵이었다. 물 100 ml을 각 수증기 측정계 컵에 붓고, 시험 물질 및 대조군 물질의 각각의 시료를 각 컵의 개방 상부를 가로지르게 위치시켰다. 고무 가스켓 및 금속 링 (컵에 장착)을 시료 위에 두고, 금속 클램프를 사용하여 고정하였다. 시험 시료 물질 및 대조 물질을실온에서 대략 33.17 cm2의 노출 면적을 갖는 6.5 cm 직경의 환형 위에 노출시켰다. 컵을 열 평형에 도달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약 38 ℃ (100 ℉)의 오븐에 두었다. 컵을 오븐으로부터 꺼내어, 칭량하고, 오븐에 다시 두었다. 오븐은 내부의 수증기 축적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 공기 순환을 갖는 항온 오븐이었다. 적합한 강제 순환 오븐은 예를 들면 미국 일리노이주 블루 이스피크 소재의 블루 엠. 일렉트릭 컴파니에 의하여 판매되는 Blue M Power-O-Matic 60 오븐이다. 24 시간 후, 컵을 오븐으로부터 꺼내어 다시 칭량하였다. 예비시험의 수증기 투과 속도 값은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하였다.
APP MVT = (24 시간에 걸친 그램 중량 손실) × 7571/24 (g/m2/24 시간으로 표현)
대략적인 수증기 전달은 "APP MVT"로 표시된다. 약 38 ℃ (100 ℉) 및 주위 상대 습도의 지정된 설정 조건하에서, CELGARD (등록상표) 2500 대조군의 WVTR은 24 시간 동안 평방미터당 5000 g으로 정의되었다. 따라서, 대조군 시료를 각 시험과 함께 수행하고, 예비 시험 값을 하기 수학식 2를 사용하여 고정된 조건으로 보정하였다.
WVTR = (시험 WVTR/대조군 WVTR) × (5000 g/m2/24 시간)
히드로헤드: 직물의 액체 장벽 특성의 측정이 히드로헤드 시험이다. 히드로헤드 시험은 지정된 양, 일반적으로 3액적의 액체가 통과하기 전에 직물이 지지하는 물의 높이 (cm)를 측정한다. 높은 히드로헤드 값을 갖는 직물은 낮은 히드로헤드 값을 갖는 직물에 비해 액체 침투에 대하여 더 큰 장벽성을 갖는다. 히드로헤드 시험은 미국 노쓰 캐롤리나주 콘코드 사서함 1071 소재의 말로 인더스트리즈 인크.에서 시판하는 Textest FX-3000 히드로스테틱 헤드 시험계를 사용하여 미국 연방 시험 표준 191A, 방법 5514에 따라 수행하였다. 26 cm의 내부 둘레를 갖는 환상의 헤드를 사용하여 시료 아래를 고정하였다.
%이론 신장성: %이론 신장성은 원래의 적층체가 고유한 신장성이 없다는 가정하에 원래의 폭이 얼마나 감소되었는가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네킹된 적층체에 기대될 수 있는 신장성의 양이다. 하기 방정식에서, 원래의 폭은 적층체의 비네킹된 폭 (횡방향 크기)이고, 네킹된 폭은 네킹 후의 적층체의 폭이다. %이론 신장성은 하기와 같이 측정될 수 있다.
%이론 신장성 = 100 × [(원래의 폭 - 네킹된 폭) ÷ 네킹된 폭]
이는 %이론 신장성 = 100 × [(원래의 폭 - 네킹된 폭) -1]으로 고칠 수 있다.
적층체가 네킹된 원래의 폭%는 하기 방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원래의 폭% = 100 × (네킹된 폭 ÷ 원래의 폭)
이는 (원래의 폭 ÷ 네킹된 폭) = 100 ÷ %원래의 폭으로 고칠 수 있다.
이 방정식을 상기 %이론 신장성으로 치환하면,
%이론 신장성 = 100 × [(100 ÷ 원래의 폭%) - 1]이다.
따라서, 하기 각 시료의 경우, 원래의 폭과 네킹된 폭을 측정하여, %이론 신장성을 하기 표 3에서처럼 계산하였다.
%영구 고정: 영구 고정 시험은 특정 길이로 연신된 후 물질의 수축 정도를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영구 고정 값이 클수록 시료의 수축성은 작다. 적층체를 제조하여 롤 상에 감은 후, 지울 수 없는 잉크를 사용하여 횡방향 크기로 물질의 2 인치 (5.08 cm) 폭 스트립을 표시하였다. 적층체를 풀은 후에, 표시 이외의 면적이 포함되도록 3 인치 (7.62 cm) (LD) × 4.5 인치 (11.43 cm) (TD)의 시료 면적을 적층체에서 절단하였다. 각 시료를 두 개의 3인치 (7.62 cm) 폭의 조우 사이에 위치시켰다. 조우는 2 인치(5.08 cm) 거리로 떨어져 있으며, 조우는 앞서 물질 상에 이루어진 표시 상에 고정하였다. 그 후, 시료를 특정한 양, 90% 또는 1.8 인치 (4.57 cm)로 신장하고, 수축되도록 하였다. 수축 동안 힘이 25 g에 도달할 때의 신장을 기록하였다. 영구 고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영구 고정 = 100 x (수축 사이클 동안 적층체의 저항이 25 g이 될때 조우 사이의 거리x - 초기 길이) ÷총 신장 거리 =[ × (인치) - 2 (인치)] ÷1.8 = [× (cm) - 5.08 (cm)] ÷4.57
3번 반복하고, 평균 값을 하기 실시예에 나타내었다.
사이클 시험: 시료를 또한 50 kg 로드 셀을 사용하여 마이크로콘(Microcon) II가 있는 인스트론 시험계 상에서 사이클링하였다. 시료 크기 및 시험계는 게이지 길이를 2 인치(5.08 cm)로 한 것을 제외하곤 상기와 같이 설정하였다. 챠트 및크로쓰헤드 속도는 분 당 20 인치(50.8 cm)로 설정하였다. 사이클 길이에 대한 최대 신장 한계치는 인장 시험으로부터의 "파단 신도"의 50%를 계산하여 측정된 거리에 설정하였다. 시료를 특정 사이클 길이로 2회 사이클링하고 이어서 세번째 사이클 상에서 파단시켰다. 시험 장치는 각 사이클에 대해 힘 g으로 피크 부하를 측정하도록 설정하였다. 세번째 사이클(파단 사이클)에서, 피크 신장 및 피크 보하를 측정하였다.
라이너 런오프: 라이너 런오프 시험은 유체의 투과를 허용하는 물질의 능력을 측정하도록 사용하였다. 사용된 절차는 그 전문이 본원에 인용된 미국특허 제5,258,221호(메이로위츠(Meirowitz) 등)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본원에서 사용된 절차에서, 0.85% 식염수(실온) 50 ml를 하기 실시예 3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기초중량 190 gsm의 코폼 흡수체 상에 둔 8 인치 x 5.25 인치(20.3 cm x 13.3 cm) 라이너 시료 상에 분배하였다. 물질은 45°기울기로 경사진 평평한 표면 상에 두었다. 코폼 흡수체를 보유 물질로서 사용하였고 라이너를 통과하는 유체를 흡수하기 위하여 라이너 밑에 두었다. 보유 물질로 전달되지 않은 유체는 흐를 것이며 이를 수집하여 칭량한다. 이를 새로운 흡수체 및 액체에 대해 3회 반복하였다.
기저귀 런오프: 기저귀 런오프 시험은 유체의 투과를 허용하는 물질의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사용된 절차는 그 전문이 본원에 인용된 미국특허 제5,258,221호(메이로위츠 등)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였다. 본원에서 사용된 절차에서, 0.85% 식염수(실온) 100 ml를 하기 실시예 3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된 바와같이 기초중량 190 gsm의 코폼 흡수체 상에 둔 15 인치 x 5.25 인치(38.1 cm x 13.3 cm) 시료 상에 분배하였다. 물질은 30°기울기로 경사진 평평한 표면 상에 두었다. 코폼 흡수체를 보유 물질로서 사용하였고 라이너를 통과하는 유체를 흡수하기 위하여 라이너 밑에 두었다. 보유 물질로 전달되지 않은 유체는 흐를 것이며 이를 수집하여 칭량한다. 일반적으로 3회 수행하고, 라이너 시료 및 보유 유체 모두를 반복 사이에서 대체하였다.
유체 흡입 역류 평가(FIFE): FIFE 시험계(나타내지 않음)를 사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FIFE 시험계는 2개의 플렉시글라스(PLEXIGLASS) 판이 있었따. FIFE 시험계의 상부 판은 내경 2 인치(5.08 cm)의 실린더를 포함하였다. 상부 판은 그의 중앙에 형성된 원형 구멍이 있었다. 실린더는 상부 판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위쪽을 향해 연장되었다. 실린더를 원형 구멍내에 장착하고 접착제를 사용하여 그 내에 고정시켰다. 접착제는 상부 판의 완전체의 부품으로서 실린더에 영구히 고정하고 액체가 상부 판의 상부 표면 상에 외향하여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핀 부재를 하부 판의 외측 모서리 근처에 위치시켰다. 핀 부재를 상부 판에서 천공에 정렬하여 판을 함께 설치하였다. 액체를 시험 장치 내에 부기 위하여 깔대기를 실린더의 상부에 두었다. 실린더를 포함하는 FIFE 시험계의 상부 판 및 깔대기의 합친 중량은 900 내지 1100 그램이었다.
시험 시료를 하기 실시예 4에 기술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시료를 용품이 상부 및 하부 판 사이에 있도록 FIFE 시험계에 두었다. 사용시, FIFE 시험계의 하부 판 및 상부 판은 실질적으로 수평한 판이다. 시료를 중앙에 두어 상부 판의 실린더가 시료의 중앙 위에 있게 하였다. 실린더 상부에 둔 깔대기를 통해 시험 실린더 내에 식염수 80 ml를 갑자기 붓는 첫번째 인설트로 시험을 시작하였다. 1분 간 기다린 후, 두번째 80 ml 인설트를 FIFE 실린더 내에 부었다. 세번째이면서 마지막 인설트 80 ml를 또다른 1분 지연 시간 후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1분간 기다렸다.
역류 시험: 상기 FIFE 시험으로부터의 시험 시편을 두번째 80 ml 인설트 후 역류에 대해 시험하였다. 시편을 목표 대역 상에서 시편의 상부에 놓은 압지의 칭량한 2개의 조각 3.5 x 12" (다른 것의 상부에 1개)와 함께 진공 박스에 둔다. 2분 간격 후, 압지를 제거하고 칭량하여 압지에 의해 흡수된 액체의 양을 g으로 측정하였다. 보다 높은 수치는 시험된 특정 물질의 역류의 정도가 크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들 시험에 대한 추가의 논의는 일반 양도된 미국특허 제5,536,555호에서 볼 수 있다.
<실시예 1>
비탄성 필름층 및 비탄성 부직 웹 층으로부터 비천공 네킹된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미국 알라바마주 실라카우가 소재의 잉글리쉬 차이나 클레이 아메리카, 인크.사에서 제조한 SUPERCOAT 탄산칼슘 48 중랑% (25 부피%), 다우 케미칼 컴파니 ("다우")에서 제조한 상품명 DOWLEX NG3347A로 구입가능한 선형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47 중량% (68 부피%), 다우에서 제조한 상품명 6401로 구입가능한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5 중량% (7 부피%) 및 미국 뉴욕주 테리타운 소재의 시바 스페셜티스 컴파니에 의하여 제조된 상품명 B900으로 구입가능한 산화방지 안정화제2000 ppm으로 1.5 밀의 블로잉 필름층을 제조하였다. 상기 설명된 조성으로 제조된 필름층을 미리 제조하고, 롤 상에 감았다. 이러한 필름층을 고도의 통기성으로 만들기 위하여, 약 4× (원래 길이의 4배) 이상으로 연신하여야 한다. 그 후, 필름층을 필름 풀림 유니트로부터 마셜 앤드 윌리엄스 컴파니에 의하여 제조된 것과 같은 통상적인 기계 방향 배향기로 풀고, 하기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기계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연신하여 부분적으로 연신된 통기성 필름층을 형성하였다. 마찬가지로, 미국 텍사스주 달라스 소재의 킴벌리-클라크 코포레이션에서 제조되는 것과 같은 철망 결합 패턴을 갖는 0.4 osy 기초중량의 표준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를 풀고, 부틴 등의 상기 문헌에서 설명된 멜트블로운 기구와 같은 공기 보조 분무 기구를 사용하여 미국 위스콘신주 와우와토사 소재의 아토 파인들리에서 H2525A로 시판되는 3 gsm 중량 (도포 지점에서)의 접착제를 부직 웹 층의 한 표면에 도포하였다. 이러한 기구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일반 양도된 하인델 등의 미국특허 제4,949,668호; 노드슨 코포레이션에 양도된 밀러 등의 미국특허 제4,983,109호; 및 제이 앤드 엠 레이보레이터리즈, 인크.에 양도된 알렌 등의 미국특허 제5,728,219호에서 설명된다.
그 후, 부직 웹 층의 접착제 측을 평탄한 미가열된 강철 롤과 한 면의 30 pli (5.4 kg/선형 cm)의 평탄한 탄성 (고무 피복된) 앤빌 롤 압력에서 적층 롤러를 사용하여 부분적으로 연신된 필름층에 적층하였다.
그 후, 적층체를 종방향 크기로 연신하고, 적층 롤러의 속도보다 더 큰 속도 (하기 표 1 - 적층체 네킹 인발 항목 참조)에서 연신 닙을 통하여 통과시켜 횡방향으로 네킹하였다. 네킹 인발은 횡방향 크기에서 적층체의 수축 (네킹)을 초래한다. 적층 롤러는 연신 닙으로부터 약 8 피트 (2.4 m) 떨어져 있다. 표 1의 "총 인발"은 네킹 인발에 연신 인발을 곱한 것이고, 고도의 통기성으로 만들기 위하여 필름층의 충분한 배향 또는 연신을 보장하기에 충분하였다. 그 후, 이렇게 형성된 횡방향 신장 및 수축가능한 네킹된 적층체를 롤 상에 감았다. 시료를 네킹된 적층체로부터 절단하여 시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 C1 및 C2는 필름층을 지시한대로 연신하였지만 적층체가 네킹되지 않은 비교예 (기준선)이다. 도 10은 네킹성 물질 (14)에 적층하여 적층체를 형성하기에 앞서 필름층 (12)가 완전히 연신되어 후속적으로 네킹되지 않은 종래의 적층체인 시료 C1의 사선 화상을 나타낸다. 시료 8은 시료 7의 반복물이다. "피크 변형률"은 "피크 부하"에서의 변형률이다.
시료 총 필름 인발 필름 연신 인발 적층체 네킹 인발 WVTRg/m2/24시간 히드로헤드mbar LD 피크 변형률% LD 피크 부하lb (kg) TD 피크 변형률% TD 피크 부하lb (kg)
C1 5.0X 5.0X 1.0X 2799 353 35.7 25.62(11.62) 92.2 5.11(2.32)
C2 3.6X 3.6X 1.0X 1759 265 66.4 23.36(10.59) 100.8 6.16(2.79)
3 3.9X 3.6X 1.1X 1004 316 65.6 26.33(11.94) 100.0 6.15(2.79)
4 4.3X 3.6X 1.2X 886 437 69.1 30.75(13.95) 95.0 6.01(2.73)
5 4.6X 3.6X 1.3X 1474 383 65.2 33.32(15.11) 126.9 5.43(2.46)
6 5.0X 3.6X 1.4X 1213 454 55.6 44.07(19.99) 197.8 4.99(2.26)
7 5.2X 3.6X 1.45X - 383 48.8 35.01(15.88) 144.3 5.46(2.48)
8 5.2X 3.6X 1.45X 1140 387 56.0 40.20(18.23) 141.2 4.70(2.13)
시료 6은 가장 높은 TD 피크 변형률을 가졌다. 이러한 적층체에서, 필름층은 이러한 용품의 경우 통상적인 인발인 총 5.0×로 인발되었다. 추가로, 적층체를 1.4× 인발로 네킹하였다. 시료 C1의 필름층은 또한 총 5.0×로 인발하였으나, 적층체를 네킹하지 않았다. 필름층이 동일한 양으로 인발되었지만, 본 발명의 예인 시료 6은 비교예의 경우보다 더 큰 TD 피크 변형률을 가지며, 이는 본 발명의 횡방향 신장성의 개선을 가리킨다. 도 11a, b 및 c, 도 12a, b 및 c는 시료 C1 및 6의 경우의 부하 대 신장 곡선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며, 도 14 및 15는 이들 시료의 부하 대 신장 곡선의 확대된 곡선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11a, b 및 c는 시료 C1의 박리된 필름층을 3번 반복한 것이며, 도 12a, b 및 c는 줄무늬 주름이 있는 시료 6의 박리된 필름층을 3번 반복한 것이다.
하기 표 3은 연신 백분율의 함수로서의 네킹된 폭 (인치)을 나타내고, 표 1의 시료 각각의 경우 횡방향에서 네킹된 적층체가 얼마나 용이하게 신장되는지를 보여준다. 상기 인장 강도 시험으로부터, 30%, 60%, 90%, 120%, 150% 및 180% 파단의 각 시료에 대한 힘 (파운드) (킬로그램)을 하기 표 2에 기록하였다. 더욱 좁은 폭으로 네킹된 적층체 (시료 5, 6, 8; 표 3의 "적층된 네킹된 폭" 컬럼 참조)는 파단전에 대조군에 비해 동일한 %신장에서 더 작은 힘으로 더 큰 정도로 신장되었다. 시료가 백분율 단계 변화시 또는 그에 앞서 파단된다면, 이를 "--"로 표시하였다.
시료 30% 60% 90% 120% 150% 180%
C1 2.51 (1.14) 4.21 (1.91) 5.05 (2.29) --
C2 3.16 (1.43) 5.05 (2.29) 6.02 (2.73) --
3 2.74 (1.24) 4.88 (2.21) 5.88 (2.67) --
4 2.78 (1.26) 4.89 (2.22) 5.92 (2.69) --
5 1.30 (0.59) 2.84 (1.29) 4.41 (2.00) 5.27 (2.39) --
6 0.60 (0.27) 1.28 (0.58) 2.13 (0.97) 3.22 (1.46) 4.09 (1.86) 4.73 (2.15)
7 1.51 (0.68) 2.78 (1.26) 4.18 (1.90) 5.06 (2.30) 5.38 (2.44) --
8 1.21 (0.55) 2.33 (1.06) 3.42 (1.55) 3.89 (1.76) 4.47 (2.03) --
표 3은 추가적으로 표 1의 각각의 시료에 대하여 상기 설명된 것처럼 계산된 %이론 신장성을 나타낸다.
시료 적층체 네킹 폭인치 (cm) %원래의 폭 %이론 신장성
C1 12 3/8 (31.43) 100 0
C2 12 1/4 (31.12) 99 1
3 11 1/2 (29.21) 93 7.5
4 10 3/4 (27.31) 87 15
5 8 3/4 (22.23) 71 41
6 7 1/2 (19.05) 61 65
8 6 3/8 (16.19) 51 94
통기성은 예를 들면 기저귀로 사용되는 경우 가지는 형상이기 때문에 TD 신장된 형상일 때의 네킹된 적층체에 대하여 WVTR로 측정하였다. 시료 6을 100% 및 166%로 신장하는 것을 3번 반복하고, WVTR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가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료 6 WVTR (g/m2/24시간)
비연신 (상기 표 1) 1213
100% 신장 3960
166% 신장 4250
상기 시료 C1 및 6의 경우 필름층의 TD 신장성을 더욱 잘 설명하기 위하여, 추가의 시험을 위하여 스펀본드층으로부터 필름층을 박리하였다. 박리에 앞서, 적층체의 필름 측에 TD로 길이 3 인치 (7.62 cm)를 표시하였다. 적층체를 변성 에틸알콜 (에탄올)에 완전히 담구고 침적시켜, 필름층의 줄무늬 주름이 제거되거나, 손상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왜곡되지 않도록 필름층과 스펀본드층 사이의 접착제 결합을 연화하고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박리를 수행하였다. 박리된 후, 필름층을 상기 설명된 인장 시험계로 시험하고, 필름층이 0.3 인치 (0.762 cm) (10% 변형률)으로 신장되었을 때의 힘을 측정하였다. 시료 C1을 신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힘 (세번 반복의 평균)은 대략 필름층 두께 밀당 1000 g이었다. 다른 한편, 시료 6을 신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힘 (세번 반복의 평균)은 대략 필름층 두께 밀당 60 g이었으며, 이 두께는 줄무늬 주름이 평탄해졌을 때 측정된 두께였다.
<실시예 2>
일부 시료에서 비탄성의 접착제를 사용하고, 일부 시료에서는 네킹하면서 가열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설명한 것처럼 추가의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변형은 1) 상기 사용된 반탄성의 접착제와 비교하여 비탄성의 접착제의 사용, 및 2) 네킹 공정 동안의 적층체의 가열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각 시료의 경우, 비탄성 필름층을 스펀본드 층에 적층하기에 앞서 그 길이의 4배로 연신하였다. 적층체를 표 5에 지시된 것처럼 네킹하고 상기 설명된 영구 고정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사용된 비탄성 접착제는 텍사스주 오데사의 헌츠만 폴리머에서 시판되는 Rextac (등록상표) 2730이었다. 또한, 시료를 약 170 ℉ (76 ℃)의 온도로 유지된 가열 롤러로 네킹 후에 가열하였다.
적층체를 여전히 롤 상에 감은 채로 10 cm × 10 cm (3.94 인치 × 3.94 인치) 시료를 측정하였다. 물질이 장력하에서 감겨있고, 시간에 따라 어느 정도의이완이 일어나므로, 롤에서 절단한 후에 시료를 재측정하였다. 시료 C9 및 C10은 필름이 연신되었으나, 적층체가 네킹되지 않은 비교 (기준) 물질이다.
시료 적층체네킹 인발 실제 인발 접착제 유형 가열 적용 측정된 시료 크기cm (인치) 이완후 시료 크기cm (인치) %영구 고정cm (인치)
C9 1.1X 1.03X 비탄성 없음 10x10(3.94x3.94) 10x10(3.94x3.94) -
C10 1.1X 1.03X 반탄성 없음 10x10(3.94x3.94) 10x10(3.94x3.94) -
11 1.43X 1.32X 비탄성 없음 10x10(3.94x3.94) 10x12.2(3.94x4.80) 76
12 1.4X 1.28X 반탄성 없음 10x10(3.94x3.94) 9.6x11.6(3.78x4.57) 79
13 1.45X 1.3X 반탄성 없음 10x10(3.94x3.94) 9.5x11.8(3.74x4.65) 79
14 1.5X 1.36X 반탄성 있음 10x10(3.94x3.94) 10x10.5(3.94x4.13) 78
15 1.45X 1.3X 비탄성 있음 10x10(3.94x3.94) 10x10.3(3.94x4.06) 80
16 1.45X 1.3X 비탄성 없음 10x10(3.94x3.94) 10x11.25(3.94x4.43) 80
롤로부터 절단하기 전 및 후의 시료 크기 사이를 비교한 것을 기준으로, 열 고정 물질인 시료 14 및 15는 네킹되었으나 열 고정되지 않은 물질보다 원래의 크기를 더 잘 유지하였다. 더욱이, 탄성 또는 비탄성 접착제의 사용에 상관없이 모든 물질은 높은 정도의 영구 고정을 나타내었다. 반탄성 접착제 및 비탄성 접착제로 만들어진 적층체의 열 고정 사이의 차이는 거의 없으며, 이는 소량의 탄성 접착제가 사용되는 것은 부직 웹 적층체의 전체 신장성 및 수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가리킨다.
추가적으로, 상기 설명된 시험 방법에 따라 횡방향 크기 (TD)에서의 인장 특성과 WVTR에 대하여 시료를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표 6에 요약하였다.
시료 실제 인발 접착제 유형 가열 적용 50% 신장에서 TD 부하lb (kg) TD 피크 변형률% TD 피크 부하lb (kg) 비신장된 WVTRg/m2/24시간
C9 1.03X 비탄성 없음 5.73(2.60) 62.5 6.24(2.83) 1667
C10 1.03X 탄성 없음 4.85(2.20) 89.7 6.15(2.79) 2121
11 1.32X 비탄성 없음 0.0904(0.041) 175 4.56(2.07) 1272
12 1.28X 탄성 없음 0.375(0.170) 201 4.72(2.14) 1222
13 1.3X 탄성 없음 0.617(0.280) 212 4.78(2.17) 903
14 1.36X 탄성 있음 0.419(0.190) 192 3.57(1.62) 1482
15 1.3X 비탄성 있음 0.375(0.170) 174 3.37(1.53) 1400
16 1.3X 비탄성 없음 0.190(0.086) 174 4.52(2.05) N/A
시료를 50% 신장하였을 때, 대조 (비네킹된) 물질인 시료 C9 및 C10은 네킹된 물질인 시료 11 내지 16에 비하여 현저히 더 높은 부하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횡방향 크기로 대조 시료를 신장할 때 더 큰 힘이 필요하다는 것을 가리킨다.
<실시예 3>
적층체는 예를 들어 기저귀 또는 실금용 제품의 라이너에서 사용되는 액체 이송 물질로서 사용하기 적합한지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제조하였다. 0.58 osy (19.7 gsm)의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의 비탄성 부직웹 층을 헌츠만 펙키징(미국 조지아주 워싱톤 소재)에서 시판하는 0.46 osy (15.7 gsm) XP-833 필름의 비탄성 비통기성 필름 층에 접착제로 적층하였다. XP-833 필름층은 통상적으로 개인 위생 제품에 사용되는 백색의 0.6 밀 성형 양각 카트알로이(cattalloy) 기재 3층 필름이다. 층을 0.09 osy (3 gsm)의 양으로H2525A(아토-파인들리(미국 위스콘신주 와우와토사 소재)에서 시판)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시켰다. 이후, 이렇게 생성된 적층체를 190℉(87.8℃)의 온도에서 1.45x 연발하였다. 천공 공정 조건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이 넥팅된 적층체(시료 18) 중 한 시료를 본디드 카디드 웹(BCW) 캐리어 시트의 0.77 osy(26 gsm) 층에 부가적으로 적층하여, 도 17에서 볼 수 있듯이 필름층이 스펀본드와 BCW 층 사이에 배치되게 하였다. BCW 캐리어 시트는 일본의 치쏘사로부터 구입가능한 HR6 방사 가공제가 있는 ESC 유형 2성분(폴리에틸렌 50%/폴리프로필렌 50%) 6 데니어 섬유로부터 제조된 통기 건조 결합 BCW이었고, 습윤제로 처리하였다. 적층체를 이어서 직경이 약 0.081 인치(0.206 cm)인 원뿔형 핀으로 핀 천공하였다. 비교예로서,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 미처리 스펀본드 부직웹인 시료 19를 또한 시험하였다. 상기 비교예는 기저귀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로 또한 처리될 수 있는) 전형적인 라이너 물질을 나타낸다. %영구 고정을 시료 18의 경우 (대략 피크 변형률의 1/2에 해당하는) 63%의 신장에서 그리고 시료 17의 경우 53%에서 측정한 것을 제외하곤, 상기한 바와 같이 시험을 수행하고,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냈다. 인장 시험은 횡방향 크기 (TD)에서 적층체 둘다에 대해 수행하였다. 또한, 라이너 런오프 시험 및 1회 반복한 기저귀 런오프 시험을 시료 18에 대해 수행하였다. 결과를 표 7에 요약하였다.
시료 기술 실제 연발 50% 신장에서 TD 부하lb. (kg) TD 피크 변형률 % TD 피크 부하 (lb. (kg)) %영구 고정
C9 미천공 스펀본드/필름 적층체 1.03 x 5.73 (2.60) 62.5 6.24 (2.83) NT
C10 미천공 스펀본드/필름 적층체 1.03 x 4.85 (2.20) 89.7 6.15 (2.79) NT
17 스펀본드/필름 천공 적층체 1.45 x 4.0 (1.8) 105 7.17 (3.25) 75.5
18 스펀본드/필름/BCW 천공 적층체 1.45 x 5.1 (2.3) 126 10.7 (4.84) 57.1
C19 스펀본드 (0.4 osy) N/A N/A N/A N/A N/A
NT- 시험하지 않음N/A - 적용할 수 없음
표 7로부터 본 발명의 시료, 시료 17 및 18의 경우, TD 피크 변형률에서 비교예보다 개선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적층체는 하기 표에 나타낸 예외와 함께 실시예 3, 특히 시료 18 및 19에 대해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제조하였다. 시료 18b는 상기 표 7에서 시료 18과 동일하다.
시료 설명 기초중량 (gsm) FIFE 역류 (g) 라이너 런오프 (g) 기저귀 런오프 (g)
18a 천공된 넥킹된 적층체 (비충전 필름/0.4 osy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w/BCW 층 68.4 0.199 12.503 0.567
18b 스펀본드/필름/BCW 천공된 적층체 -- NT 12.4 1.66
C19 비습윤성 0.4 osy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13.0 3.830 22.306 44.000
C20 습윤성 0.4 osy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0.3% 아코벨) 13.6 5.747 0.354 0.500
C21 비천공된 넥킹된 적층체 (비충전 필름/0.4 osy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w/BCW 층 62.4 1.256 48.673 100.000
표 7 및 8로부터 알 수 있듯이, 천공된 넥킹된 적층체로부터 형성된 액체 이송 물질인 시료 17 및 18은 비교용 시료보다 개선된 변형률을 나타내는 동시에, 예를 들어 라이너와 같은 개인 위생 용품의 성분으로서 동시에 기능하였다.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였지만, 하기 특허청구의 범위의 취지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없이 본 발명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29)

  1. a) 하나 이상의 비탄성의 네킹성 물질의 제1 층, 및
    b)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층에 부착되어 적층체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비탄성 필름의 제2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적층체는 제1 크기에 네킹되어 있고, 상기 제2 필름층은 상기 제1 크기에 수직인 방향으로 줄무늬 주름을 갖고, 또한 상기 적층체의 하나 이상의 층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이송 물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제1 크기에 인가된 편향력이 상기 적층체를 신장하고, 편향력의 제거가 적층체의 수축을 초래하는 액체 이송 물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무늬 주름이 사다리꼴, 무딘 톱날 모양, 또는 플리트 주름을 포함하는 액체 이송 물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수단이 열 결합, 접착제 결합 또는 음파 웰딩을 포함하는 액체 이송 물질.
  5. 제1항에 있어서, 추가의 신장성 층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이송 물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기가 횡방향 크기에 의하여 한정되고, 상기 수직 크기는 종방향 크기에 의하여 한정되는 액체 이송 물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가 통기성인 액체 이송 물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탄성의 네킹성 물질이 약 0.3 osy (10 gsm) 내지 약 2.7 osy (90 gsm)의 기초중량을 갖는 액체 이송 물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킹성 물질 또는 상기 비탄성 필름이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액체 이송 물질.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킹성 물질이 스펀본드 부직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 이송 물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가 안면 마스크의 일부분 이상을 형성하는 액체 이송 물질.
  12. a) 하나 이상의 비탄성 네킹성 물질의 제1 층, 및
    b)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층에 부착되어 적층체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비탄성 필름의 제2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적층체는 제1 크기에 네킹되어 있고, 상기 제2 필름층은 상기 제1 크기에 수직인 방향으로 줄무늬 주름이 있어, 상기 적층체의 상기 제1 크기에 인가된 편향력이 상기 적층체를 신장하게 하여 착용자의 신체 주위에 순응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적층체의 하나 이상의 층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위생 흡수 용품의 라이너로서 사용하기 위한 순응성 액체 이송 물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줄무늬 주름이 사다리꼴, 무딘 톱날 모양, 또는 플리트 주름을 포함하는 순응성 액체 이송 물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수단이 열 결합, 접착제 결합 또는 음파 웰딩을 포함하는 순응성 액체 이송 물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수단이 접착제 결합인 순응성 액체 이송 물질.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기가 횡방향 크기에 의하여 한정되고, 상기 수직 크기는 종방향 크기에 의하여 한정되는 순응성 액체 이송 물질.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탄성의 네킹성 물질이 약 0.3 osy (10 gsm) 내지 약 2.7 osy (90 gsm)의 기초중량을 갖는 것인 순응성 액체 이송 물질.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가 통기성인 순응성 액체 이송 물질.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넥킹성 물질 및 상기 비탄성 필름이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순응성 액체 이송 물질.
  20. 제12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네킹성 물질이 스펀본드 부직 물질을 포함하는 네킹된 적층체.
  21. a) 하나 이상의 비탄성의 네킹성 물질 층을 제공하는 단계,
    b) 하나 이상의 비탄성 필름층을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비탄성의 네킹성 물질을 상기 비탄성 필름층에 부착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적층체를 제1 크기로 연신하여 상기 제1 크기에 수직인 크기로 적층체를 네킹하여, 상기 비탄성 필름 층에 상기 수직인 크기에 줄무늬 주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적층체의 하나 이상의 층을 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체 이송 물질의 제조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적층체의 형성에 앞서 상기 비탄성 필름층을 부분적으로연신하여 상기 필름층에 통기성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비탄성 필름층이 약 20 부피% 내지 약 45 부피%의 충전제를 함유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가 약 1000 g/m2/24 시간 이상의 WVTR을 갖는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이 원뿔형인 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를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단계가 접착제 결합, 열 결합, 또는 음파 웰딩을 포함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단계가 접착제 결합인 방법.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가 그 원래 길이의 약 1.2 내지 약 1.6 배 연신된 네킹된 적층체.
KR1020017007974A 1998-12-23 1999-12-22 비탄성 시트층의 횡방향 신장 및 수축가능한 네킹된적층체의 액체 이송 물질 KR1006251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373798P 1998-12-23 1998-12-23
US60/113,737 1998-12-23
US09/455,513 US6610383B1 (en) 1998-12-23 1999-12-06 Transversely extensible and retractable necked laminate of no-elastic sheet layers
US09/455,513 1999-12-06
US09/460,467 1999-12-14
US09/460,467 US6472045B1 (en) 1998-12-23 1999-12-14 Liquid transfer material of a transversely extensible and retractable necked laminate of non-elastic sheet lay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902A true KR20010099902A (ko) 2001-11-09
KR100625160B1 KR100625160B1 (ko) 2006-09-20

Family

ID=268114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7973A KR100625159B1 (ko) 1998-12-23 1999-12-21 비탄성 시트층의 횡방향 신장 및 수축가능한 네킹된 적층체
KR1020017007974A KR100625160B1 (ko) 1998-12-23 1999-12-22 비탄성 시트층의 횡방향 신장 및 수축가능한 네킹된적층체의 액체 이송 물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7973A KR100625159B1 (ko) 1998-12-23 1999-12-21 비탄성 시트층의 횡방향 신장 및 수축가능한 네킹된 적층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6610383B1 (ko)
EP (1) EP1140486B1 (ko)
JP (1) JP2002533243A (ko)
KR (2) KR100625159B1 (ko)
CN (1) CN1108920C (ko)
AR (2) AR021959A1 (ko)
AU (1) AU753483B2 (ko)
BR (1) BR9916411B1 (ko)
DE (1) DE69931659T2 (ko)
WO (1) WO20000389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3236B1 (en) * 2000-05-03 2003-01-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n extensible outer cover with activatable zoned breathability
US6552245B1 (en) * 2000-05-03 2003-04-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n extensible outer cover and an extensible bodyside liner
US6414217B1 (en) 2000-05-03 2002-07-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lateral breathability gradient in use
US6506186B1 (en) 2000-05-03 2003-01-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enhanced leg curvature in use
US6623837B2 (en) * 2000-12-27 2003-09-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iaxially extendible material
US6946413B2 (en) 2000-12-29 2005-09-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osite material with cloth-like feel
US20020123538A1 (en) * 2000-12-29 2002-09-05 Peiguang Zhou Hot-melt adhesive based on blend of amorphous and crystalline polymers for multilayer bonding
US6840928B2 (en) 2001-03-01 2005-01-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retch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zones of differential stretch
KR20040022235A (ko) * 2001-08-06 2004-03-11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통기성 필름
JP2003085910A (ja) * 2001-09-11 2003-03-20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ディスク記録媒体装置及び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US8715257B2 (en) * 2001-12-28 2014-05-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atio of absorbent area to outer peripheral area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US20030125696A1 (en) * 2001-12-31 2003-07-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ll direction stretchable multilayer diaper
US20050058818A1 (en) * 2003-09-12 2005-03-17 West D. David Laminated composite and process of making same
US20050136756A1 (en) * 2003-12-23 2005-06-23 Kocher Larry F. Laminated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050148968A1 (en) * 2003-12-30 2005-07-07 Schlinz Daniel R.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including a stretchable carrier layer
US8167861B2 (en) * 2003-12-31 2012-05-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garment with stretchable absorbent assembly
US20050148987A1 (en) * 2003-12-31 2005-07-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garment having a light framework and flexible waist closure
US7658732B2 (en) 2003-12-31 2010-02-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ual-layered disposable garment
US8246594B2 (en) 2004-04-30 2012-08-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bsorbent structure configured for improved donning and lateral stretch distribution
US7993319B2 (en) * 2004-04-30 2011-08-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bsorbent structure configured for improved donning of the article
US20050245162A1 (en) * 2004-04-30 2005-11-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ulti-capable elastic laminate process
US8377023B2 (en) 2004-06-30 2013-02-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garments with tailored stretch properties in the lateral direction
US8066685B2 (en) * 2004-06-30 2011-11-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retch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lateral and longitudinal stretch properties
US7858544B2 (en) 2004-09-10 2010-12-28 First Quality Nonwovens, Inc. Hydroengorged spunmelt nonwovens
US7608070B2 (en) * 2004-09-30 2009-10-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oam-based fasteners
US20060141888A1 (en) * 2004-12-23 2006-06-29 Morman Michael T Slit necked extendable laminat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7640637B2 (en) * 2005-11-01 2010-01-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s to modify the fibrous landing layer of a foam based fastener and products made from the same
US8491556B2 (en) 2005-12-15 2013-07-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garments with multipart liner having varied stretch properties
JP5144104B2 (ja) 2007-04-09 2013-02-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伸縮性複合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使い捨て着用物品
KR101039410B1 (ko) * 2008-04-23 2011-06-08 이철희 과수용 종이재의 급냉식 제조방법
US8434175B1 (en) 2009-08-11 2013-05-07 SS Imports, Inc. Nonwoven fabrics for bedding applications
US10639212B2 (en) 2010-08-20 2020-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and components thereof having improved softness signal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US8841507B2 (en) 2010-08-20 2014-09-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and components thereof having improved softness signal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WO2018093672A1 (en) * 2016-11-18 2018-05-24 Clopay Plastic Products Company, Inc. Breathable films having increased hydrostatic head pressure

Family Cites Families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1394A (en) 1966-12-21 1967-09-12 Du Pont Sheets of randomly distributed continuous filaments
US3679538A (en) 1970-10-28 1972-07-25 Celanese Corp Novel open-celled microporous film
US3843761A (en) 1973-05-30 1974-10-22 Celanese Corp Process for preparing a thermoplastic microporous film involving a cold stretching step and multiple hot stretching steps
US4110392A (en) 1976-12-17 1978-08-29 W. L. Gore & Associates, Inc. Production of porous sintered PTFE products
US4457254A (en) 1981-02-19 1984-07-03 Mobil Oil Corporation Film coating and biaxial orienting apparatus
US4443511A (en) 1982-11-19 1984-04-17 W. L. Gore & Associates, Inc. Elastomeric waterproof laminate
GB8328279D0 (en) 1983-10-22 1983-11-23 Smith & Nephew Res Polymer blend films
US4640859A (en) 1983-12-27 1987-02-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Inelastic, heat-elasticizable sheet material for diapers
US4655760A (en) 1985-07-30 1987-04-07 Kimberly-Clark Corporation Elasticized garme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720415A (en) 1985-07-30 1988-01-19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osite elastomeric material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US4663220A (en) 1985-07-30 1987-05-05 Kimberly-Clark Corporation Polyolefin-containing extrudabl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formation into elastomeric products including microfibers
US4789699A (en) 1986-10-15 1988-12-06 Kimberly-Clark Corporation Ambient temperature bondable elastomeric nonwoven web
US4758239A (en) 1986-10-31 1988-07-19 Kimberly-Clark Corporation Breathable barrier
US4833172A (en) 1987-04-24 1989-05-23 Ppg Industries, Inc. Stretched microporous material
US5238618A (en) 1987-09-14 1993-08-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for preparing oriented microporous film
US4833026A (en) 1987-10-08 1989-05-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Breathable, waterproof sheet material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4847134A (en) * 1987-12-22 1989-07-11 Kimberly-Clark Corporation Stretchable absorbent undergarment
US4892779A (en) 1988-03-18 1990-01-09 Ppg Industries, Inc. Multilayer article of microporous and substantially nonporous materials
US4880682A (en) 1988-03-22 1989-11-14 Exxon Chemical Patents Inc. Low gloss film and process of manufacture (FP 1323)
US4910064A (en) 1988-05-25 1990-03-20 Sabee Reinhardt N Stabilized continuous filament web
US4923650A (en) 1988-07-27 1990-05-08 Hercules Incorporated Breathable microporous film and methods for making it
US4965122A (en) 1988-09-23 1990-10-23 Kimberly-Clark Corporation Reversibly necked material
US5226992A (en) 1988-09-23 1993-07-13 Kimberly-Clark Corporation Process for forming a composite elastic necked-bonded material
US5514470A (en) 1988-09-23 1996-05-07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osite elastic necked-bonded material
US4975469A (en) 1989-03-20 1990-12-04 Amoco Corporation Oriented porous polypropylene films
US5116662A (en) 1989-12-15 1992-05-26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direction stretch composite elastic material
US5114781A (en) 1989-12-15 1992-05-19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direction stretch composite elastic material including a reversibly necked material
JP3007414B2 (ja) 1990-03-30 2000-02-07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微細模様付き皮層を有するエラストマー性テープ
US5176953A (en) 1990-12-21 1993-01-05 Amoco Corporation Oriented polymeric microporous films
US5143679A (en) 1991-02-28 1992-09-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sequentially stretching zero strain stretch laminate web to impart elasticity thereto without rupturing the web
US5385775A (en) 1991-12-09 1995-01-31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osite elastic material including an anisotropic elastic fibrous web and process to make the same
GB9201880D0 (en) 1992-01-29 1992-03-18 Rasmussen O B Laminated films
US5244482A (en) 1992-03-26 1993-09-14 The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Corporation Post-treatment of nonwoven webs
US5376430A (en) * 1992-06-19 1994-12-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astic film laminate
SE508961C2 (sv) 1992-11-17 1998-11-23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struktur och absorberande alster innehållande strukturen ifråga
DE4243012C2 (de) 1992-12-18 1997-09-11 Corovin Gmbh Mehrschichtiges elastisches Flächengebild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hrschichtigen elastischen Flächengebildes
CA2097630A1 (en) 1992-12-29 1994-06-30 Ann Louise Mccormack Stretch-pillowed, bulked laminate
US5382461B1 (en) 1993-03-12 1998-11-03 Clopay Plastic Prod Co Extrusion laminate of incrementally stretched nonwoven fibrous web and thermoplastic film and method
US5916663A (en) 1993-08-03 1999-06-29 Chappell; Charles W. Web materials exhibiting elastic-like behavior
CA2116081C (en) 1993-12-17 2005-07-26 Ann Louise Mccormack Breathable, cloth-like film/nonwoven composite
CA2136675C (en) 1993-12-17 2005-02-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iquid permeable, quilted film laminates
TW317850U (en) 1994-02-07 1997-10-11 Showa Denko Kk Liquid absorbing sheet
US5529830A (en) 1994-05-25 1996-06-25 W. L. Gore & Associates, Inc. Two-way stretchable fabric laminate and articles made from it
US5804286A (en) * 1995-11-22 1998-09-08 Fiberweb North America, Inc. Extensible composite nonwoven fabrics
US5773374A (en) 1995-04-24 1998-06-30 Wood; Leigh E. Composite materials and process
US5704101A (en) 1995-06-05 1998-01-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reped and/or apertured web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EP0846056A2 (en) 1995-06-30 1998-06-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 and film corrugated laminates
US5814390A (en) 1995-06-30 1998-09-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reased nonwoven web with stretch and recovery
US5846232A (en) * 1995-12-20 1998-12-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containing extensible zones
US5763041A (en) 1995-12-21 1998-06-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aminate material
US5779860A (en) 1996-12-17 1998-07-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igh-density absorbent structure
US5885908A (en) * 1996-10-04 1999-03-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Anisotropic elastic films
US5789065A (en) 1996-10-11 1998-08-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aminated fabric having cross-directional elasticit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5914184A (en) 1996-12-30 1999-06-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reathable laminate including filled film and continuous film
US5851937A (en) 1997-03-27 1998-12-22 Clopay Plastic Products Company, Inc. Cloth-like totally biodegradable and/or compostable composite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914084A (en) 1997-04-04 1999-06-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stabilized extensible nonwoven web
US6072005A (en) * 1997-10-31 2000-06-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reathable film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m
US6472045B1 (en) * 1998-12-23 2002-10-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iquid transfer material of a transversely extensible and retractable necked laminate of non-elastic sheet lay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38913A1 (en) 2000-07-06
US20040053010A1 (en) 2004-03-18
JP2002533243A (ja) 2002-10-08
KR100625159B1 (ko) 2006-09-20
AU2058800A (en) 2000-07-31
BR9916411A (pt) 2002-05-07
EP1140486A1 (en) 2001-10-10
EP1140486B1 (en) 2006-05-31
CN1108920C (zh) 2003-05-21
AR022012A1 (es) 2002-09-04
AR021959A1 (es) 2002-09-04
KR100625160B1 (ko) 2006-09-20
US6610383B1 (en) 2003-08-26
BR9916411B1 (pt) 2009-01-13
DE69931659T2 (de) 2006-09-21
CN1331630A (zh) 2002-01-16
AU753483B2 (en) 2002-10-17
KR20010099901A (ko) 2001-11-09
DE69931659D1 (de) 200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5160B1 (ko) 비탄성 시트층의 횡방향 신장 및 수축가능한 네킹된적층체의 액체 이송 물질
KR100625161B1 (ko) 탄성 물질층 및 비탄성 시트층의 횡방향 신장 및수축가능한 네킹된 적층체를 포함하는 연신 및 회복성을갖는 복합재
AU2002232581B2 (en) Biaxially extendible material
EP1556215B1 (en) Elastomeric film and laminates thereof
EP1572454B1 (en) Extensible laminate having improved stretch properti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EP1131204B1 (en) Nonwoven web and film laminate with improved tear strength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U2002232581A1 (en) Biaxially extendible material
US6472045B1 (en) Liquid transfer material of a transversely extensible and retractable necked laminate of non-elastic sheet layers
AU759778B2 (en) Liquid transfer material of a transversely extensible and retractable necked laminate of non-elastic sheet layers
MXPA01006565A (en) Liquid transfer material of a transversely extensible and retractable necked laminate of non-elastic sheet layers
MXPA01006563A (en) Transversely extensible and retractable necked laminate of non-elastic sheet layers
MXPA01006564A (en) Composite material having stretch and recovery including a layer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transversely extensible and retractable necked laminate of non-elastic sheet layers
ZA200104497B (en) Composite material having stretch and recovery including a layer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transversely extensible and retractable necked laminate of non-elastic sheet lay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