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7174A - 혼합수전 - Google Patents

혼합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7174A
KR20010097174A KR1020000021013A KR20000021013A KR20010097174A KR 20010097174 A KR20010097174 A KR 20010097174A KR 1020000021013 A KR1020000021013 A KR 1020000021013A KR 20000021013 A KR20000021013 A KR 20000021013A KR 20010097174 A KR20010097174 A KR 20010097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pening
cold
hot water
movab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1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0589B1 (ko
Inventor
이상국
Original Assignee
이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국 filed Critical 이상국
Priority to KR1020000021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0589B1/ko
Publication of KR20010097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7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5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 E05B65/46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for two or more drawers
    • E05B65/463Drawer interlock or anti-tilt mechanisms, i.e. when one drawer is open,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drawers is locked

Landscapes

  • Multiple-Way Valv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수와 온수는 물론 이를 혼합하여 토출시키는 혼합수전에 관한 것으로, 개폐레버 자체로서 토출구를 겸용으로 사용토록 그 구조를 간소화시키고, 개폐레버 좌,우 회전변위에 따른 급수 토출방향과 상관없이 설정되어진 냉,온수의 혼합비율로서 일정하게 토출되도록 하며, 개폐레버의 상,하 개폐동작을 단계적으로 제어하여 토출량을 조절함으로서 불필요한 토출수 낭비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폐레버 조작 여부에 따라 토출하는 혼합수를 개폐레버 자체로서 토출되도록 개폐레버와 토출구를 겸용으로 사용토록하여 구조를 간소화시키고, 개폐레버의 회전변위에 상관없이 몸체에 설치된 회전링을 조작하여 설정된 혼합비율로서 정확하게 토출수가 급수되도록 하여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토수겸용 개폐레버 하부에 단계적으로 동작하는 다수의 혼합수 토출량 제어부재를 내설하여 개폐레버를 상,하방향으로 개폐동작시킬때, 소리와 탄압력을 촉감으로 감지하여 토출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토록 하고, 개폐레버를 통해 토출하는 급수의 토출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정토록 함으로서 비교적 원거리에서 토출을 필요로 하는 싱크대와 같은 물품에도 호환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혼합수전{Mixed bibcock}
본 발명은 세면기나 욕조등에 설치되면서도 냉수배관과 온수배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냉수와 온수는 물론 이를 혼합하여 토출시키는 혼합수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레버 자체로서 토출구를 겸용으로 사용토록 그 구조를 간소화시키고, 개폐레버 좌,우 회전변위에 따른 급수 토출방향과 상관없이 설정되어진 냉,온수의 혼합비율로서 일정하게 토출되도록 하며, 개폐레버의 상,하개폐동작을 단계적으로 제어하여 토출량을 조절함으로서 불필요한 토출수 낭비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장의 세면기나 욕조 또는 싱크대등에는 수도배관과 연결되어 물을 토출시키는 수도밸브가 필연적으로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수도밸브중에서도 근래에는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배관과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배관이 동시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냉수,온수 또는 이의 혼합수를 토출시키도록 하는 냉,온수 혼합수전이 대부분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냉,온수 혼합수전은 여러종류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실제로 널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일례를 도 1과 도 2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일측으로 관 형태의 토출구(1a)가 일정 길이로서 돌출되며 냉,온수를 공급받는 몸체(1)를 구성하고, 상기 몸체 상부에는 냉,온수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분리 또는 혼합하여 급수시키거나 혼합수의 토출량을 제어토록 하는 개폐레버(2)가 구비되어 있고, 몸체의 하부에는 냉수공급관(4)과 온수공급관(5)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구(3)가 구비되어있다.
그리고 몸체(1) 내부에는 개폐레버의 상,하 개폐조작에 의해 혼합수를 급수하거나 차단하며, 개폐레버의 좌,우 회전조작에 의해 급수온도를 조절하는 급수전환밸브(10)가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급수전환밸브(10)는 도 3과 같이 바닥면에 냉수유입구(11a),온수유입구(11b) 및 혼합배수구(11c)를 형성하고, 이들(냉수유입구,온수유입 및 혼합배수구)의 외곽으로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11d)이 바닥면에 요입되어 설치되어진 원통형 밸브케이스(11)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밸브케이스 바닥면에 얹혀지데, 이 또한 상기 밸브케이스의 냉수유입구,온수유입 및 혼합배수구와 연통하는 냉수유입구(12a)와 온수유입구(12b) 및 혼합배수구(12c)를 형성한 원판 형태의 세라믹재 고정 판밸브(12)를 마련하고, 상기 고정 판밸브 상면에는 냉,온수 혼합구멍(13a)을 갖는 세라믹재 가동 판밸브(13)를 설치하며, 이때 고정 판밸브와 가동 판밸브의 면접부위에 윤활제와 같은 점액성 물질을 도포하여 상호 긴밀하게 밀착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하단부에 형성되어진 결합돌편(14a)이 가동 판밸브의 외측 홈(13b)에 삽입 고정하여 가동 판밸브와 일체로 동작하는 가동판(14)을 마련하는 한편, 상기 가동판 중앙부위에 형성된 요홈(14b)에는 작동레버(15)의 하단이 삽입 되어지며, 상기 작동레버는 핀(17)에 의해 작동레버 지지캡(16) 내측에 유설되어지고, 작동레버 상부가 볼트(18)로서 개폐레버에 고정되어 개폐레버(2) 동작에 따라 연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혼합수전에 있어 개폐레버(2)를 업다운 방식으로 위로 올려주거나 내려주면, 볼트로서 상기 개폐레버(2)와 연동하도록 상면이 고정되어진작동레버(15)가 핀을 기준으로 지지캡으로부터 유동하면서 가동판(14) 또한 유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한 가동판과 함께 연동하는 냉,온수 혼합구멍(13a)을 갖는 가동 판밸브(13)가 고정 판밸브의 상면에서 밀착한 상태로 슬라이딩 위치 변위하면서 중앙에 형성되어진 냉,온수 혼합구멍이 고정 판밸브의 냉수유입구(12a) 혹은 온수유입구(12b)와 연통하면서 냉수나 온수 또는 이의 혼합수가 유입되고, 유입되어진 혼합수는 재차 냉,온수 혼합구멍을 통해 고정 판밸브 일측과 밸브케이스 바닥면에 마련되어진 혼합배수구(11c)(12c)를 거쳐 최종적으로 몸체 일측의 토출구(1a)로 토출되어 지는 것이다.
아울러, 개폐레버(2)를 좌,우로 회전시키면 순차적으로 작동레버(15)와 가동판(14) 그리고 가동 판밸브(13)가 제자리에서 회전하면서 고정 판밸브에 형성된 냉수유입구 혹은 온수유입구와 가동 판밸브의 냉,온수 혼합구멍(13a)과의 개방면적을 선택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되도록 하여 유입되는 온수 또는 냉수의 량을 임의 조절하도록 하고있다.
그러나, 상기한 통상의 혼합수전은 내부의 구조가 복잡하여 작업라인에서의 조립 효율이 저해되고, 토출구와 개폐레버가 각기 분리형으로서 어셈블리함에 따른 생산원가와 부속비용 상승에 의한 원가상승을 초래하였으며, 복잡한 구조에 의한 고장발생은 물론 오동작이 우려되는 것이다.
한편, 개페레버를 업다운 방식으로 상,하 개폐동작시켜 급수를 공급받는 과정에서 개폐레버를 좌측이나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냉수 또는 온수 및 이의 혼합비율을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으로, 설정된 위치에서 개폐레버가 위치변위하면 설정된 냉,온수 혼합비율이 달라져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급수를 토출시킬 수 없어 세면중에 뜨거운 온수 토출로 인한 불의의 화상을 입을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사용자가 감각적으로 개폐레버를 상,하 방향으로 올리고 내리면서 토수량을 조절하고 있어 필요한 만큼의 적정한 토수량을 감지하기 난해하여 불필요한 급수 낭비를 피하기 힘든 것은 물론, 토출수의 토출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없어 비교적 원거리로 토출수를 토출시켜야 하는 싱크대와 같은 물품에 호환적으로 장착하여 편리하게 사용하기 힘든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냉수 및 온수 또는 이들을 혼합한 혼합수를 급수하거나 차단하는 개폐레버에 있어 개폐레버 조작 여부에 따라 토출하는 혼합수를 개폐레버 자체로서 토출되도록 개폐레버와 토출구를 겸용으로 사용토록하여 구조를 간소화시키고, 작업라인에서의 조립 효율을 높이며, 부품수 절감에 따른 생산원가를 낮추는 것은 물론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함에 있다.
본 발명은 또, 토출수가 급수되는 상태에서 개폐레버를 좌,우측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냉수 및 온수 또는 이의 혼합수가 설정된 혼합비율로서 정확하게 급수되도록 하여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킴에있다.
본 발명은 또, 토수겸용 개폐레버 하부에 단계적으로 동작하는 다수의 혼합수 토출량 제어부재를 내설하여 개폐레버를 상,하방향으로 개폐동작시킬때, 소리와 탄압력을 촉감으로 감지하여 토출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함으로서 불필요한 급수 낭비를 방지함에 있다.
본 발명은 또, 개폐레버를 통해 토출하는 급수의 토출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정토록 함으로서 비교적 원거리에서 토출을 필요로 하는 싱크대와 같은 물품에도 호환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편리성을 가일층 향상시켜 신뢰성을 높이도록 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혼합수전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혼합수전 내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급수전환밸브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종단면 예시도.
도 6은 A-A'선 단면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동작상태에 따라 혼합수가 토출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수 혼합량 조절부재 평면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냉,온수 혼합량 조절부재 동작도로서, 냉수의 량을 최대한으로 조절한 상태도.
도 11은 도 9의 동작도로서, 온수의 량을 최대한으로 조절한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수겸용 개폐레버 저면도.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수 토수 제어부재의 1단계 동작상태 예시도.
도 13B는 혼합수 토수 제어부재의 2단계 동작상태 예시도.
도 13C는 혼합수 토수 제어부재의 3단계 동작상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절개 정면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몸체, 101 - 단턱부위,
105a,111 - 냉수유입구, 105b,112 - 온수유입구,
110 - 고정 판밸브, 120 - 가동 판밸브,
130 - 가동판, 134 - 핀 삽입홈,
140 - 연결부재, 141 - 볼,
143 - 밀침돌부, 150 - 하부 볼 지지캡,
160 - 상부 볼 지지캡, 170 - 회전링,
180 - 토수겸용 개폐밸브, 190 - 토수량 제어부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은, 중앙을 기준으로 상,하부를 단턱지게 구성하고, 상단부 내,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한편, 요입부 바닥면에 각각 냉,온수배관과 연결되어진 냉,온수유입구를 천공하여서 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안치하여 고정되며, 바닥면의 냉,온수유입구와 연통하는 냉,온수유입구를 천공하여서 된 고정 판밸브와; 상기 고정 판밸브의 상면에 밀착접면하여 슬라이딩 동작하고, 상면에 고정 판밸브의 냉,온수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차단하면서 냉,온수 또는 이의 혼합수를 공급받는 혼합구멍을 천공하여서 된 가동 판밸브와; 상기 가동 판밸브의 혼합구멍과 연통하는 입수공을 천공한 요입홈을 갖으며, 가동 판밸브와 함께 유동하는 가동판과; 구형의 볼을 기준으로 그 상부에는 외주면에 환형의 고정링이 개재되고 내부에 수로가 형성된 토수겸용 개폐레버의 끼움요입부에 끼움되는 끼움돌부를 형성하고, 볼을 기준으로 그 하부에는 가동판의 요입홈에 삽입되어 가동판을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밀침돌부가 돌출되어지며,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연통하는 수로를 내부에 형성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밀침돌부가 끼워지는 삽입공을 중앙에 형성하고, 연결부재의 볼 하반부를 지지 접면하도록 삽입공 내면을 만곡지게 형성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몸체 상단부 내면에 나사체결하는 하부 볼 지지캡과; 연결부재의 끼움돌부가 끼워지는 삽입공을 중앙에 형성하고, 연결부재의 볼 상반부를 지지 접면하도록 삽입공 내면을 만곡지게 형성하며, 하단 플랜지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몸체의 상단부 외주면에 나사체결하는 상부 볼 지지캡과;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가동판을 제자리에서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 냉,온수의 혼합량을 조절하는 냉,온수 혼합량 조절부재와; 상기 토수겸용 개폐레버의 하부에 하향돌출하도록 설치하여 토수겸용 개폐레버의 상,하 개폐동작에 따른 상부 볼 지지캡 상면에 단계적으로 눌려지면서 토출수의 량을 소리와 탄압에 따른 촉감으로 감지 제어토록 하는 혼합수 토수량 제어부재; 등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의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종단면 예시도로서, 부호 A 는 혼합수전을 표시하고 있다.
이의 혼합수전(A)은 세면대 및 욕조등의 상판 소정위치에 끼워져 와셔(107)와 너트(108)로서 체결고정되며, 중앙을 기준으로 상,하부를 단턱지게(101) 구성하고, 상단부 내,외주면에 각각 나사산(102)(103)을 형성하는 한편, 요입부(104) 바닥면(105)에 각각 냉,온수배관(4)(5)과 연결되어진 냉,온수유입구(105a)(105b)를 형성하여서 된 몸체(100)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는 원판형태의 세락믹재로 구성된 고정 판밸브(110)를 안치하여 고정하데, 이러한 고정 판밸브는 바닥면의 냉,온수유입구와 연통하는 냉,온수유입구(111)(112)를 천공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 판밸브의 상면에 점액성 윤활유를 도포하여 밀착접면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동작하고, 상면에 고정 판밸브의 냉,온수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차단하면서 냉,온수 또는 이의 혼합수를 공급받는 혼합구멍(121)을 천공하며, 외곽 단부에 홈(122)이 적어도 2개이상 형성되어진 가동 판밸브(120)를 마련한다.
상기 가동 판밸브는 고정 판밸브의 상면에서 양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유동하기에 적합하도록 고정 판밸브 보다 작게 제작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동 판밸브의 홈에 요입하는 결합돌편(133)을 하단부 외주상에 다수 형성하고 가동 판밸브의 혼합구멍과 연통하는 입수공(132)을 천공한요입홈(131)을 갖는 가동판(130)을 구성하며, 구형의 볼(141)을 기준으로 그 상부에는 외주면에 환형의 고정링(144)이 개재되고 내부에 수로(182)가 형성된 토수겸용 개폐레버(180)의 끼움요입부(181)에 끼움되는 끼움돌부(142)를 형성하고, 볼을 기준으로 그 하부에는 가동판의 요입홈(131)에 삽입되어 가동판을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밀침돌부(143)가 돌출되어지며, 끼움돌부 상부에서부터 밀침돌부 하부까지 연통하는 수로(145)를 내부에 형성한 연결부재(140)를 마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밀침돌부가 끼워지는 삽입공(151)을 중앙에 형성하고, 연결부재의 볼(141) 하반부를 지지 접면하도록 삽입공 내면을 만곡지게 형성하며, 외주면에 나사산(152)을 형성하여 몸체의 상단부 내주면에 마련된 나사산(102)에 나사체결하는 하부 볼 지지캡(150)을 구성하고, 연결부재의 끼움돌부(142)가 끼워지는 삽입공(161)을 중앙에 형성하고, 연결부재의 볼 상반부를 지지 접면하도록 삽입공 내면을 만곡지게 형성하며, 하단 플랜지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몸체(100)의 상단부 외주면에 나사체결하는 상부 볼 지지캡(160)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 볼 지지캡에 있어 연결부재의 볼과 접면하는 위치와 가동판의 상면에 면접하는 위치상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다수의 패킹(153)을 적소에 개재한다.
또,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가동판을 제자리에서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 냉,온수의 혼합량을 조절하는 냉,온수 혼합량 조절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토수겸용 개폐레버의 하부에 하향돌출하도록 내설되어 토수겸용 개폐레버(180)의 상,하 개폐동작에 따른 냉,온 혼합수 량을 단계적으로 소리와 탄압에 따른 촉감으로 감지토록 하는 토수량 제어부재(190)를 구비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 상기 냉,온수 혼합량 조절부재는 몸체의 단턱부위(101)에 얹혀지도록 끼워진 회전링(170)의 제자리 회전동작에 따라 그 회전력을 가동판(130)에 전달하여 가동판을 회전시키는 연결핀(172)을 마련하고, 상기 연결핀의 일측을 요입하는 핀 삽입홈(134)을 가동판 측면에 형성하며 연결핀의 타측은 회전링에 형성되어진 핀공(171)에 나사체결로서 고정하여 회전링의 회전력을 가동판에 전달토록 하는 한편, 몸체 상부에는 상기 연결핀이 끼워져 자유롭게 작동하는 장공(106)을 형성한다.
도 13A, 13B, 13C는 토수량 제어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의 토수량 제어부재(190)는 토수겸용 개폐레버(180)의 하부에 복수개의 수납공간부(183)(184)(185)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공간부 내부에 나사체결로서 착탈이 자유롭도록 설치되며 중앙으로 요입공(191a)(192a)(193a)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요입공 일측 내면에 홈(191b)(192b)(193b)을 형성한 걸림링(191)(192)(193)을 마련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링의 요입공에 요입되어 출입하며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197a)(198a)(199a)에 의해 걸림링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고 수납공간부 내부에 개재된 압축스프링(194)(195)(196)으로부터 탄동하는 한편, 수평상태로 관통되어진 설치공(197b)(198b)(199b) 내부에 스프링(197c)(198c)(199c)의 탄압에 따라 일측으로 탄동한 상태에서 걸림링 요입공 내주면의 홈에 선택적으로 요입 탄지하는 볼(197d)(198d)(199d)을 내설한 눌름봉(197)(198)(199)을 복수개로 구성한다.
상기 눌름봉(197)(198)(199)은 토수겸용 개폐레버의 상,하 개폐동작시 상부 볼 지지캡(160)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접면하여 눌려지도록 다수의 눌름봉 길이를 일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짧게 형성하는 것이다.
첨부도면의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절개 정면예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토수겸용 개폐레버의 본체(180) 선단부에 나사체결로서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내부에 수로(201)를 형성하고 수로 일측에 걸림환턱(202)을 형성한 고정형 토출분기관(20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형 토출분기관의 수로 내부에 개재되어 출몰하데, 고정형 토출분기관의 걸림환턱(202)에 걸려 빠지지 않으며 패킹이 외주면에 개재된 플랜지(204)(207)를 일측에 형성하는 한편, 이 또한 내부에 수로(205)(208)를 형성한 유동형 토출분기관(203)(206)을 각기 직경을 다르게 복수개로 제작하여 상호 내부 수로에서 슬라이딩 출몰하도록 끼워져 필요에 따라 전방으로 인출하여 토출수의 토출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정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9 는 몸체 바닥면과 고정 판밸브의 냉수유입구,온수유입구의 접면부위에 위치한 바닥면 내부에 요입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냉,온수배관(4)(5)과 연결되어진 몸체 바닥면의 냉수유입구(105a)와 온수유입구(105b) 상면에 얹혀져 연통하는 냉,온수유입구(111)(112)를 갖는 고정 판밸브(110)를 몸체의 요입부(104)로부터 넣고, 고정 판밸브 상면에 점액성 윤활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가동 판밸브(120)가 밀접하여 슬라이딩 하도록 얹혀주며, 이때 가동 판밸브의 혼합구멍(121)이 도 5,도 6과 같이 고정 판밸브의 냉,온수유입구(105a)(105b)와 연통하지 않고 차단하도록 위치되는 것이다.
그런다음 상기한 가동 판밸브(120)의 외곽에 마련된 홈에 가동판 하단 외주연에 하향돌출되어진 결합돌편을 요입 체결함으로서, 가동판(130)과 가동 판밸브(120)가 함께 움직이도록 하고, 하부 볼 지지캡(150)의 삽입공(151)을 연결부재의 볼 하반부에 접면하도록 끼운 상태에서 몸체 상단 내주면의 나사산(102)으로부터 상기 하부 볼 지지캡을 나사체결하며, 이때 상기한 밀침돌부(143)가 가동판의 요입홈(131)에 요입되어지는 것이다.
이후 상부 볼 지지캡의 삽입공(161)을 연결부재의 볼(141) 상반부에 접면하도록 삽입설치한 상태에서 몸체 상단 외주면에 마련된 나사산(103)에 상부 볼 지지캡을 나사체결한 다음 연결부재의 끼움돌부(142)를 토수겸용 개폐레버의 끼움요입부(181)에 원터치로 끼워주며, 이때 끼움돌부에 개재되어진 고정링(144)을 이용하여 끼움돌부가 토수겸용 개폐레버(180)로부터 자유롭게 회전하면서도 빠지지는 않고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되어진 혼합수전(A)은 토수겸용 개폐레버의 개폐동작에 따라 냉수 및 온수 또는 이의 혼합수를 토출하게 되고, 몸체에 설치되어진 회전링(170)의 회전동작에 따라 냉,온수의 혼합량을 조절하게 되며, 토수겸용 개폐레버의 상,하 개폐동작에 따른 토출수의 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이러한 일련의 동작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컨데, 토수겸용 개폐레버(180)를 도 7과 같이 상방향으로 올리면 개폐레버의 하부에 체결되어진 연결부재(140)가 볼(141)을 기준하여 하측의 밀침돌부(143)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때 밀침돌부를 수납하고 있는 가동판(130)이 밀침돌부의 이동거리만큼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결국에는 가동판과 연동하는 가동 판밸브(120)가 고정 판밸브 상면에서 밀착접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가동 판밸브의 혼합구멍(121)과 고정 판밸브의 냉,온수유입구(111)(112)가 상호 도 8과 같이 연통함으로서 순간적으로 냉,온 혼합수가 고정 판밸브의 혼합구멍으로부터 유입되어 순차적으로 가동판의 입수공(132)과 연결부재의 내부 수로(145)를 거쳐 최종적으로 토수겸용 개폐레버의 내부 수로(182)를 따라 외부로 토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토출되는 토출수의 냉,온수 혼합비율은 도면을 기준으로 할때 냉수와 온수가 1:1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냉,온수 혼합량 조절부재를 이용하여 혼합비율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으로, 이의 동작상태를 도 9,도 10, 도 11을 토대로 설명한다.
즉, 몸체의 단턱부(101)에 얹혀지도록 설치되어진 회전링(170)을 사용자가 소망하는 방향, 예컨데 고정 판밸브의 냉수유입구(111)와 온수유입구(112)를 기준으로할때 가동 판밸브의 혼합구멍(121)이 선택적으로 이들과 연통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시켜주며, 회전링의 핀공(171)에 나사체결되어진 연결핀(172) 또한 몸체의 장공으로부터 자유롭게 이동함과 동시에 연결핀 일단이 요입되어진 가동판(130)을 회전링의 회전거리만큼 제자리에서 회전시켜준다.
이와 같이 회전하는 가동판과 함께 움직이는 가동 판밸브(120) 또한 제자리에서 회전하면서 상면의 혼합구멍(121)이 고정 판밸브의 냉,온수유입구(111)(112)에 선택적으로 연통하도록 개방됨으로서, 토출겸용 개폐레버의 회전변위에 상관없이 설정되어진 냉,온수의 토출 혼합비를 항시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토수량 제어부재를 이용한 토출수의 토출량을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작용상태를 설명한다.
예컨데, 토수겸용 개폐레버(180)를 상측방향으로 올려 토출수를 토출함에 있어, 사용자가 토수겸용 개폐레버(180)를 잡고 위로 올리는 과정중에 일차적으로 토수겸용 개폐레버 하부의 수납공간부(183)(184)(185)에 내설되어 압축스프링으로부터 탄동하는 복수개의 눌름봉(197)(198)(199)중 그 길이가 가장길게 설정되어진 눌름봉(197)이 우선적으로 상부 볼 지지캡(160)의 상면에 눌려지면서 도 13A와 같이 걸림링(191)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던 설치공 내부의 볼(197d)이 걸림링 요입공의 내측 홈(191b)에 탄지상태로 요입하면서 금속재질로 구성된 볼과 걸림링의 충격소음과 함께 수납공간부 내부의 압축스프링 압축력을 촉감으로서 인지하여 개페레버(180)의 개폐 거리를 1단계로 조절하며, 이때에 가동 판밸브의 혼합구멍(121)과 고정 판밸브의 냉,온수유입구(111)(112)가 상호 좁게 개방되도록 하여 토수량을 줄이는 것이다.
그후 연이어서 개폐레버(180)를 상측으로 올려주면, 중간 길이로 설정된 다른 눌름봉(198)이 상부 볼 지지캡(160)에 눌려주면서 도 13B와 같이 눌름봉 설치공에 스프링으로서 탄동하는 볼(198d)이 걸림링의 요입공 내면의 홈(192b)에 요입되면서, 개폐레버의 개폐 거리를 2단계로 조절하는 것이다.
이때, 걸림링의 요입공 내면 홈에 요입되어 있던 가장 긴 길이로 설정된 눌름봉(197)의 볼이 홈(191b)으로부터 빠져나와 수납공간부(183)로 노출함과 동시에 압축스프링(194)이 더욱 압축되는 것이다.
그런다음 최종적으로 개폐레버(180)를 상측으로 완전하게 올려주며, 가장 짧은 길이로 설정되어진 또 다른 눌름봉(199)이 상부 볼 지지캡(160)의 상면에 눌려지면서 도 13C와 같이 이 또한 눌름봉의 설치공내에 개재되어진 볼(199d)이 걸림링의 요입공 내면 홈(193b)에 요입되면서, 개폐레버의 개폐 거리를 3단계로 조절하는 것이다.
이때, 걸림링(192)의 요입공 내면 홈에 요입되어 있던 중간 길이로 설정된 눌름봉(198)의 볼이 홈으로부터 빠져나와 가장 긴 길이로 설정된 눌름봉고 마찬가지로 수납공간부(184)내에 노출함과 동시에 압축스프링(195)이 더욱 압축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다단계로 개폐레버의 개폐거리를 조정하여 토출수의 토출량을 사용자가 정확하게 인식하여 사용할 수 있어 절수의 효과를 얻는 것이다.
아울러, 상측으로 올려진 개폐레버를 원래의 위치로 내려주면, 상기한 다수의 눌름봉이 수납공간부 내부의 압축스프링 복귀력에 따라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혼합수전을 싱크대와 같은 물품에 장착하여 토수거리를 비교적 원거리로 토출시키고자 할때는, 도 14와 같이 토수겸용 개폐레버의 본체(180)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어진 고정 토출분기관(200)과 그 내부의 수로(201)에 슬라이딩 이동하여 출몰하는 유동형 토출분기관(203)(206)을 통해 토출수의 토출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정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고정형 토출분기관의 수로(201) 내부에 슬라이딩 출몰하도록 요입 설치되어진 다수의 유동형 토출분기관(203)(206)을 사용자가 잡고 전방으로 잡아당겨 인출하며, 이때 유동형 토출분기관의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204)(207)가 고정형 토출분기관의 선단부에 마련된 걸림환턱(202)에 걸려 더이상 빠지지는 않는 상태로서복수개의 유동형 토출분기관을 선택적으로 인출하여 토출수의 토출거리를 자유롭게 조정함으로서 싱크대와 같이 비교적 원거리로서 토출수를 토출하고자 할때 유용하게 적용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되어진 본 발명은 냉수 및 온수 또는 이들을 혼합한 혼합수를 급수하거나 차단하는 개폐레버에 있어 개폐레버 조작 여부에 따라 토출하는 혼합수를 개폐레버 자체로서 토출되도록 개폐레버와 토출구를 겸용으로 사용토록하여 구조를 간소화시키고, 작업라인에서의 조립 효율을 높이며, 부품수 절감에 따른 생산원가를 낮추는 것은 물론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있으며, 토출수가 급수되는 상태에서 개폐레버를 좌,우측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냉수 및 온수 또는 이의 혼합수가 설정된 혼합비율로서 정확하게 급수되도록 하여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토수겸용 개폐레버 하부에 단계적으로 동작하는 다수의 혼합수 토출량 제어부재를 내설하여 개폐레버를 상,하방향으로 개폐동작시킬때, 소리와 탄압력을 촉감으로 감지하여 토출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함으로서 불필요한 급수 낭비를 방지하는 것은 물론, 개폐레버를 통해 토출하는 급수의 토출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정토록 함으로서 비교적 원거리에서 토출을 필요로 하는 싱크대와 같은 물품에도 호환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편리성을 가일층 향상시켜 신뢰성을 높이는 다양한 효과를 얻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중앙을 기준으로 상,하부를 단턱지게(101) 구성하고, 상단부 내,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한편, 요입부(104) 바닥면(105)에 각각 냉,온수배관과 연결되어진 냉,온수유입구(105a)(105b)를 천공하여서 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안치하여 고정되며, 바닥면의 냉,온수유입구와 연통하는 냉,온수유입구(111)(112)를 천공하여서 된 고정 판밸브(110)와; 상기 고정 판밸브의 상면에 밀착접면하여 슬라이딩 동작하고, 상면에 고정 판밸브의 냉,온수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차단하면서 냉,온수 또는 이의 혼합수를 공급받는 혼합구멍(121)을 천공하여서 된 가동 판밸브(120)와;
    상기 가동 판밸브의 혼합구멍과 연통하는 입수공(132)을 천공한 요입홈(131)을 갖으며, 가동 판밸브와 함께 유동하는 가동판(130)과; 구형의 볼(141)을 기준으로 그 상부에는 외주면에 환형의 고정링이 개재되고 내부에 수로(182)가 형성된 토수겸용 개폐레버(180)의 끼움요입부(181)에 끼움되는 끼움돌부(142)를 형성하고, 볼(141)을 기준으로 그 하부에는 가동판의 요입홈(131)에 삽입되어 가동판을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밀침돌부(143)가 돌출되어지며,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연통하는 수로(145)를 내부에 형성한 연결부재(140)와;
    상기 연결부재의 밀침돌부가 끼워지는 삽입공(151)을 중앙에 형성하고, 연결부재의 볼 하반부를 지지 접면하도록 삽입공 내면을 만곡지게 형성하며, 외주면에 나사산(152)을 형성하여 몸체 상단부 내면에 나사체결하는 하부 볼 지지캡(150)과; 연결부재의 끼움돌부가 끼워지는 삽입공(161)을 중앙에 형성하고, 연결부재의 볼(141) 상반부를 지지 접면하도록 삽입공 내면을 만곡지게 형성하며, 하단 플랜지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몸체의 상단부 외주면에 나사체결하는 상부 볼 지지캡(160)과;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가동판을 제자리에서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 냉,온수의 혼합량을 조절하는 냉,온수 혼합량 조절부재와; 상기 토수겸용 개폐레버(180)의 하부에 하향돌출하도록 설치하여 토수겸용 개폐레버의 상,하 개폐동작에 따른 상부 볼 지지캡(160) 상면에 단계적으로 눌려지면서 토출수의 량을 소리와 탄압에 따른 촉감으로 감지 제어토록 하는 토수량 제어부재(190); 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수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수 혼합량 조절부재는 몸체의 단턱부위(101)에 얹혀지도록 끼워진 회전링(170)의 제자리 회전동작에 따라 그 회전력을 가동판에 전달하여 가동판(130)을 회전시키는 연결핀(172)을 마련하고, 상기 연결핀의 일측을 요입하는 핀 삽입홈(134)을 가동판 측면에 형성하며 연결핀의 타측은 회전링의 핀공(171)에 나사체결로서 고정하여 회전링의 회전력을 가동판에 전달토록 하는 한편, 몸체 상부에는 상기 연결핀이 끼워져 자유롭게 작동하는 장공(106)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수전.
  3. 제 1 항에 있어서, 토수량 제어부재는 토수겸용 개폐레버(180)의 하부에 복수개의 수납공간부(183)(184)(185)를 형성하고, 상기 수납공간부에 착탈이 자유롭도록 설치되며 중앙으로 요입공(191a)(192a)(193a)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요입공 일측 내면에 홈(191b)(192b)(193b)을 형성한 걸림링(191)(192)(193)을 마련하며, 상기 걸림링의 요입공에 요입되어 출입하며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에 의해 걸림링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고 수납공간부 내부에 개재된 압축스프링(194)(195)(196)으로부터 탄동하는 한편, 수평상태로 관통되어진 설치공(197b)(198b)(199b) 내부에 스프링(197c)(198c)(199c)의 탄압에 따라 일측으로 탄동한 상태에서 걸림링 요입공 내주면의 홈에 선택적으로 요입 탄지하는 볼(197d)(198d)(199d)을 내설한 눌름봉(197)(198)(199)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수전.
  4. 제 3 항에 있어서, 토수겸용 개폐레버의 상,하 개폐동작시 상부 볼 지지캡(160)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접면하여 눌려지도록 다수의 눌름봉(197)(198)(199) 길이를 일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짧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수전.
  5. 제 1 항에 있어서, 토수겸용 개폐레버의 본체(180) 선단부에 나사체결로서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내부에 수로(201)를 형성하고 수로 일측에 걸림환턱(202)을 형성한 고정형 토출분기관(200)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형 토출분기관의 수로 내부에 개재되어 출몰하데, 고정형 토출분기관의 걸림환턱에 걸려 빠지지 않으며 패킹이 외주면에 개재된 플랜지(204)(207)를 일측에 형성하는 한편, 이 또한 내부에 수로(205)(208)를 형성한 유동형 토출분기관(203)(206)을 각기 직경을 다르게 복수개로 제작하여 상호 내부 수로에서 슬라이딩 출몰하도록 끼워져 필요에 따라 전방으로 인출하여 토출수의 토출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정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수전.
KR1020000021013A 2000-04-20 2000-04-20 혼합수전 KR100330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013A KR100330589B1 (ko) 2000-04-20 2000-04-20 혼합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013A KR100330589B1 (ko) 2000-04-20 2000-04-20 혼합수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258U Division KR200197306Y1 (ko) 2000-04-20 2000-04-20 혼합수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174A true KR20010097174A (ko) 2001-11-08
KR100330589B1 KR100330589B1 (ko) 2002-03-29

Family

ID=19665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013A KR100330589B1 (ko) 2000-04-20 2000-04-20 혼합수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05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514B1 (ko) * 2012-03-29 2013-11-01 (주)프로텍메디칼 수전금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264B1 (ko) 2013-05-31 2015-02-26 김종구 싱글레버용 수도밸브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2726U (ko) * 1973-11-30 1975-07-16
KR0130636Y1 (ko) * 1995-02-10 1998-12-01 김윤규 수도꼭지
KR970046751A (ko) * 1995-12-22 1997-07-26 박희주 개폐 및 수량, 출수구 조절과 순간 출수 기능을 겸한 다기능 절수꼭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514B1 (ko) * 2012-03-29 2013-11-01 (주)프로텍메디칼 수전금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0589B1 (ko) 200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0123A (en) Ball-type faucet
US9950327B2 (en) Waterway switching device and a shower head including the device
US5813436A (en) Faucet device
US11639597B2 (en) Multifunctional water outlet device
KR100330589B1 (ko) 혼합수전
KR200197306Y1 (ko) 혼합수전
KR100278822B1 (ko) 샤워기용 절수장치
US5290008A (en) Discharge controlling device for faucets
US5288053A (en) Discharge controlling device for faucets
KR200231085Y1 (ko) 혼합수전용 냉,온수 토출량 제어부재
US6393626B1 (en) Dual-acting plunger
JP2003144983A (ja) 吐水ノズル
JPH038940A (ja) 泡沫吐水口
KR200229553Y1 (ko) 공압 발판을 갖춘 절수형 급수장치
WO2021215136A1 (ja) 水栓
KR20090008310U (ko) 유량 및 온도의 다단 조절기능을 갖는 밸브
KR200236059Y1 (ko) 밸브의 절수장치
JP2003328408A (ja) 原水・処理水切替吐出装置
CN219866399U (zh) 一种双头水龙头
JP2000154565A (ja) 止水機能付き吐水ヘッド
KR19990033632U (ko) 샤워기용자동절수장치
KR100341351B1 (ko) 절수형 세면기
KR200234070Y1 (ko) 이중 토출기능을 갖는 수도전용 절수식 토출장치
KR200444965Y1 (ko)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수압조절장치
KR20060109532A (ko) 수도꼭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