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6444A - 낙하 주입식 물 처리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낙하 주입식 물 처리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6444A
KR20010096444A KR1020007007484A KR20007007484A KR20010096444A KR 20010096444 A KR20010096444 A KR 20010096444A KR 1020007007484 A KR1020007007484 A KR 1020007007484A KR 20007007484 A KR20007007484 A KR 20007007484A KR 20010096444 A KR20010096444 A KR 20010096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eatment
treatment device
tank
tra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디. 태너
데이빗 제이. 에몬스
조앤스 엔. 개스톤
더글라스 제이. 반오늄
Original Assignee
린다 디. 로흐러
피유알 워터 퓨리피케이션 프로덕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다 디. 로흐러, 피유알 워터 퓨리피케이션 프로덕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린다 디. 로흐러
Publication of KR20010096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44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4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itcher or ju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하 주입식(pour-through) 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장치는 탱크(20), 주입 트레이(pour tray;30) 및 커버(40)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의 길이는 폭의 2배 이상이며 높이는 9.0 - 약 11.0인치이다. 상기 주입 트레이는 탱크의 상향 모서리(upwardly facing edge)에 삽입되어 있는 하향 채널(downwardly facing edge)을 갖는다. 상기 주입 트레이는 또한 물이 전후 양 방향으로 출렁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플(33)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낙하 주입식 물 처리 디스펜서{POUR-THROUGH WATER TREATMENT DISPENSER}
가정용 물 처리 장치는 당 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이들 장치들은 물을 배취(batch)내에서 처리하는 자체 구비 시스템이다. 배취 장치의 예로서는 처리된 물이 마개(spigot)를 통해서 주입되는 피쳐/가정용 유리병 및 이들보다 더욱 큰 디스펜서가 있다. 상기 시스템들은 통상적으로 상부 및 하부 챔버가 필터 카트리지에 의해서 구분된 형태를 갖추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장치는 물을 중력에 의해서 상부 챔버(upper chamber)로부터 카트리지(cartridge)를 통하여 하부 챔버(lower chamber)로 운반하여 처리하므로 "낙하 주입식(pour-through)" 장치라고 부른다.
낙하 주입식 디스펜서의 단점중의 하나는 크기 및 형상이 최적화되지 못한 상태에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디스펜서는 필요 이상으로 폭이 넓을 뿐만 아니라, 길이 및 높이는 필요 이하로 짧고 낮기 때문에, 활용 가능한 냉장고 내부의 공간을 낭비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의 치수 및 형태는 상기 주입 트레이가 채워질 경우 통상적인 부엌 씽크대의 수도 꼭지의 하부에 맞도록 최적화되어 있지는 않다.
최근의 직접 주입 장치에 있어서의 필터 막을 개발한 결과, 원생 동물 포낭(protozoan cysts)(예를 들어, 크립토스포리듐(cryptosporidium))과 같은 생물학적 오염 물질이 제거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처리된 물이 처리되지 않은 물로 오염된다면 필터 카트리지로써 생물학적 오염 물질을 성공적으로 제거하더라도 아무런 소용이 없게 된다. 극히 소량의 생물학적 오염 물질이라도 처리된 물을 음용에 부적합하도록 만들기 때문에 어떠한 오염도 허용될 수 없다.
처리된 물이 직접 주입 디스펜서내에서 처리되지 않은 물에 의하여 오염되는 한가지 경로는 씽크대내 주입 트레이가 채워질 때이다. 사용자들은 종종 처음에 마개를 돌려서 주입 트레이를 이동시켜 디스펜서를 채우게 된다. 물 줄기가 탱크와 주입 트레이의 상부 모서리를 통과할때, 처리되지 않은 물이 이들 사이에서 흘러나와 상기 탱크의 바닥으로 들어갈 수 있다.
낙하 주입식 디스펜서에서 발생하는 다른 문제점은 물을 다량으로 함유하는 데에서 기인한다. 사용자들은 종종 주입 트레이를 채우고 난후 곧바로 씽크대에서 냉장고(또는 기타 장소)로 상기 디스펜서를 운반한다. 주입 트레이 내부에 존재하는 처리되지 않은 물은 전후로 출렁거리게 되어 상기 디스펜서를 불안정하게 만들어 물이 주입 트레이 밖으로 튀기게 만든다.
그러므로, 처리된 물을 처리되지 않은 물로부터 보다 양호하게 분리시키기 위한 최적화된 치수 및 형태를 갖춘 탱크/주입 트레이 형상 및 주입 트레이내 물이 출렁거리는 것을 감소시킨 주입 트레이 형상이 요구되고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제 1 양상은 처리된 물을 수용하는 탱크, 상기 탱크에 삽입된 주입 트레이 및 상기 주입 트레이를 덮어주는 커버를 포함하는 물 처리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디스펜서의 길이는 폭의 2배 이상이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은 처리된 물을 수용하는 탱크 및 상기 탱크에 삽입된 주입 트레이를 포함하는 물 처리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디스펜서의 높이는 9.0 인치 이상, 11.0 인치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제 3 양상은 처리된 물을 수용하는 탱크, 상기 탱크에 삽입된 주입 트레이 및 상기 주입 트레이를 덮어주는 커버를 포함하는 물 처리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주입 트레이는 탱크의 상부 모서리가 삽입된 주변부의 주위에 하향 통로를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상은 처리된 물을 수용하는 탱크, 상기 탱크에 삽입된 주입 트레이 및 상기 주입 트레이를 덮어주는 커버를 포함하는 물 처리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주입 트레이는 상기 주입 트레이 내부의 안쪽으로 뻗어있는 배플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고 있는 상기 양상들 및 기타 이점들 그리고 신규한 양상들은 본원에 첨부되어 있는 청구 범위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 및 이의 이점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 본원 발명의 추가의 부분을 이루고 있는 도면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기술되어 개시되고 있는 부가적인 설명을 참조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낙하 주입식(pour-through) 물 처리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처리된 물과 처리되지 않은 물을 보다 양호하게 분리시키기는데에 최적인 치수 및 형태의 탱크(tank)/주입 트레이(pour tray) 형상을 갖추었으며, 주입 트레이내에서 운반 물질이 출렁거리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한 주입 트레이내 배플(baffle)을 갖춘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는 동일한 참고 번호들이 이와 상응하는 부분들과 일치하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본 발명에 의한 물 처리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나타낸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나타낸 장치의 일부분의 횡단면도로서, 커버, 주입 트레이 및 탱크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물 처리 장치(water treatment device ; 10)는 탱크(20), 주입 트레이(pour tray ; 30), 리드(lid;40) 및 필터 카트리지(60)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10)는 다른 직접 주입 장치로서도 사용된다. 상기 주입 트레이(30)는 수돗물로 채워진다. 중력에 의해서, 물은 필터 카트리지(60)를 통과하여 탱크(20) 내부로 흘러 들어간다. 본원에 기술된 디스펜서 형상의 경우, 사용자들은 마개(50)를 통하여 탱크(20)로부터 처리된 물을 주입시킨다.
상기 장치(10)는 대부분의 냉장고에서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크기가 정해져 구성된다. 상기 장치는 길고 좁기 때문에(길이가 폭의 2배 이상), 수용 가능한 앞쪽 선반의 공간을 최소한으로 차지하는 반면에 뒷쪽 선반의 공간은 낭비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장치는 높이가 상대적으로 우유 상자의 높이와 비슷하기 때문에, 추가의 공간 활용 이점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장치의 특정 치수는 다음과 같다 : 높이 H1(커버(40)까지 합하여)은 10.25인치 ; 폭 W는 5.50인치 ; 그리고 길이 L은 15.38인치. 이들 치수는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다양화될 수 있으며, 크기는 상이하지만 상대적으로 좁고 길며 높이가 있는 디스펜서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장치(10)는 또한 대부분의 부엌 씽크대에 맞는 크기 및 형상을 갖춘다.길이 치수 L은 상기 씽크대에 비스듬하게 또는 세로로 맞출 수 있도록 충분히 짧다. 상기 장치(10)의 좁은 폭 치수 W 및 둥근 모양의 말단(12)은 상기 장치가 용이하게 씽크대에 비스듬하게 맞추어질 수 있도록 한다.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상기 장치(10)의 높이(H2)는 또한 상기 장치가 통상적인 씽크대의 수도 꼭지 밑으로 들어가기에 충분할 정도로 낮아야 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의 높이(H2)는 9.51인치이지만,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약간 높거나 낮을 수 있다.
주입 트레이(30) 및 탱크(20)는 주입 트레이(30)가 채워질 경우 또는 장치(10)가 운반될 때 처리되지 않은 물이 탱크(20)의 주입 트레이(30) 및 상부 모서리(upper edge ; 22) 사이로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구성된다. 주입 트레이(30)는 주입 트레이(30)의 가장 인접한 상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나와 탱크(20)의 상부 모서리(22)에 걸쳐서 존재하는 상부 립(lip;37)을 포함한다. 돌출된 벽(38)은 립(37)의 바깥쪽 말단으로부터 탱크의 상부 벽(21)의 바깥쪽을 따라서 아래 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향 채널(downwardly facing channel ; 36)은 탱크(20) 상부 벽(upper wall ; 21)의 상부 모서리(22)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채널(36)의 형태 및 방향 그리고 주입 트레이(30)상에서의 위치는 다양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돌출 벽(overhanging wall ; 38)은 바람직하게는 탱크(20)상에 주입 트레이(30)를 고정시켜 처리되지 않은 물이 탱크(20)내에 흘러 들어가는 것을 차단시키는 것을 돕는 것으로서, 반드시 필요한 부분은 아니다. 채널(36) 및 립(37)은 주입 트레이(30)의 일부로서 성형될필요는 없으나, 이에 부착된 형태로서 분리될 수 있다. 탱크(20)의 상부 모서리(22)는 탱크의 최상단일 필요는 없으나, 탱크(20)의 보다 낮은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40)는 상기 장치가 채워진 후 상기 장치(1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커버(40)는 립(37)으로부터 상부쪽으로 뻗은 고정 벽(39)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 벽(peripheral wall ; 42)에 의해서 주입 트레이(30)상에 고정될 수 있다. 주변 벽(42)의 바닥은 립(37)의 상부 면과 접한다.
주입 트레이(30)는 배플(baffle ; 33)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10)가 탱크(20)내에서 핑거 홀드(finger hold ; 23)에 의해서 운반될 때(즉, 주입 트레이(30)가 탱크(20)의 턱(34)에 상응하는 모양을 갖추었을때), 주입 트레이(30)내에 존재하는 물은 전후로 출렁거려서 상기 장치를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로써 물이 주입 트레이(30)로부터 튀겨져 배출될 수 있다. 배플(33)은 이와 같은 현상을 막아준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이들은 주입 트레이의 내부 측벽(35)으로부터 수직으로 뻗어서 주입 트레이(30)의 내부로 향하는 수직 벽이다. 이들은 주입 트레이(30)의 중앙에서 서로 마주보며 위치한다. 상기 배플의 번호, 형태 및 위치는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다양화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주입 트레이(30)는 슬리브(32)를 향하여 아래쪽 방향으로 뾰족해져서 주입 트레이(30)내 물이 모두 필터 카트리지(60)를 통해서 배출된다. 이와 유사하게, 도 1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주입 트레이(30)는 또한 중앙선을 따라 아래쪽으로 뾰족해지므로 필터 카트리지(60)와 마주 보고 있는 배플(33)쪽에 존재하는 물이 모두 상기 필터 카트리지(60)로 배출된다.
필터 카트리지(60)는 O-링(62)으로써 슬리브(32)에 부착된다. 다양한 막을 갖는 다수의 필터 카트리지가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처리된 물은 마개(50)를 통해서 탱크(20)로부터 주입된다. 마개(50)는 레버(54)에 의해서 개방 위치(open position) 및 폐쇄 위치(closed position)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밸브(52)를 포함한다. 마개(50)는 O-링(56)에 의하여 탱크(20)의 마개 배출구(27)에 부착된다. 마개 배출구(27) 바닥부 및 밸브 챔버(53)의 바닥부는 탱크(20)내에 매우 낮게, 즉 탱크 바닥(25)보다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탱크(20)로부터 물이 완전히 배출될 수 있다. 기저부(24)는 상기 마개(50) 바닥부가 상기 장치(10)가 위치하는 냉장고의 선반 또는 다른 표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탱크(20)를 위로 들어 올린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람직한 구체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단지 예시하는 것에 불과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첨부된 청구 범위가 표현된 용어들의 일반적인 의미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는 범위 전부에 걸친 변형 특히 형태, 크기 및 각 부분들의 배치 또는 구성 부분의 재료에 있어서의 변형은 이루어 질 수 있다.

Claims (21)

  1. 처리된 물을 수용하는 탱크, 상기 탱크에 삽입된 주입 트레이(pour tray) 및 상기 주입 트레이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며 디스펜서(dispenser)의 길이가 폭의 2배 이상인, 마개(spigot)를 통하여 처리된 물이 분배되는 물 처리 장치(water treatment device).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가 14.5인치 이상인 물 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폭이 7.0인치 이하인 물 처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의 높이가 9.0인치 이상인 물 처리 장치.
  5. 처리된 물을 수용하는 탱크, 상기 탱크에 삽입된 주입 트레이(pour tray)를 포함하며 디스펜서(dispenser)의 높이가 9.0인치 이상 11.0인치 이하인, 마개(spigot)를 통하여 처리된 물이 분배되는 물 처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가 약 9.5인치인 물 처리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의 길이가 14.5인치 이상 16.0인치 이하인물 처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가 약 15.5인치인 물 처리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반대편 말단부가 둥근 형태인 물 처리 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의 폭이 7.0인치 이하인 물 처리 장치.
  11. (a) 처리된 물을 수용하며 상향 모서리(upwardly facing edge)를 갖는 탱크 ;
    (b) 상기 탱크에 삽입되었으며 상기 탱크의 상향 모서리가 삽입된 주변부 주위에 하향 채널이 존재하는 주입 트레이 ; 및
    (c) 상기 주입 트레이를 덮는 커버
    를 포함하는, 마개를 통하여 처리된 물을 분배시키는 물 처리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트레이내 채널이 상기 주입 트레이 인접 최상단 말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일반적으로 수평인 립(lip), 및 상기 립의 외부 말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 있는 돌출 벽(overhanging wall)으로 이루어진 물 처리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이 상기 주입 트레이의 일부로서 성형된 물 처리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상향 모서리가 상기 탱크의 최상단 모서리인 물 처리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트레이는 상기 립으로부터 위쪽으로 뻗어있는 커버 고정벽(cover retaining wall) 즉, 상기 주입 트레이의 고정벽을 둘러싸고 있는 커버의 주변 벽(peripheral wall)을 추가로 갖는 물 처리 장치.
  16. (a) 처리된 물을 수용하는 탱크 ;
    (b) 주입 트레이 내부의 안쪽으로 뻗은 배플(baffle)을 가지며 상기 탱크에 삽입된 주입 트레이 ; 및
    (c) 상기 주입 트레이를 덮는 커버
    를 포함하는, 마개를 통하여 처리된 물을 분배시키는 물 처리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이 상기 주입 트레이의 중앙부에 인접한 곳에 위치하는 물 처리 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트레이 내부의 안쪽으로 뻗은 복수개의 배플을포함하는 물 처리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이 상기 주입 트레이의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서로를 향하여 뻗어 있으며 물이 이동할 수 있는 이들 사이의 공간이 존재하는 물 처리 장치.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이 상기 주입 트레이의 일부분으로서 성형된 물 처리 장치.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이 상기 주입 트레이의 내부 벽으로부터 보통 수직으로 뻗어 있는 수직벽을 포함하는 물 처리 장치.
KR1020007007484A 1998-01-09 1999-01-07 낙하 주입식 물 처리 디스펜서 KR200100964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29298A 1998-01-09 1998-01-09
US09/005,292 1998-01-09
PCT/US1999/000332 WO1999035092A1 (en) 1998-01-09 1999-01-07 Pour-through water treatment dispen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444A true KR20010096444A (ko) 2001-11-07

Family

ID=21715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484A KR20010096444A (ko) 1998-01-09 1999-01-07 낙하 주입식 물 처리 디스펜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20125187A1 (ko)
EP (1) EP1044165A1 (ko)
JP (1) JP2002500102A (ko)
KR (1) KR20010096444A (ko)
CN (1) CN1308590A (ko)
AU (1) AU2029599A (ko)
BR (1) BR9906804A (ko)
CA (1) CA2318475A1 (ko)
WO (1) WO19990350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9038B2 (en) 2011-03-03 2016-02-02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54857B1 (en) * 2000-12-25 2008-02-20 Mitsubishi Rayon Co., Ltd. Pitcher type water purifier and purification cartridge for the water purifier
US7438799B2 (en) * 2003-12-03 2008-10-21 Headwaters R & D, Inc. Portable, refillable water dispenser serving batches of water purified of organic and inorganic pollutants
JP4453381B2 (ja) * 2004-02-06 2010-04-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貯水装置
US20050258082A1 (en) * 2004-05-24 2005-11-24 Lund Mark T Additive dispensing system and water filtration system
US7670479B2 (en) 2004-05-24 2010-03-02 PUR Water Purification, Inc. Fluid container having an additive dispensing system
US8556127B2 (en) 2004-05-24 2013-10-15 Pur Water Purification Products, Inc. Additive dispensing system for a refrigerator
US8893927B2 (en) 2004-05-24 2014-11-25 Pur Water Purification Products, Inc. Cartridge for an additive dispensing system
US8043502B2 (en) * 2007-08-29 2011-10-25 Uv Corporation Water pitcher filter
WO2010011483A2 (en) * 2008-07-21 2010-01-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pparatus for dispersing additive into a fluid stream
US8128820B2 (en) * 2009-02-25 2012-03-06 Mr. Chiaphua Industries Limited UV liquid storage and dispensing device
USD883739S1 (en) * 2018-03-20 2020-05-12 Keurig Green Mountain, Inc. Container
US11872506B2 (en) * 2018-07-07 2024-01-16 Paragon Water Systems, Inc. Water filter cartridge having an air vent
USD1016969S1 (en) 2019-04-24 2024-03-05 Helen Of Troy Limited Filter cartridge
USD950010S1 (en) * 2020-03-06 2022-04-26 Qingdao Ecopure Filter Co., Ltd. Reverse osmosis water filter
USD964811S1 (en) * 2020-05-12 2022-09-27 Ofer Landau Food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74203A (en) * 1927-02-28 1928-06-19 Holz Thomas Clifford Water filter
US2017456A (en) * 1933-05-10 1935-10-15 Gudmundsen Austin Portable water treating apparatus
DE4102701A1 (de) * 1991-01-30 1992-08-06 Robert Finke Verfahren und technik zur wasserfiltration
GB9407799D0 (en) * 1994-04-20 1994-06-15 Kenwood Marks Ltd Filter jugs
US5562824A (en) * 1994-10-12 1996-10-08 Wtc/Ecomaster Corporation Gravity water purifier
US5637214A (en) * 1995-11-09 1997-06-10 Kahana; Dov Filter assembly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9038B2 (en) 2011-03-03 2016-02-02 Lg Electronics Inc. Water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35092A1 (en) 1999-07-15
US20020125187A1 (en) 2002-09-12
EP1044165A1 (en) 2000-10-18
BR9906804A (pt) 2000-10-10
AU2029599A (en) 1999-07-26
JP2002500102A (ja) 2002-01-08
CN1308590A (zh) 2001-08-15
CA2318475A1 (en)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96444A (ko) 낙하 주입식 물 처리 디스펜서
US6648180B2 (en) Duplex stopper-type water dispensing and water bottle supporting apparatus
KR101728277B1 (ko) 첨가물 수납공간이 구비된 텀블러
KR100239606B1 (ko) 물통에 담긴 물 분배대에 사용되는 물통 뚜껑과 밸브의 조립체
CN101238036B (zh) 液体容器
US9974279B2 (en) Pet watering and feeding device
DE602004015285D1 (de) Brühbehälter und schäumereinheit und getränkemaschine mit solch einem brühbehälter
JP4981674B2 (ja) 凸状の滴ランディング面を有するドリップトレイを持つ飲料供給装置
JP5572099B2 (ja) リザーバシステムおよび多岐水栓を有する水ディスペンサ
KR101972810B1 (ko) 첨가물 수납공간이 구비된 텀블러
RU2433076C2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ачи жидкости
US20100108701A1 (en) Splash-resistant drinking device
US10221956B2 (en) Filter assembly for a beverage dispenser
US200702351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unmixed layer of a first liquid in or on a second liquid contained in a vessel
MXPA00006733A (en) Pour-through water treatment dispenser
CN218915411U (zh) 液体加热装置
JP2000153102A (ja) 油水分離前処理タンク
KR200381098Y1 (ko) 냉온수기용 기능성 물병마개
KR200492816Y1 (ko) 과도한 액체 토출 방지용 캡
KR100818691B1 (ko) 차류 정량배출장치
RU204467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лавливания пролитой жидкости
CN209907500U (zh) 排水管清洁剂供给装置
JP3653118B2 (ja) 飲料供給機の注出装置
KR200484272Y1 (ko) 계영배 찻잔
KR101711188B1 (ko) 역류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