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6754A -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6754A
KR20010096754A KR1020000019636A KR20000019636A KR20010096754A KR 20010096754 A KR20010096754 A KR 20010096754A KR 1020000019636 A KR1020000019636 A KR 1020000019636A KR 20000019636 A KR20000019636 A KR 20000019636A KR 20010096754 A KR20010096754 A KR 20010096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processing means
product
consumer
centr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9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정식
임창본
Original Assignee
배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정식 filed Critical 배정식
Priority to KR1020000019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6754A/ko
Publication of KR20010096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754A/ko

Links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물류의 유통 및 처리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결제, 유통 및 물류관리 등이 빠르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네트워크 운용에 관한 전반적인 제어 및 관리를 수행하는 중앙 통제수단,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에 위치하는 연계 처리수단 및 다수의 시스템 하우스에 위치하는 종단 처리수단을 온라인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제 1 단계; 상기 중앙 통제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포스트를 통해 상기 시스템 하우스로 제품을 유통시키면서 실시간으로 상기 포스트와 상기 시스템 하우스에서의 물품 재고를 파악하여 수급조절 제어를 수행하는 제 2 단계; 원활한 제품의 유통을 위해 상기 중앙 통제수단이 소비자의 요구가 있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소비자와 시스템 하우스를 연계시키는 제 3 단계; 및 소비자의 애프터 서비스 요구에 대해 상기 중앙 통제수단이 상기 시스템 하우스 및 상기 포스트에서 계층적으로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d controlling logistics network}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 유통망 설치, 인터넷 물류통제, 인터넷 전자상거래 등과 같이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통망의 형성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통망은, 사용자가 전화, 팩스, 인터넷 등과 같은 통신의 이기를 이용하여 유통에 대한 정보를 접하게 됨에 따라 점점 빠르게 정보를 접하게 되는 것에 비하여 실제 물건이 소비자에게 움직이는 속도는 상대적으로 점점 느려지고 있었다. 그리하여 인터넷을 이용하여 통신판매를 전문적으로 하는 업체가 늘어났으며, 그와 함께 택배시스템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유통망은 궁극적으로 소비자를 만족하게하는 안전한 애프터서비스를 지원하기 힘들고 발전하는 통신판매와 택배 방식에도 불구하고 단일품이 아닌 여러 기성부품을 자유로이 조립하여 여러 형태의 완성품을 만들 수 있는, 대표적으로 조립식 컴퓨터와 같은, 물류의 유통에는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여러 기성부품을 조립하여 또 하나의 완성품을 만들어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특성을 가지는 유통구조분야에서는 직접 대면하여 원하는 사양에 대한 자세한 소개와 완성품을 만든 후의 성능 및 효과를 소비자가 직접 경험하게 하고 자유롭게 기성부품을 교체할 수 있어야 하나, 통신판매 등과 같은 종래의 유통망에서는 그러한 이점을 가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재래의 유통이 가지는 문제점에 대해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본사의 물류 권한은 대리점까지만 미치고 다음 과정인 소매점엔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대리점과 소매점 사이의 물류는 통제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기존유통에서 물류는 대리점까지의 이동만을 범주에 넣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대리점에서 소매점으로 이동하는 그물망같은 물류는 제각기 복잡하고 서로 다른 여러가지 형태를 가지므로 체계적인 전산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류방식이 복잡하고 각 과정의 조건이 서로 다르므로 그에 따른 애프터서비스(A/S : After Service)의 부담도 여러 형태이고, 따라서 여러가지의 애프터서비스 조건에 맞게 처리되어야 하므로 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전통적으로 소매점의 관리는 전적으로 대리점의 고유역할로 인식되어 있어 본사의 의도가 소매점까지 미치지 못함으로 해서, 소매점의 착탈이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사에서 대리점의 재고를 파악하는데는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갈수록 급변하는 시장수요에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하고 물품의 공급수급시기를 적절하게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본사와 소매점간의 직접적인 정보교류가 불가능하고 자료가 전달되지 않으므로 실제로 소비자를 상대하는 소매점들의 의도가 제대로 본사로 반영되지 않으며, 본사는 불확실한 정보를 토대로 공급할 신제품을 선정하게 되어 광고의 영역과 비용을 확대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대리점에서 처리하지 못한 재고는 곧바로 대리점의 재정능력을 하락시키고 이익의 감소를 가져오며 결국 본사의 이익감소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본사와 소매점간에 생기는 이질감으로 브랜드 공유에 대한 공동의식이 미흡하고 단체 소속의식이 없어 시장에서 공동구입 및 시장행위를 공동으로 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해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종래의 조립식 컴퓨터의 유통 흐름에 대한 설명예시도이다.
조립식 컴퓨터의 유통망에 있어서, 우선, 각각의 부품 등과 같은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국내 및 국외 제조사(101), 국내 및 국외 제조사(101)로부터 제품을 수입하거나 구매하는 수입업자나 도매업자(102), 수입업자나 도매업자(102)로부터 제품을 구매하여 소매점으로 넘기는 대리점(103), 대리점(103)으로부터 제품을 구매하여 처리하는 소매점인 시스템 하우스(104) 및 시스템 하우스(104)에서 제품을 구매하여 실제 사용하게 되는 소비자(105)가 관계를 가지면서 유통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시스템에서 소비자(105)가 가까이 있는 시스템 하우스(104)를 이용하는 경우 시스템 하우스(104)에서 해줄 수 있는 애프터 서비스는 쉽게 받을 수 있으나, 시스템 하우스(104)에서 처리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소비자가 시간, 요금 등에서 상당히 투자를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생산자, 도매자, 대리점 및 시스템 하우스가 각각 별도의 상점이나 회사로 존재함으로써 실제 소비자는 상당히 비싼 제품을 구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시스템 하우스(104)의 입장에서도 마찬가지로, 유통의 복잡함으로 인해 비용의 증가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시스템 하우스(104)에서는 제품을 대리점(103)에서 구입한 후에 소비자(105)에게 판매하여야 하므로, 물류 보관 등의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며, 또한, 공간 등의 문제로 소비자(105)가 원하는 만큼의 제품을 구비할 수 없으며, 제품 동향이나 시장의 전체적인 흐름 등을 빠르게 감지하여 소비자에게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제품을 국내 및 국외 제조사(101)로부터 구매하여 유통시키는 도매업자나 수입업자(102)의 측면에서는 커다란 문제이다. 즉, 물류비용이 높으며, 애프터 서비스가 어렵고, 재고관리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도매업자, 대리점 등의 다단계를 거쳐 시스템 하우스로 제품이 유통되다 보니, 그 유통의 복잡함과 다양함으로 인해 소비자가 실제 구매하는 가격이 천차만별이 되어 전체적인 판매자로서의 신용이 나빠지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또한, 인터넷 등을 통한 통신 판매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실제 제품을 보고 고르지 못하는 문제점, 택배 비용의 발생, 애프터 서비스가 용이하지 않음, 신속한 처리가 어려운 문제점 등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물류의 유통 및 처리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결제, 유통 및 물류관리 등이 빠르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조립식 컴퓨터의 유통 흐름에 대한 설명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의 단말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본사 서버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의 일실시예 관계도.
도 6a 내지 도 6c 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7a 및 도 7b 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제품 구매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회원 관리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9a 및 도 9b 는 본 발명에 따른 애프터 서비스 처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애프터 서비스 처리 과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본사 202 : 포스트
203 : 시스템 하우스 204 : 소비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물품재고 및 소비자 요구 정보를 전달받아 관리하고 이를 분석하여 해당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하위계층의 연계 처리수단 및 종단 처리수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중앙 통제수단; 상기 중앙 통제수단의 통제에 따라 요청된 제품의 유통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매개역할을 수행하며, 그에 따른 정보를 상기 중앙 통제수단에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계 처리수단;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유통망의 종단에서 소비자의 요구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중앙 통제수단과 물류 정보, 제품 판매 정보 및 소비자 요구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상기 종단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운용에 관한 전반적인 제어 및 관리를 수행하는 중앙 통제수단,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에 위치하는 연계 처리수단 및 다수의 시스템 하우스에 위치하는 종단 처리수단을 온라인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제 1 단계; 상기 중앙 통제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포스트를 통해 상기 시스템 하우스로 제품을 유통시키면서 실시간으로 상기 포스트와 상기 시스템 하우스에서의 물품 재고를 파악하여 수급조절 제어를 수행하는 제 2 단계; 원활한 제품의 유통을 위해 상기 중앙 통제수단이 소비자의 요구가 있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소비자와 시스템 하우스를 연계시키는 제 3 단계; 및 소비자의 애프터 서비스 요구에 대해 상기 중앙 통제수단이 상기 시스템 하우스 및 상기 포스트에서 계층적으로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시스템에, 네트워크 운용에 관한 전반적인 제어 및 관리를 수행하는 중앙 통제수단,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에 위치하는 연계 처리수단 및 다수의 시스템 하우스에 위치하는 종단 처리수단을 온라인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제 1 기능; 상기 중앙 통제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포스트를 통해 상기 시스템 하우스로 제품을 유통시키면서 실시간으로 상기 포스트와 상기 시스템 하우스에서의 물품 재고를 파악하여 수급조절 제어를 수행하는 제 2 기능; 원활한 제품의 유통을 위해 상기 중앙 통제수단이 소비자의 요구가 있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소비자와 시스템 하우스를 연계시키는 제 3 기능; 및 소비자의 애프터 서비스 요구에 대해 상기 중앙 통제수단이 상기 시스템 하우스 및 상기 포스트에서 계층적으로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월드와이드웹(WWW : World Wide Web) 등을 이용하여 물건을 공급하는 회사와 공급받는 회사 간에 원격으로 사이버 유통망을 형성하고 물류의 흐름을 통제함으로써 직접적으로 소비자를 대면하여 유통에 참여하는 종사자들에게 유통원가를 절감하고 가격, 재고 등의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유통정보를 습득하는 비용을 절감하고 전자적으로 결제함으로써 금융비용을 절감하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재래방식의 유통방식에서 이점을 최대한 살리면서 고속 통신망인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유통에 필수적인 물류의 비용을 최소화하며 소비자를 대면하는 유통인의 이익을 보장함으로써 실제 소비자에게 저렴하게 물건을 공급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사후 애프터 서비스(A/S : After Service) 문제와 소비자의 구미에 맞는 기성부품 조립완성품 유통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실제 전자결제부분과 물건의 이동경로를 개념적으로 완전히 분류하여 인터넷이라는 통신과 실제적으로 접목시키는 부분을 기술적으로 해결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 제시하고자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의 구조는, 하나의 본사(201) 아래에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202), 그리고 포스트(202) 아래에 다수의 시스템 하우스(20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사(201)는 전체적인 관리와 중앙 관리가 이루어지는 본사의 시스템을 지칭한다. 포스트(202)는 기존의 대리점 기능과 본사(201)의 시스템 하우스(203)를 향한 전진기지라는 의미를 결합한 것이다. 시스템 하우스(203)는 기존의 시스템 하우스와 동일하다.
우선, 본사의 시스템(201)은, 포스트(202) 및 시스템 하우스(203)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수시로 필요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고, 포스트(202) 및 시스템 하우스(203)를 총괄하여 데이터를 관리하게 된다. 기존에는 본사(201), 포스트(202) 및 시스템 하우스(203) 각각이 분리되어 별도로 동작하고 활동함으로해서 종합적인 방향 정리 부족, 물류 및 보관비 증가, 애프터 서비스 등의 복잡성이 있었지만 이를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공유하고 정보의 흐름을 빠르게 함으로써 해결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쇼핑몰을 개설하고 이를 시스템 하우스(203)와 연계하도록 하여 기존의 쇼핑몰의 물류비를 줄일 수 있고, 소비자(204)의 애프터 서비스를 쉽게 받도록 할 수 있다. 즉, 인터넷을 통해 제품 정보를 확인한 소비자(204)가 인터넷을 통해 제품 주문을 한 경우에는, 본사(201)의 시스템이 즉각 가까운 시스템 하우스(203)를 소비자(204)와 연계시켜 제품의 판매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소비자(204)는 가까운 시스템 하우스(203)를 통해 실제 제품의 확인, 애프터 서비스 이용, 구매에 대한 즉각 결제 수행 등을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사에서 제공된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가까운 시스템 하우스(203)를 확인하고 실제의 시스템 하우스(203)를 방문하여 인터넷에서 얻은 정보를 토대로 제품 구매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루어지는 시나리오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사(201)의 시스템에서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202) 및 다수의 시스템 하우스(203)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시스템 하우스(203)에서는 제품의 판매, 포스트(202)로부터의 공급, 제품 판매 및 공급에 따른 결제 등 발생하는 데이터를 즉각적으로 본사(201)의 시스템에 전달한다. 또한, 필요한 정보를 본사(201)로부터 제공받는다. 포스트(202)에서는 본사(201)로부터 주어지는 정보에 따라 시스템 하우스(203)에 제품을 공급한다.
이때의 포스트(202)는 중간 물류 거점으로써의 의미를 가지며, 실제에 있어서 포스트(202)는 시스템 하우스(203)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제시된 소비자(204)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여기서 말하는 소비자(204)는 본사(201)에서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소비자에 대해 정보를 나타낸다. 각각의 시스템 하우스(203)에서도 독자적으로 연계된 소비자를 관리할 수 있지만, 본사(201)의 시스템이 총괄하여 이를 관리하고, 시스템 하우스(203)는 그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소비자(203)는 제공된 인터넷 쇼핑몰 등을 통해 가입한 잠재 고객일 수도 있으며, 실제 제품을 구매한 구매자일 수도 있고, 유사 상품의 구매로 발생된 잠재 고객일 수도 있다. 관리되는 소비자(204)는 해당하는 시스템 하우스(203)에 연동되는데, 이는 소비자(204)의 직장, 집 등의 지리적 위치, 사회적 환경 등에 의해 최적화될 수 있다.
물류의 측면에서 바라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품 진열 및 소비자의 방문 시에 제시될 최소한의 제품만을 구비한다. 이는 본사(201)에서 시스템 하우스(203)에 있는 재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가지고 있으므로 그의 변동을 포스트(202)와 연동하여 빠르게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사(201)에서는 시스템 하우스(203)의 데이터에 대한 통계 및 분석을 통해 전반적인 필요량의 예측이 가능하고, 이는 시스템 하우스(203)에서 본사(201)의 정보를 이용하여 마찬가지로 파악이 용이하다. 본사(201)에서는 하나의 시스템 하우스(203)만의 데이터를 가지는 것이 아니므로 전체적인 판단이 가능하고,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기 용이하므로 보다 확실한 정보를 가지게 되며 이를 시스템 하우스(203)에 제시할 수 있어, 시스템 하우스(203)에서는 최소한의 제품만을 보관하도록 하여 재고를 극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하우스(203)에서 발생하는 예측 밖의 상황이나 일상적인 시스템 하우스(203)의 제품 주문에 대해 본사(201)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이를 시스템 하우스(203)에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즉, 포스트(202)는 소매점을 관리하는 중간 거점이 될 수 있으며, 물류의 빠른 흐름을 위한 물류 보관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포스트(202)에서의 과다한 재고도 비용 증가로 연결되므로, 시스템 하우스(203)와 마찬가지로 본사(202)의 시스템과의 지속적인 정보 교환을 통해 적정량의 제품을 관리하도록 한다.
예측 외적인 제품의 수요 증가 시에는 본사(201) 시스템의 중계에 의해 가까운 다른 포스트(202)를 통해서도 제품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는 본사(201), 포스트(202) 및 시스템 하우스(203) 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의 빠른 전달로 실시간 재고 파악이 가능하고, 수요 예측이 용이해 시스템 하우스(203)나 포스트(202)에서의 정확한 오더(order)가 가능함을 말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애프터 서비스의 측면에서 바라보면 다음과 같다.
소비자(204)의 요구가 있는 경우, 일단 해당 시스템 하우스(203)에서 처리한다. 소비자(204)가 시스템 하우스(203)로 연락한 경우는 본사(201)로 즉각 정보를 제공하고, 본사(201), 인터넷 쇼핑몰 등 다른 곳에서 전달된 소비자(204)의 애프터 서비스 요구는 해당하는 시스템 하우스(203)로 전달되어 처리가 이루어진다. 시스템 하우스(203)에서 처리되지 못한 애프터 서비스 요구나, 시스템 하우스(203)에서발생한 애프터 서비스 요구가 있을 경우에는 포스트(202)에서 보다 정밀하게 확인하여 처리한다. 그리고, 포스트(202)에서도 처리되지 못한 애프터 서비스 요구의 경우에 본사(201)나 생산업자와 연계하여 처리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애프터 서비스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아주 간단하고 용이한 처리가 소비자(204)의 기다림없이 즉각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애프터 서비스를 위해 제시된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인터넷 쇼핑몰에서 제품을 산 후, 애프터 서비스를 위해 택배로 그 제품을 반송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애프터 서비스에 포함될 수 있는 경우로, 소비자(204)가 상담을 요구하는 경우이다. 해당되는 가까운 시스템 하우스(203)를 통해 처리해 줌으로써 소비자(204)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소비자(204)가 방문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에도 그 응대가 용이하다.
비용 결제의 측면에서 바라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소비자(204)가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해 접근한 경우에는 금융기관을 통해 자동납부, 자금이체 등으로 처리될 수 있으며, 인터넷에서의 신용카드 결제 등이 가능하다. 또한, 소비자(204)가 직접 결제를 선택할 시에는 해당하는 시스템 하우스(203)에서 제품의 인도와 함께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소비자(204)가 해당하는 시스템 하우스(203)를 통해 접근하여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제품의 인도와 함께 즉각 결제를 할 수 있고, 금융기관을 통한 자동납부, 자금이체 및 신용카드 결제 등이 가능하다.
상기한 유통, 애프터 서비스 및 결제 등에 대해서는 아래에 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의 단말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구성도이다.
도 3 을 통해 설명하고자 하는 포스트의 단말장치는 시스템 하우스에서도 동일하게 사용된다.
포스트의 단말장치는, 중앙 처리부(301), 인터넷 프로토콜 처리부(302), 암호화 처리부(303), 인터페이스부(304), 집적회로(IC : Intergrated Circuit) 카드리더(305), 입력부(306), 출력부(307) 및 접속부(30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입력부(306)는 키보드 및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입력부(306)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게 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304)에 연결된 중앙 처리부(301)와 이에 의해 동작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처리부(302)가 있다. 중앙 처리부(301)는 인터페이스부(304)를 통해 입력된 내용을 해당장치가 처리하도록 각 장치를 동작하도록 한다. 인터넷 프로토콜 처리부(302)는 인터넷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프로토콜에 대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필요하다.
단말장치는 중앙 처리부(302)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고, 인터넷 프로토콜 처리부(302)에 의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브라우저를 출력부(307)를 통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브라우저는 하이퍼미디어 문서(HyperMedia Text) 등을 검색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도구이다. 하이퍼미디어 문서는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로 기술한 문서이다.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는 브라우저가 인식하고 해석해야하는 하이퍼미디어 문서 저작언어이다. 브라우저는 인터넷상의 모든 문서를 검색하여 그 문서의 내용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모니터 등과 같은 출력부(307)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단말장치는, 인터페이스부(304)와 인터넷 사이에 연결된 접속부(308)와 인터페이스부(304)에 연결된 출력부(307)를 구비한다. 접속부(308)는 인터넷망에 연결되도록 한 모뎀 및 네트워크 어댑터 등이다. 출력부(307)는 브라우저가 검색한 내용을 디스플레이하거나 프린트할 수 있도록 모니터나 프린터 등의 다양한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단말장치는 사용자를 확인하고 보안을 보장하기 위하여 IC카드의 정보를 읽을 수 있는 IC카드 리더기(305)를 구비한다, IC카드란 IC가 내장된 보관과 휴대가 가능한 카드형태로 IC내부에 소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메모리와 처리기능을 가진다.
암호화 처리부(303)는 인터넷상에서 사용자의 개인정보나 신용정보 등을 전송하거나 수신할 때 안전한 보안을 위해 암호와 기법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암호화 하거나 해독처리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본사 서버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구성도이다.
본사 시스템인 본사 서버의 구성은, 접속부(401), 인터페이스부(402), 암호화 처리부(403), 중앙 처리부(404), 인터넷 프로토콜 처리부(405),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6), 웹 처리부(407), 데이터베이스(408) 및 공통 게이트웨이(CGI :Common Gateway Interface) 처리부(409) 등으로 이루어진다.
서버장치는 인터넷에 접속된 접속부(401)와 입력된 내용을 해당장치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402)를 구비한다. 또한, 이 장치는 인터페이스부(402)를 통해 입력된 내용을 해당장치가 처리하도록 하는 중앙처리부(404)와 인터넷프로토콜 처리부(405)를 구비한다. 서버장치는 중앙처리부(404)에 의해 동작하고, 인터넷프로토콜 처리부(405)에 연동하여 운용되는 웹 처리부(407)를 구비한다.
웹 처리부(407)는 하이퍼텍스트 전송규약에 따라 브라우저가 요청한 데이터를 전송한다. 하이퍼텍스트 전송규약은 브라우저와 서버간의 통신규약을 정의한 것이다.
서버장치에는 웹 처리부(407)와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6) 사이에 CGI 처리부(409)가 연결된다. CGI 처리부(409)는 CGI의 기능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작업할 수 있도록 전자결제와 물류처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회원사를 통제하며, 처리한 작업을 분석한다. CGI는 사용자들의 일반적인 오류행위를 미리 단속하고 그에 해당하는 오류메시지를 통보한다. 또한 서버장치에는 CGI 처리부(409)와 데이터베이스(408) 사이에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6)가 연결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6)는 중앙처리부(404)에 의해 동작하고, 데이터베이스(408)을 참조하여 CGI처리부(207)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장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6)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408)를 구비한다. 데이터베이스(408)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6)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데이터베이스 관리부(406)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암호화 처리부(403)는 인터넷상에서 사용자의 개인정보나 신용정보 등을 전송하거나 수신할 때 안전한 보안을 위해 암호화 기법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암호화 하거나 해독처리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의 일실시예 관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은 소비자(501), 하우스(502), 포스트(503), 본사(504), 카드사(505) 및 인터넷(506)의 연결 관계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여기서, 하우스(502)는 상기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시스템 하우스를 가리킨다.
도면에 제시된 연결 관계는, 정보공유, 전자결제, 현금이동 및 물건이동 등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정보공유에 있어서는, 소바자(501), 하우스(502), 포스트(503), 본사(504) 및 카드사(505) 등의 각 구성요소에서 사용자는 인터넷(506)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며 그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즉, 소비자(501)는 인터넷(506)을 통해 본사(504)에서 제공한 정보를 받을 수 있으며, 하우스(502)와 포스트(503)는 인터넷(503)을 통해 본사(504)와 정보를 공유한다. 또한, 소비자(501)가 인터넷(506)을 통해 본사(504)로 요청한 구매, 애프터서비스, 문의 등의 정보를 소비자(501)에게 직접 전달할 수도 있지만, 본사(504)가 소비자(501)와 실제적 접촉이 가능한 하우스(502)로 전달하면 하우스(502)에서 소비자(501)와의 접촉을 통해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구매, 수리, 보관 등에 따라 발생하는 금융 정보를 인터넷(506)을 통해 카드사(505)와 연계하여 본사(504)에서 처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결제의 측면에서 바라본다.
소비자(501)가 물품을 구매하거나, 비용이 발생하는 애프터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등에서 소비자(501)는 직접 자금이체, 고지서 이용 등을 통해 은행과 연계하여 본사(502)에 대금을 납부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501)는 카드사(505)와 연계하여 인터넷(506)을 통해 대금을 납부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501)는 물품의 인도, 애프터서비스에 대한 확인 등이 이루어진 후에, 하우스(502)에 대금을 납부하고, 하우스(502)는 이를 전자결제 형식으로 본사(504)에 전달하고, 본사(504)는 카드사(505)로 이를 통보하여, 카드사(505)가 해당 금액을 본사(504)로 전달토록 할 수 있다. 소비자(501)가 하우스(502)에서 신용카드 처리를 한 경우에도 이와 같이 진행된다.
소비자(501)가 하우스(502)에 현금으로 대금을 지불한 경우에 하우스(502)에서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현금을 본사(504)로 바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물건의 이동은 기본적으로 본사(504)에서 포스트(503)로, 포스트(503)에서 하우스(502)로, 하우스(502)에서 소비자(501)에게로의 이동이다. 이때, 물건의 유통비용 절감, 재고 절감 및 그에 따른 비용 절감 등을 위해 네트워크와 컴퓨터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c 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 는 포스트나 시스템 하우스에서 구비하는 네트워크를 통한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의 구성 요소에 대해 해당 사용자가 그를 이용하여 본사의 서버 등으로 네트워크 연결하여 처리하는 것에 대한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하면, 도 6a 내지 도 6c 는 도 3 과 도 4 에서 제시된 장치들 중 본 발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도면 3의 인터페이스, 도면 4의 인터페이스와 서버의 통제처리를 중심으로한 동작의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a 는 포스트나 시스템 하우스에서 본사의 인터넷 유통 처리 시스템에 접근해서 보안과정을 거치고, 본인정보 확인과정을 거쳐, 포스트 모드와 하우스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까지를 그리고 있다.
본사에서 지급한 IC카드 리더기를 설치한 후, 본사의 인터넷 유통망에 접속하면 포스트나 시스템 하우스의 사용자에게 발급된 인증된 IC카드인지의 여부를 IC카드에 기록되어있는 정보를 분석하여 확인한다(601). 확인 결과, IC카드가 설치되지 않은경우나 IC카드에 대한 확인이 않될 경우, IC카드 인증 에러에 해당되는 메시지를 작성하여(602), 사용자에게 통보한다(603).
확인 결과, 인증된 IC카드이면, IC카드 리더기를 통해 이를 확인한 후에 회원(본사, 포스트, 하우스)의 개인 또는 회사 식별자(ID)와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인증된 식별자(ID)와 비밀번호인지를 판단한다(604). 판단 결과, 인증된 식별자(ID)와 비밀번호가 아니면, 해당되는 인증 에러 메시지를 작성하여(602), 사용자에게 통보한다(603).
판단 결과, 인증된 식별자(ID)와 비밀번호이면, 그 다음으로 자기자신의 정보를 확인할 것인지 업무모드로 갈것인지를 선택받아 이를 점검한다(605).
점검 결과, 사용자가 본인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는 데이터베이스(DB : DataBase)에서 자료를 취합하여(606), 웹문서로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607).
점검 결과, 사용자가 본인정보를 확인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하우스 모드로 작업할 것인가 포스트 모드로 작업할 것인가를 선택한다(304). 포스트에서의 사용자일 경우는 하우스모드와 포스트모드 둘 다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택을 확인한 결과, 사용자가 하우스 모드로 작업하는 경우에는, 도 6b를 통해 처리 흐름을 설명한다.
사용자의 선택을 확인한 결과, 사용자가 포스트 모드로 작업하는 경우에는 도 6c를 통해 처리 흐름을 설명한다.
우선, 도 6b의 사용자가 하우스 모드로 작업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하우스 업무모드를 선택할 경우, 물품구입신청을 할 것인지 카드승인요청을 할것인지 선택하도록 하여, 그 결과를 확인한다(609).
사용자가 구입신청을 하면 신청한 하우스의 정보를 이미 구축해놓은 DB에서 탐색한다(610). 그리고 해당 하우스에 적용될 물품 가격과 상세한 설명자료를 웹문서 형태로 작성하여(611), 구매신청 양식과 함께 사용자에게 알려준다(612).
하우스의 사용자는 제공된 정보를 보고 어떤물품을 얼마나 살것인지를 결정하게되고, 인터넷으로 구매신청을 하게된다. 서버는 구매신청자료를 전자적으로 접수받아(613), 조직관리부의 통제를 거쳐 합격여부를 결정하여 그 결과를 확인한다(614).
여기서, 조직관리부의 통제라는 것은, 하우스의 등급에 따라 공급가격을 차등 적용하게 되며, 거래승인 조정으로 승인통제를 하며, 신용도 검사를 통해 거래에 반영하고, 거래횟수 및 거래금액 등을 누적하여 하우스점수에 반영하고, 사고금액 및 사고횟수 등에 대한 누적으로 신용도에 반영하며, 카드승인보유금액으로 거래실적을 조사하고, 현금송금보유금액으로 전자머니 상여금을 반영하며, 전자머니적용금액으로 구매혜택을 부여하며, 마일리지점수로 하우스점수를 반영하는 등의 조직관리부의 통제를 말하며, 이를 통해 본사의 서버는 사용자에 대한 평가를 내리고 물품 구매에 있어서 통제를 하게 되는 것이다.
조직관리부의 통제에 따라 결정된 합격 여부를 확인한 결과, 불합격 시에는 불합격사유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작성하여(615), 하우스의 사용자에게 통보한다(616).
조직관리부의 통제에 따라 결정된 합격 여부를 확인한 결과, 조직관리부의 통제에서 합격한 하우스는 물류통제부의 통제를 거쳐 결정된 합격여부를 점검한다(617). 여기서, 물류통제부의 통제라는 것은, 하우스의 일별, 주별, 월별 카드구매 제한금액을 설정하고, 포스트의 재고상한금액 및 포스트의 재고하한금액을 설정하는 등의 물류통제부에서 이루어지는 통제를 말하며, 이를 통해 조직관리부의 통제와 마찬가지로 본사의 서버는 사용자에 대한 평가를 내리고 물품 구매에 있어서 통제를 하게 되는 것이다.
물류통제부의 통제를 거쳐 결정된 합격여부에 대해 점검한 결과, 불합격 시에는 불합격사유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작성하여(615), 하우스의 사용자에게 통보한다(616).
물류통제부의 통제를 거쳐 결정된 합격여부에 대해 점검한 결과, 물류통제부의 통제에 합격한 경우에, 서버는 물류통제까지 합격한 하우스의 구매신청을 받아들여 해당 하우스의 자료에 신청된 사항을 추가한다(618). 이 두 통제 모듈에서 어느 정도 기본적인 구매신청을 자동으로 승인하고 처리하기 때문에 본사와 많은 수의 하우스간의 처리가 가능하고, 이 점에 있어서 인터넷이라는 광역망이 필수적이다.
서버는 구매신청이 승인된 사항을 포스트에서 출고확인을 했는지를 반복적으로 검사한다(619).
검사 결과, 확인되는 출고가 없으면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서버가 구매신청이 승인된 사항을 포스트에서 출고확인을 했는지를 검사하는 과정(619)부터 반복 수행한다.
검사 결과, 출고가 확인되면 이동된 물건들에 대한 정보를 DB에 갱신하고(620), 해당 하우스가 어떠한 물품을 얼마만큼 출고했는지를 DB에 기록한다(621). 즉, 시스템 하우스에서 물품 정보와 포스트에서의 물품 정보를 서버의 DB에 갱신 관리한다.
사용자로부터 물품구입신청을 할 것인지, 카드승인요청을 할 것인지에 대해 선택받아 확인한 결과, 하우스의 사용자로부터 카드승인 요청을 받은 경우에는, 신청한 하우스의 정보와 승인요청 관련 자료를 DB에 기록하고(622), 카드 승인을 위한 전용선을 통해 이미 가입된 카드사로 카드사용승인 신청을 한 후(623), 승인여부를 통보받아 확인한다(624).
확인 결과, 카드사용이 승인되지 않았으면, 카드사용이 승인되지 않은 사유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작성하여(615), 하우스의 사용자에게 통보한다(616).
카드사용이 승인되면 하우스에게 승인되었음을 통보하고(625), 카드승인된 정보를 DB에 갱신한다(626).
다음으로 도 6c를 통해 사용자가 포스트 모드에서 작업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는 우선적으로, 본사의 서버에서 사용자를 인증할 때 포스트 사용자로써 인증을 받은 후에 가능하다. 이는 상기한 하우스 모드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그 경우에는 사용자가 하우스 사용자로써 인증을 받은 후에 그 이용이 가능하다.
포스트의 사용자가 포스트 모드로 작업을 선택하면 출고작업, 입고작업, 그리고 포스트모드의 자기정보 확인작업 중에서 진행하고자 하는 작업을 선택한다(627).
포스트의 사용자가 출고작업을 선택할 경우 해당 포스트관리하에 있는 하우스의 구매신청 자료를 DB에서 검색하고(628), 포스트가 출고확인을 인증할 때까지 반복하여 확인한다(629).
출고확인이 인증되면 출고내용을 하우스자료에 적용하여 DB를 갱신하고(630), 물류자료에 적용하여 물류정보에 대한 DB를 갱신한 후(631), 출고/입고/확인의 작업을 선택하는 과정(627)부터 반복 수행한다.
사용자가 출고/입고/확인작업 중에서 진행하고자 하는 작업을 선택받아 확인한 결과, 입고작업을 선택할 경우 DB에서 입고예정자료를 검색하여(632), 포스트가 입고확인을 인증할 때까지 반복하여 확인한다(633). 입고확인이 인증되면 입고내용을 물류자료에 적용하여 DB를 갱신한 후(634), 출고/입고/확인의 작업을 선택하는 과정(627)부터 반복 수행한다.
사용자가 출고/입고/확인작업 중에서 진행하고자 하는 작업을 선택받아 확인한 결과, 포스트의 자기정보 확인작업을 선택한 경우에는, 서버의 DB에서 관련정보를 찾아 이를 웹문서로 구성하고(635), 이를 포스트의 사용자에게 통보한다(636). 그리고, 출고/입고/확인의 작업을 선택하는 과정(627)부터 반복 수행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출고/입고/확인 작업이 반복적으로 진행되도록 하였으나, 이는 선택적인 상황으로 일단 처리가 이루어진 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반복 작업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종료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작업이 끝난 후에는 인증작업이나, 포스트나 하우스에서의 작업을 선택하는 과정부터 반복 수행할 수도 있다.
도 7a 및 도 7b 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제품 구매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7a 는 소비자의 제품 구매에 대하여 설명하며, 도 7b 는 시스템 하우스의 제품 구매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7a 를 통해 사용자의 제품 구매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비자의 제품 구매는, 2 가지 방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소비자가 본사에 연결하여 제품 구매를 요청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소비자가 시스템 하우스로 제품 구매를 요청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첫번째로, 소비자는 본사로 네트워크를 통해 제품 구매를 요청한다(701). 본사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 이를 기록한 후 시스템 하우스에 사용자의 제품 구매 정보를 전달한다(702).
대금 납부에 있어서도 본사에 대금을 온라인 납부하는 방식과 시스템 하우스에 납부하는 방식이 있다. 도 7a 를 통해서는 이 두가지를 모두 설명한다.
소비자는 제품 구매 요청과 동시에 본사로 대금을 납부할 수 있어서, 본사로 대금을 납부한다(703). 그러면, 본사에서는 시스템 하우스에 전달해야할 대금을 소비자의 대금 납부 사실과 함께 시스템 하우스로 통지한다(704).
시스템 하우스에서는 제품을 소비자에게 전달한다(705). 소비자가 제품 구매 요청하면서, 본사에 대금 납부는 하지 않았다면 시스템 하우스는 소비자에게 대금을 수령한다(706). 시스템 하우스는 본사로 제품 구매에 따른 처리 결과를 전달한다(707).
본사에서는 소비자의 제품 구매 요청부터 제품 인도 및 대금 수령의 전반적인 상황에 대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소비자 및 시스템 하우스에 대한 정보로써 이를 관리한다.
두번째로, 소비자가 시스템 하우스를 통해 제품 구매를 요청하여 이루어지는 경우를 설명한다.
소비자는 제품 구매 요청을 시스템 하우스로 한다(711). 이때는 실제 방문하여 제품구매 요청을 할 수도 있고, 전화, 인터넷, 팩스 등의 통신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시스템 하우스에서는 제품을 소비자에게 전달하고(712), 소비자로부터 대금을 납부받는다(713). 그 후, 시스템 하우스에서는 본사로 제품 판매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여, 본사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소비자 및 시스템 하우스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714).
소비자가 대금 납부를 본사로 직접하고, 제품 구매는 시스템 하우스를 통하는 경우에는, 소비자가 납부한 대금을 본사에서 확인하여(715), 시스템 하우스에 대금 납부 사실 및 해당 금액을 전달하게 된다(716).
물론, 이러한 대금 납부의 이원화의 경우에는 우선, 소비자가 대금 납부를 본사로 한 후, 본사의 통보를 받은 시스템 하우스가 제품을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7b 를 통해 시스템 하우스의 제품 구매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스템 하우스의 제품 구매에 있어서도 두 가지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첫째로, 시스템 하우스가 본사로 제품 구매를 요청하는 경우, 그리고, 두번째로 포스트로 제품 구매를 의뢰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시스템 하우스가 본사로 제품 구매를 요청하게 된다.
시스템 하우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본사로 제품 구매를 요청한다(751). 본사에서는 시스템 하우스의 제품 구매에 대한 정보를 포스트로 전달하여(752), 포스트에서 제품을 출고하여 해당하는 시스템 하우스로 전달한다(753). 그리고, 포스트는 제품 전달 사실을 본사로 통보한다(754). 또한, 시스템 하우스에서는 본사에 대금을 납부하고 제품 수령에 대해 통보한다(755).
다음으로, 시스템 하우스에서 포스트로 제품 구매 요청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시스템 하우스는 포스트로 제품 구매를 요청한다(761). 포스트는 시스템 하우스의 제품 구매 요청을 본사로 통보한다(762). 포스트는 제품을 출고하여 시스템 하우스로 전달한다(763). 포스트는 제품 전달 사실에 대해서도 본사로 통보한다(764).
시스템 하우스는 본사에 대금을 납부하고 포스트로부터의 제품 수령에 대해 통보한다(765).
본사의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모두 기록하여, 시스템 하우스 및 포스트에 대한 정보로써 관리한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회원 관리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되는 유통망을 통해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 및 앞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소비자를 회원으로써 본사에서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소비자의 회원 가입에 있어서도 두가지 방식이 있다. 첫째는 네트워크를 통해 본사로 직접 가입하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소비자가 시스템 하우스를 통해 회원에 가입하는 경우이다. 이는 제품 구매와 동시에 회원으로 가입할 수도 있고, 일단 회원으로써만 가입하는 경우이다.
첫째로, 소비자는 네트워크를 통해 본사로 회원 가입에 대해 통지한다(801). 본사에서는 회원 가입에 대한 사실을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리한다(802). 그리고, 소비자와 연계될 시스템 하우스에 이 사실을 통보한다(803).
다른 방법으로 소비자는 시스템 하우스를 통해 회원에 가입한다(811). 시스템 하우스는 본사로 소비자의 회원 가입을 통보한다(812). 본사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 회원으로 가입한 소비자의 정보를 저장한다(813).
도 9 및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방법에 있어서의 애프터 서비스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애프터 서비스의 경우에 있어서도, 소비자가 본사로 요청하는 경우와 시스템 하우스로 요청하는 두 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도 9a 및 도 9b 를 통해서는 본사를 통해 애프터 서비스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도 10 에서는 시스템 하우스를 통해 애프터 서비스를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 는 본 발명에 따른 애프터 서비스 처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우선, 소비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본사로 애프터 서비스(A/S)를 요구한다(901). 본사에서는 소비자의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하는 시스템 하우스로 소비자의 애프터 서비스(A/S) 요구에 대하여 전달한다(902).
소비자와 해당 시스템 하우스는 거리적 위치, 교통적인 위치 등의 사정을 감안하여 연계하도록 한다.
사용자를 방문하여 애프터 서비스(A/S) 작업을 수행하여(903), 애프터 서비스(A/S) 처리가 되는지를 확인한다(904). 확인 결과, 애프터 서비스(A/S) 처리가 되었으면 이를 소비자에게 확인시켜 애프터 서비스(A/S)를 완료한 후, 본사로 애프터 서비스(A/S) 처리가 되었음을 통보한다(905).
확인 결과, 애프터 서비스(A/S) 처리가 되지 않았으면, 제품을 시스템 하우스로 수거하고, 그 결과를 본사로 통보한다(906). 그리고, 시스템 하우스에 그 제품에 대해 작업을 수행한다.
시스템 하우스에서 수리나 교환 등으로 애프터 서비스(A/S) 처리가 가능한지를 판단한다(907). 판단 결과, 처리가 되면 이를 처리하여, 처리된 제품을 소비자에게 전달하고(908), 애프터 서비스(A/S) 처리되었음을 본사로 통보한다(905). 본사의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애프터 서비스(A/S) 처리 및 그 결과에 대해 기록하여 관리한다.
시스템 하우스에서 애프터 서비스(A/S) 처리가 가능한지를 판단한 결과, 불가능하면, 제품을 포스트로 전달하고, 그 결과에 대해서는 본사로 통보한다(909).
포스트에서는 시스템 하우스와 마찬가지로 애프터 서비스(A/S)가 요구된 제품에 대해 수리나 교환 등으로 처리가 가능한지를 점검한다(910). 점검 결과, 애프터 서비스(A/S) 처리가 가능하면, 제품에 대해 수리나 교환하여 처리하고, 이를 시스템 하우스를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한다(911). 또한, 포스트는 그러한 사실을 본사로 통보한다(905). 시스템 하우스에서도 포스트에서 애프터 서비스된 제품을 전달받아 소비자에게 전달하였음을 본사로 통보한다.
포스트에서 처리가 가능한지를 점검한 결과, 포스트에서의 처리가 불가능하면, 제품을 본사로 전달하고 그러한 사실을 본사로 통보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관리하도록 한다(912).
본사에서는 제품을 전달받아 제품의 수리나 교환을 수행하고 포스트와 시스템 하우스를 거쳐 소비자에게 전달한다(913). 포스트는 애프터 서비스(A/S) 요구된 제품의 시스템 하우스로의 처리 결과를 본사에 통보한다.
시스템 하우스는 애프터 서비스(A/S) 요구된 제품을 소비자에게 전달하고, 처리된 그 결과를 본사에 통지한다(914).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애프터 서비스 처리 과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시스템 하우스로 애프터 서비스(A/S)를 요구하면(1001), 시스템 하우스는 애프터 서비스(A/S) 의뢰에 대해 본사에 통보하고(1002), 소비자를 방문하여 애프터 서비스(A/S) 작업을 수행한다(1003). 그리고, 애프터 서비스(A/S) 처리가 되는지를 확인한다(1004). 확인 결과, 애프터 서비스(A/S) 처리가 되었으면 이를 소비자에게 확인시켜 애프터 서비스(A/S)를 완료한 후, 본사로 애프터 서비스(A/S) 처리가 되었음을 통보한다(1005).
확인 결과, 애프터 서비스(A/S) 처리가 되지 않았으면, 제품을 시스템 하우스로 수거하고, 그 결과를 본사로 통보한다(1006). 그리고, 시스템 하우스에 그 제품에 대해 작업을 수행한다.
시스템 하우스에서 수리나 교환 등으로 애프터 서비스(A/S) 처리가 가능한지를 판단한다(1007). 판단 결과, 처리가 되면 이를 처리하여, 처리된 제품을 소비자에게 전달하고(1008), 애프터 서비스(A/S) 처리되었음을 본사로 통보한다(1005). 본사의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애프터 서비스(A/S) 처리 및 그 결과에 대해 기록하여 관리한다.
시스템 하우스에서 애프터 서비스(A/S) 처리가 가능한지를 판단한 결과, 불가능하면, 제품을 포스트로 전달하고, 그 결과에 대해서는 본사로 통보한다(1009).
포스트에서는 시스템 하우스와 마찬가지로 애프터 서비스(A/S)가 요구된 제품에 대해 수리나 교환 등으로 처리가 가능한지를 점검한다(1010). 점검 결과, 애프터 서비스(A/S) 처리가 가능하면, 제품에 대해 수리나 교환하여 처리하고, 이를 시스템 하우스를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한다(1011). 또한, 포스트는 그러한 사실을 본사로 통보한다(1005). 시스템 하우스에서도 포스트에서 애프터 서비스된 제품을 전달받아 소비자에게 전달하였음을 본사로 통보한다.
포스트에서 처리가 가능한지를 점검한 결과, 포스트에서의 처리가 불가능하면, 제품을 본사로 전달하고 그러한 사실을 본사로 통보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관리하도록 한다(1012).
본사에서는 제품을 전달받아 제품의 수리나 교환을 수행하고 포스트와 시스템 하우스를 거쳐 소비자에게 전달한다(913). 포스트는 애프터 서비스(A/S) 요구된 제품의 시스템 하우스로의 처리 결과를 본사에 통보한다.
시스템 하우스는 애프터 서비스(A/S) 요구된 제품을 소비자에게 전달하고, 처리된 그 결과를 본사에 통지한다(1014).
상기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이 가지는 장점을 기존의 유통망과 비교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존의 유통망과 상기한 실시예를 통해 제시한 유통망을 비교한다.
기존의 유통망은, 기본적으로 정보공유가 미비하다. 따라서, 가격정보가 비탄력적이다. 그러므로, 소매상 등에서는 제품을 고가에 매입할 수 밖에 없고, 소매상에서는 소비자에게 고가에 제품을 팔 수 밖에 없게 되며, 소비자는 이러한 고가의 제품을 파는 소매상을 외면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결국은 소매상, 도매상, 생산자 모두가 저조한 매출에 허덕일 수 밖에 없는 결과를 낳는 문제점을 지닌다.
이와 반대로, 상기한 실시예를 통해 제시한 본 발명은, 유통망의 전 부분에서 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가격정보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하며, 본사, 시스템 하우스 등에서는 저가에 제품을 매입하여, 매출가를 적정한 선에서 조정한 후, 소비자에게 이를 알려 소비자를 유도함으로써 결국은 매출 증대를 가져오게 된다. 여기서, 매출가의 조정은 정보의 공유를 통해 얻는 이득에, 물류보관비의 절약으로 얻는 이익을 포함하여 보다 저렴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뜻을 포함한다.
둘째로, 기존 인터넷 쇼핑몰과 상기한 실시예를 통해 제시한 본 발명에서의 인터넷 쇼핑몰을 비교한다.
우선, 기존의 인터넷 쇼핑몰은, 직접적인 소비자와의 접촉이 힘들다. 즉, 인터넷을 통해서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상품정보를 제공하는데도 한계가 있다. 소비자의 능력과 지식으로 상품을 선택하여야 하며, 구입 후 후회하는 경우에 반품이 용이하지 않다. 그러므로 소비자가 이를 신뢰하고 이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상기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는 본 발명에서의 인터넷 쇼핑몰은, 시스템 하우스와 소비자가 접촉하도록 유도하여, 상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제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소비자의 신뢰를 획득하기 쉽다. 또한, 소비자와의 용이한 접촉으로 애프터 서비스(A/S)에 대한 만족을 유도할 수 있고, 소비자는 인터넷 쇼핑몰을 가까운 소매점처럼 이용할 수 있어 소비자에게 만족감을 주기에 보다 용이하다.
세번째로, 기존의 소매점과 상기한 실시예를 통해 제시하는 본 발명의 시스템 하우스를 비교한다.
기존 소매점은 시장정보가 미비하고, 따라서, 빠른 컴퓨터시장의 변화에 적응이 어려우며, 결과적으로 악성 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지닌다. 여기서, 컴퓨터시장을 예로 들었지만, 이외에도 여러 제품에서도 유사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시스템 하우스는 취합 분석된 신속한 시장정보를 습득하여, 빠르게 시장에 적응할 수 있으며, 재고는 최소화하게 된다.
네번째로 기존 도매점과 상기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포스트를 비교한다.
기존의 도매점은 과대한 재고유지로 현금흐름이 둔화되고, 따라서 시장적응에 둔하고, 결국 이는 재고가 더욱 증가하여 악성으로 남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포스트는, 본사 소유로 물류관리를 수행하여, 현금유동성 저하를 방지하고, 기존 유통과 공유하여 재고를 최소화한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유통사와 상기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본사를 비교한다.
기존 유통사는 소매점에 대한 정보가 미비하고, 소매점 관리는 불가능하며, 일방적인 유통관리를 수행하게 되며, 이는 소매점의 유통사에 대한 외면을 가져오고, 결과적으로 소매점으로부터의 정보는 단절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본사의 개념은, 소매점과 직접적인 교류가 가능하여, 소매점과 수시로 정보를 교류하고, 이를 의사결정자료로서 취합하고, 유통에 적용시켜, 소매점에 그 이익을 재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유통망을 형성하고 전체적으로 제어 관리함으로써, 본사의 권한 및 책임이 명확하여 본사, 포스트 및 하우스간의 업무 처리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대리점과 소매점의 관계를 그대로 포스트와 하우스의 관계로 승화시키면서 본사와 하우스와의 직접적인 관계를 구성함으로써 포스트의 하우스 관리가 더욱 철저해지고, 애프터 서비스(A/S) 처리 과정이 확실하고 명료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 재고파악이 가능하고 정확함으로해서 공급해야할 물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소비물량의 지역적 특성과 시간적 변화의 자료를 분석하여 새로운 아이템을 선정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등 데이터의 정리에 따른 부수적 이익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리점 격인 포스트의 재고부담을 적게 하면서, 많은 수의 하우스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처리함으로써, 물류와 유통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정리해서 의사결정(매입, 매출)의 자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의 특성상 본사가 광범위한 지역에서 많은 수의 시스템 하우스를 확보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관리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사, 포스트 및 시스템 하우스 간에 공동체 의식이 고취되어 단일 브랜드의 공동사용이 가능하며 단체구입, 단체매출 등 공동시장 형성 및 대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물품재고 및 소비자 요구 정보를 전달받아 관리하고 이를 분석하여 해당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하위 계층의 연계 처리수단 및 종단 처리수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중앙 통제수단;
    상기 중앙 통제수단의 통제에 따라 요청된 제품의 유통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매개역할을 수행하며, 그에 따른 정보를 상기 중앙 통제수단에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연계 처리수단;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유통망의 종단에서 소비자의 요구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중앙 통제수단과 물류 정보, 제품 판매 정보 및 소비자 요구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상기 종단 처리수단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통제수단은,
    네트워크를 통해 소비자의 요구에 따른 정보를 송수신하고, 그 결과에 따라 발생되는 제품의 공급을 상기 다수의 종단 처리수단을 통해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통제수단은,
    인터넷을 통해 쇼핑몰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제품을 확인한 소비자의 요청에 대해 상기 다수의 종단 처리수단 중 소비자와의 연계가 용이한 종단 처리수단을 통해 상기 제품을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소비자의 구매 후 애프터서비스 요청 등을 인터넷을 통해 받거나, 상기 종단 처리수단을 통해 전달받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통제수단은,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해 등록한 소비자의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통제수단은,
    상기 다수의 종단 처리수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계 처리수단 각각을 통해 관리되고 있는 제품의 량을 파악하고, 상기 종단 처리수단 및 상기 연계 처리수단의 연계를 통해 이루어진 유통망 정보의 분석을 통해 적절한 량의 제품을 상기 다수의 종단 처리수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계 처리수단이 관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통제수단은,
    소비자의 애프터서비스에 요구 정보를 접수 저장하여 소비자에 대한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애프터서비스 요구된 제품에 대한 상기 종단 처리수단이나 상기 연계 처리수단에서 그 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통제수단은,
    유통망을 통해 이루어지는 물류의 흐름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비용의 흐름을 파악하고 원활한 비용 흐름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계 처리수단 및 상기 다수의 종단 처리수단을 제어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 처리수단은,
    제품의 판매, 상기 연계 처리수단의 처리에 의해 공급된 제품의 수령, 그 판매 및 제품 공급에 따른 결제 등의 발생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중앙 통제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중앙 통제수단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의 가공을 요청하여 그 결과를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 처리수단은,
    소비자와 직접적으로 제품을 판매 공급하는 시스템 하우스의 재고를 상기 중앙 통제수단으로 전달하여 상기 시스템 하우스가 적절한 량의 재고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 처리수단은,
    소비자의 애프터 서비스 요구에 대해 이를 확인하여 상기 중앙 통제수단으로 전달하고, 애프터 서비스 처리되는 제품은 소비자에 전달하도록 하고, 그렇지 못한제품은 상기 연계 처리수단으로 그 처리를 이관하여 애프터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에 따른 결과 데이터를 상기 중앙 통제수단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 처리수단은,
    소비자와 근거리에서 제품의 판매 및 애프터서비스를 수행하는 시스템 하우스의 원활한 유지를 지원하기 위해 상기 중앙 통제수단과 연계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처리수단은,
    상기 중앙 통제수단의 제어에 의해 물류의 중간거점인 포스트에서 상기 종단 처리수단을 통해 관리되는 시스템 하우스로의 제품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처리수단은,
    전달받은 소비자의 애프터 서비스 요구에 대해 이를 확인하여 상기 중앙 통제수단으로 전달하고, 애프터 서비스 처리되는 제품은 상기 종단 처리수단을 통해 소비자에 전달하도록 하고, 그렇지 못한 제품은 상기 중앙 통제수단으로 그 처리를 이관하여 애프터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통제수단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처리수단;
    입력된 데이터의 가공, 전송할 데이터의 정리, 각 처리수단의 동작제어 등 전반적인 제어와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중앙처리수단;
    상기 중앙처리수단의 요청에 의해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저장수단; 및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프로토콜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토콜 처리수단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암호화의 수행 및 해제를 위한 암호화 처리수단
    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
  16. 제 1 항 또는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 처리수단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 및 사용자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처리수단;
    입력된 명령 및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하고, 각 처리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수단;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프로토콜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토콜 처리수단;
    사용자를 확인하고 보안을 보장하기 위해 입력되는 집적회로(IC : Integrated Circuit)카드를 판독하기 위한 보안처리수단; 및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암호화의 수행 및 해제를 위한 암호화 처리수단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
  17. 제 1 항 또는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처리수단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 및 사용자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처리수단;
    입력된 명령 및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하고, 각 처리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수단;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프로토콜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토콜 처리수단;
    사용자를 확인하고 보안을 보장하기 위해 입력되는 집적회로(IC : Integrated Circuit)카드를 판독하기 위한 보안처리수단; 및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암호화의 수행 및 해제를 위한 암호화 처리수단
    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
  18.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운용에 관한 전반적인 제어 및 관리를 수행하는 중앙 통제수단,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에 위치하는 연계 처리수단 및 다수의 시스템 하우스에 위치하는 종단 처리수단을 온라인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제 1 단계;
    상기 중앙 통제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포스트를 통해 상기 시스템 하우스로 제품을 유통시키면서 실시간으로 상기 포스트와 상기 시스템 하우스에서의 물품 재고를 파악하여 수급조절 제어를 수행하는 제 2 단계;
    원활한 제품의 유통을 위해 상기 중앙 통제수단이 소비자의 요구가 있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소비자와 시스템 하우스를 연계시키는 제 3 단계; 및
    소비자의 애프터 서비스 요구에 대해 상기 중앙 통제수단이 상기 시스템 하우스 및 상기 포스트에서 계층적으로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통제수단이 소비자의 비용 납부가 현금으로 시스템 하우스로 이루어지면 이를 확인하여 해당 금액이 본사로 전달되도록 하고, 카드나 지로를 통해 전달된 비용에 대해서는 포스트나 시스템 하우스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방법.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소비자의 애프터 서비스 요구에 따라 상기 시스템 하우스에서 확인하여 애프터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 6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시스템 하우스에서 애프터 서비스 처리가 이루어 질 수 있으면 해당 서비스를 처리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이를 상기 중앙 통제수단으로 통보하는 제 7 단계;
    상기 제 6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시스템 하우스에서 처리가 이루어질 수 없으면 이를 상위의 상기 포스트로 이관하여 처리토록 하고 이를 상기 중앙 통제수단으로 통보하는 제 8 단계;
    상기 포스트는 이관된 애프터 서비스 요구를 접수하여 처리할 수 있는지를 점검하는 제 9 단계;
    상기 제 9 단계의 점검 결과, 애프터 서비스 처리가 가능하면 이를 수행하여 상기 시스템 하우스를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하고 이를 상기 중앙 통제수단으로 통보하는 제 10 단계; 및
    상기 제 9 단계의 점검 결과, 상기 포스트에서의 애프터 서비스 처리가 불간능하면 이를 상기 중앙 통제수단으로 통보하여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제 11 단계
    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방법.
  21. 프로세서를 구비한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에,
    네트워크 운용에 관한 전반적인 제어 및 관리를 수행하는 중앙 통제수단, 적어도 하나의 포스트에 위치하는 연계 처리수단 및 다수의 시스템 하우스에 위치하는 종단 처리수단을 온라인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제 1 기능;
    상기 중앙 통제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포스트를 통해 상기 시스템 하우스로 제품을 유통시키면서 실시간으로 상기 포스트와 상기 시스템 하우스에서의 물품 재고를 파악하여 수급조절 제어를 수행하는 제 2 기능;
    원활한 제품의 유통을 위해 상기 중앙 통제수단이 소비자의 요구가 있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소비자와 시스템 하우스를 연계시키는 제 3 기능; 및
    소비자의 애프터 서비스 요구에 대해 상기 중앙 통제수단이 상기 시스템 하우스 및 상기 포스트에서 계층적으로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제 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00019636A 2000-04-14 2000-04-14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100967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636A KR20010096754A (ko) 2000-04-14 2000-04-14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636A KR20010096754A (ko) 2000-04-14 2000-04-14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754A true KR20010096754A (ko) 2001-11-08

Family

ID=19664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636A KR20010096754A (ko) 2000-04-14 2000-04-14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67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703A (ko) * 2002-03-08 2003-09-19 정의신 온라인 총판 시스템과 온라인 공급망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703A (ko) * 2002-03-08 2003-09-19 정의신 온라인 총판 시스템과 온라인 공급망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1733B1 (ko) 가격 통제 기반 전자 상거래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US20050091125A1 (en) Sales method, sales system, sales processing apparatus, and terminal apparatus
KR100756001B1 (ko) 소비자들을 위한 상품 및 서비스의 직접 유통 시스템
KR102457229B1 (ko) 원격 제어 가능한 물품 디스펜싱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US20020023007A1 (en) Integrated multi-vendor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cyber commercial agencies
CN112561566A (zh) 一种跨境进口门店分销商城平台系统
KR20120052792A (ko) 판매물품 공유를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판매통합관리 서비스 시스템과 방법
JP2001306959A (ja) 電子商取引支援システム
JP2006244459A (ja) 決済寄託振替システム
KR20050055458A (ko)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쇼핑몰과 배송시스템
KR100810030B1 (ko) 이동통신단말기 거래 시스템
KR20010096754A (ko) 네트워크를 통한 유통망 형성 및 제어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10085205A (ko) 전자상거래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63736A (ko) 양방향 포스 솔루션을 이용한 소매점 지원 서비스 시스템및 서비스 방법
KR100363133B1 (ko) 출시예정인 신상품 예약구매 및 사용자제안방식의전자상거래방법
KR20030033708A (ko) 온라인을 이용한 자원관리방법 및 그 자원을 관리하는시스템
KR100644593B1 (ko) 기존의 대리점 유통망을 이용한 인터넷 쇼핑 몰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203998A (ja) 中古部品流通システム
KR20210059186A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지능형 물류관리 시스템
KR20020011051A (ko) 인터넷망을 이용한 복지매장 타입의 쇼핑몰 운영시스템 및그 운영방법
JP3071630U (ja) 電子商取引機能を有する基幹業務制御装置
WO2014084758A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родажи товаров и услуг с компенсацией затрат покупателей
KR20220071108A (ko) 물품 주문 기반의 대출 방법
KR20010096001A (ko) 인터넷을 이용한 재고상품의 관리 및 매매방법
WO2000041116A2 (en) Virtual vendor assisted marke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