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3254A - 변기 등의 세정수에 활성 물질을 도입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변기 등의 세정수에 활성 물질을 도입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3254A
KR20010093254A KR1020017008783A KR20017008783A KR20010093254A KR 20010093254 A KR20010093254 A KR 20010093254A KR 1020017008783 A KR1020017008783 A KR 1020017008783A KR 20017008783 A KR20017008783 A KR 20017008783A KR 20010093254 A KR20010093254 A KR 20010093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hambers
washing water
toile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우트만호르스트
쇈벡하인츠디터
봐그너쿠르트
Original Assignee
추후기재
제이에스 도이칠란드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89441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9325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추후기재, 제이에스 도이칠란드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추후기재
Publication of KR20010093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25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2Devices connected to or dispensing into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 등의 세정수에 활성 물질을 도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변기 등의 모서리에 고정될 수 있는 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에는 활성 물질을 수용하는 제1 챔버와 세정수가 흘러 내려갈 수 있는 제2 챔버가 마련된다. 하나 이상의 연결 개구, 연결 슬릿 등이 2개의 챔버 사이에 마련되어 활성 물질이 제2 챔버에 도입될 수 있다. 제2 챔버의 예정된 수위를 유지시키는 장치가 2개의 챔버 사이에 마련된다.

Description

변기 등의 세정수에 활성 물질을 도입하는 장치{DEVICE FOR INTRODUCING ACTIVE SUBSTANCES INTO THE FLUSHING WATER OF A TOILET PAN OR THE LIKE}
독일 특허 제195 20 145호에 공지되어 있는 이러한 형태의 종래의 장치는 젤라틴 물질용 용기를 구비하고, 이 용기의 바닥은 수용액은 침투 가능하지만 젤라틴 물질은 침투가 불가능하다. 이 장치는 물 내림 동작과 그 다음 물 내림 동작 사이에 내내 젤라틴 물질이 적하(滴下)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바닥 영역의 선택적인 투과성은 "연화 효과(softening effect)"를 방지하며, 다시 말해서 활성 물질의 용해로 인하여 후속 물 내림 동작에서 활성 물질이 조절되지 않은 상태로 방출되는 것이 용기 바닥의 선택적인 투과성에 의해 방지된다.
종래의 장치의 단점은 그것의 바닥이 액체에 대해서는 투과성을 갖지만, 젤라틴 물질에 대해서는 투과성을 갖지 않도록 활성 물질을 수용하는 용기를 설계하는데 있는바, 즉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많이 드는 이러한 장치를 구성하는 데에는 상당한 노력이 든다. 이러한 장치는 대량 생산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들어서도 안되고 복잡해서도 안된다.
본 발명은 변기 등의 세정수에 활성 물질을 분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활성 물질(특히, 젤라틴 물질)을 조절 분배하고, 특히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며 그 제조 비용이 저렴한, 서두에서 언급된 종류의 장치를 제조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그 외의 실시예는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변기의 세정수에 활성 물질을 분배하는 장치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서, 2개의 인접한 챔버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하나의 챔버는 젤라틴 물질을 수용는 작용을 하고, 다른 챔버는 세정수를 통과시켜 젤라틴 물질을 용해시킨다. 이 2개의 챔버는 거의 수직한 분할 벽에 의해 분할된다. 분할벽에는 두 챔버의 하단부에 하나 이상의 개구가 위치하고, 이를 통해 젤라틴 물질이 제2 챔버에 투입되어, 제2 챔버를 지나 변기로 배출되는 세정수에 의해 용해될 수 있다.
물 내림 동작 후, 제2 챔버에서 소정의 세정수 수위를 설정하는 작용을 하고 제2 챔버가 완전히 비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가 제2 챔버의 바닥면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젤라틴 물질은 세정수에 따라 어느 정도까지는 하우징에서 씻겨 내려가지 않는다. 젤라틴 물질은 균일한 분량으로 제2 챔버로 이송되고, 그곳에서 세정수에 의해 활성화되어 변기로 배출된다. 이는 세정수에 비하여 과도하게 많은 활성 물질이 제2 챔버에 존재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챔버는 농축 젤라틴 물질의 활성화 챔버로서 작용한다. 다시 말해서, 젤라틴 물질은 세정수를 유입 또는 통과시킴으로써 제2 챔버로 이송되고 제2 챔버에서 용해되며, 그 후 사이펀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에 의해 변기에 투입 희석된다. 또한, 제2 챔버는 물 내림 동작후 항상 동일한 양의 젤라틴 물질이 제2 챔버 내에 잔류하게 하여, 그 다음 물 내림 동작에 의해 이미 희석된 것이 씻겨 내려가도록 보장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물과 혼합된 겔의 지속적인 배출과 뒤이은 적하를 방지하여 겔의 흔적이 변기에 남지 못하게 한다.
이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서, 상기 장치에는 2개의 거의 평행한 챔버(2, 3)를 포함하는 하우징(1 : 플라스틱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함)이 마련된다. 챔버(2, 3)는 거의 접해 있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반원형인 것, 즉 바닥면이 거의 원형을 취한다. 하우징(1)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어도 좋다.
분할벽(4)이 하우징(1)의 챔버 사이에 존재하여 제1 챔버(2)와 제2 챔버(3)의 경계를 형성한다. 이 벽은 거의 수직이고, 따라서 하우징(1)을, 예를 들어 용적이 동일한 2개의 챔버로 분할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챔버(2, 3)는 상이한 용적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이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챔버(2)는 활성제로서 젤라틴 물질을 수용하는 작용을 하는 반면에, 제2 챔버(3)는 상기 챔버(2)의 활성제를 분해 또는 용해시키고, 단위 분량으로 나눈 후, 변기에 단위 분량으로 이송하도록 마련되어 있다(도시 생략).
분할벽(4)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 개구(5)가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챔버(2) 내에 있는 젤라틴 물질이 제2 챔버(3)로 단위 분량으로 나뉘어져 투입된다. 이는 연결 개구의 단면이 불특정량의 젤라틴 물질이 챔버(3)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단위 분량의 젤라틴 물질이 챔버(3)로 이송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선택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챔버(3)의 기저부, 즉 바닥면(6)의 영역에는 사이펀(8 : siphon)이 마련된다. 도 2에서, 이 사이펀은 내부관(9)과 외부관(10)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관(10)은 내부관(9)보다 단면 또는 직경이 더 크며, 길이가 조금 더 길다. 내부관(9)은 챔버(3)의 바닥면(6)을 지나 아래로 관통한다. 외부관(10)은 바닥면(6) 상에 직립한다.
또한, 외부관에는 밀봉체(10a), 즉 외부관(10)을 상단에서 챔버(3)에 대해 폐쇄시키는 덮개가 마련된다.
사이펀(9, 10)을 통해 액체를 통과시키기 위해, 외부관(10)의 하단부가 바닥면(6)으로부터 조금 떨어져 있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관(10)은 바(11)에 의해서 내부관(9)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외부관(10)은 바닥면(6) 바로 위에 직립하며, 액체가 챔버(3)로부터 외부관(10)으로, 그리고 내부관(9)으로 통과하게 하도록 바닥면(6)에 인접한 외부관(10)의 주연부에 개별적인 구멍들이 마련된다.
따라서, 외부관(10)은 포트(pot) 형태이며, 내부관(9)을 대부분 둘러싸거나 덮는다.
따라서, 덮개(10a)를 구비한 외부관(10)에는 바닥면(6)에 인접한 둘레 슬롯 또는 개구가 마련되거나, 또는 바닥면에 인접한 관(10)의 벽에 둘레 개구(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함)들이 마련된다(도 2에 도시).
두 챔버(2, 3)의 상단부는 덮개(12) 또는 이와 유사한 밀봉체로 덮힌다. 덮개(12)에는 개구(13, 14)가 마련되고, 이를 통해 세정수가 챔버(2 및/또는 3)에 유입될 수 있다. 덮개(12) 부근에는 챔버(2, 3)의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높이에 넘침 개구(16, 17)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 내림 동작 중에 세정수가 넘침 개구(16, 17)에 의해 정해진 챔버(2, 3)의 수위를 넘어서면, 이 넘침 개구(16, 17)는 챔버(2, 3) 밖으로 세정수를 내보낸다. 또한, 넘침 개구(16, 17)는 세정수를 챔버(2) 내에 있는 젤라틴 물질에 대하여 일정 비율로 투입하는 작용을 한다.
본 장치를 변기의 모서리에 부착하기 위하여, 덮개(12) 위 또는 하우징(1)의 그 외의 위치에 홀더(19)가 마련된다. 홀더(19)는, 젤라틴 물질을 수용하고 있는용기(2)가 변기의 수직 방향 모서리로부터 떨어져 있고, 세정수를 수용하고 있는 챔버(3)는 거의 수직인 변기 벽에 가능한 한 근접하여, 제2 챔버(3)가 세정수로 충분히 세척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개구(5)는 챔버(2)의 기저부에 위치하며, 또한 이 연결 개구는 슬롯이거나, 또는 복수개의 상기 개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홀더(19)의 구조는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필요하지 않다.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다.
제1 챔버(2)는 연결 개구(5)를 통해 챔버(3)로 투입되는 젤라틴 활성 물질을 수용하는 작용을 한다. 물 내림 동작 후, 세정수는 제2 챔버(3)의 바닥면(6)과 관 섹션(10)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 내에 잔류한다. 제1 챔버(2)의 젤라틴 활성 물질은 연결 개구(5)를 통해 세정수에 유입되고, 물 내림 동작 후에 분해된다. 다시 말해서, 챔버(3) 내에 잔류하는 세정수는 활성 물질이 첨가되어 있다. 그 다음 물 내림 동작 시에는, 새로운 세정수가 개구(13)를 지나 제2 챔버(3)에 유입되고, 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기존의 세정수와 섞이며, 관 섹션(9, 10, 10a)으로 구성된 사이펀(8)을 통해 변기로 배출된다. 물 내림 동작 중에, 젤라틴 물질은 연결 개구(5)를 통해 챔버(3) 내에 있는 세정수에 투입되고 유출하는 세정수와 함께 챔버(3)를 벗어난다. 물 내림 동작 후, 관(10)의 단부보다 상위에 있는 영역이 비워질 때까지 세정수는 챔버(3)로부터 흘러 나간다. 연결 개구(5)를 통해 소정의 분량으로 공급된 젤라틴 물질이 관(9)의 상단부에 의해 수위가 정해지는 잔류 세정수에 다시 첨가된다.
또한, 내부관(9)의 상단부가 외부관(10)보다 더 낮은 곳에 있기 때문에, 세정수가 배출될 때 사이펀(8)은 내부관(9)을 통한 연속적인 후속 적하를 방지한다. 이는 이러한 장치를 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활성 물질의 바람직하지 못한 흔적이 물 내림 동작 후 변기에 잔존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사이펀은 활성 물질이 변기에 과다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제2 챔버(3)에서 이미 용해된 활성 물질이 물 내림 동작 시작 시에 이용 가능하여 물 내림 동작 중에만 챔버(2)로부터 활성 물질이 이송되어야 할 필요가 없게 하기 때문에 유익하다.
전술한 바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한 활성 물질의 투입은 챔버(2, 3)의 구조 또는 형상과 거의 무관하다고 여겨질 수 있다. 만일, 추가된 활성 물질을 함유한 세정수의 후속 적하를 방지하여야 할 필요가 없다면, 이 경우 잔류하는 물의 수위는 챔버(3) 내로 연장하는 관(9)의 높이에 의해 확보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라 덮개(10a)를 구비한 외부관(10)이 챔버 내에 존재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덮개(12)는 필름형 힌지(21)를 사용하여 하우징(1)에 관절식으로 연결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로부터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장치도 또한 제1 챔버(2) 및 제2 챔버(3)로 구성된다. 2개의 챔버(2,3)는 거의 평행하다. 챔버(2)는 젤라틴 활성 물질을 수용하는 작용을 하며, 챔버(3)는 주로 세정수의 통로로서 작용한다. 바닥면(6)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예정된 높이로 상향 돌출하고, 특히 세정수를 바닥면(6)을 통해 바닥면(6)으로부터 배출하도록 바닥면(6)을 관통하여 하향 연장하는(9a) 하나 이상의 관형 장치(9)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세정수는 관(9)을 통해 챔버(3)로부터 배출되고, 세정수의 잔여량이 잔류하며, 그 수위는 제2 챔버(3) 내에 있는 관(9)의 상부 개구에 의해 정해진다.
특히, 상이한 챔버(2, 3)의 높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대조를 이룬다. 챔버(3)는 챔버(2)에 비해 더 아래로 연장하지만, 이 실시예에서 챔버(2, 3)는 공통의 상부 수평면을 공유하고 덮개(도시 생략)에 의해 덮힐 수 있다.
제1 챔버(2)와 제2 챔버(3) 사이에 있는 분할 벽(4)에는 제1 챔버(2)의 바닥면(2a)에 인접한 곳에 하나 이상의 개구 또는 슬롯(5) 등이 마련되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연결 개구(5)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연결 개구의 단면 또는 각 연결 개구(5)는 제1 챔버(2)에서 제2 챔버(3)로 겔을 일정 분량으로 공급하는 것을 보장한다.
챔버(2, 3)의 상부에는 서로 대응하는 입구(13, 14)가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넘침 개구(16, 17)가 챔버(2, 3)의 측면을 따라 이어져 있다. 도 1 및 도 2에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장치에서 겔 챔버(2)는 변기의 벽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제2 챔버(3)는 변기의 벽에 가능한 한 근접하여, 제2 챔버(3)가 물로 강력하게 세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변기 내에서 장치를 고정시키는 홀더는 도 3에 도시 되어 있지 않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젤라틴 물질이 공급되어 있는 챔버(3) 내의 잔류 세정수는 물 내림 동작 중에 관형 장치(9)를 통해 아래로 배출되고, 연결 개구(6)로부터 나온 활성 물질을 함유한 추가의 세정수가 상기 물 내림 동작 중에 제공되며 이미 활성 물질이 첨가되어 있는 세정수를 따라 변기로 배출된다. 개구(14)를 통해 공급되는 세정수는 물 내림 동작 후에 관(9)의 단부에 의해 정해지는 제2 챔버(3)에서의 수위까지 잔류하며, 활성 물질이 제2 챔버(3) 내에 남아 있는 세정수에 일정량으로 투입되도록 상기 물 내림 동작 후에 연결 개구(6)를 통해 활성 물질이 세정수에 투입된다.
젤라틴 물질을 수용하는 제1 챔버(2)에는 활성 물질을 부어 넣을 수 있는 충전용 개구(23)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용 개구(23)는 제1 챔버(2)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1 실시예에 관한 도 2에서 도시).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동심의 관형 섹션(9, 10)과 덮개(10a)로 이루어진 사이펀 대신에, 또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관형 섹션(9, 9a) 대신에, 통상의 거의 U자형인 사이펀 관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 사이펀 관은 챔버(3)의 내측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상응하게 예정된 높이 이상으로 바닥면(6)으로부터 상향 연장하고, 사이펀의 U자형 섹션은 바다멱(6)의 하부에 또는 거의 바닥면의 높이에 위치한다. 물 내림 동작 후, 사이펀 관이 물을 배출하는것을 멈추고 단지 공기 만을 배출할 때까지, 사이펀은 챔버(3) 내에 잔류하는 활성 물질이 첨가된 세정수를 사이펀의 하단부에 상응하는 수위에 이르기까지 방출한다. 따라서, 활성 물질이 첨가된 소량의 세정수가 사이펀 관의 U자형 섹션에 잔류하여, 물이 챔버(3)로부터 사이펀의 관 섹션으로 뒤이어 적하하여 변기 내로 지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사이펀은 사이펀 관의 상단부에 의해 정해지는 수위에 이르기까지 세정수를 챔버(3)로부터 아래로 방출하고, 뒤이어 배출하는 소량의 세정수가 존재할 때 사이펀은 또한 이 세정수를 사이펀의 관 섹션에 억류하여 변기로 지나가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챔버(3) 내로 연장하는 관형 섹션은 활성 물질이 첨가된 소정량의 세정수를 챔버(3) 내에 잔류시켜 그 다음 물 내림 동작시에 즉시 변기로 배출시키거나 변기를 세척한다.
모든 실시예의 공통의 특징은 세정수와 활성 물질의 혼합물이 물 내림 동작의 시작 시에 이용 가능하고, 이 혼합물은 단지 물 내림 동작이 끝나갈 때에만 변기로 배출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Claims (18)

  1. 변기 등의 세정수에 활성 물질을 분배하는 장치로서,
    변기 등의 모서리에 부착시키기 위한 홀더와,
    활성제를 수용하는 제1 챔버(2) 및 세정수의 통로인 제2 챔버(3)와,
    제2 챔버(3)의 예정된 수위를 유지시키는 장치(8, 9, 10)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챔버(2, 3)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 개구 또는 슬롯(5) 등이 위치하여 제2 챔버(3)에 활성 물질을 도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챔버(2) 및 제2 챔버(3)는 거의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 챔버(2) 및 제2 챔버(3)는 실질적으로 인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개구(5)는 제1 챔버(2)의 하단부 영역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챔버(3)는 제1 챔버(1)의 바닥면(6)을 지나 하향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챔버(2)와 제2 챔버(3) 중 하나 이상의 챔버는 세정수용 주입구(13, 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선행항들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제2 챔버(2, 3)는 거의 수직인 벽(4)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챔버(2, 3) 사이에 있는 연결 개구(5)의 단면은 활성 물질이 제1 챔버(2)에서 제2 챔버(3)로 투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선행항들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제1 챔버(2)와 제2 챔버(3) 중 하나 이상의 챔버에는 넘침 개구(16,17)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선행항들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제2 챔버(3)의 예정된 수위를 유지하는 장치(8, 9, 10)는 사이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선행항들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2개의 챔버(2, 3)는 공통 하우징(1)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선행항들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2개의 챔버(2, 3)는 덮개(12)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2)는 하우징(1)에 관절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선행항들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덮개(12)는 주입용 개구(13, 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선행항들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홀더(19)는 덮개(12) 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선행항들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젤라틴 물질은 활성 물질로서 제1 챔버(2) 내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선행항들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사이펀(8)은 2개 이상의 거의 동심인 관 섹션(9, 10)으로 구성되며, 그 중 외부관 섹션(10)에는 밀봉체(10a)가 마련되고 이 외부관 섹션(10)은 챔버(3)의 바닥면에 인접한 개구(10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관 섹션(10, 10a)은 챔버(3)의 바닥면(8)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17008783A 1999-01-15 1999-12-15 변기 등의 세정수에 활성 물질을 도입하는 장치 KR200100932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01457.4 1999-01-15
DE19901457A DE19901457B4 (de) 1999-01-15 1999-01-15 Vorrichtung zur Abgabe von Wirkstoffen in das Spülwasser eines Toilettenbeckens oder dergleichen
PCT/EP1999/009968 WO2000042260A1 (de) 1999-01-15 1999-12-15 Vorrichtung zur abgabe von wirkstoffen in das spülwasser eines toilettenbeckens oder dergleich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254A true KR20010093254A (ko) 2001-10-27

Family

ID=7894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783A KR20010093254A (ko) 1999-01-15 1999-12-15 변기 등의 세정수에 활성 물질을 도입하는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141492B1 (ko)
JP (1) JP2002535513A (ko)
KR (1) KR20010093254A (ko)
AT (1) ATE255193T1 (ko)
AU (1) AU1980100A (ko)
BR (1) BR9916727A (ko)
DE (2) DE19901457B4 (ko)
WO (1) WO2000042260A1 (ko)
ZA (1) ZA2001056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5045B2 (ja) 1999-12-14 2008-09-03 エス.シー. ジョンソン アンド サ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液吐出便器リム取付け式便器クリーナ
GB2389123B (en) * 2002-05-29 2005-08-17 Unilever Plc Rechargeable dispensing device
GB2400118A (en) * 2003-03-14 2004-10-06 Reckitt Benckiser Inc A device for dispensing an active substance into a toilet bowl
ES2251330T3 (es) * 2003-03-19 2012-05-22 Bolton Manitoba Spa Dispositivo higiénico de difusión progresiva para sanitarios
ITRE20030038A1 (it) * 2003-04-15 2004-10-16 Re Le Vi Spa "dispenser per sostanze attive liquide, per vaso di w. c. "
DE10318753B3 (de) * 2003-04-25 2004-05-06 Henkel Kgaa Vorrichtung zur Abgabe wenigstens einer wasserlöslichen Wirksubstanz an eine Reinigungsbürste
US8307467B2 (en) 2007-08-23 2012-11-13 The Clorox Company Toilet device with indicator
JP5226440B2 (ja) * 2008-09-18 2013-07-03 日本曹達株式会社 小便器用薬液供給装置
JP5445980B2 (ja) * 2009-05-21 2014-03-19 日本曹達株式会社 薬剤ケース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808754A (ko) * 1968-06-21 1969-12-23
US4168551A (en) * 1978-04-24 1979-09-25 Globol-Werk Gmbh Toilet flush water colorizer
GB2098253B (en) * 1981-05-08 1985-07-03 Oreal Disinfecting water closet pans
DE4008429C2 (de) * 1990-03-16 1995-04-27 Polypack R Reinders Produktion Dosiereinrichtung für ein durch Wasser aktivierbares Zusatzmittel
DE19549643B4 (de) * 1995-06-01 2007-02-22 Henkel Kgaa System aus WC-Körbchen und Wirkstoffzuberei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980100A (en) 2000-08-01
ZA200105658B (en) 2002-10-10
BR9916727A (pt) 2001-09-11
DE19901457A1 (de) 2000-08-03
EP1141492A1 (de) 2001-10-10
JP2002535513A (ja) 2002-10-22
WO2000042260A1 (de) 2000-07-20
DE59907896D1 (de) 2004-01-08
ATE255193T1 (de) 2003-12-15
DE19901457B4 (de) 2004-03-18
EP1141492B1 (de) 200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97453A (en) Passive dosing dispenser
KR20000071692A (ko) 변기의 테두리에 매달도록 의도된 세척 및 방향 유니트
IE54453B1 (en) Improved support of cleaning and/or coloring products for hooking under the inner margin of a toilet bowl
PL185877B1 (pl) Toaletowe urządzenie dozujące preparat z substancjToaletowe urządzenie dozujące preparat z substancją czynną w postaci pasty lub gęstej cieczyą czynną w postaci pasty lub gęstej cieczy
CN1409792A (zh) 改善液体分配的抽水马桶清洁器
JP4116432B2 (ja) 複数のトイレケア作用を有する装置
KR20010093254A (ko) 변기 등의 세정수에 활성 물질을 도입하는 장치
US4370763A (en) Automatic dosing dispenser
US4407779A (en) Dispersion control device
US58158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emical dispensing into toilet bowl
WO2004010833A2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and/or freshening a toilet bowl
IL167686A (en) Dispenses active liquid to toilet
AU597378B2 (en) Device for dispensing a non-fluid chemical product
JP5020309B2 (ja) 薬剤供給具
EP1391563B1 (en) Toilet rim dispenser for colored liquid
EP0092283A1 (en) Device for cleaning and/or colouring lavatory flush water
JPS625108Y2 (ko)
JPH0941461A (ja) 芳香洗浄剤の溶出容器
JPH0738279U (ja) 水洗トイレ用芳香洗浄剤供給装置
JP2557871Y2 (ja) 洋式水洗トイレ用薬剤容器
JPS6241097Y2 (ko)
JPH0421902Y2 (ko)
KR200168929Y1 (ko) 액상물질의 주입이 용이한 깔때기
JPS6212409Y2 (ko)
KR0128274Y1 (ko) 약품(향료,소독,살균제,)무동력 투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