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5738A - 인터넷 충전식 통합상품카드를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전자적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충전식 통합상품카드를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전자적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5738A
KR20010095738A KR1020000019052A KR20000019052A KR20010095738A KR 20010095738 A KR20010095738 A KR 20010095738A KR 1020000019052 A KR1020000019052 A KR 1020000019052A KR 20000019052 A KR20000019052 A KR 20000019052A KR 20010095738 A KR20010095738 A KR 20010095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web server
integrated
card
consu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9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4115B1 (ko
Inventor
김명환
김범준
Original Assignee
김명환
김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환, 김범준 filed Critical 김명환
Priority to KR10-2000-0019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4115B1/ko
Publication of KR20010095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5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115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충전식 통합상품카드를 이용한 전자적 거래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웹서버에서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공급자에게 대금을 결제하고 웹서버에서 동일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판매권한을 획득하는 제1단계; 소비자인 클라이언트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하고 대금을 결제하면, 소비자에게 상기 상품을 취득할 수 있는 권한을 사전에 부여하는 제2단계; 소비자인 클라이언트가 제2단계에서 취득한 상품에 대한 권한에 의하여 가맹점에서 그 상품을 요청하면 가맹점에서는 상기 권한을 확인한 후 그 상품을 제공하는 제3단계; 상기 가맹점은 판매 제공한 상품에 대하여 그 상품의 공급자로부터 동일상품을 조달받고 웹서버 운영자로부터 판매활동에 대한 보상을 받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물시장 내 일상적인 소비행위와 전자상거래를 통한 소비행위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됨으로써 온/오프라인 시장의 균형 있는 발전을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터넷 충전식 통합상품카드를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electronic commerce system utilizing internet charging commodity card and the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통합상품카드를 통해 실물시장과 직접적으로 연계된 전자상거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전자상거래방법은 기존 실물시장의 상품권과 선불카드에 전자화폐 및 포인트적립카드의 개념이 부가된 인터넷충전식통합상품카드를 중심으로 소비자 공동구매와 소비자 개인별 선물거래(先物去來) 방식이 결합됨으로써, 다수의 회원 소비자가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실물시장 내 가맹점에서 구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최근 인터넷에 연계된 네트워크와 인터넷 이용자 수가 급증하면서 인터넷의 상업적 이용, 즉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규모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전자상거래란 재화나 서비스의 거래에 있어서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전자문서 교환 등 전자적 방식에 의해 처리되는 거래를 말한다.
가장 간단한 전자상거래 유형의 경우, 물건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상점(Cyber Mall), 상점에서 물건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는 소비자, 제품 구매에 따른 금전관계에 관여하는 가상은행 또는 신용카드회사 등이 전자상거래에서 거래의 주체가 되며, 가상상점에서 판매된 제품을 소비자에게 배달하는 물류업자가 부수적인 주체로 활동한다. 이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소비자는 컴퓨터 등 인터넷에 연결된 단말기로 가상 상점에 접속해 쇼핑을 하고, 이런 정보탐색을 통해 구매를 원하는 제품을 발견하면 가상상점에 구매의사를 전달하고, 신용카드 또는 은행계좌번호 및 비밀번호와 같은 결제수단을 제공한다. 가상상점은 소비자가 제시한 신용카드 또는 은행계좌번호 및 비밀번호를 가상은행 또는 신용카드회사에 조회하고 대금지급을 요청하고, 가상은행 또는 신용카드회사가 대금을 가상상점에 지급하면 가상상점은 제품을 고객에게 배달함으로써 구매과정(거래:Transaction)이 완료된다.
이런 종래의 전자상거래 모델에서는 배달을 통해 실질적인 제품인도가 이루어지는 관계로, 전자상거래에서 주로 취급하는 상품 구성 자체가 책/CD/컴퓨터/주변기기 등과 같이 배달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제품이나 S/W 및 여행/교육서비스처럼 배달이 필요 없는 서비스 품목을 위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식품/생활용품처럼 단위당 제품가격이 낮은 제품은 신용카드 결제단위의 한계와 제품단위당 배달비용의 부담이 상대적으로 높은 관계로 묶음 포장 단위로 판매하거나 전체 구매금액이 일정수준을 넘을 때만 구매가 가능하도록 거래 형태에 제약을 주고 있다.
그 결과 전자상거래 주요거래 품목이 일부품목에만 편중되어 전자상거래의 균형 있는 발전을 저해하고 있으며, 실제생활에서 구매빈도가 높은 음료/과자/라면 등 포장소비재(CPG; Customer's Packaged Goods)품목의 제한은 전자상거래 저변 확대에 커다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현재 일반적인 전자상거래는 실물시장 내 로지스틱과는 별개로 소비자에 대한 직접 배달이 제품인도방식의 주류를 이루면서, 경제전체적으로는 물류시스템에 대한 중복투자를 초래하고 있으며, 소비자에게는 전자상거래를 통한 제품구매 후 실제 인도까지 통상 2~3일을 기다려야 하는 불편을 주고 있으며, 실물시장과는 상호 대립적인 경쟁자로 작용해 갈등을 낳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최근 들어 새로 생겨난 인터넷 전자상거래 모델로는, 1) 바이앤조이(www.buynjoy.com)의 '6시간 배송서비스'나 인터넷창고(www.changko.co.kr) 및 가로수닷컴(www.garosu.com)의 '1시간 내 배달'처럼 기존 실물시장 내 물류망을 활용해 배달속도를 개선하는 형태, 2) 알짜마트(www.alzzamart.com)와 롯데닷컴(www.lotte.com)처럼 전자상거래업자는 소비자의 집/직장 주변의 정해진 슈퍼나 편의점까지만 제품을 배달하고, 소비자가 슈퍼나 편의점을 직접 방문해 제품을 수령해 가는 형태, 3) 전자상거래 내 1000원 미만의 소액거래 결제와 실물시장에서의 거래가 가능하도록 통합한 전자화폐(아이캐시; www.icash.co.kr)나 인터넷 전문카드(올앳카드:www.allat.co.kr, 엔젤플러스:www.angelplus.com, 이지캐시:www.easycash.co.kr)와 같이 결제수단을 개선하는 형태로 발전해가고 있다.
그러나 이런 전자상거래 발전노력에도 불구하고, 1) 배달속도가 아무리 향상된다고 하더라도 제품속성상 소비자가 직접 만져 보거나 입어보아야만 구매의사결정이 가능한 의류/농수산물 등의 전자상거래 구매가 활성화되기 어려우며, 음료/과자 등과 같이 소비행위가 집/직장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제품의 경우 즉각적인 소비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2) 알짜마트와 롯데닷컴처럼 사전에 지정된 장소에서만 제품수령이 가능한 경우도 그 외 장소에서의 소비자의 빈번한 소비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는 점이 한계이며, 3) 소액결제용 전자화폐나 인터넷전문카드의 경우 전자상거래 구매시 매번 신용카드나 은행거래계좌번호를 노출시키는 위험과 불편함을 없애 전자상거래 시장규모 확대를 도모하는데는 일조를 하고 있지만, 신용카드나 선불카드와 마찬가지로 제품가격할인과 같은 편익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없다는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전자상거래 모델의 단점이 제거되는 한편, 실물시장과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전자상거래 모델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자상거래 모델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자상거래 구매 상품에 대한 배달시스템이 아닌, 실물시장 내 모든 가맹점에서의 직접적인 상품수령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 제안한 상품 수령 시스템은 알짜마트(www.alzzamart.com)나 롯데닷컴(www.lotte.com)처럼 전자상거래 주문 후 지정된 장소에서 배달된 상품을 수령하는 것이 아니고, 통합상품카드를 이용하여 본인이 원하는 시기에 어느 가맹점에서나 상품을 수령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자는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품을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소비할 수 있으며, 상품 생산자 및 공급자와 유통점은 적정이윤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면서, 온/오프라인 시장의 균형 있는 발전 모델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충전식 통합상품카드를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 시스템에 관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충전식 통합상품카드 결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방법에 관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방법에서 통합상품결제시스템에 관한 플로우차트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의 설명을 돕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인터넷 충전식 통합상품카드(ICC : Integrated Commodity Card)는 전자상거래와 실물시장의 상거래를 통합한 새로운 개념의 상품 카드이다. 인터넷 충전식 통합상품카드는 소비자가 전자상거래를 통하여 구매한 상품을, 실물시장 내 가맹점에서 직접 취득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인터넷충전식이란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하면 웹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상품 취득 권한이 저장되고 실물시장 내 가맹점에서 그 상품을 취득하면 웹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그 상품의 취득 권한이 없어지는 방식을 말한다. 이 때, 소비자의 구매 정보는 통합상품카드 내에 직접 저장될 수도 있다. 소비자는 상품 구매 정보가 직접 저장되어 있는 통합상품카드를 이용하거나 혹은 본인의 ID를 확인시켜 줄 수 있는 통합상품카드로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에 접속하여 웹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 구매 정보를 승인 받음으로써 상품을 실물시장에서 취득할 수 있다. 통합상품카드의 형태로는 마그네틱 카드, 반도체 칩이 내장된 IC카드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제시한 인터넷 충전식 통합상품카드를 이용한 전자상거래의 개략적인 단계는 다음과 같으며, 온/오프라인을 통합한 전자상거래 방법이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웹서버 혹은 웹서버 운영자측에서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공급자 혹은 생산자에게 대금을 결제하고 웹서버에서 동일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판매권한을 획득하는 과정이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소비자인 클라이언트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하고 대금을 결제하면, 소비자에게 상기 상품을 취득할 수 있는 권한을 사전에 부여하는 과정이다. 이때 소비자의 상품 구매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인터넷 충전식 통합상품카드 내에도 저장되어, 추후 소비자가 실물시장 내 가맹점에서 인터넷 충전식 통합상품카드를 통해 그 상품을 취득할 수 있는 권한을 사전에 획득하도록 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소비자인 클라이언트가 두 번째 단계에서 취득한 상품에대한 권한에 의하여 가맹점에서 그 상품을 요청하면 가맹점에서는 상기 권한을 확인한 후 그 상품을 제공하는 과정이다. 소비자는 실물시장 내 가맹점에 통합상품카드를 제시하면, 가맹점이 통합상품카드 내에 직접 저장되어 있는 상품 구매 정보를 확인하거나 혹은 통합상품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ID를 이용하여 웹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소비자의 상품 구매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소비자의 상품 구매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 후에 소비자가 전자상거래를 통해 구매한 상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상기 가맹점은 판매 제공한 상품에 대하여 그 상품의 공급자로부터 동일상품을 조달받고 웹서버 운영자로부터 판매활동에 대한 보상을 받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실물시장 내 가맹점이 통합상품카드를 통해 판매한 상품에 대해 그 상품의 생산자 및 공급자로부터 동일상품을 조달받고 웹운영자로부터 통합상품카드를 통한 판매 활동에 대해 적정한 보상을 받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충전식 통합상품카드를 이용한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 시스템에 관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은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시스템에 있어서, 상품의 구매 및 결제를 위한 전자적 거래를 수행하기 위하여 웹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포함한 소비자부; 상기 소비자부와 상호 통신하며 상품의 판매 및 결재를 전자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웹서버; 상기 소비자부의 소비자가 오프라인에서 방문하여 상품의 제공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웹서버와 상호 통신하며 상품의 제공 및 상품 판매기록을 전송하는 통합상품카드 결제 시스템을 구비한 가맹점부; 상기 웹서버에서 상품별 주문에의하여 온라인상에서 상기 상품의 판매권한을 부여하는 상품의 공급부; 및 상기 소비자부, 웹서버, 가맹점부, 공급부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인터넷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부는 소비자(100)가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웹브라우저 및 구입한 상품의 정보를 내장한 통합상품카드를 포함하며, 소비자(100)는 웹서버(200)에 회원으로 등록하고 통합상품카드(103)를 수령하여 소지한 사람을 말한다. 신용카드와는 달리 통합상품카드(103)는 선불거래 형식이므로 회원 가입 시 연령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웹서버(200)는 통합상품카드(103)를 발급하고 이를 이용해 전자상거래를 제공하는 운영시스템을 말한다. 상기 웹서버는 웹서버와 상호 통신하며 소비자부의 클라이어트가 접속하여 입력한 개인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웹서버와 상호 통신하며 상품의 공급자로부터 구매한 상품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상품 데이터베이스; 소비자인 클라이언트가 희망 구입한 상품의 구매정보를 기록한 개인별 상품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웹서버와 상호 통신하며 가맹점으로부터 전송된 상품 판매 기록을 저장하며 상품의 공급자로부터 각 가맹점별 상품의 공급 정보를 제공한 가맹점 데이터베이스; 온라인상에서 전자적 거래를 위한 웹페이지 및 이들을 구동하기 위한 서버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합 상품 카드 결제 시스템은 상기 개인별 상품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호 통신하며 통합 상품카드의 승인을 요청하거나 거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가맹점 데이터베이스와 상호 통신하며 상품의 판매를 기록하고 상품을 공급받을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품의 공급부는 웹서버의 가맹점 데이터베이스와 상호 통신하며 각 가맹점별 상품공급 정보를 제공받고, 가맹점에 대한 상품의 공급내역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상품의 공급부는 가맹점부와 상호 통신하며 상품의 공급을 요청받고 상품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본 발명에에서 상기 웹서버의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금융기관과 상호 통신하며 소비자의 금융정보를 송,수신하여 온라인상에서 소비자인 클라이언트의 상품 구매에 대한 승인 혹은 거부를 행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합 상품 카드는 상품의 바코드를 읽어 상품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바코드 리더; 상기 통합상품카드에 담긴 정보를 읽어 그 정보를 통합 상품 카드 결제 시스템에 입력하기 위한 통합상품카드리더; 읽어드린 상품의 이름이나, 가격, 기타 메시지등을 보여주는 출력부; 웨서버와 연결하기 위한 유무선 송수신 모듈 및 상기 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카드의 소유자에 대한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개인정보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맹점(300)은 통합상품카드결제시스템(310)을 갖추고 실물시장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모든 업체를 지칭한다. 가맹점(300)에는 기존의 도매점, 소매점, 자판기 등이 포함된다.
생산자 및 공급자(400)는 웹서버(200)에서 다루는 상품들을 생산하거나 공급하는 모든 업체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관한 시스템을 이용한 전자적 거래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웹서버(200)는 전자상거래에서 팔고자 하는 상품들의 생산자 및 공급자(400)에게 미리 대금을 지불하고 상품별로 대량주문을 한다(a) 상품의 생산자 및 공급자는 해당 상품의 판매 권한을 부여한다.(b) 이 때, 대량 구매와 상품을 실제 취득하지 않고 그 대금을 먼저 지불하는 선불(先拂) 구매 예약 거래 형태를 통하여 해당 상품을 낮은 가격에 구입할 수 있다. 이 상품들의 정보는 상품 데이터베이스(203)에 저장된다.
소비자(100)는 웹브라우저(101)를 이용하여 웹서버(200)에 접속한 후, 회원ID와 암호(102)를 통하여 신분을 확인받는다(c). 웹브라우저(101)는 개인용 컴퓨터의 프로그램일 수도 있고, 인터넷 TV와 같이 전자제품에 내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일 수도 있으며, 휴대폰과 같이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프로그램들을 포함한다.
특히 휴대폰을 웹브라우저(101)로 사용하여 웹서버(200)에 접속한 경우는 회원ID와 암호(102)를 따로 입력하지 않아도 휴대폰이 소비자(100)을 인증하는 인증 수단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시한 전자상거래 방법은 소비자(100)가 반드시 회원이어야 하며, 회원으로 가입한 소비자(100)에게 메모리를 지니고 있는 통합상품카드(103)를 발송한다(f). 통합상품카드(103)는 그 카드의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추후 소비자가 구입한 상품의 구입 정보를 담을 수도 있다.
회원인 소비자(100)는 웹서버(200)에 접속하고 웹페이지(205)를 통하여 자신이 구입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한다. 상품의 선택이 끝나면 대금 결제 확인을 하고, 이 때 웹서버(200)는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201)에 저장된 소비자(100)의 인터넷뱅킹정보를 이용해 은행(500)에게 대금 지불 요청을 한다. 은행(500)은 웹서버(200)에게 대금 지불에 대한 승인 여부를 전송한다. 승인이 끝나면 웹서버(200)는 소비자(100)가 구입한 상품 정보를 개인별 상품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기록한다. 추후 소비자(100)가 가맹점(300)에서 통합상품카드(103)를 제시하면(g) 웹서버(200)와의 통신을 통해 개인별 상품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202)를 조사하여 자신이 구입한 상품을 취득할 수 있는 권한을 확인받게 된다.
이와 같이 개인별 상품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202)는 통합상품카드(103)의 충전을 담당하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개인별 상품구매정보데이터베이스(202)는 소비자(100)가 구입한 상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게 된다. 대표적인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다. 3)번은 현재의 브랜드별 상품권처럼 통합상품카드(103)를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4)번은 특정제품에 대한 상품권처럼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5)번은 통합상품카드(103)를 선불카드처럼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준다.
1) 특정제품/상표/규격/구입시 단위당 가격/수량표시 충전방식
예) 콜라 / 코카콜라 / 250ml / 1 캔당 380원 / 5개
2) 특정제품/상표/구입시 단위당 가격/수량표시 충전방식
예) 휘발유 / SK엔크린 / 1 리터당 1050원 / 50L
3) 특정상표/금액표시 충전방식
예) 금강제화 / 100000원, 베니건스 / 50000원
4) 특정제품종류/금액표시 충전방식
예) 갈치 / 10000원, 양파 / 2000원
5) 일반금액표시 충전방식
예) 100000원
개인별 상품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 구매 정보는 통합상품카드(103)내에 다시 저장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인터넷과 연결하여 개인별 상품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202)의 정보를 통합상품카드(103)에 저장할 수 있는 별도의 충전기가 필요하다. 이 충전기는 현재의 버스 카드 충전기와 비슷하지만 단지 금액뿐만이 아니라 소비자의 상품별 구매 상황에 대한 정보를 통합상품카드(103)에 담게 된다. 통합상품카드(103)에 다시 구매 정보를 저장하면, 추후 소비자(100)가 가맹점(300)에서 통합상품카드(103)를 제시할 때 웹서버(200)와의 통신을 하지 않고도 통합상품카드(103)내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이 구입한 상품을 취득할 수 있는 권한을 확인받을 수 있게 된다.(h,i)
웹서버(200)에서 상품을 구입한 소비자(100)는 자신이 원할 때 가맹점(300)에 통합상품카드(103)를 제시하여 자신이 이미 전자상거래를 통해 구입했던 상품을 취득할 수 있다(j). 통합상품카드(103)를 통한 결제 시스템은 두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하나는 소비자(100)가 제시한 통합상품카드(103)내에 저장된 상품 구매 정보를 읽는 방법이다. 통합상품카드(103)내에 소비자의 구매 정보가 담겨져 있으므로,이 정보를 통해 상품을 취득할 수 있는 권한을 확인받는다.
두 번째 방법은 통합상품카드(103)의 신상정보를 읽고 웹서버(200)와 통신하는 방법이다. 웹서버(200)는 가맹점(300)으로부터 상품 취득 승인 요청이 들어오면 통합상품카드(103)의 정보를 읽고 그 카드의 소유자가 해당 상품을 취득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 검사하여 승인 여부를 가맹점(300)에게 전송한다.
위에서 설명한 두 가지 방법은 모두 통합상품카드 결제시스템(310)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가맹점(300)은 통합상품카드 결제시스템(310)을 통하여 소비자의 상품 취득 권한을 확인하면 소비자(100)에게 해당 상품을 제공한다.
두 방법 중 한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결제가 끝나면 통합상품카드 결제시스템(310)은 웹서버(200)와 연결하여 상품을 취득한 소비자의 신상정보와 상품 제공 기록을 전송한다(k). 웹서버(200)는 개인별 상품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서 방금 소비자(100)가 구입한 상품의 수량을 줄이는 작업을 행한다. 특정상표/금액표시 충전방식이나 특정제품종류/금액표시 충전방식의 경우에는 특정 상품을 구입할 수 있는 금액에서 소비자(100)가 구입한 만큼의 금액을 감소시키는 작업을 행한다. 일반금액표시 충전방식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설명될 수 있다. 그리고 웹서버(200)는 가맹점(300)의 상품 제공 기록을 전송받아 가맹점정보데이터베이스(206)에 저장하고 이 기록을 토대로 가맹점(300)이 제공한 상품들에 대한 적정마진을 가맹점(300)에게 지불한다(l). 그리고 가맹점(300)에게 그 상품의 생산자 및 공급자(400)로부터 해당 상품을 제공받을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한다. 이 기록 역시 웹서버(200)의 가맹점정보데이터베이스(206)에 저장된다.
상품의 생산자 및 공급자(400)는 웹서버(200)로부터 각 가맹점(300)별로 상품을 얼마나 제공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받고(m), 각 가맹점(300)에게 그만큼의 상품을 제공한다(p).
상기의 설명에서 음식점/외식업처럼 가맹점(300)이 곧 상품의 생산자 및 공급자(400)인 경우에는 웹서버(200)는 가맹점(300)의 상품제공기록을 전송받아 가맹점정보 데이터베이스(206)에 저장하여 추후 결제 자료로 활용한다(n).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인터넷 충전식 통합상품카드 결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바코드리더(311)는 상품의 바코드를 읽어 들여 상품의 정보를 통합상품카드 결제시스템(310)에 입력하는 장치이다.
통합상품카드 리더(312)는 통합상품카드에 담긴 정보를 읽어 들여 그 정보를 통합상품카드 결제시스템(310)에 입력하는 장치이다.
입력부(313)는 바코드리더(311)를 제외한 여타 다른 입력 장치로 대표적인 예로는 키패드, 키보드 등을 들 수 있다. 입력부(313)를 통해 읽어 들인 정보도 통합상품카드 결제시스템(310)에 입력된다.
출력부(314)는 상품의 이름이나 가격, 기타 메시지들을 보여주는 장치이다.
유무선송수신모듈(316)은 웹서버(200)와 연결할 수 있는 장치이다. 위와 같은 통합상품카드 결제시스템(310)의 대표적인 실시예로는 개인용 컴퓨터에 바코드 리더(311)와 통합상품카드 리더(312), 네트워크 어댑터 등을 부착한 시스템을 들 수 있다.
통합상품카드 결제시스템(310)에서 가맹점(300)이 다루는 상품의 성격에 따라 바코드 리더(311)는 생략될 수 있다.
도 3은 소비자(100)가 웹서버(200)에 접속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웹서버(200)는 소비자(100)로부터 ID와 암호를 입력받고(710단계)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201)를 이용하여 ID와 암호를 검사한다.(720단계) ID와 암호가 올바르면 소비자(100)에게 맞는 웹페이지(205)를 출력하고(730단계), 올바르지 않으면 다시 ID와 암호를 입력받는다.(710단계) 웹페이지(205)에서 소비자(100)로 하여금 구입 희망 상품을 선택하게(740단계) 하고,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은행(500)에 대금 결제 승인 요청을 보낸다.(750단계) 대금 결제가 승인되었는지 검사하고,(760단계) 승인되었으면 은행에서 대금 결제를 받고(770단계) 그렇지 않으면 결제가 실패했다는 메시지를 출력하고(725단계), 다시 웹페이지(205)를 출력한다. 은행에서 대금 결제를 받으면 개인별 상품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202)에 기록을 저장한다.(780단계) 추가로 상품을 구입할 지 묻고(790단계), 소비자가 계속 구입할 경우는 웹페이지(205)를 출력하는 단계(730)로 이동하고 그렇지 않으면 종료한다.
도 4는 가맹점(300)의 통합상품카드 결제시스템(310)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가맹점(300)은 소비자(100)가 회원인지를 먼저 물어본다.(810단계). 회원이 아니라면 바코드 리더(311)를 통해 일반소비자가격으로 상품의 가격을입력받아(870단계) 일반 소비자가격을 표시하고(880단계) 대금을 받으면 된다.
소비자(100)가 회원일 경우, 통합상품카드 결제시스템(310)의 통합상품카드리더(312)를 통해 통합상품카드(103)의 정보를 읽고(820단계) 바코드리더(311)나 입력부(313)를 통해 상품의 정보를 입력한다(830단계).
통합상품카드(103)내에 상품 구매 정보가 들어있는지 검사한다(840단계).
통합상품카드(103)내에 상품 구매 정보가 직접 저장되어 있는 경우는 통합상품카드(103)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 구매 정보를 읽어서 소비자(100)의 상품 취득 권한을 확인하고(842단계). 통합상품카드(103)내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 구매 정보를 수정한다. 그리고 통합상품카드(103)내에 있는 상품 구매 정보가 소비자(100)가 취득하고자 하는 모든 상품을 포함하는지 검사한다(850단계). 모든 상품에 대해 구입 승인이 이루어지면 처리가 완료되었다는 메시지를 출력하고(851단계) 부분적으로만 승인이 이루어졌다면 부분적으로 상품이 처리되었다는 메시지를 출력한다(851단계). 마지막으로 웹서버(200)에 상품 제공 기록을 전송하면(860단계), 웹서버(200)는 소비자(100)의 개인별 상품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202)의 내용을 수정하고 가맹점데이터베이스(206)에 상품 제공 기록을 저장하며 이 자료를 통해 해당 상품의 생산자 및 공급자(400)는 가맹점(300)에게 동일 상품을 제공하게 된다.
통합상품카드(103)에 상품 구매 정보가 직접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통합상품카드 결제시스템(310)이 통합상품카드(103)의 신상 정보를 읽어 들인 후 웹서버(200)와 통신하여 소비자(100)가 선택한 상품에 대한 권한의 승인을 요구하게 된다(841단계). 웹서버(200)는 통합상품카드 결제시스템(310)으로부터 소비자(100)의신상 정보와 선택한 상품 정보를 받고, 개인별 상품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202)를 조사하여 각 상품에 대한 승인 여부를 통합상품카드 결제시스템(310)에게 전송한다. 통합상품카드결제시스템(310)은 웹서버(200)로부터 모든 상품에 대해 구입 승인이 이루어졌는지 검사한다(850단계). 모든 상품에 대해 구입 승인이 이루어 졌으면 처리가 완료되었다는 메시지를 출력하고(851단계) 부분적으로만 승인이 이루어졌다면 부분적으로 상품이 처리되었다는 메시지를 출력한다(851단계). 마지막으로 웹서버(200)에 상품 제공 기록을 전송하면(860단계), 웹서버(200)는 소비자(100)의 개인별 상품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202)의 내용을 수정하고 가맹점데이터베이스(206)에 상품 제공 기록을 저장하고 이 자료를 통해 해당 상품의 생산자 및 공급자(400)는 가맹점(300)에게 동일 상품을 제공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물시장 내 일상적인 소비행위와 전자상거래를 통한 소비행위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됨으로써 온/오프라인 시장의 균형 있는 발전을 꾀할 수 있다. 특히 전자상거래 회원수가 증가하면서 공동구매의 영향력 증대로 소비자는 원하는 상품을 실물시장 내 일반유통점보다 저렴한 가격에 언제 어디서나 구입할 수 있고, 상품의 생산자 및 공급자는 초기 안정적인 판매자금 확보와 판매경로 확대를 꾀할 수 있으며, 실물시장 내 가맹점은 판매단위당 적정이윤 확보와 고객증대를 통해 수익증대를 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이로 인하여 국가경제적으로는 상품 수요/배급의 정확한 정보를 통해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과 투명한 유통질서를 확립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0)

  1. 웹서버에서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공급자에게 대금을 결제하고 웹서버에서 동일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판매권한을 획득하는 제1단계;
    소비자인 클라이언트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웹서버에 접속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하고 대금을 결제하면, 소비자에게 상기 상품을 취득할 수 있는 권한을 사전에 부여하는 제2단계;
    소비자인 클라이언트가 제2단계에서 취득한 상품에 대한 권한에 의하여 가맹점에서 그 상품을 요청하면 가맹점에서는 상기 권한을 확인한 후 그 상품을 제공하는 제3단계;
    상기 가맹점은 판매 제공한 상품에 대하여 그 상품의 공급자로부터 동일상품을 조달받고 웹서버 운영자로부터 판매활동에 대한 보상을 받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제2단계에서 접속한 소비자인 클라이언트의 개인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소비자별 상품의 구매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상품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제1단계에서 판매권한을 획득한 상품정보를 저장하는 상품 데이터베이스와; 가맹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가맹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제1단계에서 웹서버에서 상품의 공급자에게 상품별 대량주문 및 대금지불을 완료하면 상품의 공급자는 상품의 판매권한을 웹서버에게 부여하고 상기 웹서버는 내장된 상품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상품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제2단계에서 소비자인 클라이언트가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웹서버에 접속하면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회원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회원등록을 요구하는 로그인화면을 전송하는 단계; 클라이언트가 회원등록을 완료하면 서버에서 회원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회원이 아닌 경우 재차 회원등록을 요구하는 로그인화면을 전송하고, 회원인 경우 클라이언트에게 상품구매를 위한 웹페이지를 전송하는 단계; 클라이언트가 전송된 상품구매를 위한 웹페이지에서 구입 희망 상품을 선택하면, 개인정보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금융기관에 대금결제 승인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대금결제 승인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결재실패 메시지를 전송하고 다시 상품구매를 위한 웹페이지를 전송하고, 대금결재 승인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클라이언트에게 상품구매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상품구매권한을 부여한 후 개인별 상품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구입상품기록을 저장하는 단계; 구입상품기록에 대한 저장이 완료되면 추가 구입의사 메시지를 전송하여 추가 구입의사가 입력되면 재차 상품구매를 위한 웹페이지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품구매권한을 부여한 후 인터넷 충전식 통합상품카드에 구입상품기록을 저장하는 과정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충전식 통합상품카드는 소비자가 웹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을 구매하면 웹서버의 상품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상품취득권한이 저장되고 가맹점에서 그 상품을 취득하면 상기 웹서버의 상품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그 상품의 취득권한이 없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상품카드는 마그네틱 카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상품카드는 반도체 칩이 내장된 IC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단계에서 소비자인 클라이언트가 제2단계에서 취득한 상품에 대한 권한에 의하여 가맹점에서 그 상품을 요청시, 소비자인 클라이언트가 상기 충전식 통합상품카드를 제시하면, 가맹점은 상기 통합상품카드내에 직접 저장되어 있는 상품구매정보를 확인 하거나 혹은 통합상품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ID를 이용하여 웹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소비자의 상품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소비자의 상품구매정보를 확인한 후 소비자가 사전에 상품에 대하여 취득한 권한에 의하여 그 상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제3단계는 상기 통합상품카드내에 상품구매정보가 직접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상품카드내에 상품구매정보가 직접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클라이언트가 통합상품카드를 제시하는 단계와; 가맹점은 제시된 통합상품카드의 바코드리더를 통하여 회원인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회원으로 판명되었을 경우 통합상품카드 리더를 통하여 통합상품카드의 정보를 읽는 단계와; 상기 정보를 읽은 후 클라이언트의 상품 취득 권한을 확인하고 통합상품카드내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구매정보를 수정하는 단계와; 통합상품카드내에 있는 상품구매정보가 소비자가 취득하고자 하는 모든 상품을 포함하는지 검사하는 단계와; 구입승인에 대한 처리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와; 최종적으로 제공괸 상품제공기록을 웹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품제공기록을 웹서버에 전송하면, 상기 웹서버는 소비자의 개인별 상품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수정하는 단계와; 가맹점 데이터베이스에 상품제공기록을 저장하는 단계와;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상품카드내에 상품구매정보가 직접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클라이언트가 통합상품카드를 제시하는 단계와; 가맹점은 제시된 통합상품카드의 바코드리더를 통하여 회원인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회원으로 판명되었을 경우 가맹점은 웹서버와 통신하여 소비자가 선택한 상품에 대한 권한의 승인을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웹서버는 가맹점으로부터 소비자의 신상정보와 선택한 상품정보를 받고, 개인별 상품 구배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각 상품에 대한 승인 여부를 가맹점에 전송하는 단계와; 가맹점에서는 상기 웹서버로부터 모든 상품에 대하여 구입승인이 이루어졌는지 검사하는 단계와; 웹서버로 구입승인에 대한 처리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와; 최종적으로 제공괸 상품제공기록을 웹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품제공기록을 웹서버에 전송하면, 상기 웹서버는 소비자의 개인별 상품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수정하는 단계와; 가맹점 데이터베이스에 상품제공기록을 저장하는 단계와;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방법.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은 웹서버 운영자로부터 판매활동에 대한 보상을 받고 판매 제공한 상품에 대하여 그 상품의 공급자로부터 동일상품을 조달받는 제4단계에서, 웹서버는 가맹점의 상품제공기록을 가맹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가맹점에 상품을 공급받을 수 있는 권한과 판매활동에 대한 보상을 부여하는 단계와; 웹서버에서 상품의 공급자에게 각 가맹점별 상품 공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가맹점에 대한 상품의 공급 내역을 수신받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방법.
  16.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시스템에 있어서, 상품의 구매 및 결제를 위한 전자적 거래를 수행하기 위하여 웹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컴퓨터를 포함한 소비자부; 상기 소비자부와 상호 통신하며 상품의 판매 및 결재를 전자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웹서버; 상기 소비자부의 소비자가 오프라인에서 방문하여 상품의 제공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웹서버와 상호 통신하며 상품의 제공 및 상품 판매기록을 전송하는 통합상품카드 결제 시스템을 구비한 가맹점부; 상기 웹서버에서 상품별 주문에 의하여 온라인상에서 상기 상품의 판매권한을 부여하는 상품의 공급부; 및 상기 소비자부, 웹서버, 가맹점부, 공급부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인터넷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부는 소비자가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웹브라우저 및 구입한 상품의 정보를 내장한 통합상품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상품 카드는 상품의 바코드를 읽어 상품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바코드 리더; 상기 통합상품카드에 담긴 정보를 읽어 그 정보를 통합 상품 카드 결제 시스템에 입력하기 위한 통합상품카드리더; 읽어드린 상품의 이름이나, 가격, 기타 메시지등을 보여주는 출력부; 웨서버와 연결하기 위한 유무선 송수신 모듈 및 상기 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상품카드는 카드의 소유자에 대한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개인정보 저장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웹서버와 상호 통신하며 소비자부의 클라이어트가 접속하여 입력한 개인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웹서버와 상호 통신하며 상품의 공급자로부터 구매한 상품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상품 데이터베이스; 소비자인 클라이언트가 희망 구입한 상품의 구매정보를 기록한개인별 상품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웹서버와 상호 통신하며 가맹점으로부터 전송된 상품 판매 기록을 저장하며 상품의 공급자로부터 각 가맹점별 상품의 공급 정보를 제공한 가맹점 데이터베이스; 온라인상에서 전자적 거래를 위한 웹페이지 및 이들을 구동하기 위한 서버 프로그램을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상품 카드 결제 시스템은 상기 개인별 상품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호 통신하며 통합 상품카드의 승인을 요청하거나 거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시스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상품 카드 결제 시스템은 상기 가맹점 데이터베이스와 상호 통신하며 상품의 판매를 기록하고 상품을 공급받을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시스템.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공급부는 웹서버의 가맹점 데이터베이스와 상호 통신하며 각 가맹점별 상품공급 정보를 제공받고, 가맹점에 대한 상품의 공급내역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시스템.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공급부는 가맹점부와 상호 통신하며 상품의공급을 요청받고 상품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시스템.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의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금융기관과 상호 통신하며 소비자의 금융정보를 송,수신하여 온라인상에서 소비자인 클라이언트의 상품 구매에 대한 승인 혹은 거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시스템.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의 개인별 상품 구매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특정제품, 상표, 규격, 구입시 단위당 가격, 수량표시 충전방식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시스템.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의 개인별 상품 구매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특정제품, 상표, 구입시 단위당 가격, 수량표시 충전방식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시스템.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의 개인별 상품 구매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특정상표, 금액표시 충전방식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시스템.
  29.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의 개인별 상품 구매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특정제품종류, 금액표시 충전방식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시스템.
  30.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의 개인별 상품 구매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일반금액표시 충전방식으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전자적 거래시스템.
KR10-2000-0019052A 2000-04-11 2000-04-11 인터넷 충전식 통합상품카드를 이용한 통합 전자적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74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052A KR100374115B1 (ko) 2000-04-11 2000-04-11 인터넷 충전식 통합상품카드를 이용한 통합 전자적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052A KR100374115B1 (ko) 2000-04-11 2000-04-11 인터넷 충전식 통합상품카드를 이용한 통합 전자적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738A true KR20010095738A (ko) 2001-11-07
KR100374115B1 KR100374115B1 (ko) 2003-03-03

Family

ID=19663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052A KR100374115B1 (ko) 2000-04-11 2000-04-11 인터넷 충전식 통합상품카드를 이용한 통합 전자적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4115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485A (ko) * 2000-05-01 2001-11-26 장남선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100745218B1 (ko) * 2006-08-28 2007-08-06 김유정 계약조건 정보 처리방법
KR100745223B1 (ko) * 2006-08-28 2007-08-06 김유정 기록매체
KR100745221B1 (ko) * 2006-08-28 2007-08-06 김유정 정보처리 시스템
KR100745219B1 (ko) * 2006-08-28 2007-08-06 김유정 정보처리 방법
KR100745220B1 (ko) * 2006-08-28 2007-08-06 김유정 정보 제공 시스템
KR100745225B1 (ko) * 2006-08-28 2007-08-06 김유정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0745222B1 (ko) * 2006-08-28 2007-08-06 김유정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0745224B1 (ko) * 2006-08-28 2007-08-06 김유정 선 구매 계약에 따른 결제수단 제공방법
KR100745226B1 (ko) * 2006-08-28 2007-08-06 김유정 구매계약 처리방법
KR100806745B1 (ko) * 2006-08-28 2008-02-27 김유정 정보 저장매체
KR100830208B1 (ko) * 2006-08-28 2008-05-16 김유정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485A (ko) * 2000-05-01 2001-11-26 장남선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100745218B1 (ko) * 2006-08-28 2007-08-06 김유정 계약조건 정보 처리방법
KR100745223B1 (ko) * 2006-08-28 2007-08-06 김유정 기록매체
KR100745221B1 (ko) * 2006-08-28 2007-08-06 김유정 정보처리 시스템
KR100745219B1 (ko) * 2006-08-28 2007-08-06 김유정 정보처리 방법
KR100745220B1 (ko) * 2006-08-28 2007-08-06 김유정 정보 제공 시스템
KR100745225B1 (ko) * 2006-08-28 2007-08-06 김유정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0745222B1 (ko) * 2006-08-28 2007-08-06 김유정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0745224B1 (ko) * 2006-08-28 2007-08-06 김유정 선 구매 계약에 따른 결제수단 제공방법
KR100745226B1 (ko) * 2006-08-28 2007-08-06 김유정 구매계약 처리방법
KR100806745B1 (ko) * 2006-08-28 2008-02-27 김유정 정보 저장매체
KR100830208B1 (ko) * 2006-08-28 2008-05-16 김유정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4115B1 (ko) 200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32134A1 (en) E-commerce mall system
US20080201230A1 (en) Internet-based method of and system for equity ownership optimization within a financial and retail marketplace
WO2000033158A9 (en) Electronic factoring
KR100374115B1 (ko) 인터넷 충전식 통합상품카드를 이용한 통합 전자적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JP7078777B2 (ja) 一般消費者向け持ち株会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201077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nsumer aggregation service
JP2000268094A (ja) 商品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
US202202154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funding a purchase
KR20020036303A (ko) 전용 단말기를 이용한 지역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EP12067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ultiple on-line vendors through a reverse franchise
KR20130097696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쇼핑몰 운영방법
KR20010025494A (ko) 멀티레벨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27683B1 (ko) 네트워크 및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방법
KR20030043144A (ko)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머천다이징 시스템
KR20130139436A (ko)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020009370A (ko) 인터넷을 이용한 상거래방법 및 상거래시스템
KR20020084844A (ko) 멀티레벨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JP7213708B2 (ja) 取引管理システム、取引管理方法、および取引管理プログラム
KR20010076644A (ko) 전자우편주소를 이용한 상품권 판매방법
KR20020065274A (ko) 배달확인 기능이 있는 물류배송시스템 및 배송방법
US20140244508A1 (en) Prepaid Micropayments Solution
KR20000049629A (ko) 반짝 세일 전자상거래 방법
KR20050072548A (ko) 사이버 머니 매매중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955632B1 (ko) 온라인 쇼핑 결제 대금을 금융 상품에 투자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42036A (ko) 가상 주식투자 게임을 통한 문화상품에 대한 베스트셀러예측/발굴 및 포탈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