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6958A - 휴대폰용 전자파 감쇠기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전자파 감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6958A
KR20010096958A KR1020000020660A KR20000020660A KR20010096958A KR 20010096958 A KR20010096958 A KR 20010096958A KR 1020000020660 A KR1020000020660 A KR 1020000020660A KR 20000020660 A KR20000020660 A KR 20000020660A KR 20010096958 A KR20010096958 A KR 20010096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attenuator
electromagnetic wave
conductor
ferro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0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태호
Original Assignee
손태호
박재휘
주식회사 닛시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태호, 박재휘, 주식회사 닛시텔레콤 filed Critical 손태호
Priority to KR1020000020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6958A/ko
Priority to US09/735,620 priority patent/US6469245B2/en
Priority to JP2000395661A priority patent/JP2001313522A/ja
Priority to EP01301140A priority patent/EP1152480A3/en
Publication of KR20010096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95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5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means for shaping the antenna pattern, e.g. in order to protect user against rf expo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7/00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 H01Q17/001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for modifying the directional characteristic of an a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ransceivers (AREA)
  • Non-Reversible Transmitting Device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감쇠기는 컬러게이트 구조를 갖는 도체와, 상기 도체를 내부에 수납하여 외기와 차단하도록 상기 도체에 입혀지는 강유전체와, 상기 강유전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접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쇠기는 상기 접착부에 의해 상기 휴대폰의 임의 위치에 접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에서 발생되어 두뇌로 향하는 강한 전자파를 감쇠시켜 인체에 무해할 수 있으면서도 통신할 수 있고, 감쇠기를 단말기 내부에 부품의 개념으로 장착시켜 분실 위험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폰용 전자파 감쇠기{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전자파 감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에서 발생되는 인체의 유해한 강한 강전계를 감쇠시키는 휴대폰용 전자파 감쇠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 즉, 휴대폰(mobile phone)은 어느곳, 어느 때에라도 정보의 전달이 가능할 수 있도록 개발된 정보통신 뉴미디어의 일종이다.
우리나라에서의 휴대폰 사용은 폭발적인 수요에 의해 가히 급성장하여 오고 있다.
현재까지 단말기(hand-set)의 송신주파수(transmitting frequency)를 기준으로 할 때 824-849MHz 주파수대역의 셀룰라(cellular) 휴대전화와 1750-1780MHz대의 PCS가 있다.
또한 2000년대 초에 출시될 IMT-2000은 2000MHz 주파수 근처인 1920-1980MHz의 주파수 사용이 확정된 상태이다. 미국 등과 같은 선진국의 경우는 셀룰라 휴대폰의 주파수는 우리의 것과 동일하지만 PCS의 경우는 우리보다 약 100MHz 높은 1850-1910MHz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다. 더구나 휴대폰 시장의 60% 이상을 담당하고 있는 유럽의 경우는 GSM 방식으로 단말기 송신주파수가 880-915MHz를 적용하고 있다. 또 가정용의 무선전화기(codeless telephone)로는 914MHz(CT1), 885MHz(CT1+)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의 급증된 사용과 더불어 나타나는 현상이 휴대폰에 대한 인체의 유해성 시비이다. 휴대폰을 사용할 때 휴대폰 내부의 고주파 회로에 의해서 증폭된 신호가 안테나를 통하여 전자파로 바뀌게 되므로 이는 안테나에 바로 인접한 인체 두뇌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전자파에 따른 두뇌 및 부근 생체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현재 활발히 연구되고 가끔씩 보고는 되고 있지만 정확한 과학적 증명이 어려워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나 분명한 사실은 정상조직의 이상화와 암조직의 발생이 전자파와 매우 유관하다는 사실이 이미 많은 국내외 과학자들로부터 발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발표에도 불구하고 휴대폰 생산업체에서는 적절한 대책을 세우지 않고 있다. 이는 눈에 보이지 않은 전자파에 대한 무감각과 뜨거움이나 가려움 등의 1차적인 감각 작용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거부감이 없기 때문이다.
휴대폰 안테나는 헤리컬 안테나와 와이어(wire) 안테나인 1/4파장 접지 안테나를 함께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휴대폰 안테나의 근처에서는 아주 강한 강전계 성분을 띈 전자파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강전계의 전자파는 인체의 두뇌에 직접 침투하여 뇌조직을 이루고 있는 물질 원자의 핵과 전자를 분극(polarization)에 의한 효과로 흔들어 뇌 조직의 단백질을 변형시키게 한다. 즉, 뇌조직의 일부 정상 조직을 이상 조직으로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이상 조직중에는 암 조직이 있으며, 이 암조직은 암을 유발시키는 물질이 유독성 화학물질 뿐만 아니라 강한 전계에 의해서도 암조직을 만들게 하는 근원이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휴대폰은 휴대폰 내부의 고주파 증폭회로에 의해서 증폭된 신호가 안테나를 통하여 강전계성 전자파로 바뀌게 된다. 이 전자파는 안테나를 통하여 인체의 두뇌에 영향을 주어 뇌 조직의 단백질을 변형시킴으로써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휴대폰에서 발생되어 두뇌로 향하는 강한 전자파를 감쇠시켜 인체에 무해할 수 있으면서도 통신할 수 있는 휴대폰용 전자파 감쇠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에 출시된 안테나 설치형 감쇠기는 그 분실 위험이 높기 때문에 감쇠기를 단말기 내부에 부품의 개념으로 장착시켜 분실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휴대폰용 전자파 감쇠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전자파 감쇠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전자파 감쇠기가 휴대폰의 PCB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전자파 감쇠기가 휴대폰 케이스 내측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휴대폰 2: 휴대폰 케이스
3 : PCB 100 : 감쇠기
110 : 컬러게이트 111 ; 슬롯
113 : 릿지 120 : 도체
130 : 강유전체 140 : 접착면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휴대폰용 전자파 감쇠기의 특징은,
휴대폰의 전자파 감쇠기에 있어서,
상기 감쇠기는,
컬러게이트 구조를 갖는 도체와,
상기 도체를 내부에 수납하여 외기와 차단하도록 상기 도체에 입혀지는 강유전체와,
상기 강유전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접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쇠기는 상기 접착부에 의해 상기 휴대폰의 임의 위치에 접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컬러게이트 구조의 도체의 수는 적용되는 중심 주파수의 한 파장당 3∼5개이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도체는 은, 알루미늄, 동중 어느 하나이다.
여기에서 또 상기 강유전체는 비유전율이 1500~500사이인 세라믹 복합 유전체이다.
여기에서 또 상기 감쇠기의 부착 위치는 SAR의 크기가 가장 높은 곳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전자파 감쇠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감쇠기(100)는 표면으로 전진하는 전자파를 감쇠시켜 강전계 성분을 감쇠시키도록 적용되는 중심 주파수의 한 파장당 3∼5개의 컬러게이트(corrugate)(110) 구조를 갖는 도체(120)가 강유전체(130) 내에 수납되어 강유전체(130)에 입혀진다. 또는 강유전체(130)에 도체(120)를 입힌다. 여기에서 휴대폰으로부터 발생되는 강전계성 전자파를 감쇠시키기 위한 감쇠기(100)의 도체(120) 재질은 은, 알루미늄, 동 등과 같은 도체를 사용한다.
이때, 컬러게이트(110) 구조의 크기 즉, 컬러게이트(110)의 수, 슬롯(slot)(111)의 폭 및 깊이와 릿지(ridge)(113)의 폭이 중요한 변수가 된다. 컬러게이트(110)에 의한 감쇠의 해석은 모드 정합이론을 적용하는 매우 복잡한 수식이 필요하나 해석 결과에 의한 설계는 다음을 적용한다.
적용 중심 주파수에서 파장당 컬러게이트의 수는 3∼5개 정도(크기 및 감쇠량에 따라 결정), 릿지(ridge)/슬롯(slot)의 비는 0.5 이하, 컬러게이트 슬롯의 깊이(d)는 1/4 파장이 적당하다.
또한, 컬러게이트(110)를 강유전체(130) 내에 넣고 포밍(forming)시킴으로서 감쇠기의 크기를 줄이도록 한다. 컬러게이트 치수는 유전체의 비유전율의 제곱근에 반비례하므로 강유전체일수록 크기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컬러게이트(110)를 강유전체(130) 내에 넣고 포밍하여 감쇠기(100)를 만든다.
강유전체(130)로 사용될 수 있는 재질은 비유전율이 1500~500사이인 세라믹 복합 유전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비유전율이 270~290사이인 SrTiO3또는 비유전율이 240~260사이인 0.95SrTiO3+0.05ZnTiO3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SrTiO3의 비유전율은 280이 가장 바람직하고, 0.95SrTiO3+0.05ZnTiO3의 비유전율은 250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강유전체가 SrTiO3을 사용한 감쇠기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셀룰라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용 단말기 및 900MHz 가정용 및 CT phone, 국내용 PCS와 외국의 DCS1800에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강유전체가 0.95SrTiO3+0.05ZnTiO3을 사용한 감쇠기는 미국용 PCS와 digital cordless telephone인 DECT 및 일본의 PHS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전자파 감쇠기가 휴대폰의 PCB에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전자파 감쇠기가 휴대폰케이스 내측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감쇠기(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의 어떠한 위치에도 부착이 가능하도록 저면 또는 측면에 접착면(140)을 갖는다. 여기에서 감쇠기(100)의 부착 위치는 휴대폰(1)내 인쇄회로기판인 PCB(printed circuit board)(3)상 혹은 휴대폰 케이스(2) 내측에 장착된다. 여기에서 특정위치라 함은 SAR(Specific Absorption Rate) 측정에 의해 가장 SAR치가 높은 부위를 말하며, 이러한 SAR의 측정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기술을 사용한다.
SAR은 인체내 전자파가 침투한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아래의 수학식과 같다.
여기에서 σ는 인체의 전도율(conductivity)이고, E는 인체 내부로 침투된 전계의 세기(field strength)이며, ρ는 인체 밀도(mass density)이다. 따라서 인체에 침투하는 전계가 클수록 인체의 전도율이 높은 부위일수록 또한, 인체 밀도가 낮은 곳일수록 SAR값은 커지게 된다.
따라서 감쇠기를 SAR값이 가장 큰 위치인 휴대폰 내부에 설치하여 인체 또는 두뇌로 전달되는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용 전자파 감쇠기에 의하면, 휴대폰에서 발생되어 두뇌로 향하는 강한 전자파를 감쇠시켜 전자파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면서도 자유롭게 통신할 수 있고, 감쇠기를 단말기 내부에 부품의 개념으로 장착시켜 분실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휴대폰의 전자파 감쇠기에 있어서,
    상기 감쇠기는,
    컬러게이트 구조를 갖는 도체와,
    상기 도체를 내부에 수납하여 외기와 차단하도록 상기 도체에 입혀지는 강유전체와,
    상기 강유전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접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쇠기는 상기 접착부에 의해 상기 휴대폰의 임의 위치에 접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전자파 감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게이트 구조의 도체의 수는,
    적용되는 중심 주파수의 한 파장당 3∼5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전자파 감쇠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는,
    은, 알루미늄, 동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전자파 감쇠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는,
    비유전율이 1500~500사이인 세라믹 복합 유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전자파 감쇠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쇠기가 부착되는 위치는,
    상기 휴대폰의 내부중 SAR의 크기가 가장 높은 곳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전자파 감쇠기.
KR1020000020660A 2000-04-19 2000-04-19 휴대폰용 전자파 감쇠기 KR20010096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660A KR20010096958A (ko) 2000-04-19 2000-04-19 휴대폰용 전자파 감쇠기
US09/735,620 US6469245B2 (en) 2000-04-19 2000-12-14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0395661A JP2001313522A (ja) 2000-04-19 2000-12-26 移動通信端末器用の電磁波減衰器
EP01301140A EP1152480A3 (en) 2000-04-19 2001-02-08 Electromagnetic wave attenuators for application in mobile phon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660A KR20010096958A (ko) 2000-04-19 2000-04-19 휴대폰용 전자파 감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958A true KR20010096958A (ko) 2001-11-08

Family

ID=19665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660A KR20010096958A (ko) 2000-04-19 2000-04-19 휴대폰용 전자파 감쇠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69245B2 (ko)
EP (1) EP1152480A3 (ko)
JP (1) JP2001313522A (ko)
KR (1) KR200100969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6809B2 (ja) * 2002-09-30 2007-02-0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電磁波吸収体とその製造方法
KR100625121B1 (ko) * 2003-07-01 2006-09-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신핸드셋 장치에서의 sar 노출 감소 방법 및 장치
JP4775583B2 (ja) * 2004-03-05 2011-09-21 宇部興産株式会社 誘電体粒子集合体、それを用いた低温焼結誘電体磁器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製造される低温焼結誘電体磁器
KR100758633B1 (ko) * 2006-06-20 2007-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돔 스위치 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JP4807512B2 (ja) * 2006-10-17 2011-11-02 博久 矢埜 電磁波緩和携帯電話
US8258942B1 (en) 2008-01-24 2012-09-04 Cellular Tracking Technologies, LLC Lightweight portable tracking device
KR102612537B1 (ko) 2016-12-30 2023-1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용 빔 형성 보조부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29614A (en) * 1958-07-08 1960-03-02 Edward Bellamy Mcmillan Microwave-radiation absorbers
US4164718A (en) * 1976-07-09 1979-08-14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Electromagnetic power absorber
US4977296A (en) * 1989-02-23 1990-12-11 Hemming Leland H Radio frequency shielding tape
JPH02253699A (ja) * 1989-03-27 1990-10-12 Hiroshi Ujiie 整合形状カーボンファイバークロスと誘電体スペーサーを用いた電波吸収体
US5160806A (en) * 1989-11-29 1992-11-03 Nec Corporation Electromagnetic shielding member and electromagnetic shielding case
US5530919A (en) * 1993-10-12 1996-06-25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obile communicator with means for attenuating transmitted output toward the user
JPH10237352A (ja) * 1997-02-24 1998-09-08 Tao:Kk 多機能コーティング剤
SE509232C2 (sv) * 1997-07-09 1998-12-21 Allgon Ab Handportabel telefon med strålningsabsorberande anord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52480A3 (en) 2002-07-17
US6469245B2 (en) 2002-10-22
EP1152480A2 (en) 2001-11-07
US20010047875A1 (en) 2001-12-06
JP2001313522A (ja) 200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62562A (en) Portable radio
KR100675264B1 (ko) 이동 통신 안테나의 저주파 동작을 증강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6947000B2 (en) Antenna device and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7099631B2 (en) Mobile phone having reduced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using an antenna housed to ensure enhanced antenna gain
Pedersen et al. Integrated antennas for hand-held telephones with low absorption
IL140014A (en) Shuffled multi-frequency band
JP2005503705A (ja) 無線端末
JPH09500246A (ja) コードレス無線通信装置およびアンテナ
CA2267770C (en) A radio telephone with high antenna efficiency
RU99111750A (ru) Радиотелефон
KR20010096958A (ko) 휴대폰용 전자파 감쇠기
ATE330339T1 (de) Dielektrische antenne
CA2245882C (en) Antenna for frequencies in excess of 200 mhz
US20030001786A1 (en) Antenna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JP2001267826A (ja) 送受信ユニットのチップ型アンテナの取付構造
Kabacik et al. Broadening the bandwidth in terminal antennas by tuning the coupling between the element and its ground
KR200263230Y1 (ko) 휴대폰 안테나의 내장형 전자파 감쇄기
JP3574420B2 (ja) 携帯端末機
KR2007011256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KR100294086B1 (ko) 휴대폰안테나의강전계감쇄기
KR19990024286A (ko) 전자파차단판이 설치된 폴더형 휴대폰
JP2002353733A (ja) 無線端末装置
KR200242489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자파 차단 장치
KR20000026248A (ko)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전화용 단말기
JP3395608B2 (ja) アンテ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