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3863A - 지피에스 위성을 이용한 분실물 추적 시스템 및 서비스 - Google Patents

지피에스 위성을 이용한 분실물 추적 시스템 및 서비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3863A
KR20010093863A KR1020000017472A KR20000017472A KR20010093863A KR 20010093863 A KR20010093863 A KR 20010093863A KR 1020000017472 A KR1020000017472 A KR 1020000017472A KR 20000017472 A KR20000017472 A KR 20000017472A KR 20010093863 A KR20010093863 A KR 20010093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server
gps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7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영
Original Assignee
이성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영 filed Critical 이성영
Priority to KR1020000017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3863A/ko
Publication of KR20010093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86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위성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단말기 내에 구성된 GPS수신부로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연산 및 산출하고, 그 결과 데이터를 기존 무선이동통신망으로 송출하는 기능 전체를 단일한 하나의 몸체 내(內)에 구성한 휴대형 무선단말기를 구성하며,
이 휴대형 무선단말기와 GPS 위성, 무선이동통신매체, 서비스센터 통신기기와 수요자(의뢰인)의 컴퓨터 등을 상호 연계시켜 대상물의 위치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 가공, 전달하는 시스템을 구성하고,
이 시스템을 가동하여 스스로 의사표현이 불가능한 미아(迷兒), 환자, 애완동물, 분실물(紛失物)등의 소재정보를 인터넷을 통해서 제공해 주는 서비스.

Description

지피에스 위성을 이용한 분실물 추적 시스템 및 서비스{DETECTING SYSTEM AND/OR SERVICE USING GPS SATELITE}
본 발명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을 이용한 소재(所在) 추적시스템 및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형 무선단말기와 GPS 위성, 무선 이동통신매체를 이용하여 위치정보 데이터를 수집, 가공, 전달하는 시스템을 구성하고, 이 시스템을 통해 위치추적 대상물의 위치정보를 인터넷을 통해서 제공해 주는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현재, 열차, 자동차, 선박, 항공기 등과 같은 이동 물체의 위치(位置)나 속도(速度)를 파악하거나 이동경로(移動經路)등을 결정하기 위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이 이용되고 있다.
이 GPS 위성을 이용한 위치추적장치는 GPS 위성으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 속도 등을 나타내는 전파를 수신하여 대상물(對象物)의 현재 위치를 지도정보가 있는 화면상에 나타내 보여주게 된다.
구체적으로 이 GPS 위성을 활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체계는 대별하여 GPS 위성,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GPS 위성 신호 수신기, GPS 위성에서 수신된 신호로부터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연산장치, 연산된 위치정보를 지도정보에 보여주는 출력장치라는 네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시각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여러 가지 하드웨어적인 장비나 기구가 동원되고 있다.
이 같은 네 요소들로 구성된 시스템을 활용한 이동물체 위치파악 및 측정 결과는 매우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고 있으나 측정 대상, 활용 기능, 부대 장비 및 기기, 설비 등 제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여러 결함을 가지고 있다.
현재, GPS 위성을 활용한 위치측정서비스는 위치 측정 대상물의 위치나 속도를 파악하거나 자동차나 개인의 네비게이션(Navigation), 군대 내에서 군사목적 등 용도에 따라 위치측정 정보가 공공목적(公共目的)이나 상업적(商業的)으로 서비스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서비스 분야는 일반인들과는 거리가 먼 특수한 분야에만 한정적으로 활용되는 것이 현실이며 일상생활에서 위치추적이 꼭 필요한 분야에서는 거의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즉, 일반인의 생활 주변에서 위치추적이 필요한 것은 자의(自意)에 의해 스스로 의사를 표현하고 추적 매체를 사용할 수 있는 분야보다는, 오히려 그것이 불가능한 분야에 이 같은 위치추적시스템이 필요한 경우가 더 많다.
예로, 유아, 영아, 정박아 등 미아(迷兒), 치매환자, 노인성 질환자, 애완동물, 도난 차량이나 서류 가방 같은 분실물(紛失物) 등은 자기 의사로 위치를 표현할 능력이 없으므로 위치추적이 반드시 필요한 경우이다.
그러나, 현재의 GPS 위성 위치측정시스템이나 서비스체제로는 자기 의사로 위치를 표현할 능력이 없는 추적 대상물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가 없다.
또한, 현재의 GPS 위성을 활용한 위치측정시스템의 경우, 위치측정 대상물(차량 등)에 탑재 또는 휴대하는 단말기와 서비스센터의 시스템구축 등 제 장비와 기구가 모두 고가(高價)의 장비로서 일반인이 경제적인 부담이 없이 생활용품처럼 구비하고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나아가, 현재의 GPS 위성을 활용한 위치측정시스템은 위치측정 대상물에 탑재 또는 휴대된 단말기와 서비스센터 사이의 통신을 위해 이동통신단말기(PCSPhone, Cellura Phone, TRS 등)를 추가로 탑재 또는 휴대해야 하는 바, 애완견, 미아, 가방과 같은 분실물 등에 이 이동통신단말기를 휴대하게 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는 것은 물론 이들 애완견, 미아, 가방 같은 분실 대상물이 스스로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또, 무엇보다도 현재의 GPS 위성을 활용한 위치측정시스템은 위치측정 대상물에 탑재 또는 휴대된 단말기의 부피가 크고 중량(重量)이 무거운 탓에 일상적으로 간편하게 휴대(携帶)하고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점이 최대의 단점이었다.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존의 GPS 위성을 활용한 위치측정시스템과 서비스의 여러 결점을 제거한 것으로 ;
휴대용 초소형 단말기, GPS 위성, 서비스센터, 수요자의 개인 컴퓨터라는 네 가지 요소를 유기적으로 결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며,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소지한 미아(迷兒)나 환자, 단말기가 부착된 분실물(紛失物) 등 위치정보 추적대상물의 소재(所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서비스를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여러 도에서 사용된 같은 번호는 같거나 비슷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GPS수신부가 내장된 무선단말기의 시스템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시스템을 가동하는 서비스센터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무선단말기를 위치추적 대상물에 장착한 한 예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GPS 위성 200 : 위치추적 대상물
202 : 무선단말기 211 : GPS 수신부 212 : 위치연산부
213 : 무선이동통신부 220 : 시스템제어부
300 : 무선이동통신망 400 : 서비스센터 401 : 네트웍장비
402 : 위치추적시스템 403 : DB서버 404 : GIS 서버
405 : WEB 서버 500 : 인터넷망 600 : 위치정보 의뢰자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 GPS 위성을 이용한 대상물의 소재(所在) 추적 시스템 및 서비스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위치추적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번호 200은 위치추적 대상물(예로 미아, 치매환자 등)을 나타내고, 번호 202는 본 발명 휴대용 초소형 무선단말기를 나타낸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위치추적 대상물(200)과 휴대용 무선단말기(202)가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사용시에는 무선단말기(202)가 위치추적 대상물(200)의 일부에 부착되거나 휴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상 전 명세서에 걸쳐 "위치추적 대상물(200)(예로 미아, 치매환자, 분실물 등)"은 "대상물(200)"으로 표기하고, 본 발명 "휴대용 초소형 무선단말기(202)"는 "무선단말기(202)"로 표기한다.
번호 300은 무선이동통신망을 나타내는 바, 양방향 페이저(Pager)망, 무선데이터망, PCS망, Cellular망, TRS망 등 기존의 무선이동통신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번호 400은 서비스센터로서 대상물(200)과 위치정보 의뢰인(600)의 연결을 담당하는 바, 단말기(202)에서 보내오는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하고 이를 저장, 보관, 전달하는 서비스를 한다.
번호 600은 위치정보 의뢰인을 나타내며, PC와 인터넷망(500)을 통해, 대상물(200)의 위치정보를 서비스센터(400)에 조회하게 된다.
이들 제 요소의 구성, 기능, 역할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선단말기(202) 내부(內部)에는 GPS 전파수신부(211)이 내장되어 있다.
이 GPS 전파수신부(211)은 GPS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위성(100)으로부터 송신되는 위성정보를 수신하여 대상물(200)이 현재 소재(所在)하고 있는 위치(位置)의 좌표(座標)값을 계산한 다음, 그 계산된 위치정보를 무선이동통신망(300)을통해서 서비스센터(400)로 전송하게 된다.
무선이동통신망(300)을 통해 대상물(200)의 위치정보를 전달받은 서비스센터(400)의 위치추적서버(402)는 전달받은 위치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 하여 별도의 DB서버(403)에 저장 및 보관한다.
그리고 위치추적서버(402)는 의뢰자(600)로부터 위치정보 확인 의뢰가 들어오면, DB서버(403)에서 대상물(200)의 무선단말기(202) 위치정보를 검색하고,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404)로부터 해당 지역 위치의 지도를 검색한 후, 이들을 토대로 웹 서버(WEB Server)(405) 상에 위치정보를 보여주게 된다.
한편, 위치정보 의뢰자(600)는 자신의 PC로 인터넷망(500)을 통해 서비스센터(400)에 접속하게 되며, 무선단말기(202)를 소지한 미아, 환자, 분실물 등의 위치정보를 조회하고 결과를 확인하게 된다.
위치정보 의뢰인(600)은 평소 PC로 인터넷망에 들어가 일상적인 인터넷 환경을 다루는 정도의 일반 생활인을 나타낸다.
이 일반인이 아이나 애완견 등을 잃어버리는 비상사태가 발생하게 되고, 이 분실 대상물(200)에 대한 위치정보가 필요할 경우, 의뢰인(600)은 자신의 PC로 인터넷망을 통해 서비스센터(400)의 WEB 서버에 접속한 다음, 대상물(200)이 소지한 무선단말기(202)의 고유번호를 입력하면 대상물(200)의 위치정보를 즉시 확인할 수있게 된다.
이처럼 의뢰인(600)은,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거나 기동할 필요가 없이, 인터넷 WEB 브라우져를 사용하는 평소의 방법만으로 간단히 대상물(200)의 위치정보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의뢰인(600)은 별도로 위치정보 조회용 소프트웨어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적인 부담이 없음은 물론 소프트웨어 사용방법을 습득해야 하는 귀찮은 일로 스트레스를 겪을 필요가 없다.
도 2는 본 발명 GPS수신부가 내장된 무선단말기의 시스템 블록구성도이다.
GPS 수신부(211)은 안테나(210)를 통하여 GPS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전파를 수신하여 위치연산부(212)에 제공한다.
위치연산부(212)는 GPS수신부(211)에서 받은 전파를 토대로 무선단말기(202)가 현재 소재(所在)한 위치의 좌표값을 계산한 다음, 그 결과값으로 나온 위치정보를 산출하여 시스템제어부(220)에 제공한다.
시스템제어부(220)은 평소에 대기상태를 유지하다가 서비스센터(400)에서 대상물(200)의 위치정보를 요구할 경우, 위치연산부(212)에서 계산된 위치정보를 받아서 무선이동통신부(213)을 매체로 서비스센터(400)에 전송한다.
무선이동통신부(213)에서는 서비스센터(400)에서 보내오는 신호를 수신하여 시스템 제어부(220)에 보내거나, 시스템 제어부(220)에서 전해 온 위치정보를 서비스센터(400)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무선이동통신부(213)의 경우, 기존의 무선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되던 문자, 음성 입출력부분 등의 하드웨어적, 소프트웨어적인 구성 요소는 모두 제거(除去)하고, 단문전송(SMS : Short Message Service)기능만 발휘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만 수용하여 무선이동통신망(300)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이처럼 무선이동통신부(213)에서 기존 GPS 위치측정 시스템에서 사용하던 복잡한 장치와 기능을 제거한 것은 본 발명 무선단말기(202)의 기능을 단순화하고 무게와 크기를 줄여 쉽게 휴대하거나 부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시스템제어부(220) 또한 기존의 개인 네비게이션 장비나 GPS 위성을 이용한 GPS 위치측정 장비에 사용되던 지도정보 저장이나 기억, 위치정보 화면표시나 음성정보 출력 등의 기능을 발휘할 하드웨어적, 소프트웨어적인 구성 요소를 모두 제거(除去)하고 위치연산부(212)에서 전해진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무선이동통신부(213)로 전달하는 단순한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또한 본 발명 무선단말기(202)의 기능을 단순화하고 무게와 크기를 줄여 쉽게 휴대하거나 부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시스템을 가동하는 서비스센터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서비스센터(400)에서는 네트웍장비(401), 위치추적서버(402), DB서버(403), GIS서버(404), WEB서버(405)로 구성되어 있다.
서비스센터(400)의 네트웍장비(401)는 라우터, 모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무선이동통신망(300)과 인터넷망(500)으로 연결되고, 내부적으로는 위치추적서버(402)에 연결된다. 따라서, 네트웍장비(401)은 서비스센터(400)의 위치추적서버(402)와 무선이동통신망(300), WEB서버(405)와 인터넷망(500)의 양방향 통신을 담당하는 연결매체로써의 기능을 하게 된다.
위치추적서버(402)는 네트웍장비(401)를 경유하여 무선이동통신망(300)에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적으로는 DB서버(403), GIS서버(404)와 WEB서버(405)에 연결되어 있다.
첫째, 의뢰자(600)가 대상물(200)의 위치정보를 요구할 경우, 그 위치정보 요구신호는 네트웍장비(401)와 WEB서버(405)를 거쳐 위치추적서버(402)로 전달된다. 그 다음 이 요구신호는 네트웍장비(401)와 무선이동통신망(300)을 매개체로 하여 무선단말기(202)에 전달된다.
둘째, 무선단말기(202)가 보내오는 위치정보 응답신호는 무선이동통신망(300) 및 네트웍장비(401)를 거쳐 위치추적서버(402)로 전달된다. 이 위치추적서버(402)를 거친 위치정보 응답신호는 DB서버(403)에 보관되거나 또는 WEB서버(405)에 전달된다.
DB서버(403)은 위치추적서버(402)에 연결되어 있고, 관계형데이터베이스(RDBMS)구조를 형성하여 각 단말기(202)별 또는 의뢰자(600)별 위치정보와 의뢰기록 등을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고 있으며, GIS서버(404)와 WEB서버(405)가 요구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제공한다.
GIS서버(404)는 WEB서버(405)에 연결되어 있는 바, 디지털 전자지도와 지역정보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으며, WEB3서버(405)가 의뢰자(600)에게 위치정보를 제공할 때 필요한 지도 및/또는 지역정보를 WEB서버(405)에 제공한다.
WEB 서버(405)는 의뢰자(600)의 위치정보 요구에 대해 응대하는 바;
첫째, 위치정보 의뢰자(600)의 위치정보 요구를 실시간으로 위치추적서버(402)에 전달하고, 또 위치추적서버(402)가 실시간으로 알려오는 대상물(200)의 위치정보를 의뢰인(600)에게 전달한다.
둘째, DB서버(403)에 저장된 대상물(200)의 위치정보를 검색하여, 그 결과를 의뢰자(600)에게 전달한다.
셋째, WEB 서버(405)는 GIS서버로부터 대상물(200)의 해당 위치의 지도 및/또는 지역정보를 전달받는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확보된 대상물(200)의 위치정보와 지도 및/또는 지역정보는 WEB상에 함께 구현되어 의뢰자(600)에게 전달된다.
도 4는 본 발명 무선단말기(202)를 위치추적 대상물에 장착한 한 예이다.
기술한 바처럼, 유아, 영아, 정박아 등 미아(迷兒), 치매환자, 노인성 질환자, 애완동물, 도난 차량이나 서류 가방 같은 분실물(紛失物) 등은 자기 의사로 위치를 표현할 능력이 없으므로 위치추적이 반드시 필요한 경우이다. 따라서 이같은 대상물에는 본 발명 무선단말기(202)를 휴대하게 하거나 부착해 주어야 한다.
부착하는 예로서 도 4는 본 발명 무선단말기(202)가 어린이의 멜빵에 부착된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처럼 본 발명 무선단말기(202)는 일정 상황에서 자기 스스로 의사 표시를 할 수 없는 여러 대상물에 휴대시키거나 부착해 둘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람의 목걸이, 멜빵, 혁대, 가방, 애완동물 목걸이 등에 부착하거나 차량에 탑재하거나 일반인이 자기 스스로 휴대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GPS 위성을 이용한 분실물 추적 시스템 및 서비스의 효과와 장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개인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비나 GPS 위성을 이용한 GPS 위치측정 장비들은 지도정보를 저장하고 기억하며, 위치정보를 화면에 표시해 주거나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등의 기능을 발휘해야 한다.
이 같은 여러 기능을 발휘하게 할 소프트웨어를 갖추어야 함은 물론이고 이들 소프트웨어가 원활히 작동할 여러 종류의 하드웨어를 반드시 갖추어야만 한다.
나아가, 서비스센터와 통신이 필요할 때에는 별도의 이동통신단말기(Cellura Phone, PCS Phone, TRS 등)을 사용해야만 했다.
즉, 기존의 개인 네비게이션 장비나 GPS 위치측정 장비들은 수많은 하드웨어적, 소프트웨어적인 구성 요소와 별도의 이동통신단말기까지 갖추어야 했으므로 단순히 일정 대상물의 위치정보를 추적하는 간단한 용도로 사용하기에 불필요한 요소와 기능들을 너무나 많이 구비해야만 했다.
그 반면 본 발명의 무선단말기(202)는 꼭 필요한 몇 개의 요소(예로, 수신부(211), 연산부(212), 통신부(213), 제어부(220)만 갖추면 되며, 또 이를 단일한 하나의 몸체 내에 압축,구성한 경박단소(輕薄短小)형의 간단한 단말기(202) 구조이므로 어린이나 노인, 애완동물 등 약하거나 작은 물건에 간단히 부착, 휴대하게 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기능에 알맞은 몇 개의 요소만 갖추었으므로 적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소비자도 경제적인 부담이 거의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기존의 GPS 위치측정 시스템에 소요되는 온갖 시설과 장비를 갖출 필요가 없이, GPS 위성 신호, 단말기(202), 서비스센터라는 간단한 시스템을 구성하여 위치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위치정보 의뢰자(600)에게 아주 저렴한 가격에서비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위치정보 의뢰자(600)는 평소 PC로 인터넷 여행을 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웹브라우져(Web Browser)만으로 조회가 가능하므로,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신속히 대상물의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위치정보 의뢰자(600)들은 대개 시간에 쫓기는 성인(成人)인 바, 별도의 위치정보 조회용 소프트웨어를 구입하여 사용법을 공부해야 하는 귀찮고 불편한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이 PC의 인터넷망으로 간단히 대상물(200)의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 마디로 본 발명은, 수많은 인력, 장비, 비용이 소요되는 기존의 GPS 위치측정 시스템 대신에 작은 단말기와 단순한 시스템을 결합하여 유아, 영아, 정박아등 미아(迷兒), 치매환자, 노인성 질환자, 애완 동물, 도난 차량이나 서류 가방 같은 분실물(紛失物) 등 자의(自意)에 의해 스스로 의사를 표현할 수 없고 이동통신단말기(Cellura Phone, PCS Phone, TRS 등) 같은 본격적인 추적 매체도 휴대, 사용할 수 없는 위치추적 대상물(200)의 위치정보를 아주 저렴한 가격에 손쉽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상, 본 발명 내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실명한 바,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 및 수정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Claims (6)

  1. 이동 물체의 위치(位置), 이동속도(移動速度), 이동경로(移動經路)등을 파악하기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무선단말기, 무선 이동통신매체를 이용하여 일정 대상물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수집, 가공, 전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
    GPS위성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휴대·부착용 최소형 무선단말기(202) 내에 구성된 GPS수신부로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연산 및 산출하고, 그 결과 데이터를 무선이동통신망으로 송출하는 기능 전체를 단일한 하나의 몸체 내(內)에 구성한 무선단말기(202)를 구성하며,
    이 무선단말기(202)와 GPS 위성, 무선이동통신망(300), 서비스센터(400)의 통신기기와 위치추적의뢰인(600)의 컴퓨터 등을 상호 연계시켜 위치추적 대상물(200)의 위치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 가공, 전달하는 시스템을 구성하고,
    위치추적 대상물(200)의 위치정보를 위치추적의뢰인(600)이 사용하는 개인용 컴퓨터(PC)의 인터넷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시스템.
  2. 이동 물체의 위치(位置), 이동속도(移動速度), 이동경로(移動經路)등을 파악하기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무선단말기, 무선 이동통신매체를 이용하여 일정 대상물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수집, 가공, 전달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
    GPS위성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휴대·부착용 최소형 무선단말기(202) 내에 구성된 GPS수신부로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연산 및 산출하고, 그 결과 데이터를 무선이동통신망으로 송출하는 기능 전체를 단일한 하나의 몸체 내(內)에 구성한 무선단말기(202)를 구성하며,
    이 무선단말기(202)와 GPS 위성, 무선이동통신망(300), 서비스센터(400)의 통신기기와 위치추적의뢰인(600)의 컴퓨터 등을 상호 연계시켜 위치추적 대상물(200)의 위치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 가공, 전달하는 시스템을 구성하고,
    위치추적 대상물(200)의 위치정보를 위치추적의뢰인(600)이 사용하는 개인용 컴퓨터(PC)의 인터넷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이 시스템을 가동하여, 단말기(202)을 휴대 또는 부착한 유아, 영아, 정박아등 미아(迷兒), 치매환자, 노인성 질환자, 애완동물, 도난 차량이나 서류 가방 같은 분실물(紛失物) 등 스스로 자기 의사를 표현하거나 추적 매체를 사용할 수 없는 위치추적 대상물(200)의 소재정보를 파악해 제공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의 무선단말기(202)의 내부(內部)에는 GPS 전파수신부(211), 위치연산부(212), 시스템제어부(220), 무선이동통신부(213) 및안테나가 내장되어 있으며;
    GPS 전파수신부(211)은 안테나(210)를 통하여 GPS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개의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전파를 수신하여 위치연산부(212)에 제공하며,
    위치연산부(212)는 GPS 수신부(211)에서 받은 전파를 토대로 무선단말기(202)가 현재 소재(所在)한 위치의 좌표값을 계산한 다음, 그 결과값으로 나온 위치정보를 산출하여 시스템제어부(220)에 제공하고,
    시스템제어부(220)은 평소에 대기상태를 유지하다가 서비스센터(400)에서 대상물(200)의 위치정보를 요구할 경우, 위치연산부(212)에서 계산된 위치정보를 받아서 무선이동통신부(213)를 매체로 서비스센터(400)에 전송하며,
    무선이동통신부(213)에서는 서비스센터(400)에서 보내오는 신호를 수신하여 시스템 제어부(220)에 보내거나, 시스템 제어부(220)에서 전해 온 위치정보를 서비스센터(400)로 전송하는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한 것.
  4. 제 l항 또는 제 2항의 무선이동통신망(300)이 양방향 페이저(Pager)망, 무선데이터망, PCS망, Cellular망, TRS망 등 기존의 무선이동통신망 중 어느 하나인 것.
  5.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서비스센터(400)은 네트웍장비(401), 위치추적서버(402), DB서버(403), GIS서버(404), WEB서버(405)로 구성되며 ;
    네트웍장비(401)는 무선이동통신망(300)과 인터넷망(500)으로 연결되고, 내부적으로는 위치추적 서버(402)에 연결되어, 서비스센터(400)의 위치추적서버(402)와 무선이동통신망(300), WEB서버(405)와 인터넷망(500)의 양방향 통신을 담당하는 연결매체로써의 기능을 하며,
    위치추적서버(402)는 네트웍장비(401)를 경유하여 무선이동통신망(300)에 연결되어 있고, 내부적으로는 DB서버(403), GIS서버(404)와 WEB서버(405)에 연결되어 있으며,
    DB서버(403)은 위치추적서버(402)에 연결되어 있고, 관계형데이터베이스(RDMS)구조를 형성하여 각 단말기(202)별 또는 의뢰자(600)별 위치정보와 의뢰기록등을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고 있으며, GIS서버(404)와 WEB서버(405)가 요구하는 정보를 실시간 검색을 통하여 제공하며,
    GIS서버(404)는 WEB서버(405)에 연결되어 디지털 전자지도와 지역정보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으며, WEB서버(405)가 의뢰자(600)에게 위치정보를 제공할 때 필요한 지도 및/또는 지역정보를 WEB서버(405)에 제공하고,
    WEB 서버(405)는 의뢰자(600)의 위치정보 요구에 응대하여 ;
    첫째, 위치정보 의뢰자(600)의 위치정보 요구를 실시간으로 위치추적서버(402)에 전달하고, 또 위치추적서버(402)가 실시간으로 알려오는 대상물(200)의 위치정보를 의뢰인(600)에게 전달하며, 둘째, WEB서버(403)에 저장된 대상물(200)의 위치정보를 검색하여, 그 결과를 의뢰자(600)에게 전달하며, 셋째, WEB 서버(405)는 GIS서버로부터 대상물(200)의 해당 위치의 지도 및/또는 지역정보를 전달받으며,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확보된 대상물(200)의 위치정보와 지도 및/또는 지역정보는 WEB상에 함께 구현되어 의뢰자(600)에게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
  6.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위치추적 대상물(202)에 있어서 ;
    자기 스스로 의사 표시를 할 수 없거나 별도의 이동통신단말기(Cellura Phone, PCS Phone, TRS 등)을 사용할 수 없는 유아, 영아, 정박아 등 미아(迷兒), 치매환자, 노인성 질환자, 애완동물, 도난 차량이나 서류 가방 같은 분실물(紛失物) 등에 최소형 무선단말기(202)를 휴대시키거나 부착하는 매체로 사람의 목걸이,멜빵, 혁대, 가방, 애완동물 목걸이, 차량 등을 이용한 것.
KR1020000017472A 2000-03-30 2000-03-30 지피에스 위성을 이용한 분실물 추적 시스템 및 서비스 KR200100938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472A KR20010093863A (ko) 2000-03-30 2000-03-30 지피에스 위성을 이용한 분실물 추적 시스템 및 서비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472A KR20010093863A (ko) 2000-03-30 2000-03-30 지피에스 위성을 이용한 분실물 추적 시스템 및 서비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658U Division KR200211760Y1 (ko) 2000-06-21 2000-06-21 지피에스수신기능을 내장한 휴대형 무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863A true KR20010093863A (ko) 2001-10-31

Family

ID=19661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472A KR20010093863A (ko) 2000-03-30 2000-03-30 지피에스 위성을 이용한 분실물 추적 시스템 및 서비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386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0862A (ko) * 2001-06-14 2001-07-27 유선진 지피에스 수신기 내장형 양방향 페이저를 이용한 위치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22613A (ko) * 2001-09-11 2003-03-17 미래통신 주식회사 미아 방지 시스템
KR20040043534A (ko) * 2002-11-19 2004-05-24 최선종 미아방지 또는 미아추적을 위한 위치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0450869B1 (ko) * 2001-11-14 2004-10-01 트라텍정보통신 주식회사 지피에스를 이용한 안심단말장치
CN104965212A (zh) * 2015-05-08 2015-10-07 创世科研有限公司 一种全球定位联网通信追踪方法及追踪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0862A (ko) * 2001-06-14 2001-07-27 유선진 지피에스 수신기 내장형 양방향 페이저를 이용한 위치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22613A (ko) * 2001-09-11 2003-03-17 미래통신 주식회사 미아 방지 시스템
KR100450869B1 (ko) * 2001-11-14 2004-10-01 트라텍정보통신 주식회사 지피에스를 이용한 안심단말장치
KR20040043534A (ko) * 2002-11-19 2004-05-24 최선종 미아방지 또는 미아추적을 위한 위치안내 시스템 및 방법
CN104965212A (zh) * 2015-05-08 2015-10-07 创世科研有限公司 一种全球定位联网通信追踪方法及追踪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6305B2 (ja) 無線媒体を利用して人を監視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8102316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lost subjects
US7271717B1 (en) Two-way emergency alert system
US89882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lost subjects
US20080055155A1 (en) Object identity and location tracking system
Goel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droid based wearable smart locator band for people with autism, dementia, and Alzheimer
CN106921943A (zh) 一种电子围栏的实现方法及系统
JP2016110617A (ja) 移動物体の位置検索システム
CN105866805B (zh) 一种基于北斗/gps双模定位技术的老人移动健康监测系统
CN201057823Y (zh) 一种自动定位跟踪的书包或背包
JP3026170B2 (ja) 捜索装置
KR20010093863A (ko) 지피에스 위성을 이용한 분실물 추적 시스템 및 서비스
CN1947654A (zh) 生命信息发报方法及其发报装置
Sumathy et al. Vehicle accident emergency alert system
CN204965010U (zh) 一种多功能手表和基于多功能手表的远程监控系统
US20070096898A1 (en) Method for reading position data from remot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rough signal switching network system
KR200211760Y1 (ko) 지피에스수신기능을 내장한 휴대형 무선단말기
KR100795861B1 (ko) 위치추적시스템
US20050017901A1 (en) Personal locator and security system
JPH10104331A (ja) 相対位置検出装置
CN201260232Y (zh) 多对多交叉配对的通讯定位装置
SWAPNA GPS-GSM BASED TRACKING SYSTEM FOR SPECIAL USER GROUPS
KR20130047478A (ko) 위치기반 긴급구조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착용형 무선통신장치
Manasa et al. Accident Detection and Fast Health Care System using IoT
KR100576387B1 (ko) 위치추적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