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6636A - 화재진화 및 방제차 - Google Patents

화재진화 및 방제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6636A
KR20010096636A KR1020010021512A KR20010021512A KR20010096636A KR 20010096636 A KR20010096636 A KR 20010096636A KR 1020010021512 A KR1020010021512 A KR 1020010021512A KR 20010021512 A KR20010021512 A KR 20010021512A KR 20010096636 A KR20010096636 A KR 20010096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pump
water tank
fighting wat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1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4249B1 (ko
Inventor
강범선
Original Assignee
강범선
(주)한서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범선, (주)한서정공 filed Critical 강범선
Priority to KR1020010021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4249B1/ko
Publication of KR20010096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2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power take-off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진화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재진화차는 트럭과; 트럭의 동력을 인출하는 동력 인출장치와; 트럭에 탑재되며, 방화수를 저장하는 방화수 탱크와; 동력 인출장치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방화수 탱크의 방화수를 흡입하여 외부로 토출시키거나 또는 외부의 방화수를 흡입하여 방화수 탱크로 유입시키거나 또는 외부의 방화수를 흡입하여 외부로 토출시키는 제 1펌프와; 동력 인출장치와 자동적으로 연결되며, 방화수 탱크의 방화수를 흡입하여 외부로 토출시키면서 동시에 방화수 탱크내로 리턴시켜 방화수를 교반시키는 제 2펌프와; 제 1펌프와 제 2펌프로부터 토출되는 방화수를 원격지까지 압송하는 제 1 및 제 2이송호스와; 제 1 및 제 2이송호스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이송호스를 감거나 또는 풀어주는 제 1 및 제 2릴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소형의 트럭과 방화수 탱크와 방화수 탱크의 방화수를 고압으로 배출시키는 제 1, 2펌프들을 구비함으로써, 좁고 비탈진 도로를 신속하게 이동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두개의 제 1, 2펌프를 이용하여 방화수를 한꺼번에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단시간내에 진압할 수 있다. 또한, 엔진의 동력을 사용하여 제 1, 2펌프를 작동시킴으로써, 제 1및 제 2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이 필요치 않으며, 따라서 에너지를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재진화차{FIREENGINE}
본 발명은 화재진화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폭이 좁고 비탈진 도로는 물론 늪지, 산악지형 등과 같은 험지(險地)를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화재진화차에 관한 것이다.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 발생 초기에 진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화재 발생 초기에 신속한 진화를 하게 되면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화재발생지까지 소방차, 즉 화재진화차량이 신속하게 도착해야 한다. 그러나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대부분의 화재진화차량은 크게 구성되는 바, 폭이 좁은 골목길이나 또는 비탈지고 좁은 도로에는 진입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최근에는 급속히 증가된 차량들이 도로의 양쪽을 점거함에 따라 도로의 폭이 더욱 좁아지는 바, 좁아진 도로로 대형의 화재진화차량이 진입하기에는 더욱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결국, 초기 진화에 실패한 화재는 급속하게 발전되어 대형화재로 이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폭이 좁은 도로는 물론 비탈지고 험한 도로도 신속히 이동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화재진화차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요구에 따라 본 발명자는 각고의 실험과 연구 끝에 폭이 좁고 비탈진 도로는 물론 늪지, 산악지형과 같은 험지(險地)를 신속하게 이동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화재진화차를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폭이 좁은 도로는 물론 비탈지고 험한 도로를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화재진화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화차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화차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화차의 주요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트럭 12: 적재함
20: 동력 인출장치 22: 구동축
30: 방화수 탱크 32: 저수실
40: 제 1펌프 45: 클러치
50: 제 1밸브 52: 제 1입구
54: 제 2입구 55: 출구
60: 제 2밸브 62: 입구
64: 제 1출구 65: 제 2출구
68: 제 1이송호스 70: 제 1릴조립체
72: 릴 74: 릴구동모터
76: 벨트풀리 78: 릴클러치
80: 제 2펌프 85: 클러치
89a: 보조 토출호스 90: 제 2이송호스
100: 제 2릴조립체 102: 릴
104: 릴구동모터 106: 벨트풀리
108: 릴클러치 110: 제어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럭과; 상기 트럭의 동력을 인출하는 동력 인출장치와; 상기 트럭에 탑재되며, 방화수를 저장하는 방화수 탱크와; 상기 동력 인출장치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방화수 탱크의 방화수를 흡입하여 외부로 토출시키거나 또는 외부의 방화수를 흡입하여 상기 방화수 탱크로 유입시키거나 또는 외부의 방화수를 흡입하여 외부로 토출시키는 제 1펌프와; 상기 동력 인출장치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방화수 탱크의 방화수를 흡입하여 외부로 토출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방화수 탱크내로 리턴시켜 방화수를 교반시키는 제 2펌프와; 상기 제 1펌프와 제 2펌프로부터 토출되는 방화수를 원격지까지 압송하는 제 1 및 제 2이송호스와; 상기 제 1 및 제 2이송호스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이송호스를 감거나 또는 풀어주는 제 1 및 제 2릴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화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화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화재진화차는 적재함(12)을 갖추고 있는 트럭(10)을 구비한다. 트럭(10)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엔진과, 엔진의 동력을 제어하여 구동 바퀴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장치와, 전방 바퀴를 조향하는 조향장치 등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크기가 작은 소형으로 구성된다. 이는 폭이 좁은 골목길이나 도로를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트럭(10)은 그 크기가 대략 폭 1750mm, 높이 2050mm, 길이 4840mm로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트럭(10)은 전, 후방바퀴가 동시에 구동될 수 있는 4륜 구동형으로 구성된다. 이는 비탈길, 늪지, 산악지형 등과 같은 험지를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트럭(10)에는 변속기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을 전, 후방바퀴에 나누어 전달하는 도시하지 않은 트랜스퍼(transfer)가 설치된다. 여기서, 트럭(10)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트럭(10)에는 엔진의 동력을 인출하기 위한 동력 인출장치(power take-off:20)가 설치된다. 이 동력 인출장치(20)는 트럭(10)의 주행과는 관계없이 엔진의 동력을 인출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하지 않은 변속기내의 공전기어를 변속기 주축에 선택적으로 치합시킴으로써, 엔진의 동력이 인출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동력 인출장치(20)를 통하여 인출된 엔진의 동력은 구동축(22)에 의해 트럭(10)의 후미까지 전달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동력 인출장치(20)와 구동축 (22)은 벨트풀리(24)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즉, 동력 인출장치(20)의 출력축(20a)에는 구동풀리(24a)가 설치되고, 구동축(22)의 일단에는 상기 구동풀리(24a)와 정렬되도록 종동풀리(24b)가 설치되며, 서로 정렬되는 구동풀리 (24a)와 종동풀리(24b)에는 벨트(24c)가 감겨지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동력 인출장치(20)로부터 출력된 엔진의 동력은 트럭(10)의 후미까지 전달되는 것이다.
한편, 트럭(10)의 적재함(12) 전방에는 후술하는 방화수 탱크(30)가 설치되고, 그 후방으로는 펌프실(25)이 형성되며, 그 측면으로는 수납실(27)이 형성되어 있다. 펌프실(25)은 후술하는 펌프(40, 80)들이 배치되는 곳으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럭(10)의 측면과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도어(25a)들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수납실(27)은 화재 진압장비, 예를 들어 휴대용 소화기, 삽, 해머 등이 수납되는 곳으로, 상기 펌프실(25)과 마찬가지로 도어 (27a)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화재진화차는 방화수를 저장할 수 있는 방화수 탱크(30)와, 외부의 방화수를 흡입하여 방화수 탱크(30)에 유입시키거나 또는 방화수 탱크 (30)에 저수된 방화수를 흡입하여 고압으로 배출하는 제 1 및 제 2펌프(40, 80)와, 제 1 및 제 2펌프(40, 80)로부터 배출되는 고압의 방화수를 압송하는 제 1 및 제 2이송호스(68, 90)들을 구비한다. 이를 차례로 살펴보면, 방화수 탱크(30)는 트럭(10)의 적재함(12) 전방에 배치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수를 저장할 수 있는 저수실(32)을 갖추고 있다. 저수실(32)은 입구(32a)를 가지며, 이 입구(32a)는 뚜껑(32b)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방화수 탱크(30)의 저수실(32)에는 제 1 및 제 2흡입관(33, 34)과 분출관(35)이 각각 설치된다. 제 1흡입관(33)은 제 1펌프(40)와 연결되며, 제 1펌프(40)가 작동됨에 따라 저수실(32)의 방화수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제 2흡입관(34)은 제 2펌프(80)와 연결되며, 제 2펌프(80)가 작동됨에 따라 저수실(32)의 방화수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분출관(35)은 제 2펌프(80)와 연결되며, 제 2펌프(80)로부터 토출되는 고압의 방화수를 저수실(32)로 분사하여 저수실(32)의 방화수를 교반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분출관(35)을 이용하여 저수실(32)의 방화수를 교반시키도록 한 것은, 본 발명의 화재진화차를 이용하여 방역작업을 할 경우에 방화수 탱크(30)의 방화수에 약제를 섞기 때문이며, 따라서 방화수 탱크(30) 바닥에 약제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인 것이다. 한편, 제 1 및 제 2흡입관(33, 34)과 분출관(35)의 단부는 저수실(32) 바닥면에 형성된 함몰부(30a)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제 1 및 제 2흡입관(33, 34)의 단부에는 필터(33a, 34a)가 설치되고, 분출관(35)의 단부에는 노즐(35a)이 설치되는데, 필터(33a, 34a)는 방화수속에 포함되어 있는 이 물질을 여과하며, 노즐(35a)은 분출관(35)을 통하여 리턴되는 방화수를 빠르게 분사한다.
그리고 방화수 탱크(30)에는 도입관(3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도입관(36)은 외부의 호스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방화수를 공급 받을 수 있게한다. 이는 많은 방화수를 필요로 할 때, 연속해서 방화수 탱크(30)에 방화수를 공급해 주기 위함이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본 발명은 대형의 화재진화차가 화재발생지까지 이동할 수 없을 경우, 화재발생지와 대형의 화재진화차 사이에 본 발명의 화재진화차를 배치시키고, 대형의 화재진화차로부터 계속해서 방화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계속적인 화재진압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특히, 본 발명의 화재진화차를 여러대 연계하여 화재진화에 필요한 방화수를 연이어서 압송하도록 함으로써, 산불진화와 같은 원거리 진화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방화수 탱크(30)의 일측에는 저수량게이지(37)가 설치된다. 저수량게이지(37)는 저수실 (32)이 보일 수 있도록 방화수 탱크(30)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투명창(37a)과, 투명창(37a)을 따라 형성되는 눈금(37b)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저수량게이지(37)는 저수실(32)에 저장된 방화수의 양을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1을 참고로하여 제 1펌프(40)에 대해 살펴보면, 제 1펌프(40)는 외부의 방화수를 흡입하여 방화수 탱크(30)에 유입시키거나 또는 방화수 탱크(30)에 저수된 방화수를 흡입하여 고압으로 배출하거나 또는 외부의 방화수를 흡입하여 직접 고압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적재함(12)의 펌프실(25)에 설치되며, 동력 인출장치(20)에 의해 구동되도록 상기 동력 인출장치(20)와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즉, 구동축(22)의 단부에는 구동풀리(42)가 설치되어 있고, 제 1펌프(40)의 입력축(40a)에는 종동풀리(43)가 설치되어 있으며, 정렬된 구동풀리(42)와 종동풀리(43)에는 벨트(44)가 감아져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동력 인출장치(20)의 구동력은 구동축(22)과 구동풀리(42) 그리고 벨트(44)와 종동풀리(43)를통하여 제 1펌프(40)까지 전달되는 것이며, 따라서 제 1펌프(40)는 작동되는 것이다. 한편, 구동축(22)에는 상기 구동축(22)의 동력을 단속하는 클러치(45)가 설치된다. 이 클러치(45)는 전자클러치(magnetic clutch)로서, 제 1펌프(40)로 입력되는 구동축(22)의 동력을 단속하여 제 1펌프(40)를 온/오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클러치(45)는 후술하는 제어부(110)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 1펌프(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46)와 토출구(47)을 갖는데, 흡입구(46)와 토출구(47)에는 제 1 및 제 2밸브(50, 60)가 각각 설치된다. 제 1밸브(50)는 삼방향 제어밸브로서, 제 1입구(52)와 제 2입구(54) 그리고 출구 (55)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제 1입구(52)는 흡입호스(52a)와 연결되어 외부의 방화수를 빨아들이도록 구성되며, 제 2입구(54)는 방화수 탱크(30)의 제 1흡입관(33)과 연결되어 방화수 탱크(30)의 방화수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출구(55)는 제 1펌프(40)의 흡입구(46)와 연결된다. 아울러 제 1밸브(50)는 제 1입구(52)와 출구(55) 또는 제 2입구(54)와 출구(55)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조작레버(57)를 갖추고 있다. 이와 같은 제 1밸브(50)는 사용자가 조작레버(57)를 조작하여 제 1입구 (52)와 출구(55)를 연통시킴에 따라 제 1펌프(40)로 하여금 흡입호스(52a)를 통하여 외부의 방화수를 흡입가능하게 한다. 또한, 사용자가 조작레버(57)를 조작하여 제 2입구(54)와 출구(55)를 연통시킴에 따라 제 1펌프(40)로 하여금 제 1흡입관 (33)을 통하여 방화수 탱크(30)의 방화수를 흡입가능하게 한다.
제 2밸브(60)는 상기 제 1밸브(50)와 마찬가지로 삼방향 제어밸브로서, 입구(62)와 제 1출구(64)와 제 2출구(65)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입구(62)는 제 1펌프(40)의 토출구(47)와 연통되어 제 1펌프(40)로부터 토출되는 고압의 방화수가 도입되도록 구성되고, 제 1출구(64)는 도입된 고압의 방화수를 토출관(64a)을 통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되며, 제 2출구(65)는 도입된 고압의 방화수를 급수관(65a)을 통하여 방화수 탱크(30)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2밸브(60)는 입구(62)와 제 1출구(64) 또는 입구(62)와 제 2출구(65)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조작레버 (67)를 갖추고 있다. 이와 같은 제 2밸브(60)는 사용자가 조작레버(67)를 조작하여 입구(62)와 제 1출구(64)를 연통시킴으로써, 제 1펌프(40)로부터 토출되는 고압의 방화수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한, 사용자가 조작레버(67)를 조작하여 입구(62)와 제 2출구(65)를 연통시킴에 따라 제 1펌프(40)로부터 토출되는 고압의 방화수를 방화수 탱크(30)에 공급한다.
결과적으로, 제 1펌프(40)는 상기와 같은 제 1 및 제 2밸브(60)의 작동에 의해 외부의 방화수를 흡입하여 방화수 탱크(30)에 유입시키거나 또는 방화수 탱크 (30)에 저수된 방화수를 흡입하여 고압으로 배출하거나 또는 외부의 방화수를 흡입하여 직접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한편, 제 2밸브(60)의 제 1출구(64)에 연결된 토출관(64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이송호스(68)와 연결된다. 제 1이송호스(68)는 토출관(64a)으로부터 토출되는 방화수를 화재발생지까지 압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2엥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실(25)에 설치되는 제 1릴조립체(70)에 의해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릴조립체(70)에 감겨진 상태에서 풀리거나 또는 감김으로써, 그 길이가 조절되게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 1릴조립체(70)는 제 1이송호스(68)를 감을 수 있는 릴(72)과, 릴(72)을 정/역회전시키는 릴구동모터(74)와, 릴(72)과 릴구동모터(74)를 연결하는 벨트풀리(76)와, 릴구동모터 (74)의 구동력을 단속하는 릴클러치(78)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 1이송호스(68)는 릴(72)에 감기거나 또는 풀리면서 화재발생지까지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릴구동모터(74)와 릴클러치(78)는 후술하는 제어부(110)에 의해 작동된다. 한편, 제 1이송호스(68)는 면포 또는 면사 코드로 보강한 고무호스로서, 내압성이 높으면서 유연성을 갖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다시, 도 1과 도 3을 참고로 하여 제 2펌프(80)에 대해 살펴보면, 제 2펌프(80)는 방화수 탱크(30)의 방화수를 흡입하여 고압으로 배출하는 것으로, 적재함(12)의 펌프실(25)에 설치되며, 동력 인출장치(20)에 의해 작동되도록 상기 동력 인출장치(20)와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즉, 구동축(22)에는 구동풀리(82)가 설치되어 있고, 제 2펌프(80)의 입력축(80a)에는 종동풀리(83)가 설치되어 있으며, 정렬된 구동풀리(82)와 종동풀리(83)에는 벨트(84)가 감아지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동력 인출장치(20)의 구동력은 구동축(22)과 구동풀리(82) 그리고 벨트 (84)와 종동풀리(83)를 통하여 제 2펌프(80)까지 전달되는 것이며, 따라서 제 2펌프(80)는 작동되는 것이다. 한편, 제 2펌프(80)의 입력축(80a)에는 클러치(85)가 설치된다. 이 클러치(85)는 전자클러치(magnetic clutch)로서, 구동풀리(82)와 종동풀리(83)와 벨트(84)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축(22)의 회전력을 단속하여 제 2펌프 (80)를 온/오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클러치(85)는 후술하는 제어부(110)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 2펌프(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흡입구(86)와 3개의 제 1 및 제 2 및 제 3토출구(87, 88, 89)를 갖는다. 흡입구(86)는 방화수 탱크(30)의 제 2흡입관(34)과 연결되어 방화수 탱크(30)의 방화수를 흡입하도록 구성되고, 제 1토출구(87)는 토출관(87a)과 연결되어 고압의 방화수를 토출하도록 구성되며, 제 2토출구(88)는 방화수 탱크(30)의 분출관(35)과 연결되어 고압의 방화수를 방화수 탱크(30)내로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3토출구(89)는 보조 토출호스 (89a)와 연결되어 고압의 방화수를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 1토출구(87)와 제 2토출구(88)와 제 3토출구(89)에는 각각 밸브(87b, 88b, 89b)가 설치되는데, 이 밸브(87b, 88b, 89b)는 각 토출구(87, 88, 89)를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상기 각 토출구(87, 88, 89)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제 2펌프(80)에는 오버 플로관(over flow pipe:8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오버 플로관(81)은 제 2펌프(80)로부터 오버 플로되는 방화수를 리턴호스(81a)를 통하여 방화수 탱크(30)로 리턴시킨다. 한편, 제 2토출구(88)와 제 3토출구(89)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방역작업을 할 경우에만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즉, 방화수 탱크(30)의 방화수에 약제를 섞었을 때, 제 2토출구(88)를 개방하여 방화수 탱크(30)의 약제를 교반시키도록 하며, 제 3토출구(89)를 개방하여 방화수 탱크(30)의 약제를 고압으로 분사시키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방역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소량의 약물만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 2토출구(88)와 제 3토출구(89)는 제 1토출구(87)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제 2펌프(80)는 방화수 탱크(30)에 저수된 방화수를 흡입하여 고압으로 토출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 2펌프(80)는 상술한 제 1펌프 (40)와 별도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 1펌프(40)가 고장났을 때, 제 1펌프(40)를 대신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제 1펌프(40)와 함께 작동시켜 여러 곳의 화재를 동시에 진압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제 2펌프(80)는 소량의 방화수를 토출하고, 방화수 탱크(30)의 방화수를 교반시킬 수 있는 제 2토출구(88)와 제 3토출구(89)를 갖춤으로써, 소량의 약물을 필요로하는 방역작업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제 2펌프(80)의 제 1토출구(87)에 연결된 토출관(87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이송호스(90)와 연결된다. 제 2이송호스(90)는 토출관(87a)으로부터 토출되는 방화수를 화재발생지까지 압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실(25)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 2릴조립체(100)에 의해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릴조립체(100)의 릴 (102)에 감겨진 상태에서 풀리거나 또는 감김으로써, 그 길이가 조절되게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 2릴조립체(100)는 제 2이송호스(90)를 감을 수 있는 릴(102)과, 릴(102)을 정/역회전시키는 릴구동모터(104)와, 릴(102)과 릴구동모터(104)를 연결하는 벨트풀리(106)와, 릴구동모터(104)의 구동력을 단속하는 릴클러치(108)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 2이송호스(90)는 릴(102)에 감기거나 또는 풀리면서 화재발생지까지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릴구동모터(104)와 릴클러치 (108)는 후술하는 제어부(110)에 의해 작동된다. 한편, 제 3토출구(89)에 연결되는 보조 토출호스(89a)는 비교적 짧으므로, 적재함(12) 양측에 형성된 수납실(27)에 수납시킨 상태에서 필요로 할 때만 꺼내어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화재진화차는 제어부(110)를 갖는다. 이 제어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실(25)의 상면에 설치되며, 일련의 작동버튼(112) 및 게이지(114)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작동버튼(112)를 조작함에 따라 제 1펌프(40)와 제 2펌프(80)를 작동시키는 클러치(45, 85) 및 릴조립체(70, 100)의 릴구동모터(72, 102)와 릴클러치(78, 108)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펌프실(25)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제어부(110)를 조작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120)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을 도 1과 도 3을 참고로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엔진의 동력이 동력 인출장치(20)를 통하여 구동축(22)에 전달된 상태에서 제 1펌프(40)를 이용하여 외부의 방화수를 방화수 탱크(30)에 저수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제어부(110)를 이용하여 클러치(45)를 온 (ON)시킨다. 그러면, 구동축(22)의 동력은 구동풀리(42)와 벨트(44)와 종동풀리 (43)를 통하여 제 1펌프(40)에 전달되고, 따라서 제 1펌프(40)는 작동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 1밸브(50)와 제 2밸브(60)의 조작레버(57, 67)를 조작하여 제 1밸브(50)의 제 1입구(52)와 출구(55)를 연통시키고, 제 2밸브(60)의 입구(62)와 제 2출구(65)를 연통시키면, 외부의 방화수는 흡입호스(52a)와, 제 1밸브(50)의 제 1입구(52) 및 출구(55) 그리고 제 1펌프(40)와, 제 2밸브(60)의 입구(62) 및 제 2출구(65)와, 급수관(65a)을 통하여 방화수 탱크(30)로 유입되며, 따라서 방화수 탱크(30)에는 방화수가 저수되는 것이다.
한편, 제 1펌프(40)를 이용하여 방화수 탱크(30)의 방화수를 분사하고자 할경우에는, 제 1밸브(50)와 제 2밸브(60)의 조작레버(57, 67)를 조작하여 제 1밸브 (50)의 제 2입구(54)와 출구(55)를 연통시키고, 제 2밸브(60)의 입구(62)와 제 1출구(64)를 연통시킨다. 그러면, 방화수 탱크(30)의 방화수는 제 1흡입관(33)과, 제 1밸브(50)의 제 2입구(54) 및 출구(55) 그리고 제 1펌프(40)와, 제 2밸브(60)의 입구(62) 및 제 1출구(64)와, 토출관(64a)과 제 1이송호스(68)를 통하여 외부로 분사될 것이다.
또한, 제 1펌프(40)를 이용하여 외부의 방화수를 직접 분사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 1밸브(50)와 제 2밸브(60)의 조작레버(57, 67)를 조작하여 제 1밸브(50)의 제 1입구(52)와 출구(54)를 연통시키고, 제 2밸브(60)의 입구(62)와 제 1출구(64)를 연통시킨다. 그러면, 방화수 탱크(30)의 방화수는 흡입호스(52a)와, 제 1밸브 (50)의 제 1입구(52) 및 출구(55) 그리고 제 1펌프(40)와, 제 2밸브(60)의 입구 (62) 및 제 1출구(64)와, 토출관(64a)과 제 1이송호스(68)를 통하여 외부로 분사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 2펌프(80)를 이용하여 방화수 탱크(30)의 방화수를 분사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제어부(110)를 이용하여 클러치(85)를 온(ON)시킨다. 그러면, 구동축(22)의 동력은 구동풀리(82)와 벨트(84)와 종동풀리(83)를 통하여 제 2펌프(80)에 전달되고, 따라서 제 2펌프(80)는 작동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방화수 탱크 (30)의 방화수는 제 2흡입관(34)으로 흡입되면서 제 2펌프(80)로 유입되며, 제 2펌프(80)로 유입된 방화수는 제 1토출구(87)로 배출된다. 이때, 제 1토출구(87)는 밸브(87b)에 의해 개방된 상태이고, 제 2토출구(88)와 제 3토출구(89)는 밸브(88b,89b)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다. 그리고 제 1토출구(87)로 토출되는 방화수는 토출관 (87a)을 통하여 제 2이송호스(90)로 유입되고, 제 2이송호스(90)로 유입된 방화수는 화재발생지까지 압송되면서 외부로 분사되는 것이다.
한편, 방역작업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방화수 탱크(30)에 약제를 투입하고,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 2펌프(8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방화수 탱크 (30)의 약제는 제 2흡입관(34)으로 흡입되면서 제 2펌프(80)로 유입되기 시작한다. 이때, 제 1토출구(87)를 폐쇄하고, 제 2토출구(88)와 제 3토출구(89)를 개방시키면, 제 2펌프(80)로 유입된 약제는 소정의 압력을 갖게 되면서 제 2토출구(88)와 제 3토출구(89)를 통하여 배출되기 시작한다. 한편, 이러한 상태에서 제 2토출구(88)로부터 토출되는 약제는 다시 분출관(35)을 통하여 방화수 탱크(30)내로 분사되면서 방화수 탱크(30)내의 약제를 교반시키며, 제 3토출구(89)로부터 토출되는 약제는 보조 토출호스(89a)를 통하여 외부로 분사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재진화차는 크기가 작고 4륜구동형인 트럭(10)과, 트럭(10)에 설치되는 방화수 탱크(30) 및 방화수 탱크(30)의 방화수를 고압으로 배출시키는 제 1 및 제 2펌프(80)들을 구비함으로써, 폭이 좁고 비탈진 골목길 또는 도로를 신속하게 이동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두개의 제 1 및 제 2펌프(80)를 이용하여 방화수 탱크(30)의 방화수를 한꺼번에 고압으로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단시간내에 진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엔진의 동력을 사용하여 제 1 및 제 2펌프(80)를 작동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펌프(80)를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이 필요치 않은 장점을 가지며,따라서 에너지를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재진화차를 여러대 연계하여 사용함으로써, 원거리 진화도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화차는 크기가 작은 소형의 트럭과, 트럭에 설치되는 방화수 탱크 및 방화수 탱크의 방화수를 고압으로 배출시키는 제 1 및 제 2펌프들을 구비함으로써, 폭이 좁고 비탈진 골목길 또는 도로를 신속하게 이동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두개의 제 1 및 제 2펌프를 이용하여 방화수 탱크의 방화수를 한꺼번에 고압으로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단시간내에 진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엔진의 동력을 사용하여 제 1 및 제 2펌프를 작동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이 필요치 않은 장점을 가지며, 따라서 에너지를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트럭과;
    상기 트럭의 동력을 인출하는 동력 인출장치와;
    상기 트럭에 탑재되며, 방화수를 저장하는 방화수 탱크와;
    상기 동력 인출장치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방화수 탱크의 방화수를 흡입하여 외부로 토출시키거나 또는 외부의 방화수를 흡입하여 상기 방화수 탱크로 유입시키거나 또는 외부의 방화수를 흡입하여 외부로 토출시키는 제 1펌프와;
    상기 동력 인출장치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방화수 탱크의 방화수를 흡입하여 외부로 토출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방화수 탱크내로 리턴시켜 방화수를 교반시키는 제 2펌프와;
    상기 제 1펌프와 제 2펌프로부터 토출되는 방화수를 원격지까지 압송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펌프와 제 2펌프 각각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이송호스와;
    상기 제 1 및 제 2이송호스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이송호스를 감거나 또는 풀어주는 제 1 및 제 2릴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화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펌프의 흡입구측에는 상기 방화수 탱크와 상기 제 1펌프의 흡입구를 연통시키거나 또는 외부의 방화수 집수지와 상기 제 1펌프의 흡입구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삼방향밸브인 제 1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제 1펌프의 토출구측에는 상기 제 1펌프의 토출구와 상기 방화수 탱크를 연통시키거나 또는 상기 방화수 탱크와 상기 제 1이송호스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삼방향밸브인 제 2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화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펌프는 제 1토출구와 제 2토출구와 제 3토출구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제 1토출구는 상기 제 2이송호스와 연결되고, 상기 제 2토출구는 상기 방화수 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제 3토출구는 보조 토출호스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화차.
KR1020010021512A 2001-04-20 2001-04-20 산불진화 방제차 KR100344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1512A KR100344249B1 (ko) 2001-04-20 2001-04-20 산불진화 방제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1512A KR100344249B1 (ko) 2001-04-20 2001-04-20 산불진화 방제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636A true KR20010096636A (ko) 2001-11-08
KR100344249B1 KR100344249B1 (ko) 2002-07-24

Family

ID=19708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1512A KR100344249B1 (ko) 2001-04-20 2001-04-20 산불진화 방제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42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680B1 (ko) * 2009-10-06 2011-07-12 (주)한서정공 방제차
CN109453488A (zh) * 2018-12-07 2019-03-12 鞍山衡业专用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多功能消防车
CN112026626A (zh) * 2020-09-25 2020-12-04 江苏佳星泵阀设备有限公司 一种多功能抢险水泵车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680B1 (ko) * 2009-10-06 2011-07-12 (주)한서정공 방제차
CN109453488A (zh) * 2018-12-07 2019-03-12 鞍山衡业专用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多功能消防车
CN112026626A (zh) * 2020-09-25 2020-12-04 江苏佳星泵阀设备有限公司 一种多功能抢险水泵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4249B1 (ko) 200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6146A (en) Fire fighting all terrain vehicle
US7566013B2 (en) System for failsafe controlled dispensing of liquid material
SE514193C2 (sv) Brandsläckare för slutna utrymmen
FI109972B (fi) Järjestelmä palontorjuntaan käyttäen ensiksi automaattista korkeapainepalontorjuntalaitetta ja toiseksi paloautoa, jossa on korkeapainepumppu
US4974584A (en) Emergency air supply assembly for trapped fire fighters
KR100344249B1 (ko) 산불진화 방제차
JP2010148441A (ja) 自走型防除機
US2241857A (en) Fire fighting apparatus
KR102015183B1 (ko) 소방차에 적재 가능한 기동형 서브 소방장치
KR200431869Y1 (ko) 휴대용 산불 진화장치
JP6731882B2 (ja) 消防用自動車
JP2003190314A (ja) 二流体消火装置
JP2000117161A (ja) 小形発泡散布装置
JP2001087408A (ja) 消防自動車
JP4601343B2 (ja) 消火装置
JP7402067B2 (ja) 散水車
CN114404847A (zh) 一种b类空气泡沫高喷灭火装置
JP5036438B2 (ja) 可搬ポンプの消火水・消火薬剤の混合方法
JP2008055292A (ja) 防除機の薬液散布装置
KR102585763B1 (ko) 압축공기포소화장치의 다이얼식 조작반 및 이를 구비한 소방차용 압축공기포소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15256Y1 (ko) 산불 진압용 운반 대차
JP2005000299A (ja) 災害時の作業装置
CN210057234U (zh) 一种消防泡沫液供液装置
KR200438804Y1 (ko) 산불진화장비차량
JPH0611114Y2 (ja) ラインプロポーショ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