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059Y1 - 밸브의 절수장치 - Google Patents

밸브의 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059Y1
KR200236059Y1 KR2020010009055U KR20010009055U KR200236059Y1 KR 200236059 Y1 KR200236059 Y1 KR 200236059Y1 KR 2020010009055 U KR2020010009055 U KR 2020010009055U KR 20010009055 U KR20010009055 U KR 20010009055U KR 200236059 Y1 KR200236059 Y1 KR 2002360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water
button
hole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0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공석
Original Assignee
신우워토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워토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우워토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090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0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0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059Y1/ko

Links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입구와 배출구가 내부에 형성된 밸브몸체의 압력실에 피스톤을 안착하고, 상기 피스톤을 가압하는 가압버튼을 로드로 연결하며, 상기 가압버튼의 가압으로 피스톤이 이동함에 따라 물을 공급하거나 차단시키는 밸브의 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의 압력실내에 안착되어 물이 공급되는 것을 조절하는 피스톤을 구성하고,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안착되며, 외주연에 다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된 피스톤캡을 구성하며, 상기 피스톤의 중앙에 결합되어 피스톤캡을 관통하는 로드를 구성하고, 상기 로드의 외주연에 끼워지는 로드패킹을 수용하여 피스톤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성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안착되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조절하는 버튼부를 구성함으로서, 밸브몸체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누름버튼을 가압식과 회전식,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물이 급수되는 시간을 가변시킬 수 있고, 물이 급수되는 도중 언제라고 누름버튼을 작동되는 회전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불필요한 물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밸브의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밸브의 절수장치{device for save water of valve}
본 고안은, 샤워기나 수도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절약하는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밸브를 통해 일정량의 물이 유입되어 배출되면 자동으로 물을 차단하여 물의 낭비를 줄이는 밸브의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은 상수도로부터 유입되어 각 가정이나, 음식점, 빌딩, 학교 등으로 전달되는 상수관을 통해 사용자가 세면이나 화장실, 또는 주방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밸브를 통해 공급되며, 상기 상수관으로 공급되는 물은 수압에 따라 물의 량이 변하므로 사용자가 사용하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수관으로 공급되는 물의 량을 조절하기 위해,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줄이거나 조절캡을 배출구에 부착하여 물의 량을 조절하였다. 또한, 밸브의 조절레버를 상.하로 조절하여 물의 량을 조절하였으나, 이는 물의 량을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내구성이 저하되어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와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유입구(11)와 배출구(12)가 형성된 밸브몸체(10)의 상부에는,누름버튼(21)의 중앙에 가이드홀(221)이 형성되어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조절스핀들(22)이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홀(221)이 형성된 누름버튼(21)의 하부에 스크류(23)에 의해 고정되는 누름봉(24)이 구성된다. 상기 누름봉(24)의 하부에 연동되도록 체결되는 피스톤(25)이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25)의 상부에 패킹고정너트(26)에 의해 고정되는 U형상의 시트패킹(27)이 구성되며, 상기 밸브몸체(10) 내부의 하부측과 피스톤하부(251)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력실(28)이 구성된다. 상기 압력실(28)에 물을 공급하여 압력을 받도록 피스톤하부(251)에 형성된 홀(252)이 구성되며, 상기 홀(252)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는 작용을 하는 핀(253)이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25)의 외주면에 형성된 유체유입구멍(254)이 구성되며, 상기 유체유입구멍(254)을 감싸고 있는 이물질 정류망(255)이 구성된 절수장치(20)가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절수장치(2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밸브의 밸브몸체(10)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있는 누름버튼(21)을 누르면, 가이드홀(221)에 설치된 조절스핀들(22)이 누름버튼(21)과 함께 하부측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하부측으로 이동되는 누름버튼(21)에 의해, 누름버튼(2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누름봉(24)이 하부로 이동을 하고, 누름버튼(21)은 스프링(29)을 가압하면서 하부에 설치된 피스톤(25)을 아래쪽으로 가압하게 되며, 압력실(28)에 고여 있던 물은 피스톤(25)의 중앙에 끼워져 있는 너트의 사이로 물이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되는 물은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물과 함께 압력실(28)에 고여있던 물과 같이 배출구(12)를 통해 배출하게 되며, 상기피스톤(25)의 하부에 설치된 홀(252)부분의 감압작용을 하는 핀(253)이 상부로 밀려 움직이므로 찌꺼기 등을 밀어 낼 수 있게 작동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압된 누름버튼(21)은, 일정시간이 지나면 스프링(29)의 탄성과, 피스톤하부(251)의 홀(252)을 통해 압력실(28)에 물이 유입되며, 이렇게 유입된 물의 수압에 의해 피스톤(25)을 상승시킨다. 이렇게 상승되는 피스톤(25)은, 밸브몸체(10)의 유입구(11)를 폐쇄시킴으로,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절수장치는, 누름버튼을 가압하여 일정량의 물을 사용하면 수압 및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서서히 피스톤이 후퇴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지수가 되는 밸브로서, 물의 사용이 끝나도 밸브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계속 물이 공급되어 절수형 밸브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물을 짧게 사용하고자 할 경우도 일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계속 물이 공급되므로 불필요한 물이 공급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물을 공급하는 밸브몸체의 누름버튼을 가압식과 회전식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물이 급수되는 시간을 가변시킬 수 있고, 물이 급수되는 도중 언제라도 누름버튼을 작동되는 회전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불필요하게 공급되는 물을 차단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밸브의 절수장치를 제공함에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밸브의 절수장치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내부에 형성된 밸브몸체의 압력실에 피스톤을 안착하고, 상기 피스톤을 가압하는 가압버튼을 로드로 연결하며, 상기 가압버튼의 가압으로 피스톤이 이동함에 따라 물을 공급하거나 차단시키는 밸브의 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의 압력실내에 안착되어 물이 공급되는 것을 조절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안착되며, 외주연에 다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된 피스톤캡과; 상기 피스톤의 중앙에 결합되어 피스톤캡을 관통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외주연에 끼워지는 로드패킹을 수용하여 피스톤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안착되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조절하는 버튼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절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절수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상부피스톤의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절수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절수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절수장치에 물이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절수장치에 물이 차단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밸브몸체 30: 절수장치
31: 피스톤 311b: 요철
314: 강제작동부 32: 피스톤캡
33: 로드 34: 지지부재
35: 버튼부 351: 가이드
352: 스프링 353: 버튼
354: 가이드키 355: 버튼캡
356: 고정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절수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상부피스톤의 저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절수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유입구(11)와 배출구(12)가 내부에 형성된 밸브몸체(10)의 압력실(28)에 피스톤을 안착시키고, 상기 피스톤을 가압하는 가압버튼을 로드로 연결하여, 상기 가압버튼의 가압으로 피스톤이 이동함에 따라 물을 공급하거나 차단시키는 밸브의 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10)의 압력실(28)내에 안착되어 물이 공급되는 것을 조절하는 피스톤(31)이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31)의 상부에 안착되며, 외주연에 다수개의 배출공(323)이 형성된 피스톤캡(32)이 구성되며, 상기 피스톤(31)의 중앙에 결합되어 피스톤캡(32)을 관통하는 로드(33)가 구성되고, 상기 로드(33)의 외주연에 끼워지는 로드패킹(341)을 수용하여 피스톤캡(32)을 지지하는 지지부재(34)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34)의 상부에 안착되어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조절하는 버튼부(35)가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피스톤(31)은, 일측에 다단으로 형성되는 안착공(311a)이 구비된 하부피스톤(311)이 구성되고, 이 하부피스톤(311)의 외주연에 끼워지는 U자형 패킹(312)이 구성되며, 상기 안착공(311a)과 동일선상으로 형성되는 고정공(313a)이 구비되고, 저면의 단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요철(313b)이 구비된 상부피스톤(313)이 구성되고, 상기 상.하부피스톤(313)(311)의 안착공(311a)과 고정공(313a)에 결합되어 물의 유입을 강제로 조절하는 강제작동부(314)가 구성된다.
상기 강제작동부(314)는, 하부피스톤(311)의 안착공(311a)에 안착되는 강제스프링(314a)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피스톤(313)의 고정공(313a)에 안착되는 강제지수패킹(314b)이 구비된다.
상기 피스톤캡(32)은, 상기 로드(33)가 끼워지는 관통공(321)이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상부피스톤(313)의 지수패킹(313')이 밀착되는 경사면(322)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다수개의 배출공(323)이 형성된다.
상기 로드(33)는, 하단부가 상기 피스톤(31)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단부에 고정돌기(331)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부(35)는, 외주연에 안착홈(351a)이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351b)이 형성된 가이드(351)가 구성되고, 상기 수용공간(351b)에 안착되는 스프링(352)이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351)를 수용하며 가이드(351)의 안착홈(351a)과 동일선상으로 관통되는 나선형의 가이드홀(353a)이 외주연에 형성되며, 내측 상부에 상기 로드(33)의 고정돌기(331)가 끼워지는 고정홈(353c)이 형성된 버튼(353)이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351)의 안착홈(351a)에 고정되고 버튼(353)의 가이드홀(353b)이 이동되는 가이드키(354)가 구성되고, 상기 버튼(353)을 수용하며 상단부에 나사공(355a)이 형성되는 버튼캡(355)이 구성되며, 상기 버튼캡(355)과 로드(33)를 결합시키는 고정부재(356)가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피스톤(311)의 안착공(311a)에 강제작동부(314)의 강제지수스프링(314a)을 안착시키고 일측에 가압구(312c)를 끼우며, 상부피스톤(313)의 고정공(313a)에 강제지수패킹(314b)를 안착시킨 후, 상기 강제지수스프링(314a)과 강제지수패킹(314b)을 동일선상으로 위치시켜 결합하면, 피스톤(31)이 완성되며, 이 피스톤(31)을 밸브몸체(10)의 압력실(28)에 안착시킨다. 또한, 상기 밸브몸체(10)의 상부에 피스톤캡(32)을 회전시켜 결합하고, 상부에 로드패킹(341)을 내부에 수용한 지지부재(34)을 안착시킨다.
한편, 가이드(351)의 수용공간(351a)에 스프링(352)을 안착시키고, 로드(33)를 수용공간(351b)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켜 결합한 후, 버튼(353)을 가이드(351)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켜 고정시킨다. 이때, 로드(33)의고정돌기(331)는 버튼(353)의 고정홈(353b)에 끼워 안착시키고, 버튼(353)의 가이드홀(353a)과 가이드(351)의 안착홈(351b)을 동일선상으로 일치시킨 후, 상기 버튼(353)의 가이드홀(353a)에 가이드키(354)를 끼우며, 가이드키(354)를 가이드(351)의 안착홈(351b)에 안착시키면 된다.
또한, 상기 버튼(353)의 상부에 버튼캡(355)을 끼우고, 상기 버튼캡(355)의 나사공(355a)에 고정부재(356)를 밀착시켜 일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버튼캡(355)과 로드(33)가 결합되며, 버튼부(35)가 고정되는 것이다.
이렇게 고정된 버튼부(35)의 하부에 돌출되는 로드(33)의 단부를 지지부재(34)와 피스톤캡(32)의 관통공(321)을 관통하여 피스톤(31)의 상면에 밀착시킨 후, 회전하여 결합시킨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결합된 절수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35)의 버튼캡(355)을 가압하거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버튼캡(355)과 연결된 버튼(353)은, 가이드(351)의 안착홈(351a)에 고정된 가이드키(354)를 중심으로 가이드홀(353b)이 이동하여 버튼캡(355)과 버튼(353)을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버튼(353)은 가이드(351)의 수용공간(351b)에 안착된 스프링(352)을 가압하면서 이동하게 되며, 버튼캡(355)을 가압하더라도 가이드홀(353b)을 따라 자연스럽게 회전되어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버튼부(35)가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이때부터 유입구(11)가 개방이 되고, 유입구(11)로 유입된 물은 피스톤캡(32)의 배출공(323)을 통해 배출구(12)로배출되어 사용자가 사용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입구(11)로 유입된 물의 수압에 의해 피스톤(31)의 미세한 가압구(313c)로 물이 유입되면서 압력실(28)에 물의 량이 증가하고, 스프링(352)의 복원력에 따라 조금씩 피스톤(31)을 상부로 이동시킨다.
또한, 일정 시간이 흘러 압력실(28)에 물의 량이 증가하여 피스톤(31)을 상부로 이동시키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로 유입되는 물을 피스톤(31)이 막아 물을 차단시키고, 상부피스톤(313)의 상부에 형성된 지수패킹(313')이 피스톤캡(32)의 경사면(322)에 밀착하게 되어 물의 공급을 차단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물이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상태에서, 물의 사용이 끝나 작동을 멈추고 싶을 때는, 버튼부(35)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피스톤(31)을 상부방향으로 강제로 이동시키고, 상기 피스톤(31)에 안착된 강제작동부(314)의 강제지수패킹(314b)이 강제스프링(314a)을 순간적으로 가압하여 상부피스톤(313)의 고정공(313a)을 개방시켜 압력실(28)의 내부로 물을 다량으로 유입하여 피스톤(31)을 신속히 이동시켜 물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버튼캡(35)의 회전정도에 따라 피스톤(31)의 작동거리가 결정되어 사용시마다 물의 공급시간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물이 유입구(11)를 통해 유입 될때, 상부피스톤(313)의 저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요철(313b)에 이물질이 걸리게 되어, 깨끗한 물을 배수밸브(1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거름망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절수장치는, 물을 공급하는 밸브몸체의 누름버튼을 가압식과 회전식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물이 급수되는 시간을 가변시킬 수 있고, 작동중 언제라도 누름버튼을 작동되는 회전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불필요하게 공급되는 물을 차단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유입구(11)와 배출구(12)가 내부에 형성된 밸브몸체(10)의 압력실(28)에 피스톤을 안착시키고, 상기 피스톤을 가압하는 가압버튼을 로드로 연결하여, 상기 가압버튼의 가압으로 피스톤이 이동함에 따라 물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밸브의 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10)의 압력실(28)내에 안착되어 물이 공급되는 것을 조절하는 피스톤(31)과;
    상기 피스톤(31)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부에 관통공(321)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부피스톤(313)의 지수패킹(313')이 밀착되는 경사면(322)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다수개의 배출공(323)이 형성된 피스톤캡(32)과;
    상기 피스톤(31)의 중앙에 하단부가 고정되어 피스톤(31)을 상.하로 작동시키며, 상단부에 고정돌기(331)가 형성된 로드(33)와;
    상기 로드(33)의 외주연에 끼워지는 로드패킹(341)을 수용하여 피스톤캡(32)을 지지하는 지지부재(34)와;
    상기 지지부재(34)의 상부에 안착되어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조절하는 버튼부(35)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의 절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31)은,
    일측에 다단으로 형성되는 안착공(311a)이 구비된 하부피스톤(311)이 구성되고, 상기 안착공(311a)과 동일선상으로 형성되는 고정공(313a)이 구비되며, 저면의 단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요철(313b)이 구비된 상부피스톤(313)이 구성되고, 상기 상.하부피스톤(313)(311)의 안착공(311a)과 고정공(313a)에 결합되어 물의 유입을 강제로 조절하는 강제작동부(314)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의 절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작동부(314)는,
    하부피스톤(311)의 안착공(311a)에 안착되는 강제스프링(314a)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피스톤(313)의 고정공(313a)에 안착되는 강제지수패킹(314b)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의 절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35)는,
    외주연에 안착홈(351a)이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351b)이 형성된 가이드(351)가 구성되고, 상기 수용공간(351b)에 안착되는 스프링(352)이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351)를 수용하며 가이드(351)의 안착홈(351a)과 동일선상으로 관통되는 나선형의 가이드홀(353a)이 외주연에 형성되며, 내측 상부에 상기 로드(33)의 고정돌기(331)가 끼워지는 고정홈(353c)이 형성된 버튼(353)이 구성된다. 상기가이드(351)의 안착홈(351a)에 고정되고 버튼(353)의 가이드홀(353b)이 이동되는 가이드키(354)가 구성되고, 상기 버튼(353)을 수용하며 상단부에 나사공(355a)이 형성되는 버튼캡(355)이 구성되며, 상기 버튼캡(355)과 로드(33)를 결합시키는 고정부재(356)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의 절수장치.
KR2020010009055U 2001-03-31 2001-03-31 밸브의 절수장치 KR2002360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055U KR200236059Y1 (ko) 2001-03-31 2001-03-31 밸브의 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055U KR200236059Y1 (ko) 2001-03-31 2001-03-31 밸브의 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059Y1 true KR200236059Y1 (ko) 2001-10-10

Family

ID=73064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055U KR200236059Y1 (ko) 2001-03-31 2001-03-31 밸브의 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05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098B1 (ko) * 2002-02-22 2005-01-06 이자희 샤워 겸 세면기의 절수용 혼합수전
KR100967935B1 (ko) 2008-02-19 2010-07-06 주식회사 한도 절수형 밸브
WO2013058555A2 (ko) * 2011-10-17 2013-04-25 Kwon Woo Hyun 수돗물 절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098B1 (ko) * 2002-02-22 2005-01-06 이자희 샤워 겸 세면기의 절수용 혼합수전
KR100967935B1 (ko) 2008-02-19 2010-07-06 주식회사 한도 절수형 밸브
WO2013058555A2 (ko) * 2011-10-17 2013-04-25 Kwon Woo Hyun 수돗물 절수장치
WO2013058555A3 (ko) * 2011-10-17 2013-06-13 Kwon Woo Hyun 수돗물 절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5361A (en) Slow closing faucet
US20020185553A1 (en) Spray head
KR200236059Y1 (ko) 밸브의 절수장치
KR100601387B1 (ko) 수도꼭지 제어 장치
EP1860358B1 (en) Upwardly and downdwardly discharged faucet
JP2007085525A (ja) 吐水装置
US5290008A (en) Discharge controlling device for faucets
JP5695264B1 (ja) シャワー設備用節水装置
US5288053A (en) Discharge controlling device for faucets
KR200320595Y1 (ko) 대변기용 세척밸브의 절수장치
JP3769558B2 (ja) 節水具及び節水装置
US4757841A (en) Spout with readily serviceable flow control
KR20210156108A (ko) 물 토출량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수전용 절수장치
CN210050345U (zh) 延时龙头
KR200180468Y1 (ko) 대소변기 구별형 세척밸브
KR200277329Y1 (ko) 수도전용밸브의 급수자동차단장치
KR200147875Y1 (ko) 절수형 밸브
KR200250135Y1 (ko) 싱크대용 벽붙이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KR200237908Y1 (ko) 절수용 페달밸브
KR100415078B1 (ko) 싱크대용 벽붙이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KR200249016Y1 (ko) 싱크대용 냉/온수 절수장치
KR100415075B1 (ko) 싱크대용 냉/온수 절수장치
KR200250136Y1 (ko) 싱크대용 벽붙이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KR200281575Y1 (ko) 대변기용 세척밸브의 절수장치
KR200288520Y1 (ko) 절수 수도꼭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