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4038A - 광 기록재생기의 광출력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광 기록재생기의 광출력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4038A
KR20010094038A KR1020000017404A KR20000017404A KR20010094038A KR 20010094038 A KR20010094038 A KR 20010094038A KR 1020000017404 A KR1020000017404 A KR 1020000017404A KR 20000017404 A KR20000017404 A KR 20000017404A KR 20010094038 A KR20010094038 A KR 20010094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recording
hold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7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7231B1 (ko
Inventor
박상온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17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7231B1/ko
Publication of KR20010094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4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7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72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11B7/1263Power control during transducing, e.g. by monitor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기록 명령에 의해 기록과 재생이 교대로 수행되는 비연속 기록모드 디스크에서의 기록 재생 특성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광 기록재생기의 광 출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헤더 영역을 포함한 재생 영역과 기록 영역에서 해당 샘플 값을 미리 저장하고 있다가 스위칭시에 상기 샘플 값으로 해당 구간을 홀딩함으로써, 기록 영역에서는 이레이저 파워를, 헤더 영역을 포함한 재생 영역에서는 리드 파워를 항상 일정 레벨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 기록이나 온도 특성에 의해 디스크 반사율이 달라져도 바로 원 상태로 각 파워를 복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기록 및 재생 특성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 기록재생기의 광출력 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optical output of optical record/player}
본 발명은 광 기록재생기의 광 출력 제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록/재생에 관계없이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 LD) 출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광 기록재생기의 광 출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 기록매체 예를 들면, 재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의 경우 대개 기록 매질은 상 변화형 물질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광 헤드에서 집속된 광이 열로 변환되고 이 열이 상 변화 기록 매질의 상태를 바꾸어 반사량이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상 변화형 디스크에 마크를 형성하여 피트를 기록한다. 여기서, 디스크에 정형된 길이만큼 마크를 형성하는 것을 라이트 스트레티지(write strategy)라 한다.
이때, 레이저 광은 피트(pit)가 있는 반사면의 반대측에서 입사된다. 따라서, 레이저 입사측면에서 보면 피트는 돌기로 보인다.
상기 피트는 폭이 0.4∼0.6㎛로, 1개의 피트 길이 및 피트와 피트의 간격은콤팩트 디스크(CD)인 경우 3T에서 11T까지 9단계로,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인 경우 3T에서 14T까지 12단계로 구분된다. 여기서, T라고 하는 것은 클럭 펄스 1개분의 길이이며, 3T라고 하는 것은 3개의 클럭 펄스를 의미하고, 11T는 클럭 펄스 11개분의 길이에 해당한다.
그리고, 나선형으로 감기어 있는 트랙의 피트군을 보면 어떤 일정한 간격마다 특정한 피트 배열이 있고, 정기적으로 존재하는 피트 배열에는 동기 신호가 있으며, 동기 신호에서 다음 동기신호까지의 블록을 프레임(frame)이라 한다. 이때, 1 프레임은 다수개의 심볼 데이터로 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광 디스크 기록 재생기 중 기록에 관련된 구성 블록도로서, 디스크(101)에 기록하기 위한 신호가 엔코더(103)로 입력되면 상기 엔코더(103)는 이 기록 신호를 16비트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다시 상위 8비트와 하위 8비트(이것을 심볼이라 함)로 분할하는 과정을 프레임 단위로 처리한다.
그리고, 심볼 8비트의 데이터에 해당하는 14비트 코드값을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의 코드 테이블로부터 불러옴으로써, 심볼 8비트의 데이터를 14비트로 변환하는 EFM(Eight to Fourteen Modulation) 변조를 행한다. 즉, 메모리에는 EFM 또는 EFM+를 위한 코드 테이블이 매핑되어 있다.
상기 EFM 또는 EFM+ 변조된 데이터는 변조 후의 직류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마진 비트(예, 3비트)를 부가하여 도 2의 (a)와 같이 비제로 복귀 반전(Non-Return-to Zero, Inverted) 변조된 후 LD 구동부(106)로 입력된다. 상기 NRZI 변조는 '1'의 신호에서 데이터를 반전시키는 변조 규칙이다. 즉, '1'만 만나면 현재 상태를 반전시킨다.
한편, 기록 파워 생성부(104)는 기록될 데이터에 대한 레이저 다이오드(LD)의 파워를 생성하여 아날로그로 변환한 후 기록 레벨 가산기(105)를 통해 LD 구동부(106)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기록 파워는 형성할 마크의 길이에 따라, 디스크 상태에 따라 다르다.
상기 LD 구동부(106)는 상기 엔코더(103)에서 NRZI 변조된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LD)의 파워를 기록시의 파워로 변조하여 즉, LD 구동 전압을 LD 구동 전류로 변환하여 광 픽업(102)의 LD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NRZI 변조된 신호가 도 2의 (c)와 같은 피트를 형성한다. 즉, 광 디스크(101)에는 데이터가 기록된다.
이때, NRZI 변조된 단일 펄스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 디스크 자체의 열적 특성 때문에 피트의 모양이 눈물 방울처럼 형성되거나 디스크의 잠열 특성으로 인하여 마크의 형성이 왜곡되기 때문에 이러한 열의 확산을 방지하고 피트의 모양을 매끄러운 타원형으로 형성하기 위해 멀티 펄스 변조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도 2의 (b)와 같이 NRZI 변조된 하나의 단일 펄스 내에서 여러번 온/오프함에 의해 하나의 단일 펄스를 여러개의 펄스로 나누어서 디스크에 주사하는 멀티펄스 변조를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멀티 펄스로 구현되는 라이트 스트레티지는 보통 2레벨, 3레벨, 4레벨 등의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재기록 가능형 디스크의 경우 각 레벨의 파워는 통상 라이트 파워(write power)가 제일 강하고 다음은 이레이저 파워(erasepower), 리드 파워(read power), 쿨링 파워(cooling power) 순이다. 상기 리드 파워와 쿨링 파워의 레벨은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한편, LD 광 출력은 온도에 따라서 현저하게 변화하는데, 도 3과 같이 온도가 올라갈수록 기록 파워(mW)는 떨어지고 온도가 내려갈수록 기록 파워(mW)는 올라간다. 따라서, 기록 파워(mW)를 일정하기 유지하기 위해 LD 구동부(106)는 온도가 올라갈수록 LD에 전류(mA)를 많이 공급하여야 하고, 온도가 내려갈수록 전류(mW)를 적게 공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광 픽업(102)은 LD 파워의 일부를 자동 레이저 파워 제어(Auto laser power control ; ALPC) 궤환부(107)의 프론트 모니터링(front monitoring) PD에 피드백시킨다. 상기 ALPC 궤환부(107)는 상기 모니터링 PD(MPD)에서 검출한 LD 파워에 따른 ±파워 레벨을 기록 레벨 가산기(105)로 출력하여 기록 파워 생성부(104)에서 생성된 기록 파워에 더함에 의해 기록/재생시 LD 출력 파워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ALPC 궤환부(107)는 광 픽업(102)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순간적인 피드백에 의해 LD 출력 파워의 제어가 이루어지면 이를 ALPC라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ALPC를 수행하면 연속 기록 모드의 디스크에서는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연속 기록 모드란 일 예로, DVD-R, DVD-RW와 같은 디스크로서, 1 파일의 기록이 끝날 때까지 기록 파워가 계속 들어오는 경우이다. 즉, 기록 명령에 의해 기록만 수행하는 경우이다. 이때에는 초기에 어느 정도의 응답 특성만 갖고 추종하면 된다.
그러나, DVD-RAM과 같이 헤더 구간이 존재하는 비연속 기록 모드에서는 문제가 될 수 있다. 즉, 비연속 기록 모드의 경우, 기록 명령에 의해 기록과 재생이 교대로 수행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DVD-RAM의 경우에는 랜드(Land)와 그루브(Groove)의 구조로 된 신호 트랙을 두어, 정보신호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공 디스크에서도 트랙킹 제어를 할 수 있게 하며, 기록 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랜드와 그루브의 트랙에 각각 정보신호를 기록하고 있다. 이때, 최초의 디스크에는 아무런 정보가 없으므로 디스크 제어 및 기록이 불가능하다. 이를 위해 랜드와 그루브에 디스크 트랙을 만들고 해당 트랙을 따라 정보를 기록하게 하며, 랜덤 억세스와 회전 제어를 위한 정보를 별도로 디스크에 기록하여 놓음으로써, 정보 신호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공 디스크에서도 트랙킹 제어를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정보는 각 섹터마다 섹터의 시작 위치에 헤더 영역을 프리 포맷팅(pre-formatting)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이때, 각 섹터의 시작 위치에 프리포맷되는 헤더 영역은 DVD-RAM의 경우 다시 4개의 헤더 필드(헤더 1 필드 ∼ 헤더 4 필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헤더 1,2 필드와 헤더 3,4 필드는 트랙 센터로부터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으며, 도 4는 그 한 예로서, 하나의 트랙에서 첫 번째 섹터에 대한 헤더 필드의 구조이다. 즉, 헤더 1,2 필드의 위상은 헤더 3,4 필드와 역상이며, 상기 헤더 1,2 필드와 헤더 3,4 필드에서 검출되는 트랙킹 에러 신호의 위상도 서로 반대이다.
따라서, 기록 명령에 의해 기록과 재생이 교대로 수행되어야 한다. 즉, 도 5의 (a)와 같은 기록 명령 내에는 도 5의 (b)와 같이 헤더 영역과 헤더 영역을 제외한 섹터 영역 즉, 기록 가능한 영역(이하, 기록 영역이라 칭함)이 교대로 존재한다. 따라서, 기록 명령이 입력되면 헤더 영역에서는 제어 정보를 검출하기 위해 재생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헤더 영역을 제외한 영역 즉, 기록 영역에서는 기록을 수행한다.
이때, 기록 영역에서는 이레이저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하고, 헤더 영역에서는 리드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즉, 이레이즈 레벨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으면 잠열 특성에 의해 기록 피트에 왜곡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샘플 & 홀드 회로가 이용된다. 종래의 예로서, 상기 샘플 & 홀드 회로로 충방전 회로를 사용한다.
만일, 응답 특성이 좋을 때 광 픽업(102)에서 ALPC 궤환부(107)로 피드백되는 LD 출력이 도 5의 (c)와 같다면, 헤더 영역에서는 도 5의 (d)와 같이 리드 레벨을 샘플 & 홀드하고, 기록 영역에서는 도 5의 (e)와 같이 이레이저 레벨을 샘플 & 홀드한다.
이때, 홀딩 구간에서는 대역을 낮게 하기 위하여 응답 특성이 느려야 하고, 스위칭되는 순간에는 응답 특성이 빨라야 한다. 즉, 비연속 기록 모드의 디스크에서는 헤더 영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데이터 기록시 리드/라이트 구간이 아주 빠른 시간에 스위칭되는 것을 요구한다. 이로 인해, 비연속 기록 모드에서는 스위칭 응답 특성이 빨라야 한다.
따라서, 비연속 기록 모드의 디스크에서는 데이터 기록시 응답 특성이 빨랐다 느렸다 하여야 하는데. 이를 같은 회로에서 구현하기가 어렵다. 즉, 비용이 올라가고 회로가 복잡해진다. 또한, 종래의 샘플 & 홀드 회로는 아날로그 회로이므로, 도 5의 (d),(e)와 같이 재생 및 기록 구간에서 홀딩 레벨이 변한다. 즉, 샘플 & 홀드 회로는 바로 직전의 값을 샘플링한 후 그 값을 홀드하는데, 고속 스위칭으로 인해 샘플 구간과 홀딩 구간의 출렁거림이 발생하여 헤더가 왜곡되고 이로 인해 RF 재생이 잘 안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칭 순간에 응답 특성이 느리면 헤더 영역을 재생할 때 헤더 영역이 제대로 재생되지 않고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만일, 헤더 영역을 제대로 재생하지 못하면 물리적 인식번호(PID)를 정확하게 복구할 수 없으므로 기록 특성이 열화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리 홀드 레벨을 저장하고 있다가 스위칭 순간에 바로 저장된 홀드 레벨로 해당 구간을 홀드함으로써, 해당 구간에서 홀드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광 기록재생기의 광 출력 제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광 디스크 기록 재생기 중 기록에 관련된 구성 블록도
도 2의 (a) 내지 (c)는 도 1에서 3 레벨의 라이트 스트레티지 구현을 위한 타이밍도
도 3은 온도 변화에 따른 레이저 다이오드의 출력 파워와 전류와의 관계를 보인 그래프
도 4는 일반적인 재기록가능 디스크에서 각 섹터의 시작 위치에 프리포맷되는 헤더의 배치를 보인 도면
도 5의 (a) 내지 (d)는 비연속 기록모드 디스크에서의 기록 과정을 보인 타이밍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재생기의 광 출력 제어 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7의 (a) 내지 (e)는 도 6의 각 부의 동작 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광 디스크 102 : 광 픽업
200 : 엔코더 300 : 재생 샘플 & 홀드부
301 : 재생 스위칭부 302 : 재생 노이즈 제거부
303,403 : 차동 증폭기 400 : 기록 샘플 & 홀드부
401 : 기록 스위칭부 402 : 기록 노이즈 제거부
500 : 제어부 501 : ADC
502 : 마이콤 503 : DAC
600 : 증폭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재생기의 광 출력 제어 장치는, 기록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레이저 다이오드(LD) 구동부를 포함하며, 기록 명령에 의해 기록과 재생이 교대로 수행되는 디스크에서의 기록 재생 특성을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광 출력 제어 장치에서, 기록 명령이 입력되면 기록할 데이터에 따른 기록 펄스를 생성하여 상기 LD 구동부로 출력함과 동시에 기록 영역과 헤더 영역을 포함한 재생 영역을 구분하는 리드 온 펄스와 상기 기록 영역에서 피트 형성 구간과 블랭크 구간을 구분하는 라이트 샘플 & 홀드(S/H) 펄스를 발생하는 엔코더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 출력의 일부를 피드백받아 증폭한 후 샘플값으로 출력하는 광 출력 피드백부와, 상기 엔코더에서 출력되는 리드 온 펄스에 의해 샘플값과 홀딩값을 교대로 선택하여 상기 LD 구동부로 출력하는 재생 샘플 & 홀드부와, 상기 엔코더에서 출력되는 라이트 S/H 펄스에 의해 샘플값과 홀딩값을 교대로 선택하여 상기 LD 구동부로 출력하는 기록 샘플 & 홀드부와, 상기 리드 온 펄스와 라이트 S/H 펄스에 의해 상기 재생 샘플 & 홀드부와 기록 샘플 & 홀드부에서 각각 샘플값을 피드백받은 후 기록과 재생시 재생 샘플 & 홀드부와 기록 샘플 & 홀드부에 각 홀딩값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드 온 펄스의 온/오프에 의해 기록시 상기 재생 샘플 & 홀드부에서 피드백되는 샘플값을 유지하고 있다가 재생시 상기 재생 샘플 & 홀드부에 홀딩값으로 출력하고, 상기 라이트 S/H 펄스의 온/오프에 의해 피트 형성시 상기 기록 샘플 & 홀드부에서 피드백되는 샘플값을 유지하고 있다가 피트 형성이 끝나면 상기 기록 샘플 & 홀드부에 홀딩값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LD 구동부는 상기 재생 영역에서는 상기 재생 샘플 & 홀드부를 통해 출력되는 홀딩값으로 리드 파워를 홀드하고, 기록 영역 중 블랭크 구간에서는 상기 기록 샘플 & 홀드부를 통해 출력되는 홀딩값으로 이레이즈 파워를 홀드하는 것을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재생기의 광 출력 제어 장치의 구성 블록도로서, 프리피트된 헤더 영역을 구비한 광 디스크(101), 상기 광 디스크(101)에 정보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광 픽업(102), 상기 광 픽업(102)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로부터 RF 및 서보 에러 신호를 생성하는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108), 상기 RF 및 서보 에러 생성부(108)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기록 펄스 스위칭 신호, 리드 온(read on) 펄스, 라이트 샘플 & 홀드(write S/H) 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엔코더(200), 상기 리드 온 펄스에 의해 스위칭되어 리드 파워를 샘플 & 홀드하는 재생 샘플 & 홀드부(300), 상기 라이트 S/H 펄스에 의해 스위칭되어 이레이저 파워를 샘플 & 홀드하는 기록 샘플 & 홀드부(300), 및 상기 리드 온 펄스, 라이트 S/H 펄스 그리고, 상기 재생 및 기록 샘플 & 홀드부(300,400)에서 각각 피드백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헤더/기록 영역에서의 각 홀드 레벨을 결정한 후 상기 재생 및 기록 샘플 & 홀드부(300,400)로 각각 출력하는 제어부(500)로 구성된다.
여기서, LD 구동부(102-1)는 광 픽업(102) 내에 구성시킬 수도 있고, 광 픽업(102)에서 분리시켜 구성시킬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광 픽업(102) 내에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미언급된 102-2는 광 픽업(102)에서 LD 출력의 일부가 피드백되면이를 검출하는 MPD(Monitering PD)의 출력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류-전압(I-V) 변환기이고, 600은 상기 I-V 변환기(102-2)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일정 레벨로 증폭하는 증폭기이다.
만일, 3레벨의 LD 구동 전압을 이용한 멀티 펄스 기록 방식이라면 엔코더(200)는 라이트 펄스, 이레이즈 펄스, 리드 펄스를 상기 LD 구동부(102-1)로 출력하고, 파워 생성부(700)는 각 파워 예컨대, 라이트 파워, 이레이즈 파워, 리드 파워를 생성하여 LD 구동부(102-1)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재생 샘플 & 홀드부(300), 기록 샘플 & 홀드부(400), 및 제어부(500)는 ALPC부에 해당된다.
여기서, 상기 재생 샘플 & 홀드부(300)는 엔코더(200)에서 제공하는 리드 온 펄스에 의해 스위칭되어 증폭기(600)에서 출력되는 샘플 레벨 또는, 제어부(500)에서 출력되는 홀드 레벨을 출력하는 재생 스위칭부(301), 상기 재생 스위칭부(301)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재생 노이즈 제거부(302), 및 상기 재생 노이즈 제거부(302)의 출력을 차동 증폭시켜 LD 구동부(102-1)로 출력하는 차동 증폭기(30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재생 노이즈 제거부(302)의 출력은 상기 차동 증폭기(303)로 출력됨과 동시에 제어부(500)에서 홀드 레벨을 결정할 수 있도록 제어부(500)로 피드백된다.
상기 기록 샘플 & 홀드부(400)는 엔코더(200)에서 제공하는 라이트 S/H 펄스에 의해 스위칭되어 증폭기(600)에서 출력되는 샘플 레벨 또는, 상기 제어부(500)에서 출력되는 홀드 레벨을 출력하는 기록 스위칭부(401), 상기 기록스위칭부(401)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록 노이즈 제거부(402), 및 상기 기록 노이즈 제거부(402)의 출력을 차동 증폭시켜 LD 구동부(102-1)로 출력하는 차동 증폭기(403)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기록 노이즈 제거부(402)의 출력은 상기 차동 증폭기(403)로 출력됨과 동시에 제어부(500)에서 홀드 레벨을 결정할 수 있도록 제어부(500)로 피드백된다. 여기서, 상기 차동 증폭기(303,403)는 제어부(500)로부터 기준 전압을 제공받으며, 상기 차동 증폭기(303,403)의 출력은 LD 구동부(102-1)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재생 노이즈 제거부(302)와 기록 노이즈 제거부(402)의 출력을 피드백받아 디지털화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nalog/Digital Converter ; ADC)(501), 상기 엔코더(200)에서 제공하는 리드 온 펄스, 라이트 S/H 펄스 그리고, 상기 ADC(501)의 출력을 이용하여 헤더 영역과 기록 영역에서의 홀드 레벨을 결정하는 마이콤(502), 및 상기 마이콤(502)에서 출력되는 홀드 레벨을 아날로그화하여 상기 재생 스위칭부(301)와 기록 스위칭부(401)로 각각 출력함과 동시에 LD 구동부(102-1)로 출력하는 DAC(50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재생 샘플 & 홀드부(300)와 기록 샘플 & 홀드부(400)를 분리시킨 것은 R/W 스위칭시 고속으로 대응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기록 명령이 입력되면 엔코더(200)는 도 7의 (a)와 같은 기록 펄스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여 광 픽업(102)의 LD 구동부(102-1)로 출력한다. 또한, ALPC를 위해 리드 온 펄스, 라이트 S/H 펄스를 생성하여 재생 샘플 & 홀드부(300)의 재생 스위칭부(301)와 제어부(500)의 마이콤(502)으로 출력하고, 라이트 S/H 펄스를 생성하여 기록 샘플 & 홀드부(400)의 기록 스위칭부(401)와 제어부(500)의 마이콤(502)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리드 온 펄스는 도 7의 (b)와 같이 헤더 영역과 기록 영역을 구분하는 신호로서, 로우 상태가 헤더 영역임을 나타내는 로우 액티브(low active) 상태를 예로 들었다. 즉, 상기 리드 온 펄스가 실제 R/W 펄스이다.
또한, 하나의 섹터 구간에서 NRZI 파형이 도 7의 (c)와 같다면, 라이트 S/H 펄스는 도 7의 (e)와 같이 NRZI 파형에 동기되어 발생한다.
도 7의 (d)는 멀티펄스를 이용하여 기록을 행하는 경우이다.
즉, 리드 온 펄스가 하이인 구간 예컨대, 기록 영역에서는 리드 파워를 계속 샘플링하고, 리드 온 펄스가 로우인 구간 예컨대, 헤더 영역에서는 상기 샘플된 값으로 리드 파워를 홀드한다.
또한, 라이트 S/H 펄스가 하이인 구간 예컨대, 실제 피트가 형성되는 구간에서는 이레이저 파워를 계속 샘플링하고, 라이트 S/H 펄스가 로우인 구간 예컨대, 블랭크 구간에서는 상기 샘플된 값으로 이레이저 파워를 홀드한다.
이를 위해, 상기 광 픽업(102) 내의 I-V 변환부(102-2)를 통해 피드백되는 LD 출력 전압은 증폭기(600)에서 증폭된 후 재생 샘플 & 홀드부(300)의 재생 스위칭부(301)와 기록 샘플 & 홀드부(400)의 기록 스위칭부(401)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재생 샘플 & 홀드부(300)의 재생 노이즈 제거부(302)와 기록 샘플 & 홀드부(400)의 기록 노이즈 제거부(402)에서 피드백되는 전압을ADC(501)를 통해 입력받아 디지털화한다.
이때, 상기 마이콤(502)은 리드 온 펄스와 라이트 S/H 펄스에 의해 기록 영역과 헤더 영역에서의 홀드 레벨을 결정한다.
만일, 리드 온 펄스가 하이 상태라면, 실제 기록 영역이므로 상기 마이콤(502)은 재생 노이즈 제거부(302)에서 피드백되어 ADC(501)에서 디지털화된 전압을 계속 샘플링하면서 재생 영역의 리드 파워의 홀드 레벨을 결정한다.
이때, 상기 재생 스위칭부(301)는 리드 온 펄스에 의해 스위칭되는데, 리드 온 펄스가 하이이면 증폭기(60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재생 노이즈 제거부(302)로 출력하고, 리드 온 펄스가 로우이면 제어부(50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재생 노이즈 제거부(302)로 출력한다. 즉, 헤더 영역에서는 상기 증폭기(60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샘플 레벨이고, 제어부(50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홀드 레벨이 된다.
따라서, 상기 리드 온 펄스가 하이라고 가정하면, 재생 스위칭부(301)를 통해 샘플 레벨이 출력되고, 상기 샘플 레벨은 재생 노이즈 제거부(302)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후 차동 증폭기(303)로 출력됨과 동시에 제어부(500)의 ADC(501)로 피드백된다.
이때, 상기 마이콤(502)은 헤더 영역의 홀드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 일정 구간 동안 샘플 레벨을 누적하면서 평균을 취하고 있다가 상기 리드 온 펄스가 로우로 변하면 상기 평균값을 홀드 레벨로 하여 DAC(503)로 출력하고, 상기 DAC(503)는 이를 아날로그화하여 재생 스위칭부(301)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재생 스위칭부(301)는 리드 온 펄스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DAC(503)에서 출력되는 홀드 레벨을 재생 노이즈 제거부(302)로 출력한다. 따라서, 헤더 영역 즉, 재생 영역에서는 상기 홀드 레벨로 리드 파워가 홀드되므로 홀딩 레벨이 변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평균값은 하나의 실시예이며, 리드 온 펄스의 하이 구간에서 피드백되는 신호의 순시값을 홀드 레벨로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마이콤(502)은 라이트 S/H 펄스가 하이 상태라면 기록 노이즈 제거부(402)에서 피드백되어 디지털화된 전압을 계속 샘플링하면서 기록 영역의 홀드 레벨을 결정한다.
즉, 기록 영역은 피트 형성 구간과 블랭크 구간으로 나누어지며, 피트 형성 구간에서는 이레이즈 파워를 샘플링하고, 상기 샘플된 값을 이용하여 홀드 레벨을 결정한 후 블랭크 구간에서는 상기 홀드 레벨로 이레이저 파워를 홀드한다. 이를 위해 라이트 S/H 펄스가 이용된다.
이때, 상기 기록 스위칭부(401)는 라이트 S/H 펄스에 의해 스위칭되는데, 만일, 라이트 S/H 펄스가 하이 상태라면 즉, 피트 형성 구간이라면 상기 기록 스위칭부(401)는 증폭기(60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기록 노이즈 제거부(402)로 출력하고, 라이트 S/H 펄스가 로우라면 즉, 블랭크 구간이라면 상기 기록 스위칭부(401)는 제어부(50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선택하여 기록 노이즈 제거부(402)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라이트 S/H 펄스가 하이라고 가정하면, 기록 스위칭부(401)를 통해 샘플 레벨이 출력되고, 상기 샘플 레벨은 기록 노이즈 제거부(402)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후 차동 증폭기(403)로 출력됨과 동시에 제어부(500)의 ADC(501)로 피드백된다.
이때, 상기 마이콤(502)은 기록 영역의 홀드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 일정 구간 동안 샘플 레벨을 누적하면서 평균을 취하고 있다가 상기 라이트 S/H 펄스가 로우로 변하면 상기 평균값을 홀드 레벨로 하여 DAC(503)로 출력하고, 상기 DAC(503)는 이를 아날로그화하여 기록 스위칭부(401)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기록 스위칭부(401)는 라이트 S/H 펄스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DAC(503)에서 출력되는 홀드 레벨을 기록 노이즈 제거부(402)로 출력한다. 따라서, 기록 영역에서는 상기 홀드 레벨로 이레이저 파워가 홀드되므로 홀딩 레벨이 변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평균값은 하나의 실시예이며, 라이트 S/H 펄스의 하이 구간에서 피드백되는 신호의 순시값을 홀드 레벨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헤더 영역을 포함한 재생 영역과 기록 영역에서 해당 샘플 값을 미리 저장하고 있다가 스위칭시에 상기 샘플 값으로 해당 구간을 홀딩함으로써, 기록 영역에서는 이레이저 레벨을 최적으로 유지하고, 재생 영역에서는 리드 파워를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재생기의 광 출력 제어 장치에 의하면, 기록 영역에서는 이레이저 파워를, 헤더 영역을 포함한 재생 영역에서는 리드 파워를 항상 일정 레벨로 유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장시간 기록에 의한 기록 특성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비연속 기록 모드의 디스크의 경우 장시간 기록이나 온도 특성에 의해 디스크 반사율이 달라져도 바로 원 상태로 각 파워를 복구할 수 있으므로 헤더 왜곡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섹터의 물리적 인식번호(PID)를 정확하게 복구할 수 있으므로 기록 및 재생 특성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7)

  1. 기록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레이저 다이오드(LD) 구동부를 포함하며, 기록 명령에 의해 기록과 재생이 교대로 수행되는 디스크에서의 기록 재생 특성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광 출력 제어 장치에 있어서,
    기록 명령이 입력되면 기록할 데이터에 따른 기록 펄스를 생성하여 상기 LD 구동부로 출력함과 동시에 기록 영역과 재생 영역을 구분하는 리드 온 펄스와 상기 기록 영역에서 피트 형성 구간과 블랭크 구간을 구분하는 라이트 샘플 & 홀드(S/H) 펄스를 발생하는 엔코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 출력의 일부를 피드백받아 증폭한 후 샘플값으로 출력하는 광 출력 피드백부;
    상기 엔코더에서 출력되는 리드 온 펄스에 의해 샘플값과 홀딩값을 교대로 선택하여 상기 LD 구동부로 출력하는 재생 샘플 & 홀드부;
    상기 엔코더에서 출력되는 라이트 S/H 펄스에 의해 샘플값과 홀딩값을 교대로 선택하여 상기 LD 구동부로 출력하는 기록 샘플 & 홀드부; 그리고
    상기 리드 온 펄스와 라이트 S/H 펄스에 의해 상기 재생 샘플 & 홀드부와 기록 샘플 & 홀드부에서 각각 샘플값을 피드백받은 후 기록과 재생시 재생 샘플 & 홀드부와 기록 샘플 & 홀드부에 각 홀딩값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기의 광 출력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영역은 헤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기의 광 출력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샘플 & 홀드부는
    리드 온 펄스에 의해 스위칭되어 기록 영역에서는 샘플값을, 재생 영역에서는 홀딩값을 선택 출력하는 재생 스위칭부와,
    상기 재생 스위칭부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 후 상기 LD 구동부로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로 피드백하는 재생 노이즈 제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기의 광 출력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샘플 & 홀드부는
    라이트 S/H 펄스에 의해 스위칭되어 피트 형성 구간에서는 샘플값을, 블랭크 구간에서는 홀딩값을 선택 출력하는 기록 스위칭부와,
    상기 기록 스위칭부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 후 상기 LD 구동부로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로 피드백하는 기록 노이즈 제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기의 광 출력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드 온 펄스의 온/오프에 의해 기록시 상기 재생 샘플 & 홀드부에서피드백되는 샘플값을 유지하고 있다가 재생시 상기 재생 샘플 & 홀드부에 홀딩값으로 출력하고, 상기 라이트 S/H 펄스의 온/오프에 의해 피트 형성시 상기 기록 샘플 & 홀드부에서 피드백되는 샘플값을 유지하고 있다가 피트 형성이 끝나면 상기 기록 샘플 & 홀드부에 홀딩값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기의 광 출력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값은 일정 구간의 샘플값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기의 광 출력 제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D 구동부는
    상기 재생 영역에서는 상기 재생 샘플 & 홀드부를 통해 출력되는 홀딩값으로 리드 파워를 홀드하고, 기록 영역 중 블랭크 구간에서는 상기 기록 샘플 & 홀드부를 통해 출력되는 홀딩값으로 이레이저 파워를 홀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기의 광 출력 제어 장치.
KR1020000017404A 2000-04-03 2000-04-03 광 기록재생기의 광출력 제어 장치 KR100617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404A KR100617231B1 (ko) 2000-04-03 2000-04-03 광 기록재생기의 광출력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404A KR100617231B1 (ko) 2000-04-03 2000-04-03 광 기록재생기의 광출력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038A true KR20010094038A (ko) 2001-10-31
KR100617231B1 KR100617231B1 (ko) 2006-08-31

Family

ID=19661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404A KR100617231B1 (ko) 2000-04-03 2000-04-03 광 기록재생기의 광출력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72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842B1 (ko) * 2014-01-06 2020-11-19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광 디스크 장치에서 파워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7231B1 (ko) 200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09835B2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
US5737289A (en) Data recording apparatus adapted for recording data signals onto an optical recording medium
EP0278006A1 (en) A disc device and a disc-like recording medium
JP2003203341A (ja)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記録再生方法
US7289412B2 (en) Adaptive record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density optical recording
CN1853221B (zh) 记录光学记录载体的方法
KR0181497B1 (ko) 광학 디스크 기록 장치
KR100617231B1 (ko) 광 기록재생기의 광출력 제어 장치
US6091685A (en) Optical disc recording/pla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recording of new data
WO2005031719A1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0222731A (ja) 記録装置、記録方法
JP2000040231A (ja)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
KR100606679B1 (ko) 광 기록재생기의 기록제어신호 생성 방법
KR100606675B1 (ko) 광 기록재생기의 기록신호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030093492A (ko) 광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0686042B1 (ko) 광 기록재생기의 기록신호 생성 방법
KR100294887B1 (ko) 광 디스크 기록 장치 및 그 방법
JP3871866B2 (ja) 光ディスク装置、情報処理装置、光ディスク記録方法および定数推定方法
JP4030862B2 (ja) 多値記録のウォブル信号検出方法と光情報記録装置
JP4445503B2 (ja) 情報記録媒体、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3339841B2 (ja) 記録/再生方式
JP2005071470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KR100246763B1 (ko) 광디스크의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방법
JP3562767B2 (ja) 記録補正方法
JP2001023173A (ja) 情報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