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070Y1 - 이중 토출기능을 갖는 수도전용 절수식 토출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토출기능을 갖는 수도전용 절수식 토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070Y1
KR200234070Y1 KR2020010007585U KR20010007585U KR200234070Y1 KR 200234070 Y1 KR200234070 Y1 KR 200234070Y1 KR 2020010007585 U KR2020010007585 U KR 2020010007585U KR 20010007585 U KR20010007585 U KR 20010007585U KR 200234070 Y1 KR200234070 Y1 KR 2002340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charge
pin
discharge por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훈
Original Assignee
정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대훈 filed Critical 정대훈
Priority to KR20200100075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0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0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070Y1/ko

Links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전에 결합 사용되는 토출장치로서, 용수(用水)가 직수(直水) 또는 분수(分水) 상태의 두가지 형태로 토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절수(節水)기능을 갖도록 한 이중 토출기능을 갖는 수도전용 절수식 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95-4144호와 같은 '수도 꼭지용 샤워헤드' 및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공개 제96-8600호와 같은 '이중 토출기능을 갖는 수도전용 토출구'가 제안된바 있으나, 이들은 모두 별도의 헤드를 구비해야 하는 제한이 따르게 됨은 물론,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고가로 됨과 동시에 고장의 빈도가 잦게 되며 외관이 투박하여 품격을 저하시키게 되고, 특히 사용자가 부주의로 개폐 노브를 최대로 개방하게 될 때, 전술한 일반적인 토출구와 마찬가지로 용수가 수압에 의해 비산됨과 동시에 용수를 불필요하게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은 여전히 해소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기존의 수도전 토출구와 일체로 제조하거나 별도로 제작하더라도 슬림화하여 기존의 토출구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수도전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노브의 간단한 조작으로 용수를 직수 또는 분수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하며, 직수 사용시 용수의 토출 단면적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수의 토출량이 조절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용수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토출기능을 갖는 수도전용 절수식 토출장치{Dis charging apparatus of economizing water type for two-way cock}
본 고안은 수도전에 결합 사용되는 토출장치로서, 용수(用水)가 직수(直水) 또는 분수(分水) 상태의 두가지 형태로 토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절수(節水)기능을 갖도록 한 이중 토출기능을 갖는 수도전용 절수식 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수도전은 헤드의 선단에 직수용(直水用) 토출구가 결합된 것이 대부분인바, 이는 사용자가 부주의로 개폐노브를 최대로 개방할 경우 강한 수압에 의해 세면대 또는 개수대 등의 바닥에 부딛쳐 튀어오르게 되면서 의복을 적시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특히 손이나 식기 등을 세척하기 위하여 토출되는 직수의 하방에 손이나 식기 등을 위치시키게 되면 더욱 강한 압력을 받게 됨으로써 직수가 불규칙하게 비산되어 주변이나 신체 및 의복등 원하지 않는 부위가 용수로 젖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됨은 물론 용수의 토출 단면적이 토출량에 비하여 매우 작은 관계로 용수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낭비하게 되는 중대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95-4144호와 같은 '수도 꼭지용 샤워헤드' 및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공개 제96-8600호와 같은 '이중 토출기능을 갖는 수도전용 토출구'가 제안된바 있으나, 이들은 모두 별도의 헤드를 구비해야 하는 제한이 따르게 됨은 물론,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고가로 됨과 동시에 고장의 빈도가 잦게 되며 외관이 투박하여 품격을 저하시키게 되고, 특히 사용자가 부주의로 개폐 노브를 최대로 개방하게 될 때, 전술한 일반적인 토출구와 마찬가지로 용수가 수압에 의해 비산됨과 동시에 용수를 불필요하게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은 여전히 해소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기존의 수도전 토출구와 일체로 제조하거나 별도로 제작하더라도 슬림화하여 기존의 토출구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수도전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노브의 간단한 조작으로 용수를 직수 또는 분수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하며, 직수 사용시 용수의 토출 단면적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수의 토출량이 조절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용수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요부의 확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종단면도.
도 4의 (a)(b)(c)는 본 고안에 따른 조절부재의 실시예시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조절장치를 최대로 개방한 직수 상태 작용 평면도.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조절장치를 중간정도 개방한 직수 상태 작용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조절부재에 하나의 분수공을 형성한 상태의 부분 확대 작용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조절부재에 두 개의 분수공을 형성한 상태의 작용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헤드 2 : 개폐노브 3 : 체결부 4 : 토출구
5 : 숫나사부 6 : 케이스 7 : 암나사부 8 : 플랜지
9 : 핀공 10 : 통공 11 : 안내공 12 : 조절부재
13 : 상부핀 14 : 하부핀 15a, 15b : 분수공 16 : 직수공
17 : 틈새분수공 18 : 가동부재 19 : 조작노브 20 : 핀홈
21 : 기밀부재 W1, W2: 폭
개폐노브(2)를 갖는 헤드(1)의 체결부(3)에 토출구(4)가 체결된 수도전에 있어서, 토출구(4)의 저부에 숫나사부(5)가 형성되어 토출구(4)와 동일 지름을 갖는 케이스(6)가 암나사부(7)로 나사 결합된다.
케이스(6)의 저부에는 중앙에 통공(10)을 갖는 플랜지(8)가 형성되어 이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핀공(9)이 형성되고, 이 핀공(9)에 양단의 상하로 상부핀(13)과 하부핀(14)이 형성된 조절부재(12)의 하부핀(14)이 삽입되어 다수의 조절부재(12)가 플랜지(8) 상에 원주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중앙에 직수공(16)이 형성되며, 조절부재(12)의 상부로 조절부재(12)의 갯수와 동일 갯수의 핀홈(20)을 갖는 가동부재(18)가 상부핀(13)이 각 핀홈(20)에 삽입됨과 동시에 조작노브(19)가 안내공(11)에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가동부재(18)의 상부에 기밀부재(21)가 기재된 것이다.
상기 조절부재(12)는 플랜지(8)의 폭(W1)과 동일하거나 조금 작은 폭(W2)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상·하부핀(13)(14)에 근접하여 분수공(15a)(15b)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토출구(4)를 생략하고 케이스(6)를 암나사부(7)를 이용하여 헤드(1)의 체결부(3)에 직접 체결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케이스(6)는 토출구(4)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기밀부재(21)는 기밀성이 우수한 고무재로 형성하되, 구성 각부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같이 통상의 수도전 헤드(1) 하방의 체결부(3)에 결합되는 토출구(4)에 숫나사부(5)를 형성하여 결합하거나 토출구(4)를 생략한채 체결부(3)에 케이스(6)를 직접 결합하여 사용케 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개폐노브(2)를 조작하여 수도전을 개방시키게 되면 용수가 토출구(4)를 경유하여 통공(10)으로 토출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도 5(a)에 나타낸 바와같이 조작노브(19)를 시계 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조절부재(12)의 상부핀(13)이 가동부재(18)의 핀홈(20)에 안내되어 조절부재(12)가 하부핀(14)을 지점으로 회동하면서 확개되어 플랜지(8)와 동심원 상에 위치됨으로써 직수공(16)과 통공(10)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되어 용수가 직수공(16) 및 통공(10)을 통해 직수상태로 토출되는 것이고, 사용자가 도 5(b)에 나타낸 바와같이 조작노브(19)를 반시계 방향으로 조작하되 임의의 각도 [도 5(a)의 상태를 ∠0°로 기준할 때, ∠1~89°]로 조작하게 되면 가동부재(18)의 핀홈(20)이 각 상부핀(13)을 안내하여 조절부재(12)가 중심측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직수공(16)의 지름이 작아지게 되어 직수공(16)을 통한 용수의 통과 수량을 작아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부주의로 개폐노브(2)를 과다하게 개방하였다 하더라도 직수공(16)의 지름을 조절하여 토출수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불필요한 용수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사용자가 도 6에 나타낸 바와같이 조작노브(19)를 반시계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시키게 되면, 각 조절부재(12)는 중심에서 서로 교차하면서 직수공(16)은 완전히 폐쇄된 상태가 되는데, 이때, 도 4(a)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같이, 조절부재(12)의 폭(W2)을 플랜지(8)의 폭(W1)보다 조금 작게할 경우 각 조절부재(12)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게 되므로 이를 틈새분수공(17)으로 활용케 됨으로써 용수를 분수상태로 토출되도록 할수도 있겠으나 이는 상당한 정밀도를 요하게 되므로 도 4(b), (c)와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같이 조절부재(12)상에 분수공(15a)(15b)을 하나 또는 두 개로 형성함으로써 조절부재(12)의 갯수와 비례하여 분수공(15a)(15b) 및 틈새분수공(17)이 형성되어 용수가 넓은 면적으로 확산되어 토출되게 되므로 용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통상의 수도전에 직접 적용할 수 있어 사용에 제한이 따르지 않음은 물론, 그 구조를 슬림화 할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하고, 직수 상태와 분수 상태로의 조작이 간단·용이함과 더불어 토출수량의 조절이 용이하여 용수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함과 동시에 적은 수량의 용수로도 넓은 면적으로 확산·토출되도록 하여 용수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지대한 효과를 제공케 되는 것이다.

Claims (4)

  1. 개폐노브(2)를 갖는 헤드(1)의 체결부(3)에 토출구(4)가 체결된 수도전에 있어서, 토출구(4)의 저부에 숫나사부(5)가 형성되어 토출구(4)와 동일 지름을 갖는 케이스(6)가 암나사부(7)로 나사 결합되데, 케이스(6)의 저부에는 중앙에 통공(10)을 갖는 플랜지(8)가 형성되어 이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핀공(9)이 형성되고, 이 핀공(9)에 양단의 상하로 상부핀(13)과 하부핀(14)이 형성된 조절부재(12)의 하부핀(14)이 삽입되어 다수의 조절부재(12)가 플랜지(8) 상에 원주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중앙에 직수공(16)이 형성되며, 조절부재(12)의 상부로 조절부재(12)의 갯수와 동일 갯수의 핀홈(20)을 갖는 가동부재(18)가 상부핀(13)이 각 핀홈(20)에 삽입됨과 동시에 조작노브(19)가 안내공(11)에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가동부재(18)의 상부에 기밀부재(21)가 기재된 이중 토출기능을 갖는 수도전용 절수식 토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조절부재(12)의 폭(W2)이 플랜지(8)의 폭(W1)과 동일하거나 조금 작게 형성되고, 상·하부핀(13)(14)에 근접하여 분수공(15a)(15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토출기능을 갖는 수도전용 절수식 토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토출구(4)를 생략하고, 케이스(6)를 직접 체결부(3)에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토출기능을 갖는 수도전용 절수식 토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토출구(4)와 케이스(6)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토출기능을 갖는 수도전용 절수식 토출장치.
KR2020010007585U 2001-03-20 2001-03-20 이중 토출기능을 갖는 수도전용 절수식 토출장치 KR2002340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585U KR200234070Y1 (ko) 2001-03-20 2001-03-20 이중 토출기능을 갖는 수도전용 절수식 토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585U KR200234070Y1 (ko) 2001-03-20 2001-03-20 이중 토출기능을 갖는 수도전용 절수식 토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070Y1 true KR200234070Y1 (ko) 2001-10-08

Family

ID=73098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585U KR200234070Y1 (ko) 2001-03-20 2001-03-20 이중 토출기능을 갖는 수도전용 절수식 토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0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480B1 (ko) 2021-01-28 2021-09-27 김이섭 다용도 수도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480B1 (ko) 2021-01-28 2021-09-27 김이섭 다용도 수도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80119A (ko) 샤워기용 절수장치
CN107191626A (zh) 一种两功能淋浴花洒用陶瓷阀芯
US20130167959A1 (en) Button switch three-way valve
US10730060B2 (en) Convenient switching valve
US6431211B1 (en) Water controlling stem structure of a faucet
KR200234070Y1 (ko) 이중 토출기능을 갖는 수도전용 절수식 토출장치
JP2002165719A (ja) シャワーヘッド
EP1860358B1 (en) Upwardly and downdwardly discharged faucet
CN207093847U (zh) 一种两功能淋浴花洒用陶瓷阀芯
JP2003144983A (ja) 吐水ノズル
US7121303B1 (en) Mixed water faucet
JP3688486B2 (ja) 止水機能付シャワーヘッド
JP4260943B2 (ja) 止水機能付き吐水ヘッド
JP4334039B2 (ja) 止水機能付シャワーヘッドを備えたシングルレバー式混合水栓
KR200206274Y1 (ko) 샤워기 헤드
KR200210884Y1 (ko) 절수형 비데샤워헤드
KR200283508Y1 (ko) 싱글레버 냉온수 혼합 수도꼭지
KR200343395Y1 (ko) 수온조절 기능을 갖는 샤워헤드
TWI741617B (zh) 水龍頭出水口撥桿式啟閉控制結構
KR102623280B1 (ko) 급수량 조절 및 개폐 기능을 가지는 절수 샤워기
CN220910546U (zh) 一种带安全锁的暗装花洒盒
KR200204752Y1 (ko) 세면대용 수도전
CN215596473U (zh) 一种多功能复位阀
KR200254794Y1 (ko) 회전볼을 구비한 샤워헤드
KR200273553Y1 (ko) 샤워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