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1024A - 함께 차입 가능한 두 개의 관형 계수부를 갖는 차입 계수 - Google Patents

함께 차입 가능한 두 개의 관형 계수부를 갖는 차입 계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1024A
KR20010091024A KR1020010014476A KR20010014476A KR20010091024A KR 20010091024 A KR20010091024 A KR 20010091024A KR 1020010014476 A KR1020010014476 A KR 1020010014476A KR 20010014476 A KR20010014476 A KR 20010014476A KR 20010091024 A KR20010091024 A KR 20010091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borrowing
coupling
peripheral wall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3524B1 (ko
Inventor
안드레아스바우어
프랑크바너
Original Assignee
라스무센 요아겐 에스, 브라운 프랭크
라스무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스무센 요아겐 에스, 브라운 프랭크, 라스무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라스무센 요아겐 에스, 브라운 프랭크
Publication of KR20010091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5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91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intake ducts: shapes; connections; arrangements
    • F02M35/10144Connections of intake ducts to each other or to another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314Materials for intake systems
    • F02M35/10321Plastics; Composites; Rub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34Manufacturing and assembling intake systems
    • F02M35/10354Joining multiple sections tog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16L37/08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with access to the split elastic ring from a radial or tangential opening in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15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engine type
    • F02M35/10157Supercharged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가 흐르는 두 개의 구성부를 결합하기 위해 함께 차입 가능한 두 개의 관(管)형 계수부(1, 2)[여기에서, 하나의 계수부(2)의 차입 부분(14)은 제1 링홈(13)을 구비하고, 다른 계수부(1)의 수용 부분(6)은 직경 방향으로 대향 배치하는 두 개의 슬릿(12)과 탄성의 대략 U 자형 누름 요크(3)를 구비하고, 그 누름 요크의 이음부(15)는, 슬릿(12)을 통해 돌출하며, 계수부(1, 2)가 함께 차입되는 경우에 제1 링홈(13)에 삽입함]와, 함께 차입된 계수부(1, 2) 사이의 밀봉링(4) 및, 밀봉링(4)을 수용하는 두 개의 링홈(32)을 다른 계수부(1) 및 그 계수부(1)의 돌기부(31)와 함께 접경하는 고정링(5)을 갖는 차입 계수에 있어서, 방사 방향 외측 주위벽(10)과 방사 방향 내측 주위벽(11)을 구비하고, 이들 사이에 차입 부분(14)이 차입 가능하며, 두 개의 링홈(32)은 계수부(1, 2)가 함께 차입되는 상태에서 방사 방향으로 차입 부분(14)의 내부에 제1 링홈(13)과 같이 그 자신의 방사 방향 레벨에 거의 가깝게 배치되며, 방사 방향 내측 외주벽(11)은 그의 방사 방향 외측 주위측에 상기 두 개의 링홈(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입 계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함께 차입 가능한 두 개의 관형 계수부를 갖는 차입 계수{STECKKUPPLUNG MIT ZWEI ZUSAMMENSTECKBAREN ROHRFORMIGEN KUPPLUNGSTEILEN}
본 발명은, 유체가 흐르는 두 개의 구성부를 결합하기 위해 함께 차입(差入) 가능한 두 개의 관(管)형 계수(繼受)부[여기에서, 하나의 계수부의 차입 부분은 제1 링홈을 구비하고, 다른 계수부의 수용 부분은 직경 방향으로 대향 배치하는 두개의 슬릿과 탄성의 대략 U 자형 누름 요크를 구비하고, 그 누름 요크의 이음부는, 슬릿을 통해 돌출하며, 계수부가 함께 차입되는 경우에 제1 링홈에 삽입함]와, 함께 차입된 계수부 사이의 밀봉링 및, 그 밀봉링을 수용하는 두 개의 링홈을 다른 계수부 및 그 계수부의 돌기부와 함께 접경하는 고정링을 갖는 차입 계수에 관한 것이다.
당해 기술 분야의 공지된 차입 계수(EP 0 392 234 A2)의 경우에, 밀봉링과 고정링은 누름 요크의 실행으로서의 기능을 행하는 슬릿의 축방향 후방에서 90°로 굽은 차입부의 수용 부분의 외측 주위벽의 외측에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용 부분은 함께 차입된 상태에서 굴곡부에 대해 차입 부분의 적절한 방사 방향 지지를 보증하도록 비례적으로 길다. 그에 대해, 자동차의 모터 공간에 사용되는 것처럼 내부 구조가 제한되어 있는 경우에, 수용 부분의 길이는 너무 긴 경우가 많다. 분리된 상태에서는 밀봉면으로서의 작용을 행하는 차입 부분의 외측이 자유롭게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예컨대 운송시에는 그 외측이 기구적 작용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그 결과, 결합의 반(反)밀봉성이 생길 것이다.
독일 특허 공고 제 DE 27 17 973 C2호에서는, 유체를 유통시키는 구성부를 결합하기 위해 함께 차입 가능한 두 개의 관형 계수부를 갖는 차입 계수가 공지되어 있다. 이 차입 다수에 있어서, 하나의 계수부의 차입 부분은 링홈을, 다른 계수부의 수용 부분은 직경 방향으로 대향 배치하고 있는 두 개의 슬릿과 거의 U 자형인 탄성 누름 요크를 구비하고, 그의 이음부들은 슬릿에 의해서 돌출하고, 계수부가 함께 차입하고 있는 경우에는 링홈에 접경된다. 수용 부분은 방사 방향 외측 주위벽과 방사 방향 내측 주위벽을 갖고, 그들 사이에는 차입 부분이 차입 가능하다. 차입 계수는 함께 차입된 계수부를 대향하게 밀착하기 위해 밀봉링을 더 구비하고 있다. 밀봉링은, 둘 중 하나를 결합하고 유체를 유통시키는 구성부가 구성되어 있는 관 상에서 그 관의 단부상의 원추대형 머리부 또는 비드부와 내측 부위벽의 방사 방향 전면 사이에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밀봉링과, 수용 부분을 구비하는 두 개의 계수부는 그들 계수부를 함께 차입할 수 있게 관 이전에 설치된다. 이 부(副)조립체는 비례형의 긴 관 또는 관 지지형의 관 근처에 있고, 이의 다른 단부는 제3 구성부, 예컨대 자동차의 냉각기와 이미 견고하게 또는 결코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두 개의 계수부는 적어도 관의 머리부 또는 비드부를 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두 개의 계수부의 내측 주위벽의 내경이 관의 내경에 통과되고 밀봉링을 에워 쌀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입 영역이 보다 짧아진 이미 공지된 기술의 차입 계수를 제공하는 데 있지만, 그에 더하여, 굴곡부에 대한 차입 부분과 수용 부분을 방사 방향으로 대향하게 지지하고 계수부를 보다 고정되게 대향 밀봉시키는 것을 보증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목적은, 방사 방향 외측 주위벽과 방사 방향 내측 주위벽을 구비하고, 이들 사이에 상기 차입 부분이 차입 가능하며, 상기 두 개의 링홈은 상기 계수부가 함께 차입되는 상태에서 방사 방향으로 상기 차입 부분의 내부에 상기 제1 링홈과 같이 그 자신의 방사 방향 레벨에 거의 가깝게 배치되며, 상기 방사 방향 내측 외주벽은 그의 방사 방향 외측 주위측에 상기 두 개의 링홈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해결된다.
따라서, 가장 양호한 경우에는 링홈들을 그들의 방사 방향 레벨에서 적어도 가깝게 배치함으로써, 차입 영역, 즉 수용 부분과 차입 부분 모두의 길이를 종래보다 짧게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결합의 밀봉성을 보증하기 위해, 수용 부분을 이중벽으로 구성함으로써, 두 부분의 대향하는 방사 방향 굴곡부에 대해서 함께 차입된 두 부분의 충분하게 대향하는 방사 방향의 지지와 삽입이 제공된다. 또한, 두 개의 링홈과 밀봉링은 계수부를 함께 차입한(결합한) 상태에서 차입 부분의 방사 방향 내부에 배치되고, 밀봉링과 접촉해 있거나 접촉해 가는 두 밀봉면 중 하나는 결합된 상태에서도 해제된 상태에서도 언제나 차입 부분 내부에 방사 방향 외측으로 지지되고, 다른 밀봉면은 수용 부분의 두 주위벽에 의해 형성되는 링 공간 내부에서 외측으로 지지되어, 방사 방향 외측으로의 밀봉면의 손상 위험이 회피되고, 그에 따라 결합의 밀봉성이 신뢰할 수 있을 만큼 보장된다.
양호하게는, 주위벽은 그의 계수부와 차입하게 형성된다. 이는 그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계수부는 내(耐)고온성 재료로 제조된다. 그러므로, 계수부는 특히, 자동차의 모터 공간에서 발생하는 것 만큼의 고온을 견딘다.
재료가 선형의 준(準)결정 폴리프로필렌설파이드인 경우에, 계수부는 최대 240°C, 단시간에는 심지어 최대 270°C의 온도를 견딜 수 있다. 게다가, 이 재료는 고내화성, 보다 양호한 내화학성 및 내산화성, 고강도 및 고강성, 및 적은 침수성이 있고, 또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에도 활주 기울기가 적을 뿐이다. 유리 섬유 및 유리 섬유와 광물질의 혼합물과 같은 보강재를 첨가하면, 강성과 강성 및 내열성(thermoform continuity)이 더 강화될 수 있다.
또한, 계수부, 양호하게는 수용 부분을 구비하는 계수부는 그의 차입 영역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굽어진다. 이것은 두 개의 연결기 사이에서 플레이트 쌍으로 구성하기 위한 해당 계수부의 축방향 길이를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필요시에 다른 단부에 고정해야 할 호스가 그의 단부에 수직으로 굽어지거나 혹은 만곡되게 설치되어야 하는 극도의 작업 낭비(이러한 호스의 구성은 대부분 손으로 수행하기 때문)도 절감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입 계수 중, 수용 부분을 구비하는 계수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한 쪽 계수부의 차입 부분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차입 계수가 함께 차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2: 계수부
3: 누름 요크
4: 밀봉링
5: 고정링
6: 수용 부분
7: 접속 부분
8: 정지용 고리쇠
9: 누름 리브
10: 외측 주위벽
11: 내측 주위벽
12: 슬릿
13, 34: 링홈
14: 차입 부분
15: 이음부
17: 횡방향 웹
18, 33: 리브
19, 27, 30: 단(端)부분
20: 돌기물
21: 홈
22, 23: 측벽
24, 25: 링면
28: 후방부
29: 단(段)
31: 돌기부
이하에는, 본 발명 및 그의 발전된 전개를, 양호한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입 계수의 도시된 실시예는, 유체가 흐르는 두 개의 구성부, 예컨대 차량의 쿨러와 냉각수 호스를 결합하기 위해, 양호하게는 터보 챠저의 챠지 공기를 유통하기 위해 합체 가능한 두 개의 관형 계수부, 더 나아가서 누름 요크(3), 밀봉링(4) 및 고정링(5)으로 이루어져 있다.
계수부(1)는 수용 부분(6과), 그 수용 부분(6)의 종단부에서 약 90°로 굽은 접속 부분(7)을 구비하고, 그 접속 부분(7)에서는 호스가 클립을 이용하여 정지용 고리쇠(8)와 누름 리브(9)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수용 부분(6)은 방사 방향 외측의 주위벽(10)과 방사 방향 내측의주위벽(11)을 구비하고 있다. 외측 주위벽(10)에는 지름상 반대측에 배치되고 방사 방향으로 관통하는 두 개의 슬릿(12)이 형성되고, 이들 슬릿은 외측 주위벽(10)의 원호를 통해 연장된다. 슬릿(12)은 계수부(2)의 단부에 형성되는 차입 부분(14)의 외측 주위측에서 링홈(13)과 함께 정렬한다. 슬릿(17)에서, 거의 U자형의 누름 요크(3)는 그의 이음부(15)와 함께 압압(押壓)한다. 누름 요크(3)는 강철 용수철 철사로 되어 있고, 따라서 탄성적이다. 이음부(15)는 외측 주위벽(10)의 방사 방향 내측에 중간 부분과, 외측 주위벽(10)의 방사 방향 외측에 그의 이음부(15)에 연결하는 횡방향 웹(17)이 있다. 횡방향 웹(17)은, 외측 주위벽(10)으로부터 방사 방향 외측으로 돌기하고 주연(周緣) 방향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평행 쌍의 리브(18) 사이에서 연장하고, 그 리브쌍(18) 사이에 보다 짧은 중간 영역에서 그 리브쌍(18) 위를 방사 방향으로 돌출한다. 이음부(15)의 자유 단부는 축방향에서 반대 방향으로 굽은 단부분(19)에서 외측 주위벽(10)에 실려 있다. 단부분(19)은 도 1에서 한 개만 볼 수 있다.
조작자를 부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단부분(19)은 축방향으로 상호 정령하는 두 개의 돌기물(20) 중 하나로부터 도시된 작동 상태로 종료한다. 또한, 외측 주위벽(10)의 외측에 있는 슬릿(12)의 벽에서, 축방향 홈(21)은 방사 방향 측벽(22)과 경사 측벽(23)으로 형성된다. 홈(21)에서, 누름 요크(3)을 방사 방향으로 끌어 내는 경우, 단부분(19)의 각각은, 슬릿(12)으로부터 우연하게 누름 요크(3)가 방사 방향으로 완전히 끌내어 지지 않도록, 제 위치에서 잠겨지고, 단부분(19)은 각각, 이음부(15)는 방사 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응력하에 있기 때문에,방사 방향 측벽(22)에 취부된다.
차입 부분(14)에는 링홈(13)으로부터의 차입 방향으로 방사 방향 외측 경사형 또는 원추형 홈면(사면)(24 및 25)이 제공된다. 도 2에 도시된 상태로 계수부(1 및 2)를 차입 결합하는 경우에, 누름 요크(3)의 이음부(15)는 경사면(24 및 25)를 경유해서 깊숙히 활주하여, 링홈(13)으로 돌입한다. 경사면(25)으로 인해, 차입 부분(14)의 단부분(27)은 후방부(28)보다 벽강도가 작고, 주위벽(10 및 11) 사이의 링공간에서는 방사 방향 연장부가 슬릿(12)의 후방으로까지 후방부(28)의 벽강도에 대응하므로, 보다 얇은 단부분(27)의 영역에서 단부분(27)의 벽강도까지의 단(29) 이상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단부분(27)은 차입 결합 상태에 있어서 링홈의 보다 좁은 단부분에서 배치되어 있는 주위벽(10 및 11)에 대해 돌출한다.
마찬가지로, 수용 부분(6)의 방사 방향 내측 주위벽(11)은 직경이 층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고정링(5)과, 내측 주위벽(11)의 보다 얇은 단부분(30) 및 내측 주위벽(11)의 돌기부(31)를 획정(劃定)하는 내측 주위벽(11)의 방사 방향 외측 상에서, 그 내측 주위벽(11)은 링홈(13)과 같은 그 자신의 방사 방향 레벨에 적어도 가까이 배치된다. 따라서, 수용 부분(6)과 차입 부분(14)이 오버랩하는 계수 영역은, 링홈(13 및 32)이 동일한 방사 방향 레벨에 꼭 맞게 배치되지 않는 경우에도, 기술 상황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그와 같이, 외경이 차입 부분(14)의 내경과 거의 같은 고정링(5)과의 결합시에 주위벽(10 및 11) 사이에서 차입 부분(14)을 밀접하게 수용하는 링 영역과 이중벽 수용 부분(6)은, 예컨대 충격으로 인한, 하나의 또는 다른 계수부(1, 2) 또는 둘 모두에 방사 방향의 부하가 있는 경우에 수용 부분(6)과 차입 부분(14)으로부터 대향의 방사 방향으로 굽어짐을 방지하여, 이러한 부하가 있는 경우에도 결합의 밀봉성은 차입 부분(14)과 내측 주위벽(11)에 배치하는 밀봉링(4)에 의해 더 보증된다. 또한, 밀봉링(4)과 접촉해가는 차입 부분(14)과 내측 주위벽(11)의 밀봉면은 계수부(1, 2)가 결합 해제하는 상태에서도 방사 방향 외측으로부터의 손상을 방지한다.
고정링(5)은 방사 방향 내측으로 주연(周緣)하는 면리브(33)를 갖는다. 이 리브는 단부분(30)의 방사 방향 외측 상에 통과하는 링홈(34)에서 고정링(5)과 수용 부분(6)을 계수 결합함으로써 밀봉링(4)의 삽입에 의해 고정된다.
계수부(1)는, 예컨대 유리 섬유 또는 유리 섬유와 광물질의 혼합물로 된 경화 패딩을 갖는 선형의 준결정 폴리프로필렌설파이드로 된 주위벽(10 및 11)과 함께 차입된다. 그 계수부(1)는 최대 240°C, 단시간에는 심지어 최대 270°C의 내온도성, 고유의 내화성, 보다 양호한 내화학성 및 내산화성, 고강도 및 고강성, 보다 적은 침수성이 있고, 또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에도 활주 기울기가 적을 뿐이다.
계수부(2)와 고정링(5)은 계수부(1)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다.
따라서, 차입 계수는 고온 환경 및/또는, 차입 계수를 통해 관통하는 유체(流體)의 인입에 대해 그리고 폭주하는 유체에 대해 특히 적합하다.
분리하기 위해서는 누름 요크(3)를 방사 방향으로 돌출해 있는 횡방향 웹(17)의 중간 부분을 잡고 단부분(19)이 각각 돌기물(20) 중 하나와 홈(21) 중 하나 사이의 소정의 축방향 레벨에 배치할 때까지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부터 더 나아가서는 슬릿(12)으로부터 떼어 놓는다. 이 위치에서, 누름 요크(3)의 이음부(15)의 중간 부분은 더 이상 외측 주위벽(10)의 내측에 방사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즉, 그 중간 부분은 더 이상 링홈(13)에서 압압되지 않으므로, 계수부(1 및 2)는 폭넓게 방해 없이 분리될 수 있다.
축방향의 지름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는 홈(35)은 계수부(1)의 외측 주위벽(10)의 내측에서 차입 부분(14)의 외측에 돌입(도시되지 않음)된 리브의 형태에 대응하게 작용하여, 계수부(1 및 2)를 미리 결정된 상대 회전각 상태에서만 함께 차입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르면, 굴곡부에 대한 차입 부분과 수동 부분을 방사 방향으로 대향하게 지지하고 계수부를 보다 고정되게 밀봉시키는 것을 보장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유체가 흐르는 두 개의 구성부를 결합하기 위해 함께 차입 가능한 두 개의 관(管)형 계수부(1, 2)[여기에서, 하나의 계수부(2)의 차입 부분(14)은 제1 링홈(13)을 구비하고, 다른 계수부(1)의 수용 부분(6)은 직경 방향으로 대향 배치하는 두 개의 슬릿(12)과 탄성의 대략 U 자형 누름 요크(3)를 구비하고, 그 누름 요크의 이음부(15)는, 상기 슬릿(12)을 통해 돌출하며, 상기 계수부(1, 2)가 함께 차입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링홈(13)에 삽입함]와,
    상기 함께 차입된 계수부(1, 2) 사이의 밀봉링(4) 및,
    상기 밀봉링(4)을 수용하는 두 개의 링홈(32)을 상기 다른 계수부(1) 및 그 계수부(1)의 돌기부(31)와 함께 접경하는 고정링(5)을 갖는 차입 계수에 있어서,
    방사 방향 외측 주위벽(10)과 방사 방향 내측 주위벽(11)을 구비하고, 이들 사이에 상기 차입 부분(14)이 차입 가능하며,
    상기 두 개의 링홈(32)은 상기 계수부(1, 2)가 함께 차입되는 상태에서 방사 방향으로 상기 차입 부분(14)의 내부에 상기 제1 링홈(13)과 같이 그 자신의 방사 방향 레벨에 거의 가깝게 배치되며,
    상기 방사 방향 내측 외주벽(11)은 그의 방사 방향 외측 주위측에 상기 두 개의 링홈(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입 계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위벽(10, 11)은 그의 계수부(1)와 einstuckig하게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입 계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부(1, 2)는 내(耐)고온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입 계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선형의 준(準)결정 폴리프로필렌설파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입 계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부(1)는 그의 차입 영역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굽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입 계수.
KR10-2001-0014476A 2000-04-08 2001-03-21 두 개의 관형 커플링부분을 갖는 조립식 커플링 KR100403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17679.8 2000-04-08
DE10017679A DE10017679C1 (de) 2000-04-08 2000-04-08 Steckkupplung mit zwei zusammensteckbaren rohrförmigen Kupplungsteil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024A true KR20010091024A (ko) 2001-10-22
KR100403524B1 KR100403524B1 (ko) 2003-10-30

Family

ID=763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476A KR100403524B1 (ko) 2000-04-08 2001-03-21 두 개의 관형 커플링부분을 갖는 조립식 커플링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143187B1 (ko)
JP (1) JP3473585B2 (ko)
KR (1) KR100403524B1 (ko)
DE (2) DE10017679C1 (ko)
ES (1) ES2222947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3521A1 (de) * 2002-01-30 2003-07-31 Modine Mfg Co Schnellverschlusskupplung
DE10231114A1 (de) * 2002-07-10 2004-02-05 Dipl.-Ing. Henn Ges.M.B.H. & Co. Kg Steckverbindung mit Montagehilfe für den Anschluss von Rohr- und Schlauchleitungen
DE10347926A1 (de) * 2003-10-15 2005-05-19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ung für den Anschluss von Rohren und Schläuchen mit Sicherungsring
JP4529658B2 (ja) * 2003-11-28 2010-08-25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DE102004003693B3 (de) 2004-01-24 2004-12-09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zum Anschließen einer Fluidleitung an einem Rohr
DE102004019799A1 (de) * 2004-04-23 2005-11-17 Henn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teckverbindung und Steckverbindung
JP4011575B2 (ja) * 2004-10-15 2007-11-21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DE502004011182D1 (de) 2004-10-29 2010-07-01 Argo Hytos Gmbh Verbindungseinrichtung und Filtervorrichtung mit einer derartigen Verbindungseinrichtung
US7438328B2 (en) * 2005-03-25 2008-10-21 Tokai Rubber Industries, Ltd. Quick connector
DE102007006588B4 (de) 2007-02-09 2014-04-17 Modine Manufacturing Co. Schnellverschlusskupplung
US7699356B2 (en) 2007-05-10 2010-04-20 Craig Assgembly, Inc. Quick connector for fluid conduit
DE202009000328U1 (de) * 2009-01-08 2009-03-19 Norma Germany Gmbh Kupplungseinrichtung
US9188267B2 (en) 2010-05-04 2015-11-17 Norma U.S. Holding Llc Connector assembly with retainer for joining fluid conduits
AT512397B1 (de) 2012-05-07 2013-08-15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ung zum Verbinden von Leitungen für unter Druck gesetzte Flüssigkeiten oder Gase
DE102014102794B4 (de) 2014-03-03 2018-05-03 Fsp Fluid Systems Partners Holding Ag Filtervorrichtung zum Filtrieren einer Hydraulikflüssigkeit
DE102016119659A1 (de) * 2016-10-14 2018-04-19 Norma Germany Gmbh Verbinder und Verbinderbaugrupp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inders
EP3364089B1 (en) * 2017-02-17 2019-12-18 KA Group AG Quick connector coupling
US11796099B2 (en) * 2019-08-22 2023-10-24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Connector having a pilot with an indicato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9896A (en) * 1976-05-10 1977-03-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Quick connect coupling
US4260184A (en) * 1979-01-18 1981-04-07 Aeroquip Corporation Fluid coupling using staple interlock
DE3615904A1 (de) * 1985-07-24 1987-02-05 Rasmussen Gmbh Steckkupplung
US4867487A (en) * 1988-11-30 1989-09-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Quick connect coupling
DE8904555U1 (ko) * 1989-04-11 1989-06-01 Hutchinson Gummiwarenfabrik Gmbh, 6800 Mannheim, De
DE4006200A1 (de) * 1990-02-28 1991-08-29 Continental Ag Automatisch montierbare steckkupplung fuer leitungsschlaeuche in kraftfahrzeugen
DE19601667C2 (de) * 1996-01-18 1998-07-30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ung für den Anschluß von Rohr- und Schlauchleit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43187B1 (de) 2004-09-01
EP1143187A3 (de) 2003-05-07
KR100403524B1 (ko) 2003-10-30
DE10017679C1 (de) 2001-09-06
ES2222947T3 (es) 2005-02-16
JP2001295975A (ja) 2001-10-26
JP3473585B2 (ja) 2003-12-08
EP1143187A2 (de) 2001-10-10
DE50103440D1 (de) 200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91024A (ko) 함께 차입 가능한 두 개의 관형 계수부를 갖는 차입 계수
JP2959565B2 (ja) 2つの流体ダクトを接続するプラグインカップリング
EP0990100B1 (en) Quick connector with snap-on retainer having enhanced engagement
US7810848B2 (en) Pipe joint and pipe joint structur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3798791B2 (ja) 防護スリーブを備えた着脱可能な差込みカップリング
KR0162154B1 (ko) 2개의 유체관을 연결하기 위한 압입 연결기
RU2342590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патрубки соединяемых элементов для приема текучей среды (варианты)
KR101123107B1 (ko) 결합 장치
US6979026B2 (en) Connector clip for verifying complete connection between a connector and a pipe and connector connecting structure therefor
JP3925170B2 (ja) コネクタ用遮水カバー
JPH07151278A (ja) 波形管用継手
US9377144B2 (en) Release tool for quick connector
US10403997B2 (en) Guided plug connector
US7104571B2 (en) Connector clip for verifying complete connection between a connector and a pipe
JP2003227581A (ja) コネクタ用半嵌合防止クリップ
US5113038A (en) Cable splice assembly for connecting and branching cables, particularly telecommunication cables
JP2002526728A (ja) ベローズ形カバー部材
US6106028A (en) Snap-fastening coupling for a fluid duct,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CN114222871A (zh) 传动轴及其制造方法
JP6459942B2 (ja) シールドシェル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CN109964072B (zh) 用于导引介质的管路的联接装置
KR20210116314A (ko) 인디케이터가 있는 퀵 커넥터
CN211943475U (zh) 汽车电子转向器壳体
JP3700852B2 (ja) コネクタ接続構造及びコネクタ用半嵌合防止クリップ
CN112443959B (zh) 供暖通风空调(hvac)壳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