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6457A - 슬러지 배출장치의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배출장치의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6457A
KR20010096457A KR1020000045167A KR20000045167A KR20010096457A KR 20010096457 A KR20010096457 A KR 20010096457A KR 1020000045167 A KR1020000045167 A KR 1020000045167A KR 20000045167 A KR20000045167 A KR 20000045167A KR 20010096457 A KR20010096457 A KR 20010096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hopper
sheaves
wire
hopp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5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8170B1 (ko
Inventor
김학요
Original Assignee
김학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광 filed Critical 김학광
Priority to KR10-2000-0045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8170B1/ko
Publication of KR20010096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8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81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183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with multiple scra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전지로 부터 호퍼내로 강제이송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킬 때, 호퍼내에 압밀된 슬러지를 비산시키는 과정에서 부상된 슬러지가 침전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슬러지 수집기에 연동하여 작동되는 슬러지 배출장치의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제1 및 제2이송와이어에 각각 고정되어, 드럼의 정/역회전에 따라 교대로 침전지의 슬러지를 호퍼로 수집하기 위한 슬러지 수집기와, 슬러지 수집기의 구동에 연동하여 호퍼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제1 및 제2차단판과, 양단이 제1및 제2차단판 전단에 고정되고 보조 제1 내지 제3쉬브 및 안내롤러에 권취된 제1와이어와, 양단이 제1및 제2차단판 전단에 고정되고 안내쉬브에 권취된 제2와이어로 구성되며; 제1이송와이어의 왕복 이동에 따라 제1 및 제2와이어가 왕복 이동할 때 제1 및 제2차단판은 보조 제1 내지 제3쉬브를 통한 감속에 의해 제1 및 제2호퍼의 상부를 수평이동식으로 왕복하여 교대로 제1 및 제2호퍼의 개구부를 개폐시켜 호퍼로부터 개구부를 통하여 침전지로 유입되는 슬러지를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러지 배출장치의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System of Movable Type for Preventing Sludge from Scattering in the Sludge Dischar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슬러지 배출장치의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침전지로 부터 호퍼내로 강제이송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킬 때, 호퍼내에압밀된 슬러지를 비산시키는 과정에서 부상된 슬러지가 침전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슬러지 수집기에 연동하여 작동되는 슬러지 배출장치의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장 및 하수 처리장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대략 70×10×5m의 장방형으로 이루어진 침전지(1a,1b)를 구비하여 정수장 및 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원수에 함유되어 있는 슬러지를 침전시키고 있다. 그후 침전지의 상등수는 정수장인 경우는 월류웨어(2)를 통하여 여과지로 공급되고, 하수처리장인 경우는 유기물 정화과정 등을 거친후 하천으로 방류된다.
한편, 침전지(1a,1b)에 침전된 슬러지(10)는 침전지에 설치된 슬러지 수집기(3,4)에 의해 상등수 배출용 월류웨어(2)의 반대측에 위치한 슬러지 호퍼(5a-5d)로 수집된 후 배니밸브(8)의 구동에 의해 배니배관(7)을 통하여 정수장인 경우는 배출수조로, 하수처리장인 경우는 농축조(6)로 배출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슬러지 수집기(3,4)는 와이어 구동장치(3b)에 의해 와이어(3c)를 일측방향으로 권취하면 슬러지 수집기(3)가 슬러지 호퍼(5a,5b)쪽으로 이동하면서 하부에 설치된 스크레이퍼(3a)에 의해 슬러지를 슬러지 호퍼(5a,5b)로 수집하며, 슬러지 수집기(4)는 이와 반대로 스크레이퍼(3a)를 침전지(1a,1b)의 바닥으로부터 부상한 상태로 반대편으로 이송된다. 또한, 와이어 구동장치(3b)에 의해 와이어(3c)를 반대방향으로 권취하면 상기와 반대의 동작이 일어난다.
상기 슬러지 수집기(3,4)의 왕복운동에 의해 4개의 슬러지 호퍼(5a-5d)로 수집된 슬러지(10)는 레일(3d)이 호퍼(5)의 상부까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슬러지 수집기(3,4)는 호퍼(5)의 상부까지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호퍼의 경사면(5e)을 따라 바닥으로 모이게 된다.
또한, 종래의 슬러지 배출장치는 타이머에 주기적으로 또는 수동으로 배니밸브(8)를 작동시켜 호퍼(5)와 농축조(6) 사이에 설치된 배니배관(7)으로 슬러지(10)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호퍼(5)에 수집되는 슬러지(10)가 도 4와 같이 호퍼 바닥에 압밀되어 배니배관(7) 주변의 슬러지만 배출되고 배니배관(7)의 입구로부터 먼 곳에 위치한 슬러지는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한 상태에서 계속 쌓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계속 진행되어 주변의 슬러지가 굳어지게 되면, 압밀된 슬러지(10)에 형성된 수로(9)를 통하여 상등수만 또는 슬러지 함유농도가 낮은 상등수가 배출되는 악순환을 되풀이하고 있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침전지(1a,1b)를 비우고 인력을 사용하여 호퍼 바닥에 압밀된 슬러지(10)를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와 슬러지와 함께 많은 양의 상등수가 배출되며, 슬러지 배출을 위하여 배니시간을 늘려야하므로 배출수조 또는 농축조(6)에 대한 부하가 증대되는 문제 및 슬러지의 부패로 인하여 상등수의 수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침전지로 부터 호퍼내로 강제이송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킬 때, 호퍼내에 압밀된 슬러지를 비산시키는 과정에서 부상된 슬러지가 침전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슬러지 수집기에 연동하여 작동되는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정수장/하수 처리장의 침전지에 대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호퍼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를 포함하는 슬러지 배출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공관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수 분사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를 포함하는 슬러지 배출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9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를 포함하는 슬러지 배출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5a: 제1호퍼 15b: 제2호퍼
16a,16b: 개구부 20: 압력수 분사장치
30: 고정식 슬러지 비산방지판 40a,140a,240a: 제1차단판
40b,140b,240b: 제2차단판 50a: 제1와이어
50b: 제2와이어 51a,51b: 보조 제1쉬브
52a,52b: 보조 제2쉬브 53a,53b: 보조 제3쉬브
55,56: 안내롤러 60a: 제1이송와이어
60b: 제2이송와이어 61a,61b: 제1쉬브
62a,62b: 제2쉬브 63a,63b: 제3쉬브
64a,64b: 제4쉬브 141a: 힌지축
151a: 보조와이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및 제2호퍼에 침전된 슬러지를 강제 부상시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장치의 슬러지 비산방지장치에 있어서, 드럼과 각각 한 쌍의 제1 내지 제3쉬브에 권취된 제1이송와이어의 양단에 제1 및 제2스크레이퍼의 일측이 고정되고, 한쌍의 제4쉬브를 통하여 제2이송와이어의 양단이 상기 제1 및 제2스크레이퍼의 타측에 고정되어, 드럼의 정/역회전에 따라 교대로 제1 및 제2침전지의 슬러지를 제1 및 제2호퍼로 수집하기 위한 슬러지 수집기와, 상기 슬러지 수집기의 제1 및 제2스크레이퍼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호퍼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제1 및 제2차단판과, 일단이 상기 제1차단판 전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차단판의 전단에 결합되며, 제1이송와이어가 권취된 제1 내지 제3쉬브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동축형성된 보조 제1 내지 제3쉬브와 안내롤러에 각각 권취된 제1와이어와, 일단이 상기 제1차단판 후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차단판 후단에 결합되며, 안내쉬브에 각각 권취된 제2와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제1이송와이어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가 왕복 이동할 때 제1 및 제2차단판은 상기 보조 제1 내지 제3쉬브를 통한 감속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호퍼의 상부를 수평이동방식으로 왕복 이동하여 교대로 제1 및 제2호퍼의 개구부를 개폐시켜 상기 호퍼로부터 개구부를 통하여 침전지로 유입되는 슬러지를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제1 및 제2호퍼에 침전된 슬러지를 강제 부상시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장치의 슬러지 비산방지장치에 있어서, 각각 제1 및 제2호퍼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차단판과, 일단이 제1차단판의 전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차단판의 전단에 결합된 제1와이어와, 일단이 제1차단판의 후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차단판의 후단에 결합된 제2와이어와, 제1 및 제2침전지의 슬러지를 제1 및 제2호퍼로 수집하기 위한 슬러지 수집기의 제1 및 제2스크레이퍼가 제1 및 제2침전지를 왕복 이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제1 및 제2차단판을 상기 제1 및 제2호퍼의 개구부를 수평 이동방식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제1와이어를 왕복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 및 제2호퍼에 침전된 슬러지를 강제 부상시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장치의 슬러지 비산방지장치에 있어서, 드럼과 각각 한 쌍의 제1 내지 제3쉬브에 권취된 제1이송와이어의 양단에 제1 및 제2스크레이퍼의 일측이 고정되고, 한쌍의 제4쉬브를 통하여 제2이송와이어의 양단이 상기 제1 및 제2스크레이퍼의 타측에 고정되어, 드럼의 정/역회전에 따라 교대로 제1 및 제2침전지의 슬러지를 제1 및 제2호퍼로 수집하기 위한 슬러지 수집기와, 일측이 상기 호퍼 내벽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슬러지 수집기의 제1 및 제2스크레이퍼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호퍼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제1 및 제2차단판과,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차단판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제1이송와이어가 권취된 제1 내지 제3쉬브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동축형성된 보조제1 내지 제3쉬브, 안내롤러 및 안내쉬브에 각각 권취된 제1와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제1이송와이어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와이어가 왕복 이동할 때 제1 및 제2차단판은 상기 보조 제1 내지 제3쉬브를 통한 감속에 의해 회전방식으로 교대로 제1 및 제2호퍼의 개구부를 개폐시켜 상기 호퍼로부터 개구부를 통하여 침전지로 유입되는 슬러지를 차단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제1 및 제2호퍼에 침전된 슬러지를 강제 부상시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장치의 슬러지 비산방지장치에 있어서, 각각 제1 및 제2호퍼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차단판과, 양단이 각각 제1 및 제2차단판의 선단부에 결합된 제1와이어와, 제1 및 제2침전지의 슬러지를 제1 및 제2호퍼로 수집하기 위한 슬러지 수집기의 제1 및 제2스크레이퍼가 제1 및 제2침전지를 왕복 이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제1 및 제2차단판을 상기 제1 및 제2호퍼의 개구부를 회전방식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제1와이어를 왕복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 및 제2호퍼에 침전된 슬러지를 강제 부상시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장치의 슬러지 비산방지장치에 있어서, 드럼과 각각 한 쌍의 제1 내지 제3쉬브에 권취된 제1이송와이어의 양단에 제1 및 제2스크레이퍼의 일측이 고정되고, 한쌍의 제4쉬브를 통하여 제2이송와이어의 양단이 상기 제1 및 제2스크레이퍼의 타측에 고정되어, 드럼의 정/역회전에 따라 교대로 제1 및 제2침전지의 슬러지를 제1 및 제2호퍼로 수집하기 위한 슬러지 수집기와, 상기 슬러지 수집기의 제1 및 제2스크레이퍼의 왕복 이동에 따라상기 호퍼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제1 및 제2차단판과, 양단으로 부터 분지되어 상기 제1 및 제2차단판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보조와이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1이송와이어가 권취된 제1 내지 제3쉬브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동축형성된 보조 제1-제3쉬브, 안내롤러 및 안내쉬브에 각각 권취된 제1와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제1이송와이어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와이어가 왕복 이동할 때 제1 및 제2차단판은 상기 보조 제1 내지 제3쉬브를 통한 감속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호퍼의 상부를 수직이동방식으로 왕복 이동하여 교대로 제1 및 제2호퍼의 개구부를 개폐시켜 상기 호퍼로부터 개구부를 통하여 침전지로 유입되는 슬러지를 차단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본 발명은 제1 및 제2호퍼에 침전된 슬러지를 강제 부상시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장치의 슬러지 비산방지장치에 있어서, 각각 제1 및 제2호퍼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차단판과, 양단이 각각 제1 및 제2차단판의 상부에 결합된 제1와이어와, 제1 및 제2침전지의 슬러지를 제1 및 제2호퍼로 수집하기 위한 슬러지 수집기의 제1 및 제2스크레이퍼가 제1 및 제2침전지를 왕복 이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제1 및 제2차단판을 상기 제1 및 제2호퍼의 개구부를 수직이동방식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제1와이어를 왕복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슬러지 수집기의 작동에 연동하여 차단판으로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슬러지의 배출을 위해 침전지의 호퍼부 벽면과 바닥에 압밀되는 슬러지를 압력수 분사에 의해 부상되는 슬러지가 호퍼의 개구부를 통하여 다시 침전지로 역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를 포함하는 슬러지 배출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공관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수 분사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가동식 슬러지 비상방지장치를 포함하는 슬러지 배출장치는 도 6과 같이 제1 및 제2호퍼(15a,15b)의 하측 중간에 유공관(11)이 호퍼(15a,15b)와 농축조(16) 사이의 차단벽(12)에 고정 설치된 연결배관(17)에 조립용 플랜지(11d)를 통하여 전체적으로 "T"자 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유공관(11)은 그의 중간부분이 조립용 플랜지(11d)에 직각으로 연통 연결되어 호퍼(15)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원통형 호퍼 몸체(11b)에는 다수의 구멍(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구멍은 각 구멍의 유속을 분석하여 중심부에서 멀리 떨어질수록 간격을 좁혀서 배열되고 이들 구멍의 각 열간 배치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하는 것이 배출효율면에서 바람직하다.
유공관(11)의 각 구멍의 사이즈와 수량은 슬러지의 배출량과 배출 슬러지의 특성에 따라 적정하게 설정되며, 그의 양측단에는 내부 청소를 할 수 있도록 각각청소용 플랜지(11c)에 원판(11e)이 분해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호퍼(15)의 상부에는 도 5a 및 도 7과 같이 압력수 분사장치(20)와 슬러지 비산방지장치(30)가 구비되어 있다.
압력수 분사장치(20)는 도시되지 않은 압력수 공급펌프와 연결된 압력수 도입관(21)의 선단부에 다수의 스프레이 노즐(24)이 하향 설치된 환형 압력수 배관(22)이 연통 연결되어 있고, 또한 도입관(21)의 선단부에는 수직 안내관(23)을 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된 후 슬러지 비산방지장치(30)의 상부면에 침전된 슬러지를 침전지(1)로 씻어내리기 위한 다수의 저압 스프레이 노즐(2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스프레이 노즐(24,25)은 각각 인접한 다른 스프레이 노즐과 압력수 분사지역이 중첩되도록 분사각도와 배치간격을 설정하며, 평상시에 슬러지로 인하여 노즐이 막히지 않도록 설치 높이를 결정하여야 한다. 이 경우 노즐의 형상은 플랫 타입(flat type)이며, 압력수는 항상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고, 압력수의 분사제어는 배니밸브(8)의 작동과 연계하여 제어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슬러지 비산방지장치(30)는 스프레이 노즐(24,25)로 압력수를 분사하여 호퍼(15)에 침전된 슬러지가 비산 또는 유동에 의해 제1 및 제2침전지(1a,1b)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환형 압력수 배관(22)의 상부에 차단벽(12)에 일측단이 고정되고 이로부터 제1 및 제2침전지(1a,1b)와 제1 및 제2호퍼(15a,15b) 사이의 경계선까지 경사지게 하향 연장된 상판(31)과, 고무판으로 형성되어 슬러지 수집기와의 간섭을 완화시키기 위해 상판(31)으로부터 수직으로 하향 연장된 수직판(32)과, 상판(31)과수직판(32) 사이에 이들을 지지하여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구비된 금속제 프레임(33)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슬러지 배출장치의 압력수 분사장치(20)에 의해 분사되는 분사수로 인하여 압밀되어 있던 슬러지가 부상함에 따라 제1 및 제2호퍼(15a,15b)의 개구부(16a,16b)로 역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러지 비산방지장치는 도 5a 및 도 5b와 같이 구동모터(71)에 의해 구동되는 드럼(73)과 각각 한 쌍의 제1 내지 제3쉬브(61a,61b;62a,62b;63a,63b)에 권취된 제1 이송와이어(60a)의 양단에 제1 및 제2스크레이퍼(3a,3b)의 일측이 고정되고, 한쌍의 제4쉬브(64a,64b)를 통하여 제2이송와이어(60b)의 양단이 상기 제1 및 제2스크레이퍼(3a,3b)의 타측에 고정되어, 드럼(73)의 정/역회전에 따라 교대로 제1 및 제2침전지(1a,1b)의 슬러지를 제1 및 제2호퍼(15a,15b)로 수집하기 위한 슬러지 수집기(6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쉬브(61a,61b)는 드럼으로부터 인출된 제1이송와이어(60a)의 이동방향을 상하방향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며, 제2쉬브(62a,62b)는 제1쉬브(61a,61b)에 안내된 제1이송와이어(60a)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1쉬브(61a,61b)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고, 제3쉬브(63a,63b)는 제2쉬브(62a,62b)를 통하여 안내된 제1이송와이어(60a)를 침전지의 후방에 위치한 제4쉬브(64a,64b)로 안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호퍼(15a,15b)에 침전된 슬러지를 강제 부상시키기 위한 압력수 분사기(20)의 상부에 상기 슬러지 수집기의 제1 및 제2스크레이퍼(3a,3b)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호퍼(15a,15b)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제1 및 제2슬러지 차단판(40a,40b)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슬러지 차단판(40a,40b)의 전단은 상기 제1이송와이어(60a)가 권취된 제1 내지 제3쉬브(61a,61b;62a,62b;63a,63b)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동축 형성된 보조 제1 내지 제3쉬브(51a,51b;52a,52b;53a,53b)와 한 쌍의 안내롤러(55,56)에 각각 권취된 제1와이어(50a)의 양단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슬러지 차단판(40a,40b)의 후단은 한 쌍의 안내쉬브(54a,54b)에 각각 권취된 제2와이어(50b)의 양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50a,50b)는 각각 1줄 또는 다수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슬러지 차단판(40a,40b)은 도 a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50a,50b)의 권취방향에 따라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여 제1 및 제2호퍼(15a,15b)의 개구부(16a,16b)를 개폐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호퍼(15a,15b)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슬러지 배출장치에 포함된 슬러지 비산방지장치에 대한 작용을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침전지(1a,1b)에 설치된 슬러지 수집기(60)는 구동모터(71)의 구동에 의해 제1이송와이어(60a)가 권취된 드럼(73)을 주기적으로 정/역회전시켜 제1이송와이어(60a)및 제2이송와이어(60b)에 각각 결합된 제1 및 제2스크레이퍼(3a,3b)를 상기 제1 및 제2침전지(1a,1b)를 따라 교대로 왕복 이동시켜서 침전지(1a,1b)에 침적된 슬러지를 제1 및 제2호퍼(15a,15b)내로 수집한다.
그 후, 슬러지 호퍼(15a,15b)에 슬러지가 모아지면 주기적으로 자동 또는 수동으로 배니밸브(8)를 개방시키기 약 5초 정도전에 압력수 공급펌프를 작동시켜 유입관(21)과 환형 압력수 배관(22)을 통하여 다수의 스프레이 노즐(24)로 호퍼의 4 경사면(15e)에 압력수를 분사시킨다.
이 경우 분사된 압력수는 호퍼(15a,15b)의 경사면(15e)으로 분사되어 경사면에 싸인 슬러지(10)를 호퍼의 중앙부로 이동시키면서 슬러지를 함유하고 있는 상등수에 와류를 형성시키게 된다. 그 결과 호퍼 바닥에 침전되어 있던 슬러지는 상층으로 부상하게 된다.
이 경우 압력수가 분사되어 호퍼 내부의 상등수에 와류가 발생할지라도 상부에 마련된 슬러지 비산방지판(30)에 의해 슬러지를 함유한 호퍼 내부의 상등수가 침전지(1)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비산방지판(30)의 상부에 구비된 스프레이 노즐(25)을 통하여 슬러지의 부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저압의 세척수를 상판(31)으로 분사함에 의해 상판(31)에 자연 침전된 슬러지는 호퍼(15) 또는 침전지(1)로 떨어지게 되어 이로 인한 수질오염을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침전지(1)로 떨어진 슬러지는 다음번 슬러지 수집기의 왕복운동시에 호퍼(15) 내부로 수집되어 처리된다.
한편 상기 압력수 분사장치(20)의 압력수의 분사에 따라 호퍼 바닥에 침전되어 있던 슬러지가 상층으로 부상하는 경우, 제1 및 제2호퍼(15a,15b)의 개구부(16a,16b)가 항상 개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슬러지 비산방지판(30)에 의해 슬러지를 함유한 호퍼 내부의 상등수가 침전지(1a,1b)로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소량의 슬러지가 침전지(1a,1b)로 유입될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침전지(1a,1b)를 따라 교대로 왕복 이동하는 제1 및 제2스크레이퍼(3a,3b)와 연동하여 상기 호퍼의 개구부(16a,16b)를 개폐시키는 제1 및 제2차단판(40a,40b)에 의해 침전지(1a,1b)로 유입되는 슬러지를 완전 차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차단판(40a,40b)은 도 5a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스크레이퍼(3a,3b)가 교대로 왕복 이동함에 따라, 보조 제1-제3쉬브(51a,51b;52a,52b;53a,53b), 안내롤러(55,56) 및 안내쉬브(54a,54b)에 각각 권취된 제1 및 제2와이어(50a,50b)가 구동에 의해 제1 및 제2스크레이퍼(3a,3b)의 왕복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호퍼의 개구부(16a,16b)를 개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쉬브(61a,61b;62a,62b;63a,63b) 직경과 보조 제1 내지 제3쉬브(51a,51b;52a,52b;53a,53b) 직경의 비는 상기 제1 및 제2스크레이퍼(3a,3b)의 침전지를 1회 왕복 이동하는 거리에 따라 제1 및 제2차단판(40a,40b)가 상기 개구부(16a,16b)를 1회 개폐시킬 수 있는 거리에 비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면, 제1 내지 제3쉬브(61a,61b;62a,62b;63a,63b)의 직경이 350m/m일 경우, 상기 보조 제1 내지 제3쉬브(51a,51b;52a,52b;53a,53b)는 그 직경을 100m/m로 형성하여 상기 슬러지 수집기(60)의 제1 및 제2스크레이퍼(3a,3b)가 침전지를 따라 60m를 이동할 때 상기 제1 및 제2차단판(40a,40b)은 1.4m의 거리를 수평 이동하여, 상기 제1스크레이퍼(3a)에 의해 강제이송된 슬러지를 제1호퍼(15a)내로 수집할 수 있도록 제1차단판(40a)을 수평 이동시켜 상기 제1호퍼의 개구부(16a)를 개방시키게되며, 이와 동시에 제2스크레이퍼(3b)가 후방으로 이송되고 상기 제2차단판(40b)은 제2호퍼의 개구부(16b)를 폐쇄시킨다.
그 후, 제2호퍼(15b)내에는 상기 압력수 분사장치(20)의 구동에 의해 슬러지의 부상이 이루어지고, 이어서 밸브구동모터(M)를 작동시켜 배니밸브(8)를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슬러지(10)와 함께 상등수가 유공관(11)의 구멍(11a)을 통하여 흡인된 후 연결배관(17)을 거쳐 농축조(16)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처리로서 호퍼(15a,15b)에 침전된 슬러지의 부상과정을 거친 후 슬러지의 배출과정을 실행하므로 슬러지 배출시간이 단축되며, 그 결과 불필요한 상등수의 배출을 방지하게 되며 더욱이, 상기 호퍼의 개구부(16a,16b)를 개폐시키는 제1 및 제2차단판(40a,40b)에 의해 침전지(1a,1b)로 유입되는 슬러지를 완전 차단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제1 및 제2차단판(40a,40b)의 구동을 슬러지 수집기(60)의 제1 및 제2이송와이어(60a,60b)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이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및 제2차단판의 구동을 슬러지 수집기 대신에 상기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구동모터, 드럼 및 다수의 쉬브를 구비하고 상기 드럼 및 다수의 쉬브에 각각 권취된 제1 및 제2와이어를 구비하여, 상기 제1 및 제2차단판을 상기 슬러지의 제1 및 제2스크레이퍼의 왕복 이동에 동기시켜 호퍼의 개구부를 수평이동방식으로 개폐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첨부된 도 8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를 포함하는 슬러지 배출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먼저 호퍼(15a,15b)내에 압력수 분사장치(20) 및 제1 및 제2호퍼(15a,15b)의 하측 중간에 유공관이 호퍼(15a,15b)와 농축조 사이의 차단벽에 고정 설치된 연결배관(17)에 조립용 플랜지(11d)를 통하여 전체적으로 "T"자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은 상기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힌지축(141a,141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제1 및 제2차단판(140a,140b)은 일측이 상기 제1 및 제2호퍼(15a,15b) 내벽에 고정되고, 타측이 개방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슬러지 차단판(140a,140b)의 개방단이 상기 제1이송와이어(60a)가 권취된 제1 내지 제3쉬브(61a,61b;62a,62b;63a,63b)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동축 형성된 보조 제1 내지 제3쉬브(51a,51b;52a,52b;53a,53b), 한 쌍의 안내롤러(55,56) 및 상기 보조 제3쉬브(53a,53b)의 상부에 배치된 안내쉬브(154a,154b)에 각각 권취된 제1와이어(50a)의 양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와이어(50a)는 각각 1줄 또는 다수줄로 구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1쉬브(61a,61b)는 드럼으로부터 인출된 제1이송와이어(60a)의 이동방향을 상하방향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며, 제2쉬브(62a,62b)는 제1쉬브(61a,61b)에 안내된 제1이송와이어(60a)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제1쉬브(61a,61b)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고, 제3쉬브(63a,63b)는 제2쉬브(62a,62b)를 통하여 안내된 제1이송와이어(60a)를 침전지의 후방에 위치한 제4쉬브(64a,64b)로 안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차단판(140a,140b)은 상기 슬러지 수집기의 제1 및 제2스크레이퍼(3a,3b)를 왕복 이동시키는 제1와이어(50a)의 권취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차단판(140a,140b)의 힌지축(141a,141b)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상기 제1 및 제2호퍼(15a,15b)의 개구부를 개폐시킨다.
이때 상기 제1-제3쉬브(61a,61b;62a,62b;63a,63b) 직경과 보조 제1-제3쉬브(51a,51b;52a,52b;53a,53b) 직경의 비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같이 구성하여 상기 제1 및 제2스크레이퍼(3a,3b)의 침전지를 1회 왕복 이동하는 거리에 따라 제1 및 제2차단판(140a,140b)이 상기 개구부(16a,16b)를 1회 개폐시킬 수 있는 거리에 비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호퍼(15b)에 설치된 압력수 분사장치 및 배니밸브를 구동시켜 제2호퍼(15b)내에 수집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적으로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호퍼로부터 개구부를 통하여 침전지(1a,1b)로 역유입되는 슬러지를 완전 차단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제1 및 제2차단판(140a,140b)의 구동을 슬러지 수집기(60)의 제1 및 제2이송와이어(60a,60b)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이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및 제2차단판의 구동을 슬러지 수집기 대신에 상기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구동모터, 드럼 및 다수의 쉬브를 구비하고 상기 드럼 및 다수의 쉬브에 각각 권취된 제1 및 제2와이어를 구비하여, 상기 제1 및 제2차단판을 상기 슬러지의 제1 및 제2스크레이퍼의 왕복 이동에 동기시켜 호퍼의 개구부를 회전방식으로 개폐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를 포함하는 슬러지 배출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먼저 호퍼(15a,15b)내에 압력수 분사장치(20) 및 제1 및 제2호퍼(15a,15b)의 하측 중간에 유공관(11)이 호퍼(15a,15b)와 농축조 사이의 차단벽에 고정 설치된 연결배관(17)에 조립용 플랜지(11d)를 통하여 전체적으로 "T"자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은 상기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제1 및 제2호퍼(15a,15b)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호퍼의 개구부(16a,16b)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차단판(240a,240b)은 제1와이어(50a)의 양단에 분지된 한쌍의 보조와이어(150a)에 상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와이어(50b)는 1줄 또는 다수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1와이어(50a)는 제1이송와이어(60a)가 권취된 제1-제3쉬브(61a,61b;62a,62b;63a,63b)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동축 형성된 보조 제1-제3쉬브(51a,51b;52a,52b;53a,53b), 한 쌍의 안내롤러(55,56) 및 상기 보조 제3쉬브(53a,53b)의 상부에 배치된 안내쉬브(254a,254b)에 각각 권취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쉬브(61a,61b)는 드럼으로부터 인출된 제1이송와이어(60a)의 이동방향을 상하방향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며, 제2쉬브(62a,62b)는 제1쉬브(61a,61b)에 안내된 제1이송와이어(60a)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1쉬브(61a,61b)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고, 제3쉬브(63a,63b)는 제2쉬브(62a,62b)를 통하여 안내된 제1이송와이어(60a)를 침전지의 후방에 위치한 제4쉬브(64a,64b)로 안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차단판(240a,240b)은 상기 슬러지 수집기의 제1 및 제2스크레이퍼(3a,3b)를 왕복 이동시키는 제1와이어(50a)의 권취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호퍼(15a,15b)의 개구부를 개폐시킨다.
이때 상기 제1-제3쉬브(61a,61b;62a,62b;63a,63b) 직경과 보조 제1-제3쉬브(51a,51b;52a,52b;53a,53b) 직경의 비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같이 상기 제1 및 제2스크레이퍼(3a,3b)의 침전지를 1회 왕복 이동하는 거리에 따라 제1 및 제2차단판(240a,240b)가 상기 개구부(16a,16b)를 1회 개폐시킬 수 있는 거리에 비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호퍼(15b)에 설치된 압력수 분사장치 및 배니밸브를 구동시켜 제2호퍼(15b)내에 수집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적으로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호퍼로부터 개구부를 통하여 침전지(1a,1b)로 역유입되는 슬러지를 완전 차단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제1 및 제2차단판(240a,240b)의 구동을 슬러지 수집기(60)의 제1 및 제2이송와이어(60a,60b)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이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및 제2차단판의 구동을 슬러지 수집기 대신에 상기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구동모터, 드럼 및 다수의 쉬브를 구비하고 상기 드럼 및 다수의 쉬브에 각각 권취된 제1 및 제2와이어를 구비하여, 상기 제1 및 제2차단판을 상기 슬러지의 제1 및 제2스크레이퍼의 왕복 이동에 동기시켜 호퍼의 개구부를 수직이동방식으로 개폐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종래에는 4배니밸브의 작동시간이 평균 5분정도 소요하였으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3-4일에 1회 1분정도 작동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슬러지 수집기의 작동에 연동하여 차단판으로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슬러지의 배출을 위해 침전지의 호퍼부 벽면과 바닥에 압밀되는 슬러지를 압력수 분사에 의해 부상되는 슬러지가 호퍼의 개구부를 통하여 다시 침전지로 역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제1 및 제2호퍼에 침전된 슬러지를 강제 부상시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장치의 슬러지 비산방지장치에 있어서,
    드럼과 각각 한 쌍의 제1 내지 제3쉬브에 권취된 제1이송와이의 양단에 제1 및 제2스크레이퍼의 일측이 고정되고, 한쌍의 제4쉬브를 통하여 제2이송와이어의 양단이 상기 제1 및 제2스크레이퍼의 타측에 고정되어, 드럼의 정/역회전에 따라 교대로 제1 및 제2침전지의 슬러지를 제1 및 제2호퍼로 수집하기 위한 슬러지 수집기와,
    상기 슬러지 수집기의 제1 및 제2스크레이퍼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호퍼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제1 및 제2차단판과,
    일단이 상기 제1차단판 전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차단판의 전단에 결합되며, 제1이송와이어가 권취된 제1 내지 제3쉬브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동축형성된 보조 제1 내지 제3쉬브와 안내롤러에 각각 권취된 제1와이어와,
    일단이 상기 제1차단판 후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차단판 후단에 결합되며, 안내쉬브에 각각 권취된 제2와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제1이송와이어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가 왕복 이동할 때 제1 및 제2차단판은 상기 보조 제1 내지 제3쉬브를 통한 감속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호퍼의 상부를 수평이동방식으로 왕복 이동하여 교대로 제1 및 제2호퍼의 개구부를 개폐시켜 상기 호퍼로부터 개구부를 통하여 침전지로 유입되는 슬러지를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배출장치의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
  2. 제1 및 제2호퍼에 침전된 슬러지를 강제 부상시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장치의 슬러지 비산방지장치에 있어서,
    각각 제1 및 제2호퍼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차단판과,
    일단이 제1차단판의 전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차단판의 전단에 결합된 제1와이어와,
    일단이 제1차단판의 후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차단판의 후단에 결합된 제2와이어와,
    제1 및 제2침전지의 슬러지를 제1 및 제2호퍼로 수집하기 위한 슬러지 수집기의 제1 및 제2스크레이퍼가 제1 및 제2침전지를 왕복 이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제1 및 제2차단판을 상기 제1 및 제2호퍼의 개구부를 수평 이동방식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제1와이어를 왕복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배출장치의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
  3. 제1 및 제2호퍼에 침전된 슬러지를 강제 부상시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장치의 슬러지 비산방지장치에 있어서,
    드럼과 각각 한 쌍의 제1 내지 제3쉬브에 권취된 제1이송와이어의 양단에 제1 및 제2스크레이퍼의 일측이 고정되고, 한쌍의 제4쉬브를 통하여 제2이송와이어의 양단이 상기 제1 및 제2스크레이퍼의 타측에 고정되어, 드럼의 정/역회전에 따라 교대로 제1 및 제2침전지의 슬러지를 제1 및 제2호퍼로 수집하기 위한 슬러지 수집기와,
    일측이 상기 호퍼 내벽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슬러지 수집기의 제1 및 제2스크레이퍼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호퍼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제1 및 제2차단판과,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차단판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제1이송와이어가 권취된 제1 내지 제3쉬브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동축형성된 보조 제1 내지 제3쉬브, 안내롤러 및 안내쉬브 각각 권취된 제1와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제1이송와이어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와이어가 왕복 이동할 때 제1 및 제2차단판은 상기 보조 제1 내지 제3쉬브를 통한 감속에 의해 회전방식으로 교대로 제1 및 제2호퍼의 개구부를 개폐시켜 상기 호로부터 개구부를 통하여 침전지로 유입되는 슬러지를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배출장치의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
  4. 제1 및 제2호퍼에 침전된 슬러지를 강제 부상시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장치의 슬러지 비산방지장치에 있어서,
    각각 제1 및 제2호퍼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차단판과,
    양단이 각각 제1 및 제2차단판의 선단부에 결합된 제1와이어와,
    제1 및 제2침전지의 슬러지를 제1 및 제2호퍼로 수집하기 위한 슬러지 수집기의 제1 및 제2스크레이퍼가 제1 및 제2침전지를 왕복 이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제1 및 제2차단판을 상기 제1 및 제2호퍼의 개구부를 회전방식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제1와이어를 왕복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배출장치의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
  5. 제1 및 제2호퍼에 침전된 슬러지를 강제 부상시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장치의 슬러지 비산방지장치에 있어서,
    드럼과 각각 한 쌍의 제1 내지 제3쉬브에 권취된 제1이송와이어의 양단에 제1 및 제2스크레이퍼의 일측이 고정되고, 한쌍의 제4쉬브를 통하여 제2이송와이어의 양단이 상기 제1 및 제2스크레이퍼의 타측에 고정되어, 드럼의 정/역회전에 따라 교대로 제1 및 제2침전지의 슬러지를 제1 및 제2호퍼로 수집하기 위한 슬러지 수집기와,
    상기 슬러지 수집기의 제1 및 제2스크레이퍼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호퍼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제1 및 제2차단판과,
    양단으로 부터 분지되어 상기 제1 및 제2차단판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보조와이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1이송와이어가 권취된 제1 내지 제3쉬브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동축형성된 보조 제1-제3쉬브, 안내롤러 및 안내쉬브에 각각 권취된 제1와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제1이송와이어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와이어가 왕복 이동할 때 제1 및 제2차단판은 상기 보조 제1 내지 제3쉬브를 통한 감속에 의해 상기 제1 및제2호퍼의 상부를 수직이동방식으로 왕복 이동하여 교대로 제1 및 제2호퍼의 개구부를 개폐시켜 상기 호퍼로부터 개구부를 통하여 침전지로 유입되는 슬러지를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배출장치의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
  6. 제1 및 제2호퍼에 침전된 슬러지를 강제 부상시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장치의 슬러지 비산방지장치에 있어서,
    각각 제1 및 제2호퍼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차단판과,
    양단이 각각 제1 및 제2차단판의 상부에 결합된 제1와이어와,
    제1 및 제2침전지의 슬러지를 제1 및 제2호퍼로 수집하기 위한 슬러지 수집기의 제1 및 제2스크레이퍼가 제1 및 제2침전지를 왕복 이동하는 것에 연동하여 제1 및 제2차단판을 상기 제1 및 제2호퍼의 개구부를 수직이동방식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제1와이어를 왕복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배출장치의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
KR10-2000-0045167A 2000-08-04 2000-08-04 슬러지 배출장치의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 KR100368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167A KR100368170B1 (ko) 2000-08-04 2000-08-04 슬러지 배출장치의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167A KR100368170B1 (ko) 2000-08-04 2000-08-04 슬러지 배출장치의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186U Division KR200203509Y1 (ko) 2000-03-31 2000-03-31 슬러지 배출장치의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457A true KR20010096457A (ko) 2001-11-07
KR100368170B1 KR100368170B1 (ko) 2003-01-24

Family

ID=19681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167A KR100368170B1 (ko) 2000-08-04 2000-08-04 슬러지 배출장치의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81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337B1 (ko) * 2008-04-10 2009-02-11 다음기술 주식회사 호퍼게이트가 형성된 침전지의 슬러지 배출장치
KR101111625B1 (ko) * 2009-07-27 2012-02-14 윤팔석 침전지의 슬러지 교반 및 인출장치
CN108159743A (zh) * 2018-01-31 2018-06-15 何新华 水处理沉淀池
CN116444036A (zh) * 2023-06-09 2023-07-18 乾坤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强效水解酸化反应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979B1 (ko) 2009-01-07 2009-09-17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침전지 호퍼의 슬러지 분산 장치
KR101383076B1 (ko) * 2012-04-25 2014-04-10 동양수기산업(주) 침전슬러지 배출용 호퍼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9567Y2 (ko) * 1974-10-29 1979-07-19
JPS6283506U (ko) * 1985-11-18 1987-05-28
JP2689468B2 (ja) * 1988-04-06 1997-12-10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スカム処理設備
KR200194154Y1 (ko) * 2000-02-26 2000-09-01 김학광 침전지용 슬러지 배출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337B1 (ko) * 2008-04-10 2009-02-11 다음기술 주식회사 호퍼게이트가 형성된 침전지의 슬러지 배출장치
KR101111625B1 (ko) * 2009-07-27 2012-02-14 윤팔석 침전지의 슬러지 교반 및 인출장치
CN108159743A (zh) * 2018-01-31 2018-06-15 何新华 水处理沉淀池
CN108159743B (zh) * 2018-01-31 2024-04-26 何新华 水处理沉淀池
CN116444036A (zh) * 2023-06-09 2023-07-18 乾坤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强效水解酸化反应装置
CN116444036B (zh) * 2023-06-09 2023-08-18 乾坤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强效水解酸化反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8170B1 (ko) 200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9117B2 (en) Filtration unit, installation method for a filtration unit and filtration apparatus
CN209361923U (zh) 一种池底污泥清理装置
CN108479123B (zh) 一种高效沉淀池的斜管清洗装置
CN207237380U (zh) 一种可高效清洗斜管沉淀池的装置
CN102284199B (zh) 自动化水处理反冲洗装置
KR200194154Y1 (ko) 침전지용 슬러지 배출장치
CN218539349U (zh) 一种城市污水处理用气浮沉淀一体装置
KR100368170B1 (ko) 슬러지 배출장치의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
CN214918874U (zh) 一种隔油池管道清理装置
KR200203509Y1 (ko) 슬러지 배출장치의 가동식 슬러지 비산방지장치
CN207436222U (zh) 双向喷射装置、含有其的曝气冲洗装置及雨水调蓄池
KR100868453B1 (ko) 슬러지 수집조의 슬러지 확인장치
CN209138093U (zh) 一种环境治理用固液分离装置
CN207786032U (zh) 一种便于清除污泥的污水沉淀池
CN216986421U (zh) 带有反冲洗的斜板沉淀池
CN111115726B (zh) 一种污水净化设备
CN209554929U (zh) 蓝藻水华应急处理装置及蓝藻水华应急处理船
CN209323490U (zh) 多功能吸藻头
CN207575865U (zh) 具有缓流结构的污水处理单元
CN215049535U (zh) 一种生活污水处理装置
CN111592119A (zh) 一种污水净化微生物处理系统及其净化作用方法
CN109305734A (zh) 蓝藻水华应急处理装置及蓝藻处理方法
CN114029298A (zh) 一种复合冲洗式稳蓄池
CN106914038A (zh) 斜管沉淀池清洗装置和清洗方法
CN220779760U (zh) 一种气旋喷淋塔气动混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