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1391A - 시분할 이중방식 주파수 도약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기지국과 이동국간의 동기 유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시분할 이중방식 주파수 도약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기지국과 이동국간의 동기 유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1391A
KR20010091391A KR1020000013041A KR20000013041A KR20010091391A KR 20010091391 A KR20010091391 A KR 20010091391A KR 1020000013041 A KR1020000013041 A KR 1020000013041A KR 20000013041 A KR20000013041 A KR 20000013041A KR 20010091391 A KR20010091391 A KR 20010091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synchronization
window size
degree
mobil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3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7983B1 (ko
Inventor
전제현
Original Assignee
박태진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진,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태진
Priority to KR1020000013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7983B1/ko
Publication of KR20010091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9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04B1/7156Arrangements for sequenc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분할 이중방식 주파수 도약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 패킷을 이동국에서 수신할 때 기지국과 이동국의 동기를 유지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신호 패킷을 수신하고 다음 신호 패킷의 예상 도착점을 기준으로 하여 앞뒤 소정의 시간으로 윈도우를 설정하여 다음 신호 패킷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신호 패킷의 프리앰블의 패턴과 상기 이동국이 가지고 있는 패턴과의 상관값에 따라 상기 검출된 신호 패킷의 정상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의 동기 정도를 나타내는 동기확립정도를 조절하는 단계; 및 소정의 주기마다 상기 동기확립정도와 상기 이동국에서의 수신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신강도에 따라 상기 예상 도착점부터 상기 소정의 시간까지의 범위인 윈도우사이즈를 조절하고, 상기 정상여부결정의 기준이 되는 프리앰블임계값을 조절하여 동기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시분할 이중방식 주파수 도약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 패킷을 이동국에서 수신할 때 주기준클락의 유실에 의해 시스템 클럭 유실이 발생하는 경우 이동국에서 동기를 놓치게 되는 상황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분할 이중방식 주파수 도약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동기 유지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maintaining Packet Synchronization in Frequency Hopping Multiple Access System operating with Time Division Duplexing}
본 발명은 시분할 방식으로 동작하는 주파수 도약 다중 접속(Frequency Hop ping Multiple Access, 이하 FHMA이라 함)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동기유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기준클락의 유실에 의해 시스템 클럭 유실이 발생하는 경우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동기유지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분할 이중방식 주파수 도약 다중 접속 시스템 통신망에서의 기본 구성장비는 유선망과 무선망의 게이트웨이(Gateway)역할을 담당하는 기지국과 기지국의 영역안 또는 밖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이동국이 있다. 셀 설정계획(Cell Plan)으로 배치된 기지국은 전체 통신망을 근간으로 교환기에 접속되고 기지국이 전체 주기준클럭(Master Standard Clock)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기 위해 클럭 방식(Clock Mode)을 네트워크 조정 방식(Network Slave Mode)으로 구동한다.
이동국이 타 가입자와의 호출(Call)을 성립시키기 위해서는 주파수 도약(Fr equency Hopping) 상황에서 기지국과 이동국간에 약속된 도약 패턴 시퀀스(Hop Pa ttern Sequence) 주파수로 서로간에 동기(Synchronization)되어 동작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기지국에서는 시스템 정보 및 동기 정보와 관련된 제어 패킷(Control P acket)을 계속 송출하고 이동국에서는 제어(Control)정보를 통하여 기지국의 동기를 계속 유지하며 시스템 정보를 수신 받는다.
본 발명에 관한 FHMA 시스템의 송수신은 일정시간 간격으로 사용하는 주파수를 변경하면서 이루어지는데 이는 시스템상에서 시분할 이중방식(Time Division Du plexing; 이하 TDD이라 함)으로 수행된다. 이는 이동국에서 송신시간, 수신시간 각각 5미리 초(m sec)씩 할당하여 교차하면서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동국입장에서는 정상적인 수신을 위해서 기지국과 주파수 매칭(Frequency Matching)이 이루어져야 하고, TDD 타이밍이 정확히 맞아야 한다.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통신중에 이동국이 이동하는 경우 RF환경이 나빠지는 지형 또는 상황에 위치하여 페이딩(Fading) 또는 굴절(Refraction)이 발생하는 경우 정상적인 통신이 어려워지게 된다. 이 외에 전체 기지국을 구동하는 주기준클럭의 유실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는 곧 기지국에서 송출되는 패킷 정보의 유실을 의미하게 된다(이하 시스템 클럭 유실이라 한다.). 이러한 상황인 경우 이동국에서는 동기 시점(Sync. Point)에서 동기 신호(Sync. Signal)가 검출되지 않기 때문에 일방적으로 동기를 놓치게 된다. 이 경우 패킷 시작점에 대한 추적이 정확히 이루어져야만 동기가 맞고 또한 이러한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야만 동기유지가 가능하다. 이러한 상황에 대한 현재까지의 대책은 주기준클럭을 정확한 것으로 교체하거나 교정을 통해 클럭을 정확하게 하는 방법밖에 없었다.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효율적인 통신과 주기준클럭의 교체나 교정에 관한 비용적인 면을 고려할 때 이러한 상황에 대한 보완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시분할 이중방식 주파수 도약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 패킷을 이동국에서 수신할 때 기지국과 이동국의 동기를 유지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시분할 이중방식 동작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사이즈를 이용하여 다음 신호 패킷 검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확립정도를 조절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 유지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확립정도를 조절하는 흐름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사이즈와 프리앰블 임계값 조절의 예를 순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유지장치의 구성을 블럭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동기 유지 방법은, 시분할 이중방식 주파수 도약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 패킷을 이동국에서 수신할 때 기지국과 이동국의 동기를 유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신호 패킷을 수신하고 다음 신호 패킷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신호 패킷의 정상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결과에 따라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의 동기 정도를 나타내는 동기확립정도를 조절하는 단계; 및 (d) 소정의 주기마다 상기 동기확립정도와 상기 이동국에서의 수신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신강도에 따라 동기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동기를 유지하는 동기유지장치는, 시분할 이중방식 주파수 도약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 패킷을 수신할 때 기지국과 이동국의 동기를 유지하는 동기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 패킷을 수신하고 다음 신호 패킷을 검출하는 동기수신도착점관리부; 상기 검출된 신호 패킷의 정상여부를 결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의 동기 정도를 나타내는 동기확립정도를 조절하는 프리앰블패턴상관비교부; 및 소정의 주기마다 상기 동기확립정도와 상기 이동국에서의 수신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신강도에 따라 동기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시분할 이중방식 동작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시분할 이중방식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TDD 동작이 시작되면 이동국에서는 TDD 타이밍상에서 송신패킷(100,120,140)과 수신패킷(110,130)에 대한 시간이 각각 5ms 간격으로 교차하면서 할당되어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TDD 타이밍(150)에 따라 이동국에서는 현재 패킷 수신 시점(160)후 다음 패킷 수신 시점(170)을 예상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사이즈를 이용하여 다음 신호 패킷(200) 검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는 도 1의 다음 패킷 수신 예상 시점(170)(도 2에서는 230에 해당)부근을 확대하여 본 것으로 상기 예상 시점의 앞뒤로 전체 윈도우 사이즈의 반 크기(220)만큼을 각각 윈도우로 설정(210)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윈도우 설정된 시간 영역내에 수신 패킷(200)이 검출되면 패킷의 수신이 가능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확립정도를 조절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신호 패킷을 수신한 후 다음 신호 패킷을 검출하고(310) 검출된 신호 패킷의 정상여부를 결정(320)한 다음, 그 결정 결과에 따라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의 동기 정도를 나타내는 동기확립정도를 조절한다(33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확립정도를 조절하는 흐름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는 도 3의 구체적인 동작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510은 310에 해당하고 520은 320에 해당되며 530은 330에 해당된다.
이동국에서 처음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이동국에서는 패킷을 수신한 적이 없기 때문에 패킷의 시작점을 알 수 없다. 따라서 처음에는 이동국이 TDD 타이밍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신만을 대기(511)하다가 기지국으로부터의 패킷이 수신되면(512) 그 때부터 TDD 동작이 시작되고 다음 패킷의 도착점을 예상한다(513).
도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수신패킷(200)이 설정된 윈도우 시간영역(210)내에 검출되면(514) 수신된 패킷의 프리앰블과 프리앰블패턴상관비교부가 갖고 있는 패턴과 상관계산한 값을 프리앰블임계값(Pre-Amble Detect Threshold Value)과 비교하여 검출된 패킷이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정상적인 패킷인지를 판단한다(521). 프리앰블임계값이 상기 상관값과 비교하여 크거나 같은 경우에는 동기확립정도를 증가(531)하고 작은 경우에는 동기확립정도를 감소한다(53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 유지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는 소정의 주기마다 수행된다. 이동국에서의 수신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신강도와 상기 동기확립정도를 저장하고(410) 그 값들에 따라 동기 유지한다(42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사이즈와 프리앰블 임계값 조절의 예를 순서도로 도시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은 도 4의 구체적인 동작의 예를 도시한 것으로 610은 410에 해당하고 620은 420에 해당한다.
이 동작은 일정한 주기로 수행된다.
현재 동기확립정도를 변수 NFSI에, 현재 수신강도를 변수 NRSSI에, 현재까지의 평균 수신강도를 변수 ARSSI에 저장한다(610). 변수 OFSI에는 NFSI값을 그대로 할당하여 저장한다.
다음으로 현재 동기상태(621)이고 윈도우 사이즈와 프리앰블임계값이 초기 셋업 이후이며(622) NFSI가 최대값으로부터 최대값에서 Ox0F값을 뺀값사이에 해당하면(623), 윈도우 사이즈와 프리앰블임계값을 초기값으로 설정하고(624) NFSI의 값을 이전 동기확립정도를 나타내는 OFSI에 저장한다(625).
상기 최대값은 동기가 완전히 이루어진 상태의 동기확립정도값을 의미하고 최대값으로부터 최대값에서 Ox0F값을 뺀 영역은 동기가 정상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영역으로서 이는 실험에 의해 결정되어진 것이다.
도 6의 과정은 동기가 이루어진 후에 동기 유지를 수행하기 때문에 621에서 동기 상태가 아니면 재동기 절차를 수행중이므로 FSI 또는 RSSI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지 않고 과정이 끝난다. 또한 현재 동기상태(621)이지만 윈도우 사이즈와 프리앰블임계값이 초기 셋업 이후가 아니면(622) NFSI를 OFSI에 저장한다.
NFSI값이 최대값으로부터 최대값에서 Ox0F값을 뺀 영역에 해당하지 않으면 NFSI와 OFSI가 각각 최대값으로부터 최대값을 2로 나눈 값사이에 해당하는지 여부( 626)를 판단한다. OFSI도 동기확립정도의 값이기 때문에 NFSI와 같은 최대값을 갖는다. 판단의 결과 각각 최대값으로부터 최대값을 2로 나눈 값사이에 해당하고 NFSI와 OFSI의 차이(627)가 8보다 크거나 같고(628) 현재까지의 평균 수신강도와 현재의 수신강도와의 차이(627)가 6보다 작으며(628) 동기 상황이 호전되는 경우 원상복귀하는데 관련한 윈도우 사이즈의 최대값보다 윈도우 사이가 작으면(628) 이는 시스템 클럭의 유실상태로 판단되어 윈도우 사이즈를 증가하고 프리앰블임계값은 감소한다(629). 그 후 NFSI를 OFSI에 저장한다(630).
상기의 비교의 기준이 되는 값, 즉 최대값에서 2를 나눈값(626), 8(628), 6(628)은 실험에 의해 결정된 값이다.
상기 626에서 판단의 결과 NFSI와 OFSI가 각각 최대값으로부터 최대값을 2로 나눈 값사이에 해당하지 않거나,
NFSI와 OFSI의 차이(627)가 8보다 작거나(628) 현재까지의 평균 수신강도와 현재의 수신강도와의 차이(627)가 6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이거나(628), 윈도우 사이즈가 상기의 최대값보다 작은 경우(628)에는 이는 적어도 시스템 클럭의 유실상태는 아니라고 판단하여 윈도우 사이즈나 프리앰블 임계값을 조정하지 않고 NFSI을 OFSI에 저장한다.
상기의 윈도우 사이즈의 최대값을 실질적으로 4(±4,즉 전체 Size는 8임)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험해본 결과 4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상황이 좋아지는 경우 윈도우 사이즈를 원상복귀하는데 있어 재차 동기를 놓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살펴본 바와 같이 도 5와 도 6은 각각 도 3과 도 4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서 프리앰블임계값과 상관값을 비교하여 동기확립정도를 조절하는 과정이 장비가 운용되는 상황에서 계속된다. 도 6에서는 수신강도와 도 5에서 조절되는 동기확립정도에 따라 윈도우 사이즈와 프리앰블임계값을 조절하는데, 즉 상황이 나빠지게 되면 윈도우 사이즈를 확대하고 상황이 좋아지면 다시 원상복귀하도록 조절하고, 윈도우 사이즈를 넓히게 되면 동기 포인트가 분산되고 이에따라 오류경보(False Alarm; 잘못된 동기 포인트를 가리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프리앰블임계값을 줄이도록 조절함으로써 이를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얼마의 주기로 현재 동기상태를 점검(Monitering)할 것인지를 결정하여야 한다. 즉 수신강도와 도 5의 동기확립정도를 도 6에서 얼마의 주기로 불러내어 도 6의 과정을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하여야 한다. 좋은 예로는 50ms를 주기로 점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점검은 어느 시점부터 수행할지를 결정하여야 하는데 이는 기지국의 동기를 완전히 잡고 가입까지 완료된 휴지(IDLE)상태에서만 수행하도록 한다.
도 4와 도 6에서 동기확립정도뿐만 아니라 수신강도 또한 고려하는 것은 기지국의 클럭 유실에 의해 동기를 놓치게 되는 현상에 있어 수신강도는 변화가 적은데 동기확립정도만이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동기확립정도의 변화폭은 물론 감안하지만, RF환경등에 의한, 즉 시스템 클럭의 유실이외의 원인에 의한 문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수신강도의 변화폭도 같이 고려되어야 하는 이유에서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유지장치의 구성을 블럭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는 제 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 동기 수신 도착점 관리부(701), 패킷의 프리앰블패턴상관(Pre-Amble Pattern Correlation)비교부(7 02) 및 제어부(704)로 이루어진다.
신호패킷을 수신하고 다음 신호 패킷을 검출하는 동기수신도착점관리부(710)로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 신호가 입력되면(700) 동기수신도착점관리부는 다음 패킷의 예상 도착점을 기준으로 하여 앞뒤 소정의 시간으로 윈도우를 설정하여 다음신호 패킷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검출된 신호 패킷의 정상여부를 결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상기 기지국과 이동국의 동기 정도를 나타내는 동기확립정도를 조절하는 프리앰블패턴상관비교부(702)는 패킷이 검출되면 수신된 패킷의 프리앰블과 프리앰블패턴상관비교부가 갖고 있는 패턴과 상관계산한 값을 프리앰블임계값(Pre-Amble Detect Threshold Value)과 비교하여 검출된 패킷이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정상적인 패킷인지를 판단하고 정상적인 패턴이 수신된 경우에는 동기확립정도를 소정의 값으로 증가하고 정상적인 패턴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동기확립정도를 소정의 값으로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상적인 패턴이 수신된 경우 수신된 신호(707)를 디지탈 가입자 접속반(703)에 보낸다.
소정의 주기마다 동기확립정도와 이동국에서의 수신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신강도에 따라 동기 유지하는 제어부(704)는 예상 도착점부터 소정의 시간까지의 범위인 윈도우 사이즈를 조절하고(706) 정상여부결정의 기준이 되는 프리앰블임계값을 조절(705)하여 동기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윈도우 사이즈와 프리앰블임계값을 조절함에 있어 기지국과 이동국이 동기된 상태이고 윈도우사이즈와 프리앰블임계값이 초기 설정 후인 경우 동기확립정도의 현재값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면 윈도우사이즈와 프리앰블임계값을 초기설정된 값으로 바꾸고, 이전의 동기확립정도값을 나타내는 이전동기확립정도값과 동기확립정도의 현재값이 각각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고 동기확립정도의 현재값과 이전값의 차이가 소정의 값 이상이며 수신강도의 평균값과 현재값의 차가 소정의 값 미만에 해당하면서 윈도우사이즈가 최대값보다 작으면 윈도우사이즈를 증가하고 프리앰블임계값을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윈도우 사이즈의 최대값을 실질적으로 4(±4, 즉 전체Size는 8임)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험해본 결과 4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상황이 좋아지는 경우 윈도우 사이즈를 원상복귀하는데 있어 재차 동기를 놓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분할 이중방식 주파수 도약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 패킷을 이동국에서 수신할 때, 신호 패킷을 수신하고 TDD 타이밍에 의해 다음 신호 패킷을 검출하는데 예상 도착점의 앞뒤로 설정한 윈도우사이즈; 및 검출된 신호 패킷의 프리앰블의 패턴과 이동국이 가지고 있는 패턴의 상관계산값과 비교하여 검출된 신호의 정상여부를 결정하는 프리앰블임계값;을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동기 정도를 나타내는 동기확립정도와 이동국에서의 수신 강도를 나타내는 수신강도의 값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주기준클락의 유실에 의해 시스템 클럭 유실이 발생으로 인하여 이동국에서 동기를 놓치게 되는 상황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16)

  1. 시분할 이중방식 주파수 도약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 패킷을 이동국에서 수신할 때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동기를 유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신호 패킷을 수신하고 다음 신호 패킷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된 신호 패킷의 정상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결과에 따라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간의 동기 정도를 나타내는 동기확립정도를 조절하는 단계;및
    (d) 소정의 주기마다 상기 동기확립정도와 상기 이동국에서의 수신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신강도에 따라 동기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유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다음 신호 패킷의 예상 도착점을 기준으로 하여 앞뒤 소정의 시간으로 윈도우를 설정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유지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검출된 신호 패킷의 프리앰블의 패턴과 상기 이동국이 가지고 있는 패턴의 상관값에 따라 상기 검출된 신호 패킷의 정상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유지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결과가 정상인 경우 상기 동기확립정도를 소정의 값으로 증가하고 정상이 아닌 경우 소정의 값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유지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다음 신호 패킷의 예상 도착점을 기준으로 하여 앞뒤 소정의 시간으로 윈도우를 설정하여 검출하고,
    상기 (b)단계는 상기 검출된 신호 패킷의 프리앰블의 패턴과 상기 이동국이 가지고 있는 패턴의 상관값에 따라 상기 검출된 신호 패킷의 정상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d)단계는 상기 예상 도착점부터 상기 소정의 시간까지의 범위인 윈도우사이즈를 조절하고,
    상기 정상여부결정의 기준이 되는 프리앰블임계값을 조절하여 동기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유지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기지국과 이동국이 동기된 상태이고 상기 윈도우사이즈와 상기 프리앰블임계값이 초기 설정 후인 경우
    상기 동기확립정도의 현재값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윈도우사이즈와 상기 프리앰블임계값을 초기설정된 값으로 바꾸고,
    이전의 동기 정도를 나타내는 이전동기확립정도값과 상기 동기확립정도의 현재값이 각각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고
    상기 동기확립정도의 현재값과 상기 이전동기확립정도값의 차이가 소정의 값 이상이며
    상기 수신강도의 현재까지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현재평균값과 상기 수신강도의 현재값의 차가 소정의 값 미만이면서
    상기 윈도우사이즈가 상기 동기 유지를 위해 상기 윈도우사이즈가 갖을 수 있는 최대값보다 작으면
    상기 윈도우사이즈를 증가하고 상기 프리앰블임계값을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유지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기지국과 이동국이 동기된 상태이고 상기 윈도우사이즈와 상기 프리앰블임계값이 초기 설정 후인 경우
    상기 동기확립정도의 현재값이 동기확립정도값으로서 상기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동기가 실질적으로 완전히 이루어졌음을 나타내는 최대값으로부터 상기 최대값에서 16을 뺀값사이의 영역값에 해당하면
    상기 윈도우사이즈와 상기 프리앰블임계값을 초기설정된 값으로 바꾸고,
    상기 동기확립정도의 현재값이 상기 최대값으로부터 상기 최대값에서 16을 뺀값사이의 영역값에 해당하지 않고
    이전의 동기 정도를 나타내는 이전동기확립정도값과 상기 동기확립정도의 현재값이 각각 상기 최대값으로부터 상기 최대값을 2로 나눈 값사이의 영역값에 해당하지 않고
    상기 동기확립정도의 현재값과 상기 이전동기확립정도값의 차이가 8이상이며
    상기 수신강도의 현재까지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현재평균값과 상기 수신강도의 현재값의 차가 6미만이면서
    상기 윈도우사이즈가 상기 동기 유지를 위해 상기 윈도우사이즈가 갖을 수있는 최대값보다 작으면
    상기 윈도우사이즈를 증가하고 상기 프리앰블임계값을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유지방법.
  8.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사이즈의 최대값을 실질적으로 4로 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유지방법.
  9. 시분할 이중방식 주파수 도약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 패킷을 이동국에서 수신할 때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동기를 유지하는 동기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 패킷을 수신하고 다음 신호 패킷을 검출하는 동기수신도착점관리부;
    상기 검출된 신호 패킷의 정상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서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국간의 동기 정도를 나타내는 동기확립정도를 조절하는 프리앰블패턴상관비교부; 및
    소정의 주기마다 상기 동기확립정도와 상기 이동국에서의 수신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신강도에 따라 동기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유지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수신도착점관리부는 상기 다음 신호 패킷의 예상도착점을 기준으로 하여 앞뒤 소정의 시간으로 윈도우를 설정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유지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패턴상관비교부는 상기 검출된 신호 패킷의 프리앰블의 패턴과 상기 이동국이 가지고 있는 패턴의 상관값에 따라 상기 검출된 신호 패킷의 정상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유지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블패턴상관비교부는 상기 결과가 정상인 경우 상기 동기확립정도를 소정의 값으로 증가하고 정상이 아닌 경우 소정의 값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유지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수신도착점관리부는 상기 다음 신호 패킷의 예상 도착점을 기준으로 하여 앞뒤 소정의 시간으로 윈도우를 설정하여 검출하고;
    상기 프리앰블패턴상관비교부는 상기 검출된 신호 패킷의 프리앰블의 패턴과 상기 이동국이 가지고 있는 패턴의 상관값에 따라 상기 검출된 신호 패킷의 정상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상 도착점부터 상기 소정의 시간까지의 범위인 윈도우사이즈를 조절하고,
    상기 정상여부결정의 기준이 되는 프리앰블임계값을 조절하여 동기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유지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지국과 이동국이 동기된 상태이고 상기 윈도우사이즈와 상기 프리앰블임계값이 초기 설정 후인 경우
    상기 동기확립정도의 현재값이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윈도우사이즈와 상기 프리앰블임계값을 초기설정된 값으로 바꾸고,
    이전의 동기 정도를 나타내는 이전동기확립정도값과 상기 동기확립정도의 현재값이 각각 소정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고
    상기 동기확립정도의 현재값과 상기 이전동기확립정도값의 차이가 소정의 값 이상이며
    상기 수신강도의 현재까지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현재평균값과 상기 수신강도의 현재값의 차가 소정의 값 미만이면서
    상기 윈도우사이즈가 상기 동기 유지를 위해 상기 윈도우사이즈가 갖을 수 있는 최대값보다 작으면
    상기 윈도우사이즈를 증가하고 상기 프리앰블임계값을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유지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과 이동국이 동기된 상태이고 상기 윈도우사이즈와 상기 프리앰블임계값이 초기 설정 후인 경우
    상기 동기확립정도의 현재값이 동기확립정도값으로서 상기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동기가 실질적으로 완전히 이루어졌음을 나타내는 최대값으로부터 상기 최대값에서 16을 뺀값사이의 영역값에 해당하면 상기 윈도우사이즈와 상기 프리앰블임계값을 초기설정된 값으로 바꾸고,
    상기 동기확립정도의 현재값이 상기 최대값으로부터 상기 최대값에서 16을 뺀값사이의 영역값에 해당하지 않고
    이전의 동기 정도를 나타내는 이전동기확립정도값과 상기 동기확립정도의 현재값이 각각 상기 최대값으로부터 상기 최대값을 2로 나눈 값사이의 영역값에 해당하지 않고
    상기 동기확립정도의 현재값과 상기 이전동기확립정도값의 차이가 8이상이며
    상기 수신강도의 현재까지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현재평균값과 상기 수신강도의 현재값의 차가 6미만이면서
    상기 윈도우사이즈가 상기 동기 유지를 위해 상기 윈도우사이즈가 갖을 수 있는 최대값보다 작으면
    상기 윈도우사이즈를 증가하고 상기 프리앰블임계값을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유지장치.
  16.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사이즈의 최대값을 실질적으로 4로 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유지장치.
KR1020000013041A 2000-03-15 2000-03-15 시분할 이중방식 주파수 도약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기지국과 이동국간의 동기 유지 방법 및 장치 KR100357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041A KR100357983B1 (ko) 2000-03-15 2000-03-15 시분할 이중방식 주파수 도약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기지국과 이동국간의 동기 유지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041A KR100357983B1 (ko) 2000-03-15 2000-03-15 시분할 이중방식 주파수 도약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기지국과 이동국간의 동기 유지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391A true KR20010091391A (ko) 2001-10-23
KR100357983B1 KR100357983B1 (ko) 2002-10-25

Family

ID=19655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3041A KR100357983B1 (ko) 2000-03-15 2000-03-15 시분할 이중방식 주파수 도약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기지국과 이동국간의 동기 유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79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810B1 (ko) * 2005-12-28 2007-07-10 전자부품연구원 상관값 결과 예측 원도우를 이용한 타이밍 복구 및 추적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0895443B1 (ko) * 2007-10-31 2009-05-07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주파수 도약 방식의 시분할 다중화 방식에서 데이터를송수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898767B1 (ko) * 2007-12-12 2009-05-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Ofdm 동기 획득 알고리즘 수행 방법 및 장치
KR100902741B1 (ko) * 2004-08-27 2009-06-15 주식회사 케이티 프리엠블 검출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무선 중계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741B1 (ko) * 2004-08-27 2009-06-15 주식회사 케이티 프리엠블 검출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무선 중계시스템
KR100737810B1 (ko) * 2005-12-28 2007-07-10 전자부품연구원 상관값 결과 예측 원도우를 이용한 타이밍 복구 및 추적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0895443B1 (ko) * 2007-10-31 2009-05-07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주파수 도약 방식의 시분할 다중화 방식에서 데이터를송수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898767B1 (ko) * 2007-12-12 2009-05-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Ofdm 동기 획득 알고리즘 수행 방법 및 장치
US8000397B2 (en) 2007-12-12 2011-08-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OFDM synchron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7983B1 (ko) 200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528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隣接基地局の間で同期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1627477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synchronization maintenance with p2p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7023835B2 (en) Synchronization of timing advance and deviation
CN107333307B (zh) 一种无线局域网中切换接入点的方法及设备
PL205137B1 (pl) Sposób zestawiania kanału radiowego w sieci bezprzewodowej
KR20010080939A (ko) 인접 채널 모니터링을 위해 요청된 인터럽션 페이즈를조절하는 방법
KR20010033697A (ko) 클록 동기화가 있는 무선 네트워크
US6463261B1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6359869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establishing frame syncronization among base stations
JP4324328B2 (ja) 移動無線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伝送方法、移動局および基地局
KR100357983B1 (ko) 시분할 이중방식 주파수 도약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기지국과 이동국간의 동기 유지 방법 및 장치
US7120390B2 (en) BLUETOOTH smart offset compensation
JPH07107558A (ja) ディジタル無線電話装置
KR20010022486A (ko) 이동국에서의 데이터 패킷 수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Tavakoli et al. Guard-time design for symmetric synchronization in IEEE 802.15. 4 time-slotted channel hopping
KR102252528B1 (ko) Tsch 환경에서 빠른 재동기화를 위한 라디오 타이밍 정보 유지를 위한 장치 및 방법
GB2374767A (en) Smart compensation in wireless piconet
KR100392645B1 (ko) 역방향 동기 전송을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송 타이밍제어 방법
JP2000078643A (ja) 無線フレ−ム同期方式
JP2015097359A (ja) Td−lte無線基地局およびその同期方法
JPH0927986A (ja) デジタル移動通信無線基地局装置
JPH09116948A (ja) 間欠アイドルモニタ方法
KR20040102584A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공통 전송 채널 설정 방법
JPH07236174A (ja) ディジタル移動通信システム
CA2622884A1 (en) Synchronization of timing advance and devi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