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1961A - 부착물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부착물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1961A
KR20010091961A KR1020010012424A KR20010012424A KR20010091961A KR 20010091961 A KR20010091961 A KR 20010091961A KR 1020010012424 A KR1020010012424 A KR 1020010012424A KR 20010012424 A KR20010012424 A KR 20010012424A KR 20010091961 A KR20010091961 A KR 20010091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connecting rod
attachments
main bod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2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4281B1 (ko
Inventor
히데유키 우에노
Original Assignee
추후보정
가부시키가이샤 코테꾸스
마사미 가토
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보정, 가부시키가이샤 코테꾸스, 마사미 가토, 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추후보정
Publication of KR20010091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2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7/00Affixing tags
    • B65C7/003Affixing tags using paddle-shaped plastic pins
    • B65C7/005Portabl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7/00Affixing tags

Landscapes

  • Labeling Devic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Buckles (AREA)

Abstract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안전한 부착물 부착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결막대를 사용하여 잡적된 형태로 형성되는 부착물들의 다수인 부착물 뭉치 내부에서 제일 아래에 위치하는 부착물부터 순서대로 밀어내기 위하여, 각각의 부착물들이 상기한 연결막대로부터 밀려나간 후에 잔류하는 상기한 연결막대를 장치의 본체부에 구비된 다수의 위치로부터 선택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스위치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착물 부착장치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부착물 부착장치의 안전도가 상승할 뿐 아니라 작업능률도 개선된다.

Description

부착물 부착장치 {FASTENING ELEMENT ATTACHING DEVICE }
본 발명은 옷이나 양말 또는 이와 유사한 물품을 묶거나, 일상용품 내부에부착물을 삽입함으로써 일상용품에 상표, 가격표, 제품설명서, 사용방법과 관련된 꼬리표를 부착할 수 있는 부착물 부착장치와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팬시용품,슬리퍼 및 신발 등의 상품을 묶거나 상기의 상품들에 상표나 가격표 등을 효과적으로 부착하기 위하여, 다양한 부착물 부착장치가 종래에 사용되어져 왔다.
예를 들어, 종래 부착물 부착장치에 따르면, 일본국 무심사 실용신안출원(공개)번호 5- 51715 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체부의 전방 끝단에 부착되는 중공의 바늘과, 상기의 중공바늘로부터 드나드는 푸쉬로드와, 상기 중공바늘의 입구에 배열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과 접하는 상기의 중공바늘의 입구 일측에 위치하는 부착물 공급 래칫과, 상기 공급 래칫의 측면상 오른쪽 옆에 위치하는 정지대와, , 하나의 몸체로 형성하기 위하여 연결막대에 의해 임시적으로 길게 연결되고, 상기 장치 본체부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부착물로 구성되고, 상기에서 상기 가이드홈의 입구는 상기 중공바늘로부터 약간의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부분에 제공되고, 상기 중공바늘 입구와 상기 가이드홈의 입구 또는 출구간에 형성되는 상기의 가이드홈의 길이는 가능한 한 길게 되어 있다. 나아가, 부착물은 홈 내부로 삽입되고, 최하부에 위치하는 부착물이 부착물 뭉치로부터 레버 작동에 의해 항상 그리고 연속적으로 밀려 나가게 된다. 또한, 최소한 일지라도 부착물의 일부가 밀려나간 후에는 장치 내부에 남는 연결막대는 장치의 본체부의 전방 하부로 부터 방출되어 나오게 된다.
그러나, 부착물 뭉치의 길이가 더 길어 진다면,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부착물 부착장치는, 예를 들어, 옷이나 이와 유사한 일상용품에 부착물이 사용될 때, 부착물이 자체로부터 제거된 후에 남는 연결막대가 부착물을 밀어낸 다음 일상용품들에 흠집을 내거나, 또는 작업자의 손가락을 다치게 하는 것과 같은 문제를 초래하였다.
특히, 부착물을 밀어낸 후의 연결막대는 부착물이 꺼내지면서 형성하는 자국이 날카롭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대안으로, 연결막대 자체를 장치의 본체부의 전방부에서 상방이나 하방으로 더길게 늘이고 작동에 대한 방패물이 되도록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생산비용을 고려하면, 부착물 뭉치는 길이를 더 길게 만들 때 낮은 가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부착물 뭉치가 하나의 금형에 의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착물 부착장치의 하부나 후부로부터 연결막대의 끝단을 선택적으로 방출함으로써 각각의 사용법에 의하여 방출위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부착물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되었고, 하기 상세한 구성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 부착장치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 부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 부착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 부착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 부착장치에 사용되는 레버 부재를 도시한 후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 부착장치의 두번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 부착장치의 세번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 부착장치의 세번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 부착장치의 네번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 부착장치의 네번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 부착장치의 스위치 레버부를 도시한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 부착장치에 사용된 스위치 레버의 작동순서를 도시한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 부착장치에 사용된 스위치 레버의 작동순서를 도시한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 부착장치의 다섯번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 부착장치의 다섯번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 부착장치에 사용된 스위치 레버(31)를 도시한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 부착장치에 사용된 스위치 레버(31)를 도시한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 부착장치에 사용된 부착물 뭉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것과 다른 부착물 뭉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및
도 20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부착물 부착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연결막대를 사용하여 잡적된 형태로 형성되는 부착물들 다수의 구성인 부착물 뭉치로부터 개개의 부착물들을 순서대로 분리해내기 위하여, 상기 연결막대로 부터 개개의 부착물들로 분리되어진 후에 장치 내부에 잔류하는 상기의 연결막대를 장치 본체부에 구비된 다수의 위치로부터 선택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스위치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착물 부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 설명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종래 레버가 사용되던 모든 부분에서, 왔던 연결막대에 의하여 집적된 형태로 형성되는 부착물들 다수의 구성인 부착물 뭉치 중에서 최하부의 부착물부터 순서대로 밀어내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 부착장치는 상기의 연결막대로부터 개개의 부착물이 분리된 후에 장치 내부에 남게되는 상기 연결막대를 장치 본체부에 구비된 다수의 위치로부터 선택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스위치 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연결막대가 작업을 방해하는 경우에, 연결막대를 장치 본체부의 후부로부터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 부착장치의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 부착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 부착장치(10)는 작동레버(13)의 작동시킴으로써 연결막대(11)에 의해 집적된 형태로 형성된 부착물들 다수(12)의 구성인 부착물 뭉치(12')의 내부에서 최하부에 위치하는 부착물을 순서대로 밀어낸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부착물 부착장치(10)는 상기 연결막대(11)로부터부착물 뭉치(12')의 개개의 부착물이 밀려나온 후에 장치 내부에 잔류하는 상기 연결막대(11)를 장치 본체부에 구비된 두 위치로부터 선택적으로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의 두 위치는 실제 분리 작업 수행부 바로 아래부분(A) 및 장치 본체부의 후부(B)로 구체화된다. 달리 표현하자면, 부착물 뭉치(12')의 길이가 짧을 때, 연결막대(11)는 중공바늘과 인접하는 장치상의 부분으로부터 본 장치의 외부까지 방출되고, 그 길이가 길 때는, 상기의 연결막대(11)는 장치의 본체부의 내부를 통하여 장치의 뒷쪽 끝단까지 방출된다. 말하자면, 부착물들이 떨어져 나간 후에 장치내부에 남는 연결막대(11)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장치의 본체부에 가이드 부재(30)를 배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 부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부착물들이 분리되어 나간 후에 장치 내부에 남는 연결막대(11)는 구비된 작동레버(13)의 하부 끝단으로부터 방출되기 위하여 작동레버(13) 내부에서 가이드 되는 것이 가능하다.
중공바늘(15)은 장치의 본체부의 최전방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중공바늘에 삽입되기 위한 배출핀(16)은 작동레버(13)의 조작에 의하여 이동된다. 예를 들어, 배출핀(16)이 중공바늘(15)에 삽입될 때, 장치의 본체부의 홈(R)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최하부의 부착물은 밀려 나가기 위하여 연결막대(11)로부터 순서대로 분리된다. 첨언하면, 공급 레칫(17)이 부착물들을 하나씩 하나씩 순서대로 밀어내는 것이다. 또한, 부착물이 연결막대(11)로부터 분리되고 밀려나온 후에, 연결막대(11)는 장치의 본체부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다. 이 때, 스위치 기구(14)는 연결막대(11)의 방출 경로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1부터 도 4까지에서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스위치 기구(14)는 분리 가능형 스위치 부재(14-1)로 대체된다. 스위치 부재(14-1)는 장치의 본체부의 전방 아래측에 구비된 방출관(A)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 부재(14-1)가 사용되지 않을 때, 연결막대(11)는 첫 번째 통로(22)로부터 방출되고, 스위치 부재(14-1)가 사용될 때는 연결막대(11)가 두 번째 통로(18)를 통해 뒤로부터 방출되도록, 곡면부분(14a)이 연결막대(11)의 방출 경로를 변경한다.
곡면부분(14a)이 방출관(A) 속으로 삽입될 때, 곡면부분(14a)은 장치의 본체부에 구비된 두 번째 통로(18))로 내려가는 연결막대(11)의 전방측 끝단을 가이드한다.
두 번째 통로(18)는 장치의 본체부 아래측 끝단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의 뒷부분 끝에 방출관(B)을 가진다. 또한, 두 번째 통로(18)는 상기의 본체부에 지지판(19)을 가진다. 도 3은 장치의 본체부로부터 스위치 부재((14-1)가 제거되고, 그로 인해 연결막대(11)가 방출구(A)로부터 방출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부착물 뭉치(12')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 연결막대(11)가 방출구(A)로부터 방출될 때 이동으로 인한 마찰이 작다. 도 4는 스위치 부재(14-1)가 방출구(A)에 장착된 경우를 보여준다. 이 경우, 연결막대(11)는 장치의 본체부 뒷부분에 구비된 방출구(B)로부터 방출된다.
연결막대(11)가 장치의 본체부 뒷부분에 구비된 방출구(B)로부터 방출되는 경우에, 작업이 방해되지 않으며 작업성이 개선된다. 또한, 부착물이 부착되는 물품들에도 흠집이 생기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부착물들을 밀어낼 때, 부착물들을 압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작동레버(13)를 보여주는 후면도이다. 여기서, 작동레버(13)의 위쪽 근처에서, 통로관(20)은 연결막대(11)가 통로관(20) 자체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 통로관(20)으로 인하여, 작동레버(13)는 심지어 연결막대(11)가 두 번째 통로(18)를 통과할 경우에도 방해 받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 부착장치에 상기한 스위치 부재(14-1)가 구비되어 있는 두 번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부착물이 밀려 나간 후에 튜브 부재(29)에 의하여 연결막대(11)가 가이드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 부재(29)가 연결막대(11)를 두 번째 통로(18)쪽으로 가이드하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막대(11)가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 부착장치의 세 번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 기구는 스위치 레버(도시 안됨)에 의하여 회전하는 스위치 부재(14-2)로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 부재(14-2)는 축(21) 둘레를 회전하게 되며, 반달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부재(14-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두 번째 통로(18)는 폐쇄되고 연결막대(11)가 방출구(A)로부터 방출되기 위하여 첫 번째 통로(22)로 가이드된다. 또한, 스위치 부재(14-2)가 도 8에서 처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첫 번째 통로(22)가 폐쇄되고 연결막대(11)는 두 번째 통로(18)로 가이드 된다. 따라서, 연결막대(11)는 장치의 본체부의 뒷부분에 구비된 방출구(B)로부터 방출된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 부착장치의 네번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치 기구는 회전형 스위치 부재(14-3)로 형성되며, 도 1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스위치 레버(23)에 의하여 연결막대(11)의 경로를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스위치 부재(14-3)의 일 부분은 실제로 원의 형태를 가지며 두개의 통로(24,2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레버(23)에 의하여 스위치 부재(14-3)를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스위치 부재(14-3)가 도면상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연결막대(11)가 일측 통로(24)로 가이드된 경우를 보여준다. 연결막대(11)가 상기 통로(24)로 가이드되었을 때, 연결막대(11)는 장치의 본체부의 전방부 아래부분 끝단에 구비된 방출관(A)로부터 방출된다. 또한, 도 10은 스위치 부재(14-3)가 도면상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연결막대(11)가 디른 일측 통로(25)로 가이드된 경우를 보여준다. 연결막대(11)가 상기 통로(25)로 가이드되면, 연결막대(11)는 장치의 본체부의 두 번째 통로(18)를 통하여 장치의 본체부 뒷부분에 구비된 방출관(B)로부터 방출된다. 상기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 레버(23)에 의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방출 위치를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도 11에서 도 13까지는 스위치 레버(23)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부착물 부착장치의 측면에서 본 스위치 레버(23)의 도면이다. 스위치 부재(14-3)는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에서 스위치 레버(23)의 회전에 의하여 전환될 수 있다. 도 12는 스위치 레버(23)가 화살표(X)가 지시하는 방향으로 밀리고, 스위치 레버(23)가 회전하지 않고 스위치 부재가 작동중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경우를 보여준다. 또한, 도 13은 스위치 레버(23)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위치 레버(23)가 화살표(Y)가 지시하는 방향으로 밀려나오는 일 예를 보여준다. 이 상태에서, 최초로 스위치 부재의 전환이 가능해진다.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물 부착장치의 다섯번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치 부재는 미끄럼 스위치 부재(14-4) 형성되고 장치의 본체부에 구비된 미끄러짐이 가능한 홈(28) 내부에 삽입된다. 이 스위치 부재(14-4)의 작동은 연결막대(11)의 경로를 변화시킴으로써 가능해진다. 스위치 부재(14-4)는 평판모양으로 형성되고 두 개의 통로(26,27)가 구비된다. 또한, 도 16과 도17에 도시되는 스위치 레버(31)는 스위치 부재(14-4)가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4는 스위치 부재가 도면상에서 오른쪽으로 밀려있고 연결막대(11)가 일측 통로(26)에 가이드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는 도 16과 일치하는 것이다. 연결막대(11)가 상기 통로(26)로 가이드될 때, 연결막대(11)는 장치의 본체부의 전방부 아래측 끝단의 방출관(A)로부터 방출된다. 또한, 도 15는 스위치 부재(14-4)가 도면상에서 왼쪽으로 밀려있고 연결막대(11)가 다른 하나의 통로(27)로에 가이드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는 도 17과 일치한다. 연결막대(11)가 통로에 가이드될 때, 연결막대(11)는 장치의 본체부의 두 번째 통로(18)를 통하여 방출관(B)으로부터 방출된다. 실시 예에 따르면, 스위치 레버(31)에 의한 원터치 조작으로 방출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위치 기구에 의한 원터치 조작으로 방출위치가 전환된 예가 설명된다. 그러나, 부착물이 연결막대(11)로부터 분리된 후에, 장치의 본체부 내부에 잔류하게 되는 연결막대(11)는 장치의 본체부와 스위치 기구 상의 방출관(A)를 통하지 않고 단지 장치의 본체부의 두 번째 통로(18)를 통하여 장치 본체부 뒷부분에 구비된 방출구(B)로 만 방출될 것이다. 또한, 연결막대(11)는 단지 장치의 본체부의 두 번째 통로(18)를 통하여 작동레버(13)를 조작함으로써 작동레버 상의 방출관(C)의 하부로부터 방출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설계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와 도 2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두개의 연결막대에 의하여 다수의 부착물들이 지지되는 형태의 분리형 부착물 뭉치가 사용되는 부착물 부착장치에 역시 적용될 수 있다.
이 도면들에서, 부착물 뭉치(40)가 도시되고 이는 휠 수 있는 필라멘트부(42)를 개별적으로 구비하는 다수의 부착물들을 포함하고, 적당한 결합요소를 구비하고 필라멘트부(42)의 일단에 제공되는 삽입 해드(43)와 상기 삽입 해드부(43)의 비가역적 통과를 위한 삽입구(44)를 구비하고 상기 필라멘트부(42)의 다른 일단에 제공되는 소켓부(45)는, 상기의 필라멘트부(42)가 별개로 제공된 두개의 연결막대(46,46')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로된 삽입 헤드부(43)에서 각각의 부분 또는 그와 근접한 부분이나, 소켓부(45) 또는 그와 근접한 부분과 서로 인접하고 평행하게 배열된다.
도 20은 상기한 바와 같은 부착물 부착장치로부터 분리형 부착물부착장치(10)를 도시하며, 그리고 상기의 부착물 부착장치는 각각의 연결막대(46,46')를 따로따로 삽입하게 되는 두개의 수직 홈(50,51)을 내부에 형성한다.
예를 들어, 부착물 봉인수단(41)의 소켓부(45)에 연결된 하나의 연결막대(46')는 일측의 수직 홈(50)에 삽입되고, 삽입 헤드부(43)에 연결된 다른 하나의 연결막대(46)는 나머지 일측의 수직 홈(51)에 삽입된다.
발사핀(도시 안됨)은 일측 수직 홈(51)의 측방향에 배열되며, 상기의 핀은 부착물 부착장치(10)의 레버(52)에 의하여 구동되고, 삽입 헤드부(43)는 원통형의 가이드 핀(15)을 따라 전방을 향하여 밀려나가고, 연결막대(46)로부터 분리된다.
연결막대(46')가 수직 홈(50) 내부로 삽입됨에 의하여 지지되는 소켓(45)은연결막대(46')로부터 배출밸트(도시 안됨)에 의하여 분리되며, 곡면으로 구비된 소켓부 가이드(53)를 따라 하나씩 전방을 향하여 밀려나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긴 부착물 뭉치(핀)가 사용될 경우에도 장치의 본체부의 뒷부분 끝단으로부터 연결막대를 방출할 수 있고, 따라서, 긴 부착물 뭉치가 사용될 때, 작업성을 개선함이 가능하다. 말하자면, 연결막대로 인해 상품을 회손시키거나 작업자의 손가락과 손을 다칠 가능성이 없는 안전하고 작업성이 우수한 부착물 부착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짧은 부착불 뭉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결막대는 장치의 본체부의 전방부로부터 방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준하여 다양한 형태로 설계를 변형 또는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 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경이나 변형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 한다 할 것이다.

Claims (12)

  1. 연결막대에 의하여 서로 평행하고 확고하게 배열된 다수의 부착물로 구성된 부착물 뭉치 중으로부터 작동 레버를 사용하여 각각의 부착물들을 순서대로 연결막대와 분리하기 위한 부착물 부착장치에 있어서,
    최소한 수개의 부착물들이 상기 연결막대로부터 분리된 후에 상기의 장치 내부에 남게 되는 연결막대를 장치의 본체부에 구비된 다수의 위치로부터 선택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스위치 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부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기구는 장치의 본체부의 각 부분에서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하는 두 부분으로부터 최소한 연결막대의 일부분을 선택적으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부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기구는 한 부분은 장치 본체부의 분리작업 수행부의 하부 아래에 제공되고, 다른 한 부분은 장치의 본체부의 후부에 제공되는, 별개의 두 위치중 일 부분으로부터 최소한 상기 연결막대의 일부분을 선택적으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부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스위치 기구는 분리 가능형 스위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부착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기구는 스위치 레버에 의하여 회전하는 스위치 부재로 연결막대의 경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부착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기구는 다수의 전환 가능한 가이드 통로들이 구비되는 회전형 스위치 부재를 사용하여 연결막대의 경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부착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기구는 전환 가능한 가이드 통로들 다수가 구비되는 미끄럼 스위치 부재를 사용하여 연결막대의 경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부착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부착물 부착장치는 부착물이 분리된 후에 상기 장치 내부에 잔류하는 연결막대를 튜브 부재를 사용하여 장치의 본체부 내에서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부착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부착물 부착장치는 부착물이 분리된 후에 상기 장치 내부에 잔류하는 연결막대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장치의 본체부에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부착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 부착장치는 부착물을 분리하기 위한 작동 레버부를 관통하는 가이드 통로를 통하여 부착물이 분리된 후에 상기 연결막대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부착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 부착장치는, 최소한 수개의 부착물들이 분리된 후에, 상기 장치의 내부에 잔류하는 상기 연결막대를 작동 레버의 하부로부터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부착장치.
  12. 연결막대에 의하여 집적된 형태로 형성되는 부착물들의 다수로 된 부착물 뭉치 중으로부터 작동 레버를 사용하여 개개의 부착물들을 연결막대와 별개로 순서대로 분리하기 위한 부착물 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부착물 부착장치는 장치의 본체부 내부를 관통하는 장치의 본체부 후부 또는 장치의 본체 내부와 작동레버의 내부를 관통하는 상기한 장치의 작동 레버의 하부 끝단으로 부착물들이 분리된 후에 상기 장치의 내부에 잔류하는 연결막대를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물 부착장치.
KR10-2001-0012424A 2000-03-10 2001-03-10 부착물 부착장치 KR1003942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66973A JP2001253419A (ja) 2000-03-10 2000-03-10 係止片取付装置
JP2000-66973 2000-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961A true KR20010091961A (ko) 2001-10-23
KR100394281B1 KR100394281B1 (ko) 2003-08-09

Family

ID=18586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424A KR100394281B1 (ko) 2000-03-10 2001-03-10 부착물 부착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55571B2 (ko)
EP (1) EP1145964B1 (ko)
JP (1) JP2001253419A (ko)
KR (1) KR100394281B1 (ko)
DE (1) DE60100349T2 (ko)
ES (1) ES2202259T3 (ko)
TW (1) TW4777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5132A (ja) * 2001-03-01 2002-09-11 M I T Internatl:Kk 係止片取付装置
DE60229556D1 (de) * 2001-11-27 2008-12-04 Avery Dennison Corp Werkzeug zur ausgabe von kunststoffbefestigungselementen
JP3112848U (ja) * 2005-05-26 2005-08-25 株式会社三洋製作所 係止部材取付装置
JP4879607B2 (ja) * 2006-02-23 2012-02-22 株式会社トスカ 係止ピン材の装着装置
US20080302851A1 (en) * 2007-06-08 2008-12-11 Kotec's Co., Ltd. Fastening element attaching device
JP5191707B2 (ja) * 2007-08-10 2013-05-08 株式会社トスカ 係止ピン材の装着装置
US8296917B2 (en) 2009-05-18 2012-10-30 ADCO Industries—Technologies, L.P. Tag tool protective device, system, and method
US8015689B2 (en) * 2009-05-18 2011-09-13 ADCO Industries—Technologies, L.P. Tag tool protective device,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2595A (en) * 1959-05-14 1961-05-02 United Shoe Machinery Corp Fastener inserting tools
US3717294A (en) * 1970-12-14 1973-02-20 Surgical Corp Cartridge and powering instrument for stapling skin and fascia
US3971421A (en) * 1974-02-26 1976-07-27 Triad Fastener Corporation Air-powered, self-feeding screw driving tool
US3910324A (en) * 1974-04-29 1975-10-07 Duo Fast Corp Rotary entry fastener driving tool
US3901428A (en) * 1974-05-08 1975-08-26 Monarch Marking Systems Inc Tag attacher
US4367837A (en) * 1980-04-25 1983-01-11 Manino Anthony P Tape magazine feed apparatus for head driven fasteners
US4416407A (en) * 1981-11-02 1983-11-22 Dennison Manufacturing Company Dispensing of fasteners with a pivoted and disengageable feed mechanism
US4683635A (en) * 1984-09-25 1987-08-04 Monarch Marking Systems, Inc. Tag dispensing and attaching method and apparatus
US4690317A (en) 1985-09-06 1987-09-01 Monarch Marking Systems, Inc. Hand-held tag attacher
US5090490A (en) * 1990-09-07 1992-02-25 Charles Block Tagging system
US5772073A (en) * 1996-04-10 1998-06-30 Avery Dennison Corporation Apparatus for dispensing individual plastic fasteners from fastener stock
US5683025A (en) * 1996-05-03 1997-11-04 Avery Dennison Corporation Apparatus for dispensing individual plastic fasteners from fastener stock
JP3477004B2 (ja) * 1996-08-23 2003-12-10 株式会社トスカ 係止片取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45964A3 (en) 2002-01-02
EP1145964A2 (en) 2001-10-17
JP2001253419A (ja) 2001-09-18
KR100394281B1 (ko) 2003-08-09
DE60100349D1 (de) 2003-07-17
US20010020634A1 (en) 2001-09-13
ES2202259T3 (es) 2004-04-01
EP1145964B1 (en) 2003-06-11
DE60100349T2 (de) 2003-12-04
US6655571B2 (en) 2003-12-02
TW477770B (en) 200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4281B1 (ko) 부착물 부착장치
US5799375A (en) Fastener assembly
USRE34891E (en) Assembly of attachments and device for attaching same
JP3477004B2 (ja) 係止片取付装置
US2733676A (en) Device for automatically exchanging
US5738265A (en) Fastener gun and fastener assembly for tag hanging
US6564984B1 (en) Loop pin connecting device
USRE34857E (en) Assembly of attachments and device for attaching same
CN100532209C (zh) 用于分配塑料扣件的工具
US4819855A (en) Tag-pin attaching apparatus
US20080302851A1 (en) Fastening element attaching device
KR100419126B1 (ko) 봉함기구
EP1366994A1 (en) Locking element attaching device
KR950000370B1 (ko) 부착물 조립체와 부착물을 부착하기 위한 장치
EP1027193A1 (en) Attacher of loop pin for hooking tag
KR20040004160A (ko) 루프핀 결합장치
US2454689A (en) Knot tying mechanism
US6837413B1 (en) Plastic fastener, fastener clip, fastener dispensing tool and method of fastening objects
KR850002747Y1 (ko) 표찰 부착기
KR860000195B1 (ko) 파스너(fastener)고착장치
SE526758C2 (sv) Anordning för utbyte av undertrådsspolar på sy- och broderimaskiner
KR820000212Y1 (ko) 체결구 분배장치
KR20130139515A (ko) 택건의 실고리의 신장장치
JP2004083133A (ja) ループピン結合装置
JPS6028736B2 (ja) 係止片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